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602B1 - 정보 단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단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602B1
KR100755602B1 KR1020060081115A KR20060081115A KR100755602B1 KR 100755602 B1 KR100755602 B1 KR 100755602B1 KR 1020060081115 A KR1020060081115 A KR 1020060081115A KR 20060081115 A KR20060081115 A KR 20060081115A KR 100755602 B1 KR100755602 B1 KR 100755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hort
range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1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유끼 하라다
히로시 간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통신망을 통한 통신중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절단되었을 때에도 절단중의 통신망을 통해 통신에 관한 정보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자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가 상기 보존 수단에 의해 보존되어 있었을 경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휴대 전화, 근거리 무선 통신, 블루투스, 착신 정보, 통신망

Description

정보 단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 전화기
11 : 공중망 통신부
12 : 근거리 무선 통신부
13 : 제어부
14 : 데이터베이스
20 :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3-8786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 2003-33047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 2005-192041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 2000-295321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개 2002-223475호 공보
본 발명은 정보 단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자 기기에 접속 가능한 구성을 갖는 정보 단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정보 단말 장치로서의 휴대 전화기 등을,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자 기기에 접속함으로써 유저의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와 손목 시계 사이를 주지의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 블루투스(Bluetooth)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고, 휴대 전화기의 착신 시에 손목 시계에 설치한 진동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킴으로써 해당 착신을 확실하게 유저에게 알리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또한, 휴대 전화기와 손목 시계형 정보 기기 사이를 블루투스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고,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를 통해 휴대 전화기의 착신을 유저에게 고지함과 함께, 유저의 지시에 기초하여 미리 기억하고 있는 음성 메시지를 해당 휴대 전화기에 송신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2).
또한, 이동 통신 단말과 전자 기기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고, 이동 통신 단말로부터 해당 전자 기기에 대해 음성 데이터, 메일 데이터 또는 착신 이력을 송신하여, 유저가 전자 기기상에서 그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3).
이와 같이 휴대 전화기 등과 전자 기기 사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고, 휴대 전화기 등의 착신시에 유저가 실제로 휴대 전화기 등 자체를 손에 드는 일 없이 전화 착신 유무, 발신자명 혹은 그 전화번호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전자 기기에 대해 착신의 정보를 통지하는 구성은 유저에게 있어서 편리하다.
그러나, 어떠한 원인에 의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끊어졌을 경우에는 필요한 정보가 휴대 전화기 등으로부터 송신되지 않아, 불편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통신망에 의한 통신 기능을 갖는 정보 단말 장치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자 기기와 접속되는 환경에 있어서,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끊어졌을 경우라도, 그 사이에 생긴 상기 통신망에 의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전자 기기에서 적절하게 얻을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전자 기기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보존하고, 또한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가 보존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해당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어떠한 원인으로 정보 단말 장치와 전자 기기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끊어진 경우라도, 그 사이에 정보 단말 장치가 통신망에 의한 통신의 결과 얻은 정보는 확실히 보존되고, 근거리 무선 통신 복구시에는 해당 보존 정보가 전자 기기에 대해 송신된다. 이 때문에, 유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끊어진 동안에 취득된 정보를 포함하여, 정보 단말 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취득한 정보를 빠짐없이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휴대 전화기와 전자 기기를 블루투스 등의 주지의 근거리 무선 통신 규격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휴대 전화기의 착신에 따른 발신자의 정보, 예를 들어, 발신자의 전화번호, 이름 등을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전자 기기에 송신시킴으로써, 유저는 실제로 휴대 전화기를 손에 드는 일 없이, 전자 기기의 화면상에 이러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 근거리 무선 통신이 어떠한 원인으로 절단되었을 경우, 그 사이에 휴대 전화기가 착신했을 때의 정보, 이력 등(이하 총칭하여 「착신 정보」라고도 함)을 얻을 수 없는 경우, 불편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후의 복구시, 휴대 전화기가 그 사이에 보존한 착신 정보, 즉, 발신자의 전화번호,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경우는 그 발신자명, 착신 시각 등을,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자 기기에 자동적으로 송신시키는 구성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중에 휴대 전화기가 받은 착신 정보를 전자 기기로 보는 것이 가능해져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후의 복구시, 휴대 전화기가 전화의 착신을 받고 있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로부터 전자 기기에 대해, 현재 착신하고 있다는 것과, 그 발신자의 전화번호,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경우에는 그 발신자명, 착신 시각 등을, 자동적으로 통지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 결과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중에 착신이 있었을 경우이고 그 착신중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복구한 경우, 전자 기기상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절단 동안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착신의 유무, 착신이 있었을 경우에는 그 발신자의 전화번호,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것이면 그 발신자명, 착신 시각 등을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즉 휴대 전화기와 전자 기기 사이를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하는 환경에 있어서, 유저가 휴대 전화기를 휴대하고 있는 상황, 유저가 전자 기기를 장착(전자 기기가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였을 경우 등)하고 있는 상황 등에 따라서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절단될 가능성이 있다. 그 사이 휴대 전화기에 전화 착신이 있었을 경우에 그 착신이 전자 기기에 통지되지 않는다고 하면 사용자는 착신이 있었던 사실을 인식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되어, 불편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 동안의 착신 이력, 예를 들어, 발신자의 전화번호,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경우에는 그 발신자명, 착신 시각 등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자 기기에 자동적으로 통지된다. 따라서, 유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시의 착신 이력 등의 정보를, 실제로 휴대 전화기를 손에 드는 일 없이, 전자 기기상에서 확인 가능해져, 편리하다.
또한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와 전자 기기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순단(瞬斷)하는 경우를 상정하면, 순단 동안에 생긴 전화 착신도 착신 이력으로서 전자 기기에 통지된다. 이와 같이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중도 포함하여 휴대 전화기에서의 모든 착신 이력이 전자 기기에 통지되기 때문에 유저는 특히 근거리 무선 통신의 상황을 항상 신경 쓸 필요가 없어진다.
특히, 휴대 전화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전자 기기가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등, 유저 신체에 장착하는 구성의 것이었을 경우, 유저의 이동에 따라 일시적으로 전파가 차단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그러한 장면에서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그 후 전파의 수신 상태가 회복되어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복구하면, 그동안의 휴대 전화기의 착신 이력이 모두 전자 기기에 통지된다. 따라 서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중에 휴대 전화기에 전화 착신이 있었을 경우이고 그 착신중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즉석에서 복구되었을 경우, 휴대 전화기로부터 전자 기기에 대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현재 착신하고 있는 취지가 자동적으로 통지된다. 또한, 그 착신에 따른 발신자의 전화번호,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상태이면 그 발신자명, 착신 시각 등도 통지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시에 착신이 있고 착신중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복구되면, 유저는 휴대 전화기를 실제로 손에 드는 일 없이, 전자 기기의 화면상에 발신자의 전화번호 혹은 그 발신자명, 착신 시각 등을 확인할 수 있다. 혹은 해당 전자 기기의 명동, 진동 등에 의해 유저는 착신을 알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
그 결과,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와 전자 기기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순단한 동안에 받은 전화 착신이라도,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에 그 착신중의 상태가 계속되고 있으면, 그 착신중의 취지가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전자 기기에 자동적으로 통지된다. 이와 같이 착신시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유효한 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착신중에 한 번이라도 근거리 무선 통신이 유효하게 되는 것 같은 상황이면, 그동안에 착신의 취지의 정보와 그 발신자의 정보가 전자 기기에 자동적으로 통지된다. 이 때문에 유저는, 전파 상태가 나빠 근거리 무선 통신이 유효한 시간이 계속될 수 없는 것 같은 상황이라도, 착신의 발생을 적시에 알아차릴 수 있게 된다. 유저는 그와 같은 경우, 해당 착신에 따른 통화를 실행하고자 하면 자기의 판단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상황이 좋은 장소로 이동하여 통화를 행하는 등의 수단을 적절하게 강구하는 것이 가능해져,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10)와, 해당 휴대 전화기(10)와, 블루투스 등의 주지의 규격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는 전자 기기로서의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10)는,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부(12)와, 안테나(16) 및 공중망 통신부(11)를 통해 전화의 착신을 받고, 그 착신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 자동적으로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부(13)를 구비한다. 그 결과 유저는 휴대 전화기(10)의 착신시, 실제로 휴대 전화기(10)를 손에 드는 일 없이, 자기가 장착하고 있는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 의해 해당 착신의 사실 및 그 착신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0)는, 어떤 원인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부(12)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절단된 동안에 해당 휴대 전화기(10)로의 착신이 있으면, 그 착신 정보를 보존하는 데이터베이스(14)를 갖는다. 또한 제어부(13)는,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복구했을 때, 그때까지의 절단 동안의 착신에 관한 착신 정보를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 통지하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제어부(13)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2)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절단된 동안에 생긴 해당 휴대 전화기(10)의 착신중에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복구했을 경우, 그 착신의 취지와 해당 착신에 관한 발신자 전화번호,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경우에는 그 발신자명, 착신 시각 등의 착신 정보를,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 통지하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기능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구성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로서 후술한다.
휴대 전화기(10)는 상기 공중망 통신부(11)를 더 갖는다. 이것은 안테나(16)를 통해, 공중 통신망과 접속하는 기능을 갖고, 해당 휴대 전화기(10)에 의한 발착신의 통신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는,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 내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1)와 협동하여, 각각의 안테나(17, 25)를 통해, 해당 휴대 전화기(10)와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접속 환경을 실현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어부(13)는, 전화의 착신시에 그 착신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 통지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절단되어 있는 것이 근거리 무선 통신부(12)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그 착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에 보존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복구되었을 때, 그 절단 동안의 착신 이력, 현재 착신하고 있다는 취지의 정보(제2 실시예의 경우) 등을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를 통해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 통지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4)는 해당 휴대 전화기(10)의 착신 이력 등을 보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휴대 전화기(10)는 프로그램 저장부(17)를 갖는다. 이것은 ROM, 또는 SD 카드 등의 가반식 기록 매체로 이루어진다. 제어부(13)에 포함되는 CPU가 프로그램 저장부(17)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로드한 후에 그 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함으로써, 도 2 내지 6과 함께 후술하는 휴대 전화기(10)에서의 제어 동작이 실현된다. 동일한 프로그램 저장부가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도 구비되어 있고, 제어부(22)에 포함되는 CPU가 그 프로그램 저장부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을 순차적으로 실행함으로써,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의 동작이 실현된다.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1), 제어부(22), 표시부(23) 및 명동부(24)를 갖는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21)는 휴대 전화기(1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한다. 제어부(22)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21)로부터 수신한 휴대 전화기(10)의 착신 정보를 표시부(23)에 표시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표시부(23)는 제어부(22)로부터 이 착신 정보를 수신하면 이것을 화면상에 표시한다. 명동부(24)는 제어부(22)가 착신 정보를 받으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명동 동작(혹은 진동 동작)을 실행한다. 이 명동 동작(혹은 진동 동작)이란, 착신음의 발생, 진동 액츄에이터에 의한 진동의 발생 등을 가리킨다.
또한, 휴대 전화기(10)의 공중망 통신부(11)는 기존의 휴대 전화기에서의 주지의 구성을 그대로 적용 가능하여,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10) 및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서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2, 21)도, 주지의 블루투스 규격 등에 따른 기술을 그대로 적용 가능하여, 여기에서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10)의 제어부(13)가, 근거리 무선 통신부(12)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시에 데이터베이스(14)에 보존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에 자동적으로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 그 보존 내용을 통지하는 동작을 기동하는 대상은 통화의 착신 정보 등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그 이외에도 전자 메일의 착신 정보 등, 해당 휴대 전화기(10)가 수신하는 모든 정보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0)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는 상대측의 전자 기기는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손목 시계 등의 유저가 신체에 장착하는 형태의 전자 기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퍼스널 컴퓨터, 텔레비전 수상기 등,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모든 전자 기기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이러한 구성의 휴대 전화기(10) 및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의 동작에 대해, 도 2 내지 6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 및 도 3과 함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휴대 전화기(10)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어떠한 원인으로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와의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절단된 것을 검출한 경우(단계 S1),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는 그 취지를 제어부(13)에 통지한다(단계 S2). 이것을 받은 제어부(13)는, 그 내용을 데이터베이스(14)에 전송한다(단계 S3). 데이터베이스(14)는 이것을 받아 근거리 무선 통신 의 절단의 취지를 보존한다(단계 S4).
해당 휴대 전화기(10)에 대해 외부로부터 착신이 있었을 경우, 공중망 통신부(11)는 이것을 검출한다(단계 S5). 그리고 공중망 통신부(11)는 그 취지를 제어부(13)에 통지한다(단계 S6). 제어부(13)는 이것을 받아 데이터베이스(14)에 대해,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 유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14)의 보존 내용을 참조한다(단계 S7).
제어부(13)는 데이터베이스(14)의 보존 내용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절단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면, 공중망 통신부(11)로부터 착신 정보를 받아, 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4)에 송신한다(단계 S8). 데이터베이스(14)는 송신된 착신 정보를 보존한다(단계 S9).
그 후 절단된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복구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12)가 이것을 검출한다(단계 S10).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는 그 취지를 제어부(13)에 통지한다(단계 S11). 제어부(13)는 이것을 받아,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 동안의 착신 정보의 유무나 그 내용에 대해, 데이터베이스(14)를 참조한다(단계 S12).
데이터베이스(14)의 참조 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절단중에 착신이 있었던 것이 판명되면, 제어부(13)는 그 착신 정보를 읽어낸다(단계 S13). 제조부(13)는 읽어낸 착신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부(12)에 전송한다(단계 S14).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는 전송된 착신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 송신한다(단계 S15).
이 착신 정보의 송신을 받은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1)는 그 내용을 제어부(22)에 통지한다(단계 S16). 제어부(22)에서는 이것을 받아 표시부(23) 및 명동부(24)를 제어하여(단계 S17), 표시부(23)의 화면에 착신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2)는 명동부(24)의 기능에 의해, 착신음의 발생 또는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를 진동시키는 등을 실시하여, 착신 정보가 수신된 것을 유저에게 알린다(단계 S18).
또한, 이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중에 휴대 전화기(10)의 공중망 통신부(11)에서 복수의 착신을 받았을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 절단중에 2개의 착신이 더 이루어졌을 경우, 단계 S5 내지 S9의 동작이, 그 착신마다 반복된다. 그 사이, 그들 착신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4)에 보존된다. 이와 같이 보존된 착신 정보에 대해서도 근거리 무선 통신 복구후에 단계 S12 내지 S18의 동작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휴대 전화기(10)의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읽어내어져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 전송되어 그곳에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휴대 전화기(10)를 실제로 손에 드는 일 없이,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중의 착신에 대해, 그 착신의 유무를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착신 정보의 내용을 인식할 수 있다. 유저는 그 내용에 따라, 해당 착신에 관한 발신자에 대해 휴대 전화기(10)에 의해 연락을 취하는 등, 필요한 대처를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6과 함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 기(10)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2 내지 3과 함께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과 이하에 설명하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동작은, 하나의 휴대 전화기(10)에 있어서, 그 상황에 따라 전환되어 실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중의 착신이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까지 계속되었을 경우에는 제2 실시예의 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중의 착신이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까지 계속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1 실시예의 동작을 행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동작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동작 중 어느 하나만을 실행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 중, 어떠한 원인으로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와의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절단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단계 S31),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는 그 취지를 제어부(13)에 통지한다(단계 S32). 이것을 받은 제어부(13)는, 그 내용을 데이터베이스(14)에 전송한다(단계 S33). 데이터베이스(14)는 이것을 받아,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의 취지를 보존한다(단계 S34).
해당 휴대 전화기(10)에 대해 외부로부터 착신이 있었을 경우, 공중망 통신부(11)는 이것을 검출한다(단계 S35). 그리고 공중망 통신부(11)는 그 취지를 제어부(13)에 통지한다(단계 S36). 또한 공중망 통신부(11)는 그 후에도, 해당 착신이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취지의 정보를 계속 이어서 제어부(13)에 송신한다. 제어부(13)는 이것을 받아, 데이터베이스(14)에 대해,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 단의 유무에 대해, 데이터베이스(14)의 보존 내용을 참조한다(단계 S37).
제어부(13)는 데이터베이스(14)의 보존 내용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절단되어 있는 것을 인식하면 공중망 통신부(11)로부터 착신 정보를 받아, 데이터베이스(14)에 송신한다(단계 S38). 데이터베이스(14)는 송신된 착신 정보를 보존한다(단계 S39).
그 후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복구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12)가 이것을 검출한다(단계 S40). 그리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는 그 취지를 제어부(13)에 통지한다(단계 S41). 제어부(13)는 이것을 받아,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 동안의 착신 정보의 유무 및 그 내용에 대해, 데이터베이스(14)를 참조한다(단계 S42).
데이터베이스(14)의 참조 결과, 근거리 무선 통신 절단중의 착신 정보가 있으면, 제어부(13)는 이것을 읽어내어 근거리 무선 통신부(12)에 전송한다(단계 S43). 또한, 제어부(13)는 공중망 통신부(11)로부터 현재도 착신중인 취지의 신호가 얻어진 경우, 그 내용을 함께 근거리 무선 통신부(12)에 전송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는 전송된 착신 정보 및 착신중인 취지의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 송신한다(단계 S44).
이 착신 정보 및 착신중인 취지의 정보의 송신을 받은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21)는 그 내용을 제어부(22)에 통지한다(단계 S45). 제어부(22)에서는 이것을 받아 표시부(23) 및 명동부(24)를 제어하여(단계 S46), 표시부(23)의 화면상에 착신 정보 및 착신중인 취지의 정보를 표시한다(단계 S47). 또한 명동부(24)의 기능에 의해, 착신음의 발생 또는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를 진동시키는 등에 의해 착신 정보 및 착신중인 취지의 정보가 수신된 것을 유저에게 통지한다(단계 S48).
따라서 유저는 휴대 전화기(10)를 실제로 손에 드는 일 없이,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중의 착신 정보 혹은 현재 착신중인 취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유저는 그 내용에 의해, 필요에 따라 실제로 휴대 전화기(10)를 집어 착신을 받는 등, 필요한 대응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10)에 의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상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 등, 다른 전자 기기와의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 휴대 전화기(10)는, 그 근거리 무선 통신부(12)의 기능에 의해, 안테나(17)를 통해 송수신되는 무선 신호, 예를 들어, 블루투스 규격 등에 의한 전자파, 그 외의 통신 규격에 의한 전송 매체에 의해, 접속처인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 등의 전자 기기(1, 2, 3, …, N)와 무선 통신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먼저, 근거리 무선 통신의 상대편 기기 등록의 방법에 대해 설명을 행한다.
휴대 전화기(10)에 대해, 예를 들어 근거리 무선 통신의 상대편의 전자 기기(1, 2, 3)의 등록을 행하는 경우, 휴대 전화기(10)의 유저 인터페이스(이하 간단히 UI로 약칭함)상에서 유저에 의한 전자 기기 등록의 조작이 이루어진다. 그 조작 내용에 기초하여 제어부(13)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를 동작시키고,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로부터 무선 신호를 송출시켜, 주변에 존재하는 전자 기기(1, 2, 3, …, N)의 검색을 행한다.
이 검색은, 전자 기기(1∼N)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받음으로써 그 존재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결과, 접속처인 전자 기기로서 예를 들어, 전자 기기(1, 2, 3)가 검색되었을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로부터 제어부(13)에 대해, 각 전자 기기(1, 2, 3)의 근거리 무선 통신의 기기 어드레스를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제어부(13)는 각 전자 기기(1, 2, 3)를 나타내는 기기의 어드레스를 UI(15)상에 표시한다. 이것을 보고 사용자가 기기 등록의 지시를 행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14)의 기기 등록부에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 대상 전자 기기가 등록된다.
다음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상대편 기기와의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을 행한다.
우선 자동 접속의 방법을 설명한다. 이 경우 제어부(13)는 데이터베이스(14)의 기기 등록부에 등록되어 있는 기기 어드레스를 읽어내어,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를 동작시키고, 그 기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전자 기기(1∼N)에 대해 정기적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자동적으로 호출하는 동작을 행한다. 이것에 대해 상대 기기가 응답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12)가 그 기기와 접속된다.
다음으로 수동 접속의 방법을 기술한다. 이 경우, 유저가 휴대 전화기(10)의 UI(15)상에서, 수동 접속하는 지시를 행한다. 그 결과 UI(15)로부터 제어부(13)로 그 취지가 전달된다. 제어부(13)는 이것을 받아 데이터베이스(14)에 기기 등록되어 있는 기기의 어드레스를 읽어낸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13)는 미리 기기 등록되어 있는 기기를 UI(15)상에 표시한다. 유저는 UI(15)상에서 그들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기로부터 원하는 기기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한다. 이것을 받은 제어부(13)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를 동작시켜, 그 기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기에 대해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자동적으로 호출하는 동작을 행한다. 그 결과 상대 기기가 응답하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12)가 그 기기와 접속된다.
다음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의 상대 기기와의 절단 방법에 대해 기술한다.
우선 자동적으로 절단되는 경우(이 경우를 「자동 절단」이라고 칭함)를 기술한다. 휴대 전화기(10)의 근거리 무선 통신부(12)에서 안테나(17)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 수신 레벨이 약해져, 통신할 수 없는 상태로 되면, 근거리 무선 통신부(12)는 이것을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통신을 절단한다.
다음으로 수동으로 절단하는 경우(즉 유저의 조작에 의한 절단으로, 「수동 절단」이라 칭함)를 기술한다. 유저가 휴대 전화기(10)의 UI(15)상에서, 수동 절단하는 조작을 행한다. 이것을 받은 제어부(13)는 데이터베이스(14)를 참조함으로써 접속중의 기기의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그리고 접속중의 기기의 어드레스를 UI(15)상에 표시한다. 유저는 이것을 보고, 수동 절단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한다. 이것을 받은 제어부(13)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를 동작시켜, 그 기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기에 대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절단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전화기(10)의 기능이 유효하게 활용되는 이용 신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 휴대 전화기(10)에 있어서, 전화의 착신시,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유저가 신체에 장착한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서 해당 전화의 착신, 발신 자의 정보, 예를 들어, 발신자의 전화번호, 전화번호부에 등록된 것이면 그 발신자명이 표시되는 설정이 미리 이루어져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제1 예에서는, 유저가 회사에서, 휴대 전화기(10)를 가방 안에 넣은 채로 작업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한다. 그리고 유저가 다른 작업 등을 실시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휴대 전화기(10)를 넣은 가방으로부터 멀어진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의 통신 능력을 초과하는 거리로 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0)와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절단된다. 따라서, 그동안에 휴대 전화기(10)에 대해 전화 착신이 있어도, 그 단계에서 유저는 전화 착신이 있었던 것을 알 수 없다.
그 다음 유저는 자기 가방의 근처로 돌아오면, 근거리 무선 통신의 통신 능력 내의 거리로 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0)와 유저가 장착하고 있는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자동적으로 복구된다. 그 결과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능에 의해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 대해 휴대 전화기(10)로부터 전화 착신이 있었던 취지, 발신자의 정보, 예를 들어 발신자의 전화번호, 발신자명 등이 통지되고, 그 내용이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상에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해당 착신의 사실 및 착신 정보를 확실히 취득할 수 있다.
제2 예에서는, 유저가 회사에서, 휴대 전화기(10)를 가방 안에 넣은 채로 작업하고 있을 때, 어떠한 이유에 의해, 일시적으로 휴대 전화기(10)와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순단한 장면을 상정한다. 그 사이에 휴대 전화기(10)에 대해 전화 착신이 있었던 경우,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복구했을 때에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통지에 의해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에서 현재 전화 착 신중인 취지를 나타내는 명동 등이 이루어짐과 함께, 발신자의 정보, 예를 들면, 발신자의 전화번호, 발신자명 등이 통지되고, 그 내용이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착신중의 사실 및 착신 정보를 확실히 취득할 수 있다.
제3 예는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 대신에 퍼스널 컴퓨터와의 사이가 근거리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어 있는 예이다. 즉 유저가 회사에서, 휴대 전화기(10)를 가방 안에 넣은 채로 작업하고 있을 때, 어떠한 이유에 의해, 일시적으로 휴대 전화기와 퍼스널 컴퓨터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순단했을 때를 상정한다. 그러한 경우, 휴대 전화기(10)에 전화 착신이 있으면,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복구 후에 퍼스널 컴퓨터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통지에 의해 현재 전화 착신중인 취지를 나타내는 명동이 발생되고, 발신자의 정보, 예를 들어, 발신자의 전화번호, 발신자명 등이 표시된다. 따라서 유저는 착신중의 사실 및 착신 정보를 확실히 취득할 수 있다.
제4 예에서는 유저가 옥외에서, 휴대 전화기(10)를 가방 안에 넣은 채로 걷고 있을 때, 어떠한 이유에 의해, 일시적으로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순단한 경우를 상정한다. 그러한 경우에 전화 착신이 있으면,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복구 후에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로부터의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한 통지에 의해 현재 전화 착신중인 취지를 나타내는 명동이 발생되고, 발신자의 정보, 예를 들어, 발신자의 전화번호, 발신자명, 착신 시각 등이 표시된다. 그 결과 유저는 확실히 해당 착신중의 취지의 사실 및 착신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어떠한 원인(즉 상기 자동 절단 혹은 수동 절단의 경우)으로 휴대 전화기(10)와 다른 전자 기기, 즉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20), 퍼스널 컴퓨터 등과의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절단되었을 경우라도, 그동안의 휴대 전화기(10)에 대한 착신의 정보가 휴대 전화기(10)에 있어서 보관된다. 그리고 일단 절단된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복구되었을 때, 상기 보관된 착신의 정보가 자동적으로 해당 다른 전자 기기에 대해 송신된다. 따라서 유저는 휴대 전화기(10)를 손에 드는 일 없이,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중의 착신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유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상황, 즉 어떠한 원인으로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이 절단되는 것 같은 상황에 대해 어떠한 주위를 기울이는 일 없이, 휴대 전화기(10)의 착신의 정보를 빠짐없이 확실하고 적시에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각 부기에 기재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부기 1)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행하는 정보 단말 장치로서,
전자 기기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보존하는 보존 수단과,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가 상기 보존 수단에 의해 보존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해당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 하는 제어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단말 장치.
(부기 2)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은 공중 통신망을 통한 전화 통신으로 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는, 전화 착신 정보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1에 기재한 정보 단말 장치.
(부기 3)
상기 제어 수단은, 전자 기기와의 통신의 복구시에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속행중이었을 경우, 그 취지와, 상기 보존 수단에 의해 보존된 해당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1에 기재한 정보 단말 장치.
(부기 4)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은 공중 통신망을 통한 전화 통신으로 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는, 발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 시각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3에 기재한 정보 단말 장치.
(부기 5)
상기 전자 기기는, 유저의 신체에 장착하는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는 부기 1 또는 3에 기재한 정보 단말 장치.
(부기 6)
상기 전자 기기는, 퍼스널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부기 1 또는 3에 기재한 정보 단말 장치.
(부기 7)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행함과 함께 전자 기기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보존하는 보존 단계와,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가 상기 보존 단계에서 보존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해당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 단계로 이루어지는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부기 8)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은 공중 통신망을 통한 전화 통신으로 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는, 전화 착신 정보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7에 기재한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부기 9)
상기 제어 단계에서는,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에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속행중이었을 경우, 그 취지와, 상기 보존 단계에서 보존된 해당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전 자 기기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7에 기재한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부기 10)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은 공중 통신망을 통한 전화 통신으로 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는, 발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 시각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9에 기재한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부기 11)
상기 전자 기기는, 유저의 신체에 장착하는 전자 기기로 이루어지는 부기 7 또는 9에 기재한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부기 12)
상기 전자 기기는, 퍼스널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부기 7 또는 9에 기재한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부기 13)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행함과 함께 전자 기기와의 사이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보존하는 보존 단계와,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가 상기 보존 단계에서 보존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해당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 단계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
(부기 14)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은 공중 통신망을 통한 전화 통신으로 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는, 전화 착신 정보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13에 기재한 프로그램.
(부기 15)
상기 제어 단계에서는,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에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속행중이었을 경우, 그 취지와, 상기 보존 단계에서 보존된 해당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13에 기재한 프로그램.
(부기 16)
상기 정보 단말 장치는 휴대 전화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은 공중 통신망을 통한 전화 통신으로 되고,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는, 발신자 전화번호 및 착신 시각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부기 15에 기재한 프로그램.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떠한 원인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이 끊어진 것 같은 경우라도, 해당 근거리 무선 통신이 끊어진 동안에 취득된 정보를 포함하여, 정보 단말 장치가 통신망을 통해 취득한 정보를 빠짐없이 취득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유저는 근거리 무선 통신의 통신 상황에 대해 특별히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모든 정보를 빠짐없이 취득 가능해져 매우 편리하다.

Claims (5)

  1.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행하는 정보 단말 장치로서,
    전자 기기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과,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보존하는 보존 수단과,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가 상기 보존 수단에 의해 보존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해당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 수단
    으로 이루어지는 정보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전자 기기와의 통신의 복구시에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속행중이었을 경우, 그 취지와, 상기 보존 수단에 의해 보존된 해당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수단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정보 단말 장치.
  3.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행함과 함께 전자 기기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 신을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보존하는 보존 단계와,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가 상기 보존 단계에서 보존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해당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 단계
    로 이루어지는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에서는,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에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이 속행중이었을 경우, 그 취지와, 상기 보존 단계에서 보존된 해당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5. 통신망을 통해 통신을 행함과 함께 전자 기기와의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실시하는 기능을 갖는 정보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절단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보존하는 보존 단계와,
    전자 기기와의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의 복구시, 상기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가 상기 보존 단계에서 보존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해당 통신망을 통한 통신에 관한 정보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전자 기기에 송신하는 제어 단계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으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60081115A 2006-03-28 2006-08-25 정보 단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1007556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88853 2006-03-28
JP2006088853A JP4731373B2 (ja) 2006-03-28 2006-03-28 情報端末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5602B1 true KR100755602B1 (ko) 2007-09-06

Family

ID=3855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115A KR100755602B1 (ko) 2006-03-28 2006-08-25 정보 단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32573B2 (ko)
JP (1) JP4731373B2 (ko)
KR (1) KR100755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5163B2 (ja) 2006-12-08 2013-01-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方法
US8417225B2 (en) * 2006-12-19 2013-04-0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for coordinating the sharing of contact information between a directory terminal and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s well as providing enhanced user interface context features
US8456420B2 (en) * 2008-12-31 2013-06-04 Intel Corporation Audible list traversal
US8254993B2 (en) * 2009-03-06 2012-08-28 Apple Inc. Remote messaging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accessory
JP5069722B2 (ja) 2009-06-19 2012-11-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端末、及びデータダウンロード方法
JP5556814B2 (ja) * 2009-08-25 2014-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発信者情報表示方法、携帯電話機、及びプログラム
JP5585327B2 (ja) * 2010-09-10 2014-09-1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129834A (ja) * 2010-12-16 2012-07-05 Casio Comput Co Ltd 携帯電話システム、携帯電話機および装着型端末
US20150249903A1 (en) * 2012-09-28 2015-09-03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transfer control method
US20140128129A1 (en) * 2012-11-08 2014-05-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assing Voice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Vehicle
JP5557950B1 (ja) 2013-07-31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情報端末
JP6477741B2 (ja) * 2017-02-13 2019-03-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携帯型電子装置、通信システム、報知動作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58626B2 (ja) * 2019-03-27 2023-04-17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電子時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909A (ko) * 2002-12-13 2004-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 모드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60066108A (ko) * 2003-08-22 2006-06-15 톰슨 라이센싱 무선 근거리 통신망의 셀룰러 기반 위치 확인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321A (ja) * 1999-04-01 2000-10-20 Seiko Epson Corp 着信報知呼出装置
US7016707B2 (en) * 2000-06-21 2006-03-21 Seiko Epson Corporation Mobile telephon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cooperatively processing incoming call
US6714233B2 (en) * 2000-06-21 2004-03-30 Seiko Epson Corporation Mobile video telephone system
JP2002330473A (ja) 2001-03-02 2002-11-15 Seiko Epson Corp 装着型無線通信装置、携帯電話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437822B2 (ja) * 2000-06-30 2003-08-18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端末
JP2002223475A (ja) 2001-01-25 2002-08-09 Nec Telecom Syst Ltd 携帯通信端末,腕時計および着信方式ならびに着信方法
US20020137552A1 (en) * 2001-03-20 2002-09-26 Cannon Joseph M. Indication unit for a portable wireless device
JP3807241B2 (ja) * 2001-03-27 2006-08-09 株式会社デンソー 無線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4215968B2 (ja) * 2001-07-10 2009-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その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端末、その端末における通信方法およびその端末において通信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03087864A (ja) 2001-09-13 2003-03-20 Nec Tokin Corp 携帯端末通信用呼び出し装置
JP2003283693A (ja) * 2002-03-26 2003-10-03 Nec Commun Syst Ltd 携帯通信端末のリモート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DE10239062A1 (de) * 2002-08-26 2004-04-01 Siemens Ag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verschlüsselten Nutzdatenobjekten
JP2004128673A (ja) * 2002-09-30 2004-04-22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US20040072558A1 (en) * 2002-10-15 2004-04-15 Van Bosch James A. System and method of forwarding an incoming call to a vehicle's embedded transceiver
US20040185855A1 (en) * 2002-12-31 2004-09-23 Storm Brian 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ing a call
US7366901B2 (en) * 2003-08-01 2008-04-29 Ixi Mobile (R&D), Ltd. Devi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identifying and authenticating a cellular device using a short-range radio address
JP2005094351A (ja) * 2003-09-17 2005-04-07 Nec Corp 個人情報の保存・管理システムおよび保存・管理方法
JP2005110051A (ja) * 2003-09-30 2005-04-21 Toshiba Corp 携帯電話端末
JP3766081B2 (ja) * 2003-09-30 2006-04-12 株式会社東芝 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同システム、同システムの移動局および端末装置
JP2005192041A (ja) 2003-12-26 2005-07-14 Toshiba Corp 電子機器、携帯端末連携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連携方法
JP3998654B2 (ja) * 2004-03-22 2007-10-31 株式会社東芝 無線端末装置
JP4328669B2 (ja) * 2004-05-27 2009-09-0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7493103B2 (en) * 2004-07-22 2009-0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transfer data and detect weak signals
US7424288B2 (en) * 2004-11-22 2008-09-09 Searete Llc Call transfer to proximate devi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1909A (ko) * 2002-12-13 2004-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중 모드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60066108A (ko) * 2003-08-22 2006-06-15 톰슨 라이센싱 무선 근거리 통신망의 셀룰러 기반 위치 확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32335A1 (en) 2007-10-04
US8532573B2 (en) 2013-09-10
JP4731373B2 (ja) 2011-07-20
JP2007266968A (ja) 200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602B1 (ko) 정보 단말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101106800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에서의 표시 방법
US7929957B2 (en) Mobile phone and forwarding program storage medium
EP1257133B1 (en) A cellular phone and a base station thereof
KR101100377B1 (ko) 차량 내 핸즈프리 장치 및 데이터 전송방법
JP5585327B2 (ja) 携帯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1817832B (zh) 信息处理方法、终端及网络侧设备
US955408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n image transmission control function
CN106817482B (zh) 移动终端及其拨打电话的方法和装置
JP4240915B2 (ja) 通信端末
JP4025334B2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2335567A (ja) 携帯電話機補助装置
JP2011205547A (ja) 情報表示装置
JP4325305B2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緊急メッセージ通知方法および緊急メッセージ通知プログラム
JP2012060492A (ja) 携帯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411352B2 (ja) 通信端末
JP4650251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176000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035463A (ja) 通信システム及び携帯通信機器
JP2011114600A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059527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58576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자 위치 표시 방법
JP2002027553A (ja) 電話機、発信管理装置および電話システム
KR20020056987A (ko) 이동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번호 빈도순 전화번호검색방법
JP3966185B2 (ja) 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ローカル無線通信接続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