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271Y1 -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 Google Patents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271Y1
KR200427271Y1 KR2020060017162U KR20060017162U KR200427271Y1 KR 200427271 Y1 KR200427271 Y1 KR 200427271Y1 KR 2020060017162 U KR2020060017162 U KR 2020060017162U KR 20060017162 U KR20060017162 U KR 20060017162U KR 200427271 Y1 KR200427271 Y1 KR 200427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ubber
pressing
shoe
shock absorb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1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수
Original Assignee
정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수 filed Critical 정성수
Priority to KR20200600171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2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신발의 충격흡수부재는 하중에 의해 이동하는 가압돌기가 탄성고무와의 접촉 안내에 의해 그리고 탄성고무가 가압돌기 사이의 공간부를 채움으로써 압축되는 공기에 의해 충격 완화 및 흡수가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가압돌기와 탄성고무의 접촉 안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 결합홈이 탄성고무에 형성되고, 이와 마찬가지로 탄성고무와 바닥창에도 안내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바닥창, 탄성고무 및 가압부재의 접촉 및 안내가 원활하게 이루어져서 신발에 작용하는 충격하중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키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충격, 흡수, 가압, 돌기, 공기, 구멍, 바닥창, 깔창

Description

신발의 충격흡수부재{SHOES IMPACT ABSORPTION MEMBER}
도 1은 본 고안의 충격흡수부재의 저면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충격흡수부재의 평면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b는 "F"부분 확대도.
도 4a 내지 4c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단면도.
도 6은 도 5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바닥창 11: 결합돌기
20: 탄성고무 21, 22: 안내 결합홈
30: 가압부재 31: 가압돌기
32: 공간부 33: 공기구멍
40: 깔창
본 고안은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바닥창에 결합된 탄성고무에 가압돌기가 접촉되게 하여 하중에 의해 가압돌기가 경질 바닥층이 아닌 완충기능의 탄성고무를 눌러서 충격이 완화 흡수되게 함으로써 신발 착용자가 쉽게 피로하지 않고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경질 바닥 창에 탄성고무를 접착한 신발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쉽게 완화하지 못하므로 신발착용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끼고 착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근래에 와서 신발의 바닥창을 이중창으로 구성하여 완충을 구현하는 기술이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이중창 구조에 의해 착용자의 하중을 완충함으로 신속한 완충과 이러한 완충 작용 후에 신속한 복원을 제공하지 못하여 비효율적인 구조이고, 장기간 사용시에 완충부분이 변형되는 단점이 있었다.
다시말하여, 보행자의 보행시 발바닥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하중을 단순히 탄성재의 탄발력에 의한 완충을 제공하기 때문에 장기간 착용에 의한 탄성재의 반발탄성이 떨어지면서 완충기능이 떨어짐으로 효과적인 완충작용을 기대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소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가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 제10-0248539호(신발의 쿠션완충장치)가 있다.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의 신발의 쿠션완충장치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가압완충판의 가압완충돌기가 탄력성중간판을 가압하여 신장시키고, 탄력성중간판은 에어쿠션판의 공기실(air chamber)로 하강될 때 공기실의 밀폐된 공기의 압축 반발력과 탄력성중간판의 자체 반발력에 의해 충격이 완충 및 흡수되고, 외부 하중의 제거시에 신속히 본래의 위치로 복원되게 형성됐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쿠션완충장치는 신발의 바닥판에 가해지는 하중(체중)에 의한 완충작업이 가압완충판의 하강에 의해 하부에 가압완충돌기가 탄력성 중간판을 가압하고, 이 탄력성 중간판은 에어쿠션판의 완충 및 복원이 상기 탄력성 중간판의 탄성(신장)에 의존함으로서 신속한 완충과 복원이 어렵고, 특히 장기간 착용에는 탄성판의 변형으로 기대치 만큼 효과적인 완충기능을 구현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구성부재인 가압완충돌기를 갖는 가압완충판, 탄력성중간판, 공기실을 갖는 에어쿠션판이 각각 별도로 성형된 후 바닥창과 결합되므로 신발의 제조공정 및 조립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경질 바닥창의 상부에 탄성고무를 이중성형으로 적층하여 개재하고, 이 탄성고무 속으로 눌려져서 충격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가압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가압부재를 탄성고무에 결합시킴으로써 외부로 부터 작용하는 충격하중을 적절히 완화하여 흡수할 수 있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가압부재의 하측에 다수의 가압돌기를 배치하고, 가압돌기 사이의 공간부에 상부와 연통하는 공기구멍을 형성하며,
가압부재의 하측에 가압돌기의 눌림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 고무를 갖는 경질의 바닥창을 구성하여 결합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신발의 충격흡수부재는 가압부재의 저면에 다수의 가압돌기를 배치하고, 이 가압돌기 사이에 상부로 연통하는 공기구멍을 형성하며,
가압부재의 가압돌기가 하부로 가압될 때 가압돌기의 가압력을 완충시키도록 가압돌기와 접촉되는 탄성 고무를 가압돌기 하측에 배치하고,
탄성 고무 하측에 바닥창을 결합시킨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가압돌기가 가압될 때 가압돌기에 접촉되는 탄성고무와 결합 및 안내가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압돌기에 마주보는 탄성고무의 상면에 가압돌기를 수용하여 안내하도록 안내 결합홈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더욱이, 탄성고무는 상면에 가압돌기를 수용하여 안내하는 안내 결합홈 외에도 하측의 바닥창과의 결합 및 안내가 이루어지도록 안내 결합홈이 저면에 더욱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바닥창은 상면에 탄성고무의 저면에 형성된 안내 결합홈에 안내되는 결합돌기가 더욱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신발의 충격흡수부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충격흡수부재는 하부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갖는 경질 바닥창(10), 충격을 흡수하고 가압부재(30)의 가압돌기(31) 사이의 공간부(32)를 밀폐시키는 탄성고무(20), 및 충격에 의해 탄성고무(20)를 가압하는 가압부재(30)로 구성되고, 가압부재(30)의 상면에는 섬유 피복층을 갖는 깔창(40)이 결합된다.
본 고안의 가압부재(30)는 저면에 가압돌기(31)가 돌출형성되고, 가압돌기(31) 사이의 공간부에 상부와 연통되는 공기구멍(33)이 형성된다.
상기 가압돌기(31)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하부의 탄성고무(20)를 직접 접촉하여 가압한다.
이는 도4a 내지 도 4c에 작동상태가 단면도로 상세히 예시되어 있다.
즉, 깔창(40)의 상부로부터 충격이 하부로 가해지면 가압부재(30)의 가압돌기(31)는 탄성고무(20)의 표면을 누른다. 이때 탄성고무(20)의 상면은 가압부재(30)에 의해 눌린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간 상태가 되고, 이와 같이 가압부재(30)에 의해 눌려지는 탄성고무(20)에 의해 충격이 완화되고 흡수된다.
가압부재(30)에 의해 눌려진 탄성고무(20)의 오목한 부분들 사이의 본래 부분은 가압부재(30)의 가압돌기(31) 사이의 공간부(32)로 위치되게 되고, 이에 의해 공간부(32)사이의 공기는 탄성고무(20)에 의해 가압되어 공기구멍(33)을 통해 상부의 섬유 피복층을 갖는 깔창(40) 부분으로 배출된다.
이후, 가압부재(30)는 더욱 탄성고무(20) 측을 가압하여 충격이 완화 및 흡수되고, 이때 탄성고무(20)는 가압돌기(31) 사이의 공간부(32)를 거의 점령하게 된다. 즉, 탄성고무(20)가 공간부(32)를 차지하면 공간부(32) 내의 공기가 압축되어 충격하중의 완화작용이 이루어지는 한편, 압축되는 공기는 공기구멍(33)을 통해 상부의 깔창(40)으로 배출된다.
이와 반대로 하중이 제거되면 공간부(32)를 차지하던 탄성고무(20)가 신속히 본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따라서 공간부(32)가 비워지므로 공기구멍(33)을 통해 공간부(32) 내로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깔창(40)은 가압부재(30)의 상면에 일체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깔창(40)은 내마모성 및 고탄력성 섬유재로 제공되어 사용에 따른 신속한 복원력 및 착용감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탄성고무(20)와 이를 가압하는 가압부재(30) 사이의 결합 및 안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본 고안은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가압돌기(31)를 안내하는 안내 결합홈(21)이 탄성고무(2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가압돌기(31)사이의 공간부(32)에 밀폐되는 공기의 압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충격의 환화 및 흡수가 더욱 양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고안의 상기 가압부재(30)의 가압돌기(31)와 탄성고무(20)의 안내 결합홈(21) 결합구조와 마찬가지로 탄성고무(20)와 바닥창(10)에도 이와 같은 결합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탄성고무(20)의 저면에 안내 결합홈(22)이 형성되고 바닥창(10)의 상면에 결합돌기(11)가 형성되어 바닥창(10)에 탄성고무(20)의 안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충격완화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신발의 충격흡수구조는 신발에 작용하는 충격을 탄성고무에 의해 흡수하는 것으로서 외부의 하중에 의해 눌려지는 가압부재가 탄성고무에 접촉되어 안내되게 함으로써 가압부재와 탄성고무 또는 가압부재, 탄성고무 및 바닥창이 상호 돌기 및 안내 결합홈의 결합구조를 이루어 원활하게 상호 안내되게 하여 충격완화 및 흡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신발에 작용하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신발의 쿠션구조에 있어서,
    가압돌기가 전후좌우로 일정간격을 갖고 저면에 다수 배치되고, 이들 가압돌기 사이의 공간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공기구멍을 형성한 가압부재와,
    이 가압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바닥창과 결합되는 탄성고무와,
    이 탄성고무의 하측에 결합된 바닥창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무는 상면에 상기 가압돌기에 대응하여 안내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무는 상면 및 하면에 안내 결합홈이 각각 엇갈리게 형성되고, 상기 가압돌기와 바닥창의 상면에 돌출 성형된 결합돌기가 각각 안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면에 섬유피복층을 갖는 깔창이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KR2020060017162U 2006-06-26 2006-06-26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KR200427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162U KR200427271Y1 (ko) 2006-06-26 2006-06-26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162U KR200427271Y1 (ko) 2006-06-26 2006-06-26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271Y1 true KR200427271Y1 (ko) 2006-09-22

Family

ID=4177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162U KR200427271Y1 (ko) 2006-06-26 2006-06-26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27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255B1 (ko) * 2006-07-06 2007-12-27 이상도 충격 흡수를 위한 신발용 다중 바닥재
KR100887661B1 (ko) 2007-06-21 2009-03-11 (주)레오파드 신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35117A (ko) * 2021-03-29 2022-10-06 김진영 기능성 캐쥬얼 신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255B1 (ko) * 2006-07-06 2007-12-27 이상도 충격 흡수를 위한 신발용 다중 바닥재
KR100887661B1 (ko) 2007-06-21 2009-03-11 (주)레오파드 신발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35117A (ko) * 2021-03-29 2022-10-06 김진영 기능성 캐쥬얼 신발
KR102497040B1 (ko) * 2021-03-29 2023-02-07 김진영 기능성 캐쥬얼 신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521463A (ja) 衝撃吸収およびエネルギー・リターンを行う靴のソール
KR100942678B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창
KR200427271Y1 (ko) 신발의 충격흡수부재
KR100907740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KR101241343B1 (ko) 지압기능을 갖는 인솔
KR101591036B1 (ko) 충격흡수 및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신발
KR100910309B1 (ko) 보행시 충격이 완화되는 신사화의 신발창
KR20090108344A (ko) 미끄럼방지와 쿠션기능을 갖춘 신발창
JP3101669U (ja) 衝撃緩和靴
KR101418672B1 (ko) 신발 밑창
KR200169388Y1 (ko) 여성용하이힐의충격흡수구조
KR200398041Y1 (ko) 신발 중창
KR100759938B1 (ko) 신발의 충격흡수부재와 이를 이용한 깔창
KR102010241B1 (ko) 탄성부재가 내설된 신발 제조방법
KR101429377B1 (ko) 운동화용 아웃솔
KR20120136258A (ko) 반발탄성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창
KR200376979Y1 (ko) 신발용 바닥판
KR20110007867U (ko) 신발 내부의 땀 및 열 배출이 원활한 안창
KR101875777B1 (ko) 충격 완화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CN104839930A (zh) 透气的泡泡缓震鞋底
CN213029966U (zh) 一种缓冲鞋
KR200410356Y1 (ko) 충격 흡수 신발
CN218515264U (zh) 一种缓冲效果好的运动鞋
CN216674897U (zh) 一种应用在鞋底上的减震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