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899B1 - 난방변좌 - Google Patents

난방변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899B1
KR100752899B1 KR1020057015567A KR20057015567A KR100752899B1 KR 100752899 B1 KR100752899 B1 KR 100752899B1 KR 1020057015567 A KR1020057015567 A KR 1020057015567A KR 20057015567 A KR20057015567 A KR 20057015567A KR 100752899 B1 KR100752899 B1 KR 100752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shaft portion
pivot
main bod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7762A (ko
Inventor
모토키요 신타니
도미오 아리카와
마코토 니시무라
신야 나카가와
미츠오 다카이
히데호 시노다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5428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613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542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61348A/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체(1)에 피봇부(3)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변좌(2)에 가열수단(5)을 내장시키고, 본체(1) 내에 배설된 제어부(4)와 가열수단(5)을 접속하여, 상기 피봇부(3)에 그 회전축심과 동심형상이고 또한 외주면 또는 단면에 접속전극(14, 15)이 설치된 축부(12)와, 축부(12)가 삽입되는 밑면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축부(12)의 접속전극(14, 15)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탄성접속편(17, 18)이 장착된 통형상부(13)로 이루어진 접촉 통전접속부(11)를 설치함으로써, 변좌(2)를 피봇부(3)의 축심방향에 이동시켜서 피봇부(3)의 착탈동작을 행함으로써 접촉 통전접속부(11)의 접속·절단을 행한다. 또한, 이 구성에서 변좌(2)의 축부(12)가 삽입되는 통형상부(13)의 접속개구(10a)를 실링하는 위치에 이동하는 힘이 인가되는 실링부재(20)를 설치함으로써, 변좌(2)의 축부(12)를 통형상부(13)의 접속개구(10a)에서 인출하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실링부재(20)가 실링위치에 가압 이동되어서 접속개구(10a)가 실링된다.
본체, 변좌, 피봇부, 접속전극, 통전

Description

난방변좌{HEATED TOILET SEAT}
본 발명은 변좌(便座)에 가열수단을 내장한 난방변좌에 관한 것이다.
온수세정 난방변좌장치나 난방변좌장치의 난방변좌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본체의 후방에 장착 고정되는 본체(1)에 대하여 변좌(2)가 피봇(pivot)부(3)를 통해 회동(回動)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본체(1) 내의 제어부(4)와 변좌(2)에 내장된 가열수단(5)이 전기코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런데, 본체와 변좌가 전기코드에 의해 고정적으로 접속된 것에서는, 변좌의 청소가 가능하도록 피봇부에서 변좌를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도, 전기코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변좌의 자유도가 제한되며, 예를 들어 변좌를 화장실 밖으로 반출하여 세척할 수가 없어서, 충분히 청정한 상태로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변좌(2)를 피봇부(3)에서 본체(1)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좌(2)에서 연장된 전기코드(6)의 선단부에 커넥터(7)를 설치하여, 본체(1)에 설치된 삽입구멍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변좌(2)를 본체(1)에서 완전히 분리하여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개평 7-100083호 공보 참조). 또한, 도 9에서 8은 변기 본체, 9는 변기 덮개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도, 변좌(2)에 전기코드(6)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청소 시에 선단의 커넥터(7)가 변기 본체(8) 등에 부딪치거나, 청소 중에 커넥터(7)가 물에 빠지는 경우가 있는 등, 청소 시에 신경을 쓰지 않으면 안 되므로, 청소에 불편함을 느끼고, 따라서 청소를 태만히 하게 되어 비위생적이 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좌(2)의 피봇부(3)의 축부(50)의 단면(50a)에서 복수 개의 전극봉(51)을 돌출시켜서, 본체(1) 측에 설치한 접속케이스(52) 내에, 각 전극봉(51)을 삽입할 수 있는 가이드 구멍(54)과 그 안에 전극봉(51)의 선단이 접촉하는 접속전극(55)을 갖는 접속부재(53)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한 것도 고안되었다.
그러나, 피봇부(3)의 결합 시에는 축부(50)와 접속부재(53)의 회전방향의 위치맞춤이 필요하고, 변좌(2)의 타측의 피봇부(도시하지 않음)에도 변좌(2)의 회동 제어기구 또는 개폐 구동기구(도시하지 않음)에 대하여 착탈하기 위하여 위치맞춤이 필요함과 동시에, 변좌(2)의 양측에서 위치맞춤이 필요하게 되므로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나쁘고, 또 변좌(2)의 회동에 따른 축부(50)의 약간의 위치 어긋남에 의해서도, 복수 개의 전극봉(51) 중 어느 하나와 접속전극(55)과의 접촉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서, 접속상태가 안정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 본체(1)의 측면에 개구된 피봇부(3)의 베어링(bearing) 구멍의 내측에는 접속부재(53)를 내장한 접속케이스(52)가 배설되어 있으므로, 청소 시에 베어링 구 멍으로부터 접속케이스(52) 내로 물 등이 침입하여, 단락 등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체에서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고, 본체와 변좌를 피봇부에 의해 결합했을 때에 전기적으로 안정된 접속상태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에서 변좌를 분리했을 때에 접속개구(接續開口)로부터 물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체 내의 접속부의 보호를 도모하는 난방변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난방변좌는, 본체에 피봇부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변좌에 가열수단을 내장시키고, 본체 내에 배설된 제어부와 가열수단을 접속하며, 상기 피봇부에 그 회전축심(回轉軸心)과 동심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접속하는 접촉 통전(通電)접속부를 설치한 것으로, 변좌를 피봇부의 축심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피봇부의 착탈동작을 행하면, 그에 따라 접촉 통전접속부의 접속·절단이 행해지므로, 본체로부터 변좌를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성도 매우 좋고, 또한 접촉 통전접속부가 피봇부와 동심형상이므로 본체와 변좌를 피봇부에서 결합했을 때에 전기적으로 안정된 접속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 접촉 통전접속부를, 외주면, 단면 또는 그 양방에 접속전극이 설치된 축부와, 축부가 삽입되는 밑면이 있는 원통형상이며, 축부의 접속전극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속부재가 장착된 통형상부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면, 축부를 통형상부에 삽입하면 접속전극에 접속부재가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안정된 접속상태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축부를 변좌 측에 설치하면, 변좌의 피봇부에서도 축부가 돌출할 뿐인 단순한 외면형상이면서도, 또한 완전하게 밀봉된 구성으로 할 수 있으므로, 변좌 전체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축부의 단면과 외주에 접속전극을 설치하고, 통형상부에는 주벽(周壁)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직경방향 탄성접속편과, 저벽(底壁)의 축심부에 축심방향으로 탄성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축 방향 탄성접속편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또, 축부의 외주의 축심방향의 서로 다른 복수 위치에 외주 접속전극을 설치하고, 통형상부에는 주벽에서 직경방향 내측에 연장된 직경방향 탄성접속편을 축심방향의 복수 개소에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축부의 외주의 둘레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둘레방향 접속전극을 설치하고, 통형상부에는 주벽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직경방향 탄성접속편을 둘레방향의 복수 개소에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축부의 단면의 직경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단면 접속전극을 설치하고, 통형상부에는 단면 접속전극에 접촉하여 축심방향에 탄성변위 가능한 복수의 가동(可動) 접속부재를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상기 축부의 동일 면에 복수의 접속전극을 설치하는 경우에, 접속전극 간에 홈 또는 돌기부로 이루어진 분리수단을 설치하면, 접속전극 간의 단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가장 적합하다.
또, 본 발명의 난방변좌는 본체에 피봇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변좌에 가열수단을 내장시키고, 본체 내에 배설된 제어부와 가열수단을 접속하며, 본체에 변좌측의 접속부재를 삽입하는 접속개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접속개구를 실링(sealing)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힘을 인가하는 실링부재와, 접속부재의 삽입에 의한 실링부재의 이동에 의해 접속부재와 접속되는 접속부를 설치한 것으로, 변좌를 본체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그 접속부재를 접속개구에서 취출하면, 실링부재가 실링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접속개구가 실링되므로, 물 등이 접속개구에서 본체 내의 접속부에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본체 내의 접속부의 보호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체의 접속개구를 변좌의 피봇 축을 삽입하는 베어링 구멍과 겸용하면, 접속개구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피봇부의 결합과 접속을 동시에 행할 수 있어서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변좌측의 접속부재는 외주면, 단면 또는 그 양방에 접속전극이 설치된 축부를 구비하고, 실링부재는 축부가 삽입되는 밑면이 있는 원통형상으로 축부의 접속전극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속부를 갖는 통형상부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면, 변좌측의 접속부재가 축부로 이루어지므로, 외면 형상이 단순하고 청소가 용이하며, 또한 그 축부를 본체 측의 통형상부에 삽입함으로써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축부를 취출하면 실링부재에 의해 접속개구가 실링되므로, 청소 시 등의 변좌의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축부에는 실링부재의 내주와 축부 외주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 수단을 배설하면, 축부의 단면의 접속전극이 다른 쪽의 접속전극과 완전히 절연 분리되므로, 접속전극 간의 단락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실링부재의 이동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를 설치하여, 이 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제어부에서 접속부에 통전하도록 구성하면, 접속부재가 접속개구에 삽입되어서 실링부재가 이동하지 않는 한 접속부에 통전되지 않으므로, 실링부재에 한 쪽의 전극이 배설되어 있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제어부를 스위치의 작동상태가 일정시간 계속한 후 통전을 개시하도록 구성하거나, 스위치의 작동 후 가열수단과의 도통 확인을 행하여, 도통 확인 후 통전을 개시하도록 구성하면, 청소작업 시 등에 뜻하지 않게 실링부재가 이동되는 일이 있어도, 바로 접속부에 통전되지 않으므로 한층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 이상의 구성에서, 축부를 이동 가능하게 배설함과 동시에, 피봇부의 결합상태에서 축부를 통형상부 내에 삽입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설치하면, 피봇부를 결합한 후, 축부를 이동하여 접속할 수 있으므로, 변좌의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난방변좌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단면 평면도이다.
도 2는 동 실시예의 통형상부를 도 1의 A-A 화살표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실시예에서 변좌 분리 시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단면 평면도이다.
도 4A~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난방변좌의 요부구성을 도시하며, 도 4A는 단면 평면도이고, 도 4B는 변좌 분리 시의 통형상부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5A~도 5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난방변좌의 요부구성을 도시하며, 도 5A는 단면 평면도와 축부 단면 근방의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이고, 도 5B는 변좌 분리 시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6A~도 6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난방변좌의 요부구성을 도시하며, 도 6A는 단면 평면도이고, 도 6B는 변좌 분리 시의 통형상부의 단면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난방변좌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단면 평면도와 그 축부 단면 근방의 C-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난방변좌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9는 종래 예의 난방변좌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 단계에서의 난방변좌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단면 평면도이다.
(제 1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난방변좌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난방변좌의 전체 개략구성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하며, 그 설명을 원용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부인 변좌(2)의 피봇부(3)에서의 전기적 접속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변좌(2)의 일측의 피봇부(3)에서의 피봇 축(10)의 선단부에, 피봇 축(10)의 회전축심과 동심형상의 접촉 통전접속부(11)가 배설되어 있다. 이 접촉 통전접속부(11)는, 피봇 축(10)의 선단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축부(12)와, 축부(12)가 삽입되도록 본체(1)에 장착 고정된 밑면이 있는 원통형의 통형상부(1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체(1)의 내면에는, 피봇 축(10)이 결합하는 베어링 구멍(10a)의 직경방향 외측의 2개소에 장착 보스(1a)가 돌출 설치되고, 통형상부(13)의 외주에 돌출 설치된 장착부(13a)가 장착 보스(1a)에 결합되어 장착 나사(1b)에 의해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축부(12)에는, 외주면의 외주 접속전극(14)과 단면 중앙부의 단면 접속전극(15)이 설치되고, 이들이 리드선(16)을 통해서 가열수단(5)에 접속되어 있다. 통형상부(13)에는, 주벽으로부터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외주 접속전극(14)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한 쌍의 직경방향 탄성접속편(17)과, 저벽(13b)의 축심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축심방향으로 탄성변위가 가능한 축 방향 탄성접속편(18)이 설치되어서, 이들이 리드선(19)을 통해 제어부(4)에 접속되어 있다. 한 쌍의 직경방향 탄성접속편(17)은 연결편(17a)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축 방향 탄성접속편(18)은, 본체(1)의 베어링 구멍(10a)을 실링 가능하도록 축심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통형상부(13) 내에 배설된 실링부재(20)의 축심부에 설치된 접속단자(21)를 통해서 단면 접속전극(15)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링부재(20)는, 통형상부(13)의 저벽(13b)에서 내측을 향해 돌출 설치된 가이드 통(22)의 외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딩 통부(23)와 그 일단에 연접(連接)된 접시형상의 실링부(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실링부(24)와 저벽(13b) 사이에 압축 스프링(25)이 설치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12)를 선단에 갖는 피봇 축(10)을 인출한 때에, 실링부(24)가 베어링 구멍(10a)에 압접( 壓接)하면서 삽입되어 베어링 구멍(10a)을 밀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상태에서 직경방향 탄성접속편(17)은 실링부(24)에 의해 직경방향 외측으로 눌러져서 후퇴하므로, 실링부(24)에 의한 밀봉동작을 저해하지는 않는다.
한편, 피봇 축(10)을 베어링 구멍(10a)에 삽입하여 피봇부(3)를 결합하면, 실링부재(20)가 축부(12)의 선단에 의해 눌러져서 압축스프링(25)이 미는 힘에 대항하여 후퇴하여 이동하고, 그 상태에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링부(24)는 직경방향 탄성접속편(17)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며, 외주 접속전극(14)과 직경방향 탄성접속편(17)이 접촉 접속되고, 또한 단면 접속전극(15)과 축 방향 탄성접속편(18)이 실링부(24)의 축심부에 설치된 접속단자(21)를 통해서 접촉하여 접속된다.
또, 실링부재(20)가 후퇴하여 이동한 상태에서, 통형상부(13)의 주벽의 적소(適所)에 배설된 마이크로 스위치(26)가 슬라이딩 통부(23)에 의해 작동되어서, 제어부(4)와 가열수단(5) 사이의 회로가 폐쇄(close)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축부(12)의 선단부 외주에 배설된 O링(27)(실링 수단)이 실링부(24)의 선단부 내주에 압접하여 외주 접속전극(14)의 배치공간과 단면 접속전극(15)의 배치공간을 완전하게 차단시켜서 만일 물 등이 침입하여도 단락할 우려가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본체(1)와 변좌(2)를 피봇부(3)에 의해 결합하므로, 피봇 축(10)을 베어링 구멍(10a)에 삽입하여 결합하면, 그 선단의 축부(12)가 통형상부(13) 내에 삽입되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 접속전극(14)에 직경방향 탄성접속편(17)이 탄성적으로 접촉하고, 또한 단면 접속전극(15)에 실링부재(20)의 접속단자(21)를 통해서 축 방향 탄성접속편(18)이 탄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안정된 접속상태가 확보되며, 또한 마이크로 스위치(26)가 작동함으로써, 본체(1)의 제어부(4)와 변좌(2)의 가열수단(5)이 접속되어서 변좌(2)의 가열제어가 행해진다.
한편, 피봇 축(10)을 베어링 구멍(10a)에서 인출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부(12)도 통형상부(13)에서 이탈함과 동시에, 실링부재(20)가 압축 스프링(25)의 가압력에 의해 돌출 이동하여, 그 실링부(24)에 의해 베어링 구멍(10a)이 실링됨과 동시에 마이크로 스위치(26)가 폐쇄된다.
또, 변좌(2) 측의 피봇부(3)는, 선단에 축부(12)를 갖는 피봇 축(10)이 돌출해 있을 뿐인 단순한 외면 형상임과 동시에 완전하게 밀봉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변좌(2) 전체를 용이하게 세정할 수 있다.
이리하여, 변좌(2)를 피봇부(3)의 축심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피봇부(3)의 착탈 동작을 행함으로써 접촉 통전접속부(11)의 접속·절단이 행해지므로, 본체(1)에서 변좌(2)를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립성도 매우 좋고, 또한 접촉 통전접속부(11)가 피봇부(3)와 동심형상이므로 본체(1)와 변좌(2)를 피봇부(3)에 의해 결합했을 때에 전기적으로 안정된 접속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 변좌(2)를 분리한 상태에서, 본체(1) 측의 베어링 구멍(10a)이 실링부재(20)에 의해 실링되므로, 청소작업 시에 만일에라도 물 등이 본체(1) 내로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그 상태에서 마이크로 스위치(26)가 폐쇄되므로, 만일 전원을 끄는 것을 잊어버리고 작업을 행하여, 베어링 구멍(10a) 내에 드라이버 등을 삽입하여, 직경방향 탄성접속편(17)과 접속단자(21)가 접촉해서, 그 접속단자(21)가 축 방향 탄성접속편(18)에 접촉해 버린 경우에도, 단락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어, 본 발명의 난방변좌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선행하는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부(12)의 외주면에 축심방향으로 병렬로 복수의 외주 접속전극(14a, 14b)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들 사이에 전극(14a, 14b)을 분리하여 상호 절연을 확보하는 돌기부(28) 또는 오목 홈이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부(13)에는, 이들 복수의 외주 접속전극(14a, 14b)에 대응하여 주벽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복수 쌍의 직경방향 탄성접속편(17a, 17b)이 설치되고, 또한 실링부재(20)의 실링부(24)에, 축부(12)의 선단에 의해 눌러져서 실링부재(20)가 후퇴하여 이동된 때에 직경방향 탄성접속편(17b)이 관통하여 외주 접속전극(14b)에 접촉하는 관통 창(2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3 실시예)
이어, 본 발명의 난방변좌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부(12)의 선단부 외주에 둘레방향으로 복수의 둘레방향 접속전극(31a, 31b)이 설치되고, 통형상부(13)에는 주벽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복수의 직경방향 탄성접속편(32a, 32b)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통형상부(13)의 내측에는 베어링 구멍(10a) 측에서 가이드 통(33)이 연장되어서, 이 가이드 통(33)의 내주에, 개구부가 베어링 구멍(10a)의 내주에 삽입될 수 있고 또한 그 내측에는 축부(12)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나팔형상의 실링부재(34)가 축심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실링부재(34)와 통형상부(13)의 저벽(13b) 사이에는 압축 스프링(35)이 설치되며, 실링부재(34)가 개구 측을 향해서 돌출하는 힘이 인가되어 있다. 가이드 통(33) 및 실링부재(34)에는, 실링부재(34)가 축부(12)의 선단에 의해 눌러져서 후퇴한 상태에서 직경방향 탄성접속편(32a, 32b)이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또한 이들의 개구는 실링부재(34)가 압축 스프링(35)에 의해 돌출 이동한 상태에서 서로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링부재(34)의 저부(底部)에, 실링부재(34)가 후퇴한 위치에 이동했을 때에 통형상부(13)의 저벽(13b)을 관통하여 돌출하는 돌기(36)가 돌출 설치되고, 통형상부(13)의 저벽 외면에 돌기(36)가 돌출했을 때에 폐쇄되는 마이크로 스위치(26)가 배설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또한, 변좌(2)의 회동 각도는 통상 120°정도이므로, 360°각도 범위에 복수의 둘레방향 접속전극(31a, 31b)과 복수의 직경방향 탄성접속편(32a, 32b)을 배설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이어, 본 발명의 난방변좌의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부(12)의 단면의 직경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단면 접속전극(37a, 37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단면 접속전극(37a, 37b)은 축심방향의 위치를 상호 다르게 하여 동일 평면에 존재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그들 사이에 오목 홈(38)을 형성하여 상호 단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형상부(13) 내에는 가동 실링 접속부재(39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그 내주에 가동 실링 접속부재(39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며, 또한 이들 가동 실링 접속부재(39a, 39b)에, 각각에 단면 접속전극(37a, 37b)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전극(40a, 40b)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실링 접속부재(39a, 39b)와 통형상부(13)의 저벽(13b) 사이에 각각 압축 스프링(41a, 41b)이 설치되고, 축부(12)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베어링 구멍(10a)이 이들 가동 실링 접속부재(39a, 39b)에 의해 실링되며, 또한 축부(12)가 삽입된 때에 단면 접속전극(37a,37b)과 접속전극(40a, 40b)이 압접 상태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5 실시예)
이어, 본 발명의 난방변좌의 제 5 실시예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변좌(2)에서의 피봇부(3)의 축부(12)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축부(12)를 이동 가능하게 배설함과 동시 에, 피봇부(3)의 결합상태에서 축부(12)를 통형상부 내에 삽입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구체 예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3 실시예에서의 축부(12)의 후단 테두리부(42)와 단부 돌출 중공축으로 이루어진 피봇 축(10)의 내주단부(43) 사이에, 축부(12)가 변좌(2) 내로 후퇴한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누르는 힘을 인가하는 압축 스프링(44)을 설치하고, 또한 변좌(2)의 외측부로 개구한 조작개구(45)에 압축 스프링(4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축부(12)를 돌출 이동시키는 이동조작구(46)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이동 조작구(46)를 분리하여 축부(12)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피봇부(3)를 결합한 후, 이동 조작구(46)를 장착하여 축부(12)를 통형상부(13) 내에 삽입함으로써, 피봇부(3)의 결합과 본체(1) 측의 제어부(4)와 변좌(2) 측의 가열수단(5)의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에 도시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축부(12)의 내주의 축심방향의 복수 개소에 접속전극을 설치하거나, 축부(12)의 내주의 둘레방향의 복수 개소에 접속전극을 설치하거나, 축부(12)의 단면과 내주에 접속전극을 설치하거나, 축부의 단면의 둘레방향 복수 개소에 접속전극을 설치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난방변좌에 의하면, 변좌를 회동 가능하면서, 또한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봇부에, 그 회전축심과 동심형상의 접촉 통전접속부를 설치함으로써, 본체에서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성도 매우 좋은 변좌를 제공하기에 적합함과 동시에, 접촉 통전접속부가 피봇부와 동심형상이므로 본체와 변좌를 피봇부로 결합했을 때에 전기적으로 안정된 접속상태를 구성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난방변좌에 의하면, 본체에 변좌 측의 접속부재를 삽입하는 접속개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접속개구를 실링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힘이 인가된 실링부재와, 접속부재의 삽입에 의한 실링부재의 이동에 의해 접속부재와 접속되는 접속부를 설치하였으므로, 변좌를 본체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그 접속부재를 접속개구로부터 인출하면, 실링부재가 실링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접속개구가 실링되므로, 물 등이 접속개구에서 본체 내의 접속부로 침입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본체 내의 접속부의 보호를 도모하기에 적합하다.

Claims (15)

  1. 본체(1)에 피봇부(3)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변좌(2)에 가열수단(5)을 내장시키고, 본체(1) 내에 배설된 제어부(4)와 가열수단(5)을 접속하며, 상기 피봇부(3)에 그 회전축심과 동심 형상으로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촉 통전접속부(11)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2.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 통전접속부(11)는, 외주면, 단면 또는 그 양방에 접속전극(14, 15)이 설치된 축부(12)와, 축부(12)가 삽입되는 밑면이 있는 원통형상이고, 축부(12)의 접속전극(14, 15)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속부재가 장착된 통형상부(1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3. 제 2 항에 있어서,
    축부(12)의 단면과 외주에 접속전극을 설치하고, 통형상부(13)에는 주벽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직경방향 탄성접속편(17)과, 저벽(13b)의 축심부에 축심방향으로 탄성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축 방향 탄성접속편(1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4. 제 2 항에 있어서,
    축부(12)의 외주의 축심 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외주 접속전극(14a, 14b)을 설치하고, 통형상부(13)에는 주벽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직경방향 탄성접속편(17a, 17b)을 축심방향의 복수 개소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5. 제 2 항에 있어서,
    축부(12)의 외주의 둘레방향의 서로 다른 각도의 범위에 복수의 둘레방향 접속전극(31a, 31b)을 설치하고, 통형상부(13)에는 주벽에서 직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직경방향 탄성접속편(32a, 32b)을 둘레방향의 복수 개소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6. 제 2 항에 있어서,
    축부(12)의 단면의 직경방향의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의 단면 접속전극(37a, 37b)을 설치하고, 통형상부(13)에는 단면 접속전극(37a, 37b)에 접촉하여 축심방향으로 탄성변위 가능한 복수의 가동 접속부재(39a, 39b)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7. 제 6 항에 있어서,
    축부(12)의 단면 접속전극(37a, 37b) 사이에, 홈 또는 돌기부로 이루어진 분리수단(38)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8. 본체(1)에 피봇부(3)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변좌(2)에 가열수단(5) 을 내장시키고, 본체(1) 내에 배설된 제어부(4)와 가열수단(5)을 접속하며, 본체(1)에 변좌(2) 측의 접속부재를 삽입하는 접속개구(10a)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 접속개구(10a)를 실링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힘이 인가된 실링부재(20)와, 접속부재의 삽입에 의한 실링부재(20)의 이동에 의해 접속부재와 접속되는 접속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9. 제 8 항에 있어서,
    본체(1)의 접속개구(10a)는 변좌(2)의 피봇 축(10)을 삽입하는 베어링 구멍(10a)을 겸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10. 제 8 항에 있어서,
    변좌(2)측의 접속부재는, 외주면, 단면 또는 그 양방에 접속전극(14, 15)이 설치된 축부(12)를 구비하고, 실링부재(20)는 축부(20)가 삽입되는 밑면이 있는 원통형상으로서 축부(12)의 접속전극(14, 15)에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접속부를 갖는 통형상부(13)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축부(12)에는 실링 부재(20)의 내주와 축부 외주 사이를 밀봉하는 실링수단(27)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12. 제 8 항에 있어서,
    실링부재(20)의 이동에 의해 작동하는 스위치(26)를 설치하고, 이 스위치(26)의 작동에 의해 제어부(4)에서 접속부로 통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부(4)는 스위치(26)의 작동상태가 일정시간 계속한 후 통전을 개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14. 제 12 항에 있어서,
    제어부(4)는 스위치(26)의 작동 후에 가열수단(5)과의 도통 확인을 행하고, 도통 확인 후에 통전을 개시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15. 제 2 항,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축부(12)를 이동 가능하게 배설함과 동시에 피봇부(3)의 결합상태로 축부(12)를 통형상부(13) 내에 삽입한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변좌.
KR1020057015567A 2003-02-28 2004-02-26 난방변좌 KR100752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54287 2003-02-28
JP2003054286A JP2004261347A (ja) 2003-02-28 2003-02-28 暖房便座
JPJP-P-2003-00054286 2003-02-28
JP2003054287A JP2004261348A (ja) 2003-02-28 2003-02-28 暖房便座
PCT/JP2004/002318 WO2004075708A1 (ja) 2003-02-28 2004-02-26 暖房便座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62A KR20050107762A (ko) 2005-11-15
KR100752899B1 true KR100752899B1 (ko) 2007-08-28

Family

ID=32929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567A KR100752899B1 (ko) 2003-02-28 2004-02-26 난방변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52899B1 (ko)
CN (1) CN1753636A (ko)
WO (1) WO2004075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11598B (zh) * 2008-12-02 2011-06-08 江门市汉宇电器有限公司 具有加热坐垫的电子便坐
JP5708149B2 (ja) * 2011-03-31 2015-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713407B2 (en) 2012-04-02 2017-07-25 Home Depot Product Authority, Llc Fast release toilet seat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WO2017029369A1 (de) * 2015-08-18 2017-02-23 Hamberger Industriewerke Gmbh Wc-sitzgelenkanordnung
JP7190676B2 (ja) * 2018-09-26 2022-12-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便座装置
ES2782300B2 (es) * 2019-03-11 2021-09-15 Roca Sanitario Sa Asiento de inodoro calefactado, inodoro y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un asiento de inodoro
CN213821204U (zh) * 2020-10-27 2021-07-30 吉博力国际股份公司 一种盖板防水机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6940A (ja) 1997-04-03 1998-10-20 Inax Corp 暖房便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3723273Y1 (ko) * 1960-03-10 1962-09-03
JPS5667688U (ko) * 1979-10-30 1981-06-05
JPS6350486U (ko) * 1986-09-19 1988-04-05
JP3718842B2 (ja) * 1997-03-28 2005-11-24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便座の暖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6940A (ja) 1997-04-03 1998-10-20 Inax Corp 暖房便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62A (ko) 2005-11-15
CN1753636A (zh) 2006-03-29
WO2004075708A1 (ja) 200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0091B2 (ja) 電気コネクタ、電気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電気自動車用充電器
KR100752899B1 (ko) 난방변좌
EP1077456A2 (en) Breaker device
JP4652950B2 (ja) 着脱式車両用アンテナ
JP4146727B2 (ja) 開閉軸用軸受装置を備えた低電圧遮断器
JP2008269894A (ja) コネクタ嵌合構造
JP4272378B2 (ja) 自動車の電気的機能グループを作動するためのスイッチング装置を有する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6094692A (ja) モータ及びワイパ装置用モータ
JP2006510166A (ja) コンタクトのアーク放電が制限された電気スイッチ
JP3596426B2 (ja) 防水コネクタ
JP5970596B2 (ja) 電気コネクタ、電気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電気自動車用充電器
US20070077802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083057B2 (ja) グロメットの位置決め構造及び逆付け検知機構
EP3428943B1 (en) Electric safety contact actuated by a removable actuation key
CN105097309B (zh) 断路器或开关中的触头结构
JP5845368B2 (ja) 電気コネクタ、電気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電気自動車用充電器
CN210607146U (zh) 小型断路器
JP2004261348A (ja) 暖房便座
JP5078403B2 (ja) 車両用アウトハンドル装置
JP2004261347A (ja) 暖房便座
JP3750876B2 (ja) 切換えスイッチユニット
CN220672885U (zh) 连接器组件
CN217086432U (zh) 按键结构及电器
EP4071940B1 (en) Connector
JP2005209527A (ja) 防水スイッチと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