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8305B1 -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8305B1
KR100758305B1 KR1020060074358A KR20060074358A KR100758305B1 KR 100758305 B1 KR100758305 B1 KR 100758305B1 KR 1020060074358 A KR1020060074358 A KR 1020060074358A KR 20060074358 A KR20060074358 A KR 20060074358A KR 100758305 B1 KR100758305 B1 KR 100758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area difference
digital video
difference value
video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1245A (ko
Inventor
김태훈
김판수
장대익
오덕길
이승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074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8305B1/ko
Priority to EP06125250.8A priority patent/EP1796288B1/en
Priority to US11/636,243 priority patent/US7720182B2/en
Publication of KR20070061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8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8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18Phase-modulated carrier systems, i.e. using phase-shift keying
    • H04L27/22Demodulator circuits; Rece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23Satellite systems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to terrestrial stations, i.e. broadcast satellite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57Carrier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69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the domain of operation
    • H04L27/2672Frequency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8Details of algorithms
    • H04L27/2673Details of algorithms characterised by synchronisation parameters
    • H04L27/2676Blind, i.e. without using known symb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한 결과 양수 주파수 부분과 음수 주파수 부분의 면적이 일치되도록 만드는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상기 주파수 오프셋을 실제 주파수에 상응하는 값으로 변환하여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보정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이용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으로 나뉜 주파수 응답을 구하기 위한 주파수응답 변환수단과; 상기 주파수응답 변환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다수개의 주파수 응답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회전없이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의 면적차이인 제1 면적차감값을 계산하고, 상기 다수개의 주파수 응답중 나머지 주파수 응답에 대해 회전시켜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의 면적차이인 제2 면적차감값을 계산하는 회전/차감 수단과; 상기 제1 면적차감값과 상기 제2 면적차감값에 의한 직선의 평균기울기를 상기 제1 면적차감값으로 나눠 상기 직선에서 면적차감값의 영점교차점을 계산하는 영점교차점 계산수단; 및 상기 영점교차점 계산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영점교차점을 보정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등에 이용됨.
DVB-S2(Digital Video Broadcasting via Satellite version 2), BC(Backward compatible), 주파수 오프셋, 고속 푸리에 변환, 평균 기울기

Description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the frequency offset in satellite digital video broadcast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회전/차감부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점교차점 계산부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고속 푸리에 변환부
20; 회전/차감부
30; 영점교차점 계산부
40;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
본 발명은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한 결과 양수 주파수 부분과 음수 주파수 부분의 면적이 일치되도록 만드는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상기 주파수 오프셋을 실제 주파수에 상응하는 값으로 변환하여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보정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VB-S(Digital Video Broadcasting via Satellite; DVB-S) 규격은 유럽에서 개발된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규격인데, 변조방식으로 직교 위상 편이 변조(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방식을 이용한다. 이로 인해, 상기 DVB-S 규격은 대략 3~5% 이상의 주파수 오프셋이 나면 신호를 복원하지 못하고, 변조방식(즉, QPSK)이 고정되어 있어 채널 상태가 양호할 경우에 실제 전송 가능한 데이터 양보다 적게 전송되어 전송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DVB-S2 BC (Digital Video Broadcasting via Satellite version 2 Backward Compatible) 규격은 앞서 언급한 DVB-S 규격의 단점을 보완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규격이다.
또한, 상기 DVB-S2 BC 규격은 지속적인 방송 수신을 할 수 있도록 기존 수신장치에서 신호 수신을 보장하면서 부가적인 신호를 덧붙여 전송하여 높은 전송효율을 보장한다.
종래의 DVB-S 규격은 변조되어 수신되는 신호가 심벌시각, 주파수 및 위상동기를 거쳐 최종적으로 복조하는 주파수 오차 보정을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DVB-S 규격은 전송되는 데이터를 이용하는 방식, 수신 신호의 성분을 결정한 후 그 값을 회기회로로 입력받아 이용하는 방식, 기준정보 없이 추정하는 방식이 있다. 특히, DVB-S2 BC 규격은 신호가 아무런 기준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기준 정보 없이 추정하는 방식을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DVB-S2 BC는 기준정보가 없이 추정할 수 있으나 일정량 이상의 주파수 오차의 추정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한 결과 양수 주파수 부분과 음수 주파수 부분의 면적이 일치되도록 만드는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상기 주파수 오프셋을 실제 주파수에 상응하는 값으로 변환하여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보정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이용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으로 나뉜 주파수 응답을 구하기 위한 주파수응답 변환수단과; 상기 주파수응답 변환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다수개의 주파수 응답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회전없이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의 면적차이인 제1 면적차감값을 계산하고, 상기 다수개의 주파수 응답중 나머지 주파수 응답에 대해 회전시켜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의 면적차이인 제2 면적차감값을 계산하는 회전/차감 수단과; 상기 제1 면적차감값과 상기 제2 면적차감값에 의한 직선의 평균기울기를 상기 제1 면적차감값으로 나눠 상기 직선에서 면적차감값의 영점교차점을 계산하는 영점교차점 계산수단; 및 상기 영점교차점 계산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영점교차점을 보정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이용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으로 나뉜 다수 개의 주파수 응답을 구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다수개의 주파수 응답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회전없이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의 면적차이인 제1 면적차감값을 계산하고, 상기 다수개의 주파수 응답중 나머지 주파수 응답을 회전하여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의 면적차이인 제2 면적차감값을 계산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면적차감값과 제2 면적차감값에 의한 직선의 평균기울기를 상기 제1 면적차감값으로 나눠 상기 직선에서 면적차감값의 영점교차점을 계산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영점교차점을 보정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이하, "주파수 오프셋 보정 장치"라 함)는, 고속 푸리에 변환부(Fast Fourier Transform, 10), 회전/차감부(20), 영점교차점 계산부(30),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40)를 포함한다.
고속 푸리에 변환부(10)는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즉, DVB-S2 BC모드 신호)에 N-point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입력 신호의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을 구한다.
이때,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부(10)는 송신단의 펄스 성형 필터(nyquist filter)의 특성에 따라 입력 신호의 주파수 응답에서 양수 주파수부분과 음수 주파수부분이 좌우 대칭됨으로써, 두 부분의 넓이가 일치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부(10)는 주파수 오프셋이 존재하면 방향성과 크기에 따라 입력 신호의 주파수 응답이 양수 또는 음수 주파수 부분으로 주파수 오프셋만큼 이동된 형태를 나타낸다. 즉,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부(10)는 주파수 응답에서 양수 주파수 부분과 음수 주파수 부분의 넓이의 차이를 나타낸다.
회전/차감부(20)는 5개의 회전/차감모듈(제1 회전/차감모듈∼제5 회전/차감모듈)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부(10)에서 변환된 주파수 응답값을 입력받는다. 이때, 상기 회전/차감부(20)는 각 회전/차감모듈로 주파수 응답값을 입력하여 회전한 양수 주파수 부분과 음수 주파수 부분의 면적을 차감하는 과정이 진행되는데 이하, 편의상 회전/차감부(20)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통칭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회전/차감모듈중 어느 하나는 주파수 응답값을 회전시키지 않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3 회전/차감모듈을 예로 설명한다.
또한, 회전/차감부(20)는 입력받은 주파수 응답값을 정해진 개수[즉, (k, 2*k)]와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그 결과(즉, 제3 회전/차감모듈에서 나온 결과를 제외한 주파수 응답값)를 두 개의 부분(즉, N/2 개씩)으로 나눠 두 개의 부분의 주파수 응답값들의 면적차감값을 계산한다. 이때, 상기 회전/차감부(20)에서 제3 회전/차감모듈은 입력받은 주파수 응답값을 회전시키지 않고 면적차감값을 계산한다.
또한, 회전/차감부(20)는 고속 푸리에 변환부(10)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 응답이 일정 반복되어 앞서 언급한 과정을 진행한 후에 초기화(reset)함으로써, 주파수 오프셋의 변화를 입력 신호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다.
영점교차점 계산부(30)는 회전/차감부(20)에 의해 회전된 주파수 응답값의 면적차감값(즉, 제3 회전/차감모듈에서 나온 결과를 제외한 주파수 응답값의 면적차감값, 이하 "회전 차감값"이라 함)과 회전되지 않은 주파수 응답의 면적차감값(즉, 제3 회전/차감모듈에서 나온 결과의 주파수 응답의 면적차감값, 이하 "무회전 차감값"이라 함)을 제공받는다.
또한, 영점교차점 계산부(30)는 4개의 회전 차감값과 1개의 무회전 차감값이 이루는 직선에서 면적차감값이 "0"이 되는 점(이하, "영점교차점"이라 함)을 계산한다. 즉, 상기 영점교차점 계산부(30)는 영점교차점을 계산하기 위해 직선의 평균 기울기를 무회전 차감값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직선의 평균 기울기는 통상의 방식에 의하여 계산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40)는 영점교차점 계산부(30)로부터 전달된 영점교차점을 확인하고, 상기 영점교차점에 상기 영점교차점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 값을 곱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한다. 이때, 상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40)는 영점교차점 계산부(30)에서 영점교차점 계산과정에서 확인 및 계산하는 상기 보정값을 문의하여 확인한다.
이와 같이, 상기 주파수 오프셋 추정부(40)는 추정된 주파수 오프셋을 이용하여 실제 주파수를 보정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부가적으로, "k"값은 "2*k"가 입력신호의 통과대역 내에 있어야 5개의 면적차감값의 선형적 특성이 좋기 때문에, 5개 값으로부터 직선의 평균기울기와 이상적인 기울기의 차이가 작게 되어 정확한 영점교차점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k"값은 통과대역에 있고 "2*k"가 변환영역(transition area)에 있더라도 성능감소가 크지 않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회전/차감부(20)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회전/차감부(20)는, k-point 회전모듈(21), 역다중화기(DeMUX, 22), 누산기(accumulator, 23)로 구성된다.
k-point 회전모듈(21)은 고속 푸리에 변환부(10)에서 입력되는 주파수 응답을 "k"값에 따라 정해진 개수 (k, 2*k)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k-point 회전모듈(21)은 제3 회전/차감모듈인 경우에 입력받은 주파수 응답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또한, k-point 회전모듈(21)은 4개의 회전된 주파수 응답과 1개의 회전되지 않은 주파수 응답을 역다중화기(22)에 제공한다.
역다중화기(22)는 상기 k-point 회전모듈(21)로부터 입력받는 회전된 주파수 응답을 두 개의 부분(N/2)으로 나눠준다. 즉, 상기 역다중화기(22)는 회전된 주파수 응답을 양수 주파수 부분(+N/2)과 음수 주파수 부분(-N/2)으로 나눠준다.
또한, 역다중화기(22)는 회전된 주파수 응답을 양수 주파수 부분과 음수 주파수 부분의 면적차감값을 계산하여 누산기(23)에 제공한다.
누산기(23)는 역다중화기(22)를 통해 계산된 회전 차감값과 무회전 차감값을 임시로 저장하고, 고속 푸리에 변환부(10)로부터 입력받는 주파수 응답이 일정 반복되면 초기화(reset)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점교차점 계산부(30)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영점교차점 계산부(30)는, 평균 기울기 계산모듈(31), 디바이더(divider, 32)로 구성된다.
평균 기울기 계산모듈(31)은 회전/차감부(20)로부터 제공받는 면적차감값(즉, 회전 차감값과 무회전 차감값)이 이루는 직선의 평균 기울기를 계산한다. 이때, 상기 평균 기울기 계산모듈(31)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직선의 평균 기울기를 통상의 방식에 의해 계산한다.
디바이더(32)는 평균 기울기 계산모듈(31)에서 계산된 면적 차값값이 이루는 직선의 평균 기울기(제수;divisor)와 무회전 차감값(피제수;dividend)으로 영점교차점을 계산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방법이다.
먼저, 주파수 오프셋 보정 장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수신받아 N-point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여 주파수 응답을 구한다(S100).
이후, 주파수 오프셋 보정 장치는 주파수 응답을 정해진 개수와 방향[즉, (k, 2*k)]으로 회전시킨다(S101). 이때, 상기 주파수 오프셋 보정 장치는 회전된 주파수 응답(즉, 회전 주파수 응답)과 회전되지 않은 주파수 응답(즉, 무회전 주파수 응답)이 출력된다.
또한, 주파수 오프셋 보정 장치는 회전 주파수 응답과 무회전 주파수 응답을 양수 주파수 부분(+N/2)과 음수 주파수 부분(-N/2)으로 나눠 나타나는 주파수의 면적에 대한 차감값(즉, 면적차감값)을 계산한다(S102). 이때, 주파수 오프셋 보정 장치는 회전 주파수 응답에 의해 회전 차감값을 계산하고, 무회전 주파수 응답에 의해 무회전 차감값을 계산한다.
그런 다음, 주파수 오프셋 보정 장치는 고속 푸리에 변환 과정을 일정 반복한 후에 리셋함으로써, 실제 주파수에 주파수 오프셋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S103).
한편, 주파수 오프셋 보정 장치는 앞서 계산된 회전 차감값과 무회전 차감값으로 이루어진 직선의 평균 기울기를 계산한다(S104). 이때, 주파수 오프셋 보정 장치는 상기 직선의 평균 기울기를 무회전 차감값으로 나눠 영점교차점을 계산한다(S105).
이후, 주파수 오프셋 보정 장치는 영점교차점에 미리 정해진 일정한 값을 곱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고, 상기 주파수 오프셋을 이용하여 실제 주파수를 보정한다(S106).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낮은 SNR에서도 비교적 정확한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큰 주파수 오프셋에서도 기준정보 없이 비교적 정확한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조 알고리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기존 시스템에 부가하 여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이용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으로 나뉜 주파수 응답을 구하기 위한 주파수응답 변환수단;
    상기 주파수응답 변환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다수개의 주파수 응답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회전없이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의 면적차이인 제1 면적차감값을 계산하고, 상기 다수개의 주파수 응답중 나머지 주파수 응답에 대해 회전시켜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의 면적차이인 제2 면적차감값을 계산하는 회전/차감 수단;
    상기 제1 면적차감값과 상기 제2 면적차감값에 의한 직선의 평균기울기를 상기 제1 면적차감값으로 나눠 상기 직선에서 면적차감값의 영점교차점을 계산하는 영점교차점 계산수단; 및
    상기 영점교차점 계산수단으로부터 전달된 영점교차점을 보정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주파수 오프셋 추정수단
    을 포함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차감수단은,
    상기 제1 면적차감값을 계산하는 하나의 제1 회전/차감 수단; 및
    상기 제2 면적차감값을 계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회전/차감 수단
    을 포함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차감수단은 상기 제1 면적차감값 또는 제2 면적차감값을 임시 저장하고, 상기 주파수응답 변환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주파수 응답이 일정 반복시에 초기화되는 임시저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점교차점 계산수단은,
    상기 회전/차감 수단에서 입력된 제1 면적차감값과 제2 면적차감값에 의한 직선의 평균기울기를 계산하는 평균기울기 계산수단; 및
    상기 평균기울기 계산수단에서 전달된 직선의 평균기울기를 상기 회전/차감 수단으로부터 제1 면적차감값으로 나눠 영점교차점을 계산하는 영점교차점 계산수단
    을 포함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장치.
  5.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이용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신호를 입력받아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으로 나뉜 다수개의 주파수 응답을 구하는 제1 단계;
    상기 다수개의 주파수 응답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회전없이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의 면적차이인 제1 면적차감값을 계산하고, 상기 다수개의 주파수 응답중 나머지 주파수 응답을 회전하여 양의 주파수 부분과 음의 주파수 부분의 면적차이인 제2 면적차감값을 계산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면적차감값과 제2 면적차감값에 의한 직선의 평균기울기를 상기 제1 면적차감값으로 나눠 상기 직선에서 면적차감값의 영점교차점을 계산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영점교차점을 보정하여 주파수 오프셋을 추정하는 제4 단계
    를 포함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상기 주파수 응답이 일정 반복시에 상기 제1 면적차감값과 제2 면적차감값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 보정하는 방법.
KR1020060074358A 2005-12-08 2006-08-07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758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358A KR100758305B1 (ko) 2005-12-08 2006-08-07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EP06125250.8A EP1796288B1 (en) 2005-12-08 2006-12-01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frequency offset in satellite digital video broadcasting system
US11/636,243 US7720182B2 (en) 2005-12-08 2006-12-08 Apparatus and method for correcting frequency offset in satellite digital video broadcast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20112 2005-12-08
KR1020050120112 2005-12-08
KR1020060074358A KR100758305B1 (ko) 2005-12-08 2006-08-07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245A KR20070061245A (ko) 2007-06-13
KR100758305B1 true KR100758305B1 (ko) 2007-09-12

Family

ID=3768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358A KR100758305B1 (ko) 2005-12-08 2006-08-07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20182B2 (ko)
EP (1) EP1796288B1 (ko)
KR (1) KR100758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731B1 (ko) * 2009-08-10 2010-09-17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위성 통신에서 주파수 오프셋 보정 방법
KR102457566B1 (ko) * 2018-02-22 2022-10-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패킷의 버스트의 길이에 기초하여 변복조를 수행하는 변복조기 및 상기 복조기가 수행하는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386A (ko) * 1998-12-12 2000-07-05 이형도 디지털 위성방송수신기의 채널트래킹 방법
KR20010045947A (ko) * 1999-11-09 2001-06-05 구자홍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타이밍 보정장치 및 방법
US6650285B2 (en) 2000-08-24 2003-11-18 Fast Location.Ne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estimating the doppler-error and other receiver frequency errors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signals weakened by obstructions in the signal path
KR20060016580A (ko) * 2004-08-18 200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동기 장치 및 이를 적용한 dvb-h 수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2628A (en) * 1996-09-27 1999-02-1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oise pair velocity and range echo location system
JP3683120B2 (ja) 1999-04-16 2005-08-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クロック再生装置
US6711219B2 (en) * 2000-12-04 2004-03-23 Tensor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cancellation in a signal
US20020176519A1 (en) * 2001-03-08 2002-11-28 Alain Chiodini Coarse frequency offset estimation
WO2005027353A2 (en) * 2003-09-12 2005-03-24 Ems Technologies Canada, Ltd. Hybrid frequency offset estimator
KR100594146B1 (ko) 2004-02-11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주파수 옵셋 추정 장치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386A (ko) * 1998-12-12 2000-07-05 이형도 디지털 위성방송수신기의 채널트래킹 방법
KR20010045947A (ko) * 1999-11-09 2001-06-05 구자홍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타이밍 보정장치 및 방법
US6650285B2 (en) 2000-08-24 2003-11-18 Fast Location.Ne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ly estimating the doppler-error and other receiver frequency errors of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signals weakened by obstructions in the signal path
KR20060016580A (ko) * 2004-08-18 2006-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주파수 동기 장치 및 이를 적용한 dvb-h 수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96288A3 (en) 2012-04-25
EP1796288A2 (en) 2007-06-13
KR20070061245A (ko) 2007-06-13
US20070133725A1 (en) 2007-06-14
US7720182B2 (en) 2010-05-18
EP1796288B1 (en)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0472C1 (ru) Синхронизация символов ofdm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преамбулы со смещенными по частоте префиксом и суффиксом для приемника dvr-т2
US780908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modulating a signal
KR20170084081A (ko) 프리앰블 기반의 ofdm 미세 주파수 오프셋 추정
EP1081906A2 (en) Multicarrier receiver with channel estimation
US7477707B2 (en) Computationally efficient demodulation for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US20110150143A1 (en) Soft-decision demapping method for digital signal
US8121230B2 (en) Correction of mismatches between two I and Q channels
KR100758305B1 (ko) 위성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주파수 오프셋을보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2111771A (ja) ディジタル変調信号受信装置
CN115632923A (zh) 一种基于oqpsk的无人机与卫星超宽带通信方法及相关设备
JP5682226B2 (ja) 受信装置及び方法、復調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6847694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sampling phase and method for synchronization word detection using the phase detection method
JP4424378B2 (ja) フレーム同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093091B2 (ja) 周波数補正器、復調回路、無線機、および周波数補正方法
JP4784834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US8218613B2 (en) Channel estimator and channel estimation method
JP4659208B2 (ja) 信号受信装置
JP2006295549A (ja) 受信装置
JP2018196000A (ja) 受信装置、及び周波数偏差除去方法
JP4784833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方法
WO2007061174A1 (en) Apparatus for estimating phase error and phase error correction system using the same
JP2007043492A (ja) Ofdm復調装置、ofdm復調回路及びofdm復調方法
JP3394276B2 (ja) Afc回路
JP2000151545A (ja) 復調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提供媒体
JP2005229207A (ja) Ofdm受信装置、および、ofdm受信信号のオフセット補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