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2158B1 -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타원 편광판을 이용하는 화상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타원 편광판을 이용하는 화상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2158B1
KR100762158B1 KR1020060014412A KR20060014412A KR100762158B1 KR 100762158 B1 KR100762158 B1 KR 100762158B1 KR 1020060014412 A KR1020060014412 A KR 1020060014412A KR 20060014412 A KR20060014412 A KR 20060014412A KR 100762158 B1 KR100762158 B1 KR 10076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refringent layer
liquid crystal
film
polarizing plate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4870A (ko
Inventor
이쿠오 가와모토
세이지 우메모토
다카시 가미조우
히데유키 요네자와
가즈야 하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02F1/133638Waveplates, i.e. plates with a retardation value of lambda/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 상에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 상에 편광자를 적층하는 단계; 제 1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 2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제 3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제 1 복굴절층은 투명 보호 필름에 대하여 편광자의 반대측 상에 배열된다.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액정 재료를 배향 처리된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기판 상에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포된 액정 재료를 처리하는 단계; 및 제 1 복굴절층을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 상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타원 편광판, 투명 보호 필름, 편광자, 복굴절층, 화상 표시 장치

Description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타원 편광판을 이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METHOD OF PRODUCING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USING THE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타원 편광판의 개략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타원 편광판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예의 일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예의 다른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예의 다른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예의 다른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예의 다른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의 예의 다른 단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액정 패널의 개략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 타원 편광판 11: 편광자
12: 투명 보호 필름 13: 제 1 복굴절층
14: 제 2 복굴절층 15: 제 3 복굴절층
16: 제 2 투명 보호 필름 20: 액정셀
21, 21': 기판 22: 액정층
30, 30': 위상차판 100: 액정 패널
본 출원은, 2005년 2월 25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2005-5134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타원 편광판, 및 타원 편광판을 이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경사방향에서의 광학 특성과 인접한 필름 (층) 사이의 접착성이 우수한, 광대역 및 넓은 시인각의 타원 편광판을 매우 높은 효율로 제조하는 방법, 그 방법을 통해 획득된 타원 편광판, 및 그 타원 편광판을 이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각 편광 필름과 위상차판을 조합하여 갖는 다양한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및 유기 전계 발광 (EL) 장치와 같은 다양한 화상 표시 장치에 일반적으로 이용되어, 광학 보상을 획득하였다.
일반적으로, 광학 필름의 한 종류인 원형 편광판은 편광 필름과 1/4 파장판 (이하, λ/4 판이라고 함) 을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λ/4 판은 파장이 짧을수록 위상차값이 커지는, 소위 "정 (positive) 의 파장 분산 특성" 을 제공하는 특성을 갖고, λ/4 판은 일반적으로 높은 정의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λ/4 판은 넓은 파장 범위에 걸쳐 바람직한 광학 특성 (예를 들어, λ/4 판의 기능) 을 나타낼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 파장이 길어질수록 위상차값이 커지는 파장 분산 특성, 소위 "역분산 특성" 을 갖는 위상차판, 예를 들어 폴리노르보넨계 필름 또는 변성 폴리카보네이트계 필름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필름은 비용상 문제가 있었다.
오늘날에는, 정의 파장 분산 특성을 갖는 λ/4 판을 파장이 길어질수록 위상차값이 커지는 위상차판 또는 1/2 파장판 (이하, λ/2 판이라고 함) 과 조합하여, λ/4 판의 파장 분산 특성을 보정한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 제3174367호 참조).
편광 필름, λ/4 판, 및 λ/2 판이 상기한 바와 같이 조합된 경우, 각 광학축의 각도, 즉 편광 필름의 흡수축과 각 위상차판의 지상축 (slow axis, 遲相軸) 사이의 각도가 조절되어야 한다. 그러나, 편광 필름 및 각각 연신된 필름으로 형성된 위상차판의 광학축은 일반적으로 연신 방향에 따라 변화한다. 각 필름을 각 광학축의 방향에 따라 잘라내고 적층하여, 흡수축과 지상축이 바람직한 각도가 되도록 필름을 적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 필름의 흡수축은 일반적으로 그의 연신 방향에 평행하고, 위상차판의 지상축도 그의 연신 방향에 평행하다. 따라서, 편광 필름과 위상차판을, 예를 들어 흡수축과 지상축 사이의 각도 45°로 적층하는 경우, 하나의 필름은 필름의 종방향 (연신 방향) 에 대하여 45°의 방향으로 잘라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필름을 잘라내고 접착한 경우, 예를 들어 광학축 사이의 각도는 잘라낸 각 필름에 대하여 변화할 수도 있어, 제품마다 품질이 변하고, 제조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요구된다는 문제점을 유발할 수도 있다. 또한, 필름을 잘라내어 폐기물이 증가하고, 대형 필름을 제조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편광 필름 또는 위상차판을 경사방향으로 연신하여 연신 방향을 조절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195037호). 그러나, 이 방법은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편광 필름, λ/4 판, 및 λ/2 판의 조합을 포함하는 원형 편광판은 다른 문제점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가 일반적으로 편광 필름의 보호층으로서 이용된다. 많은 경우, TAC 필름 고유의 두께방향 위상차로 인해, 경사방향에서 원형 편광 기능이 충분히 얻어질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관점에서 이루어졌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방향에서의 광학 특성과 인접한 필름 (층) 사이의 접착성이 우수한, 광대역 및 넓은 시인각의 타원 편광판을 매우 높은 효율로 제조하는 방법; 이 방법을 통해 획득된 타원 편광판; 및 이 타원 편광판을 이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타원 편광판의 특성에 대해 예의 검토한 결과, λ/2 판 및 λ/4 판 이외에, λ/2 판이 특정 방법에 의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전사된 특정 광학 특성을 갖는 복굴절층을 적층하여 상기한 목적이 달성될 수도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제 1 복굴절층을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형성하는 단계; 편광자를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적층하는 단계;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폴리머 필름을 제 1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적층하는 단계; 및 nz > nx = ny 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 제 3 복굴절층을 제 2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1 복굴절층은 투명 보호 필름 (T) 에 대하여 편광자의 반대측 상에 배열되고,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배향 처리된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제 1 복굴절층을 기판 상에 형성하기 위하여, 액정 재료가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에서 도포된 액정 재료를 처리하는 단계; 및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복굴절층을 투명 보호 필름 (T) 상으로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편광자, 투명 보호 필름 (T),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복굴절층, 및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폴리머 필름은 모두 긴 필름을 포함하고; 편광자, 투명 보호 필름 (T), 및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복굴절층을 편광자, 투명 보호 필름 (T), 제 1 복굴절층, 및 기판의 순서로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연속적으로 함께 접착하고; 기판을 적층체로부터 박리하며; 기판이 박리된 적층체와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폴리머 필름을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연속적으로 함께 접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nz > nx = ny 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 제 3 복굴절층을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형성하는 단계; 편광자를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적층하는 단계; 제 1 복굴절층을 제 3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폴리머 필름을 제 1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 3 복굴절층은 투명 보호 필름 (T) 에 대하여 편광자의 반대측 상에 배열되고,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배향 처리된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제 1 복굴절층을 기판 상에 형성하기 위하여, 액정 재료가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에서 도포된 액정 재료를 처리하는 단계; 및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복굴절층을 제 3 복굴절층의 표면 상으로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편광자, 투명 보호 필름 (T), 제 3 복굴절층,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복굴절층, 및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폴리머 필름은 모두 긴 필름을 포함하고; 편광자, 투명 보호 필름 (T), 제 3 복굴절층, 제 1 복굴절층, 및 기판의 순서로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순서대로 편광자, 투명 보호 필름 (T), 및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복굴절층의 적층체를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연속적으로 함께 접착하며; 기판을 적층체로부터 박리하고; 기판이 박리된 적층체와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폴리머 필름을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연속적으로 함께 접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액정 재료는 하나 이상의 액정 모노머와 액정 폴리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 1 복굴절층은 λ/2 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 2 복굴절층은 λ/4 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기판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폴리머 필름은 연신된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편광자의 흡수축과 제 2 복굴절층의 지상축은 실질적으로 서로 수직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 1 복굴절층의 지상축은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8°내지 +38°및 -8°내지 -38°중 하나의 각도를 규정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투명 보호 필름 (T) 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타원 편광판이 제공된다. 타원 편광판은 상기한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한 타원 편광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타원 편광판은 시인측 상에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λ/2 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제 1 복굴절층의 지상축은 임의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고, 따라서 종방향으로 연신된 긴 편광 필름 (편광자) (즉, 종방향으로 흡수축을 갖는 필름) 이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배향 처리된 긴 기판 상에 형성된 긴 제 1 복굴절층, 긴 투명 보호 필름, 및 긴 편광 필름 (편광자) 을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소위, 롤-투-롤 (roll-to-roll) 에 의해), 연속적으로 함께 접착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종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배향 처리된 긴 기판 상에 형성된 긴 제 1 복굴절층 및 긴 편광 필름 (편광자) 과 긴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적층체를 롤-투-롤에 의해 연속적으로 함께 접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타원 편광판은 매우 높은 제조 효율로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적층하기 위하여 투명 보호 필름 또는 편광자를 그의 종방향 (연신 방향) 에 대하여 경사지게 잘라낼 필요가 없다. 그 결과, 광학축의 각도는 잘라낸 각 필름에 대하여 변화하지 않아, 제품마다 품질이 변하지 않는 타원 편광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필름을 잘라내어 발생하는 폐기물이 없어, 적은 비용으로 타원 편광판을 획득할 수 있고, 대형 편광판의 제조도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복굴절층은 제 1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폴리머 필름을 적층하여 쉽게 형성된다. 제 1 복굴절층 상에 제 2 복굴절층을 획득하기 위하여, 폴리머 필름과 제 1 복굴절층의 장변을 함께 연속적으로 접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타원 편광판은 매우 높은 제조 효율로 획득될 수 있다. 타원 편광판이 소위 롤-투-롤 접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인접층 (필름) 사이의 접착력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nz > nx = ny 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 제 3 복굴절층은 λ/4 판 및 λ/2 판과 조합하여 이용된다. 따라서, 경사방향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갖는, 광대역 및 넓은 시인각의 타원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획득될 수 있다.
A. 타원 편광판
A-1. 타원 편광판의 전체 구조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타원 편광판은 편광자, 보호층, 제 1 복굴절층, 제 2 복굴절층, 및 제 3 복굴절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순서를 층의 적층 순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 편광판 (10) 은 순서대로 편광자 (11), 보호층 (투명 보호 필름) (12), 제 1 복굴절층 (13), 제 2 복굴절층 (14), 및 제 3 복굴절층 (15) 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는 경사방향으로부터 시인되는 각 층의 광학축의 시프트 또는 보호층의 위상차에 의한 상이한 편광 상태를 바람직하게 보상하여, 넓은 시인각에서 편광판의 기능을 보증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복굴절층 (15) 은 보호층 (12) 과 제 1 복굴절층 (13) 사이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보호층의 위상차는 제 3 복굴절층에 의해 상쇄되어, 편광판으로부터 발광된 광의 직선 편광 특성을 회복하고, 넓은 시인각에서 편광판의 기능을 보증한다. 실용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타원 편광판은 보호층 (12) 이 배열되지 않은 편광자의 일측 상에 제 2 보호층 (16) 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 1 복굴절층 (13) 은 소위 λ/2 판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λ/2 판은 특정 진동 방향을 갖는 직선 편광을 그에 수직한 진동 방향을 갖는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거나, 우 (右) 원편광을 좌 (左) 원편광 (또는 좌원편광을 우원편광으로) 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판을 말한다.
제 2 복굴절층 (14) 은 소위 λ/4 판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λ/4 판은 특정 파장의 직선 편광을 원형 편광으로 (또는 원형 편광을 직선 편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판을 말한다.
제 3 복굴절층 (15) 은 nz > nx = ny 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다. 보호층 (12) 의 두께방향 위상차의 절대값 (Rthp) 에 대한 제 3 복굴절층 (15) 의 두께방향 위상차의 절대값 (Rth3) 의 비 (Rth3/Rthp) 는,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4.0,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이다. 보호층 (12) 과 제 3 복굴절층 (15) 의 이러한 두께방향 위상차의 관계는 보호층의 위상차의 바람직한 보상을 허용하여, 경사방향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는 타원 편광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nx 는 최대 면내 굴절률을 나타내는 방향 (즉, 지상축 방향) 에서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y 는 지상축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면내 굴절률을 나타내며, nz 는 두께방향 굴절률을 나타낸다. 또한, 식 "nx = ny" 는 nx 및 ny 가 완전히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nx 및 ny 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 은 nx 및 ny 가 시판되는 타원 편광판의 전체적인 편광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상이한 경우를 포함한다. 두께방 향 위상차 Rth (Rth3, Rhtp, 등) 는 식 Rth = {(nx + ny)/2 - nz}×d (여기서, d (nm) 는 필름 (층) 의 두께를 나타냄) 로부터 측정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타원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의 광학축을 설명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에서, 제 2 보호층 (16) 은 명확성을 위해 생략하였음). 제 1 복굴절층 (13) 은 그의 지상축 (B) 이 편광자 (11) 의 흡수축 (A) 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
Figure 112006010929528-pat00001
) 로 규정되도록 배열된다. 각도 (
Figure 112006010929528-pat00002
) 는, 바람직하게는 +8°내지 +38°또는 -8 °내지 -38°, 보다 바람직하게는 +13°내지 +33°또는 -13 °내지 -33°, 특히 바람직하게는 +19°내지 +29°또는 -19 °내지 -29°, 더욱 바람직하게는, +21°내지 +27°또는 -21 °내지 -27°,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3°내지 +24°또는 -23 °내지 -24°이다. 제 1 복굴절층 및 편광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각도 (
Figure 112006010929528-pat00003
) 로 배열되어, 원형 편광 특성이 우수한 편광판을 제공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복굴절층 (14) 은 그의 지상축 (C) 이 편광자 (11) 의 흡수축 (A) 에 실질적으로 수직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은 90°±2.0°, 바람직하게는 90°±1.0°,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90°±0.5°의 경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의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250㎛,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22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90㎛ 이다.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의 두께 감소에 크게 기여할 수도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을 구성하는 각 층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A-2. 제 1 복굴절층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복굴절층 (13) 은 소위 λ/2 판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제 1 복굴절층이 λ/2 판의 역할을 하여, λ/4 판의 역할을 하는 제 2 복굴절층의 파장 분산 특성 (특히, 위상차가 λ/4 로부터 벗어난 파장 범위) 의 위상차를 적절하게 조절한다. 파장 590nm 에서 제 1 복굴절층의 면내 위상차 (△nd) 는, 바람직하게는 180 내지 3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 내지 280nm,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30 내지 240nm 이다. 면내 위상차 (△nd) 는 식 △nd = (nx - ny) × d 로부터 측정된다. 여기서, nx 는 지상축 방향 굴절률을 나타내고, ny 는 진상축 (進相軸) 방향 (동일면에서 지상축에 수직한 방향) 굴절률을 나타내며, d 는 제 1 복굴절층의 두께를 나타낸다. 제 1 복굴절층 (13) 은 nx > ny = nz 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nz 는 두께방향 굴절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식 "ny = nz" 는 ny 및 nz 가 정확하게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ny 및 nz 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복굴절층의 두께는 가장 적절하게 λ/2 판의 역할을 하도록 설정된다. 다시 말해, 두께는 바람직한 면내 위상차를 제공하도록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 이다.
상기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액정 재료가 바람직하고, 네마틱 (nematic) 상을 액정상으로서 갖는 액정 재료 (네마틱 액정) 가 보다 바람직하다. 액정 재료의 예는 액정 폴리머 및 액정 모노머를 포함한다. 액정 재료의 액정성은 리오트로픽 (lyotropic) 메카니즘 또는 서모트로픽 (thermotropic) 메카니즘을 통해 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액정의 배향 상태는 호모지니어스 (homogeneous) 배향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재료로서 이용된 액정 모노머는, 예를 들어 중합성 모노머 및/또는 가교성 모노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는 액정 모노머의 배향 상태가 액정 모노머를 중합하거나 가교하여 고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액정 모노머의 배향 상태는, 예를 들어 액정 모노머를 배향한 다음, 액정 모노머를 중합하거나 가교하여 고정될 수 있다. 폴리머는 중합을 통해 형성되고, 3차원 네트워크 구조는 가교를 통해 형성된다. 폴리머와 3차원 네트워크 구조는 비액정성이다. 따라서, 형성된 제 1 복굴절층은 액정 화합물에 특정한 온도 변화에 의해 액정상, 유리상, 또는 결정상으로 상전이하지 않는다. 그 결과, 제 1 복굴절층은 안정성이 우수하고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복굴절층이다.
임의의 적절한 액정 모노머를 액정 모노머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2-533742호 (WO00/37585), EP358208 (US5211877), EP66137(US4388453), WO93/22397, EP0261712, DE19504224, DE4408171, GB2280445 등에 설명된 중합성 메소겐 화합물 등이 이용된다. 중합성 메소겐 화합물의 상세한 예는, LC242 (상품명, BASF사 제조); E7 (상품명, Merck&Co 제조); 및 LC-Silicone-CC3767 (상품명, Wacker-Chemie사 제조) 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네마틱 액정 모노머가 액정 모노머로서 바람직하고, 그의 상세한 예는 하기 식 (1) 로 나타낸 모노머를 포함한다. 액정 모노머는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병용될 수도 있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04
상기 식 (1) 에서, A1 및 A2 는 각각 중합성 기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A1 및 A2 중 하나는 수소를 나타낼 수도 있다. 각 X 는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O-, -S-, -C=N-, -O-CO-, -CO-O-, -O-CO-O-, -CO-NR-, -NR-CO-, -NR-, -O-CO-NR-, -NR-CO-O-, -CH2-O-, 또는 -NR-CO-NR- 을 나타낸다. R 은 H 또는 탄소수 1 내지 4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M 은 메소겐기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에서, X 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도 있으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 (1) 로 나타낸 모노머 중, 각 A2 는 A1 에 대하여 오르토 위치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1 및 A2 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식 (2) 로 나타낸 것이 바람직하고, A1 및 A2 는 동일한 기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05
상기 식 (2) 에서, Z 는 가교성 기를 나타내고, X 는 상기 식 (1) 에서 규정한 바와 동일하다. Sp 는 탄소수 1 내지 30 의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기로 구성된 스페이서를 나타낸다. n 은 0 또는 1 을 나타낸다. Sp 내의 탄소쇄는 에테르 기능기 내의 산소, 티오에테르 기능기 내의 황, 비인접 이미노기, 탄소수 1 내지 4 의 알킬이미노기 등에 의해 차단될 수도 있다.
상기 식 (2) 에서, Z 는 하기 식으로 나타낸 기능기 중 임의의 하나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식에서, R 의 예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및 t-부틸기를 포함한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06
상기 식 (2) 에서, Sp 는 하기 식으로 나타낸 구조 단위 중 임의의 하나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식에서, m 은 1 내지 3 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고, p 는 1 내지 12 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07
상기 식 (1) 에서, m 은 하기 식 (3) 으로 나타낸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식 (3) 에서, X 는 상기 식 (1) 에서 규정한 바와 동일하다. Q 는, 예를 들어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렌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Q 는, 예를 들어 탄소수 1 내지 12 의 치환 또는 비치환, 직쇄 또는 분기쇄의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도 있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08
Q 가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는 경우, Q 는 하기 식으로 나타낸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그의 치환 유사체 중 임의의 하나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09
상기 식으로 나타낸 방향족 탄화수소기의 치환 유사체는 각각 방향족 고리당 1 내지 4 의 치환기, 또는 방향족 고리 또는 방향족 기당 1 내지 2 의 치환기를 가질 수도 있다.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치환기의 예는, 탄소수 1 내지 4 의 알킬기; 니트로기; F, Cl, Br, 또는 I 와 같은 할로겐기; 페닐기; 및 탄소수 1 내지 4 의 알콕시기를 포함한다.
액정 모노머의 상세한 예는 하기 식 (4) 내지 (19) 로 나타낸 모노머를 포함한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10
액정 모노머가 액정성을 나타내는 온도 범위는 액정 모노머의 종류에 따라 변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이다.
A-3. 제 2 복굴절층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복굴절층 (14) 은 소위 λ/4 판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λ/4 판의 역할을 하는 제 2 복굴절층의 파장 분산 특성은 λ/2 판의 역할을 하는 제 1 복굴절층 광학 특성에 의해 보정되어, 넓은 파장 범위에 걸쳐 충분한 원형 편광 기능을 나타낸다. 파장 550nm 에서 제 2 복굴절층의 면내 위상차 (△nd) 는,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8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50nm,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35nm 이다. 제 2 복굴절층의 Nz 계수 (= (nx - nz)/(nx - ny)) 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2,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2.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 이다. 또한, 제 2 복굴절층 (14) 은 nx > ny > nz 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복굴절층의 두께는 가장 적절하게 λ/4 판의 역할을 하도록 설정된다. 다시 말해, 두께는 바람직한 면내 위상차를 제공하도록 설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 이다.
제 2 복굴절층은 일반적으로 폴리머 필름을 연신 처리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한 광학 특성 (예를 들어, 굴절률 프로파일, 면내 위상차, 두께방향 위상차, 및 Nz 계수) 을 갖는 제 2 복굴절층은 폴리머의 종류, 연신 조건, 연신 방법 등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임의의 적절한 폴리머를 폴리머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머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폴리머의 상세한 예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노르보넨계 폴리머,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비닐 알코올계 폴리머, 및 폴리술폰계 폴리머와 같은 폴리머를 포함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제 2 복굴절층은 중합성 액정과 키랄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 필름으로 구성된다. 중합성 액정과 키랄제는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287623호에서 설명한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은 임의의 적절한 기판 상에 도포되고, 중합성 액정이 액정 상태를 나타내는 온도로 그 전체가 가열된다. 따라서, 중합성 액정은 키랄제에 의해 비틀린 상태 (보다 상세하게는, 콜레스테릭 (cholesteric) 구조를 형성하여) 로 배향된다. 중합성 액정은 이 상태로 중합되어, 고정된 콜레스테릭 구조를 갖는 필름을 제공한다. 조성물 내 키랄제의 함유량을 조절하여, 콜레스테릭 구조의 비틀린 정도를 변화시킨다. 그 결과, 이와 같이 제조된 제 2 복굴절층의 지상축의 방향이 제어될 수도 있다. 지상축의 방향이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0°(평행) 또는 90°(수직) 이외의 각도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필름은 매우 바람직하다.
A-4. 제 3 복굴절층
상기한 바와 같이, 제 3 복굴절층 (15) 은 nz > nx = ny 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고, 소위 정 (positive) 의 C 플레이트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 게는, 제 3 복굴절층의 두께방향 위상차의 절대값 (Rth3) 은 보호층의 두께방향 위상차의 절대값 (Rthp) 에 대하여 특정 비율을 갖는다. 이러한 광학 특성을 갖는 제 3 복굴절층이 제공되어, 보호층의 두께방향 위상차의 바람직한 보상을 허용한다. 그 결과, 경사방향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갖는 타원 편광판이 획득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 3 복굴절층의 두께방향 위상차의 절대값 (Rth3) 은 보호층의 두께방향 위상차의 절대값 (Rthp) 에 따라 최적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3 복굴절층의 두께방향 위상차의 절대값 (Rth3) 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150nm,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20nm 이다. 이러한 절대값을 나타내는 제 3 복굴절층의 두께는 이용되는 재료 등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3 복굴절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 이다.
제 3 복굴절층은 호메오트로픽 (homeotropic) 배향으로 고정된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필름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호메오트로픽 배향될 수도 있는 액정 재료 (액정 화합물) 는 액정 모노머 또는 액정 폴리머일 수도 있다. 액정 화합물의 일반적인 예는 네마틱 액정 화합물이다. 이러한 액정 화합물의 배향 기술의 개설은, 예를 들어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 "화학 총설 44" (표면의 개질, 일본 화학회 편집, 156 내지 163 페이지) 에서 설명한다.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형성할 수도 있는 액정 재료의 예는, 액정성 프라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모노머 단위 (a); 및 비액정성 프라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모노머 단위 (b) 를 함유하는 측쇄형 액정 폴리머이다. 이러한 측쇄형 액정 폴리머는 수직 배향자 (배향제) 나 수직 배향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실현할 수도 있다. 측쇄형 액정 폴리머는 일반적인 측쇄형 액정 폴리머에 포함되는 액정성 프라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모노머 단위 (a) 이외에, 알킬쇄 등을 갖는 비액정성 프라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모노머 단위 (b) 를 함유한다. 비액정성 프라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모노머 단위 (b) 의 작용으로, 예를 들어 수직 배향자나 수직 배향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열처리를 통해 액정 상태 (예를 들어, 네마틱 액정상) 가 발현되어, 호메오트로픽 배향이 실현된다.
모노머 단위 (a) 는 네마틱 액정성을 나타내는 측쇄를 갖고, 그의 예는 일반식 (a) 로 나타낸 모노머 단위이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11
일반식 (a) 에서, R1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 는 1 내지 6 의 양의 정수를 나타내며; X1 은 -CO2-기 또는 -OCO-기를 나타내고; R2 는 시아노기, 탄소수 1 내지 6 의 알콕시기, 플루오로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6 의 알킬기를 나타내며; b 및 c 는 각각 1 또는 2 의 정수를 나타낸다.
모노머 단위 (b) 는 직선형 측쇄를 갖고, 그의 예는 일반식 (b) 로 나타낸 모노머 단위이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12
일반식 (b) 에서,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R4 는 탄소수 1 내지 22 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22 의 플루오로알킬기, 또는 일반식 (b1) 으로 나타낸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13
일반식 (b1) 에서, d 는 1 내지 6 의 양의 정수를 나타내고, R5 는 탄소수 1 내지 6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모노머 단위 (b) 에 대한 모노머 단위 (a) 의 비율은 모노머 단위의 종류 및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모노머 단위 (b) 의 비율이 크면 액정성 모노도메인 배향 특성을 나타내지 않는 측쇄형 액정 폴리머를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에, (b)/{(a) + (b)} 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8 (몰비),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 (몰비) 이다.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형성할 수도 있는 액정 재료의 다른 예는, 액정성 프라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모노머 단위 (a); 및 지방족 환형 구조를 갖는 액정성 프 라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모노머 단위 (c) 를 함유하는 측쇄형 액정 폴리머이다. 이러한 측쇄형 액정 폴리머는 수직 배향자나 수직 배향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실현할 수도 있다. 측쇄형 액정 폴리머는 일반적인 측쇄형 액정 폴리머에 포함되는 액정성 프라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모노머 단위 (a) 이외에, 지방족 환식 구조를 갖는 액정 프라그먼트 측쇄를 함유하는 모노머 단위 (c) 를 함유한다. 모노머 단위 (c) 의 작용으로, 예를 들어 수직 배향자나 수직 배향 필름을 이용하지 않고 열처리를 통해 액정 상태 (예를 들어, 네마틱 액정상) 가 발현되어, 호메오트로픽 배향이 실현된다.
모노머 단위 (c) 는 네마틱 액정성을 나타내는 측쇄를 갖고, 그 예는 일반식 (c) 로 나타낸 모노머 단위이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14
일반식 (c) 에서, R6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h 는 1 내지 6 의 양의 정수를 나타내며; X2 는 -CO2-기 또는 -OCO-기를 나타내고; e 및 g 는 각각 1 또는 2 의 정수를 나타내며; f 는 0 내지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R7 은 시아노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12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모노머 단위 (c) 에 대한 모노머 단위 (a) 의 비율은 모노머 단위의 종류 및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모노머 유닛 (c) 의 비율이 크면 액정성 모노도메인 배향 특성을 나타내지 않는 측쇄형 액정 폴리머를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에, (c)/{(a) + (c)} 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8 (몰비),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6 (몰비) 이다.
상기한 모노머 단위는 예로서 나타낸 것으로,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형성할 수도 있는 액정 폴리머가 모노머 단위를 함유하는 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한 모노머 단위는 적절하게 조합될 수도 있다.
측쇄형 액정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0 내지 100,0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로 조절된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측쇄형 액정 폴리머는 액정 폴리머로서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2,500 내지 50,0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우수한 성막 특성을 제공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제조된 층의 배향 상태를 균일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예시한 측쇄형 액정 폴리머는 모노머 단위 (a), (b), 또는 (c) 에 따른 메타크릴계 모노머나 아크릴계 모노머의 공중합을 통해 제조될 수도 있다. 모노머 단위 (a), (b), 또는 (c) 에 대응하는 모노머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통해 합성될 수도 있다. 코폴리머의 제조는 아크릴계 모노머 등의 임의의 적절한 중합법 (예를 들어, 라디칼 중합법, 양이온 중합법, 또는 음이온 중합법) 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라디칼 중합법에서, 다양한 중합 개시제가 이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중합 개시제의 예는, 적절한 온도 (높지도 낮지도 않은 온도) 에서 분해 할 수도 있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과 과산화 벤조일을 포함하여, 적절한 메카니즘과 속도로 중합을 개시한다.
호메오트로픽 배향은 측쇄형 액정 폴리머를 함유하는 액정성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액정성 조성물은 측쇄형 액정 폴리머 이외에,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광중합성 기능기 (아크릴로일기나 메타크릴로일기와 같이 불포화 이중 결합을 갖는 기) 를 갖는 액정 화합물이고, 네마틱 액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상세한 예는 모노머 단위 (a) 로서 이용될 수도 있는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획득되는 필름 (제 3 복굴절층) 의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2 개 이상의 광중합성 기능기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예는 하기 식으로 나타낸 가교형 네마틱 액정 모노머이다. 또한,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예는, 하기 식에서 말단 "H2C=CR-CO2-" 를 비닐 에테르기나 에폭시기로 치환하여 획득된 화합물; 및 하기 식에서 "-(CH2)m-" 및/또는 "-(CH2)n-" 을 "-(CH2)3-C*H(CH3)-(CH2)2-" 또는 "-(CH2)2-C*H(CH3)-(CH2)3" 로 치환하여 획득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15
식에서, R8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 및 D 는 각각 독립적으로 1,4-페닐렌기 또는 1,4-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내며; Y 는 각각 독립적으로 -COO-기, -OCO-기, 또는 -O-기를 나타내고; B 는 1,4-페닐렌기, 1,4-시클로헥실렌기, 4,4'-비페닐렌기, 또는 4,4'-비시클로헥실렌기를 나타내며; m 및 n 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6 의 정수를 나타낸다.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열처리를 통해 네마틱 액정상과 같은 액정 상태를 발현하여 측쇄형 액정 폴리머와 함께 호메오트로픽 배향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은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고정하기 위하여 중합되거나 가교되어, 호메오트로픽 배향된 액정 필름의 내구성을 더 개선할 수도 있다.
액정성 조성물에서, 측쇄형 액정 폴리머에 대한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비율은 목적하는 바, 이용되는 측쇄형 액정 폴리머와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 획득되는 호메오트로픽 배향된 액정 필름의 내구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비율은, 측쇄형 액정 폴리머 (중량비) 가, 바람직하게는 0.1:1 내지 30:1,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 내지 20:1,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0:1 이다.
액정성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더 함유할 수도 있다. 임의의 적절한 광중합 개시제를 광중합 개시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그의 상세한 예는 IRGACURE 907, IRGACURE 184, IRGACURE 651, 및 IRGACURE 369 (상품명, Ciba Specialty Chemicals사 제조) 를 포함한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의 종류, 액정성 조성물의 혼합 비율 등의 관점에서, 액정성 조성물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조절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 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30 중량부,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이다.
A-5. 편광자
목적하는 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편광자를 편광자 (11) 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그의 예는, 요오드나 이색성 염료와 같은 이색성 물질을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또는 부분 비누화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계 필름과 같은 친수성 폴리머 필름 상에 흡착하고 필름을 일축 연신하여 제조된 필름; 및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의 탈수 처리물 또는 폴리 염화비닐계 필름의 탈염소 처리물과 같은 폴리엔계 배향 필름을 포함한다. 이들 중, 높은 편광 이색비 때문에, 요오드와 같은 이색성 물질을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상에 흡착하고 필름을 연신하여 제조된 편광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편광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80㎛ 이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 상에 요오드를 흡착하고 필름을 일축 연신하여 제조된 편광자는, 예를 들어 염색하기 위해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요오드 수용액에 침지하고; 필름을 원 길이의 3 내지 7 배로 연신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필요한 경우, 수용액이 붕산, 황화 아연, 염화 아연 등을 함유하거나,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이 요오드화 칼륨 등의 수용액에 침지될 수도 있다. 또한,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은, 필요한 경우, 염색 전에 침지되고 물로 세정될 수도 있다.
폴리비닐 알코올계 필름을 물로 세정하여, 필름 표면 상의 오염 또는 블로킹 방지제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 알코올계필름의 팽윤으로 인한 불균일한 염색과 같은 불균일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필름의 연신은 요오드로 필름을 염색한 후, 필름을 염색하는 동안, 또는 요오드로 필름을 염색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연신은 붕산 또는 요오드화 칼륨 수용액 또는 수용액조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A-6. 보호층
보호층 (12) 과 제 2 보호층 (16) 은 각각 편광자의 보호층으로서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필름으로 형성된다. 필름의 주성분으로서 이용된 재료의 상세한 예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TAC)),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 술폰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노르보넨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아세테이트계 수지와 같은 투명 수지를 포함한다. 그의 또 다른 예는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아크릴 우레탄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열경화성 수지나 UV-경화성 수지를 포함한다. 그의 다른 예는 실록산계 폴리머와 같은 유리질 폴리머를 포함한다. 또한,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1-343529호 (WO 01/37007) 에 설명된 폴리머 필름이 이용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은 측쇄 상에 치환 또는 비치환 이미드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및 측쇄 상에 치환 또는 비치환 페닐기와 니트릴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형성된다. 그의 상세한 예는 이소부텐과 N-메틸말레이미드의 교호 (交互) 코폴리머,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 다. 폴리머 필름은, 예를 들어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압출 성형물일 수도 있다. 이들 중, TAC,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및 유리질 폴리머가 바람직하다. TAC 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재료의 보호층은 제 3 복굴절층과 조합하여 이용되어, 경사방향 원형 편광 특성을 상당히 개선할 수도 있다.
보호층은 투명하고 무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층의 두께방향 위상차는, 바람직하게는 -90nm 내지 +9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80nm 내지 +80nm,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70nm 내지 +70nm 이다.
보호층은 바람직한 두께방향 위상차가 획득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두께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0㎛ 이다.
B.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제 1 복굴절층을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형성하는 단계; 편광자를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적층하는 단계;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폴리머 필름을 제 1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적층하는 단계; 및 nz > nx = ny 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 제 3 복굴절층을 제 2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복굴절층은 투명 보호 필름 (T) 에 대하여 편광자의 반대측 상에 배열된다.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배향 처리된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기판 상에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포된 액정 재 료를 액정 재료가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에서 처리하는 단계; 및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복굴절층을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으로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투명 보호 필름 (T) 의 두께방향 위상차의 절대값 (Rthp) 에 대한 제 3 복굴절층의 두께방향 위상차의 절대값 (Rth3) 의 비율 (Rth3/Rthp) 는 1.1 내지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1a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원 편광판이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은, nz > nx = ny 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 제 3 복굴절층을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형성하는 단계; 편광자를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적층하는 단계; 제 1 복굴절층을 제 3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형성하는 단계; 및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폴리머 필름을 제 1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3 복굴절층은 투명 보호 필름 (T) 에 대하여 편광자의 반대측 상에 배열된다.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배향 처리된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기판 상에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포된 액정 재료를 액정 재료가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에서 처리하는 단계; 및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복굴절층을 제 3 복굴절층의 표면 상으로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투명 보호 필름 (T) 의 두께방향 위상차의 절대값 (Rthp) 에 대한 제 3 복굴절층의 두께방향 위상차의 절대값 (Rth3) 의 비율 (Rth3/Rthp) 는 1.1 내지 4.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따르면, 예를 들어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원 편광판이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들의 순서는 목적하는 타원 편광판의 적층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편광자를 적층하는 단계는 임의의 하나의 복굴절층을 적층하거나 형성하는 단계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각 단계를 설명한다.
B-1.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복굴절층은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상세한 단계는 이하와 같다.
우선,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배향 처리된 기판 상에 도포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제 1 복굴절층을 획득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기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의 상세한 예는 유리 기판, 금속 호일, 플라스틱 시트, 및 프라스틱 필름을 포함한다. 수직 배향 필름이 기판 상에 제공될 필요는 없다. 임의의 적절한 플라스틱 필름을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그의 상세한 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머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필름의 예는,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와 같은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환식 또는 노르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와 같은 올레핀계 폴리머; 염화 비닐계 폴리머; 및 나일 론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머로 형성된 필름을 더 포함한다. 플라스틱 필름의 예는,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피드계 폴리머, 비닐 알코올계 폴리머, 염화 비닐리덴계 폴리머, 비닐 부티랄계 폴리머, 아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및 그의 혼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투명 폴리머로 형성된 필름을 더 포함한다. 이들 중,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로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이다. 상기 범위 내의 두께는, 적층 단계에서 매우 얇은 제 1 복굴절층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기판을 제공할 수 있고, 미끄럼성 및 롤 주행성과 같은 동작 특성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제 1 복굴절층을 획득할 수 있는 한, 임의의 적절한 배향 처리를 기판의 배향 처리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배향 처리의 상세한 예는, 러빙 처리, 경사 성막법, 연신 처리, 광배향 처리, 자계 배향 처리, 및 전계 배향 처리를 포함한다. 러빙 처리가 바람직하다.
배향 처리의 배향 방향은, 편광자가 적층될 때,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이 되도록 설정된다. 배향 방향은 하기한 바와 같이 제 1 복굴절층 (12) 의 지상축의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소정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8°내지 +38°또는 -8°내지 -38°,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33°또는 -13°내지 -33°, 특히 바람직하게는 +19°내지 +29°또는 -19°내지 -29°, 더욱 바람직하게는 +21°내지 +27°또는 -21°내지 -27°,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23°내지 +24°또는 -23°내지 -24°이다.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배향 처리된 기판 상에 도포한다. 그런 다음, 도포액의 액정 재료는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배향된다. 액정 재료는 액정 재료가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에서 처리되어 배향된다. 온도는 이용된 액정 재료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온도에서 처리하여, 액정 재료가 액정 상태가 되고, 액정 재료가 기판 표면의 배향 방향에 따라 배향된다. 따라서, 도포를 통해 형성된 층에 복굴절이 발생하여, 제 1 복굴절층이 형성된다.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도포액은 액정 재료를 적절한 용매에 용해하거나 분산하여 제조된다.
액정 재료를 용해하거나 분산할 수도 있는 임의의 적절한 용매를 용매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용되는 용매의 종류는 액정 재료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도 있다. 용매의 상세한 예는,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사염화탄소, 디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염화 메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클로로벤젠, 및 오르토디클로로벤젠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페놀, p-클로로페놀, o-클로로페놀, m-크레졸, o-크레졸, 및 p-크레졸과 같은 페놀;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메톡시벤젠, 및 1,2-디메톡시벤젠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MEK), 메틸 이소부틸 케톤, 시클로헥사논, 시 클로펜타논, 2-피롤리돈, 및 N-메틸-2-피롤리돈과 같은 케톤계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및 프로필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계 용매; t-부틸 알코올,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2-메틸-2,4-펜탄디올과 같은 알코올계 용매; 디메틸포름아미드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와 같은 아미드계 용매; 아세토니트릴 및 부티로니트릴과 같은 니트릴계 용매; 디에틸 에테르, 디부틸 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디옥산과 같은 에테르계 용매; 및 이황화 탄소, 에틸 셀로솔브, 부틸 셀로솔브, 및 에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이들 중, 톨루엔, 자일렌, 메시틸렌, MEK, 메틸 이소부틸 케톤, 시클로헥사논, 에틸 셀로솔브, 부틸 셀로솔브,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에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가 바람직하다. 용매는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2 종류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액정성 조성물 (도포액) 내 액정 재료의 함유량은 액정 재료의 종류, 목적하는 층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액정 재료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wt%,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wt%,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wt% 이다.
액정성 조성물 (도포액) 은, 필요한 경우, 임의의 적절한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도 있다. 첨가제의 상세한 예는 중합 개시제 및 가교제를 포함한다. 첨가제는 액정 모노머가 액정 재료로서 이용된 경우 이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의 상세한 예는 벤조일퍼옥시드 (BPO) 및 아조비스이소부티로 니트릴 (AIBN) 을 포함한다. 가교제의 상세한 예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및 금속 킬레이트 가교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첨가제는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2 종류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다른 첨가제의 상세한 예는 산화 방지제, 변성제, 계면 활성제, 염료, 안료, 변색 방지제, 및 UV 흡수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첨가제는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2 종류 이상이 병용될 수도 있다. 산화 방지제의 예는 페놀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유기 유황계 화합물, 포스핀계 화합물을 포함한다. 변성제의 예는 글리콜, 실리콘, 및 알코올을 포함한다. 계면 활성제는, 예를 들어 광학 필름 (즉, 형성된 제 1 복굴절층) 의 표면을 평탄화하는데 이용된다. 그의 상세한 예는 실리콘계 계면 활성제, 아크릴계 계면 활성제, 및 불소계 계면 활성제를 포함한다.
도포액의 도포량은 도포액의 농도, 목적하는 층의 두께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도포액 내 액정 재료의 농도가 20wt% 인 경우, 도포량은 기판 100cm2 당,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0.17ml,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15ml,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08 내지 0.12ml 이다.
임의의 적절한 도포법이 이용될 수도 있고, 그의 상세한 예는 롤 코팅, 스핀 코팅, 와이어 바 코팅, 딥 코팅, 압출 코팅, 커튼 코팅, 및 스프레이 코팅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액정 재료를 기판 표면의 배향 방향에 따라 배향한다. 액정 재료가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에서 처리하여 액정 재료 를 배향한다. 온도는 이용된 액정 재료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이러한 온도에서 처리하여 액정 재료는 액정 상태가 되고, 액정 재료는 투명 보호 필름의 표면의 배향 방향에 따라 배향된다. 따라서, 도포하여 형성된 층에서 복굴절이 발생하여,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한다.
처리 온도는 액정 재료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처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0℃ 이다. 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30 초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분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분 이상,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4 분 이상이다. 30 초 미만의 처리 시간은 액정 재료의 불충분한 액정 상태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0 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분 이하,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7 분 이하이다. 10 분을 초과하는 처리 시간은 첨가제의 승화를 유발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액정 모노머가 액정 재료로서 이용된 경우, 도포하여 형성된 층은 중합 처리 또는 가교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처리로 액정 모노머가 중합되고, 폴리머 분자의 반복 단위로서 고정된다. 가교 처리로 액정 모노머가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네트워크 구조의 일부로서 고정된다. 그 결과, 액정 재료의 배향 상태가 고정된다. 액정 모노머의 중합 또는 가교를 통해 형성된 폴리머 또는 3차원 구조는 "비액정성" 이다. 따라서, 형성된 제 1 복굴절층은 액정 분자에 특정한 온도 변화에 의해 액정상, 유리상, 또는 결정상으로 상전이하지 않는다.
중합 처리 또는 가교 처리의 상세한 수순은 이용되는 중합 개시제 또는 가교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광중합 개시제 또는 광가교제가 이용되는 경우, 광조사가 수행될 수도 있다. UV 중합 개시제 또는 UV 가교제가 이용되는 경우, UV 조사가 수행될 수도 있다. 광 또는 UV 광의 조사 시간, 조사 강도, 총 조사량 등은 액정 재료의 종류, 기판의 종류, 배향 처리의 종류, 제 1 복굴절층의 바람직한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복굴절층은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으로 전사된다. 제 1 복굴절층을 전사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판에 의해 지지된 제 1 복굴절층과 투명 보호 필름 (T) 은 점착제를 통해 함께 접착된다. 전사하는 방법은 인접한 필름 (층) 사이에 우수한 점착력을 갖는 타원 편광판을 매우 높은 효율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의 상세한 예는 경화형 점착제를 포함한다. 경화형 점착제의 상세한 예는,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와 같은 광경화성 점착제, 습기 경화성 점착제, 또는 열경화성 점착제를 포함한다. 열경화성 점착제의 상세한 예는 에폭시 수지 점착제,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점착제, 또는 폴리이미드 수지 점착제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점착제를 포함한다. 습기 경화성 점착제의 상세한 예는 습기 경화성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점착제를 포함한다. 습기 경화성 점착제 (특히, 습기 경화성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점착제) 가 바람직하다. 습기 경화성 점착제는 공기중에서 수분, 접착체 표면 상에 흡수된 물, 히드록실기나 카르복실기와 같은 활성 수소기와 반응하여 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습기 경화성 점착제는 코팅 후 아무런 처리도 하지 않고 방치해야만 경화되어, 우수한 조작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화하는데 가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1 복굴절층과 투명 보호 필름 (T) 은 서로 접착할 때 가열되지 않는다. 그 결과, 열 수축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 1 복굴절층과 투명 보호 필름 (T) 이 매우 얇은 경우에도, 적층시 크랙과 같은 문제가 상당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점착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수지 점착제와 폴리우레탄 수지 점착제를 포함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다.
경화성 점착제로서, 예를 들어 시판되는 점착제가 이용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경화성 수지 점착액 (또는 분산액) 이 임의의 상기 경화성 수지를 용매로 용해하거나 분산하여 제조될 수 있다. 경화성 수지 점착액 (분산액) 이 제조된 경우, 경화성 수지의 고체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wt%,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5wt%,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5wt%,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wt% 이다. 경화성 수지의 종류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용매를 용매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용매의 상세한 예는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톨루엔, 및 자일렌을 포함한다. 용매는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병용될 수도 있다.
점착제의 도포량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포량은 제 1 복굴절층 또는 투명 보호 필름 1cm2 당,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3ml,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ml,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ml 이다. 도포 후, 점착제 내 용매는, 필요한 경우, 공기 건조 또는 가열 공기 건조에 의해 증발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된 점착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이다. 점착층의 압입 경도 (Microhardness) 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5GPa, 보다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GPa,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4GPa 이다. 압입 경도가 비커스 경도 (Vickers hardness) 와 서로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압입 경도는 비커스 경도로 변환될 수 있다. 압입 경도는 박막 경도계 (예를 들어, 상품명: MH4000 또는 MHA-400, NEC Corporation 제조) 를 이용하여 압입 깊이 및 압입 로드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판을 제 1 복굴절층으로부터 박리한다. 따라서, 제 1 복굴절층과 투명 보호 필름의 적층체가 완성된다.
B-2. 편광자를 적층하는 단계
편광자는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적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편광자는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서, 적절한 시기 및 적절한 지점에 적층된다. 예를 들어, 편광자는 투명 보호 필름 (T) 상에 미리 적층될 수도 있고, 제 1 복굴절층이 형성된 후에 적층될 수도 있으며, 제 2 복굴절층이 형성된 후에 적층될 수도 있고, 제 3 복굴절층이 형성된 후에 적층될 수도 있다.
임의의 적절한 적층법 (예를 들어, 접착법) 을 투명 보호 필름 (T) 과 편광자를 적층하는 방법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 또는 감압 점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점착제 또는 감압 점착제의 종류 는 접착체 (즉, 투명 보호 필름과 편광자) 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도 있다. 점착제의 상세한 예는 아크릴계, 비닐 알코올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및 폴리에테르계 폴리머 점착제; 이소시아네이트계 점착제; 및 고무계 점착제를 포함한다. 감압 점착제의 상세한 예는 아크릴계, 비닐 알코올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에테르계, 이소시아네이트계, 및 고무계 감압 점착제를 포함한다.
점착제 또는 감압 점착제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nm,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80nm,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nm 이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제 1 복굴절층의 지상축은 기판의 바람직한 배향 처리 방향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종방향으로 연신된 긴 편광 필름 (편광자) (즉, 종방향으로 흡수축을 갖는 필름) 이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로 배향 처리된 긴 제 1 복굴절층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복굴절층), 긴 투명 보호 필름 (T), 및 긴 편광 필름 (편광자) 를 각각의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연속적으로 함께 접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타원 편광판을 매우 높은 제조 효율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적층하기 위하여 투명 보호 필름을 종방향 (연신 방향) 에 대하여 경사지게 잘라내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광학축의 각도는 잘라낸 각 필름에 대하여 변화하지 않아, 제품마다 품질이 변하지 않는 타원 편광판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필름을 잘라내어 발생하는 폐기물이 없고, 적은 비용으로 타원 편광판을 획 득할 수 있으며, 대형 편광판의 제조가 용이하다. 편광자의 흡수축의 방향은 긴 필름의 종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B-3.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또한, 제 2 복굴절층은 제 1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제 2 복굴절층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머 필름을 제 1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적층하여 형성된다. 폴리머 필름은 연신된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점착제 또는 감압 점착제 (예를 들어, 상기한 점착제 또는 감압 점착제) 를 적층하는데 이용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중합성 액정과 키랄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임의의 적절한 기판 상에 도포하고, 그 전체를 중합성 액정이 액정 상태를 나타내는 온도로 가열한다. 따라서, 중합성 액정은 키랄제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는, 콜레스테릭 구조를 형성하여) 비틀린 상태로 배향된다. 중합성 액정은 이 상태로 중합되어, 고정된 콜레스테릭 구조를 갖는 필름을 제공한다. 필름은 기판으로부터 제 1 복굴절층의 표면 상으로 전사되어, 제 2 복굴절층 (13) 을 형성한다.
B-4. 제 3 복굴절층의 형성 단계
또한, 제 3 복굴절층은 제 2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제 3 복굴절층은 A-4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메오트로픽 배향으로 고정된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필름을 제 2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적층하여 형성된다. 호메오트로픽 배향으로 고정된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필름은, A-4 에서 설명한 바 와 같이, 액정 재료 (액정 모노머 또는 액정 폴리머) 와 액정성 조성물을 기판 상에 도포하고; 각각 액정상을 나타내는 액정 재료와 액정성 조성물을 호메오트로픽 배향하며;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유지하면서 액정 재료와 액정성 조성물을 고정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구체적인 필름 제조 절차를 설명한다.
임의의 적절한 기판을 기판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그의 상세한 예는 유리 기판, 금속 호일, 플라스틱 시트, 및 플라스틱 필름을 포함한다. 기판은 일반적으로 약 10 내지 1,000㎛ 의 두께를 갖는다. 수직 배향 필름이 기판 상에 제공되지 않아도 된다.
액정 재료를 배향하는 온도에서 필름이 변하지 않는 한, 임의의 적절한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의 상세한 예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머; 디아세틸셀룰로오스 및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폴리머;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머;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머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한다. 플라스틱 필름의 예는, 폴리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코폴리머와 같은 스티렌계 폴리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환형 또는 노르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및 에틸렌/프로필렌 코폴리머와 같은 올레핀계 폴리머; 염화 비닐계 폴리머; 및 나일론 및 방향족 폴리아미드와 같은 아미드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투명 폴리머로 형성된 필름을 더 포함한다. 플라스틱 필름의 예는, 이미드계 폴리머, 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폴리머, 폴리페닐렌술피드계 폴리머, 비닐 알코올계 폴리머, 염화 비닐리 덴계 폴리머, 비닐 부티랄계 폴리머, 아릴레이트계 폴리머, 폴리옥시메틸렌계 폴리머, 에폭시계 폴리머 및 그의 혼합 생성물을 포함하는 투명 폴리머로 형성된 필름을 더 포함한다. 이들 중, 수소 결합성이 높고 광학 필름으로서 이용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폴리카보네이트, 노르보넨계 폴리올레핀 등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호일의 예는 알루미늄 호일을 포함한다.
기판은 기판측으로부터 정해진 순서로 임의의 적절한 바인더층 및 앵커 코트층을 구비할 수도 있다. 바인더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상세한 예는 커플링제 (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제, 티타늄 커플링제, 또는 지르코늄 커플링제) 와 유기 프라이머를 포함한다. 앵커 코트층을 형성하는 재료의 예는 금속 알콕시드를 포함한다. 바인더층 및 앵커 코트층은 임의의 적절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액정 재료 (액정 모노머 또는 액정 폴리머) 또는 액정성 조성물을 기판 상에 도포하는 방법의 예는, 액정 재료 또는 액정성 조성물을 용매에 용해하여 제조된 용액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용액 도포법; 및 액정 재료 또는 액정성 조성물을 용융하여 제조된 용융물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용융 도포법을 포함한다. 이들 중, 호메오트로픽 배향이 정교하고 용이하게 실현될 수도 있기 때문에, 용액 도포법이 바람직하다.
액정 재료 또는 액정성 조성물을 용해할 수 있는 임의의 적절한 용매를 도포액용 용액을 제조하는데 이용된 용매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용매의 상세한 예 는,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테트라클로로에탄, 트리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틸렌, 및 클로로벤젠과 같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페놀 및 p-클로로페놀과 같은 페놀; 벤젠, 톨루엔, 자일렌, 메톡시벤젠, 및 1,2-디메톡시벤젠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및 그 밖의 아세톤, 에틸렌 아세테이트, 터트-부틸 알코올,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에틸 셀로솔브, 부틸 셀로솔브, 2-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아세토니트릴, 부티로니트릴, 이황화 탄소, 및 시클로헥사논을 포함한다. 용액의 농도는 이용되는 액정 재료 등의 종류 (용해성), 목적하는 두께 등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용액의 농도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0wt%, 및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0wt% 이다.
용액을 기판 (앵커 코트층) 상에 도포하는 방법의 예는 롤 코팅, 그라비어 코팅, 스핀 코팅, 및 바 코팅을 포함한다. 이 중, 넓은 면적에 걸쳐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하여, 그라비어 코팅 및 바 코팅이 바람직하다. 용액을 도포한 후, 용매를 제거하여, 액정 재료층 또는 액정성 조성물층을 기판 상에 형성한다. 용매를 제거하는 조건은, 용매가 실질적으로 제거되고 액정 재료층 또는 액정성 조성물층이 기판으로부터 유체화되거나 흘러내리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용매는 실온에서의 건조, 건조로 (爐) 에서의 건조, 핫플레이트에서의 가열 등에 의해 제거된다.
다음으로, 기판 상에 형성된 액정 재료층 또는 액정성 조성물층은 액정 상태 로 변환되어, 호메오트로픽 배향된다. 예를 들어, 액정 재료 또는 액정성 조성물이 액정 상태를 나타내도록 열처리하여, 액정 재료층 또는 액정성 조성물층이 액정 상태에서 호메오트로픽 배향된다. 열처리는 상기 건조법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열처리 온도는 이용되는 액정 재료 또는 액정성 조성물의 종류 및 기판의 종류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열처리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3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200℃,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50℃ 이다. 열처리 시간도 이용되는 액정 재료 또는 액정성 조성물의 종류 및 기판의 종류에 따라 변화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는, 열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는 10 초 내지 2 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초 내지 30 분,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초 내지 10 분이다. 열처리 시간이 10 초 미만이면, 호메오트로픽 배향이 충분히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도 있다. 열처리 시간이 2 시간을 초과하면, 호메오트로픽 배향의 형성을 더 억제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열처리 완료 후, 냉각 조작이 수행된다. 냉각 조작은 호메오트로픽 배향된 액정 필름을 열처리 조작에서 가열된 대기로부터 실온으로 열처리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냉각 조작은 공냉 및 수냉과 같은 강제 냉각을 포함할 수도 있다. 호메오트로픽 배향된 액정 필름은 호메오트로픽 배향을 고정하기 위하여, 액정 재료의 유리 전이 온도와 동일하거나 더 낮은 온도로 냉각된다.
액정성 조성물이 이용된 경우,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호메오트로픽 배향이 고정된 액정 필름은 광중합성 액정 화합물을 중합하거나 가교하는 광조사나 UV 조사를 행하여, 필름의 내구성을 더 개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UV 조사의 조건은 중합 반응 또는 가교 반응을 충분히 촉진하는 불활성 가스 분위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휘도 80 내지 160mW/cm2 의 고압 수은 UV 램프가 UV 조사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또한, 금속 할라이드 UV 램프 및 백열광 램프와 같은 다른 램프가 이용될 수도 있다. UV 조사하는 동안, 온도는 액정층의 표면 온도가 액정층이 액정 상태를 나타내는 온도 범위 내로 유지되도록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의 예는, 콜드 미러 (cold mirror); 수냉과 같은 냉각 처리; 및 선속도 증가를 포함한다.
이런 식으로, 액정 재료 또는 액정성 조성물의 박막이 형성되고, 그의 호메오트로픽 배향은 유지하면서 고정되어, 호메오트로픽 배향된 액정 필름이 획득된다. 필름 (결국, 제 3 복굴절층) 은 점착제 또는 감압 점착제를 통해 제 2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적층되어,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이 획득된다.
B-5. 제 1 복굴절층이 보호층 (투명 보호 필름) 의 표면 이외의 표면 상에 형성된 경우
예를 들어, 도 1b 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복굴절층은 보호층 (투명 보호층) 이외의 표면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도 1b 에서, 제 1 복굴절층은 제 3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형성됨).
B-6. 상세한 제조 수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상세한 수순의 예를 도 3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 에서, 도면 부호 111, 111', 112,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8', 119, 및 119' 는 각각 필름 및/또는 각 층을 형성하는 적층체를 롤링 (rolling) 하는 롤을 나타낸다.
우선, 긴 폴리머 필름을 편광자용 원료로서 제조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염색, 연신 등을 행한다. 긴 폴리머 필름을 종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신한다. 이런 식으로, 도 3 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방향 (연신 방향: 화살표 A 의 방향) 으로 흡수축을 갖는 긴 편광자 (11) 가 획득된다.
한편, 도 4a 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기판 (17) 이 제조되고, 필름의 표면은 러빙 롤 (120) 을 이용하여 러빙 처리된다. 이 때, 러빙 방향은 투명 보호 필름 (12) 의 종방향에 대하여 +8°내지 +38°또는 -8°내지 -38°와 같이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이다. 다음으로, 도 4b 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복굴절층 (13) 은 상기한 바와 같이 러빙 처리된 기판 (17) 상에 형성된다. 제 1 복굴절층 (13) 은 러빙 방향을 따라 배향된 액정 재료를 갖고, 그의 지상축 방향은 기판 (17) 의 러빙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 (화살표 B) 이다.
다음으로, 도 5a 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자 (11),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및 제 1 복굴절층 (13) 과 기판 (17) 의 적층체 (121) 가 화살표 방향으로 송출되고,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점착제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함께 접착된다. 도 5a 에서, 도면 부호 (122) 는 필름 (도 6 내 지 도 8 에 동일하게 적용) 을 함께 접착하는 가이드 롤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적층체 (123') 를 획득하기 위하여,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이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에 대하여 편광자 (11) 의 반대측 상에 접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 (123)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편광자 (11),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및 제 1 복굴절층 (13) 의 적층체) 를 획득하기 위하여, 기판 (17) 을 적층체 (123')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편광자 (11),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제 1 복굴절층 (13), 및 기판 (17) 의 적층체) 로부터 박리한다.
도 6 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제 2 복굴절층 (14) 이 제조되고, 긴 제 2 복굴절층 (14) 및 적층체 (123)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편광자 (11),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및 제 1 복굴절층 (13) 의 적층체) 가 화살표 방향으로 송출되며,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점착제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함께 접착된다. 제 2 복굴절층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연신된 필름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의 지상축은 연신법 (연신 방향 등) 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제 1 복굴절층의 지상축 방향은 상기한 바와 같이 투명 보호 필름의 배향 처리를 통해 자유롭게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종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횡방향 연신된, 일반적인 연신된 폴리머 필름을 제 2 복굴절층으로서 이용하여,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7a 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 (125) (제 3 복굴절층 (15) 을 기판 (26) 상에 도포하여 형성된 적층체) 가 제조된다. 적층체 (125) 및 적층체 (124)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편광자 (11),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제 1 복굴절층 (13), 및 제 2 복굴절층 (14) 의 적층체) 는 화살표 방향으로 송출되고,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점착제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함께 접착된다. 마지막으로, 도 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26) 을 접착된 적층체로부터 박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 (10) 이 획득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의 상세한 수순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3 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편광자 (11) 가 획득된다. 또한, 도 4a 및 도 4b 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복굴절층 (13) 및 기판 (17) 의 적층체 (121) 가 획득된다.
다음으로, 도 8a 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자 (11),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및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이 화살표 방향으로 송출되고,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점착제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함께 접착된다. 따라서,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편광자 (11), 및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의 적층체 (126) 가 획득된다.
다음으로, 도 8b 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 (126)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편광자 (11), 및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의 적층체) 와 적층체 (121) (제 1 복굴절층 (13) 및 기판 (17) 의 적층체) 가 화살표 방향으로 송출되고,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점착제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함께 접착된다. 따라서,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편광자 (11),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제 1 복굴절층 (13) 및 기판 (17) 의 적층체 (123') 가 획득된다.
다음으로,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 (123)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편광자 (11),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및 제 1 복굴절층 (13) 의 적층체) 를 획득하기 위하여, 기판 (17) 을 적층체 (123') 로부터 박리한다.
또한, 도 6 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제 2 복굴절층 (14) 이 제조되고, 긴 제 2 복굴절층 (14) 및 적층체 (123) 가 화살표 방향으로 송출되며,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점착제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함께 접착된다.
다음으로, 도 7a 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 (125) (제 3 복굴절층 (15) 을 기판 (26) 상에 도포하여 형성된 적층체) 가 제조된다. 적층체 (125) 및 적층체 (124)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편광자 (11),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제 1 복굴절층 (13), 및 제 2 복굴절층 (14) 의 적층체) 가 화살표 방향으로 송출되고,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점착제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함께 접착된다. 마지막으로, 도 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 (26) 을 접착된 적층체로부터 박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 (10) 이 획득된다.
B-7. 타원 편광판의 다른 구성 요소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은 다른 광학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목적하는 바 또는 화상 표시 장치의 종류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광학층을 다른 광학층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다른 광학층의 상세한 예는 복굴절층 (위상차 필름), 액정 필름, 광 산란 필름, 및 회절 필름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은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을 형성하지 않고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을 편광자 (11) 의 표면 상에 포함할 수도 있다. 임의의 적절한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을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6 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름은 제 2 보호층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및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2) 은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제 2 투명 보호 필름 (보호층) (16) 은, 필요한 경우, 하드 코트 처리, 반사 방지 처리, 스티킹 방지 처리, 안티글레어 처리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은 적어도 일측 상에 최외각층으로서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최외각층으로서 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은 타원 편광판과 다른 부재 (예를 들어, 액정셀) 와의 적층을 용이하게 하여, 타원 편광판이 다른 부재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임의의 적절한 재료를 점착층의 재료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재료의 상세한 예는, B-2 에서 설명한 바를 포함한다. 흡습성으로 인한 발포와 박리, 열 팽창 차이에 의한 광학 특성의 저하 및 액정셀의 비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한 관점에서, 내습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용적으로, 점착층의 표면은 타원 편광판이 실제로 이용되기 전까지 적절한 세퍼레이터로 커버되어, 오염을 방지한다. 세퍼레이터는, 예를 들어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또는 황화 몰리브데늄 박리제를 이용하여 임의의 적절한 필름 상에 박리 코팅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의 각 층은, 살리실산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또는 니켈 착염계 화합물과 같은 UV 흡수제를 이용한 처리 등을 통해 UV 흡수 능력을 구비할 수도 있다.
C. 타원 편광판의 이용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은 다양한 화상 표시 장치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 및 자발광형 표시 장치) 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타원 편광판이 이용될 수도 있는 화상 표시 장치의 상세한 예는, 액정 표시 장치, EL 표시 장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 및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FED)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은, 예를 들어 시인각 보상에 유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된다.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은 원형 편광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고, 호모지니어스 배향 TN 액정 표시 장치, IPS 액정 표시 장치, 및 VA 액정 표시 장치에 특히 유용하다. EL 표시 장치에 이용된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은, 예를 들어 전극 반사를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D. 화상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를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의 예로서 설명한다. 여기서,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된 액정 패널을 설명한다. 목적하는 바에 따라, 임 의의 적절한 구성을 액정 패널을 포함하지 않는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에 이용할 수도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액정 패널의 개략 단면도이다. 액정 패널 (100) 은 액정셀 (20), 액정셀 (20) 의 양측 상에 배열된 위상차판 (30 및 30'), 및 각 위상차판의 외측 상에 배열된 편광판 (10 및 10') 을 포함한다. 액정셀의 배향 모드와 목적하는 바에 따라, 임의의 적절한 위상차판을 위상차판 (30 및 30') 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액정셀의 배향 모드와 목적하는 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위상차판 (30 및 30') 이 생략될 수도 있다. 편광판 (10) 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을 이용한다. 편광판 (타원 편광판) (10) 은 복굴절층 (13, 14, 및 15) 이 편광자 (11) 와 액정셀 (2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열된다. 편광판 (10') 은 임의의 적절한 편광판을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편광판 (10 및 10') 은 각 편광자의 흡수축이 서로 수직하도록 배열된다.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원 편광판 (10) 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 (액정 패널) 의 시인측 (상부측) 상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셀 (20) 은 한 쌍의 기판 (일반적으로, 유리 기판) (21 및 21'); 및 기판 사이에 배열된 표시 매체로서 액정층 (22) 을 포함한다. 하나의 기판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 (21') 은 액정의 전기 광학 특성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 (일반적으로, TFT); 및 게이트 신호를 스위칭 소자에 제공하는 주사선 및 소스 신호를 스위칭 소자에 제공하는 신호선을 구비한다 (소자와 선은 미도시). 다른 기판 (컬러 필터 기판) (21) 은 컬러 필터 (미도시) 를 구비한다. 컬러 필터는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 (21') 에 제공될 수도 있다. 기판 (21 및 21') 사이의 스페이스 (셀 갭) 는 스페이서 (미도시) 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로 형성된 배향층 (미도시) 은 액정층 (22) 과 접촉하는 각 기판 (21 및 21') 의 일측 상에 제공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특성의 측정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1) 위상차의 측정
샘플 필름의 굴절률 nx, ny, 및 nz 는 자동 복굴절 측정 장치 (Automatic birefringence analyzer KOBRA-31PR, Oji Scientific Instruments사 제조) 로 측정되었고, 면내 위상차 (△nd) 및 두께방향 위상차 (Rth) 는 계산되었다. 측정 온도는 23℃ 였고, 측정 파장은 590nm 였다.
(2) 두께의 측정
제 1 복굴절층의 두께는 MCPD-2000 (Otsuka Electronics사 제조) 를 이용한 간섭 두께 측정법을 통해 측정되었다. 그 밖의 다양한 필름의 두께는 다이얼 게이지로 측정되었다.
(3) 투과율의 측정
실시예 1 에서 획득된 타원 편광판과 동일한 타원 편광판을 서로 접착하였다. 타원 편광판 A 시리즈를 각각의 제 3 복굴절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접착하였다. 타원 편광판 B 시리즈를 각각의 제 2 복굴절층이 서로 대향하도록 접착하였다. 타원 편광판을 함께 접착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을 각각의 제 2 복 굴절층의 지상축이 90°가 되도록 (각각의 편광자의 흡수축이 90°가 되도록) 배열하였다. 각각의 접착된 샘플의 투과율은 "DOT-3" (상품명, 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을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타원 편광판의 적층 구조를 이하에 설명한다.
타원 편광판 A01 내지 A18: 편광자 / 보호층 / 제 1 복굴절층 / 제 2 복굴절층 / 제 3 복굴절층
타원 편광판 B01 내지 B18: 편광자 / 보호층 / 제 3 복굴절층 / 제 1 복굴절층 / 제 2 복굴절층
(4) 콘트라스트비의 측정
동일한 타원 편광판을 덧붙이고, 백라이트로 조사하였다. 백색 화상 (편광자의 흡수축이 서로 평행) 및 흑색 화상 (편광자의 흡수축이 서로 수직) 이 표시되었고, "EZ Contrast 160D" (상품명, ELDIM사 제조) 를 이용하여, 시인측 상에서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45°-135°의 방향으로 법선에 대하여 -60°내지 60°로부터 스캔되었다. 경사방향 콘트라스트비 "YW/YB" 는 백색 화상의 Y 값 (YW) 및 흑색 화상의 Y 값 (YB) 으로부터 계산되었다.
[실시예 1]
I. 도 1a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원 편광판의 제조
I-a. 기판의 배향 처리 (배향 기판의 제조)
기판을 배향 처리하여, 배향 기판을 제조하였다.
기판 (1) 내지 (6):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두께 50㎛) 의 표면을 러빙천을 이용하여 표 1 에 나타낸 러빙 각도로 러빙 처리하여, 각각의 배향 기판을 형성하였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16
I-b. 제 1 복굴절층의 제조
네마틱 액정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액정 (Paliocolor LC242, 상품명: BASF사 제조) 10g 및 중합성 액정 화합물용 광중합 개시제 (IRGACURE 907, 상품명: Ciba Specialty Chemicals사 제조) 3g 을 톨루엔 40g 에 용해하여, 액정성 조성물 (도포액) 을 제조하였다. 액정성 조성물을 상기한 바와 같이 제조된 배향 기판 (1) 내지 (6) 상에 바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그 전체를 90℃ 에서 2 분 동안 가열 및 건조하여, 액정을 배향하였다. 이와 같이 형성된 액정층을 금속 할라이드 램프를 이용하여 1mJ/cm2 의 광으로 조사하고, 액정층을 경화하여, 기판 상에 각각의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였다.
각각의 제 1 복굴절층의 두께와 위상차는 도포액의 도포량을 변경하여 조절되었다. 표 2 는 형성된 각각의 제 1 복굴절층의 두께 (㎛) 와 면내 위상차 (nm) 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17
I-c. 제 2 복굴절층의 제조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두께 60㎛) 또는 노르보넨계 필름 (Arton, 상품명; JSR Corporation 제조; 두께 60㎛) 을 소정 온도에서 일축 연신하여, 제 2 복굴절층용 각각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표 3 은 이용된 필름의 종류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PC) 및 노르보넨 필름 (NB)), 연신 조건 (예를 들어, 연신 방향), 배향 각도, 및 획득되는 위상차값을 나타낸다. 배향 각도는 종방향에 대한 필름의 지상축의 각도를 의미한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18
I-d. 제 3 복굴절층의 제조
하기 화학식 (여기서, 65 및 35 는 각각 모노머 단위의 mol% 를 나타내고; 폴리머는 편의상 블록 폴리머로서 나타내며; 폴리머는 5,000 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짐) 으로 나타낸 측쇄형 액정 폴리머 20 중량부, 액정상을 나타내는 중합성 네마틱 액정 "Paliocolor LC242" (상품명, BASF사 제조) 80 중량부, 및 광중합 개시제 "IRGACURE 907" (상품명, Ciba Specialty Chemicals사 제조) 5 중량부를 시클로펜타논 200 중량부에 용해하여, 액정 도포액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도포액을 기판 필름 "ZEONOR" (상품명, 노르보넨계 수지 필름, Zeon Corporation 제조) 상에 바 코터를 이용하여 도포하고, 그 전체를 100℃ 에서 10 분간 가열 하에서 건조하여, 액정을 배향하였다. 액정층을 UV 광으로 조사하고, 액정을 경화하여, 제 3 복굴절층 C1 내지 C4 용 각각의 필름을 기판 상에 형성하였다. 제 3 복굴절층용 필름의 면내 위상차값은 각각 실질적으로 0 이었다. 표 4 는 제 3 복굴절층용 필름의 두께방향 위상차를 나타낸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19
Figure 112006010929528-pat00020
I-e. 타원 편광판의 제조
폴리비닐 알코올 필름을 요오드를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염색하고, 붕산을 함유하는 수용액에서 서로 다른 속도비의 롤 사이에서 6 배의 길이로 일축 연신하여, 편광자를 획득하였다.
도 5a 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광자, 보호층 (TAC 필름, 두께 40㎛, 두께방향 위상차 60nm), 및 제 1 복굴절층과 기판의 적층체가 화살표 방향으로 송출되고,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습기 경화성 점착제 "M-631N" (상품명, Mitsui Takeda Chemicals사 제조) 을 이용하여 함께 접착되었다. 점착제의 두께는 5㎛ 였다.
다음으로,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층체 (편광자, 보호층, 및 제 1 복굴절층의 적층체) 를 획득하기 위하여, 기판을 적층체 (편광자, 보호층, 제 1 복굴절층, 및 기판의 적층체) 로부터 박리하였다.
또한, 도 6 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 제 2 복굴절층 (a1) 내지 (a7) 및 (b1) 내지 (b2) 가 제조되고, 각각의 긴 제 2 복굴절층과 상기 획득된 적층체를 화살표 방향으로 송출하며,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습기 경화성 점착제 "M-631N" (상품명, Mitsui Takeda Chemicals사 제조) 을 이용하여 함께 접착되었다.
도 7a 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복굴절층 (C1) 내지 (C4) 는 각각 긴 기판 상에 제조되고, 기판 상의 제 3 복굴절층과 상기 획득된 적층체 (편광자, 보호층, 제 1 복굴절층, 및 제 2 복굴절층의 적층체) 는 화살표 방향으로 송출되며,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습기 경화성 점착제 "M-631N" (상품명, Mitsui Takeda Chemicals사 제조) 을 이용하여 함께 접착되었다. 마지막으로, 도 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을 접착된 적층체로부터 박리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타원 편광판 A01 내지 A18 은 표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획득되었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21
[실시예 2]
II. 도 1b 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타원 편광판의 제조
동일한 편광자, 보호층, 제 1 복굴절층과 기판의 적층체, 제 2 복굴절층 (a1) 내지 (a7) 및 (b1) 내지 (b2), 제 3 복굴절층 (C1) 내지 (C4) 를 각각 기판 상에 형성하고, 실시예 1 에서와 같은 점착제를 이용하였다. 편광자, 보호층, 제 3 복굴절층, 제 1 복굴절층, 및 제 2 복굴절층을 표 6 에 나타낸 조합으로 이용하고, 롤-투-롤로 적층하여, 각각 타원 편광판 B01 내지 B18 을 획득하였다. 적층 단계에서, 제 3 복굴절층은 기판 필름으로부터 보호층 표면으로 전사되고, 제 1 복굴절층은 기판 필름으로부터 제 3 복굴절층의 표면으로 전사되었다. 제 2 복굴절층은 제 1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형성되었다.
Figure 112006010929528-pat00022
[실시예 3]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A01 을 덧붙였다. 표 5 는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1.1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5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1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또한,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 10°도 작고 실용상 매우 바람직한 레벨이었고, 따라서 타원 편광판은 균형 잡힌 시각 특성을 가졌다.
[실시예 4]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A02 를 덧붙였다. 표 5 는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1.1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5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1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또한,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 10°도 작고 실용상 매우 바람직한 레벨이었고, 따라서 타원 편광판은 균형 잡힌 시각 특성을 가졌다.
[실시예 5]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A03 을 덧붙였다. 표 5 는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1.8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6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2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실시예 6]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A04 를 덧붙였다. 표 5 는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1.8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6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2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실시예 7]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A05 를 덧붙였다. 표 5 는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2.5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7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3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실시예 8]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A06 을 덧붙였다. 표 5 는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2.5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7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3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실시예 9]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A07 을 덧붙였다. 표 5 는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3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9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5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실시예 10]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A08 을 덧붙였다. 표 5 는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3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9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5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비교예 1]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 3 복굴절이 형성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 각각 타원 편광판 A01 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타원 편광판을 덧붙였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30°및 최대 각도 5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2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30°는 실용상 적절한 레벨이 아니었다.
[비교예 2]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 3 복굴절이 형성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 각각 타원 편광판 A02 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타원 편광판을 덧붙였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30°및 최대 각도 5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2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30°는 실용상 적절한 레벨이 아니었다.
[실시예 11]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B01 을 덧붙였다. 표 6 은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1.1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5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1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또한,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 10°도 작고 실용상 매우 바람직한 레벨이었고, 따라서 타원 편광판은 균형 잡힌 시각 특성을 가졌다.
[실시예 12]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B02 를 덧붙였다. 표 6 은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1.1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5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1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또한,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 10°도 작고 실용상 매우 바람직한 레벨이었고, 따라서 타원 편광판은 균형 잡힌 시각 특성을 가졌다.
[실시예 13]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B03 을 덧붙였다. 표 6 은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1.8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6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2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실시예 14]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B04 를 덧붙였다. 표 6 은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1.8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6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2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실시예 15]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B05 를 덧붙였다. 표 6 은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2.5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7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3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실시예 16]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B06 을 덧붙였다. 표 6 은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2.5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7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3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실시예 17]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B07 을 덧붙였다. 표 6 은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3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9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5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실시예 18]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타원 편광판 B08 을 덧붙였다. 표 6 은 타원 편광판의 Rth3/Rthp 가 3 임을 나타낸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40°및 최대 각도 9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5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40°가 실용상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비교예 3]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 3 복굴절이 형성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 각각 타원 편광판 B01 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타원 편광판을 덧붙였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30°및 최대 각도 5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2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30°는 실용상 적절한 레벨이 아니었다.
[비교예 4]
콘트라스트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제 3 복굴절이 형성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 각각 타원 편광판 B02 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타원 편광판을 덧붙였다. 타원 편광판은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최소 각도 30°및 최대 각도 50°였고,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20°였다.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소 각도 30°는 실용상 적절한 레벨이 아니었다.
[평가]
실시예와 비교예의 결과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타원 편광판 각각이 형성된 제 3 복굴절층을 가져, 모든 방향에서 콘트라스트 10 에 대하여, 실용상 바람직한 범위를 보증하는 최소 각도 40°를 실현함을 나타낸다. 특히, 콘트라스트 10 에 대한 최대 각도와 최소 각도 사이의 차는 각 실시예 3, 4, 11, 및 12 에서 10°로 감소하였고, 이는 균형이 잘 잡힌 시각 특성을 제공하며, 실용상 매우 바람직한 레벨이었다. 반대로, 비교예의 결과는 각 비교예의 타원 편광판이 모든 방향에서 최소 각도 30°를 갖고, 이는 실용상 적절한 레벨이 아님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예의 결과는, λ/2 판의 역할을 하는 제 1 복굴절층의 지상축이 임의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고, 따라서 종방향으로 연신된 긴 편광 필름 (편광자) (즉, 종방향으로 흡수축을 갖는 필름) 을 이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종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배향 처리된 긴 기판 상에 형성된 긴 제 1 복굴절층, 긴 투명 보호 필름, 및 긴 편광 필름 (편광자); 또는 종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배향 처리된 긴 기판 상에 형성된 긴 제 1 복굴절층, 및 긴 편광 필름 (편광자) 과 긴 투명 보호 필름을 갖는 적층체를 각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소위 롤-투-롤에 의해), 연속적으로 함께 접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타원 편광판이 높은 제조 효율로 획득되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적층하기 위하여, 투명 보호 필름 또는 편광자를 종방향 (연신 방향) 에 대하여 경사지게 잘라낼 필요가 없다. 그 결과, 광학축의 각도가 잘라낸 필름마다 변화하지 않아, 제품에 따라 품질 변화가 없는 타원 편광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필름을 잘라내어 발생하는 폐기물이 없어, 적은 비용으로 타원 편광판을 획득할 수 있고, 대형 편광판의 제조도 용이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 2 복굴절층은 제 1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폴리머 필름을 적층하여 쉽게 형성된다. 제 1 복굴절층 상에 제 2 복굴절층을 획득하기 위하여, 폴리머 필름과 제 1 복굴절층의 장변은 함께 연속적으로 접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타원 편광판은 매우 높은 제조 효율로 획득될 수 있다. 타원 편광판이 소위 롤-투-롤 접착법을 이용하여 획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인접층 (필름) 사이의 접착력이 매우 우수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nz > nx = ny 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 제 3 복굴절층은 λ/4 판 및 λ/2 판과 조합하여 이용된다. 따라서, 경사방향에서도 우수한 특성을 갖는, 광대역 및 넓은 시인각의 타원 편광판, 및 이를 이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획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로세스에 의해 획득 가능한 타원 편광판은 다양한 이미지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 및 자발광형 표시 장치) 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을 벗어나지 않고 다수의 변형이 가능하며, 당업자에 의해 쉽게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으로 제한하지 않고, 보다 광범위하게 해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사방향에서의 광학 특성과 인접한 필름 (층) 사이의 접착성이 우수한, 광대역 및 넓은 시인각의 타원 편광판을 높은 효율로 제조하는 방법; 이 방법을 통해 획득된 타원 편광판; 및 이 타원 편광판을 이용하는 화상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6)

  1.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편광자를 적층하는 단계;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폴리머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nz > nx = ny 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 제 3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복굴절층은 상기 투명 보호 필름 (T) 에 대하여 상기 편광자의 반대측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배향 처리된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액정 재료가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에서 도포된 상기 액정 재료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제 1 복굴절층을 상기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상기 투명 보호 필름 (T),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제 1 복굴절층, 및 상기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상기 폴리머 필름은 모두 긴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편광자, 상기 투명 보호 필름 (T),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제 1 복굴절층은, 순서대로 상기 편광자, 상기 투명 보호 필름 (T), 상기 제 1 복굴절층, 및 상기 기판을 갖는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의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함께 연속적으로 접착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되고;
    상기 기판이 박리된 상기 적층체와 상기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상기 폴리머 필름은 각각의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함께 연속적으로 접착된,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재료는 액정 모노머와 액정 폴리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굴절층은 λ/2 판을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복굴절층은 λ/4 판을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필름은 연신 필름을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제 2 복굴절층의 지상축 (遲相軸) 은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한,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굴절층의 지상축은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8°내지 +38°및 -8°내지 -38°중 하나의 각도를 규정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 필름 (T) 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으로 형성된,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11.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nz > nx = ny 의 굴절률 프로파일을 갖는 제 3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투명 보호 필름 (T) 의 표면 상에 편광자를 적층하는 단계;
    상기 제 3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폴리머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복굴절층은 상기 투명 보호 필름 (T) 에 대하여 상기 편광자의 반대측 상에 배열되고,
    상기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액정 재료를 함유하는 도포액을 배향 처리된 기판 상에 도포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 1 복굴절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액정 재료가 액정상을 나타내는 온도에서 도포된 상기 액정 재료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제 1 복굴절층을 상기 제 3 복굴절층의 표면 상에 전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 상기 투명 보호 필름 (T), 상기 제 3 복굴절층,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제 1 복굴절층, 및 상기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상기 폴리머 필름은 모두 긴 필름을 포함하고;
    순서대로 상기 편광자, 상기 투명 보호 필름 (T), 상기 제 3 복굴절층, 상기 제 1 복굴절층, 및 상기 기판의 적층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순서대로 상기 편광자, 상기 투명 보호 필름 (T), 상기 제 3 복굴절층을 갖는 적층체와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상기 제 1 복굴절층이 각각의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함께 연 속적으로 접착되며;
    상기 기판은 상기 적층체로부터 박리되고;
    상기 기판이 박리된 상기 적층체와 상기 제 2 복굴절층을 형성하는 상기 폴리머 필름은 각각의 종방향을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하면서 함께 연속적으로 접착된,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재료는 액정 모노머와 액정 폴리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굴절층은 λ/2 판을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복굴절층은 λ/4 판을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필름은 연신된 필름을 포함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과 상기 제 2 복굴절층의 지상축은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한,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복굴절층의 지상축은 상기 편광자의 흡수축에 대하여, +8°내지 +38°및 -8°내지 -38°중 하나의 각도를 규정하는,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보호 필름 (T) 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필름으로 형성된,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21. 제 1 항에 기재된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타원 편광판.
  22. 제 21 항에 기재된 타원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 편광판은 시인측 상에 배열된, 화상 표시 장치.
  24. 제 11 항에 기재된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된, 타원 편광판.
  25. 제 24 항에 기재된 타원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 편광판은 시인측 상에 배열된, 화상 표시 장치.
KR1020060014412A 2005-02-25 2006-02-15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타원 편광판을 이용하는 화상표시 장치 KR100762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51348 2005-02-25
JPJP-P-2005-00051348 2005-02-25
JP2005303840A JP2006268007A (ja) 2005-02-25 2005-10-19 楕円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楕円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JP-P-2005-00303840 2005-10-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870A KR20060094870A (ko) 2006-08-30
KR100762158B1 true KR100762158B1 (ko) 2007-10-01

Family

ID=36970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412A KR100762158B1 (ko) 2005-02-25 2006-02-15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타원 편광판을 이용하는 화상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68777B2 (ko)
JP (1) JP2006268007A (ko)
KR (1) KR100762158B1 (ko)
TW (1) TWI2749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26591A1 (ja) * 2005-08-30 2007-03-08 Konica Minolta Opto, Inc.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WO2007097158A1 (ja) * 2006-02-20 2007-08-30 Nitto Denko Corporation 液晶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WO2007097159A1 (ja) * 2006-02-20 2007-08-30 Nitto Denko Corporation 液晶パネル、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JP4849454B2 (ja) * 2006-05-12 2012-01-11 日東電工株式会社 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9053292A (ja) * 2007-08-24 2009-03-12 Nippon Oil Corp 楕円偏光板、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928529B2 (ja) * 2008-11-12 2012-05-0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板の製造方法、偏光板、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032418A (ja) 2008-11-19 2012-02-16 Sharp Corp 円偏光板及び表示装置
US9921351B2 (en) 2012-05-10 2018-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layered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JP2014123068A (ja) * 2012-12-21 2014-07-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円偏光板用転写体、円偏光板、画像表示装置、円偏光板用転写体の製造方法及び円偏光板の製造方法
JP5876440B2 (ja) * 2013-04-25 2016-03-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5876441B2 (ja) * 2013-05-08 2016-03-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TWI653149B (zh) * 2013-08-09 2019-03-11 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Optical film
JP2015079230A (ja) * 2013-09-10 2015-04-23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
JP5984771B2 (ja) * 2013-09-27 2016-09-06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位相差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投射型画像表示装置
JP2015210459A (ja) * 2014-04-30 2015-11-24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円偏光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TW201908770A (zh) * 2014-07-29 2019-03-01 日商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偏光板、附有黏著劑之偏光板及液晶顯示裝置
JP2016045232A (ja) * 2014-08-20 2016-04-0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的ローパスフィルタ及び撮像装置
JP2015079256A (ja) * 2014-11-11 2015-04-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画像表示装置
JP2015079255A (ja) * 2014-11-11 2015-04-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画像表示装置
JP6808372B2 (ja) * 2015-09-16 2021-01-06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光学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表示装置
WO2018033595A1 (en) * 2016-08-17 2018-02-22 Technische Universiteit Eindhoven Photonic time-temperature sensor having an embossed interpenetrating network of cholesteric liquid crystalline polymers and a secondary polymer
CN110088652B (zh) * 2016-12-16 2021-09-17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层叠体、图像显示装置及光学层叠体的制造方法
JP6380566B2 (ja) * 2017-02-06 2018-08-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用転写体、画像表示装置
KR102143271B1 (ko) 2018-06-05 2020-08-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TWI690414B (zh) 2018-06-05 2020-04-1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層壓板及含彼之液晶顯示器
JP2023111232A (ja) 2022-01-31 2023-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3111231A (ja) 2022-01-31 2023-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3111234A (ja) 2022-01-31 2023-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3111230A (ja) 2022-01-31 2023-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23111233A (ja) 2022-01-31 2023-08-10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3163119A1 (ja) * 2022-02-25 2023-08-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0114A (ja) * 1991-10-07 1993-04-23 Nitto Denko Corp 積層波長板及び円偏光板
JP2003195037A (ja) * 2001-12-25 2003-07-09 Fuji Photo Film Co Ltd 表示装置用基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1384A (en) * 1995-05-23 1998-05-12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Color polarizers for polarizing an additive color spectrum along a first axis and it's compliment along a second axis
JP2003306558A (ja) * 2001-11-02 2003-10-31 Nitto Denko Corp 光学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光学素子、画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00114A (ja) * 1991-10-07 1993-04-23 Nitto Denko Corp 積層波長板及び円偏光板
JP2003195037A (ja) * 2001-12-25 2003-07-09 Fuji Photo Film Co Ltd 表示装置用基板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05-100114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5-19503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74916B (en) 2007-03-01
US7468777B2 (en) 2008-12-23
TW200643487A (en) 2006-12-16
JP2006268007A (ja) 2006-10-05
US20060203159A1 (en) 2006-09-14
KR20060094870A (ko)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158B1 (ko)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타원 편광판을 이용하는 화상표시 장치
KR100748420B1 (ko) 타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타원 편광판을 이용한 액정표시 장치
US20060103796A1 (en)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840166B1 (ko) 타원 편광판의 제조방법 및 타원 편광판을 사용한화상표시장치
KR100878735B1 (ko) 광학 보상층 부착 편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패널,액정 디스플레이, 및 그를 포함한 이미지 디스플레이
JP4849454B2 (ja) 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4737629B2 (ja) 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4388023B2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光学補償層付偏光板を用いた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20070200976A1 (en)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US20080291389A1 (en) Elliptically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6201746A (ja) 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EP1881350A1 (en) Polarizing plate with optical compensation layer and image display employing it
JP4553258B2 (ja) 楕円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楕円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7156234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100832760B1 (ko) 타원 편광판 및 타원 편광판을 사용한 화상 표시 장치
JP2006292910A (ja) 楕円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楕円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CN100405183C (zh) 椭圆偏光板的制造方法及使用该椭圆偏光板的图像显示器
JP2007148097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6259038A (ja) 楕円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楕円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6195424A (ja) 楕円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楕円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6323349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6343732A (ja) 光学補償層付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6243653A (ja) 楕円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楕円偏光板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6323348A (ja) 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および光学フィルム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JP2008209651A (ja) 楕円偏光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