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7725B1 - 음성 활성화되는 이동 전화 통화 응답기 - Google Patents

음성 활성화되는 이동 전화 통화 응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7725B1
KR100757725B1 KR1020017009714A KR20017009714A KR100757725B1 KR 100757725 B1 KR100757725 B1 KR 100757725B1 KR 1020017009714 A KR1020017009714 A KR 1020017009714A KR 20017009714 A KR20017009714 A KR 20017009714A KR 100757725 B1 KR100757725 B1 KR 100757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oice
greeting
mobile phone
voice gree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1923A (ko
Inventor
하피즈쉬이크에이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1010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7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7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42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구두 명령으로 이동 전화 착신 통화에 응답하여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시키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이동 전화 시스템은 카 키트 및 이동 전화를 구비한다. 이 이동 전화는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사전에 프로그래밍하는 프로그래밍 키 (22), 전화 모드에서 호출에 응답하는 키패드 (23), 카 키트 모드에서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사용자의 구두 명령을 입력하는 마이크로폰 (24), 이 마이크로폰에 접속되어 카 키트 모드에서 사용자의 구두 명령의 스펙트럼 분석 (36) 및 특성 추출 (38) 을 수행하는 디지털 프로세서, 및 이 디지털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 디지털 스피치 패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46) 를 가진다.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은, 프로그래밍 키를 누른 후에 미리 초기화된 경우, 출고시-프로그래밍된 음성 인사말 또는 사용자의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일 수도 있다. 디지털 프로세서 (30) 는, 사용자의 구두 명령과 저장된 사용자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구두 명령의 스펙트럼 분석 및 특성 추출을 수행한다. 일치한다고 판정되면, 디지털 프로세서 (30) 는 사용자의 구두 명령이 사전-프로그래밍 성공/실패 음성 임계치 레벨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동 전화 통화 응답기,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Description

음성 활성화되는 이동 전화 통화 응답기{VOICE ACTIVATED MOBILE TELEPHONE CALL ANSWER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두 명령에 의한 이동 전화의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방법 및 음성 활성화 통화 응답기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PCS 무선전화 환경에서 이동 전화가 턴온될 때, 이동 전화는 기지국에 의해 지속적으로 전송되는 포워드 링크 신호 (파일럿 신호) 를 탐색 및 획득해야 한다. 이 파일럿 신호는, 초기의 시스템 동기화를 달성하고,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시간, 주파수 및 위상 트래킹을 제공하기 위해 이동 전화에 의해 사용된다. 이 파일럿 신호를 획득할 때까지 이동 전화는 송신 또는 수신을 시작할 수 없으므로, 턴온후에 곧바로 이 파일럿 신호를 획득하여야 하며, 통상적으로, 이것은 사용자가 전화 호출을 하는데 기다리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일단 이동 전화가 턴온되면, 그 이동 전화를 차량내에서 전화 호출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이동 전화를 사용하려고 하는 운전자가 조심스럽게 운전하고 도로 상황에 대해 상당한 주의를 기울이게 하기 위하여, 차량내에 장착된 카 키트 크래들 (carkit cradle) 에 이동 전화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이동 전화 호출에 응답하는 것은 이동 전화 키패드상의 키를 수동으로 눌러 시작되어야 한다. 신뢰성있는 구두 명령에 의한 이동 전화의 활성화 방법 및 아키텍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음성 활성화되는 통화 응답기 아키텍쳐, 및 구두 명령에 의한 이동 전화의 핸즈프리 (hands-free) 음성 활성화 방법이 요구된다.
현재 사용가능한 이동 전화 응답 시스템의 상술한 문제점 및 다른 문제점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로 해결 및 극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구두 명령에 의해 이동 전화 착신 통화 (incoming call) 에 응답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이다. 이 이동 전화 시스템은 카 키트 및 이동 전화를 포함한다. 이 이동 전화는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 (greeting) 을 사전에 프로그래밍하는 프로그래밍 키, "전화 모드" 에서 호출에 응답하는 키패드, "카 키트 모드" 에서 호출에 응답하기 위해 사용자의 구두 명령을 입력하는 마이크로폰, 이 마이크로폰에 접속되어 카 키트 모드에서 사용자의 구두 명령의 스펙트럼 분석 및 특성 추출을 행하는 디지털 프로세서, 및 이 디지털 프로세서에 접속되며 사용자의 사전-프로그래밍 (pre-programmed) 음성 인사말의 디지털 스피치 (speech) 패턴을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베이스를 갖는 메모리를 가진다. 사용자가 프로그래밍 키를 눌러 미리 초기화된 경우,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은 출고시-프로그래밍된 (factory-programmed) 음성 인사말 또는 사용자의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일 수도 있다. 디지털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구두 명령의 스펙트럼 분석 및 특성 추출을 행하여, 사용자의 구두 명령과 저장된 사용자 입력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이 일치하는지를 판정한다. 일치하면, 디지털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구두 명령이 사전-프로그래밍 성공/실패 음성 임계치 레벨에 도달하는지를 체크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 전화 사용자가 구두 명령으로 착신 통화 (incoming call) 에 응답하여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사전에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착신 통화를 수신하면, 구두 명령에 의해 착신 통화를에 응답하여 착신 통화를 승낙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그 초기화 단계에서는, 음성 인사말을 사용자에게 프롬프팅 (prompt) 및 입력하고, 그 음성 인사말을 저장하는 이동 전화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위치를 사용자에게 프롬프팅 및 입력하고, 디지털 스피치 패턴으로 표현되는 음성 인사말을 소정의 이동 전화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위치에 저장한다. 디지털 스피치 패턴은 압축된 형태 또는 비압축된 형태일 수도 있다.
음성 통화를 완성하기 위하여 이동 장치에 페이징할 때, "통화 응답" 프로세스로 진행한다. 이 통화 응답 프로세스는 사용자에게 구두 명령을 입력하도록 경고한다. 그 사용자가 구두 명령으로 응답하고 이전에 초기화되어 있지 않으면, 출고시-프로그래밍된 음성 인사말을 출력한다. 사용자가 구두 명령으로 응답하고 미리 초기화되어 있으면, 사용자의 구두 명령과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이 일치하는지를 판정하고, 일치하면, 일치한 사용자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을 출력한다. 음성 인사말 중 하나를 출력한 후,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착신 통화를 계속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특성 및 이점, 및 다른 특성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통해 더 상세히 알 수 있다.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부호는 본 발명의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며, 동일 부호는 동일 특성을 나타낸다.
도 1 은 종래의 카 키트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사전에 프로그래밍하는데 사용되는 초기화 모드 방법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떠한 키패드의 키도 누르지 않고 사용자가 음성 활성화에 의해 착신 통화에 응답하는 방법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자에 의해 고안된, 본 발명을 실시하는 최선의 모드를 개시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특정하였기 때문에,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예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성 활성화에 의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전화의 호출에 응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이동 전화의 사용자가 "전화 모드" 또는 "카 키트 모드" 에서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를 즐길 수 있도록 하고, 구두 명령을 통해 입력 전화 호출에 응답하도록 한다.
도 1 에는, 카 키트의 기능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카 키트는 스피커 (12) 및 메모리 (14) 를 가진 이동 전화 크래들 (10) 을 갖는 종래의 장치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의 기능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 이동 전화는 디스플레이부 (20), 프로그래밍 모드를 초기화하는 프로그래밍 키 (22), 표준 키패드 (23), 마이크로폰 (24) 및 스피커 (26) 를 가진다. 마이크로폰 (24) 및 스피커 (26) 는 스피치 코더-디코더 (CODEC) (28) 에 접속되어 있다. 스피치 CODEC (28) 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ADC) 및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 (DAC) 로 이루어진다.
스피치 CODEC (28) 은 마이크로폰 (24) 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스피커 (26) 로 출력한다. 이동 전화가 크래들 (10) 내에 있을 때에는, 스피치 CODEC (28) 은 신호를 스피커 (12) 로 출력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입력으로서 수신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는 역변환을 수행한다. 스피치 코더-디코더 (CODEC) (28) 는 종래의 채널 CODEC (미도시) 으로부터 수신한 스피치 블록으로부터 소정의 인간 언어 사운드를 재구성하여, 디지털 스피치를 DAC 로 전달시키거나, 또는 ADC 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스피치를 압축하여, 인코딩하기 전에 그 데이터를 비트의 블록으로 나타낸다.
스피치 CODEC (28) 은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30) 에 접속되어 있다. DSP (30) 는 단일 반도체칩상에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SP (30) 는 디지털 스피치 프로세싱을 통해, 바람직하게는 펄스 코드 변조 (PCM) 방식으로, 스펙트럼 분석 및 특성 추출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DSP (30) 는 음성 기록 모듈 (34), 스펙트럼 분석기 (36) 및 특성 추출 모듈 (38) 을 포함한다. DSP (30) 는 인코더 (40), 디코더 (42) 및 메모리 (32) 에 접속되어 있다.
인코더 (40) 및 디코더 (42) 는 마이크로프로세서 (44) 에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 (32) 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46) 및 소프트웨어 저장 영역 (48) 을 가진다. 메모리 (32) 는, 저장된 데이터를 용이하게 복구하고 겹쳐쓰기할 수 있도록 메모리칩 상의 재기입가능한 플래시 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베이스 (46) 는 동일한 이동 전화의 다른 사용자들의 음성 인사말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위치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스피치 CODEC (28) 으로부터의 출력을 DSP (30) 로 전달시켜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한다. 스피치 CODEC (28) ADC 로부터의 샘플링값을 DSP (30) 내에서 분석하여 PCM 데이터로부터 전력 스펙트럼 밀도 또는 스피치 파형 정보를 추출한다. DSP-분석 데이터를 특성 추출 모듈 (38) 내에서 필터링하여, 단어들간 또는 음절들간의 단절 (pause) 과 같은 본래의 스피치중의 불필요한 데이터를 제거한다.
한 세트의 데이터 샘플의 분석에 의해, 종래의 특성 추출 모듈 (38) 의 시불변 디지털 필터 (미도시) 에 대한 필터 계수 및 여기 신호를 생성한다. 이 필터는 인간 음성 트랙의 디지털 이미테이션으로 간주할 수 있는데, 여기서, 필터 계수는 조음부 (예를 들어, 치아, 혀, 인두) 를 나타내고, 여기 신호 (excitation signal) 는 음성 기관 (필터) 를 통과하는 사운드의 부존재 또는 사운드 (예, 음높이, 음량) 을 나타낸다. 필터 계수의 정확한 설정 및 적당한 여기 신호는 일반적인 인간의 목소리를 제공한다.
DSP (30) 로부터의 데이터 출력은 인코더 (40) 에서 인코딩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 (44) 로부터 DSP (30) 로 입력되는 데이터는 디코더 (42) 에서 디코딩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44) 는, 본 발명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사용되며, 호출이 응답됨을 이동 전화의 기지국에게 통지하고, "전화 모드" 또는 "카 키트 모드" 에서 호출이 응답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 전화 사용자가 구두 명령으로 착신 통화에 응답하여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시키는 방법이다. 그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에 의해 미리 초기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이 방법은 본 발명의 초기화를 수행하게 하고,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사전에 프로그래밍한다. 착신 통화가 수신된 경우, 이 방법에서는 사용자가 구두 명령으로 착신 통화에 응답하고, 사용자가 착신 통화를 승낙하거나 거부한다. 본 발명의 초기화 모드 방법 실시예는 소프트웨어 저장 영역 (48) 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된다.
도 3 은 사용자에 의해 음성 인사말을 사전에 프로그래밍하는데 사용되는 초기화 방법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 것이다. 음성 인사말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46) 내에 압축되거나 비압축된 디지털 스피치 패턴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초기화 모드의 방법은, 이동 전화의 프로그래밍 키 (22) 를 누름으로써, 단계 (58) 에서 시작된다. 단계 (60) 에서는, 사용자에게 음성 인사말을 입력하도록 비프 (beep) 로 프롬프팅한다. 단계 (62) 에서는, 마이크로폰 (24) 을 턴온시킨다.
단계 (64) 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입력한다. 단계 (66) 에서는, 음성 인사말을 DSP (30) 의 음성 기록 모듈 (34) 내에서 프로세싱하여 이동 전화 디스플레이부 (20) 상에 표시한다. 프로세싱이 완료될 때, 음성 인사말을 얻고, 단계 (68) 에서는, 음성 인사말을 저장하기 위한 패스워드 및 메모리 위치를 선택 및 입력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팅한다. 단계 (70) 에서는, 음성 인사말 및 패스워드를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46) 의 소정의 위치에 저장한다. 단계 (72) 에서는, 프로그래밍된 상태 플래그를 설정하고, 이동 전화 디스플레이부 (20) 상에 확인을 표시한다.
이러한 모드에서, 사용자는, 남성 또는 여성의 목소리로 "헬로우" 와 같은 어떠한 음성 인사말이라도 저장할 수 있다. 인사말은 압축되거나 비압축된 디지털 스피치 패턴으로서 저장된다. 지속기간은 1 내지 15 초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기간 지속되는 음성 인사말을 저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더 많은 저장 공간을 갖는 카 키트 메모리 (14) 를 데이터베이스 (46) 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초기화 모드에서 사전에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복수회 시도하여, 용이하게 복제하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인사말을 저장하도록 전화를 단련시킬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 (46) 내의 인사말에 대한 위치를 특정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이전의 인사말을 겹쳐쓸 수 있다. 이동 전화가 제한된 액세스 모드 기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음성 인사말을 저장하기 전에 검증할 수도 있는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화 응답 방법은 소프트웨어 저장 영역 (48) 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된다. 도 4 는 어떠한 키패드 키도 누르지 않고 사용자가 음성 활성화에 의해 착신 통화에 응답하는 통화 응답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의 플로우챠트이다. 이 통화 응답 모드는 2 개의 양태를 가지고 있다. 일 양태에서는, 출고시-프로그래밍된 인사말을 이용하여 착신 통화에 응답하는 선택권을 제공한다. 다른 양태에서는, 도 3 의 방법에 따라 사전에 프로그래밍되어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46) 에 저장된 경우, 사용자 자신의 음성 인사말을 사용할 수 있다.
착신 통화를 수신할 때, 단계 (100) 에서는 마이크로폰 (24) 을 턴온시킨다. 단계 (102) 에서는, 사용자가 음성 인사말을 입력하거나 키패드 (23) 키를 누르도록 경고하는 호출 경고 톤 또는 음성 프롬프트를 생성시킨다. 각각의 경고 톤 또는 생성된 링 후에, 단계 (104) 에서는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 또는 이동 전화 키패드 (23) 를 통한 입력을 대기한다. 착신 통화는, 임의의 키패드 (23) 가 눌려질 때, 전화 모드에서 응답되거나, 또는 음성 인사말 모드 (즉, "카 키트 모드") 에서 응답/거부될 수 있다.
전화 모드에서는, 저장된 구두 인사말이 이동 전화 키패드 (23) 를 통해 디스에이블되어, 도시와 같은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 이동 전화를 사용자의 귀에 바짝 대어, 사용자가 이동 전화에 응답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106) 에서, 임의의 키패드 (23) 가 눌러졌다고 판정되면, 단계 (108) 에서, 저장된 인사말이 디스에이블되고, 사용자는 전화 모드에서 응답한다.
음성 인사말 (즉, 이어 키트 (ear kit)) 모드는 사용자가 음성 명령 (예, "헬로우" 또는 "응답" 등) 으로 착신 통화에 응답 또는 거부하게 한다. 단계 (104) 에서,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수신하고 단계 (110) 에서 프로그래밍된 상태 플래그가 도 3 의 방법에 의해 설정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는 경우, 출고시-프로그래밍된 인사말을 카 키트 스피커 (12) 를 통해 출력한다. 출고시-프로그래밍된 인사말은, 남성 또는 여성의 목소리일 수도 있고 전화가 팔린 나라의 언어로 될 수도 있지만, "헬로우" 와 같은 하나의 인사말만으로 제한된다. 다음으로, 단계 (114) 에서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이동 전화의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사용자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통화를 계속한다.
단계 (104) 에서,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수신하고, 단계 (110) 에서 프로그래밍된 상태 플래그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46) 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기존의 인사말이 있음을 나타내도록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 그 방법은 단계 (116) 으로 진행한다. 단계 (116) 에서는, 사용자의 인사말이 스펙트럼 분석기 (36) 및 특성 추출 모듈 (38) 에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 (46) 의 저장된 모든 사전-프로그래밍 디지털 스피치 패턴과의 일치를 시도한다. 단계 (118) 에서 일치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단계 (120) 에서는, 호출 경고 톤 또는 음성 프롬프트를 생성시킨다. 단계 (122) 에서, 경고 또는 프롬프트의 수가 사전에 프로그래밍된 한계를 초과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한계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 프로그램은 단계 (104) 로 진행하여 다른 음성 인사말 또는 키패드 (23) 입력의 수신을 대기한다. 데이터베이스 (46) 에 저장된 모든 인사말과는 다른 인사말을 말함으로써, 사용자는 의도적으로 착신 통화를 거부할 수 있다.
단계 (118) 에서 일치한다고 판정하면, 단계 (124) 에서, 입력 음성 인사말이 사전-프로그래밍 통과/실패 음성 임계치 레벨에 도달했는지를 체크한다. 음성 인사말이 음성 임계치 이하이면, 단계 (120) 에서 전화는 링잉 (ringing) 을 계속하거나 경고 톤을 발생시킨다. 만약 임계치에 도달하거나 초과하면, 단계 (126) 에서, 사용자가 사전에 프로그래밍한 인사말을 카 키트 스피커 (12) 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계 (114) 에서,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기지국으로 송신하고, 사용자는 호출을 계속한다.
본 발명에서, 이동 전화는 호출을 기다리는 동안 수신 모드에 있다. 수신 모드의 전화는 3 개의 상태, 즉, 트래픽 (traffic) 상태, 유휴 (idle) 상태 및 획득 (acquisition) 상태 중 임의의 상태일 수 있다. 호출을 발생, 종료 또는 확립시키기 위하여, 기지국은 이동 전화로 명령을 송신하여 트래픽 채널의 할당을 통해 트래픽 상태로 들어간다. 유휴 상태에서, 호출은 페이징 채널에서 대기한다. 획득 상태에서, 이동 전화는, 예를 들어, "핸드오프" 시에, 기지국으로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주파수 및 위상 트래킹을 통해 초기 시스템 동기화의 획득을 대기한다. 이동 전화 링잉 또는 경고 톤 발생은 유휴 상태 또는 트래픽 상태에서 행해질 수 있다. 링잉은 트래픽 상태에서 인에이블되어, 이동 전화 사용자가 핸드오프시 착신 통화를 놓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어떠한 형태의 셀룰러 네트워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고, 전화 또는 카 키트 모드에서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에 의해 사용자에게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이동 전화의 통화 응답을 제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첨부한 청구의 범위 및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상술한 설명은 비제한적인 예로써 제공되는 것임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일탈함이 없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적용 및 변형예가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여기에서 특정된 것과는 다르게, 첨부한 청구의 범위의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Claims (3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이동 전화 사용자가 구두 명령으로 착신 통화에 응답하여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를 행하는 방법으로서,
    이전에 초기화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사전에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초기화하는 단계; 및
    착신 통화를 수신한 경우, 상기 착신 통화를 승낙하거나 거부함으로써 구두 명령으로 상기 착신 통화에 응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착신 통화에 응답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구두 명령을 입력하도록 경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구두 명령을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두 명령으로 응답하고 이전에 초기화되지 않은 경우, 출고시-프로그래밍된 음성 인사말을 출력하는 단계,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두 명령으로 응답하고 이전에 초기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구두 명령과 저장된 사용자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하면, 일치한 사용자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프롬프팅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음성 인사말을 저장하기 위한 이동 전화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위치를 프롬프팅하고 상기 이동 전화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위치를 입력하는 단계; 및
    디지털 스피치 패턴으로서 표현되는 상기 음성 인사말을 특정한 이동 전화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스피치 패턴은 압축 형태 또는 비압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방법.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단계는,
    상기 이동 전화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위치의 프롬프팅 및 입력 단계와 상기 음성 인사말의 저장 단계 사이에,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인사말을 저장하기 전에 상기 패스워드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방법.
  24. 제 20 항에 있어서,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 전화의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상기 착신 통화를 계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방법.
  25. 구두 명령으로 이동 전화 착신 통화에 응답하여, 카 키트 상에 위치된 이동 전화의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를 행하는 방법으로서,
    착신 통화를 수신할 때까지 착신 통화를 대기하는 단계;
    상기 착신 통화를 수신한 후, 사용자에게 음성 인사말을 입력하거나 이동 전화 키패드 키를 누르도록 경고하는 단계;
    상기 이동 전화 키패드를 통한 입력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대기하는 단계;
    임의의 키패드 키를 누른 경우, 전화 모드에서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단계;
    사용자가 음성 인사말로 응답하는 경우, 카 키트 모드에서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단계; 및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상기 이동 전화의 기지국으로 송신하여 상기 착신 통화를 계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카 키트 모드에서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상기 단계는, 이동 전화 카 키트 스피커를 통해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카 키트 모드에서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상기 단계는, 이전에 초기화된 경우, 출고시-프로그래밍된 음성 인사말 또는 사용자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사용자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을 선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과 저장된 사용자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하면, 일치한 사용자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사말은 압축 형태 또는 비압축 형태의 디지털 스피치 패턴으로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방법.
  29. 제 27 항에 있어서,
    착신 통화를 대기하는 상기 단계는,
    착신 통화를 수신하지 않고 이전에 초기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사전에 프로그래밍하기 위해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프롬프팅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음성 인사말을 저장하기 위한 이동 전화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위치를 프롬프팅하고 상기 이동 전화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위치를 입력하는 단계; 및
    디지털 스피치 패턴으로서 표현되는 상기 음성 인사말을 특정한 이동 전화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위치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화 단계는,
    상기 이동 전화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위치의 프롬프팅 및 입력 단계와 상기 음성 인사말의 저장 단계 사이에,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인사말을 저장하게 하기 전에 상기 패스워드를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 방법.
  32. 사용자의 구두 명령으로 이동 전화 착신 통화에 응답하여, 핸즈프리 음성 활성화를 행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으로서,
    이동 전화; 및
    상기 이동 전화를 지지하는 크래들 및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갖는 카 키트를 포함하되,
    상기 이동 전화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인사말을 사전에 프로그래밍하는 프로그래밍 키;
    전화 모드에서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키패드 수단;
    카 키트 모드에서 상기 호출에 응답할 때, 사용자의 구두 명령을 수신하고 입력하는 마이크로폰 수단;
    상기 마이크로폰 수단에 접속되어, 카 키트 모드에서 상기 사용자의 구두 명령의 스펙트럼 분석 및 특성 추출을 수행하는 디지털 프로세싱 수단; 및
    상기 디지털 프로세싱 수단에 접속되어, 사용자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 디지털 스피치 패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갖는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은,
    상기 프로그래밍 키를 누른 후에 미리 초기화된 경우, 출고시-프로그래밍된 음성 인사말 및 상기 사용자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34.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사말 디지털 스피치 패턴은 압축 형태 또는 비압축 형태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35.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프로세싱 수단은, 상기 사용자의 구두 명령과 저장된 사용자 사전-프로그래밍 음성 인사말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구두 명령의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하는 스펙트럼 분석 수단, 및 상기 사용자의 구두 명령의 특성 추출을 수행하는 특성 추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프로세싱 수단은,
    일치한다고 판정되면, 사용자의 구두 명령이 사전-프로그래밍 성공/실패 음성 임계치 레벨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KR1020017009714A 1999-02-01 2000-01-28 음성 활성화되는 이동 전화 통화 응답기 KR100757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41,809 1999-02-01
US09/241,809 US6349222B1 (en) 1999-02-01 1999-02-01 Voice activated mobile telephone call answer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923A KR20010101923A (ko) 2001-11-15
KR100757725B1 true KR100757725B1 (ko) 2007-09-11

Family

ID=22912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714A KR100757725B1 (ko) 1999-02-01 2000-01-28 음성 활성화되는 이동 전화 통화 응답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49222B1 (ko)
EP (1) EP1147649B1 (ko)
JP (2) JP4373015B2 (ko)
KR (1) KR100757725B1 (ko)
CN (1) CN1339218A (ko)
AU (1) AU760601B2 (ko)
DE (1) DE60037647T2 (ko)
HK (1) HK1042801A1 (ko)
WO (1) WO200004557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1240B2 (en) 2014-08-12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call using voice recogni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52836A3 (en) 1999-05-26 2011-03-3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US7787907B2 (en) * 1999-05-26 2010-08-3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peech recognition with a vehicle control system
US7346374B2 (en) 1999-05-26 2008-03-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JP3788203B2 (ja) * 1999-08-10 2006-06-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ハンドフリー電話装置
AU2001283670A1 (en) * 2000-09-01 2002-03-13 Oliver Soini Portable alarm device
US6868142B2 (en) 2001-01-10 2005-03-15 At&T Corp. Voice-operated interface for DTMF-controlled systems
US20020097843A1 (en) * 2001-01-19 2002-07-25 Ivoice.Com, Inc. Speech activated telephone device for connection to existing telephone
US7020499B2 (en) * 2001-12-07 2006-03-28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Hands free vehicle mounted mobile telephone with audio
US20040110472A1 (en) * 2002-04-23 2004-06-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7006819B2 (en) * 2002-05-08 2006-02-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Method of programming a telematics unit using voice recognition
US7110798B2 (en) * 2002-05-09 2006-09-19 Shary Nassimi Wireless headset
US7242765B2 (en) * 2002-06-28 2007-07-10 Tommy Lee Hairston Headset cellular telephones
US8317816B2 (en) 2002-09-30 2012-11-27 Acclarent, Inc. Balloon catheters and methods for treating paranasal sinuses
US7930006B2 (en) * 2004-09-08 2011-04-19 Belkin International, Inc. Holder, electrical supply, and RF transmitter unit for electronic devices
US20060068843A1 (en) * 2004-09-30 2006-03-30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obile audio platform architecture and method thereof
US20060078098A1 (en) * 2004-10-08 2006-04-13 Sereboff Marcel J Answering phone calls
US20060141926A1 (en) * 2004-12-29 2006-06-29 Nokia Corporation Call rejections and reminders in order to enhance enjoyment of media items
US7215960B2 (en) * 2004-12-30 2007-05-08 Lucent Technologies Inc. Hand-off technique for a wireless network
CN100433764C (zh) * 2005-10-27 2008-11-12 上海大学 基于麦克风阵列的车载免提电话装置
JP5331710B2 (ja) 2006-10-11 2013-10-30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無線ネットワーク選択
US20080152111A1 (en) * 2006-12-26 2008-06-26 Motorola, Inc. Handling of incoming calls
US8135123B2 (en) 2007-01-03 2012-03-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responding to communications
US7830271B2 (en) * 2007-09-06 2010-11-09 Tye Rubins Audio coordinated visual indicator
US7764189B2 (en) * 2007-09-06 2010-07-27 Tye Rubins Audio coordinated visual indicator
CN101754622B (zh) * 2008-12-15 2012-09-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US20110034128A1 (en) * 2009-08-05 2011-02-10 Kirsch David M Mobile Communication Device Linked to In-Vehicle System
US8995625B2 (en) 2009-09-30 2015-03-31 T-Mobile Usa, Inc. Unified interface and routing module for handling audio input
US9111538B2 (en) 2009-09-30 2015-08-18 T-Mobile Usa, Inc. Genius button secondary commands
CN102025834A (zh) * 2010-11-29 2011-04-20 深圳市五巨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语音操作方法及装置
US9444855B2 (en) 2012-11-19 2016-09-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nitiating a central server-directed communication session from an in-progress half call model communication session
WO2014155152A1 (de) 2013-03-27 2014-10-02 Gerwert Matthias Sprachgesteuerte alarmanlage für den häuslichen bereich
KR101483669B1 (ko) * 2013-11-20 2015-01-16 주식회사 사운들리 저전력 음파 수신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
US20150189072A1 (en) * 2013-12-27 2015-07-02 Saurin Shah Intelligent ancillary electronic device
US9654629B1 (en) * 2015-10-26 2017-05-1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elephone user interface providing enhanced call blocking
EP3609397A4 (en) 2017-04-14 2021-01-20 Paradromics, Inc. LOW POWER RECORDING NEURAL CIRCUIT AND METHOD OF TRAINING THEM
CN111094924A (zh) * 2017-09-15 2020-05-01 宝马股份公司 用于执行基于语音的人机交互的数据处理装置和方法
US10848619B2 (en) 2019-03-07 2020-11-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for handling proxy voice cal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156A (ko) * 1994-02-07 1995-09-18 구자홍 무선 전화기의 음성인식방법 및 그 장치
US5594784A (en) * 1993-04-27 1997-01-14 Southwestern Bell Technology Resour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telephony utilizing speech-based signaling for initiating and handling calls
WO1999003254A1 (en) * 1997-07-10 1999-01-21 Resound Corporatio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0256A (en) 1979-11-27 1982-03-16 Freeman Michael J Verbally interactive telephone interrogation system with selectible variable decision tree
US4348550A (en) 1980-06-09 1982-09-07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Spoken word controlled automatic dialer
US4644107A (en) 1984-10-26 1987-02-17 Ttc Voice-controlled telephone using visual display
JP2584249B2 (ja) 1986-10-31 1997-02-26 三洋電機株式会社 音声認識電話機
EP0311414B2 (en) 1987-10-08 1997-03-12 Nec Corporation Voice controlled dialer having memories for full-digit dialing for any users and abbreviated dialing for authorized users
US4928302A (en) 1987-11-06 1990-05-22 Ricoh Company, Ltd. Voice actuated dialing apparatus
JPH01143529A (ja) * 1987-11-30 1989-06-06 Toshiba Corp 無線電話装置
US5007081A (en) 1989-01-05 1991-04-09 Origin Technology, Inc. Speech activated telephone
JPH02244857A (ja) * 1989-03-16 1990-09-28 Toshiba Corp 通信システム
EP0502617B1 (en) * 1991-03-06 1998-04-15 Nokia Mobile Phones (U.K.) Limited Portable telephone
JP3018759B2 (ja) * 1992-06-30 2000-03-13 日本電気株式会社 特定話者方式音声認識装置
US5325421A (en) 1992-08-24 1994-06-28 At&T Bell Laboratories Voice directed communications system platform
US5584052A (en) * 1992-11-16 1996-12-10 Ford Motor Company Integrated microphone/pushbutton housing for voice activated cellular phone
JP4001643B2 (ja) * 1993-10-05 2007-10-31 スナップ−オン・テクノロジイズ・インク 両手解放型自動車整備装置
US5630205A (en) * 1994-06-14 1997-05-13 Ericsson Inc. Mobile phone having voice message capability
JPH0823369A (ja) * 1994-07-08 1996-01-23 Nakayo Telecommun Inc 音声操作電話装置およびその音声による操作指示受付方法
JPH10507052A (ja) * 1995-03-04 1998-07-07 モルド−テック プラスティックス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ラジオインターフェースに対する外部通信ソース
JPH08324354A (ja) * 1995-06-01 1996-12-10 Totsuka Hitomi 自動車における携帯電話等の把持装置
US5892813A (en) * 1996-09-30 1999-04-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ultimodal voice dialing digital key telephone with dialog manager
JP3384282B2 (ja) * 1997-05-23 2003-03-10 株式会社デンソー 電話装置
US5974333A (en) * 1997-07-25 1999-10-26 E-Lead Electronic Co., Ltd. Automobile acoustic unit having integrated cellular phone capabilit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4784A (en) * 1993-04-27 1997-01-14 Southwestern Bell Technology Resour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arent telephony utilizing speech-based signaling for initiating and handling calls
KR950026156A (ko) * 1994-02-07 1995-09-18 구자홍 무선 전화기의 음성인식방법 및 그 장치
WO1999003254A1 (en) * 1997-07-10 1999-01-21 Resound Corporatio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5002615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81240B2 (en) 2014-08-12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user terminal for performing call using voice recogn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53188A (ja) 2009-07-09
EP1147649B1 (en) 2008-01-02
WO2000045572A1 (en) 2000-08-03
AU760601B2 (en) 2003-05-15
DE60037647T2 (de) 2009-01-08
EP1147649A1 (en) 2001-10-24
JP4373015B2 (ja) 2009-11-25
JP2002536885A (ja) 2002-10-29
JP5372552B2 (ja) 2013-12-18
CN1339218A (zh) 2002-03-06
US6349222B1 (en) 2002-02-19
KR20010101923A (ko) 2001-11-15
DE60037647D1 (de) 2008-02-14
AU3476200A (en) 2000-08-18
HK1042801A1 (zh) 200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725B1 (ko) 음성 활성화되는 이동 전화 통화 응답기
AU667871B2 (en) Voice controlled messaging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EP0993728B1 (en) Cellular telephone with voice dialing function
KR100616787B1 (ko) 전화 핸드셋용 음성 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US4959850A (en) Radio telephone apparatus
US5604790A (en) Voice processing call announcement and answering system
EP0307193A2 (en) Telephone apparatus
IL108608A (en) Accessory voice operated unit for a cellular telephone
JPH0782351B2 (ja) 音声コマンドによりデジットシーケンスを入力するための方法
JP2002540703A (ja) 通話容易化装置用の口頭ユーザインターフェイス
JP2001308970A (ja) 携帯電話の音声認識操作方法及びシステム
US5949852A (en) Method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parties
CA230177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oice registration entries of voice recognition apparatus for use in both handset and hands-free kit
JPH0362800A (ja) 音声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20070047708A1 (en) Voice call reply using voice recognition and text to speech
US6223161B1 (en) Method for setting terminal specific parameter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JP2000349865A (ja) 音声通信装置
US549931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control based on an audible uttering and timing of the audible uttering
KR100247009B1 (ko) 기능모드의음성인식이가능한디지털휴대용전화기및그인식방법
JPS6345950A (ja) 対話形音声応答装置
JP2830508B2 (ja) 電話機
JPH08163228A (ja) 音声遠隔制御留守番電話装置およびその音声による操作指示受付方法
JPS63212252A (ja) 発呼者識別装置
JPH098894A (ja) 音声認識コードレス電話機
JPH02274050A (ja) 音声ダイヤ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