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637B1 - 클램핑 칼라 - Google Patents

클램핑 칼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637B1
KR100759637B1 KR1020037008153A KR20037008153A KR100759637B1 KR 100759637 B1 KR100759637 B1 KR 100759637B1 KR 1020037008153 A KR1020037008153 A KR 1020037008153A KR 20037008153 A KR20037008153 A KR 20037008153A KR 100759637 B1 KR100759637 B1 KR 100759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hook
clamping collar
protrusion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5549A (ko
Inventor
시덴브누아
푸끄레시리악
굴레빠릭
Original Assignee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016614A external-priority patent/FR2818351B1/fr
Application filed by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filed Critical 에따블리스망 까이요
Publication of KR20030065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5Hose-clips fixed by means of teeth or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02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25Hose-clips tightened by deforming radially extending loops or f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8End-to-end integral band end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14Bale and package ties, hose clamps
    • Y10T24/1457Metal bands
    • Y10T24/1482Ratchet and tool tightened band cla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클램핑 칼라는 클램핑 체결 상태에서 돌기부(12)에 끼우는데 적합한 후크(22)를 구비한다. 이 클램핑 칼라는 후크(22)를 지지하는 단부에 고정된 혀부(14)를 구비한다. 돌기부(12)는 클램핑 칼라가 미체결된 상태에서 후크(22)쪽으로 대면하는 프리에지(12A)를 구비하며, 혀부는 클램핑 칼라가 미체결 상태에서 돌기부(12)의 아래에 제공된 캐비티(28)에 위치하고 프리에지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부재(26A, 26B)를 지지한다. 또, 혀부는 후킹작용 동안 돌기부를 안내하거나 및/또는 후크에 대한 접촉부를 형성하도록 돌기부의 프리에지와 정렬되는 부조된 안내편(40)을 갖는다.

Description

클램핑 칼라{CLAMPING COLLAR}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말아 올려진 금속 스트립을 형성하며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수단을 구비하는 클램핑 칼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에는 각각 클램칭 체결 칼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lug)와 후크(hook)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핑 칼라는 상기 후크가 상기 돌기부에 끼위진 체결 상태와 상기 후크와 상기 돌기부가 이격된 미체결 상태를 유지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클램핑 칼라는 상기 제1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미체결 상태에서 상기 후크와 돌기부의 사이에서 상기 칼라의 외주의 실질적인 둘레로 연장하는 혀부(tongue)와 상기 칼라의 미체결 상태에서 상기 칼라의 제2 단부에 대하여 상기 혀부가 상기 칼라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적합한 프리후킹(pre-hooking)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종류의 클램핑 칼라는, 예를 들면 특허출원 FR-A-2 729 733호에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내측"의 제1 스트립부의 2개의 자유단부 각각에는 돌기부와 혀부가 형성되어 있지만, 후크는 혀부의 영역에 있는 내측부에 고정된 "외측"의 제2 스트립부의 자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상기 특허출원 FR-A-2 729 733호를 참조하여 일예로서 정의된 스트립부들은 자체적으로 말아 올려진 금속 스트립을 형 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통상적으로, 후크와 돌기부는 이러한 금속 스트립을 형성하는 수단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에 각각 형성된다고 간주한다.
상기 특허출원 FR-A-2 729 733호에서, 프리후킹 수단은 돌기부를 넘어 위치한 길이방향 슬롯과, 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길이방향 슬롯을 관통하는 방사상으로 겹쳐 구부러진 폴딩 팁 등의 스터드(stud)를 구비한다.
상기 혀부는 돌기부의 아래로 칼라의 제1 단부쪽 방향으로 돌기부의 뒤쪽에 있는 영역까지 연장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하며, 상기 영역에는 상기 길이방향 슬롯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필요한 것은, 칼라의 동작중인 클램핑 체결 길이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재료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상기 클램핑 체결 길이를 축소하기 위하여, 길이방향 슬롯을 칼라의 제1 단부쪽 방향으로 돌기부의 바로 뒤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어 있는 동안 상당한 응력(stress)이 가해지는 영역에는 윈도우(window)가 놓이게 된다. 길이방향 슬롯이 존재함으로써, 상기 영역에서의 스트립의 세기는 국부적으로 감소하게 되고, 이것은 클램핑 체결작용 동안 높은 응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어떠한 경우에서도,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혀부는 비교적 길기 때문에, 칼라를 제조하는데 상당한 양의 재료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것은 작은 직경을 갖는 칼라에서는 문제점으로 되며, 이러한 이유 때문에, 혀부의 길이가 클램핑 체결되는 대상체의 주변부의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의 부분, 예컨대 상기 주변부의 대략 1/3이 되는 경우도 있다. 클램핑 체결동작 동안, 적절한 곡률을 유지하면서 혀부를 상기 대상체에 대하여 주어진 길이 이상으로 무리하게 이동시키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을 개선하는 것이며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소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가 체결되어 있지 않은 미체결 상태에서 돌기부가 후크쪽으로 대면하는 프리에지(free edge)를 구비하는 것과, 칼라의 미체결 상태에서 혀부가 돌기부의 아래에 제공되어 있는 캐비티에 놓이며 상기 돌기부의 프리에지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 부재를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혀부가 지지하는 유지부재는 칼라에 의하여 형성된 스트립에 제공되는 어떠한 윈도우와도 연동을 행하지 않고 돌기부의 프리에지와 직접 연동을 행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돌기부의 뒤쪽에서 돌기부에 근접해 있으며 체결동작 동안 높은 응력을 받는 스트립부에 규모가 큰 윈도우를 위치시키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리후킹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혀부의 길이는 상기 혀부를 유지하는 유지부재가 돌기부의 프리에지에 도달하기에 충분하여야 하며,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혀부에 있는 프리에지에 근접해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혀부를 돌기부의 뒤쪽까지 연장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돌기부는 그 오목면이 칼라의 안쪽을 향해서 대면하여 캐비티를 형성하도록 파동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돌기부는 간단하게 형성되며, 서로 접촉하는 2개의 겹쳐 서 구부러진 폴드부로 형성되는 상기 특허출원 FR-A-2 729 733호에 개시된 돌기부와는 달리, 상기 캐비티를 구성하는 함몰부(setback)가 제공된 파동모양을 함께 형성하는 2개의 폴드부로 형성된다. 이러한 파동모양은, 칼라를 클램핑 체결하는데 요구되는 정도의 강성(stiffness)을 돌기부에 부여하기에 충분한 가공경화(work-hardening)에 대응(특히, 자체의 곡률반경에 의해서)하게 형성된다.
유지부재는 혀부에 대하여 칼라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혀부는 상기 후크쪽으로 대면하는 프리에지를 갖도록, 상기 스트립으로부터 절단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립에 대하여 직립해 있는 탭에 의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지부재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유지를 위한 유지탭은 높은 생산율에 적합한 단순한 절단 및 부분적인 폴딩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돌기부의 프리에지는 상기 탭의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는데 적합한 뒤쪽으로 접어 구부린 폴딩백(folded-back)의 입술모양 가장자리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기부의 프리에지는, 유지부재가 돌기부의 프리에지부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사부를 갖도록 약간 안쪽으로 뒤로 접어 구부리게 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뒤쪽으로 접어 구부린 입술모양 가장자리부의 각각을 국부적으로 폴딩백 부분의 모양으로 구현하도록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프리에지는 폴딩백의 입술모양 가장자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안쪽으로 폴딩백된 하나 이상의 폴딩백 탭 또는 연장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체적으로 말아 올려진 금속 스트립을 형성하며 제1 및 제2 단부를 갖는 수단을 구비하는 클램핑 칼라를 제공하는데, 상기 제1 및 제2 단부에는 각각 클램칭 체결 칼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와 후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핑 칼라는 상기 후크가 상기 돌기부에 끼위진 체결 상태와 상기 후크와 상기 돌기부가 이격된 미체결 상태를 유지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클램핑 칼라는 상기 제1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미체결 상태에서 상기 후크와 돌기부의 사이에서 상기 칼라의 외주의 실질적인 둘레로 연장하는 혀부를 추가로 구비한다.
상기 언급한 특허출원 FR-A-2 729 733호에서, 후크는 돌기부와 혀부를 각각 자체의 2개씩의 자유단부 각각에서 지지하는 내측 스트립부에 고정된 외측 스트립부와 일체로 되어 있다. 칼라를 클램핑 체결하기 위하여, 혀부를 돌기부의 아래로 미끄러지게 하여 칼라의 직경을 감소시키고, 후크는 돌기부쪽으로 돌기부에 끼워질 때까지 이동한다. 클램핑 체결을 위한 이동 동작 동안, 상기 특허출원 FR-A-2 729 733호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측 스트립부가 내측 스트립부에 고정되는 지점과 후크 사이에서 탄성보유부를 형성하는 파동부가 상기 외측 스트립부상에 배치되는 범위에 있어서는 상기 혀부에 대하여 후크가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파동부는 상기 후크가 혀부에 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특허출원 FR-A-2 729 733호에서는 혀부를 지지하는 내측 스트립부의 영역과 외측 스트립부에 각각 포함되는 접촉수단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는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어 있는 동안 후크가 혀부를 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보유부가 개방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 탄성보유부에는 자체의 탄성 한도가 초과 될 수 있기 때문에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어 있는 동안 과도한 응력이 가해져서는 안된다.
이러한 구성들은 매우 효율적인 것으로 증명되고 있지만, 후크에 체결력이 필요한 경우에, 돌기부에 있는 후크는 특히 체결력이 높기 때문에, 후크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서 후크가 비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특히, 후크는 후킹 작용과 클램핑 체결 작용이 신뢰성을 위하여 스트립을 바깥쪽으로 폴딩하여 형성되므로, 클램핑 체결 작용과 후킹 작용 동안에 폴딩이 거꾸로 변형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특허출원 FR-A-2 729 733호에 개시되어 있는 칼라의 경우에는, 후크가 변형될 가능성이 있거나 혀부에 대하여 바람직하지 않게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후킹 작용의 신뢰성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후크와 대면하고 있는 돌기부의 상면은 후킹 작용 동안 후크가 이동하는 계단부(ramp)로 형성된다. 후크는 그 이동 동안 돌기부에 대하여 적절하게 안내되어야 하며, 상기 특허출원 FR-A-2 729 733호에서, 돌기부의 상면에는 돌출부 또는 리브(rib)가 제공되는 반면, 후크의 프리에지에는 후크가 돌기부에 대하여 측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리브와 연동하는 노치(notch)가 제공된다. 이와 유사한 구성이 EP-A-0 636 826호에 명확하게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출원 FR-A-2 729 733호의 칼라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는 극단적인 상황이 개시되어 있다. 후크와 돌기부는 초기에는 이격되어 있다.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어 있는 동안, 후크와 돌기부가 서로 접촉할 때까 지 근접시켜기 위하여 제1의 직경축소 단계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제2의 직경축소 단계는 후크를 돌기부를 넘어 돌기부의 뒤쪽에 끼워질 때까지 미끄러지게 한다. 후크의 프리에지에 제공되는 노치와 돌기부상에 제공된 돌출부 또는 리브는 상기 제2의 직경축소 단계 동안 서로에 대하여 2개의 구성요소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의 직경축소 단계 동안, 혀부는 안내되지 않고 돌기부를 지지하는 스트립 단부의 아래로 미끄러진다. 만일 제1의 직경축소 단계 동안 돌기부가 혀부에 대하여 약간 횡으로 이동한다면, 돌기부는 후크와 어긋난 위치에서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후킹 작용에 어려움이 생기거나 신뢰성을 갖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특허출원 FR-A-2 729 733호에 개시되어 있는 칼라를 개선하여 후킹 작용을 더 신뢰성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칼라가 미체결된 상태에서 돌기부가 후크쪽으로 향해 있으며 노치가 제공되는 프리에지를 가지는 것과, 혀부가 그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노치와 정렬되는 부조된 안내편(guide piece in relief)을 지지하는 것과, 칼라가 클램핑 체결된 상태에서 돌기부와 이 돌기부에 끼워진 후크로 형성되는 조립체의 아래에서 칼라가 상기 부조된 안내편을 수용하는 수용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부조된 안내편은 돌기부를 혀부를 따라 안내하거나 및/또는 후크에 대한 접촉부를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부조된 안내편은 안내 기능을 수행하는데 적합한데, 이는 돌기부와 후크를 서로 근접시키는 것에 대응하는 제1의 직경축소 단계 동안, 돌기부를 혀부에 대하 여 안내(노치를 통하여)하는 것이 가능하여, 돌기부가 후크와 접촉하기에 바람직한 위치에 있게 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제2의 직경축소 단계에서, 돌기부의 상면과 후크의 프리에지를 적절하게 형성함으로써 후크가 돌기부를 넘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후킹 작용 동안 혀부상에 후크의 오프셋을 형성하는 것은 후크의 기저부와 부조된 안내편 사이에서의 접촉 연동에 의하여 제한된다.
따라서, 부조된 안내편은 후킹 작용이 완전하게 되기 전의 돌기부의 접근 단계에서 보조하는 수단과, 후킹 작용 동안 후크의 바람직하지 않은 변형을 피하는 안전 수단을 구비한다. 일단 후킹 작용이 달성되면, 부조된 안내편은 후크와 돌기부로 형성된 조립체의 아래에 수용되기 때문에, 어떠한 장애요인도 없다.
칼라가 클램핑 체결된 상태에서 돌기부가 혀부에 대하여 칼라가 클램핑 체결된 방향의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칼라는 부조된 안내편과의 연동에 적당한 쐐기식 고정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에 의하여, 부조된 안내편은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후크가 후킹 작용으로 고정되면 혀부에 대하여 이동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칼라를 클램핑 체결 위치에 더 고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쐐기식 고정면은 돌기부의 노치의 에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조된 안내편은 부조된 영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잘 이해될 것이며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닌 예로서 나타낸 실시예 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그 이점이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도면을 참조한다.
도 1은 클램핑 체결되지 않은 프리후킹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칼라로서, 축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상에서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클램핑 체결된 상태에서의 칼라를 나타내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방향(Ⅲ)에서 봤을 때의 후크가 없는 칼라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과 동일 방향에서 봤을 때의 칼라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화살표(Ⅴ)를 따라 봤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화살표(Ⅵ)를 따라 봤을 때의 혀부와 후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변형예로서의 칼라의 혀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라인(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칼라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체적으로 말아 올려져 있으며 돌기부(12)를 지지하는 제1 단부(10A)와 혀부(14)를 지지하는 제2 단부(10B)가 있는 내측 스트립부(10)를 구비한다. 또, 칼라는 후크(22)를 지지하는 자유단부(20A)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로부터 반대쪽의 그 단부(20B)의 부근에 리벳(24) 등으로 내측 스트립부(10)에 고정된 외측 스트립부(20)를 구비한다.
이하, "내측"이라는 용어는 칼라의 축(A)에 가까이 있는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외측"이라는 용어는 상기 축(A)으로부터 멀리 있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 내측 및 외측 스트립부는 "자체적으로 말아 올려진 금속 스트립을 형성하는 수단"을 형성한다. 이하, 상기 단부(20A, 10A)는 각각 상기 금속 스트립을 형성하는 수단의 제1 및 제2 단부를 각각 구성한다.
도 1에서, 칼라는 클램핑 체결되지 않은 미체결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후크(22)와 돌기부(12)가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상태는 폐쇄된 상태, 즉 안쪽 둘레가 폐쇄된 원형을 형성하게 된다. 내측 스트립부(10)는 1번 이상 말아 올려져 있다. 이를 위하여, 혀부(14)는 프리후킹 수단에 의하여 칼라의 제2 단부(10A)에 대하여 유지되어 있다.
혀부(14)는 상기 돌기부(12)쪽으로 후크(22)를 넘어 후크(22)의 아래로 연장하는 단부 스트립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혀부가 있음으로 해서, 후크의 아래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체결되어 있는 대상체와 스트립 사이에서 서로 지지하면서 접촉된 것에 대하여 생길 수 있는 끊어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예에서, 혀부(14)는 후크(22)로부터 자유단부쪽으로 연장하는 내측 스트립부(10)의 단부로 구성된다. 이 혀부는 내측 스트립부에 고정된 외부 스트립부(20)에 의하여 칼라의 제1 자유단부(20A)에 고정된다.
돌기부(12)의 프리에지(12A)는 후크(22)쪽으로 대면하고 있다. 이 프리에지(12A)는 내측 스트립부(10)의 자유단부(10A)를 형성한다. 이 자유단부에서, 혀부에 2개의 유지탭(26A, 26B)이 제공되는데, 이 2개의 유지탭은 클램핑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돌기부의 아래에서 서로 맞물려서 프리에지(12A)와 연동한다.
돌기부(12)의 아래에는 칼라의 안쪽으로 향하는 오목면이 있는 거의 파동모양인 캐비티(28)가 제공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말해서, 내측 스트립부(10)의 정상 부분으로부터 보면, 돌기부는 다리부(30)를 형성하는 제1 폴드부를 구비하는데, 이 다리부(30)는 후크(22)의 프리에지에 대하여 후크로 고정시킬 수 있는 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칼라로부터 거의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약간 후방(돌기부의 프리에지(12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 다리부(30)에서 보면, 돌기부의 상면(12B)은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칼라의 안쪽인 프리에지(12A)쪽의 방향으로 약간 경사진 브리지(bridge)를 형성하여 프리에지(12A)쪽으로 연장됨으로써, 계단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후킹 동작 동안 후크의 프리에지와 연동하여 후크가 돌기부를 넘어 다리부(30)에 끼워지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프리에지(12A)는 돌기부의 안쪽에 다리부(30)쪽으로 경사진 프리후킹 부분을 형성하는 뒤쪽으로 겹쳐 구부러진 폴딩백 입술모양 가장자리부를 가짐으로써, 유지탭의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게 되어 신뢰성 있는 프리후킹 동작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유지탭(26A, 26B)이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프리에지(12A)는 유지탭과 각각 연동하는 2개의 폴딩백 탭(32A, 32B)을 갖는다.
상기 유지탭은 혀부(14)의 자유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약간 직립해 있기 때 문에, 유지탭의 각각의 자유단부(27A, 27B)는 후크(22)쪽으로 대면하고 있다.
도면을 더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도 4는 돌기부(12)가 탭(26A, 26B)과 연동하지 않는 위치를 나타낸다. 이러한 칼라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 상태에서 보면, 폴딩백 탭(32A, 32B)이 유지탭(26A, 26B)의 하부에 자연적으로 맞물리게 될 때까지 돌기부(12)가 혀부를 따라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프리후크 상태가 된다(따라서, 탭(26A, 26B)은 돌기부의 프리에지에 대하여 계단부를 구성하게 된다).
도 4와 도 6에 더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혀부는 포크모양(fork-shaped)의 자유단부를 갖는다. 혀부의 자유단부에는 중앙 절단부(34)가 제공되며, 포크모양에서 갈라진 2개의 프롱부(prongs)(34A, 34B)가 상기 중앙 절단부의 양측상에 있게 된다. 이들 2개의 프롱부(34A, 34B)는 안쪽면상에서 유지탭(26A, 26B)을 지지한다.
유지탭(26A, 26B)의 아래에서 맞물림으로써, 폴딩백 탭(32A, 32B)은 절단부(34)의 안쪽으로 관통하게 되고, 절단부의 길이방향 에지에 대하여 횡으로 쐐기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돌기부(12)가 혀부에 대하여 횡으로 쐐기식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돌기부(12)는 그 프리에지(12A)상에 이하 설명하는 기능을 갖는 노치(12C)가 제공된다. 상기 노치의 2개의 대향 에지의 각각에 폴딩백 탭(32A, 32B)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칼라는 어느 정도 신축성이 있는, 예를 들어 고무나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파이프를 경질 튜브에 체결하는 기능을 한다. 통상적으로, 파이프 는 유체를 운반하는 기능을 하며, 파이프와 튜브간의 결합부를 봉합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칼라의 내면과 파이프간의 서로 지지하는 접촉에서 끊어진 부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공지된 방식에서, 내측 스트립부(10)에는 길이방향 융기부(bulge)(36)가 제공되며, 이 길이방향 융기부는 그 안쪽 둘레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 융기부는, 칼라가 체결된 상태에서, 혀부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절단부(34)가 포크모양 단부의 프롱부(34A, 34B)가 위치하는 양측상에서 융기부에 끼워질 수 있도록 배치된다. 융기부는 돌기부(12)에서 이어진 단부에서, 칼라의 안쪽 둘레에 의하여 형성된 원형에 점진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융기부는 혀부(14)의 자유단부의 두께를 보호하는 기능을 함으로써, 상기 혀부가 지지 접촉부에서 끊어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칼라가 체결된 상태에서, 예컨대 유지탭(26A, 26B)에 의하여 형성된 유지부재에 의하여 혀부(14)가 내측 스트립부(10)의 내부 둘레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체결된 대상체와 칼라간의 지지 접촉부에서의 끊어짐이 보장된다.
제1 변형예로서, 유지부재는 칼라의 체결작용 동안 돌기부의 뒤쪽에 위치한 스트립부(10C)에 의하여 상기 유지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의 영향하에서 혀부의 평면으로 실질적으로 복귀하는데 적합하다. 유지부재는 혀부의 평면에 복귀한다. 즉, 유지부재는 혀부의 외측면에 대한 돌출이 중단되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외측면에 의해서 형성된 원형에 끼워진다.
이 제1 변형예는 예로서 나타낸 것이며, 여기에서 유지탭(26A, 26B)은 필요한 상대적인 신축성을 부여하는 치수를 갖는다. 예컨대, 혀부가 형성된 스트립에 대하여 횡으로 측정한 상기 유지탭의 각각의 폭 I는 길이 L의 최대 1/3이 된다.
또, 탭이 스트립에 연결되는 영역(25A, 25B)에서, 150 뉴튼(N)의 체결력에 대응하여 평방미터당 대략 35 뉴튼의 압력이 상기 탭에 가해질 때 상기 탭이 구부러지도록 하기 위하여 가공경화는 충분히 작다.
제2 변형예(도시 안됨)로서, 돌기부(12)의 뒤쪽에 위치한 스트립부(10C)가 탭(26A, 26B)과 같은 유지부재의 돌출 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수단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수용수단은 길이방향 절단부로 구성될 수 있으나, 스트립부(10C)의 강도를 국부적으로 축소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 수용수단은 스트립부(10C)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융기부의 아래에 형성된 함몰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혀부(14)가 돌기부(12)의 아래로 매우 멀리 연장되는 한, 유지탭이 돌기부의 프리에지에 의해서 프리후크된 상태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프리후킹이 가능하다. 예컨대, 혀부의 자유단부는 돌기부의 다리부(30)를 형성하는 폴드부의 기저부까지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혀부의 길이는 종래기술에서의 혀부의 길이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되며, 혀부의 자유단부에 형성된 유지부재는 프리후킹 작용이 가능하도록 스트립부(10C)에 제공된 윈도우내에 삽입되어야 한다. 이러한 길이의 감소에 의한 재료의 실질적인 절약에 추가하여, 혀부와 연동하는 프리후킹 수단을 갖춤으로써 예컨대 16.5 밀리 미터(mm)에서 30mm의 범위로 칼라의 소직경화도 가능하다.
혀부(14)에는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며, 도 4에 더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12)의 프리에지에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는 방향으로 노치(12C)와 정렬되어 있는 부조된 안내편(40)이 제공된다.
이 예에서, 돌기부(12)와 스트립(14)은 동일한 스트립부(10)의 2개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트립에 의해서 지지되는 노치(12C)와 부조된 안내편(40)은 상기 스트립부의 길이방향, 예컨대 길이방향 중간선(LM)에 정렬된다.
부조된 안내편(40)은 혀부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조된 부위로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스트립에 대하여 약간 튀어나온 천공된 혀부 또는 탭과 같은 다른 종류의 부조된 안내편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부조된 부위에 의하여, 스트립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과 완만하게 경사진 안내면을 형성하는 이점이 있다.
칼라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클램핑 체결된 상태인 경우에, 부조된 부위(40)는 돌기부와 이 돌기부에 끼워진 후크로 형성된 조립체의 아래에 수용된다. 후크 동작 동안, 돌기부(12)는 끼워맞춰지는 후크(22)의 아래에 맞물리게 된다. 다음으로, 부조된 부위(40)는 돌기부(12)로 형성되는 파동부의 아래에 제공되는 캐비티(28)에 맞물리게 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조된 부위(40)의 일부분(42)은 돌기부의 프리에지에 있는 노치(12C)를 넘어 연장하고, 후크와 연동한다.
후크의 프리에지쪽으로 보면, 후크는 실질적으로 방사형인 다리부(44)를 형 성하도록 스트립부(20)에 대하여 직립해 있는 제1 폴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다리부의 단부에서 보면, 후크는 칼라의 둘레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브리지(46)를 형성한다. 상기 다리부(44)의 반대쪽에 있는 상기 브리지의 단부는 돌기부에 후킹을 위한 후크의 후킹 에지를 구비하는 제2 다리부(48)를 형성하도록 안쪽으로 폴딩백되어 있다. 상기 제2 다리부의 경사부는 후크작용하는 위치에서 돌기부의 후크 가능한 다리부(3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고 서로 후킹되는 동안, 후크는 혀부의 자유단부쪽 방향으로 혀부를 넘어 이동한다. 이러한 후크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돌기부의 프리에지에 있는 노치(12C)를 넘어 돌출되는 부조된 부위(40)의 일부분(42)은 후크의 기저부(44A)와 연동하고, 이 기저부는 혀부와 인접한 다리부(44)의 영역에서 스트립부(20)의 내면상에 위치한다.
외측 스트립부(20)에는 파동부(50)가 제공되어 있으며, 도 1와 도 2를 비교하여 보면 알 수 있듯이, 파동부(50)는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어 있는 동안 개방된다. 특허출원 FR-A-2 729 733호에 공지되어 있는 접촉수단은 상기 파동부의 개방을 제한하고 파동부가 그 탄성한도를 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이 접촉수단은 스트립부(20)의 파동부(50)와 후크(22)의 사이에 제공되는 윈도우(52)와, 내측 스트립부(10)의 상기 혀부의 부근에 상기 윈도우와 맞물리도록 제공되는 스터드(54)를 구비한다. 상기 파동부(50)가 최대로 개방된 상태인 경우, 스터드(54)는 파동부(50)에 인접하는 윈도우(52)의 접촉에지(52A)와 연동한다.
스터드(54)가 윈도우의 에지(52A)에 대항하여 접합되면, 후크에 가해지는 과 도한 응력에 의해서 후크가 기울어지거나 다리부(44)를 스트립(20)의 정상적인 부분에 부착시키는 폴드부의 감긴부분이 "풀어짐"으로써 후크의 기하학적 모양이 바뀌지 않도록 하고 후킹작용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 성형적인 변형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부조된 부위(42)는 후크의 기저부(44A)와 연동한다.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어 있는 동안, 돌기부(12)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스트립(14)을 넘어 이동하게 된다. 부조된 부위(40)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돌기부의 상대적인 이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하는 것이 적어도 돌기부가 후크의 부근에 도달할 때는 가능하게 된다. 노치(12C)에 의하여, 돌기부의 프리에지는 부조된 부위(40)에 걸쳐 있게 됨으로써, 혀부와 돌기부가 서로에 대하여 스트립부(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방향(T)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노치의 높이와 폭의 치수는 부조된 부위의 높이와 폭의 치수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당연하다.
부조된 부위(40)는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한 제1 부분(41)을 갖는다.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어 있는 동안, 노치(12C)는 먼저 상기 제1 부분에 걸쳐지게 된다. 상기 제1 부분의 폭(I41)은 부조된 부위(40)의 최대 폭(I42)보다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부조된 부위의 최대 폭은 노치(12C)의 폭(I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약간 작다. 이들 폭들은 모두 스트립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으로 측정된다.
따라서, 돌기부가 혀부에 대하여 횡으로 약간 오프셋되어 있다고 해도, 제1 부분(41)에 의하여 체결작용에 방해되지 않고도 축에 대하여 뒤쪽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부조된 부위(40)는 제2 부분(42)에서 그 폭이 최대이다. 후킹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부분(42)은 노치(12C)에 위치한다. 따라서, 노치의 에지(13)는 부조된 부위의 일부분(42)과 연동함으로써, 칼라가 클램핑 체결된 상태인 경우 돌기부를 혀부에 대하여 쐐기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부조된 부위의 제1 부분(41)에 의하여,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어 있는 동안 돌기부를 후크쪽으로 이동시키면서 돌기부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 부분(42)에 의하여 우선 후크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다음으로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어 있는 경우 돌기부를 혀부에 대하여 쐐기식으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공지된 방법으로, 끼워맞춰지는 동작 동안 돌기부의 상면(12B)에 의하여 후크를 상기 돌기부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후크의 프리에지(48)에는 중간부분에 위치한 노치(49)가 제공되며, 예컨대 이 노치(49)는 돌기부의 노치(12C)와 실질적으로 일렬로 되어 있다. 노치(12C)의 정점에서, 후크가 있는 노치(49)가 맞물리는 돌출부(13')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노치의 에지(13)는 약간 상승되어 있다. 후크에 있는 중앙 노치(49)의 양측에 있는 후크의 프리에지상의 2개의 프롱부(48A, 48B)는 그 기저부(44)쪽으로 약간 경사져 있어서, 돌출부(13')의 양측에서 돌기부의 상면(12B)에 의해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후크를 유지하기 위한 후면에서, 예컨대 다리부(30)의 외측면에서, 돌 기부에는 쐐기모양 융기부(60)가 제공된다. 칼라가 후킹된 상태인 경우, 후크의 프리에지에 있는 노치(49)는 융기부(60)에 걸쳐지게 됨으로써, 후크는 돌기부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단단하게 쐐기식으로 고정된다.
돌기부(12)의 아래에, 융기부(60)는, 도 2로부터 알 수 있듯이, 칼라가 클램핑 체결된 상태인 경우 부조된 부위(40)가 부분적으로 맞물리는 함몰부를 형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해서, 함몰부에 맞물리게 되는 것은 부조된 부위의 제1 부분(41)이다. 이에 의하여, 혀부에 대하여 돌기부를 쐐기식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향상시키게 된다.
후크의 브리지(46)에는 그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보강재 만입부(stiffener indent)(47)가 제공되는 것에도 주의하여야 한다. 칼라가 후킹된 상태인 경우, 상기 만입부는 돌출부(13')의 뒤쪽에 위치하게 된다.
도 5로부터 더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라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탭(72)의 아래에 쐐기식으로 고정시키고 칼라의 스트립을 형성하는 수단을 폴딩함으로써 칼라상에 유지되는 레이블(70)을 갖는다. 이 예에서, 레이블(70)이 탭(72)의 아래에서 맞물리고 레이블을 쐐기식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스트립의 평면으로 복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2개의 탭(72)은 내측 스트립으로부터 절단되어 있으며 상기 스트립부에 대하여 약간 직립되어 있다. 예를 들어, 레이블(70)은 이용자가 칼라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 마커를 착색 플라스틱의 스트립으로도 형성이 가능하다. 예컨대, 각각의 칼라 직경마다 상이한 색을 선택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칼라에서는, 외측 스트립부(20)가 있어 레이블을 유지 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된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이블은 내측 스트립부와 외측 스트립 사이(리벳 영역(24)을 넘어 위치한 외측부의 자유단부(20B)의 아래)에서 제1 에지(70A)를 따라, 그리고 유지탭(72)의 아래에서 제2 에지(70B)를 따라 쐐기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서,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공통으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참조부호에 100을 더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혀부(114)를 지지하는 칼라의 제2 단부(110B)를 나타내고 있다. 절단부(134)의 양측에 위치한 포크모양 부분의 2개의 프롱부(134A, 134B)는 유지탭(126A, 126B)의 각각을 지지한다.
혀부에는 그 외측 둘레로부터 함몰되어 있는 오목부(135)가 제공된다. 이 오목부는 혀부의 중앙부로 연장되고, 칼라의 외측 둘레부 단부(110A)로부터 멀어지는 절단부(134)의 에지를 형성하는 단부(135A)로부터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깊이가 0이 되고 칼라의 외측 둘레와 동일 높이가 될 때까지 감소되는 깊이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의 폭(L135)은 폴딩백 탭(32A, 32B)의 외측 에지들 사이에서 측정한 거리(L32)(도 4 참조)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칼라가 프리후킹된 상태인 경우, 상기 탭은 오목부(135)의 2개의 길이방향 에지(135B, 135C)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어 있는 동안, 돌기부는 혀부를 넘어 단부(110B)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다. 돌기부가 이동하는 동안, 돌기부는 오목부의 에지들 사이에 유지되어 있는 폴딩백 탭(32A, 32B)에 의하여 안내된다. 또한, 오목부는 칼라가 클램핑 체결되어 있는 동안 혀부를 따라 돌기부를 점차적으로 "상승"시킨 계단부로서의 기능을 함으로써, 체결작용 동안 하드스폿(hard spot)에 이르게 되는 경우를 피할 수 있다.
도 8에서, 프리후킹 위치에 있는 돌기부(12)의 위치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폴딩백 탭은 유지탭의 아래에 유지되어 있다. 오목부의 최대 깊이(P)는 스트립의 두께(E)의 1.4배 내지 2배의 범위를 가지며, 유지탭(125A, 126B)이 혀부의 외측 둘레에 대하여 돌출하는 범위(N)는 상기 두께(E)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Claims (19)

  1. 자체적으로 말아 올려진 금속 스트립을 형성하며 제1 및 제2 단부(20A, 10A)를 갖는 수단(10, 20)을 구비하는 클램핑 칼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20A, 10A)에는 각각 클램칭 체결 칼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12)와 후크(22)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핑 칼라는 상기 후크가 상기 돌기부에 끼위진 체결 상태와 상기 후크와 상기 돌기부가 이격된 미체결 상태를 유지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클램핑 칼라는 상기 제1 단부(20A)에 고정되며 상기 미체결 상태에서 상기 후크(22)와 돌기부(12)의 사이에서 상기 칼라의 외주의 실질적인 둘레로 연장하는 혀부(14; 114)와, 상기 칼라의 미체결 상태에서 상기 칼라의 제2 단부에 대하여 상기 혀부가 상기 칼라에 밀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적합한 프리후킹 수단을 구비하는 클램핑 칼라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칼라는 상기 칼라의 미체결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후크(22)쪽으로 대면하는 프리에지(12A)를 가지며, 상기 클램핑 칼라의 미체결 상태에서 상기 혀부가 상기 돌기부의 아래에 제공된 캐비티(28)에 위치하고 프리에지(12A)와 연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부재(26A, 26B; 126A, 126B)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2)는 상기 클램핑 칼라의 안쪽을 향하는 오목면이 있는 파동모 양을 가짐으로써 상기 캐비티(2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26A, 26B; 126A, 126B)는 상기 혀부(14; 114)에 대하여 상기 클램핑 칼라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혀부(14; 114)는, 상기 후크(22)쪽으로 향하는 자유단부(27A, 27B)를 갖기 위하여, 상기 스트립으로부터 절단되어 있고 상기 스트립에 대하여 직립된 유지부재(26A, 26B; 126A, 126B)으로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유지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2)의 프리에지(12A)는 상기 유지부재(26A, 26B; 126A, 126B)의 아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한, 뒤쪽으로 접어 구부린 폴딩백(folded-back)의 입술모양 가장자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26A, 26B; 126A, 126B)는 상기 클램핑 칼라가 체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돌기부(12)의 뒤쪽에 위치한 스트립부(10C)에 의하여 상기 유지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의 영향하에서 상기 혀부(14; 114)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복귀하는데 적합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2)의 뒤쪽에 위치한 스트립부(10C)에는 상기 유지부재의 돌출 두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혀부(14; 114)는 안쪽 에지에서 유지부재(26A, 26B; 126A, 126B)을 각각 지지하는 2개의 프롱부(34A, 34B; 134A, 134B)에 의하여 형성된 포크모양 자유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9. 자체적으로 말려 올려진 금속 스트립을 형성하며 제1 및 제2 단부(20A, 10A)를 갖는 수단(10, 20)을 구비하는 클램핑 칼라로서, 상기 제1 및 제2 단부(20A, 10A)에는 각각 클램칭 체결 칼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기부(12)와 후크(22)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클램핑 칼라는 상기 후크가 상기 돌기부에 끼위진 체결 상태와 상기 후크와 상기 돌기부가 이격된 미체결 상태를 유지하는데 적합하고, 상기 클램핑 칼라는 상기 제1 단부(20A)에 고정되며 상기 미체결 상태에서 상기 후크(22)와 돌기부(12)의 사이에서 상기 칼라의 외주의 실질적인 둘레로 연장하는 혀부(14; 114)를 구비하며,
    상기 클램핑 칼라의 미체결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후크(22)쪽으로 대면하며 노치(12C)가 제공되는 프리에지(12A)를 가지며, 상기 혀부(14; 114)가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클램핑 칼라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상기 노치(12C)와 정렬되는 부조된 안내편(40)을 지지하며, 상기 칼라가 체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돌기부와 이 돌기부에 끼워진 후크(22)로 형성된 조립체의 아래에서 상기 부조된 안내편(40)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0.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2)의 아래에는 캐비티(2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2)는 상기 클램핑 칼라의 안쪽을 향하는 오목면이 있는 파동모양을 가짐으로써 상기 캐비티(28)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2.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칼라가 체결된 상태에서 부조된 안내편(40)과 연동하여 상기 돌기부(12)가 상기 혀부(14;114)에 대하여 상기 칼라가 체결되는 방향의 횡방향(T)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적합한 쐐기식 고정면(1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식 고정면은 상기 돌기부(12)의 노치(12C)에 있는 에지(1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칼라가 체결된 상태인 경우, 상기 돌기부(12)는 상기 후크(22)를 유지하기 위한 후면(30)에서, 상기 칼라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부의 아래에 부조된 안내편(40)이 맞물리게 되는 함몰부를 형성하는 쐐기식 융기부(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조된 안내편(40)은, 체결 작용 동안 상기 후크의 상기 혀부에 대한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후크(22)의 프리에지(48)와 대향하는 상기 후크의 영역(44A)과 접촉하여 연동하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부조된 안내편은 부조된 영역(4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7.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10, 20)을 형성하는 수단을 절단하고 폴딩하여 형성한 적어도 하나의 유지탭(72)의 아래에서 쐐기식으로 고정됨으로써 상기 칼라상에 유지되는 레이블(7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을 형성하는 수단은 내측 스트립부(10)과 상기 내측 스트립부(10)에 고정(24)된 외부 스트립부(20)를 구비하며, 상기 레이블(70)은 상기 내측 스트립부 및 외측 스트립부의 사이에서 제1 에지(70A)와 적어도 하나의 유지탭(72)의 아래에서 제2 에지(70B)를 따라 쐐기식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19. 제1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혀부(114)에는 중앙 영역에 오목부(135)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 칼라.
KR1020037008153A 2000-12-19 2001-12-11 클램핑 칼라 KR1007596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016614 2000-12-19
FR0016614A FR2818351B1 (fr) 2000-12-19 2000-12-19 Collier de serrage
FR0115358A FR2818352B1 (fr) 2000-12-19 2001-11-28 Collier de serrage
FR0115358 2001-11-28
PCT/FR2001/003916 WO2002050468A1 (fr) 2000-12-19 2001-12-11 Collier de ser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549A KR20030065549A (ko) 2003-08-06
KR100759637B1 true KR100759637B1 (ko) 2007-09-17

Family

ID=26212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153A KR100759637B1 (ko) 2000-12-19 2001-12-11 클램핑 칼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062821B2 (ko)
EP (1) EP1352192B1 (ko)
JP (1) JP4146231B2 (ko)
KR (1) KR100759637B1 (ko)
AU (1) AU2002217240A1 (ko)
BE (1) BE1014025A3 (ko)
BR (1) BR0116075B1 (ko)
DE (1) DE60112124T2 (ko)
ES (1) ES2244555T3 (ko)
FR (1) FR2818352B1 (ko)
IT (1) ITTO20011183A1 (ko)
MX (1) MXPA03005508A (ko)
NL (1) NL1019595C2 (ko)
WO (1) WO2002050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7680B1 (ko) * 2005-01-05 2007-01-12 홍성호 탄성손목밴드가 구비된 스포츠장갑
US7540071B2 (en) * 2005-03-23 2009-06-02 Franklin Fastener Company Interlocked two-part clamp
FR2950402B1 (fr) * 2009-09-24 2011-10-21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FR2950403B1 (fr) * 2009-09-24 2011-10-21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DE112010005254T5 (de) * 2010-02-12 2013-05-02 Togo Seisakusyo Corp. Schlauchklemme
AU2010357039B2 (en) * 2010-07-09 2014-11-27 Oetiker Schweiz Ag Hose clamp
JP4744640B1 (ja) * 2010-10-15 2011-08-10 株式会社ミハマ 締付けバンド
KR101229584B1 (ko) 2011-01-25 2013-02-05 (주)동아금속 호스클램프
FR3101127B1 (fr) 2019-09-23 2021-10-01 Caillau Collier de serrage
FR3101118B1 (fr) 2019-09-23 2021-10-01 Caillau Collier de serr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4558A (en) 1988-05-25 1990-05-15 Establissements Caillau Clamp having boss and lug used for fastening
EP0636826A1 (fr) * 1993-07-30 1995-02-01 Etablissements CAILLAU Collier de serrage
US5530996A (en) 1993-05-19 1996-07-02 Etablissements Caillau Band clamp fitt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11930A (en) * 1920-06-22 1922-04-04 Peterson George Clamp
US1551880A (en) * 1923-11-21 1925-09-01 Nat Fixture Company Label and tag holding device
US3585743A (en) * 1970-01-28 1971-06-22 Carl H Jeffers License tag and identification holder for dog collar
EP0239308A3 (en) * 1986-03-25 1988-11-02 Critchley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cable ties
JPH0618113Y2 (ja) * 1989-06-26 1994-05-11 加藤発条株式会社 ホースクランプ
DE4237330C1 (de) * 1992-11-05 1993-10-28 Rasmussen Gmbh Schelle
FR2705410B1 (fr) * 1993-05-19 1995-08-11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FR2729733B1 (fr) * 1995-01-25 1997-04-25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US5669113A (en) * 1996-08-05 1997-09-23 Murray Corporation Hose clamp
US5855044A (en) * 1997-08-12 1999-01-05 Acd Tridon Inc. Hose clamp with claw
JP3280341B2 (ja) * 1999-04-15 2002-05-13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ホースクリップ
JP4439047B2 (ja) * 1999-05-07 2010-03-24 株式会社東郷製作所 ホースクリップ
FR2794819B1 (fr) * 1999-06-08 2001-09-07 Caillau Ets Collier de serr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4558A (en) 1988-05-25 1990-05-15 Establissements Caillau Clamp having boss and lug used for fastening
US5530996A (en) 1993-05-19 1996-07-02 Etablissements Caillau Band clamp fitting structure
EP0636826A1 (fr) * 1993-07-30 1995-02-01 Etablissements CAILLAU Collier de serr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534924A (ja) 2004-11-18
WO2002050468A1 (fr) 2002-06-27
NL1019595C2 (nl) 2002-09-26
DE60112124D1 (de) 2005-08-25
KR20030065549A (ko) 2003-08-06
NL1019595A1 (nl) 2002-06-21
FR2818352A1 (fr) 2002-06-21
BR0116075A (pt) 2003-12-16
JP4146231B2 (ja) 2008-09-10
AU2002217240A1 (en) 2002-07-01
EP1352192B1 (fr) 2005-07-20
BE1014025A3 (fr) 2003-02-04
ITTO20011183A1 (it) 2003-06-18
US20040025305A1 (en) 2004-02-12
ITTO20011183A0 (it) 2001-12-18
BR0116075B1 (pt) 2010-07-13
FR2818352B1 (fr) 2003-04-18
ES2244555T3 (es) 2005-12-16
DE60112124T2 (de) 2006-05-24
EP1352192A1 (fr) 2003-10-15
MXPA03005508A (es) 2004-10-14
US7062821B2 (en) 200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637B1 (ko) 클램핑 칼라
KR101586810B1 (ko) 다이-스탬프식 고정 스터드를 갖는 클램핑 고리
JPH0127317B2 (ko)
US5548876A (en) Lever-type clamp
JPH0122481B2 (ko)
JP4235755B2 (ja) クリップ
US20060117533A1 (en) Clamping band
KR101125128B1 (ko) 스트랩용 오목 버클
KR100318628B1 (ko) 이어리스클램프구조물
US5918350A (en) Clamping collar having an undulation forming a reserve of resilience
JP2501591Y2 (ja) 締付けバンド
JP3403741B2 (ja) ばね作用を改良したクランプ構造体
CZ291814B6 (cs) Svorka
KR0159956B1 (ko) 클램프 구조물
KR940009540A (ko) 확장 가능한 클램프 구조물
JP2003504579A (ja) 開放形クランプのための機械的な連結装置
JP4262683B2 (ja) 間隙、段または不連続性の無い内部の締め付け面を持つホースクランプ
JP4625214B2 (ja) 締付けリング
JPH0663524B2 (ja) 締付けバンド
JP3860529B2 (ja) 締付けバンド
US5613817A (en) Plastic tack strip with interlock
NL8001277A (nl) Buisklem.
KR100337754B1 (ko) 호스클램프
CN211493748U (zh) 面套斜扣件
JPH1137367A (ja) ブーツ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