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13Y1 -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 Google Patents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513Y1
KR200455513Y1 KR2020080011640U KR20080011640U KR200455513Y1 KR 200455513 Y1 KR200455513 Y1 KR 200455513Y1 KR 2020080011640 U KR2020080011640 U KR 2020080011640U KR 20080011640 U KR20080011640 U KR 20080011640U KR 200455513 Y1 KR200455513 Y1 KR 2004555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auxiliary
sole
heel
hee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16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589U (ko
Inventor
배효용
Original Assignee
배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효용 filed Critical 배효용
Priority to KR20200800116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513Y1/ko
Priority to PCT/KR2009/003095 priority patent/WO2009151264A2/ko
Publication of KR201000025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5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5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5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5Convex portions, e.g. with a bump or projection, e.g. 'Masai' type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2Helicoidal spring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창과 상기 중창의 하면에 마련되는 바닥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그 바닥면이 호형을 이루는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상부에 마련되는 기본 중창과 상기 기본 중창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본 중창보다 연한 재질로 된 보조 중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중창은 공기충진 공간을 이루는 함몰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중창은 상기 함몰홈을 상하로 가로지르는 복수의 보조 중창용 지지 기둥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본 중창과 상기 보조 중창간의 결합 또는 상기 보조 중창과 상기 바닥창간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함몰홈이 밀폐되면서 상기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중창에 상기 공기충진 공간과 상기 중창의 상면 뒤꿈치부위를 연통시키는 제1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중창에 상기 공기충진 공간과 상기 중창의 상면 앞꿈치부위를 연통시키는 제2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중창의 상면 뒤꿈치부위에 택숀 안착용 뒤꿈치부위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유동통로의 일단은 상기 택숀 안착용 뒤꿈치부위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중창의 상면 앞꿈치부위에 택숀 안착용 앞꿈치부위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기유동통로의 일단은 상기 택숀 안착용 앞꿈치부위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은 중창의 재질과 구조를 기본 중창과 보다 연질의 보조 중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기본 중창과 보조 중창이 결합된 구조에 의하여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뒤꿈치 부위가 적절한 쿠션을 가지도록 하며, 동시에 뒤꿈치부위에 형성된 공기충진 공간에 충진된 공기가 착지시의 충격을 통하여 신발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공기 유동을 통하여 발냄새나 땀 등의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착용자의 발을 항상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MIDSOLE OF SHOE FOR ACTIVE WALKING}
본 고안은 능동적으로 보행하기 위한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사람이 걸어다닐 때에 발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제작되어 사용되어 왔다. 통상의 신발 구조를 보면, 발등과 발목 부분을 보호하는 갑피와, 발바닥을 보호하면서 지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보행 주행성을 향상시키며 완충의 작용을 동시에 행하는 밑창으로 구성되는 바, 갑피를 밑창에 연결시킨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밑창은 미드솔(중창, midsole), 아웃솔(바닥창, outsol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최근 능동 보행용 신발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377822호 "능동적으로 굴러가는 도보장치"는, 신발의 뒷축이 없으며 신발의 밑창 바닥면이 호형을 이루는 능동 보행용 신발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신발을 일반적으로 "구름운동 신발", "능동 보행용 신발", "마사이 워킹 신발" 등으로 부르고 있다.
이와 같은 신발은 일반적인 보행을 i) 착지 단계, ii) 뒤꿈치에서 앞꿈치로의 중심이동 단계, iii) 앞꿈치가 지면을 밀어서 이탈하는 단계로 구분할 때, ii) 뒤꿈치에서 앞꿈치로의 중심이동 단계가 호형을 이루는 밑창 바닥면이 지면에 대하여 구름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능동 보행용 신발에 있어서, 그 착지시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또한 보다 효과적으로 구름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능동 보행용 신발은 뒤축이 없기 때문에 착지시의 충격을 어떻게 흡수할 것인지가 문제가 되며, 또한 착지 후 구름 동작으로 연결되기 위하여는 적절한 복원력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는, i) 밑창의 주요부를 이루는 중창의 재질을 적절히 선택하여 뒤꿈치 부위가 적절한 쿠션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방법과, ii) 밑창의 뒤꿈치 부위에 탄성을 가진 삽입체를 삽입하여 적절한 쿠션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방법이 있다.
본 고안은 중창의 재질과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뒤꿈치 부위가 적절한 쿠션을 가지도록 하며, 동시에 뒤꿈치부위에 형성된 공기충진 공간에 충진된 공기가 착지시의 충격을 통하여 신발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공기 유동을 통하여 발냄새나 땀 등의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착용자의 발을 항상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중창과 상기 중창의 하면에 마련되는 바닥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그 바닥면이 호형을 이루는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상부에 마련되는 기본 중창과 상기 기본 중창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본 중창보다 연한 재질로 된 보조 중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중창은 공기충진 공간을 이루는 함몰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중창은 상기 함몰홈을 상하로 가로지르는 복수의 보조 중창용 지지 기둥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본 중창과 상기 보조 중창간의 결합 또는 상기 보조 중창과 상기 바닥창간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함몰홈이 밀폐되면서 상기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중창에 상기 공기충진 공간과 상기 중창의 상면 뒤꿈치부위를 연통시키는 제1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중창에 상기 공기충진 공간과 상기 중창의 상면 앞꿈치부위를 연통시키는 제2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중창의 상면 뒤꿈치부위에 택숀 안착용 뒤꿈치부위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유동통로의 일단은 상기 택숀 안착용 뒤꿈치부위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중창의 상면 앞꿈치부위에 택숀 안착용 앞꿈치부위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기유동통로의 일단은 상기 택숀 안착용 앞꿈치부위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전후방향에 걸쳐 상기 중창의 상면과 근접하여 형태 유지용 판스프링이 삽입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전후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중창의 하면과 근접하여 상기 중창 하면의 호형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름 보조용 판스프링이 삽입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중창은 상기 기본 중창의 하부 전면에 걸쳐 마련되는 것이거나, 상기 보조 중창은 상기 기본 중창의 하부 후방에만 마련되어 상기 바닥창은 상기 기본 중창의 하면과 상기 보조 중창의 하면 모두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능동 보행용 신발에 있어서, 그 착지시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또한 보다 효과적으로 구름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중창의 재질과 구조를 기본 중창과 보다 연질의 보조 중창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기본 중창과 보조 중창이 결합된 구조에 의하여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뒤꿈치 부위가 적절한 쿠션을 가지도록 하며, 동시에 뒤꿈치부위에 형성된 공기충진 공간에 충진된 공기가 착지시의 충격을 통하여 신발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공기 유동을 통하여 발냄새나 땀 등의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어 착용자의 발을 항상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례에 따라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을 하부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구름보조용 판스프링의 배치를 보이기 위한 가상 평면도, 도 6은 구름보조용 판스프링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구름보조용 판스프링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례의 신발 밑창은 크게 중창(100)과 바닥창(200)으로 밑창이 구성되며, 중창(100)의 상부에는 택숀(300)이 마련된다. 또한 중창(100)은 기본 중창(110)과 보조 중창(120)으로 구분된다.
기본 중창(110)과 보조 중창(120)은 모두 쿠션을 가진 합성수지(가령, PU합성수지)로 이루어지나, 보조 중창(120)은 기본 중창(110)에 비하여 보다 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기본 중창(110)은 전체적인 신발의 골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다 경질로 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 반면, 보조 중창(120)은 쿠션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다 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가수분해를 방지하기 위한 경도를 유지하였다.
보조 중창(120)은 기본 중창(110)의 하부 후방에만 마련되며, 따라서 바닥창(200)은 기본 중창(110)의 하면과 보조 중창(120)의 하면 모두에 접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기본 중창(110)과 보조 중창(120)으로 구성된 중창(100)은 그 바닥면이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호형을 이루게 되어 능동 보형용 신발 밑창의 기본 골격을 형성하며, 상기와 같은 중창(100)의 하부에 바닥창(200)이 마련되어 전체적인 밑창 을 이루게 되며, 따라서 밑창은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호형을 이루게 된다.
기본 중창(110)의 내부에는 인서트 몰딩 형식에 의하여 형태 유지용 판스프링(111)이 삽입 마련된다. 형태 유지용 판스프링(111)은 판 형태로서 기본 중창(110)의 전후방향에 걸쳐 중창(110)의 상면에 근접하여 마련되어 오랜 기간의 신발의 사용에도 중창(100)의 형태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형태 유지용 판스프링(111)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혹은 탄성을 가진 경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기본 중창(110)과 보조 중창(120)이 서로 결합되면서 중창(100)의 뒤꿈치부위에 공기충진 공간(130)이 형성된다.
공기충진 공간(130)을 형성하기 위하여 보조 중창(120)의 상면 뒤꿈치부위에 하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되는 함몰홈(122)이 형성된다.
즉, 기본 중창(110)과 함몰홈(122)을 갖는 보조 중창(120)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공기가 충진될 수 있는 공기충진 공간(13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기본 중창(110)에는 공기충진 공간(130)과 기본 중창(110)의 상면 뒤꿈치부위를 연통시키는 제1공기유동통로(101)가 형성된다. 즉, 제1공기유동통로(101)는 공기충진 공간(130)을 형성하는 기본 중창(110)의 하면과 기본 중창(110)의 상면을 연통시키는 통로이다.
한편, 기본 중창(110)의 상면 뒤꿈치부위에는 택숀 안착용 뒤꿈치부위 돌출부(116)가 기본 중창(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돌출된 높이는 택숀(300)의 두께와 동일하며, 택숀 안착용 뒤꿈치부위 돌출부(116)의 상면에 제1공기유동통로(101)의 일단이 형성된다.
또한 기본 중창(110)에는 공기충진 공간(130)과 기본 중창(110)의 상면 앞꿈치부위를 연통시키는 제2공기유동통로(102)가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2공기유동통로(102)가 함몰홈(122)에서 시작하여 기본 중창(110)의 중앙을 따라 앞꿈치부위로 연장된 후 기본 중창(110)의 상면 앞꿈치부위로 연장되도록 하였다.
한편, 기본 중창(110)의 상면 앞꿈치부위에는 택숀 안착용 앞꿈치부위 돌출부(117)가 기본 중창(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돌출된 높이는 택숀(300)의 두께와 동일하며, 택숀 안착용 앞꿈치부위 돌출부(117)의 상면에 제2공기유동통로(102)의 일단이 형성된다.
택숀 안착용 뒤꿈치부위 돌출부(116) 및 택숀 안착용 앞꿈치부위 돌출부(117)는 기본 중창(100)의 상면에 택숀(300)이 접착 결합될 때 택숀(300)에 형성된 뒤꿈치구멍(301) 및 앞꿈치구멍(302)으로 삽입되어 결합되어 택숀(300)의 안착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돌출부(116, 117)가 돌출된 높이가 택숀(300)의 두께와 동일하게 됨으로써 신발 착용자의 발바닥이 택숀 안착용 뒤꿈치부위 돌출부(116) 및 택숀 안착용 앞꿈치부위 돌출부(117)에 각각 형성된 제1공기유동통로(101) 및 제2공기유동통로(102)의 일단들을 각각 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함몰홈(122)의 하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복수의 보조 중창용 지지 기둥부(123)가 돌출 형성된다.
즉, 보조 중창용 지지 기둥부(123)는 기본 중창(110)의 하면과 접하게 되어, 마치 지지 기둥부들(123)이 공기충진 공간(130)을 상하로 가로지르면서 공기충진 공간(130)을 지지하는 기둥들처럼 마련된다.
또한 지지 기둥부들(123)의 배치 구조는 발 내측으로부터 발 외측으로 향하면서 2개의 열을 이루고 있으며, 발 외측에 배치된 지지 기둥부들은 발 내측에 배치된 지지 기둥부들에 비하여 넓은 단면적을 가진다.
이는 신발 착용자가 신발을 착용할 때 발 내측보다는 발 외측에 비교적 큰 하중이 걸리는 것을 감안하여 지지 기둥부들이 발 외측을 보다 큰 하중을 지지하도록 설계하여 신발 착용자가 자세를 바르게 하여 효과적인 보행이 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기본 중창(110)의 전후방향의 중앙부에 기본 중창(110)의 하면과 근접하여 구름 보조용 판스프링(400)이 인서트 몰딩 방식에 의하여 삽입 마련된다. 구름 보조용 판스프링(400)은 판 형태로서 중창(100)의 전후방향의 중앙부에 중창(100)의 하면과 근접하여 마련되어, 밑창의 하부 중간부가 지면에 대하여 굴러갈 때 밑창의 형태를 유지하여 구름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구름 보조용 판스프링(400)은 기본 중창(110)과 구름 보조용 판스프링(400)의 긴밀한 결합을 위하여 다수의 관통공(4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401)에는 인서트 몰딩시 기본 중창(110)의 재료가 충진되어 기본 중창(110)과 구름 보조용 판스프링(400)이 보다 긴밀히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구름 보조용 판스프링(400)의 하부에는 중창의 전후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2개의 구름용 돌출부(402)가 형성되어 있다. 구름용 돌출부(402)는 구름 보조용 판스프링(40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되어 신발의 구름시 힘을 받는 접지면적을 감소시켜 신발의 구름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름 보조용 판스프링(400)은 금속 소재로 만들어지거나 일정 정도의 탄성을 가진 경질의 합성수지판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하 본 실시례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신발 밑창을 이용한 신발을 신고 보행 동작을 할 때, 착지시에 공기충진 공간(130)에 충진된 공기가 제2공기유동통로(102)를 따라 신발 내부의 앞꿈치부위로 배출된다. 즉, 착지시에 제1공기유동통로(101)는 발뒤꿈치에 의하여 그 상단이 막힌 상태가 되고, 제2공기유동통로(102)는 그 상단이 열린 상태가 되어 공기충진 공간(130)에 충진된 공기가 제2공기유동통로(102)를 따라 신발 내부의 앞꿈치부위로 배출된다.
또한 착지시의 충격은 공기충진 공간(130) 내부에 충진된 공기가 제1공기유동통로(101)를 따라 빠져나가면서 공기 흐름에 대한 저항으로 충격이 완충될 뿐만 아니라 그 충격 에너지는 보조 중창용 지지 기둥부(123)가 압축되면서 그 충격이 완화된다.
이와 같은 착지 동작후 뒤꿈치에서 앞꿈치로 중심이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동작은 능동 보행용 신발의 호형 바닥면이 지면에 대하여 굴러가면서 발생한다.
이와 같은 구름은 착지시에 압축된 보조 중창용 지지 기둥부(123)가 복원하 면서 그 복원되는 힘에 의하여 구름 동작이 가속화된다.
또한 발바닥의 앞꿈치가 밑창의 앞꿈치부위에 접하게 되는 동시에 발바닥의 뒤꿈치가 밑창의 뒤꿈치부위와 이격됨으로써 제2공기유동통로(102)의 상단이 막힌 상태로 변화되고 제1공기유동통로(101)의 상단이 열린 상태로 변화되면서 공기충진 공간(130) 내부로 제1공기유동통로(101)를 따라 공기가 유입되어 복원 효과가 더욱 상승할 뿐만 아니라, 신발 내부에서 제1공기유동통로(101)를 통한 공기의 배출과 제2공기유동통로(102)를 통한 공기의 유입이라는 공기의 순환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례의 신발은 신발 전후방향의 중앙부에 마련된 구름 보조용 판스프링(400)에 의하여 구름 동작이 더욱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능동 보행용 신발은, 구름 동작시 쿠션을 가진 중창이 착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압축되면서 그 호형 바닥면이 붕괴된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례의 신발은 구름 보조용 판스프링(400)에 의하여 구름 동작시에도 호형 바닥면의 형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이러한 작용의 차이는 동일한 형태의 능동 보행용 신발에 있어서, 종래 기술이 공기압이 빠진 타이어를 이용하여 굴러간다면 본 실시례는 공기압이 가득찬 상태로 굴러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례는 구름 보조용 판스프링(400)에 형성된 구름용 돌출부(402)에 의하여 착용자의 체중이 구름용 돌출부(402)에 집중되면서 지면에 지지되며, 따라서 접지압이 발생하는 면적이 극히 감소되어 접지압에 의한 마찰을 감소시켜 구름 동작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례의 변형례 1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례의 변형례 1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 도 9는 도 8의 보조 중창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보조 중창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례는 제1실시례와 대비하여, 공기충진 공간(130)이 보조 중창(120)과 바닥창(200)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보조 중창(120)은 하면 뒤꿈치 부위에 상부를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홈(122)이 형성된다.
따라서 함몰홈(122)이 형성된 보조 중창(120)과 바닥창(200)이 서로 결합됨으로써 공기가 충진될 수 있는 공기충진 공간(13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함몰홈(122)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 복수의 보조 중창용 지지 기둥부(123)는 바닥창(200)의 상면과 접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제1공기유동통로(101) 및 제2공기유동통로(102)를 형성하기 위하여 보조 중창(120)에도 제1공기유동통로(101) 및 제2공기유동통로(102)를 형성하는 통로 내지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례의 변형례 2 및 변형례 3을 설명한다.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례의 변형례 2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 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례의 변형례 3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이다.
제1실시례의 변형례 2는 제1실시례와 대비하여, 제1실시례의 변형례 3은 제1실시례의 변형례 1과 대비하여 구름보조용 판스프링(400)이 마련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제1공기유동통로(101)가 기본 중창(110)의 바닥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나머지 점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례를 설명한다.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례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3을 하부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결합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이다.
본 실시례가 제1실시례와 상이한 점은 보조 중창(120)의 형태이다.
본 실시례의 보조 중창(120)은 기본 중창(110)의 하부 전면에 걸쳐 마련된다.
따라서 바닥창(200)은 그 상면이 대부분 보조 중창(120)과 접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구름보조용 판스프링(400)이 보조 중창(120) 내부에 마련된다. 이는 구름보조용 판스프링(400)이 가급적 중창(100)의 하면에 근접하여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2공기유동통로(102)는 공기충진 공간(130)으로부터 기본 중창(110)의 하면을 따라 앞꿈치부위로 연장된 후 기본 중창(110)의 상면 앞꿈치부위까지 연결 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례의 변형례 1을 설명한다.
도 17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례의 변형례 1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보조 중창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보조 중창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례는 제1실시례를 제1실시례의 변형례 1로 변형한 것과 같이, 제2실시례를 변형시킨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례의 변형례 2 및 변형례 3을 설명한다.
도 20은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례의 변형례 2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 도 21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례의 변형례 3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이다.
제2실시례의 변형례 2는 제2실시례와 대비하여, 제2실시례의 변형례 3은 제2실시례의 변형례 1과 대비하여 구름보조용 판스프링(400)이 마련되지 않는다는 점만이 상이하며 나머지 점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상기의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능동 보행용 신발의 신발 밑창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례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을 하부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구름보조용 판스프링의 배치를 보이기 위한 가상 평면도,
도 6은 구름보조용 판스프링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구름보조용 판스프링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례의 변형례 1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
도 9는 도 8의 보조 중창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도 8의 보조 중창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례의 변형례 2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의한 제1실시례의 변형례 3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
도 13은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례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3을 하부에서 바라본 분리 사시도,
도 15는 도 13의 결합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
도 17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례의 변형례 1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보조 중창을 상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보조 중창을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0은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례의 변형례 2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
도 21는 본 고안에 의한 제2실시례의 변형례 3의 정면도, 단면도, 분리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중창
101 : 제1공기유동통로 102 : 제2공기유동통로
110 : 기본 중창 111 : 형태유지용 판스프링
116 : 택숀 안착용 뒤꿈치부위 돌출부
117 : 택숀 안착용 앞꿈치부위 돌출부
120 : 보조 중창
122 : 함몰홈 123 : 보조 중창용 지지 기둥부
130 : 공기충진 공간
200 : 바닥창
300 : 택숀 301 : 뒤꿈치구멍
302 : 앞꿈치구멍
400 : 구름보조용 판스프링 401 : 관통공
402 : 구름용 돌출부
삭제

Claims (6)

  1. 중창과 상기 중창의 하면에 마련되는 바닥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그 바닥면이 호형을 이루는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에 있어서,
    상기 중창은 상부에 마련되는 기본 중창과 상기 기본 중창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기본 중창보다 연한 재질로 된 보조 중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 중창은 공기충진 공간을 이루는 함몰홈이 형성되며, 상기 보조 중창은 상기 함몰홈을 상하로 가로지르는 복수의 보조 중창용 지지 기둥부가 형성되며, 상기 기본 중창과 상기 보조 중창간의 결합 또는 상기 보조 중창과 상기 바닥창간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함몰홈이 밀폐되면서 상기 공기충진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중창에 상기 공기충진 공간과 상기 중창의 상면 뒤꿈치부위를 연통시키는 제1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중창에 상기 공기충진 공간과 상기 중창의 상면 앞꿈치부위를 연통시키는 제2공기유동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중창의 상면 뒤꿈치부위에 택숀 안착용 뒤꿈치부위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기유동통로의 일단은 상기 택숀 안착용 뒤꿈치부위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중창의 상면 앞꿈치부위에 택숀 안착용 앞꿈치부위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기유동통로의 일단은 상기 택숀 안착용 앞꿈치부위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전후방향에 걸쳐 상기 중창의 상면과 근접하여 형태 유지용 판스프링이 삽입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창의 전후방향의 중앙부에 상기 중창의 하면과 근접하여 상기 중창 하면의 호형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름 보조용 판스프링이 삽입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중창은 상기 기본 중창의 하부 전면에 걸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중창은 상기 기본 중창의 하부 후방에만 마련되며, 상기 바닥창은 상기 기본 중창의 하면과 상기 보조 중창의 하면 모두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6. 삭제
KR2020080011640U 2008-06-10 2008-08-29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KR2004555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640U KR200455513Y1 (ko) 2008-08-29 2008-08-29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PCT/KR2009/003095 WO2009151264A2 (ko) 2008-06-10 2009-06-09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및 능동 보행용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1640U KR200455513Y1 (ko) 2008-08-29 2008-08-29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589U KR20100002589U (ko) 2010-03-10
KR200455513Y1 true KR200455513Y1 (ko) 2011-09-14

Family

ID=44197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1640U KR200455513Y1 (ko) 2008-06-10 2008-08-29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5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249B1 (ko) * 2020-03-17 2020-08-19 박정일 통풍 기능이 구비된 신발 제조 시 사용되는 미드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0010359U1 (de) * 2010-07-16 2010-10-21 Ds Produkte Gmbh Schu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905A (ja) * 1995-08-31 1997-03-11 Seiji Matsushita 履物及び履物用中敷き
KR100800060B1 (ko) * 2007-06-01 2008-02-01 (주)알와이엔코리아 에어백 및 상하터널부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전문 롤링신발장착용 미드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5905A (ja) * 1995-08-31 1997-03-11 Seiji Matsushita 履物及び履物用中敷き
KR100800060B1 (ko) * 2007-06-01 2008-02-01 (주)알와이엔코리아 에어백 및 상하터널부가 내장된 마사이워킹전문 롤링신발장착용 미드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249B1 (ko) * 2020-03-17 2020-08-19 박정일 통풍 기능이 구비된 신발 제조 시 사용되는 미드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589U (ko)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7428B2 (en) Article of footwear with elongated shock absorbing heel system
EP2770861B1 (en) Dual-density insole with a molded geometry
KR101752984B1 (ko) 플레이트 완화형 유체 충전 블래더 및/또는 발포체 타입 충격력 완화 부재를 갖는 밑창 구조체 및 신발류 물품
US5933983A (en) Shock-absorbing system for shoe
JP2019115823A (ja) シューズ用ソールおよびシューズ
US20110072684A1 (en) Support structures in footwear
US20070107259A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midsole having higher density peripheral portion
CN101431911A (zh) 具有带有板和形成在其内的凹陷的支撑组件的鞋类物品
US20130318828A1 (en) Two-part sole for footwear
US10383391B2 (en) Shock absorbing structure and shoe to which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is applied
JP7380995B2 (ja) 軟弾性ミッドソールを備えたランニングシューズのソール
CN101431912B (zh) 缓冲构件
KR100907740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 및 공기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기능성 신발
KR100518307B1 (ko) 신발
KR100886834B1 (ko) 신발용 에어쿠션 안창 및 신발
KR200455513Y1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WO2009082164A1 (en) High-heeled shoes for women
KR101298196B1 (ko) 보행 안정성을 강화시킨 기능성 신발창.
KR101251572B1 (ko)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KR200443935Y1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KR19990069793A (ko) 신발의 쿠션완충장치
KR200444068Y1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KR20120136258A (ko) 반발탄성과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창
KR100902029B1 (ko) 쿠션 신발 및 쿠션 깔창
KR20100000471U (ko) 능동 보행용 신발 밑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