KR100763552B1 -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3552B1
KR100763552B1 KR1020060033098A KR20060033098A KR100763552B1 KR 100763552 B1 KR100763552 B1 KR 100763552B1 KR 1020060033098 A KR1020060033098 A KR 1020060033098A KR 20060033098 A KR20060033098 A KR 20060033098A KR 100763552 B1 KR100763552 B1 KR 10076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tongs
cutting
cutting devic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2579A (ko
Inventor
이재필
Original Assignee
이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필 filed Critical 이재필
Priority to KR1020060033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355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3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8Cutting fish into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6Work-tables; Fish-holding and auxiliary devices in connection with work-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41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using chutes, hoppers,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지지기둥이 설치되어 있는 작업테이블과; 작업테이블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생선을 받아들이는 호퍼와; 호퍼로부터 공급된 생선을 이송하도록 되어 있는 이송장치와; 이송레일 위에 놓여진 생선을 고정하도록 되어있고, 이송레일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왕복운동 하도록 되어 있는 생선고정장치와; 수평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절단부재가 생선고정장치에 고정된 생선을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수평절단장치와; 수직톱니를 갖춘 다수 개의 수직절단부재가 상하로 왕복 운동하도록 되어 있어 생선고정장치에 고정된 생선을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수직절단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생선을 토막내면서 배를 가를 수 있고, 작업 불량율이 감소되는 생선절단장치가 제공된다.
생선절단장치, 톱니, 수평절단, 수직절단

Description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THE FISH CUTTING APPARATUS USING SAW-TOOTH}
도 1은 종래의 생선절단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생선절단장치의 수직절단장치 구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생선절단장치 수직절단장치의 또다른 구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 이송장치가 회전하도록 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 수평절단장치가 생선을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수직절단장치가 생선을 절단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송클램프장치의 한 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작업테이블 11 : 지지기둥
12 : 개구부 20 : 호퍼
30 : 이송장치 31 : 이송롤러
32 : 이송롤러회전봉 33 : 이송모터
34 : 케이스 34a : 회전봉끼움홀
35 : 회전모터 36 : 이송장치회전봉
37 : 이송장치고정브라켓 38 : 이송클램프장치
39 : 이송장치회전모터 40 : 생선고정장치
41 : 고정장치측레일부재 42 : 이동장치
42a : 집게작동모터 43 : 회전봉
43a : 기어 44 : 집게
44a : 상부집게손 44b : 하부집게손
44c : 보조집게 44d : 스프링
44e : 집게측톱니 50 : 수평절단장치
51 : 수평절단장치측기어 52 : 기어가동모터
53 : 체인 54 : 가이드레일
55 : 절단부재고정플레이트 56 : 수평절단부재
56a : 수평톱니 60 : 수직절단장치
61 : 수직가이드레일 62 : 프레임고정뭉치
63 : 구동장치 63a : 클램프부재
63b : 고정브라켓 64 : 프레임
65 : 수직절단부재 65a : 수직톱니
66 : 프레임이동실린더 70 : 감지센서
80 : 컨트롤장치 90 : 생선
100 : 커터
본 발명은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선절단장치는 생선을 여러 토막으로 절단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생선절단에 관한 기술로 원형커터의 교체가 용이하고, 머리 부분을 별도로 수집할 수 있도록 된 '둥근 생선 토막 절단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8260호)가 안출되었다.
또, '생선 경사 절단기'(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4008호)에는 경사진 방향으로 생선을 절단할 수 있도록 된 절단기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그런데, 위와 같은 장치의 커터(100)는 생선의 길이방향에 직각이거나 비스듬한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생선의 복부를 함께 절단할 수 있게 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절단기로 절단된 생선은 다시 수작업으로 생선의 복부를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는 작업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절단기는 한 번의 커팅을 통해 생선을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때 생선이 잘 절단되지 못할 수도 있어 불량 작업율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냉동어류 등의 경우 커팅 과정에서 절단 부위가 깔끔하게 절단되지 않고 짓이겨지는 형상을 갖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생선의 복부를 절단하는 과정과, 수직 방향으로 토막내는 과정을 함께 갖는 생선절단장치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또, 작업의 불량율을 줄이기 위해 수평절단부재와 수직절단부재에 톱니를 형성하고, 절단 과정에서 생선을 계속 왕복운동시켜 마치 톱질을 하는 것처럼 생선을 절단함으로써 냉동 생선의 절단 효율을 높이려는 목적도 있다.
특히, 보조집게와 톱질 형 절단 과정을 통해 냉동 생선의 절단 부위가 깔끔해지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은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선절단장치는 수평절단장치와 수직절단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생선의 배를 가르면서 토막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생선고정장치는 생선을 고정한 채 계속 왕복운동 하도록 되어 있어 마치 톱질하는 형태로 생선을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냉동 생선의 보다 깔끔하게 절단되고, 절단 불량율이 감소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조집게가 생선을 보다 강하게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지지기둥이 설치되어 있는 작업테이블과; 작업테이블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생선을 받아들이는 호퍼와; 작업테이블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회전하도록 된 이송롤러가 열을 지어 설치되어 있어 호퍼로부터 공급된 생선을 이송하도록 되어 있는 이송장치와; 이송롤러 위에 놓여진 생선을 고정하도록 된 집게가 열을 지어 다수 개 설치되어 있고, 설치된 다수 개의 집게들이 이송롤러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왕복운동 하도록 되어 있는 생선고정장치와; 작업테이블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수평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절단부재가 이송롤러 설치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집게에 고정된 생선을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수평절단장치와; 작업테이블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수직톱니를 갖춘 수직절단부재가 열을 지어 다수 개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수직절단부재가 상하로 왕복 운동하도록 되어 있어 집게에 고정된 생선을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수직절단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작업테이블(1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에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지지기둥(11)이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12)를 통해서는 절단 가공된 생선(90)이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 것으로 하부에 절단된 생선(90)을 수용하는 케이스나 후속 공정을 위한 호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호퍼(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테이블(10)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생선(90)을 받아들여 작업테이블(10)로 생선(90)을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호퍼(20)의 형태는 도 2 와 같은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되어 있는 깔대기 형상 등 다양한 형태의 호퍼(2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이송장치(30)는 작업테이블(10)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회전하도록 된 이송롤러(31)가 열을 지어 설치되어 있어 호퍼(20)로부터 공급된 생선(90)을 작업테이블(10) 상으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송장치(30)는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송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이송모터(33)가 열을 지어 설치되어 있고, 이송모터(33)에 연결된 이송롤러회전봉(32), 이송롤러회전봉(32)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생선(90)을 이송시키는 이송롤러(31)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이송롤러(31)의 설치 위치를 조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송모터(33)가 내측에 설치되되 이송롤러회전봉(32) 일측이 끼워질 수 있도록 회전봉끼움홀(34a)이 형성된 케이스(34)를 구성하여 케이스(34)의 회전봉끼움홀(34a)을 따라 이송모터(33)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비단, 이송장치(3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와 체인, 체인에 고정된 봉부재로 구성하여 봉부재를 따라 생선(90)이 이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이송장치(30)를 따라 이송되는 어류의 배출이 이송장치(30)를 따라 이송하면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작업테이블(10)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부(1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송장치(30)의 이송롤러(31)를 아래로 숙여 절단된 생선(90)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테이블(10) 하부 일측에 회전모터(35)를 설치하고, 회전모터(35)의 회전에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이송장치회전봉(36)을 설치한 후 이송장치회전봉(36)과 회전모터(35)는 기어로 서로 연결한 다음, 이송클램프장치(38)를 이용해 이송모터(33)가 설치된 케이스(34)를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송클램프장치(38)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여러 개의 클램프를 연결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스(34) 일측에 회전핀삽입홀을 형성하고 회전핀삽입홀에 회전핀을 삽입한 후 회전핀 일측은 이송장치회전모터(39) 축에 설치해 이송장치회전모터(39)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34)가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장치(30)를 회전시키는 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두 가지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린더 일측을 작업테이블(10) 하부에 고정하고, 타측은 케이스(34) 일측에 고정하여 케이스(34)를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케이스(34)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작업테이블(10) 일측에 이송장치(30) 일측을 고정할 수 있는 이송장치고정브라켓(37)을 설치하고, 이송장치고정브라켓(37)과 케이스(34) 일측이 핀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생선고정장치(40)는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핵심 기술 사상 중 하나이다.
이러한 생선고정장치(40)는 이송롤러(31) 위에 놓여진 생선(90)을 고정하도록 된 집게(44)가 열을 지어 다수 개 설치되어 있고, 설치된 다수 개의 집게(44)들이 이송롤러(31)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왕복운동 하도록 되어 있다.
생선고정장치(40)를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테이블(10)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장치측레일부재(41)와;
상기 고정장치측레일부재(41)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일측에 집게작동모터(42a)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장치(42)와;
상기 이동장치(42)에 상 하 2 열로 설치되어 있고, 집게작동모터(42a)와 연 결된 기어(43a)가 끝단에 설치되어 있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2개의 회전봉(43)과;
상기 2 열로 설치된 회전봉(43)에 각기 고정되어 회전봉(43)의 회전에 따라 생선(90)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다수 개의 집게(44);로 구성할 수 있다.
고정장치측레일부재(41)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테이블(10)에 브라켓을 설치한 후 브라켓 양 끝단에 고정할 수 있다.
이동장치(42)는 고정장치측레일부재(41)가 삽입되는 레일부재삽입홀을 일측에 형성하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작업테이블(10) 일측에 이동장치(42)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모터와 연결된 클램프장치를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운동을 클램프장치를 통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작업테이블(10) 일측에 모터를 설치한 후 모터의 축에 피니언기어를 설치하고,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렉기어를 설치해 왕복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다른 방법으로는 실린더를 일측에 설치해 실린더 암의 왕복이동을 통해 이동장치(42)를 구성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이동장치(42)의 이동방법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공지되어 기술을 적용하면 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생선고정장치(40)를 왕복이동시키는 이유는 후술하는 절단부재가 생선(90)을 절단할 때 마치 톱질하는 것과 같은 과정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집게작동모터(42a)에 동작에 따라 회전봉(43)이 회전하는 것은 도면에서 보 는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클램프를 집게작동모터(42a)와 기어(43a)에 연결해 두 개의 기어(43a)가 서로 맞물려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집게작동모터(42a)의 축과 두 개의 기어(43a) 중 하나의 기어(43a)를 연결해 기어(43a)가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회전봉(43)을 회전시키는 두 개의 기어(43a)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2 개의 회전봉(43)에 각기 고정되어 있는 상부집게손(44a)과 하부집게손(44b)은 회전봉(43)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벌어지거나 오무려지게 되면서 하나의 집게(44)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집게(44) 내측면에 보조집게(44c)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보조집게(44c)는 생선(90)을 보다 잘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이 집게(44)에 고정된 스프링(44d)의 타측면이 보조집게(44c)의 측면을 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수 개 설치된 집게(44) 중 생선(90)의 머리를 고정시키는 최 선단의 보조집게(44c)에는 집게측톱니(44e)가 형성되어 생선(90) 머리를 보다 잘 고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생선(90)의 측면 형태가 호 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감안해 다수 개 설치되어 있는 집게(44)들 중 중앙부에 설치된 집게(44) 내측면은 큰 반지름을 갖는 호형으로 형성하고, 선단에 설치된 집게(44) 내측면은 작은 반지름을 갖는 호형으로 형성하여 생선(90)을 잘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수평절단장치(50)는 집게(44)에 고정된 생선(90)을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해 설치된 것으로, 작업테이블(10)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수평톱니(56a)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절단부재(56)가 이송롤러(31) 설치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집게(44)에 고정된 생선(90)을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수평절단장치(50)의 구성 예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작업테이블(10)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수평절단장치측기어(51)와;
두 개의 수평절단장치측기어(51) 중 일측의 수평절단장치측기어(51)에 연결되어 수평절단장치측기어(51)를 회전시키는 기어가동모터(52)와;
두 개의 수평절단장치측기어(51)에 맞물려 이송롤러(31) 설치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체인(53)과;
작업테이블(10) 일측에 체인(53)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54)과;
일측이 체인(53)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에 가이드레일(54)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레일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체인(53)의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54)을 타고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절단부재고정플레이트(55)와;
절단부재고정플레이트(55)에 고정되어 있고, 수평톱니(56a)가 형성되어 있어 체인(53)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집게(44)에 고정된 생선(90)을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수평절단부재(56);로 구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은 기어가동모터(52)의 작동에 따라 수평절단장치측기어(51)가 회전하면서 체인(53)이 이동하게 되고, 체인(53)에 일측이 고정된 채 가이드레 일(54)을 따라 수평절단부재(56)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집게(44)에 고정되어 있는 생선(90)의 복부를 절단하도록 된 구성이다.
이때, 가이드레일(54)은 수평절단부재(56)가 완벽한 수평선을 이루면 진행하도록 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수평절단장치(50)의 구성은 위에 기술한 바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린더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수직절단장치(60)는 생선고정장치(40)에 고정되어 있는 생선(90)을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수직절단장치(60)는 작업테이블(10)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수직톱니(65a)를 갖춘 수직절단부재(65)가 열을 지어 다수 개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수직절단부재(65)가 상하로 왕복 운동함으로써 집게(44)에 고정된 생선(90)을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게 된다.
수직절단장치(60)의 구체적인 예를 도 2를 통해 설명하면,
작업테이블(10)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가이드레일(61)과;
수직가이드레일(6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고정뭉치(62)와;
수직가이드레일(61)에 설치된 프레임고정뭉치(62)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63)와;
양측의 프레임고정뭉치(62)에 양 끝단이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64)과;
프레임(64)에 다수 개 고정되어 있고, 수직톱니(65a)가 형성되어 있어 구동 장치(63)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레일을 타고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집게(44)에 고정된 생선(90)을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수직절단부재(65);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64)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열로 형성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수직절단부재(65)는 브라켓부재에 의해 프레임(64)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구동장치(63)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연결된 다수 개의 클램프부재(63a), 클램프부재(63a)와 프레임(64)을 연결하는 고정브라켓(63b)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프레임(64)의 구성은 수직절단부재(65)가 고정되는 프레임과 구동장치(63)와 연결된 프레임을 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고, 함께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레임이동실린더(66)를 이용해 프레임고정뭉치(62)를 직접 구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생선절단장치는 각 장치의 작동을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컨트롤장치(80)를 이용해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이송장치(30)를 통해 이송되는 생선(90)의 위치가 제대로 파 악되는 것이 좋다.
이에 작업테이블(10)의 이송장치(30) 선단 부분에 감지센서(70)를 설치하고, 컨트롤장치(80)를 작업테이블(10) 일측에 설치한 후 컨트롤장치(80)에 감지센서(70), 이송장치(30), 생선고정장치(40), 수평절단장치(50), 수직절단장치(60)를 연결한 후 컨트롤장치(80)를 통해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일 먼저 호퍼(20)를 통해 이송장치(30)로 생선(90)이 공급되면, 이송장치(30)가 작동하면서 생선(90)이 이송롤러(31)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일정 위치에 생선(90)이 도착하게 되면 이송장치(30)는 작동을 중지하고 생선고정장치(40)가 작동해 생선고정장치(40)의 집게(44)가 생선(90)을 고정하게 된다.
생선(90)이 고정된 후 생선고정장치(40)는 왕복운동을 시작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수평절단장치(50)가 작동해 수평절단부재(56)가 생선(90)의 복부를 절단하게 된다.
수평절단부재(56)가 생선(90) 복부를 절단한 후 수직절단장치(60)가 작동하여 생선(90)을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의 토막으로 절단하게 된다.
생선(90)을 토막 낸 수직절단부재(65)는 다시 위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 생선(90)을 고정하고 있던 생선고정장치(40)의 집게(44)가 생선(90)을 풀어 놓게 된다.
이에 따라 토막난 생선(90)이 작업테이블(10)의 개구부(12)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이송장치(30)가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 이송롤러(31)가 작업테이블(10)의 개구부(12)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토막난 생선(90)이 원할히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생선(90)이 배출됨과 동시에 이송장치(30)는 다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일측 끝단까지 이동해 있던 수평절단부재(56)가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면서 한번의 작업 사이클이 종료되게 된다.
이때, 위와 같은 작업은 위에서 설명한 감지센서(70)와 컨트롤장치(80)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보다 원할하게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생선절단장치는 수평절단장치와 수직절단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생선의 배를 가르면서 토막내는 두 가지 공정을 함께 진행할 수 있다.
또, 생선고정장치는 생선을 고정한 채 계속 왕복운동 하도록 되어 있어 마치 톱질하는 형태로 생선을 절단하도록 되어 있어 냉동 생선이 보다 깔끔하게 절단되고, 절단 불량율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보조집게가 생선을 보다 강하게 고정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높아진다.

Claims (9)

  1. 생선절단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지지기둥(11)이 설치되어 있는 작업테이블(10)과;
    작업테이블(10) 일측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생선을 받아들이는 호퍼(20)와;
    작업테이블(10)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회전하도록 된 이송롤러(31)가 열을 지어 설치되어 있어 호퍼(20)로부터 공급된 생선을 이송하도록 되어 있는 이송장치(30)와;
    상기 이송롤러(31) 위에 놓여진 생선을 고정하도록 된 집게(44)가 열을 지어 다수 개 설치되어 있고, 설치된 다수 개의 집게(44)들이 이송롤러 설치방향과 직교하여 왕복운동 하도록 되어 있는 생선고정장치(40)와;
    작업테이블(10)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수평톱니(56a)가 형성되어 있는 수평절단부재(56)가 이송롤러 설치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집게(44)에 고정된 생선을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수평절단장치(50)와;
    작업테이블(10)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수직톱니(65a)를 갖춘 수직절단부재(65)가 열을 지어 다수 개 설치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수직절단부재(65)가 상하로 왕복 운동하도록 되어 있어 집게(44)에 고정된 생선을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수직절단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이송장치(30)의 선단 부분에 위치 감지센서(7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일측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생선의 머리 부분이 이송장치(30)의 선단 부분에 도착하면 순차적으로 이송장치(30), 생선고정장치(40), 수평절단장치(50), 생선절단장치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컨트롤장치(8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30)는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절단된 생선이 작업테이블(10) 개구부(12)를 통해 하부로 원할히 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생선고정장치(40)는,
    작업테이블(10)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장치측레일부재(41)와;
    상기 고정장치측레일부재(41)를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일측에 집게작동모터(42a)가 설치되어 있는 이동장치(42)와;
    상기 이동장치(42)에 상 하 2 열로 설치되어 있고, 집게작동모터(42a)와 연결된 기어(43a)가 끝단에 설치되어 있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2개의 회전봉(43)과;
    상기 2 열로 설치된 회전봉(43)에 각기 고정되어 회전봉(43)의 회전에 따라 생선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다수 개의 집게(4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절단장치(50)는,
    작업테이블(10)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두 개의 기어와;
    상기 두 개의 기어 중 일측 기어에 연결되어 기어를 회전시키는 기어가동모터(52)와;
    두 개의 기어에 맞물려 이송롤러(31) 설치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체인(53)과;
    작업테이블(10) 일측에 상기 체인(53)의 이동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54)과;
    일측이 체인(53)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에 가이드레일(54)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레일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 체인(53)의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54)을 타고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절단부재고정플레이트(55)와;
    상기 절단부재고정플레이트(55)에 고정되어 있고, 톱니가 형성되어 있어 체인(53)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집게(44)에 고정된 생선을 수평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수평절단부재(56);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수직절단장치(60)는,
    상기 작업테이블(10)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가이드레일(61)과;
    상기 수직가이드레일(6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고정뭉치(62)와;
    상기 수직가이드레일(61)에 설치된 프레임고정뭉치(62)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63)와;
    상기 양측의 프레임고정뭉치(62)에 양 끝단이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64)과;
    상기 프레임(64)에 다수 개 고정되어 있고, 톱니가 형성되어 있어 구동장치(63)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레일을 타고 수직으로 이동하면서 집게(44)에 고정된 생선을 수직 방향으로 절단하도록 되어 있는 수직절단부재(6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44)에는 내측에 보조집게(44c)가 설치되어 있고, 생선을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보조집게(44c)에 탄성을 주는 스프링(44d)이 집게(44)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집게(44) 중 일측 끝에 위치한 집게(44)의 보조집게(44c)에는 집게측톱니(44e)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KR1020060033098A 2005-08-22 2006-04-12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KR100763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098A KR100763552B1 (ko) 2005-08-22 2006-04-12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632 2005-08-22
KR1020060033098A KR100763552B1 (ko) 2005-08-22 2006-04-12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579A KR20070022579A (ko) 2007-02-27
KR100763552B1 true KR100763552B1 (ko) 2007-10-05

Family

ID=4162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098A KR100763552B1 (ko) 2005-08-22 2006-04-12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3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551B1 (ko) 2019-01-25 2019-08-13 김영님 생선 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882B1 (ko) 2018-11-06 2020-11-02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대상체의 정량절단을 위한 밀도 연산 및 교정 시스템
KR102200581B1 (ko) 2018-11-08 2021-01-12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및 방법
KR102148940B1 (ko) 2018-11-12 2020-08-28 한국로봇융합연구원 대상체의 정량절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356514B1 (ko) * 2021-05-24 2022-02-08 주식회사 피쉬코리아지비테크 생선절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266U (ko) * 1994-03-10 1995-10-16 주식회사 진성 생선회 절단기
KR19980055261U (ko) * 1996-12-26 1998-10-07 박형채 생선회를 짧은 시간에 많은 량을 절단키 위한 회절단기
KR20030026946A (ko) * 2003-02-17 2003-04-03 주식회사 청하기계 생선, 육류 절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266U (ko) * 1994-03-10 1995-10-16 주식회사 진성 생선회 절단기
KR19980055261U (ko) * 1996-12-26 1998-10-07 박형채 생선회를 짧은 시간에 많은 량을 절단키 위한 회절단기
KR20030026946A (ko) * 2003-02-17 2003-04-03 주식회사 청하기계 생선, 육류 절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551B1 (ko) 2019-01-25 2019-08-13 김영님 생선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579A (ko)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3552B1 (ko)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KR101382970B1 (ko) 튜브 절단 장치
CN108576169B (zh) 一种自动锯骨机
CN111890081A (zh) 一种机械加工用板材装夹装置
CN109773876A (zh) 一种自动上下料打孔设备
CN114669822B (zh) 一种小型变压器焊锡加工流水线
KR200426614Y1 (ko)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CN108515355A (zh) 一种悬挂式定长切割装置
US4080089A (en) Automatic drilling machine
CN109227765B (zh) 一种木块切割自动推料装置
CN203540841U (zh) 一种点胶机的顶升装置
EP1615754B1 (en) Apparatus for temporarily holding logs within cutting-off machines
CN214720177U (zh) 一种建筑用钢筋等长切割装置
CN216607949U (zh) 用于步进减速电机的旋转移料齿轮组装设备
AU1003201A (en) A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a series of cuts at different angles in one or more panels using a panel sawing machine
KR200437169Y1 (ko) 생선의 머리부 커팅장치
CN208102448U (zh) 一种无菌针刀的刀身套管装置
CN210209286U (zh) 一种适用于管件装配生产线的下料装置
CN114313513A (zh) 一种料带裁切机构及包括该机构的自动焊接编带机
CN108190099A (zh) 一种无菌针刀的刀身套管装置
CN109866288B (zh) 一种座椅配件自动化加工设备
KR20060057852A (ko) 생선회 및 생육 경사 절단기
CN208451955U (zh) 砌块切割机
KR200260161Y1 (ko)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절단기
CN211619233U (zh) 一种多向滑动板制作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