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909B1 -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909B1
KR100750909B1 KR1020060013407A KR20060013407A KR100750909B1 KR 100750909 B1 KR100750909 B1 KR 100750909B1 KR 1020060013407 A KR1020060013407 A KR 1020060013407A KR 20060013407 A KR20060013407 A KR 20060013407A KR 100750909 B1 KR100750909 B1 KR 100750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ns
microcapsules
soybean
ginse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1496A (ko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13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909B1/ko
Publication of KR20070081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1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8Rigid pipes of concrete, cement, or asbestos cement,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미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콩에 함유된 주요성분을 중심물질로 삼고 탄수화물과 단백질 등 자체 함유물을 벽물질로 하여 콩에 함유된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안정적으로 보존하면서 약리성분을 효과적으로 생체내에 전달할 수 있는 미세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콩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고 동시에 미세캡슐화를 유도하여 소화흡수가 용이하고 장기적으로 안정할 수 있으며, 콩 자체 성분만으로 미세캡슐을 제조함으로써 콩 고유성분만을 함유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성 벽물질에 의한 용해도 개선으로 음용시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콩, 팥, 생리활성물질, 미세캡슐, 인삼

Description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eparing Bean Component Microcapsule Having Good Loog Stability Proper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콩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x2,000)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콩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x10,000)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인삼성분 함량(0.05%)을 갖는 콩성분 미세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x2000)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삼성분 함량(0.1%)을 갖는 콩성분 미세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x2000)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인삼성분 함량(0.5%)을 갖는 콩성분 미세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x2000)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인삼성분 함량(1%)을 갖는 콩성분 미세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x2000)이다.
본 발명은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콩에 함유된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안정적으로 보존하면서 약리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미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미목 콩과의 한해살이풀인 콩은 식용작물로 널리 재배된다. 예로부터 콩이라면 대두를 말하였으나 현재는 식용으로 이용되는 콩과식물의 종자를 총칭하는 경우가 많다. 콩을 용도에 따라 분류하면 일반용으로 쓰이는 보통콩(일반콩), 기름을 짜기에 알맞은 기름콩, 밥에 넣어 먹기에 알맞은 밥밑콩, 콩나물을 기르는 데 알맞게 씨알이 잔 콩나물콩(쥐눈이콩), 풋베기해서 가축의 사료로 이용하는 풋베기콩 등으로 구별된다. 이 밖에 씨알의 크기나 생태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콩에는 일반적으로 100g중에 단백질이 38%, 지질이 18%, 당질이 7%정도 함유되어 335cal 열량을 가지고 있다. 무기질로는 칼슘과 철이 각각 208mg과 6.5mg이 함유되어 있으며 비타민으로는 A, E, B1, B2, 나이아신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단백질 함량은 콩 품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며 약 40%가 필수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으며, 아미노산 조성 균형이 가장 잘 이루어진 작물의 하나이다. 이러한 단백질은 혈중 콜레스테롤, 지질, 지단백질의 농도를 감소시켜 동맥경화 및 심장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 특히 콩단백질은 단백뇨, 조직손상, 고지혈증 및 사구체 투과성 증가 등의 신장기능 이상증세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고 되었다. 또한 콩단백질은 담석증 예방에 효과적이다.
지방 함량도 콩 품종에 따라 큰 차이가 있으며, 포화지방산이 15% 정도이고, 불포화지방산이 85% 정도로 되어 있어 영양적으로 필수지방산이 풍부하여 그 공급원으로 중요하다. 또한 콩기름은 폭넓은 온도에서도 액상으로 유지되며, 팔미틴산이 적어 반경화유 제조에 알맞고, 식물성 스테롤이 약 0.33%나 들어 있어 우리의 혈중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함으로써 동맥경화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콩 함유 인지질은 뇌기능 향상과 노인성 치매 예방 및 혈중 콜레스테롤 축적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사포닌은 과산화지질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서 노화예방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소플라본은 암세포 증식을 억제함으로서 유방암, 대장암, 폐암 등 억제와 골다공증 억제 및 신부전, 신장질환 등과 같은 만성질환의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이소플라본 배당체의 하나인 다이시진은 음주욕구를 저하시키고 음주 후 급격한 혈중 알콜농도상승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폐경기여성을 대상으로 한 호르몬 요법으로 에스트로젠 투여가 생식기관의 암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고 알려져 있어 에스트로젠 대체물질로 콩이 주목을 받고 있다. 콩의 섭취가 폐경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제반증상을 완화시켜 주며 에스트로젠 투여시 관찰되는 고지혈증이나 유방 및 자궁내 근육증의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며, 폐경기 여성에게서 관찰되는 전신열이 콩성분에 의해서 완화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당함량도 품종에 따라 적지 않은 차이가 있어 약 6.0% 내지 12.1%에 이르고 있는데, 그 중에서 단당류는 거의 없고 서당 4.2%, 라피노오스 1.3%, 스타키오스 2.7% 등 올리고사카라이드가 2.7%를 차지하며 전분은 거의 없고 셀루로오스 및 헤미셀루로오스 등이 나머지를 차지하고 있다. 콩올리고당은 장내 유용균 번식을 촉진한다. 또한 콩에 함유된 식이섬유는 콜레스테롤 배설 촉진, 장기능에 대한 생리에 효과적이다.
이같은 콩에 함유된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안정적으로 보존하면서 약리성분을 효과적으로 생체내에 전달할 수 있는 콩성분 함유 미세캡슐화에 관한 효과적인 기술은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콩성분내 주요 생리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함과 동시에 자체성분만으로 미세캡슐을 제조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된 미세캡슐의 효율을 높이고 수용성을 갖는 미세캡슐을 제조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견지에 의하면,
콩을 분쇄하는 제1단계;
분쇄된 콩을 물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켜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을 제조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을 초음파 처리하여 미세캡슐을 석출시키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콩성분을 함유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미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하면,
상기 일견지 방법의 제2단계중 분쇄된 콩을 용해시키거나 현탁시키기에 앞서 물에 인삼 분말 또는 추출액을 0.1-0.5중량% 범위내로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콩성분을 함유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미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내 미세캡슐의 내포물로 되는 생리활성물질로는 콩류를 사용한다. 이때 사용가능한 콩의 종류로는 흑콩, 울콩, 밤콩, 노란콩, 백태, 녹두, 땅콩등이 모두 사용가능하다.
한편, 콩종류에 따라 제조된 미세캡슐의 수와 크기가 각각 차이가 나는 바, 총캡슐수는 흑콩, 노란콩, 밤콩, 땅콩, 백태, 녹두, 울콩 순으로 많았으며, 2.5㎛ 이하의 미세캡슐의 비율은 노란콩, 밤콩 순으로 높았다.
한편, 콩과에 해당하는 팥도 2.5㎛ 이하의 미세캡슐 비율이 96.5%로 매우 높아 미세캡슐 제조시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콩성분을 이용한 미세캡슐화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다음과 같은 제조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단계로서, 콩을 분쇄한 다음 제2 단계로서, 물에 콩가루를 용해시키거나 현탁시켜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콩가루는 물 100㎖를 기준으로 하여 50g 까지 첨가할 수는 있으나 과량 사용하면 죽처럼 되어 미세캡슐을 얻을 수 없으므로, 유동성이 높은 수용액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5g에서 20g 정도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콩가루는 미세할수록 좋으며, 특히 100메쉬 전후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콩의 형태로는 콩가루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아예 콩으로부터 얻어낸 액(두유)을 물에 직접 첨가한 다음 추후 단계들을 거칠 수도 있다.
그런다음 제2 단계로부터 얻어진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을 초음파 처리하여 미세캡슐의 형성을 유도한다. 이때 초음파 처리시간은 30분 이상의 초음파처리시 생리활성물질의 변성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으며, 30초이상 5분이내 단시간의 처리에서도 미세캡슐의 제조가 유효하며, 캡슐화를 효율화하기 위하여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초음파유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콩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고 동시에 미세캡슐화를 유도하여 소화흡수가 용이하고 장기적으로 안정할 수 있으며, 콩 자체 성분만으로 미세캡슐을 제조함으로써 콩 고유성분만을 함유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성 벽물질에 의한 용해도 개선으로 음용시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갖는다. 이같이 제조된 콩성분 함유 미세캡슐은 액상 혹은 분말형태 모두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자는 본 연구도중 이같이 콩자체 함유 성분만으로 제조된 미세캡슐의 x2000배 전자현미경 사진(도 1)과 x10000배 전자현미경 사진(도 2)로부터, 콩 자체 함유 성분만으로 제조한 미세캡슐은 심하게 위축된 다각형 구조물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내부는 비어있다는 점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내부의 공동부에는 필요로 하는 다양한 내용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인삼을 사용하면 약리효과와 동시에 콩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수와 크기 및 형태면에서 우수한 미세캡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삼은 다년생의 반음지성 숙근초로서 매년 봄이 되면 땅속의 뿌리에서 새싹이 나오며 잎과 줄기는 매년 가을이 되면 고사한다. 식물학적으로 보면 오가과 인삼속에 속하며, 학명은 파낙스 진셍(Panax ginseng C. A. Meyer)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천여년전부터 인공재배를 시작하였으나 문헌상으로는 조선선조(1567~1608)때 재배하였다. 인삼의 효능으로는 신농본초경에서 "인삼은 주로 오장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경계(驚悸)를 멈추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머리를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수명(壽命)을 연장한다"고 하였다. 또한 명의별록이나 본초강목에서도 인삼의 효능을 집약 수록하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 인삼의 유효성분에 관한 연구가 시작된 이래 22종의 프로토파낙사디올계, 11종의 프로토파낙사트리올계 및 1종의 올레아놀린계 사포닌외에도 다당체, 폴리아세치렌계 및 페놀계 화합물, 정유성분, 펩타이드, 알카로이드, 비타민 등 생리활성을 가진 성분들이 밝혀지고 있다. 즉, 인삼에서 다당체 성분으로 21종의 panaxan이 분리되었다. 인삼사포닌의 배당체로서는 파낙사디올과 파낙사트리올, β-시스토스테롤 및 올레아놀산의 성분이 있다. 인삼 고유의 향기성분으로 60~110℃에서 분리되는 panacen외에도 메톡시프라진과 세스퀴테르펜 알코올의 일종인 panasinol A, B와 ginsenol 등이 보고되었다. 인삼에 함유된 폴리아세틸렌 성분으로는 panaxynol, panaxydol 및 panaxytriol이 대표적이며 이들을 포함하여 20여 종의 폴리아세틸렌 성분이 구명되었는데, 이같은 폴리아세틸렌 성분들은 대부분 종양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으며 특히 홍삼의 특유의 성분인 panaxytriol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작용이 현저하다.
인삼에 함유된 페놀 성분으로는 말톨, 살리실산 및 바닐리산(vanilie acid) 등을 포함하여 10여종 이상이 있으며, 이들 중에 말톨은 항산화효과가 있다. 인삼의 뿌리 중에 질소함량은 전체 중량의 2~3% 정도이고 이중 60~90%는 수용성 질소이다. 수용성 질소 중 약 20%는 단백질이고 나머지 수종의 펩타이드와 다양한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알카로이드 성분으로는 choline을 포함 10여종 이상이 분리되었으며, Hela-cell과 KS-cell의 생육을 억제한다. 펩타이드는 인슐린과 같은 작용을 하여 당뇨병에 유효하다.
또한 인삼에는 24종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으며 우라실, 구아닌, 아데닌 등의 핵산염기와 우리딘, 아데노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아데노신은 인슐린과 유사작용이 있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로는 인삼의 줄기와 잎에는 캠페롤, 트리폴림, 파나세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인삼에는 비타민 B1, B2, B12, Biotin, 비타민 C, Nicain, Pantothenic acid, Folic acid 등으로 수용성 비타민이 함유되어 있다. 인삼에는 미량원소로서 망간, 구리, 바나듐, 코발트, 비소, 게르마늄, 인, 알루미늄, 니켈 등이 있으며, 특히 게르마늄은 세포독성을 통하여 노화된 세포가 신생세포로 전환시키고 항암작용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에는 아밀라아제와 페놀라아제 등 효소가 있다. 홍삼에는 24종의 유리지방산이 함유되어 있다.
이같은 인삼분말을 상기 제2 단계에서 물에 콩가루를 투입하기에 앞서 혹은 투입후 첨가하며, 이때 인삼분말은 물 100㎖ 기준으로 0.1-0.5%범위내에서 첨가하면 좋다. 상기 함량범위는 캡슐의 크기와 내용물의 함유정도 및 제조시 경제성등을 감안하여 크기가 작고 구형인 미세캡슐을 제조할 수 있는 범위내로 설정된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인삼의 형태로는 인삼 분말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인삼을 미리 원액을 낸 다음 물에 희석시키는 형태로도 사용가능하다.
한편, 이같이 제조된 인삼첨가 콩성분 함유 미세캡슐은 액상 혹은 분말형태 모두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콩 종류가 미세캡슐 형성에 미치는 영향
본 실험에서는 콩종류에 따른 미세캡슐화의 가능성과 효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물 100ml에 arginine 0.5g을 녹인 용액에 다양한 종류의 콩 10g을 녹이고 유화제(HLB 16.7) 0.5%를 함유한 콩기름 1ml를 첨가하여 1분 30초간 20,000rpm 전후의 고속교반기 또는 가정용 일반믹서기를 사용하여 교반하여 미세캡슐의 형성을 유도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용액을 1% 트립판불루용액과 동량 혼합한 다음 현미경(400배)에서 미세캡슐의 수와 나노캡슐의 비율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종류 미세캡슐의 수(비율)
<2.5 >2.5 총캡슐수
흑콩 3156(79.7) 801(20.3) 3957
울콩 1464(79.8) 370(20.2) 1834
밤콩 2776(80.5) 671(19.5) 3447
노란콩 3160(88.2) 442(11.8) 3602
백태 1912(76.0) 605(24.0) 2517
녹두 1896(76.7) 577(23.3) 2473
땅콩 1864(69.3) 826(30.7) 2690
2916(96.5) 106(3.5) 3022
상기표에서 보듯이, 콩종류에 따라 제조된 미세캡슐은 그 수와 크기에 있어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총캡슐수는 흑콩, 노란콩, 밤콩, 땅콩, 백태, 녹두, 울콩 순으로 많았으며, 특히 2.5㎛이하의 미세캡슐의 비율은 노란콩, 밤콩 순으로 높았다. 한편 팥의 경우도 미세캡슐의 수가 많았으며 특히 2.5㎛이하의 미세캡슐이 96.5%로 매우 높아 미세캡슐제조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미세캡슐화제품의 생산에 이들 모두가 사용가능하며 이미 이들이 함유한 주요성분을 고려하면 자체미세캡슐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2. 콩함유 생리활성물질 함유 미세캡슐의 효율성
본 실시예는 콩성분만을 이용한 미세캡슐제조의 가능성 및 그 효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물 100㎖에 100메쉬 정도로 분쇄시킨 콩가루 10g을 녹이고 1분 30초간 초음파유화기를 사용하여 초음파 처리함으로써 미세캡슐의 형성을 유도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용액은 1% 트립판불루용액과 동량 혼합한 다음 현미경(1000배)에서 액상 미세캡슐의 수와 나노캡슐의 비율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2내에 대조구로서 나타내었다.
한편 제조된 액상캡슐용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 캡슐분말을 만들고, 증류수에 100배 용해하여 미세캡슐의 수와 나노캡슐의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미세캡슐분말을 백금으로 도포한 후 전자현미경(FE-SEM)하에서 2,000, 10,000, 25,000배율로 분말 미세캡슐의 형태와 크기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3내 대조구로서 나타내었다.
또한, 2000배 배율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1에 그리고 10,000배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2에 각각 도시하였다.
실시예 3. 인삼을 첨가한 콩함유 생리활성물질 함유 미세캡슐의 효율성
본 실험은 미세캡슐제조를 효율화하기 위한 인삼성분의 첨가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물 100㎖에 인삼분말을 0.05, 0.1, 0.5 및 1%씩 첨가한 다음 각각 콩가루 10g을 녹이고1분 30초간 초음파유화기를 사용하여 초음파처리함으로써 미세캡슐의 형성을 유도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용액은 1% 트립판블루용액과 동량 혼합한 다음 현미경(1000배)에서 액상 미세캡슐의 수와 나노캡슐의 비율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한편 제조된 액상캡슐용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 캡슐분말을 만들고, 증류수에 100배 용해하여 미세캡슐의 수와 나노캡슐의 비율을 측정하였으며, 미세캡슐분말을 백금으로 도포한 후 전자현미경(FE-SEM)하에서 2,000, 10,000, 25,000배율로 분말 미세캡슐의 형태와 크기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하기표 3에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인삼성분 0.05% 함유 2000배 배율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3에, 0.1% 함유 2000배 배율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4에 그리고 0.5% 함유 2000배 배율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5에, 1.0% 함유 2000배 배율 전자현미경 사진을 도 6에 각각 도시하였다.
[표 2]
미세캡슐의 크기(㎛) 대조구 처리구(인삼분말첨가농도, %)
0.05 0.1 0.5 1
<1 1460(79.6) 1191(82.4) 1804(89.6) 931(84.7) 811(83.1)
>1 375(20.4) 255(17.6) 294(10.4) 169(15.3) 165(16.9)
total 1835 1446 2098 1099 976
미세캡슐의 크기(um) 대조구 처리구(인삼분말첨가농도, %)
0.05 0.1 0.5 1
<1 1460(79.6) 1191(82.4) 1804(89.6) 931(84.7) 811(83.1)
>1 375(20.4) 255(17.6) 294(10.4) 169(15.3) 165(16.9)
total 1835 1446 2098 1099 976
[표 3]
미세캡슐의 크기(㎛) 대조구 처리구(인삼분말첨가농도, %)
0.05 0.1 0.5 1
<1 428(84.4) 215(83.0) 138(78.4) 511(78.7) 172(77.8)
>1 79(15.6) 44(17.0) 38(21.6) 138(21.3) 49(22.2)
total 507 259 176 649 221
미세캡슐의 크기(um) 대조구 처리구(인삼분말첨가농도, %)
0.05 0.1 0.5 1
<1 428(84.4) 215(83.0) 138(78.4) 511(78.7) 172(77.8)
>1 79(15.6) 44(17.0) 38(21.6) 138(21.3) 49(22.2)
total 507 259 176 649 221
<실시예 2 결과>
상기표 2에서 보듯이, 콩성분만으로 초음파처리하여 제조된 대조구 캡슐의 수는 1835개 였으며 이중 79.6%가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캡슐이었다, 따라서 콩성분 만으로 미세캡슐의 제조가 가능하며 따라서 콩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 미세캡슐제품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콩성분만으로 제조된 미세캡슐분말의 경우 미세캡슐의 수가 507개로 이중 84.4%가 나노미터 크기의 미세캡슐이었다. 이로서 콩성분 만으로 미세캡슐분말의 제조가 가능하며 따라서 콩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 미세캡슐 분말제품의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도 1 및 2에서 보듯이, 콩 자체 함유 성분만으로 제조한 미세캡슐은 심하게 위축된 다각형구조물로서(도 1), 내부는 비어있어 내용물을 함유할 수 있다(도 2)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결과>
상기표 2에서 보듯이, 미세캡슐제조의 효율화와 제품의 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해 인삼분말을 참가하였을때, 0.5%인삼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미세캡슐수가 많았다. 따라서 콩함유 생리활성물질의 미세캡슐 분말제조에 인삼성분을 0.5%첨가하는 것이 추천된다.
한편, 표 3에서 보듯이, 미세캡슐제조의 효율화와 제품의 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해 인삼분말을 첨가한 실험에서 0.1%인삼처리구에서 대조에 비해 미세캡슐수가 많았으며 이때 나노캡슐의 수도 증가하였다. 따라서 콩함유 생리활성물질의 액상미세캡슐화에 인삼성분을 0.1%첨가하는 것이 추천된다.
나아가 도 3 내지 도 6에서 보듯이, 인삼분말을 0.05%에서 1%까지 증가시켰을 때 캡슐의 크기와 형태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특히 0.1% 인삼첨가시 0.05%에 비해 크기가 작아졌으나 형태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0.5% 인삼첨가시 크기는 더욱 작아지고 형태도 구형으로 변형되었다. 한편 1% 인삼첨가시 다시 쭈글러진 형태로 변하면서 크기는 적은 것과 큰 것이 혼재하는 양상을 띄었다. 따라서 콩 함유 성분의 미세캡슐화에서 캡슐의 크기와 내용물의 함유 및 제조의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미세캡슐의 크기가 작고 구형의 미세캡슐을 제조할 수 있는 0.5%의 인삼첨가가 추천된다.
결론적으로 콩을 미세캡슐화소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콩 자체를 이용 미세캡슐화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다. 이때 인삼을 0.1-0.5% 수준에서 첨가하면 미세캡슐제조를 효율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삼성분의 첨가로 인한 미세캡슐분말의 가치상승이 기대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콩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고 동시에 미세캡슐화를 유도하여 소화흡수가 용이하고 장기적으로 안정할 수 있으며, 콩 자체 성분만으로 미세캡슐을 제조함으로써 콩 고유성분만을 함유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성 벽물질에 의한 용해도 개선으로 음용시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10)

  1. 물에 인삼 분말을 0.1-0.5중량% 범위내로 첨가하는 단계;
    분쇄된 콩가루를 인삼 분말이 첨가된 물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켜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을 초음파 처리하여 미세캡슐을 석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은 콩과류에 해당하는 흑콩, 울콩, 밤콩, 노란콩, 백태, 녹두, 땅콩 및 팥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콩가루의 분쇄크기는 대략 100메쉬 정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처리시간은 30초에서 5분 범위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콩가루 대신 두유를 인삼 분말이 첨가된 물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켜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캡슐이 제조된 용액을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60013407A 2006-02-13 2006-02-13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KR100750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407A KR100750909B1 (ko) 2006-02-13 2006-02-13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3407A KR100750909B1 (ko) 2006-02-13 2006-02-13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496A KR20070081496A (ko) 2007-08-17
KR100750909B1 true KR100750909B1 (ko) 2007-08-22

Family

ID=38611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3407A KR100750909B1 (ko) 2006-02-13 2006-02-13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9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479B1 (ko) 2007-10-29 2010-06-24 한국식품연구원 초음파를 이용한 근육 단백질의 수용화 방법
CN105901757A (zh) * 2016-05-13 2016-08-31 续智元 一种番茄红素美容保健带馅食品及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920B1 (ko) * 2006-09-22 2008-03-06 다윈이십일주식회사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인삼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KR102134875B1 (ko) * 2018-08-17 2020-07-1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초미립자 두유 및 그의 제작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053A (ko) * 2000-09-30 2002-04-06 노승권 음료용 식물성 스테롤의 분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053A (ko) * 2000-09-30 2002-04-06 노승권 음료용 식물성 스테롤의 분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479B1 (ko) 2007-10-29 2010-06-24 한국식품연구원 초음파를 이용한 근육 단백질의 수용화 방법
CN105901757A (zh) * 2016-05-13 2016-08-31 续智元 一种番茄红素美容保健带馅食品及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1496A (ko) 200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5258B2 (en) Production of enriched products
CN106858620A (zh) 一种贫血专用型临床营养配方及其制备方法
KR101220135B1 (ko) 항산화기능을 갖는 블루베리 음료 프리믹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586B1 (ko) 동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령친화 식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210020080A (ko) 온전한 완두콩 단백질 기반의 영양 조성물
KR100750909B1 (ko)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RU2555458C1 (ru)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на основе меда
CN104706703A (zh) 一种翅果玛咖复方片及其制备方法
JP2005500074A (ja) 女性/妊婦用の薬草由来の栄養補助製剤およびその調製方法
CN105087139A (zh) 一种具有健脾养肝功效的花生油及其制备方法
CN105145870A (zh) 一种方便烹饪的预调味花生油及其制备方法
KR20160029253A (ko) 아로니아 양갱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10092673A (ko) 혈압강하용 식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93006B1 (ko) 추출효율이 최적화된 마카추출물의 생산방법
KR101391466B1 (ko) 한약재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4375A (ko) 인삼 씨 오일을 함유하는 수용성 조성물
KR102604237B1 (ko) 지용성 비타민 흡수 강화용 조성물
KR102465346B1 (ko) 구절초 및 꾸지뽕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0776639B1 (ko)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사료첨가제
WO2012001201A1 (es) Ingrediente reconstituido de fruto seco y/o algarroba
IT201900019781A1 (it) Processo di estrazione di mele da dirado o di residui di lavorazione delle mele ed estratti ottenuti
KR101789996B1 (ko) 홍삼 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88512B1 (ko) 달맞이꽃 종자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 및 그 조성물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Hafeez et al. Evaluation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belmoschus esculen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