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5060B1 - 버퍼 - Google Patents

버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5060B1
KR100755060B1 KR1020050094052A KR20050094052A KR100755060B1 KR 100755060 B1 KR100755060 B1 KR 100755060B1 KR 1020050094052 A KR1020050094052 A KR 1020050094052A KR 20050094052 A KR20050094052 A KR 20050094052A KR 100755060 B1 KR100755060 B1 KR 100755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signal
clock
external clock
refr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8774A (ko
Inventor
추신호
안선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094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5060B1/ko
Priority to US11/275,462 priority patent/US7368953B2/en
Publication of KR20070038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76Timing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11C11/40611External triggering or timing of internal or partially internal refresh operations, e.g. auto-refresh or CAS-before-RAS triggered refresh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2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for memories with random access ports synchronised on clock signal pulse trains, e.g. synchronous memories, self timed memor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오토리프레쉬 동작 중 인에이블되는 리프레쉬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제어부와; 상기 버퍼제어부의 출력신호와 소정의 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부 및; 상기 논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외부클럭을 버퍼링하여 내부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내부클럭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퍼에 관한 것이다.
클럭버퍼, 오토리프레쉬(auto refresh), 외부클럭신호, 커맨드버퍼

Description

버퍼 {Buff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클럭버퍼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버퍼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럭버퍼의 출력 파형을 보여주는 타이밍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신호생성부 110 : 버퍼제어부
120 : 래치부 130 : 논리부
200 : 내부클럭생성부
본 발명은 버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프레쉬 신호를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에지에 동기시켜 클럭버퍼에 입력시킴으로써, 오토리프레쉬 과정 중 클럭버퍼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퍼에 관한 것이다.
디램(DRAM)에 사용되는 버퍼에는 커맨드 버퍼, 클럭인에이블 버퍼, 클럭 버퍼 등이 있다. 여기서 커맨드 버퍼는 행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rasb), 열어드레스 스트로브 신호(cas), 라이트인에이블 신호(web) 및 칩 선택 신호(csb)와 같은 칩 외부의 커맨드 신호를 입력받아 내부 커맨드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버퍼이고, 클럭인에이블 버퍼는 칩 외부로부터 클럭인에이블 신호(cke)를 입력받아 내부 클럭인에이블 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퍼이며, 클럭버퍼는 칩 외부로부터 클럭신호를 받아 내부 클럭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퍼이다.
이와 같은 버퍼는 오토리프레쉬 과정 중, 즉 오토리프레쉬 명령이 입력된 후 다음 오토리프레쉬 명령이 입력되기 직전 까지는 소모 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디스에이블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 또는 리프레쉬 신호(ref input) 등을 버퍼에 직접 입력시켜, 버퍼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 시키므로 오토리프레쉬 과정 중 버퍼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오토리프레쉬 과정 중 클럭버퍼의 불안정한 동작을 도 1에서 도시한 종래 기술에 따른 클럭버퍼의 회로도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클럭버퍼는 리프레쉬신호(Ref input)와 클럭인에이블신호(ckeb)를 입력받아 논리연산하는 노어게이트(NR11)와 상기 노어게이트(NR11)의 출력신호를 버퍼링하는 인버터(IV14)로 구성되는 논리부(130)와 상기 논리부(130)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외부클럭(clk_out)을 버퍼링하여 내부클럭(clkp2, clkp3)을 생성하는 내부클럭생성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클럭버퍼의 오토리프레쉬 과정 중 구체적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오토리프레쉬 커맨드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리프레쉬 신호(Ref input)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는 로우레벨이다. 따라서, 논리부(130)의 출력 신호는 논리합 연산에 의해 로우레벨이 되므로 NMOS(N21)가 턴오프(turn off) 된다. 그 결과, 클럭버퍼는 외부클럭신호(clk_out)를 PMOS(P21, P23) 및 NMOS(N22, N24)로 구성된 버퍼와 인버터(IV28, IV29, IV30)로 버퍼링한 내부클럭신호(clkp2, clkp3)를 출력한다.
이후, 오토리프레쉬 커맨드가 입력되면 리프레쉬 신호(Ref input)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된다. 또한, 오토리프레쉬 커맨드가 입력된 후 클럭인에이블신호(ckeb)도 하이레벨로 천이되므로 논리부(130)의 출력 신호는 하이레벨이 되고, 이에 따라 NMOS(N21)는 턴온(turn on) 된다. 그 결과 PMOS(P21, P23)에 접지전원(Vss)이 인가되어 PMOS(P21, P23)가 턴온(turn on)되어 하이레벨(VDD)이 PMOS(P21, P23)로 출력되므로, 내부클럭신호는 로우레벨(clkp2) 또는 하이레벨(clkp3)이 된다. 이와 같이 클럭버퍼는 오토리프레쉬 커멘드 명령이 입력되기 전에는 인에이블되어 있다가 오토리프레쉬 동작 중에는 디스에이블되어 전류소모를 줄이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클럭버퍼는 오토리프레쉬 과정 중 리프레쉬 신호(Ref input)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를 제어신호로 직접 입력받아 버퍼의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을 결정하므로 동작 상 불안정이 발생하였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클럭버퍼가 인에이블되어 내부클럭신호(clkp2, clkp3)를 생성하던 중 오토리프레쉬 커맨드가 입력되면, 곧바로 인에이블된 리프레쉬 신호(Ref input)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가 입력되어 클럭버퍼를 디스에이블시킨다. 이에 따라 외부클럭신호의 펄스폭 만큼의 신호가 모두 입력되기 전에 클럭버퍼가 디스에이블되어, 일부만이 입력된 외부클럭신호에 의해 내부클럭신호가 형성되기도 한다.
이때, 일부만이 입력된 외부클럭신호가 버퍼링되어 형성된 내부클럭신호는 정상적으로 형성된 내부클럭신호보다 좁은 펄스폭을 갖게되어, 이에 동기되어 입력되는 커맨드 신호를 제대로 인식할 수 없게 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프레 쉬 신호를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에지에 동기시켜 클럭버퍼에 입력시킴으로써, 오토리프레쉬 과정 중 클럭버퍼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버퍼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오토리프레쉬 동작 중 인에이블되는 리프레쉬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제어부와; 상기 버퍼제어부의 출력신호와 소정의 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부 및; 상기 논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외부클럭을 버퍼링하여 내부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내부클럭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퍼제어부와 상기 논리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버퍼제어부의 출력신호를 래치하는 래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버퍼제어부의 출력신호를 반전 버퍼링하는 제 1 인버터와; 상기 제 1 인버터와 래치 형태로 접속된 제 2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 2 인버터는 외부클럭에 동기하여 동작하되, 상기 버퍼제어부가 턴오프될 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퍼제어부는 상기 외부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동기해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버퍼제어부는 반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논리부에서 논리연산되는 소정의 신호는 클럭인에이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논리부는 상기 래치부의 출력신호와 상기 클럭인에이블신호를 논리합 연산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버퍼의 회로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럭버퍼는 외부클럭신호(clk)에 동기하여 오토리프레쉬 동작 중 인에이블되는 리프레쉬신호(Ref input)를 버퍼링하는 버퍼제어부(110)와, 상기 버퍼제어부(110)의 출력신호와 클럭인에이블신호(ckeb)를 논리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부(130)로 구성된 제어신호생성부(100) 및 상기 논리부(1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외부클럭신호(clk)를 버퍼링하여 내부클럭신호(clkp2, clkp3)를 출력하는 내부클럭생성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버퍼제어부(110)는 상기 외부클럭신호(clk)의 하강에지에 동기해서 동작하고, 상기 버퍼제어부(110)는 반전 동작을 수행하는 인버터(IV11)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럭버퍼는 상기 버퍼제어부(110)와 상기 논리부(130)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버퍼제어부(110)의 출력신호를 래치하는 래치부(12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래치부(120)는 상기 버퍼제어부(110)의 출력신호를 반전 버퍼링하는 제 1 인버터(IV12)와, 상기 제 1 인버터(IV12)와 래치 형태로 접속된 제 2 인버터(IV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인버터(IV13)는 외부클럭에 동기하여 동작하되, 상기 버퍼부의 인버터(IV11)가 턴오프(turn off)될 때 동작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럭버퍼는 상기 논리부(13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외부클럭(clk)을 버퍼링하여 내부클럭신호(clkp2, clkp3)를 출력하는 내부클럭생성부(2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클럭버퍼 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오토리프레쉬 동작 중 인에이블되는 리프레쉬신호(Ref input)는 버퍼제어부(110)의 인버터(IV11)에 의해 반전되어 출력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리프레쉬신호(Ref input)가 하이레벨인 경우 상기 버퍼제어부(110)의 출력신호는 로우레 벨이 된다. 다만, 상기 버퍼제어부(110)의 인버터(IV11)는 외부클럭(clk)에 동기하여 동작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외부클럭신호(clk)가 로우레벨인 경우에만 상기 인버터(IV11)가 동작하여, 입력되는 리프레쉬신호(Ref input)를 반전시키는 버퍼링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리프레쉬신호(Ref input)를 외부클럭신호(clk)의 하강에지에 동기시켜 입력받는 이유는 외부클럭신호(clk)가 하이레벨일 때 클럭버퍼가 디스에이블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입력된 외부클럭신호(clk)에 의해 좁은 펄스폭을 갖는 내부클럭신호(clkp2, clkp3)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버퍼제어부(110)에서 반전되어 출력된 신호는 래치부(120)의 제 1 인버터(IV12)에서 다시 한번 반전 버퍼링된다. 따라서, 래치부(120)의 출력신호는 리프레쉬신호(Ref input)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인버터(IV12)에는 래치 형태로 제 2 인버터(IV13) 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인버터(IV13)는 외부클럭신호(clk)가 하이레벨일 때 동작하므로 앞서, 리프레쉬신호(Ref input)를 입력받는 인버터(IV11)가 턴오프(turn off)될 때 턴온(turn on)되어 입력신호의 플로팅(floating)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서, 상기 래치부(120)의 출력신호는 논리부(130)에 입력되고, 상기 논리부(130)에서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와 논리합 연산되어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생성되는 제어신호는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와 리프레쉬 신호(Ref input)가 모두 하이레벨 인 경우 하이레벨이 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로우레벨이 되는데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오토리프레쉬 과정 중에는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와 리프레쉬신호(ref input)가 모두 하이레벨이므로 논리부(1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하이레벨이 된다.
앞서, 논리부(1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내부클럭생성부(200)에 입력되어, 외부클럭신호(clk)를 입력받아 내부클럭신호(clkp2, clkp3)를 출력하는 내부클럭생성부(200)를 제어하게 되는데, 그 제어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오토리프레쉬 커맨드(a)가 입력되기 전까지는 리프레쉬 신호(ref, C)와 클럭인에이블 신호(ckeb, H)는 로우레벨이다. 따라서, 논리부(130)의 출력신호는 논리합 연산에 의해 로우레벨이 되어 NMOS(N21)를 턴오프(turn off) 시킨다. 그 결과, 클럭버퍼는 외부클럭신호(clk)가 버퍼링된 내부클럭신호(clkp2, clkp3)를 출력한다.
이후, 오토리프레쉬 커맨드(a)가 입력되면 리프레쉬 신호(ref, C)가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된다. 이때, 리프레쉬 신호(ref, C)는 외부클럭신호(clk, A)의 하강에지에 동기하여 버퍼제어부(110)와 래치부(120)를 거쳐 논리부(130)에 입력되므로, 논리부(130)의 노어게이트(NR11)에 입력되는 리프레쉬 신호(refd, D)는 버퍼제어부(110)에 입력되는 리프레쉬 신호(ref, C) 보다 소정 구간 지연된다. 즉, 리프레쉬 신호(refd, D)는 외부클럭신호(clk, A)의 하강에지에서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 천이된다. 이와 같이, 외부클럭신호(clk, A)의 하강에지에 동기된 리프레쉬 신호(refd, D)를 입력받는 이유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클럭신호(clk, A)의 하이레벨 펄스가 부분적으로 입력되어 클럭버퍼에서 좁은 펄스폭을 갖는 내부클럭신호(clkp2, E)가 생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커맨드 신호의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오토리프레쉬 커맨드(a)의 입력 후 클럭인에이블신호(ckeb, H)도 하이레벨로 천이되므로 논리부(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하이레벨이 되고, 이에 따라 NMOS(N21)는 턴온(turn on) 된다. 그 결과 PMOS(P21, P23)에 Vss가 가해져 PMOS(P21, P23)가 턴온(turn on)되고, VDD가 턴온된 PMOS(P21, P23)를 통해 클럭버퍼 외부로 출력된다. 이때, 인버터(IV28)에서 버퍼링되어 출력되는 내부클럭신호(clkp2, E)는 로우레벨이 된다.
이후, 다음 오토리프레쉬 커맨드 (a)가 입력되기 전에 리프레쉬 신호(ref, C)가 로우레벨로 천이되면, 논리부(130)에 입력되는 리프레쉬 신호(refd, D)는 외부클럭신호(clk, A)의 하강에지에 동기하여 로우레벨로 천이되므로, 논리부(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로우레벨이 되어 NMOS(N21)가 턴오프(turn off) 된다. 그 결과, 클럭버퍼는 외부클럭신호(clk)가 버퍼링된 내부클럭신호(clkp2, clkp3)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클럭버퍼는 리프레쉬 신호를 직접 입력받아 버퍼를 디스에이블 시키지 않고, 외부클럭(clk)의 하강에지에 동기시켜 입력 받아 버퍼를 디스에이블 시키므로 외부클럭(clk)이 하이레벨일 때 클럭버퍼가 디스에이블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분적으로 입력된 외부클럭(clk)에 의해 좁은 펄스 폭을 갖는 내부클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버퍼는 리프레쉬 신호를 외부 클럭 신호의 하강에지에 동기시켜 클럭버퍼에 입력시킴으로써, 오토리프레쉬 과정 중 클럭버퍼의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외부클럭신호를 입력받아 내부클럭신호를 생성하는 버퍼에 있어서,
    외부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오토리프레쉬 동작 중 인에이블되는 리프레쉬신호를 버퍼링하는 버퍼제어부와;
    상기 버퍼제어부의 출력신호와 클럭인에이블신호를 논리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논리부; 및
    상기 논리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외부클럭신호를 버퍼링하여 내부클럭신호를 출력하는 내부클럭생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제어부와 상기 논리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버퍼제어부의 출력신호를 래치하는 래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버퍼제어부의 출력신호를 반전 버퍼링하는 제 1 인버터와;
    상기 제 1 인버터와 래치 형태로 접속된 제 2 인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버터는 외부클럭에 동기하여 동작하되, 상기 버퍼제어부가 턴오프될 때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제어부는 상기 외부클럭신호의 하강에지에 동기해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제어부는 상기 외부클럭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외부클럭신호의 반전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논리부는 논리합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퍼.
KR1020050094052A 2005-10-06 2005-10-06 버퍼 KR100755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052A KR100755060B1 (ko) 2005-10-06 2005-10-06 버퍼
US11/275,462 US7368953B2 (en) 2005-10-06 2006-01-06 Buff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052A KR100755060B1 (ko) 2005-10-06 2005-10-06 버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774A KR20070038774A (ko) 2007-04-11
KR100755060B1 true KR100755060B1 (ko) 2007-09-06

Family

ID=37910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052A KR100755060B1 (ko) 2005-10-06 2005-10-06 버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68953B2 (ko)
KR (1) KR100755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609B1 (ko) * 2007-09-12 2009-02-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버퍼제어회로
KR102567922B1 (ko) * 2018-07-03 2023-08-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지연회로 및 이를 이용한 반도체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265A (ko) * 2001-11-10 200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효율을 증가시키면서 피크 전류를 감소시키는리프레쉬 명령신호발생회로 및 명령신호발생방법
KR20040100249A (ko) * 2003-05-22 2004-1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지연고정루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6661B1 (en) * 2001-08-20 2002-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lock distribution with constant delay clock buffer circuit
US6411152B1 (en) * 2001-09-24 2002-06-25 Broadcom Corporation Conditional clock buffer circuit
KR100487652B1 (ko) * 2002-08-22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럭신호 라인에 대한 부하를 줄일 수 있는 플립플롭
KR100612417B1 (ko) * 2004-07-21 2006-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펄스-기반 고속 저전력 게이티드 플롭플롭 회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265A (ko) * 2001-11-10 2003-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채널효율을 증가시키면서 피크 전류를 감소시키는리프레쉬 명령신호발생회로 및 명령신호발생방법
KR20040100249A (ko) * 2003-05-22 2004-12-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동기식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지연고정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80719A1 (en) 2007-04-12
KR20070038774A (ko) 2007-04-11
US7368953B2 (en) 2008-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80229A1 (en) On die termination mode transfer circuit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its method
US6101144A (en)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having automatically induced standby mod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6097659A (en) Power-up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6519188B2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buffers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061826B2 (en) Command decoder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637098B1 (ko)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생성 회로 및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생성 방법
KR100755060B1 (ko) 버퍼
US6992949B2 (en) Method and circuit for controlling generation of column selection line signal
KR100333703B1 (ko) 동기식 디램의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
KR100450070B1 (ko) 셀프 리프레시 모드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방법
KR10062360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7557632B2 (en) Internal clock generator and method of generating internal clock
KR20070074456A (ko) 오토리프레쉬 신호 펄스폭 조절회로 및 오토리프레쉬를위한 내부로우어드레스 생성회로
US6310823B1 (en) Circuit for generating internal column strobe signal in synchronous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477838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
US8054709B2 (en) Power control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ing the same
KR100437607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리프레쉬 발생회로
US7263025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stably controlling power mode at high frequency and method of controlling power mode thereof
KR100712998B1 (ko) 버퍼
KR100449638B1 (ko)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셀을 갖는 에스램의리프레쉬장치 및 그 방법
KR100333701B1 (ko) 동기식 디램의 데이터 스트로브 버퍼
US5963501A (en) Dynamic clock signal generating circuit for use in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evices
KR20110045394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090251183A1 (en) Delay lock loop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KR0147633B1 (ko) 반도체 메모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