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81B1 -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581B1
KR102200581B1 KR1020180136557A KR20180136557A KR102200581B1 KR 102200581 B1 KR102200581 B1 KR 102200581B1 KR 1020180136557 A KR1020180136557 A KR 1020180136557A KR 20180136557 A KR20180136557 A KR 20180136557A KR 102200581 B1 KR102200581 B1 KR 102200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weight
unit
cutter
servo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711A (ko
Inventor
윤성조
박지현
최영호
Original Assignee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로봇융합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로봇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13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581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07Control means comprising cameras, vision or image process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0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weighing cut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량 절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대상체(10)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100); 대상체(10)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기입력된 대상체(10)의 대표밀도 및 상기 중량에 기초하여 부피를 연산하는 제어부(300); 이송수단 상에서 이송중인 대상체(10)를 촬영하여 부피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스캐너부(200); 중량, 연산된 부피 및 부피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대상체(10)를 정량체(440)로 나누는 절단위치(430)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 및 이송수단의 이송거리(l) 및 이송속도(v)에 기초하여 절단위치(430)에서 허용되는 최고속도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터구동부(34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및 방법{Cutting device for regular weight of an object using velocity contro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정량 절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등), 수산물(생선, 조개류, 미역 등), 농산물, 임산물 등을 대량으로 가공하여 포장하는 경우, 균일한 무게(이하 "정량"이라 함) 단위로 포장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렇게 포장된 제품은 마트, 재래시장, 홈쇼핑, 인터넷 주문 택배 등을 통해 전국으로 유통된다. 따라서, 하나의 대상체(육류, 수산물, 농산물 등)가 중량이 서로 다르고, 가공에 필요한 정량보다 크다면, 가공과정에서 정량으로 절단할 필요가 생긴다.
더욱이, 커다란 대상체를 작고 균일한 정량으로 나누어서 반복적으로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예 : 생선회),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절단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작업자들이 본인의 경험으로 생선을 절단하거나 표준화된 방식으로 생선을 절단하였다. 그리고 절단된 생선 토막의 무게를 1g 단위로 측정하여 가격을 산정하였다(예 : 생선 반토막 243g, 4,520원). 또한, 반복적인 절단작업(예 : 생선회 절단)은 숙련된 작업자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생선을 정량 단위(예 300g) 단위로 연속하여 절단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예를 들어, 더 크게 절단하는 경우(예 : 310g)에는 수작업으로 정량을 맞출 수 있으나, 더 작게 절단하는 경우(예 : 290g)에는 폐기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해야만 했다. 특히, 절단 작업을 위해 매일 매일 입고되는 생선(예 : 고등어)이 계절(예 : 여름, 겨울)별로 다르고, 원산지(예 : 국내, 수입산)별로 다르며, 양식형태(예 : 자연산, 양식)에 따라 다르고, 상태(예 : 생물, 반건조, 냉동)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대량으로 정량 절단하는 것은 필수적이면서도 기술적으로 요원한 과제였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07-0022579호(2007년 2월 27일 공개)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10-2016-0104469호(2016년 9월 5일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상체를 반복적으로 정량절단할 수 있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상체를 최고 속도로 절단함으로서 이송과 절단 과정중에 발생하는 중량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대상체(10)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100); 대상체(10)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기입력된 대상체(10)의 대표밀도 및 상기 중량에 기초하여 부피를 연산하는 제어부(300); 이송수단 상에서 이송중인 대상체(10)를 촬영하여 부피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스캐너부(200); 중량, 연산된 부피 및 부피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10)를 정량체(440)로 나누는 절단위치(430)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 및 이송수단의 이송거리(l) 및 이송속도(v)에 기초하여 절단위치(430)에서 허용되는 최고속도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커터구동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대상체(10)는 어류, 육류, 농산물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스캐너부(200)는, 대상체(10)에 레이저(215)를 조사하는 레이저부(210); 및 대상체(10)를 촬영하는 카메라부(2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절단위치(430)는 대상체(10)의 이송방향(410)에 대해 수직이다.
또한, 이송수단은, 스캐너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컨베이어(120); 제 1 컨베이어(12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하류에 위치하는 제 2 컨베이어(150);를 포함한다.
또한, 커터구동부(340)는 상기 간격 사이에서 절단이 이루어진다.
또한, 커터구동부(340)는, 서보모터(350); 서보모터(350)에 의해 회전하는 커터(360); 및 이송수단의 이송거리(l) 및 이송속도(v)에 기초하여 서보모터(35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커터(360)는 서보모터(350)의 일측에 고정되고, 그리고 서보모터(350)의 타측에는 회전 균형을 위한 무게추(355)가 더 구성된다.
또한, 제어부(300)는 절단위치(430)를 통과후 감속하도록 서보모터(350)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또 다른 카테고리로써, 복수의 대상체(10)중에서 지정된 대상체가 투입되는 단계(S100); 중량측정부(100)가 대상체(10)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S110); 제어부(300)가 중량 및 DB부(320)중에서 지정된 대상체(10)의 대표밀도를 독출(S115)하여 부피를 연산하는 단계(S120); 카메라부(220)가 대상체(10)를 촬영하여 이미지(400) 및 부피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130); 제어부(300)가 중량, 부피, 부피 프로파일 및 이미지(400)에 기초하여 이미지(400) 상에 정량 절단위치(430)를 결정하는 단계(S140); 및 정량 절단위치(430)에서 커터구동부(340)가 커터(360)를 1회전시켜서 허용되는 최고속도로 절단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대상체(10)내에 절단위치(430)가 복수개인 경우 절단단계(S150)는 각 절단위치(430)마다 실행된다.
또한, 결정단계(S140)는, 이미지(400) 상에서 이송방향(410)에 대한 대상체(10)의 첫 픽셀(420)을 식별하는 단계; 및 중량, 부피 및 부피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첫 픽셀(420)로부터 상기 이송방향(410)을 따라 정량에 대응하는 위치를 절단위치(430)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절단단계(S150)에서, 제어부(300)는 절단위치(430)를 통과후 감속하도록 서보모터(35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를 반복하여 정량으로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체의 가공 품질이 표준화되고, 작은 정량이라도 반복하여 절단할 수 있으므로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상체를 최고 속도로 절단함으로서 이송과 절단 과정중에 발생하는 중량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절단으로 인한 지연이 없어 대량생산에도 효율적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의 반복적인 정량절단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중 커터(360)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블럭도,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을 이용한 정량 절단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부(220)가 촬영한 이미지(400)의 일예이다.
도 6은 컨베이어의 이송거리 vs. 커터(360)의 회전각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실시예의 구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상체를 생선으로 한정하여 예시하고 설명한다, 다만, 이는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에 속하는 대상체의 범위에 육류(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등), 수산물(생선, 미역 등), 농산물, 임산물 등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먼저, 생선을 정량으로 절단하고자 하는 경우, 생선의 밀도 정보가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정확한 밀도, 부피 및 부피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정량 절단위치를 결정하고, 수시로 또는 필요에 따라 밀도를 교정한다. 밀도는 [수학식 1]에 따라 연산된다.
[수학식 1]
밀도 = 중량 / 부피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상체의 반복적인 정량절단을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중 커터(360)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중량측정부(100), 스캐너부(200), 디스플레이부(130), 커터구동부(340), 컨베이어 구동부(140), DB부(320) 및 통신부(320)와 연결된다.
중량측정부(100)는 대상체(10)가 올려졌을 경우 중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중량 데이터는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중량측정부(100)는 제 1 컨베이어(120)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미리 중량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중량측정부(100)는 전자저울 또는 디지털 저울이 선택될 수 있다.
스캐너부(200)는 제 1 컨베이어(120)위에서 이송중인 대상체(10)를 스캔하여 부피를 측정하거나 이미지를 촬영한다. 스캐너부(200)는 3D 스캐너가 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메라부(220)와 레이저부(210)로 구분된다.
레이저부(210)는 컨베이어(120)를 향해 라인 레이저(215)를 조사한다.
카메라(220)는 레이저(215)가 조사되는 대상체(10)를 이미지(스틸 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이다. 카메라(220)는 한대로 구현할 수도 있고, 스테레오 카메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촬영을 위해 카메라(220) 인근에는 별도의 LED 조명(미도시)을 구비한다. 그리고, 카메라(220)의 이미지나 동영상은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가능한 LED 스크린으로서 전체 시스템의 제어동작, 입출력 등을 표시하거나 작업자로부터 메뉴를 선택받는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가능한 LED 스크린을 통해 대상체(10)의 종류(예 : 고등어), 정량(예 : 50g)의 입력이 가능하다.
컨베이어 구동부(140)는 대상체(10)의 이송수단이다. 컨베이어 구동부(140)는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제 1, 2 컨베이어(120, 150)를 일정한 속도로 동작시키고, 이를 카메라부(220)의 데이터와 연동하여 정확한 부피 프로파일의 측정이나 절단위치 결정에 사용한다.
특히, 제 1 컨베이어(120)는 상류에 위치하고, 제 2 컨베이어(150)는 제 1 컨베이어(120)와 연계하여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채 하류에 위치한다. 따라서, 대상체(10)는 제 1 컨베이어(120)에서 제 2 컨베이어(150)로 쉽게 옮겨갈 수 있다. 이러한 제 1, 2 컨베이어(120, 150) 사이의 간격으로 커터(360)가 통과한다. 또한, 제 1 컨베이어(120)는 일정한 이송속도(v)로 움직이고, 레이저부(210)와 커터(360) 사이에서 고정된 이송거리(l)를 갖는다.
커터구동부(340)는 제어부(300)와 연동하며, 제어부(300)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 받고, 커터(360)의 회전각 위치를 제어부(300)로 피드백할 수 있다. 커터구동부(340)는 크게 서보모터(350)와 커터(36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보모터(350)는 디스크(380)의 중앙에 위치하며, 제어명령에 따라 즉각적인 회전과 멈춤이 가능하다. 서보모터(350)는 감속기(미도시)와 엔코더(미도시)가 일체형일 수 있다.
커터(360)는 대상체(10)를 절단하는 것으로 일단은 서보모터(350)와 연결되고, 타단은 원형의 가이드(370) 내에서 회전 자유로운 자유단이다. 무게추(355)는 서보모터(350)상에서 커터(360)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회전 균형을 잡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커터(360)는 수평으로부터의 커터회전각(θ), 커터회전각속도(ω)로 표현될 수 있다.
디스크(380)는 중앙에 서보모터(350)가 설치되고, 원주에 가이드(370)가 설치되며, 일측으로 관통구(375)가 형성되어 대상체(10)가 통과할 수 있다. 가이드(370)는 커터(360)의 자유단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중이거나 절단시 발생하는 커터(360)의 진동을 억제하고 안정적인 회전과 멈춤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의 DB부(320)는 대상체(10)의 종류 및 각 대상체(10)에 대응하는 대표밀도가 연계하여 저장되어 있다. DB부(320)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고, 밀도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DB부(320)는 메모리, 하드디스크, SSD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통신부(330)는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제어부(300)의 제어명령이나 연산결과, 이미지, DB 등을 외부(예: 중앙의 서버장치)로 전송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나 제어명령을 수신한다.
정량 절단 동작
도 4는 도 1의 시스템을 이용한 정량 절단의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부(220)가 촬영한 이미지(400)의 일예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복수의 대상체(10)중에서 지정된 대상체가 투입된다(S100). 즉, 작업자는 투입에 앞서 디스플레이(130)로부터 고등어를 터치하여 선택한 후, 고등어를 투입하게 된다. 제어부(300)는 선택된 고등어(대상체)에 대한 대표밀도를 DB부(320)로부터 독출하게 된다.
준비단계에서는 카메라부(220)의 픽셀 피치에 대응하는 단위체적을 계산한다. 즉, 해당 카메라의 CCD중 한개의 픽셀이 촬영하는 대상체의 정사각형을 포함하는 정육면체를 단위체적으로 정의한다. 이는 카메라부(220)의 해상도(예 : 30 메가 픽셀, 100 메가 픽셀 등)에 따라 달라진다.
그 다음, 중량측정부(100)가 대상체(10)의 중량을 측정한다(S110).
그 다음, 제어부(300)는 중량 및 DB부(320)로부터 독출된 고등어(대상체)의 대표밀도에 기초하여 부피를 연산한다(S120).
그 다음, 카메라부(220)는 대상체(10)를 촬영하여 대상체의 부피 프로파일과 이미지(400)를 생성한다(S130). 실제 부피 곡선(500)은 부드럽게 연속되는 곡선이고, 부피 프로파일(510)은 단위체적이 쌓여 이루어진 디지털화된 직선의 집합이다.
그 다음, 제어부(300)가 중량, 부피, 부피 프로파일 및 이미지에 기초하여 이미지(400) 상에 정량 절단위치를 결정한다(S140).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이미지(400) 상에서 이송방향(410)에 대한 대상체(10)의 첫 픽셀(420)을 식별한다. 이는 제 1 컨베이어(120)의 배경색(예 : 흰색)으로부터 대상체(10)의 이미지를 확인한 후, 이미지(400)의 제일 오른쪽으로부터 첫번째 발견되는 대상체(10)의 픽셀이다. 이로 인해 이미지(400)상에서 첫 픽셀(420)의 좌표를 얻을 수 있다.
그 다음, 중량, 부피, 부피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첫 픽셀(420)로부터 이송방향(410)을 따라 정량(예 : 50 g)에 대응하는 위치를 절단위치(430)로 결정한다. 특히, 반복적인 정량절단이 필요한 경우, 첫번째 절단위치(430)로부터 다시 정량(예 : 50 g)에 대응하는 위치를 절단위치(430)로 결정한다. 대상체(10)가 끝날때까지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절단위치(430)가 결정된다(S140).
그 다음, 결정된 각 정량 절단위치(430)에서 커터구동부(340)가 커터(360)를 1회전 시켜서 대상체(10)를 절단한다(S15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360)는 θ = 0°인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제어부(300)로부터 절단 명령어가 입력되면 커터회전각속도(ω)를 최대로 하여 1회전을 한 후 감속하여 다시 초기 위치에서 대기하게 된다(S160). 이와 같은 과정으로 첫번째 절단위치(430)에 대한 절단과정이 완료된다. 허용되는 최고 절단속도는 설치된 서보모터(350)의 사양에 따라 결정된다.
만약, 반복적인 절단을 위해 절단해야 할 절단위치(430)가 남아 있는 경우 상기 절단단계(S150)가 각 절단위치(430)마다에서 실행된다. 그러면, 각 절단위치(430) 사이의 덩어리는 각각 동일한 중량을 갖는 정량체(400a, 440b. 440c, 440d)가 된다. 이 때, 각 절단위치(430)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르게 된다.
이하에서는 절단을 위한 서보모터(350)의 제어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컨베이어의 이송거리 vs. 커터(360)의 회전각(θ)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베이어(120)가 동작하여 레이저부(210)로부터 대상체(10)를 이송하는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커터(360)는 총4회의 회전을 하게 된다. 즉, 도 6에서 화살표가 표시된 순간이 실제 절단이 이루어지는 순간이며, 화살표 영역에서 그래프가 수직에 가깝게 상승하여 최고속도로 회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고등어를 대상체(10)로 투입한 경우, 수평축의 이송거리 2.5, 4.6, 7.4, 10.4의 위치에서 커터의 절단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각 절단위치(430) 사이의 간격을 서로 다르지만 절단된 덩어리는 각각 동일한 중량을 갖는 정량체(400a, 440b. 440c, 440d)가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정량을 초과하는 고등어(예 500g)에 대해 정확히 50g의 정량을 맞춘 다수의 정량체(440)를 반복적으로 절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 대상체,
100 : 중량측정부,
120 : 제 1 컨베이어,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컨베이어 구동부,
150 : 제 2 컨베이어,
200 : 스캐너부,
210 : 레이저부,
215 : 레이저,
220 : 카메라부,
300 : 제어부,
320 : DB부,
330 : 통신부,
340 : 커터구동부,
350 : 서보모터,
355 : 무게추,
360 : 커터,
370 : 가이드,
375 : 관통구,
380 : 디스크,
400 ; 이미지,
410 : 이송방향,
420 : 첫픽셀,
430 : 절단위치,
440a, 440b, 440c, 440d : 정량체,
l : 이송거리,
v : 이송속도,
θ : 커터회전각,
ω: 커터회전각속도,

Claims (13)

  1. 대상체(10)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측정부(100); 상기 대상체(10)를 이송하는 이송수단; 기입력된 상기 대상체(10)의 대표밀도 및 상기 중량에 기초하여 부피를 연산하는 제어부(300); 상기 이송수단 상에서 이송중인 대상체(10)를 촬영하여 부피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스캐너부(200); 상기 중량, 연산된 상기 부피 및 상기 부피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체(10)를 정량체(440)로 나누는 절단위치(430)를 결정하는 위치결정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거리(l) 및 이송속도(v)에 기초하여 상기 절단위치(430)에서 허용되는 최고속도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속도를 제어하는 커터구동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구동부(340)는, 서보모터(350); 상기 서보모터(350)에 의해 회전하는 커터(360); 및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거리(l) 및 이송속도(v)에 기초하여 상기 서보모터(35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서보모터(350)는 원판형의 디스크(380)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원판형의 디스크(380)는 중앙에 상기 서보모터(350)가 설치되고, 가장자리에는 원주를 따라 원형의 가이드(370)가 설치되며, 일측으로 관통구(375)가 형성되어 상기 대상체(10)가 통과하며,
    상기 커터(360)는 일단이 상기 서보모터(35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원형의 가이드(370)내에서 회전 자유로운 자유단이며,
    상기 서보모터(350)의 타측에는 회전 균형을 위한 무게추(355)가 더 구비되고,
    상기 무게추(355)는 상기 서보모터(350) 상에서 상기 커터(360)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회전균형을 잡으며,
    상기 원형의 가이드(370)는 상기 커터(360)의 자유단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10)는 어류, 육류, 농산물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부(200)는,
    상기 대상체(10)에 레이저(215)를 조사하는 레이저부(210); 및
    상기 대상체(10)를 촬영하는 카메라부(2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위치는 상기 대상체(10)의 이송방향(410)에 대해 수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스캐너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컨베이어(120);
    상기 제 1 컨베이어(120)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하류에 위치하는 제 2 컨베이어(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구동부(340)는 상기 간격 사이에서 절단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절단위치(430)를 통과후 감속하도록 상기 서보모터(35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10. 복수의 대상체(10)중에서 지정된 대상체가 투입되는 단계(S100);
    중량측정부(100)가 대상체(10)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S110);
    제어부(300)가 상기 중량 및 DB부(320)중에서 상기 지정된 대상체(10)의 대표밀도를 독출(S115)하여 부피를 연산하는 단계(S120);
    카메라부(220)가 상기 대상체(10)를 촬영하여 이미지(400) 및 부피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S130);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중량, 부피, 부피 프로파일 및 상기 이미지(400)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400) 상에 정량 절단위치(430)를 결정하는 단계(S140); 및
    상기 정량 절단위치(430)에서 커터구동부(340)가 커터(360)를 1회전 시켜서 허용되는 최고속도로 절단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방법으로서,
    상기 커터구동부(340)는,
    서보모터(350)가 원판형의 디스크(380)의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원판형의 디스크(380)는 중앙에 상기 서보모터(350)가 설치되고, 가장자리에는 원주를 따라 원형의 가이드(370)가 설치되며, 일측으로 관통구(375)가 형성되어 상기 대상체(10)가 통과하며,
    상기 커터(360)는 일단이 상기 서보모터(35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원형의 가이드(370)내에서 회전 자유로운 자유단이며,
    상기 서보모터(350)의 타측에는 회전 균형을 위한 무게추(355)가 더 구비되고,
    상기 무게추(355)는 상기 서보모터(350) 상에서 상기 커터(360)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회전균형을 잡으며,
    상기 원형의 가이드(370)는 상기 커터(360)의 자유단에 인접하도록 설치된 구성을 사용하여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10)내에 상기 절단위치(430)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절단단계(S150)는 각 절단위치(430)마다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단계(S140)는,
    상기 이미지(400) 상에서 이송방향(410)에 대한 상기 대상체(10)의 첫 픽셀(420)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중량, 부피 및 상기 부피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첫 픽셀(420)로부터 상기 이송방향(410)을 따라 상기 정량에 대응하는 위치를 절단위치(430)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단계(S150)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절단위치(430)를 통과후 감속하도록 상기 서보모터(35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방법.
KR1020180136557A 2018-11-08 2018-11-08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및 방법 KR102200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557A KR102200581B1 (ko) 2018-11-08 2018-11-08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557A KR102200581B1 (ko) 2018-11-08 2018-11-08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711A KR20200053711A (ko) 2020-05-19
KR102200581B1 true KR102200581B1 (ko) 2021-01-12

Family

ID=70913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557A KR102200581B1 (ko) 2018-11-08 2018-11-08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338B1 (ko) * 2023-06-19 2024-03-28 주식회사 소오름 육류 유형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육류 절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2126B1 (ko) * 2022-08-10 2023-02-23 (주)하이젠텍 매실 씨 제거 및 과육 분할 기기
KR102527112B1 (ko) * 2022-09-20 2023-05-02 주식회사 니어네트웍스 인공지능 머신 비전에 기반한 재료의 중량별 절단 지점 예측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581A (ja) 2000-10-30 2002-05-08 Nekusuko:Kk 自動定量切断装置
JP5348518B2 (ja) * 2007-02-23 2013-11-20 吉泉産業株式会社 材料のスライス方法及びスライス装置
JP2016002631A (ja) * 2014-06-18 2016-01-12 株式会社イシダ 物品分割前処理方法とその方法を実施するx線検査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使用した定量切り分け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552B1 (ko) 2005-08-22 2007-10-05 이재필 톱니를 이용한 생선절단장치
KR20130107956A (ko) * 2012-03-23 2013-10-02 문주연 정량 절단 기능을 구비한 육절 시스템
KR101667366B1 (ko) 2015-02-26 2016-10-18 주식회사 참코청하 생선 두미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5581A (ja) 2000-10-30 2002-05-08 Nekusuko:Kk 自動定量切断装置
JP5348518B2 (ja) * 2007-02-23 2013-11-20 吉泉産業株式会社 材料のスライス方法及びスライス装置
JP2016002631A (ja) * 2014-06-18 2016-01-12 株式会社イシダ 物品分割前処理方法とその方法を実施するx線検査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使用した定量切り分け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338B1 (ko) * 2023-06-19 2024-03-28 주식회사 소오름 육류 유형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육류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711A (ko)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581B1 (ko) 속도제어를 통한 대상체의 정량절단 장치 및 방법
US9886752B2 (en) Vision-based grading with automatic weight calibration
CN106839975B (zh) 基于深度相机的体积测量方法及其系统
US5054345A (en) Method of obtaining constant weight portions or slices of sliced food products
US200701577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ion cutting of food products or similar items
KR102148940B1 (ko) 대상체의 정량절단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60003612A1 (en) Rapid and accurate three dimensional scanner
US10959378B2 (en) Unloading system for agricultural harvesting machines
CN109564171A (zh) 长形元件组的传递和检查单元
CN102254222A (zh) 棒材进行计数的方法及装置
JP6525512B2 (ja) 物品分割前処理方法とその方法を実施するx線検査装置並びにその装置を使用した定量切り分けシステム
KR102172882B1 (ko) 대상체의 정량절단을 위한 밀도 연산 및 교정 시스템
JP2002125581A (ja) 自動定量切断装置
FR2627423A1 (fr) Systeme de tranchage a masse constante d'un produit
Tonachella et al. An affordable and easy-to-use tool for automatic fish length and weight estimation in mariculture
CA2949022C (en) Optical system for counting objects
JP2005098832A (ja) 被検体検査装置
EP27192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plants
US20230053393A1 (en) Product target quality control system with intelligent sorting
CN212576900U (zh) 基于嵌入式深度学习小麦感染赤霉病病粒率在线检测系统
US10845615B2 (en) Method of generating a three dimensional surface profile of a food object
KR20230009360A (ko) 시야보다 긴 이동하는 물체의 3차원 스캔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NL2025856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three-dimensional geometry of an individual object
WO2023203776A1 (ja) 卵の計測方法
TWI825595B (zh) 養殖區域飼料投放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