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6639B1 - 자동차의 도어 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6639B1
KR100756639B1 KR1020060078931A KR20060078931A KR100756639B1 KR 100756639 B1 KR100756639 B1 KR 100756639B1 KR 1020060078931 A KR1020060078931 A KR 1020060078931A KR 20060078931 A KR20060078931 A KR 20060078931A KR 100756639 B1 KR100756639 B1 KR 10075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ixing cover
lift
butt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8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6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8Sill-buttons, garnish buttons or inner door lock 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8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10Covers; Housings
    • E05Y2201/11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트 업 커버의 두께 증대 및 기존 메커니즘의 설계 변경 없는 자동차의 도어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자동차의 도어 핸들은, 외부 패널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의 일부를 덮으며 위로 들어올릴 수 있는 리프트 업 커버와, 상기 리프트 업 커버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오목부에 구비되는 제1 고정 커버와, 그리고 상기 제1 고정 커버에서 상기 오목부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제2 고정 커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고정 커버에는 일반 키를 사용하기 위한 키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 커버에는 스마트 키 인식부의 작동을 시작시키는 버튼이 구비된다.
자동차, 도어, 핸들, 스마트 키, 버트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핸들{DOOR HANDLE OF A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핸들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IV-IV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부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오목부 200: 리프트 업 커버
300: 제1 고정 커버 400: 제2 고정 커버
310: 키 유닛 410: 버튼
500: 제1 마운팅 유닛 600: 제2 마운팅 유닛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도어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도어는 외부 패널과 이에 장착되는 핸들(handle)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 도어의 핸들은, 도어를 열기 위해 외부 패널에 형성된 오목부에 손을 집어 넣어 설정각도 들어 올리는 구조를 갖는 리프트 업 커버와, 상기 리프트 업 커버의 일측에 구비되며 일반 키를 사용하기 위한 키 유닛과, 키 유닛을 감싸는 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 카드 개념의 자동차가 개발됨에 따라 자동차 도어의 핸들에도 적용되어 스마트 키로 도어를 열 수 있는 기술이 개발 중에 있다.
여기서, 스마트 키란 스마트 키 소지자가 차량에 접근하여 리프트 업 커버에 장착된 버튼을 누르면 이와 동시에 스마트 키 인식부가 작동됨과 동시에 스마트 키가 인식되어 도어의 락이 해제되도록 한 것으로서, 키를 키홀에 넣어 돌리는 과정이 생략되므로 운전자에게 매우 편리한 기술이다.
하지만, 종래의 자동차 도어의 핸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가질 수 있다.
스마트 키 인식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버튼이 리프트 업 커버에 장착됨에 따라, 리프트 업 커버의 두께가 대략 13mm 증대되어 외관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리프트 업 커버에 장착되므로 리프트 업 커버와 연동되어 있는 내부 메커니즘(mechanism)을 설계 변경해야 하므로 고비용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리프트 업 커버의 두께 증대 및 기존 메커니즘의 설계 변경 없는 자 동차의 도어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핸들은, 외부 패널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의 일부를 덮으며 위로 들어올릴 수 있는 리프트 업 커버와; 상기 리프트 업 커버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오목부에 구비되는 제1 고정 커버와; 그리고 상기 제1 고정 커버에서 상기 오목부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제2 고정 커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고정 커버에는 일반 키를 사용하기 위한 키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 커버에는 스마트 키 인식부의 작동을 시작시키는 버튼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프트 업 커버의 외면과, 상기 제1 고정 커버의 외면과, 그리고 상기 제2 고정 커버의 외면은 동일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핸들은 상기 제2 고정 커버를 상기 오목부에 장착하기 위한 제1 마운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싱기 제1 마운팅 유닛은, 상기 외부 패널 중 상기 제2 고정 커버가 위치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커버 마운팅 홀과; 상기 제2 고정 커버의 내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운팅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그리고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 패널의 내면에 걸리는 제1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핸들은 상기 버튼을 상기 제2 고정 커버에 장착하기 위한 제2 마운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운팅 유닛은, 상기 제2 고정 커버 중 상기 버튼이 위치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버튼 마운 팅 홀과; 상기 버튼의 외면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내측 끝단이 걸리도록 상기 삽입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2 걸림턱과; 그리고 상기 지지 브라켓의 외측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 커버의 내면에 걸리는 제3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핸들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핸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00)와, 리프트 업 커버(200)(lift-up cover)와, 제1 고정 커버(300)와, 그리고 제2 고정 커버(400)를 포함한다.
상기 오목부(100)는 외부 패널(10)에 움푹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상기 리프트 업 커버(200)는 오목부(100) 상부에 구비되고, 오목부(100)의 일부를 덮으며, 위로 들어올릴 수 있게 구비된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리프트 업 커버(200)는 내부 메커니즘(미도시)에 의해 연동되며, 리프트 업 커버(200)를 손으로 들어 올리면 내부 메커니즘(미도시)이 작동되어 도어가 열리게 된다.
상기 제1 고정 커버(300)는 리프트 업 커버(200)의 일측에 위치되며 오목 부(100)에 구비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고정 커버(300)는 리프트 업 커버(200)의 좌측에 위치되며, 일반 키(즉, 키홀에 삽입하여 키홀을 돌릴 수 있는 키)를 사용하기 위한 키 유닛(310)이 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2 고정 커버(400)는 제1 고정 커버(300)에서 상기 오목부(100)의 하단까지 연장된다. 나아가, 상기 제2 고정 커버(400)에는 스마트 키 인식부(미도시)의 작동을 시작시키는 버튼(410)이 구비된다. 특히, 제2 고정 커버(400)는 제1 고정 커버(300)와 같이 좌측에 위치되므로 운전자가 리프트 업 커버(200)를 들어 올릴 때 쉽게 엄지손가락으로 버튼을 누를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스마트 키(미도시) 소지자가 차량에 접근하여 리프트 업 커버(200)에 장착된 버튼(410)을 누르면 이와 동시에 스마트 키 인식부(미도시)가 작동됨과 동시에 스마트 키가 인식되어 도어의 락이 해제된다.
또한, 외관상 돌출된 부분이 없도록, 리프트 업 커버(200)의 외면과, 제1 고정 커버(300)의 외면과, 그리고 제2 고정 커버(400)의 외면은 거의 동일 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핸들은 상기 제2 고정 커버(400)를 상기 오목부(100)에 장착하기 위한 제1 마운팅 유닛(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 확대도이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1 마운팅 유닛(5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마운팅 유닛(500)은, 커버 마운팅 홀(510)과, 삽입부(520)와, 그리고 제1 걸림턱(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마운팅 홀(510)은 외부 패널(10) 중 제2 고정 커버(400)가 위치되는 부위에 형성된다. 나아가, 버튼(410)과 스마트 키 인식부(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미도시)가 상기 커버 마운팅 홀(51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삽입부(520)는 제2 고정 커버(400)의 내측면에서 연장되어 커버 마운팅 홀(510)에 삽입된다. 이때, 삽입부(520)의 길이는 상기 제2 고정 커버(400)의 외면이 상기 제1 고정 커버(300)의 외면과 거의 동일 면상에 위치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제1 걸림턱(530)은 삽입부(520)의 끝단에 형성되며 외부 패널(10)의 내면에 걸린다. 궁극적으로 제1 걸림턱(530)이 외부 패널(10)의 내면에 걸리면서 제2 고정 커버(400)가 마운팅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핸들은 상기 버튼(410)을 상기 제2 고정 커버(400)에 장착하기 위한 제2 마운팅 유닛(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IV-IV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부 확대도이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2 마운팅 유닛(6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마운팅 유닛(600)은, 버튼 마운팅 홀(610)과, 지지 브라켓(620)과, 제2 걸림턱(630)과, 그리고 제3 걸림턱(6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마운팅 홀(610)은 제2 고정 커버(400) 중 버튼(410)이 위치되는 부위에 형성된다. 나아가, 버튼(410)과 스마트 키 인식부(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미도시)가 상기 버튼 마운팅 홀(610)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지지 브라켓(620)은 버튼(410)의 외면을 따라 내측(외부 패널측)으로 연장된다. 나아가, 지지 브라켓(620)과 버튼(410) 사이에는 유연한 재질로 되어 버튼(410)의 작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 걸림턱(630)은 지지 브라켓(620)의 내측 끝단이 걸리도록 삽입부(520)의 내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3 걸림턱(640)은 지지 브라켓(620)의 외측(외부 패널과 반대 측) 끝단에 형성되며 제2 고정 커버(400)의 내면에 걸린다. 궁극적으로, 지지 브라켓(620)의 내측 끝단이 제2 걸림턱(630)에 걸리고 지지 브라켓(620)의 외측 끝단이 제3 걸림턱(640)에 걸리면서 마운팅 버튼(410)이 제2 고정 커버(400)에 마운팅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핸들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와 비교해 볼 때, 리프트 업 커버의 두께가 증대되지 않고 기존 메커니즘의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스마트 키용 버튼 설치가 가능하므로, 종래에 비해, 외관상 보기가 좋고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4)

  1. 외부 패널에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의 일부를 덮으며 위로 들어올릴 수 있는 리프트 업 커버와;
    상기 리프트 업 커버의 일측에 위치되며 상기 오목부에 구비되는 제1 고정 커버와; 그리고
    상기 제1 고정 커버에서 상기 오목부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제2 고정 커버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고정 커버에는 일반 키를 사용하기 위한 키 유닛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 커버에는 스마트 키 인식부의 작동을 시작시키는 버튼이 구비되는 자동차의 도어 핸들.
  2. 제1항에서,
    상기 리프트 업 커버의 외면과, 상기 제1 고정 커버의 외면과, 그리고 상기 제2 고정 커버의 외면은 동일 면 상에 위치되는 자동차의 도어 핸들.
  3. 제1항에서,
    상기 제2 고정 커버를 상기 오목부에 장착하기 위한 제1 마운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싱기 제1 마운팅 유닛은,
    상기 외부 패널 중 상기 제2 고정 커버가 위치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커버 마운팅 홀과;
    상기 제2 고정 커버의 내측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마운팅 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그리고
    상기 삽입부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 패널의 내면에 걸리는 제1 걸림턱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핸들.
  4. 제3항에서,
    상기 버튼을 상기 제2 고정 커버에 장착하기 위한 제2 마운팅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마운팅 유닛은,
    상기 제2 고정 커버 중 상기 버튼이 위치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버튼 마운팅 홀과;
    상기 버튼의 외면을 따라 내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브라켓과;
    상기 지지 브라켓의 내측 끝단이 걸리도록 상기 삽입부의 내면에 형성되는 제2 걸림턱과; 그리고
    상기 지지 브라켓의 외측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고정 커버의 내면에 걸리는 제3 걸림턱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도어 핸들.
KR1020060078931A 2006-08-21 2006-08-21 자동차의 도어 핸들 KR100756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931A KR100756639B1 (ko) 2006-08-21 2006-08-21 자동차의 도어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8931A KR100756639B1 (ko) 2006-08-21 2006-08-21 자동차의 도어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6639B1 true KR100756639B1 (ko) 2007-09-07

Family

ID=3873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931A KR100756639B1 (ko) 2006-08-21 2006-08-21 자동차의 도어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66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007B1 (ko) 2013-02-08 2014-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팝업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366A (ja) * 1994-06-08 1996-01-09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ドアのアウタサイドハンドル構造
JP2005001634A (ja) 2003-06-10 2005-01-06 Mizuki Suzuki ウインカー機構を備えるドアハンドル
JP2005090087A (ja) 2003-09-17 2005-04-07 Nissan Shatai Co Ltd 開閉操作スイッチ取付構造
JP2005330752A (ja) 2004-05-21 2005-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アハンドルユニット
JP2006009312A (ja) 2004-06-23 2006-01-12 Denso Corp スマートドアロック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366A (ja) * 1994-06-08 1996-01-09 Kanto Auto Works Ltd 自動車用ドアのアウタサイドハンドル構造
JP2005001634A (ja) 2003-06-10 2005-01-06 Mizuki Suzuki ウインカー機構を備えるドアハンドル
JP2005090087A (ja) 2003-09-17 2005-04-07 Nissan Shatai Co Ltd 開閉操作スイッチ取付構造
JP2005330752A (ja) 2004-05-21 2005-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ドアハンドルユニット
JP2006009312A (ja) 2004-06-23 2006-01-12 Denso Corp スマートドアロック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007B1 (ko) 2013-02-08 2014-09-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팝업 장치 및 방법
US9476231B2 (en) 2013-02-08 2016-10-25 Hyundai Motor Company Pop up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n outside door han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1314B2 (en) Vehicle door outer handle system
JP5156652B2 (ja) インサイドドアハンドル装置
JP5310435B2 (ja) テールゲート用オープンスイッチ誤操作防止構造
US8950225B2 (en) Handle device comprising a shell-shaped bearing
KR100756639B1 (ko) 자동차의 도어 핸들
JP2003127668A (ja) バックドアの手掛け部構造
JP2009006830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CN102392551A (zh) 一种汽车门把手
KR100622296B1 (ko) 자동차용 키
USD546166S1 (en) Sash lock
JP6649608B2 (ja) テールゲートドア用スイッチの取付構造
JP4557583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2005282205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7406725B2 (ja) バックドア構造
JP2006100013A (ja) 車両用スイッチ
JPH09193665A (ja) 自動車のバックドア構造
JPH0625573Y2 (ja) ドアグリップの取付構造
JP2022018419A (ja) テールゲート用スイッチ装置
JP2002154365A (ja) 車両用ドア開閉アシストグリップ
CN113719206B (zh) 车门把手构造
JPH1111152A (ja) バックドアグリップ
JP7349973B2 (ja) ドア操作補助装置
JP2012144879A (ja) 携帯機
JP5283179B2 (ja) アンテナユニット
JP2009299264A (ja) 車両用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