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938B1 -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이용한 깔창 - Google Patents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이용한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938B1
KR100759938B1 KR1020060057444A KR20060057444A KR100759938B1 KR 100759938 B1 KR100759938 B1 KR 100759938B1 KR 1020060057444 A KR1020060057444 A KR 1020060057444A KR 20060057444 A KR20060057444 A KR 20060057444A KR 100759938 B1 KR100759938 B1 KR 10075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absorbing member
shock absorbing
air
ai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수
Original Assignee
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수 filed Critical 정성수
Priority to KR102006005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9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2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wedge-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신발의 충격흡수용 부재는 가압돌기의 압축에 의해 그리고 가압돌기 하부에 형성된 공기실 내로 가압돌기가 눌려지며, 가압돌기에 의해 압축되는 공기실의 공기 압축력과 공기실에 형성된 공기구멍의 조합 작용에 의해 신발에 작용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고 흡수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가압체중을 신속하게 완충 및 흡수하여 장기간 보행시에도 발의 피로도 및 공기 흐름의 원활로 땀의 배출을 극소화할 수 있고, 단순구조에 의한 신발의 바닥창과의 결합공정을 단축시키고, 신발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짐은 물론, 기존의 신발에 단일품의 깔창 대신에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에 의한 제품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충격, 흡수, 격벽, 가압, 돌기, 공기, 구멍, 섬유, 바닥창, 깔창

Description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이용한 깔창{SHOES IMPACT ABSORPTION MEMBER AND AN INSOLE USING THE MEMBER}
도 1은 본 출원인의 선출원의 쿠션완충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가 결합되는 신발의 바닥창과 깔창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의 저면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의 저면 일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의 평면구성도 및 저면구성도를 동시에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신발에 적용된 구조의 일부 발췌 단면도.
도 7은 도 6의 "F" 부분 발췌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작동 상태도.
도 9는 도 8의 "G" 부분 발췌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충격흡수부재와 바닥창 사이에 경질 하드보드가 개재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10의 결합상태 일부 발췌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H"부분 발췌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섬유재로 피복된 충격흡수부재와 바닥창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결합상태의 발췌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J"부분 발췌 확대도.
도 16은 도 15의 작동 상태도.
도 17은 도 16의 "K"부분 발췌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별도의 깔창으로 구성된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충격흡수부재 11: 판체
12: 가압돌기 12a: (가압돌기 사이의)공간
13: 테두리부분 14: 교차격벽
15: 테두리격벽 16: 공기실
17: 보강리브 18: 공기구멍
19: (경질의) 하드보드 20: 깔창
21: 피복층 22: 봉재선
본 발명은 신발의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에 작용되는 충격을 가압돌기와 공기실이 상하부에 일체로 형성하고, 공기실에 공기구멍을 형성하여 가압돌기와 공기실 그리고 공기구멍의 조합 작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완화시킬 수 있고 기존의 신발에 깔창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와 깔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신발에 작용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명자가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 제10-0248539호(신발의 쿠션완충장치)가 있다.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의 신발의 쿠션완충장치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가압완충판(5)의 가압완충돌기(6)가 탄력성중간판(4)을 가압하여 신장시키고, 탄력성중간판(4)은 에어쿠션판(3)의 공기실(7)(air chamber)로 하강될 때 공기실(3a)의 밀폐된 공기의 압축 반발력과 탄력성중간판(4)의 자체 반발력에 의해 충격이 완충 및 흡수되고, 외부 하중의 제거시에 신속히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게 형성됐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쿠션완충장치는 신발의 바닥판에 가해지는 하중(체중)에 의한 완충작업이 가압완충판(5)의 하강에 의해 하부에 가압완충돌기(6)가 탄력성 중간판(4)을 가압하고, 이 탄력성 중간판(4)은 에어쿠션판(3)의 완충 및 복원이 상기 탄력성 중간판(4)의 탄성(신장)에 의존함으로서 신속한 완충과 복원이 어렵고, 특히 장기간 착용에는 탄성판(4)의 변형으로 기대치 만큼 효과적인 완충기능을 구현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구성부재인 가압완충돌기(6)를 갖는 가압완충판(5), 탄력성중간판(4), 공기실(7)을 갖는 에어쿠션판(3)이 각각 별도로 성형된 후 바닥창(1)과 결합되므로 신발의 제조공정 및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기존의 산발에 별도의 깔창부재로 활용하기에는 두께가 커서 단일의 깔창부재로 활용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사용에 따른 호환성을 기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착용자의 체중에 구애없이 보행시에 가해지는 충격하중에 대한 신속한 완충 및 복원이 제공되어 충격흡수 효과를 극대와 동시에 장기간 사용에도 탄성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어 수명이 보장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단순구조에 의한 제조 및 조립공정이 매우 단축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완충시에 발바닥에 내부공기를 배출 및 흡입에 의한 순환으로 발의 땀이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여 착용자에게 항상 신선한 착용상태를 제공할 수 있 어 신발의 충결흡수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를 이용한 깔창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돌기를 상면에 형성하고, 저면에 가압돌기 하부 위치에 공기실을 독립적으로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공기실과 상면이 연통하도록 공기구멍을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신발의 충격흡수부재는 신발 아웃솔(outsole) 형태의 상면에 가압돌기가 일정 공간 이격되어 전후좌우로 반복 돌출로 배치 구성되고,
이들 가압돌기의 하면 주변에 일정거리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성하여 압축하강하는 가압돌기를 수용하는 오목한 공기실이 형성되며,
이들 가압돌기 주변과 공기실에 공기가 유통되도록 공기구멍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는 바닥창의 상부에 위치되고 깔창으로 상부가 덮여지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외관 형태는 바닥창 또는 깔창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신발의 충격흡수부재를 이용한 깔창은 상부에 내구성 및 내마모성의 고신축성 섬유재 피복층을 일체 성형으로 피복하고, 테두리부분에 인접한 위치를 재봉하여 봉재선에 의해 피복층의 테두리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기존의 신발에서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할 수 있는 깔창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 내지 도 9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10 내지 도 12에 하드보드가 적용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그리고 도 13 내지 도 17에 섬유 피복층이 적용된 본 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를, 도 18은 본 발명의 구성을 깔창 단독 제품으로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했다.
즉,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는 고탄력성의 고무재질로서 신발 아웃솔(outsole)(100) 형태의 테두리부분(13)을 갖는 판체(11) 상면에 가압돌기(12)가 일정 공간 이격되어 전후좌우로 반복 돌출로 배치 구성되고,
상기 각 가압돌기(12)에 대응하여 판체(11)의 하면 주변에 일정거리의 돌기부를 돌출 구성하여 상기 가압돌기(12)가 압축하강하는 높이를 갖는 오목한 공기실(16)이 각각 성형되며,
상기 각 가압돌기(12) 주변과 공기실(16)은 공기가 유통되도록 판체(11)에 공기구멍(18)을 관통하여 구성된다.
즉, 가압돌기(12)가 눌려질 때 가압돌기(12)가 공기실(16)내로 눌려져서 수용되도록 가압돌기(12) 주면 저면에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도 8참조).
상기 다수의 공기실(16)은 각 가압돌기(12)의 하면에 대응하여 판체(11)에 돌출되는 돌기부에 의해 형성되나, 상기 돌기부는 가로 및 세로로 규칙적으로 교차 배치된 교차격벽(14)으로 구성할수 있고, 이 교차격벽은 테두리부분(13)의 내측에 성형되는 테두리격벽(15)에 의해 외측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실(16)은 상부의 가압돌기(12)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바닥 판(100)과 협조하여 압축되며, 상기 가압돌기(12)는 상기 공기실(16)로 가압 하강될 때, 공기실(16) 내측 주변의 판체(11)가 연장되므로 신장에 따른 파손은 물론 신속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상기 공기실(16)의 내측 주연부로부터 중심으로 연장 돌출된 다수 개의 보강리브(17)를 구성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이때의 실시예에 있어 돌기부인 교차격벽(14)과 외측을 기밀하는 테두리격벽(15)의 높이는 동일하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의 형태는 간략한 설명을 위해 판체(11)의 상면에 형성된 가압돌기(12)가 4각형으로 예시됐고, 하측의 공기실(16)도 상기 가압돌기(12)에 대응한 형상인 사각형으로 예시됐으나, 가압돌기(12)는 그 형태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예컨대, 5각형, 6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기타 원형, 타원형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러한 가압돌기(12)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공기실(16)은 돌기부의 구성에 의해 5각형, 6각형 등의 다각형이나 기타 원형, 타원형은 물론 개별로 돌출되는 돌기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격벽(15)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가압돌기(12)와 공기실(16)은 판체(11)의 발모양 성형에 따른 테두리부분(13)의 성형 구조에 의해 불규칙 형상의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의 결합구조는 도 6 및 도 7의 결합상태의 발췌 단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는 신발의 바닥창(outsole)(100) 위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공기실(16)이 판체(11)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측으로 가압돌기(12)가 돌출되며, 이 충격흡수부재(10)의 저면은 바닥창(100)과 결합된다.
다시 말하여, 상기 공기실(16)은 하부의 바닥창(100)과의 결합에 의해 개방된 하부 부분이 밀폐된다. 따라서 공기실(16) 내의 공기는 공기실(16) 상부 내측 주연부에서 판체(11)에 관통 형성된 공기구멍(18)을 통해서 상부의 가압돌기(12) 사이의 공간부(12a)와 유통이 이루진다.
이때, 상기 충격흡수부재(10)의 가압돌기(12)의 상면에는 통기성을 갖고 있고 탄력성이 보장되는 아웃솔 형태의 섬유재 깔창(200)이 결합되어 적용된다.
이러한 깔창(200)은 상기 충격흡수부재(10)와 분리된 구조로 신발의 제조시에 테두리부분(13)과 주변이 접착이나 봉착하여 결합할 수도 있고, 상기 충격흡수부재(10)의 가압돌기(12)의 상면과 접착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와 바닥창(100) 그리고 깔창(200)과의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깔창(200)으로 충격(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가압돌기(12)가 이의 하부에 위치한 공기실(16)을 가압하면서 상기 공기실(16) 내로 가압돌기(12)가 신축적으로 압축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가압돌기(12)를 잡고 있는 판체(11)는 상기 가압돌기(12)의 하강거리에 상응하여 연장된다.
이와 같이 공기실(16) 내로 가압돌기(12)가 하강됨에 의해 공기실(16) 내의 공기가 압축되면서 반발력에 의해 부드러운 완충과 동시에 압축된 공기는 작은 공기구멍(18)을 통해 서서히 상부의 가압돌기(12) 사이의 공간부(12a)로 배출된다.
즉, 충격흡수부재(10)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충격(하중)이 가해지면 충격흡수부재(10)의 가압돌기(12)가 공기실(16) 내로 신축적으로 하강되면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이와 동시에 가압되는 가압돌기(12)에 의해 압축되는 공기실(16)의 압축공기에 의해 2차적으로 충격이 흡수되는 것이다.
아울러 가압된 공기는 아주 작은 공기구멍(18)을 통해 배출되어 배출 저항이 발생되므로 압축공기에 의한 충격흡수효과는 저하되지 않는다.
그리고 보행에 따른 바닥판(100)이 지면에서 떨어지면서 가압돌기(12)에 가해졌던 하중(충격)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가압돌기(12)는 판체(11)의 신장에 대한 반발의 복원탄성에 의해 신속하게 다시 상부로 상승 복원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판체(11)의 공기구멍(18)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부의 섬유재 깔창(200)을 통한 공기의 교류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다시 공기실(16)로 흡입되어 공기실(16) 내에 공기가 충만하게 된다.
다시 말하여, 상기 가압돌기(12)에 작용된 외력이 제거되면, 공기실(16) 내로 하강된 가압돌기(12)는 이를 잡고 신장된 판체(11)의 자체의 탄성 수축력(복원력)과 공기실(16) 내측 상부에 형성된 보강리브(17)의 수축력(복원력)에 의해 신속히 본래의 위치인 상부로 복원되고, 가압돌기(12) 주변의 공간부(12a)을 유통하여 상기 공기구멍(18)을 통해 공기가 다시 공기실(16)로 흡입된다.
결국 이러한 공기순환은 보행에 따른 발에 배어나는 땀을 억제하는 효과에 의해 신발 착용의 상쾌함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을 하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는 가압돌기(12)의 더욱 신속한 원위치로의 복귀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10 내지 도 12 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경질(경한 재질)의 하드보드(hard board)(19)가 충격흡수부재(10)와 바닥창(10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경질의 하드보드(9)의 추가적인 설치를 위해 공기실(12)을 구성하는 교차격벽(14) 중 공기실(16)의 외측 테두리를 밀폐하는 테두리격벽(15)의 높이를 내측의 돌기부인 교차격벽(14) 높이보다 더 높게 구성한다.
이는 경질의 하드보드(19)가 교차격벽(14)에 접촉되도록 테두리격벽(15) 내에 하드보드(19)가 수용되어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하드보드(19)가 테두리격벽(15) 내에 수용되어 결합된 충격흡수부재는 공기실(16)을 밀폐시키고 바닥창(100)과 결합된다.
이후 경질(硬質)의 하드보드(19)는 충격흡수부재(10) 상방으로부터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의해 가압돌기(12)가 하방으로 눌려져 하강할 때, 하부의 공기실(16)을 구성하는 교차격벽(14)이 종래의 탄성을 갖는 비교적 연질(軟質)의 바닥창(100)과 달리 하드보드(19)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므로 가압돌기(12)를 지지하는 교차격벽(14)이 단단한 하드 보드(19)에 지지된 상태이므로 가압돌기(12)가 공기실(16) 내로 돌출된 후 본래의 위치로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 13 내지 도 17에 예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충격흡수부재(10)의 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 도면부호로 도시한다.
이때, 상기 가압돌기(12)가 형성된 충격흡수부재(10)의 판체(11) 및 가압돌기(12)의 상면 전체에 내마모성 및 고탄력성을 갖는 섬유재로 일체 피복된 피복층(21)을 성형하여 구성되었다.
이때, 상기의 섬유재는 전, 후 및 좌, 우로 신축되는 재질의 섬유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분리된 깔창(200)의 적용하는 것을 단일품으로 성형하여 제조함으로서, 돌출되는 가압돌기(12)에 의해 지압효과의 증가는 물론 충격흡수부재(10)의 신축에 따른 보강기능 및 과도한 신축의 방지로 수명의 보장, 그리고 마찰촉감을 높일 수 있다.
이때, 공기실(16)에 관통된 공기구멍(18)을 통하여 유통되는 공기의 흐름은 상기 피복층(21)이 섬유재로 되어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비교하여 큰 문제가 없다.
이렇게 섬유재가 일체 피복된 피복층(21)을 갖는 충격흡수부재(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하부의 바닥창(100)과 결합하여 신발을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충격흡수부재(10)의 작동은 도 16 및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충격흡수부재(10)의 판체(11)의 테두리부분(13)을 봉재선(22)으로 봉착 마감하여 섬유재 피복층(21)이 분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이는 기존의 신발에서 깔창(insole)(20)으로 단독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깔창(20)은 기존의 신발에서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1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충격흡수부재는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해 충격력이 직접 작용하는 가압돌기와, 가압돌기에 의해 눌려지는 공기실을 일체로 형성하여 부피를 대폭 감소시키고, 가압돌기 측과 공기실을 공기구멍에 의해 연통시킴으로써 충격흡수 효과가 우수하며, 바닥창과의 결합공정이 대폭 감소되어 신발 또는 구두의 제조공정이 단축되어 제조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 우수한 발명이다.
특히, 깔창의 활용은 기존의 신발에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3)

  1. 고탄력성의 고무재질로서 신발 아웃솔(outsole)(200) 형태의 테두리부분(13)을 갖도록 판체(11) 상면에 가압돌기(12)가 일정 공간 이격되어 전후좌우로 반복 돌출로 배치 구성되며, 상기 가압돌기(12)는 그 저부에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구멍(18)을 관통하여 공기실(16)을 형성하고 신발의 바닥창 상부에 위치하여 신발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신발의 쿠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16)은 가압돌기(12)에 대응하여 상기 판체(13)의 저면에서 상기 가압돌기(12)가 압축 하강하는 높이로서 그 주변에 일체 돌출되는 돌기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공기실(16)은 판체(11)의 테두리부분(13)의 저면에 돌출되는 테두리격벽(15)에 의해 외측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교차격벽(14)이나 다수의 단독의 돌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12)는 판체(13)의 저면에 일정두께를 갖고 돌기부로부터 중심으로 연장 돌출된 다수개의 보강리브(17)을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돌기(12)는 다수개의 보강리브(17)에 의해 더욱 복원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16)은 가압돌기(12)에 하중이 작용될 때 내부의 공기가 압축되어 공기구멍(18)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면서 완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11) 및 가압돌기(12)의 상면은 내마모성 및 고탄력성을 갖는 섬유재로 일체 피복성형된 피복층(21)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16)은 가압돌기(12)가 눌려질 때 반발력이 커지도록 테두리격벽(14)의 내측에 하드보드(19)로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12. 고탄력성의 고무재질로서 신발 아웃솔(outsole)(200) 형태의 테두리부분(13)을 갖도록 판체(11) 상면에 가압돌기(12)가 일정 공간 이격되어 전후좌우로 반복 돌출로 배치 구성되며, 상기 가압돌기(12)는 그 저부에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구멍(18)을 관통하여 공기실(16)을 형성한 충격흡수부재(10)을 신발의 바닥창 상부에 위치하여 이용되는 깔창에 있어서,
    상기 판체(11)와 가압돌기(12)의 상면 전체에 내마모성 및 고탄력성을 갖는 섬유재로 일체 피복된 피복층(21)을 성형하고 테두리부분(13)이 재봉되어 봉재선(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흡수부재를 이용한 신발의 깔창.
  13. 삭제
KR1020060057444A 2006-06-26 2006-06-26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이용한 깔창 KR10075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444A KR100759938B1 (ko) 2006-06-26 2006-06-26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이용한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444A KR100759938B1 (ko) 2006-06-26 2006-06-26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이용한 깔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167U Division KR200426190Y1 (ko) 2006-06-26 2006-06-26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이용한 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9938B1 true KR100759938B1 (ko) 2007-10-04

Family

ID=3941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444A KR100759938B1 (ko) 2006-06-26 2006-06-26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이용한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99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744B1 (ko) 2017-07-07 2018-08-28 노민환 충격흡수 및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조립식 신발깔창
EP4197384A1 (en) * 2021-12-15 2023-06-21 Dongguan Dibao Shoes Co., Ltd. Insole device with balancing, correcting, cushioning and supporting func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793A (ko) * 1998-02-13 1999-09-06 정성수 신발의 쿠션완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793A (ko) * 1998-02-13 1999-09-06 정성수 신발의 쿠션완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744B1 (ko) 2017-07-07 2018-08-28 노민환 충격흡수 및 공기순환 기능을 갖는 조립식 신발깔창
EP4197384A1 (en) * 2021-12-15 2023-06-21 Dongguan Dibao Shoes Co., Ltd. Insole device with balancing, correcting, cushioning and supporting function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2756B2 (ja) スポーツ用シューズのミッドソール構造
JP4353959B2 (ja) 履き物の靴底
KR101006923B1 (ko) 신발 중창
JP2012075864A (ja) 履物の中敷き
KR101601673B1 (ko) 미끄럼 방지 구조를 구비하는 아쿠아슈즈
US20100186263A1 (en) Structure of shoes uppers, a manufacturing method of shoes and a structure of shoes
KR100942678B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창
KR100907740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KR101241343B1 (ko)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KR20090004785A (ko) 기능성 굴림 신발창
KR100759938B1 (ko)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이용한 깔창
WO2009082164A1 (en) High-heeled shoes for women
KR20090108344A (ko) 미끄럼방지와 쿠션기능을 갖춘 신발창
KR19990069793A (ko) 신발의 쿠션완충장치
KR200426190Y1 (ko)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이용한 깔창
KR0139453Y1 (ko)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100910309B1 (ko) 보행시 충격이 완화되는 신사화의 신발창
KR101351441B1 (ko) 기능성 슈즈용 쇽업중창
KR100773898B1 (ko) 충격흡수용 통풍신발
KR200427271Y1 (ko)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KR200455513Y1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JP2589643B2 (ja) 通気性の靴
CN218105058U (zh) 一种减震换气鞋底及减震鞋
KR20110034568A (ko) 반발탄성을 지닌 중공쿠션돌기가 내장된 바닥창
KR102184411B1 (ko) 충격 흡수부재를 갖는 신발 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