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161Y1 -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절단기 - Google Patents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161Y1
KR200260161Y1 KR2020010032094U KR20010032094U KR200260161Y1 KR 200260161 Y1 KR200260161 Y1 KR 200260161Y1 KR 2020010032094 U KR2020010032094 U KR 2020010032094U KR 20010032094 U KR20010032094 U KR 20010032094U KR 200260161 Y1 KR200260161 Y1 KR 200260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ipe
roller
stopper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0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소
Original Assignee
송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소 filed Critical 송재소
Priority to KR20200100320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161Y1/ko

Links

Landscapes

  • Shearing Machines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 파이프, 각 파이프, 환봉 등의 재료를 절단하기 위해 소재를 이송할 때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피딩성을 향상시켜서 고정밀도로 절단할 수 있도록 고안된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를 구비한 고속 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는 프레임 어세이와; 상기 프레임 어세이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이프 소재를 이송하기 위한 롤러를 각각 직교하도록 구비한 피딩 슬라이드 유닛과; 상기 피딩 슬라이드 유닛의 동작에 의해 이송되는 파이프 소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정확한 길이로 정지시키는 스토퍼 유닛과; 상기 스토퍼 유닛에 의해 정지된 파이프 소재를 고정하여 파이프의 고속절단시 흔들리거나 비틀리거나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A HAVE MATERIAL TRANSFER DEVICE TO HIGH SPEED CUTTING MACHINE}
본 고안은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를 구비한 고속 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원형 파이프, 각 파이프, 환봉 등의 재료를 절단하기 위해 소재를 이송할 때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피딩성을 향상시켜서 고정밀도로 절단할 수 있도록 고안된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를 구비한 고속 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금속재 파이프의 절단작업은 쇠톱 또는 수동 파이프 절단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모터에 직결하여 디스크형 회전절단날을 설치하고 간단한 안전커버를 씌운 절단기가 사용되었다.
쇠톱 또는 수동 파이프 절단기를 사용하는 파이프 절단작업은 1개의 파이프를 절단하는데 소용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아파트 공사장 등 대량의 파이프를 절단하는 작업장에서는 여러사람이 파이프를 절단하는데 투입하여야 하고, 그로 인하여 인건비가 상승하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절단기가 대형이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소재의 이송절단시에는 반드시 보조작업자가 절단되어질 파이프를 잡고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운반이 어렵고, 아파트 공사장 등 야외에서 파이프 절단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장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안으로서, 국내 특허공보 제 91-9333호로서 자동 파이프 절단기가 개시되어 있고, 국내 특허공보 제 97-31015호, 및 국내 특허공보 제 94-28017호가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고안들은 각종의 파이프들을 임의 형상으로 자동절단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파이프 절단기 또는 금속재 파이프를 일정길이로 연속 절단하기 위한 파이프 절단기 등으로 종래의 파이프 절단시에 가지고 있던 문제점등을 보완하여 파이프 절단기의 성능을 많이 향상시켰다.
그러나, 주지된 바와 같이 금속재의 파이프는 최초 생산시 압출이나 인발 등의 공정으로 길이가 매우 길게 형성된 상태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어서 파이프를 특정 목적에 사용하려면 일정한 길이로 절단해야 함은 당연한 것이다.
그런데, 절단하여 사용될 파이프의 숫자가 적을 때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많은 량의 파이프를 절단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절단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빠르고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소재를 빠르고 정확하게 피딩시켜주어야 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많은 기계와 방법이 제시되어 왔으나 지금까지의 방법들은 파이프 소재를 이송시키기 위해 정확하고 정밀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장치가 부족한 것이 현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파이프 소재의 절단시 이송을 빠르게 하고, 이송속도, 이송량 등의 이송조건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고속 파이프 절단기는 소재의 절단시 클램핑력을 강화하여 소재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소재의 피딩시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피딩을 제어함으로써 제품의 정확성과 정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를 보여주는 전체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를 보여주는 전체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를 보여주는 전체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피딩 슬라이드 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클램핑 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고속 파이프 절단기에 구비된 스토퍼 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일부 확대도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
도 13은 도 11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어박스 12 : 종동롤러유닛
14 : 기어축 16,17 : 피딩롤러
18 : 유압모터 20 : 구동스프로킷
22 : 체인 24 : 종동스프로킷
26 : 구동롤러유닛 28 : 지지브라켓
30 : 연결구 32 : 고정브라켓
34 : 후부프레임 36 : 실린더
38,39 : 기어 40 : 클램핑 유닛 브라켓
42 : 롤러연결브라켓 44,45 : 구동롤러
46 : 구동롤러브라켓 48 : 실린더
50 : 힌지축 52 : 스토퍼 유닛 베이스 블록
54 : 실린더 후부 브라켓 56,57 : 실린더 전부 브라켓
58 : 제 1스토퍼 실린더 60 : 힌지축
62 : 제 2스토퍼 실린더 64 : 스토퍼 블록
68 : 지지블록
100 : 프레임 어세이 102 : 기어박스 유닛
104 : 구동모터 106 : 롤러피딩유닛
108 : 바이스 유닛 110 : 소재이송장치
112 : 기어박스조절 유닛 114 : 스토퍼 유닛
116 : 피딩 슬라이드 유닛 118 : 클램핑 유닛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는 프레임 어세이와;
상기 프레임 어세이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이프 소재를 이송하기 위한 롤러를 각각 직교하도록 구비한 피딩 슬라이드 유닛과;
상기 피딩 슬라이드 유닛의 동작에 의해 이송되는 파이프 소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정확한 길이로 정지시키는 스토퍼 유닛과;
상기 스토퍼 유닛에 의해 정지된 파이프 소재를 고정하여 파이프의 고속절단시 흔들리거나 비틀리거나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피딩 슬라이드 유닛은 프레임 어세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종방향의 기어축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 종동스프로킷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기어를 구비하며, 중단에는 파이프 소재 이송용 롤러를 구비하는 구동롤러유닛과;
상기 기어박스의 전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유닛의 기어축과 직교하도록 전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롤러유닛의 기어와 직교하면서 치합되어 회전하는 기어를 구비하고, 외주에는 파이프 소재 이송용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롤러유닛과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롤러유닛으로 이루어져 파이프 소재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토퍼 유닛 베이스 블록과;
상기 스토퍼 유닛 베이스 블록의 전후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 전후부 브라켓과;
상기 실린더 전부 브라켓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실린더 후부 브라켓에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힌지축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 1스토퍼 실린더와;
상기 힌지축에 설치된 제 1스토퍼 실린더의 반대단에 설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기역자형상의 실린더 브라켓과;
상기 실린더 브라켓의 일단에 고정되어 회동하며, 전후동작하는 제 2스토퍼 실린더와;
상기 제 2스토퍼 실린더의 전부에 고정되어 힌지축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스토퍼 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 부에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클램핑 유닛 브라켓과;
상기 클램핑 유닛 브라켓의 상단부에 고정되되 일정각도 우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 롤러연결브라켓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다수의 실린더와;
상기 롤러연결브라켓의 하단부 양방향으로 연장되고, 힌지축에 의해 끝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실린더가 각각 대응하도록 실린더의 타단이 연결되며, 타끝단에 롤러를 구비한 구동롤러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에 의해 파이프 소재의 이송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한 예시도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를 보여주는 전체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를 보여주는 전체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를 보여주는 전체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좌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피딩 슬라이드 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클램핑 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고속 파이프 절단기에 구비된 스토퍼 유닛을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평면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고속 파이프 절단기는 본체 프레임 어세이(100)와, 상기 본체 프레임 어세이(100)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톱날(101)을 구동시키기 위해 구동모터(104)가 구비된 기어박스유닛(102)과, 상기 기어박스유닛(102)의 회동거리를 조절하는 기어박스조절 유닛(112)과, 상기 본체 프레임 어세이의 상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공급되는 파이프 자재를 소정의 길이로 정밀하게 절단하기 위해 클램핑하는 바이스 유닛(108)과, 상기 파이프 자재를 이송 공급하고 정지시켜주는 소재 이송장치(110)와, 상기 소재이송장치(110)에 설치되어 파이프 자재를 프레임 베드 위로 적당한 길이로 공급하여 주는 롤러피딩유닛(106)과, 상기 파이프 자재의 절단길이, 절단속도, 생산수량, 이송속도 등을 디지탈화하여 수치로 입력하는 수치제어 입력부(미도시함)와, 상기 롤러피딩유닛(106)에 의해 이동되는 파이프 소재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트퍼유닛(114)과 피딩슬라이드유닛(11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도시된 수치제어 입력부는 디지탈로 계시되어지고, 터치식으로 되어 수치의 입력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110)가 구비된 파이프 절단기의 구조를 하기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프레임 어세이(100)의 상부 좌측부에 는 그 내측에 다수의 샤프트(103)에 설치된 각각의 기어가 서로 맞물려서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기어박스유닛(10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어박스유닛(102)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04)가 그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어박스유닛(102)은 그 내측에 다수의 샤프트(103)가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지며, 상기 샤프트(103)에는 다수의 기어가 끼워져서 고정되고, 샤프트(103)에 끼워진 기어는 서로간에 맞물려서 설치되어지고, 상기 구동모터(104)에 의해 구동되어 진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104)에 설치된 샤프트(103)에는 벨트, 체인 등의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어져서 상기 기어박스유닛(102)의 샤프트와 연결되고, 그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박스유닛(102)의 일측에는 파이프를 절단하기 위한 톱날(101)이 구동모터(104)에 의해 동작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유닛(102)의 하부에는 연결브라켓(109)이 아래방향으로 연속해서 설치되어있고, 상기 연결브라켓(109)의 하단부가 힌지축(105)과 연결 고정되되 힌지축(105)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회동 절단에 의하여 파이프의 절단 행정거리가 짧아짐으로써 절삭속도가 빨라지고, 절단부하가 적게 걸리며, 절삭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다수의 샤프트(103)중에서 소재 파이프의 상부에 위치하는 샤프트(103)에는 원판형의 톱날(101)이 설치되어 소재를 절단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톱날(101)이 소재를 절단할 때에는 프레임 어세이(100)의 상부에 설치된 힌지축(105)을 중심으로 화살표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절단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기어박스유닛(102)의 연결브라켓(109)이 힌지축(105)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어박스유닛(102)과 톱날(101)이 함께 회동하게 되고, 상기 톱날(101)에 의해서 파이프 소재의 절단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어세이(100)의 상부에 설치된 기어박스유닛(102)의 전부에는 소재 파이프를 이송하기 위한 롤러피딩유닛(106)과, 이송된 파이프를 잡아주기 위한 바이스 유닛(108)과, 상기 롤러피딩유닛(106)에 의한 파이프 이송시 파이프를 정지시키는 스토퍼유닛(114)과 피딩슬라이드유닛(116)으로 이루어지는 소재이송장치(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를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소재이송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4는 정면도이고, 도 5는 좌측면도이며, 도 6은 평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프레임 어세이(100)의 상부에는 소재이송장치(1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소재이송장치(110)는 파이프 소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피딩슬라이드유닛(116)과, 상기 피딩슬라이드유닛(116)에 의해 이송되는 파이프 소재를 잡아주기 위한 클램핑유닛(118)과, 상기 피딩슬라이드유닛(116)에 의해 이송되는 파이프 소재를 정확한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 유닛(11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재이송장치(1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설치된 기어박스(10)의 상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세로방향으로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구동롤러유닛(26)과, 상기 구동롤러유닛(26)과 직교함과 동시에기어박스(10)의 전부 방향으로는 상기 구동롤러유닛(26)과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종동롤러유닛(12)으로 이루어지는 피딩슬라이드유닛(11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롤러유닛(26)과 종동롤러유닛(12)은 파이프 소재를 이송시키기 위한 롤러(16,17)가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구동롤러유닛(26)의 상단부에는 각각 종동스프로킷(2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어박스(10)의 상부에는 유압모터(18)가 고정되는 유압모터 브라켓(21)이 기어박스(10)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압모터(18)의 전부에는 구동스프로킷(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스프로킷(20)은 상기 유압모터(18)에 의해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스프로킷(20)과 종동스프로킷(24)는 체인(22)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압모터(18)가 동작함에 따라 구동스프로킷(20)이 회전하고, 이에따라 종동스프로킷(24)이 회전하며, 상기 종동스프로킷(2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종동스프로킷(24)과 고정 설치된 구동롤러유닛(26)이 각각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롤러유닛(26)이 회전하면, 직교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상기 종동롤러유닛(12)이 회전하여 상기 구동롤러유닛(26)과 종동롤러유닛(12) 사이에 위치하는 파이프 소재가 롤러(16,17)에 의해 마찰되어 이송이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박스(10)의 좌우측면에는 지지브라켓(28)이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브라켓(28)의 상단부에는 한 쌍의 연결구(30)가 서로 마주보도록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30)에는 각각의 고정브라켓(32)이 고정 연결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박스(10)의 후부에는 후부 프레임(3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후부 프레임(34)의 하단부 전면 방향으로는 실린더(3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36)는 지지브라켓(28)을 밀어주도록 설치되어 연결구(30)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기어박스(10)의 상부와 전부에는 상기 구동롤러유닛(26)과, 종동롤러유닛(12)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롤러유닛(26)은 기어축(15)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축(15)의 하단에는 기어(39)가 회전되도록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어(39)는 베벨기어를 사용하여 축이 서로 직교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종동롤러유닛(12)은 기어축(14)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기어축(14)의 우측단에는 기어(38)가 상기 기어(39)와 맞물려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어(28)는 베벨기어를 사용하여 축이 서로 직교하며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기어박스(10)의 좌측부로는 클램핑 유닛(11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 유닛(118)은 클램핑 유닛 브라켓(40)과, 롤러 연결 브라켓(42)과 실린더(48)와, 구동롤러 브라켓(46)과, 구동롤러(44)로 이루어진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기어박스(10)의 좌측부로는 클램핑 유닛 브라켓(40)이 역니은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클램핑 유닛 브라켓(40)의 상부에는 우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경사를 이루면서 롤러연결 브라켓(42)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롤러연결 브라켓(42)에는 상하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실린더(48)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48)의 하단부에는 구동롤러브라켓(46)이 힌지축(50)에 의해 각각 대응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롤러브라켓(46)의 단부에는 구동롤러(4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롤러브라켓(46)은 힌지축(50)에 의해 상하로 회동이 이루어지고, 상기 피딩슬라이드 유닛(116)에 의해 이송되는 파이프 소재를 안내한다.
또한, 상기 피딩슬라이드유닛(116)에 의해 파이프 소재가 이송되면, 상기 파이프 소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이송위치를 잡아주고 고정시키기 위한 스토퍼 유닛(114)이 프레임 어세이(1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유닛(114)은 기어박스(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토퍼 유닛 베이스블록(52)과, 상기 스토퍼 유닛 베이스 블록(52)에 설치되어 실린더브라켓(57)을 밀어주기 위한 제 1스토퍼 실린더(58)와 상기 제 1스토퍼 실린더(58)의 전후부를 고정하는 실린더 전후부 브라켓(54,56)과, 상기 기어박스(10)의 우측 단부에 연장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져 상기 실린더 브라켓(57)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블록(68)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1스토퍼 실린더(58)의 대향하는 타측에는 제 2스토퍼 실린더(62)가 구비된다.
상기 제 2스토퍼 실린더(62) 로드(62a)의 선단에는 스토퍼블럭(64)이 장착되는데, 상기 스토퍼블럭(64)의 단부는 상기 지지블럭(68)의 하측과 경사진 직각방향으로 맞 닿도록 구비되어 파이프의 지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블럭(68)과 스토퍼블럭(64) 상부에 구비된 파이프를 상기 실린더 브라켓(57)이 상부에서 누름으로써, 절단시 진동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기 제 2스토퍼 실린더(62)와 스토퍼블럭(64)이 하나만 구비된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절단되는 파이프의 길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를 구비하는 것은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서 얼마든지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파이프의 절단이 완료되면 상기 제 2스토퍼 실린더(62)의 후진행정으로 상기 상기 지지블럭(68)과 맞 닿아 있던 스토퍼블럭(64)도 분리된다.
이때, 상측에 구비되어 절단이 완료된 파이프는 하측으로 떨어지며 도시한 바와 같은 분리대(70)에 의해 규격별로 분류되며 모아지게 된다.
상기 분리대(7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의 베어링(71)을 기점으로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되어 도시하지 않은 수치제어 입력부(미도시)에 입력된 규격으로 절단된 파이프를 한곳으로 모아서 포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치제어 입력부(미도시)에서 입력된 규격과 다른 규격의 파이프가 배출될 때, 상기 분리판은 타측으로 회동하여 별도로 모아지도록 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분리동작은 상기한 수치제어 입력부에 미리 입력된 데이타에 의해 자동으로 변환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어박스(10)의우측부에는 지지블록(68)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기어박스(10)의 상부에는 스토퍼 유닛 베이스 블록(52)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 유닛 베이스 블록(52)의 상면 좌측부에는 실린더 후부 브라켓(54)이 고정되어 있고, 우측부에는 실린더 전부 브라켓(56)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실린더 전후부 브라켓(54,56)에는 제 1스토퍼 실린더(5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전부 브라켓(56)에는 힌지축(6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60)에는 기역자형상의 실린더 브라켓(57)이 고정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실시는 본 발명의 핵심요소로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파이프 고속 절단기는 수치제어 입력방식을 이용하여 빠르고 정확한 절단이 이루어지며, 절단면이 매끄럽고 고정밀도의 절단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며, 절단길이, 이송속도, 생산수량, 절단방법 등을 사전 입력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이 우수하여 생산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프레임 어세이와;
    상기 프레임 어세이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이프 소재를 이송하기 위한 롤러를 각각 직교하도록 구비한 피딩 슬라이드 유닛과;
    상기 피딩 슬라이드 유닛의 동작에 의해 이송되는 파이프 소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할 수 있도록 정확한 길이로 정지시키는 스토퍼 유닛과;
    상기 스토퍼 유닛에 의해 정지된 파이프 소재를 고정하여 파이프의 고속절단시 흔들리거나 비틀리거나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클램핑 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 슬라이드 유닛은 프레임 어세이의 상부에 설치되는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에 설치되고, 종방향의 기어축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 종동스프로킷을 구비하고, 타단에는 기어를 구비하며, 중단에는 파이프 소재 이송용 롤러를 구비하는 구동롤러유닛과;
    상기 기어박스의 전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유닛의 기어축과 직교하도록 전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롤러유닛의 기어와 직교하면서 치합되어 회전하는 기어를 구비하고, 외주에는 파이프 소재 이송용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롤러유닛과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종동롤러유닛으로 이루어져 파이프 소재를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유닛은 상기 기어박스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토퍼 유닛 베이스 블록과;
    상기 스토퍼 유닛 베이스 블록의 전후부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각각 설치되는 실린더 전후부 브라켓과;
    상기 실린더 전부 브라켓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힌지축과;
    상기 실린더 후부 브라켓에 일단이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힌지축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제 1스토퍼 실린더와;
    상기 힌지축에 설치된 제 1스토퍼 실린더의 반대단에 대향하게 설치되고, 선단의 로드에 스토퍼블럭이 장착되어 전후동작하는 제 2스토퍼 실린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기어박스의 일측 부에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클램핑 유닛 브라켓과;
    상기 클램핑 유닛 브라켓의 상단부에 고정되되 일정각도 우측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된 롤러연결브라켓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하는 다수의 실린더와;
    상기 롤러연결브라켓의 하단부 양방향으로 연장되고, 힌지축에 의해 끝단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실린더가 각각 대응하도록 실린더의 타단이 연결되며, 타끝단에 롤러를 구비한 구동롤러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상기 롤러에 의해 파이프 소재의 이송이 클램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 절단기.
KR2020010032094U 2001-10-20 2001-10-20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절단기 KR200260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094U KR200260161Y1 (ko) 2001-10-20 2001-10-20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094U KR200260161Y1 (ko) 2001-10-20 2001-10-20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절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161Y1 true KR200260161Y1 (ko) 2002-01-10

Family

ID=7311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094U KR200260161Y1 (ko) 2001-10-20 2001-10-20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01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866B1 (ko) 2019-02-03 2019-07-01 유순종 다기능 절단 장치
KR102016316B1 (ko) 2019-03-30 2019-08-30 정민영 다기능 절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866B1 (ko) 2019-02-03 2019-07-01 유순종 다기능 절단 장치
KR102016316B1 (ko) 2019-03-30 2019-08-30 정민영 다기능 절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17500A (zh) 棒料剪切装置及料头料尾自动分选方法
CN2829976Y (zh) 自动金刚石刀头磨弧机
CN201353815Y (zh) 筷子锯平机
CN114131333B (zh) 一种硅钢片自动切片设备
CN109759643B (zh) 一种铸锭在线锯切、翻料以及排料的设备
CN209077932U (zh) 一种快速的立式带锯床
KR200260161Y1 (ko) 롤러를 이용한 소재이송장치가 구비된 고속 파이프절단기
KR200229032Y1 (ko) 고속 파이프 절단기
CN209887072U (zh) 一种管件开料倒角一体机
CN214443578U (zh) 钢管端部坡口机
CN115673845A (zh) 一种轴类零件自动上下料输送线
US6067884A (en) Part cutting machine
KR100771845B1 (ko) 곡면 형성기
CN210996830U (zh) 一种锯料切割装置
CN113059085A (zh) 一种建筑机械加工用钢筋拉直截断一体机
KR200373803Y1 (ko) 판재절단장치
CN216398709U (zh) 钢筋锯切套丝打磨生产线
CN219684112U (zh) 一种剪板机的下料机构
CN218776776U (zh) 一种木材切割用工作台
CN211564522U (zh) 一种棒材自动送料机的自动上料装置
CN213998053U (zh) 一种可自动送料的钢材加工用自动断料机
CN217799666U (zh) 一种异形管件激光切割设备
CN215746524U (zh) 一种传动链条加工用钻床
CN217395088U (zh) 一种自动裁床
CN218192910U (zh) 一种半自动气动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