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6639B1 -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사료첨가제 - Google Patents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사료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6639B1
KR100776639B1 KR1020060096960A KR20060096960A KR100776639B1 KR 100776639 B1 KR100776639 B1 KR 100776639B1 KR 1020060096960 A KR1020060096960 A KR 1020060096960A KR 20060096960 A KR20060096960 A KR 20060096960A KR 100776639 B1 KR100776639 B1 KR 10077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corice
microcapsules
component
term stability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6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96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6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3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encapsulating; by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기간 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과 감초 성분 활용 미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감초에 함유된 주요성분을 중심물질로 삼고 탄수화물과 단백질 등 자체 함유물을 벽 물질로 하여 감초 성분을 활용 생리활성물질을 안정적으로 보존하면서 약리성분을 효과적으로 생체 내에 전달할 수 있는 미세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렇게 제조한 미세캡슐을 급여하여 비육과 비유 및 산란의 효율성을 재고하는 사료 제조용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초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함과 동시에 미세캡슐화를 유도하여 소화흡수가 용이하고 장기적으로 안정할 수 있으며, 감초 자체 성분만으로 미세캡슐을 제조함으로써 감초 고유성분만을 함유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초 성분을 벽 물질로 활용하여 소수성 생리활성물질을 미세캡슐화 함으로서 전달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감초 및 감초 미세캡슐화 제품을 가축에게 사료로써 급여함으로써 가축의 성장과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감초, 생리활성물질, 미세캡슐, 사료첨가제

Description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사료첨가제 {A method for preparing microcapsule containing licorice root having superior long stability and feed additives obtained from this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교반처리하여 제조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x2,000)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처리하여 제조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x2,000)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자불처리하여 제조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전자현미경 사진(x2000)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미세캡슐 벽 물질소재로 감초 성분을 활용하여 제작된 미세캡슐의 광학현미경 사진(x400)이다.
본 발명은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감초에 함유된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안정적으로 보존하면서 약리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미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 감초 성분을 벽 물질로 활용 다른 생리활성물질을 미세캡슐화하는 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감초 함유 미세캡슐 및 감초 활용 미세캡슐을 사료첨가제로 활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감초는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뿌리가 적갈색으로 땅속 깊이 내려가고 모난 줄기는 1∼1.5m 정도로 곧게 자라는데 흰털이 촘촘이 나서 회백색으로 보인다.
이러한 감초의 주성분은 글리시리진이며, 글라브라산, 플라보노이드, 트리펜계 사포닌, 사포나레틴 플라보노이드인 리쿠라시드, 쿠마린, 정유, 전분, 파이토스테롤, 탄닌 및 효소 등을 함유하고 있다.
글리시리진은 글리시리진산의 2-글루쿠론산 배당체로 용혈작용이 없다. 또한 글리시리진은 사탕의 40-50배 단맛이 있다. 글리시리진을 물 분해하면 굴루쿠론산이 되는데 간독, 약물중독, 알콜중독, 식중독, 황달, 간경변증, 만성간질환, 류마치스, 관절통 등의 독을 푸는데 사용된다. 최근 감초에서 추출한 글리시리진이 사스 바이러스 증식을 차단하는데 큰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즉 사스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4일 동안 글리시리진에 노출시킨 결과 글리시리진은 사스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약보다 5배 이상 효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글리시리진의 바이러스 억제 메커니즘을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감염 세포가 이산화질소를 방출케 함으로써 바이러스 증식에 필요한 분자 통로를 차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글리시레틴산은 부신피질호르몬과 비슷한 역할을 하며, 부신에 직접 작용한다. 부신수질호르몬인 아드레날린과 비슷한 강심작용을 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감초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위장에 대해 항근육성 진정작용을 나타낸다. 리쿠라시드는 파파베린보다 3배나 강한 진경작용이 있고, 항염증, 항궤양 작용이 있다.
한편 <동의보감>에 따르면, “감초는 오장육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며 눈 코 입 귀와 대소변의 생리를 정상으로 되게 하고 모든 혈맥을 소통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영양 상태를 좋게 할 뿐만 아니라, 모든 약의 독성을 해독하고 72가지 석약과 1200가지 초약을 서로 조화하여 약효를 잘 나타나게 하므로 별명을 국노라 한다."고 적고 있다.
이와 같이 감초에 함유된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안정적으로 보존하면서 약리성분을 효과적으로 생체 내에 전달할 수 있는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화에 관한 효과적인 기술은 찾아볼 수 없으며, 뿐만 아니라 감초 및 감초 성분을 미세캡슐화하여 사료첨가제로 활용한 예를 찾아 볼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감초 성분내 주요 생리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함과 동시에 자체성분만으로 미세캡슐을 제조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된 감초 및 감초 미세캡슐을 가축에 급여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사료첨가제로 활용코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견지에 의하면,
감초를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감초를 물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켜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으로부터 미세캡슐을 석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의하면,
감초를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감초분말을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감초 용액에 중심물질로서 생리활성물질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으로부터 미세캡슐 형성을 유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을 벽 물질로 활용하여 미세캡슐 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견지에 의하면,
상기 일견지 혹은 제2견지에 의해 제조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을 사료 총중량 기준으로 1-10%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가축용 사료첨가제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감초 성분을 이용한 미세캡슐화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다음과 같은 제조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단계로서, 감초를 분쇄한 다음 제2 단계로서, 분쇄된 감초를 물에 정치 용해시키거나 저속 교반으로 현탁시켜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을 제조한다. 이때 감초분말은 물 100ml를 기준으로 하여 50g까지 첨가할 수는 있으나 과량 사용하면 죽처럼 되어 미세캡슐을 얻을 수 없으므로, 유동성이 높은 수용액 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5g에서 20g정도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감초 가루는 미세할수록 좋으며, 특히 100 메쉬 전후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감초의 형태로는 감초분말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아예 감초로부터 얻어낸 액(진액)을 물에 직접 첨가한 다음 추후 단계들을 거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제2 단계로부터 얻어진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로부터 미세캡슐의 형성을 유도한다. 이때 사용가능한 방법으로는 500~20,000rpm 전후 교반 처리하거나, 2~50 Amp 전후 초음파처리 혹은 음압, 정압 및 양압 상태에서 조절된 끓는점에서 자불 처리 등을 들 수 있다.
그 처리시간은 30분 이상의 경우 생리활성물질의 변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30초 이상 5분 이내의 단시간 처리시 미세캡슐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바람직하고 1.5분 전후 처리가 제조공정의 효율 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캡슐화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초음파 유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감초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고 동시에 감초내 탄수화물과 단백질 등 자체 함유물을 벽 물질로 하여 미세캡슐화를 유도함으로써 소화흡수가 용이하게 장기적으로 안정할 수 있으며, 감초 자체 성분만으로 미세캡슐을 제조해냄으로써 감초 고유성분만을 함유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성 벽 물질에 의한 용해도 개선으로 음용시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갖는다. 이같이 제조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은 액상 혹은 분말형태 모두 가능하다.
한편, 캡슐 크기별 캡슐 수에 있어서 자불 처리(도 3)에 비해 교반 처리(도 1) 및 초음파 처리(도 2)시 캡슐 제조가 안정적이었으나, 감초 자체 함유 성분만으로 제조된 미세캡슐의 x2000배 전자현미경 사진(도 1 내지 도 3)을 비교한 결과, 반 처리 및 초음파 처리(도 2)시 파괴된 캡슐이 많이 나타난 바, 이로부터 중심물질이 적어 캡슐의 파괴가 일어난 것으로 추론되는 결과를 얻었다. 즉, 감초 성분은 벽 물질로서 기능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상기 내부의 공동부에는 필요로 하는 다양한 내용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사료 첨가제로서 이용하기 적절한 물질들을 사용하면 약리효과와 동시에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수와 크기 및 형태 면에서 가축에 비육 및 비유를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미세캡슐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가하여, 감초를 벽 물질로 활용하여 미세캡슐을 제조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다음과 같은 제조단계를 거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단계로서, 감초를 분쇄한 다음 제2 단계로서, 분쇄된 감초를 물에 용해시킨다. 이때 감초분말은 물 100 ml를 기준으로 하여 50g까지 첨가할 수는 있으나 과량 사용하면 죽처럼 되어 미세캡슐을 얻을 수 없으므로, 유동성이 높은 수용액 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5g에서 20g정도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용해시킨 다음 30초-5분간 교반시키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감초 가루는 미세할수록 좋으며, 특히 100 메쉬 전후인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감초의 형태로는 감초분말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아예 감초로부터 얻어낸 액(진액)을 물에 직접 첨가한 다음 추후 단계들을 거칠 수도 있다.
그런 다음 제2 단계로부터 얻어진 감초 용액에서 3000rpm 이상 30분간 고속 원심분리하여 생리활성물질 함유 상층액을 분리한다. 이때 생리활성물질로 단리된 글리시리진, 글라브라산, 플라보노이드, 트리펜계 사포닌, 사포나레틴, 리쿠라시드, 쿠마린, 정유 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첨가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은 각각 1~10 중량%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으로부터 미세캡슐의 형성을 유도한다. 이때 처리방법으로는 교반, 초음파 혹은 자불 처리 등이 가능하며, 그 처리시간은 30분 이상의 경우 생리활성물질의 변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특히 30초 이상 5분 이내의 단시간 처리시 미세캡슐의 제조가 가능하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캡슐화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초음파 유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여 제조함으로써 감초내 탄수화물과 단백질 등 자체 함유물을 벽 물질로 하여 미세캡슐화를 유도함과 동시에 가축의 사료 첨가제 로서 적절한 물질들에 대하여 용해도를 개선시켜 음용시 편리할 뿐 아니라 비육과 비유를 제공할 수 있다. 이같이 제조된 감초 성분 활용 미세캡슐은 액상 혹은 분말형태 모두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감초 생리활성물질의 미세캡슐화
본 실시예에서는 감초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생리활성물질을 중심물질 및 벽 물질로 미세캡슐 제조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한 실험으로서,감초사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실험이다.
감초 가루 1g과 10g 각각을 증류수 100ml에 녹이고 이를 1.5분간 교반하여 미세캡슐 형성을 유도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감초 성분 함량이 미세캡슐 형성에 미치는 효과
미세캡슐 크기(um) 감초 1g 감초 10g
1~5 19(3.7) 22(4.3)
<1 498(96.3) 485(95.7)
합계 517(100) 507(100)
상기 표 1에 의하면, 사용한 감초의 양이 1%에서 10%로 증가하여도 나노캡슐의 비율에는 영향이 없었으며, 따라서 많은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을 제조하기 위하여 10% 수준의 감초 용액을 사용하여 이후 제조방법을 결정하고자 한다.
나아가, 감초 미세캡슐 제조방법을 결정하기 위하여 감초 10g을 증류수 100ml에 녹이고 이를 1.5분간 교반, 초음파 처리 또는 15분간 자불 처리하여 미세캡슐의 형성을 유도하였던바,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감초 성분 액상 미세캡슐 제조를 위한 미세캡슐화 제조방법
캡슐의 크기(um) 교반 초음파 자불
>1 64(21.5) 65(24.5) 36(36.7)
<1 233(78.5) 199(75.4) 62(63.3)
합계 297(100) 264(100) 98(100)
이상에서 얻어진 미세캡슐 액상용액을 분무 건조한 다음 증류수에 1%용액을 만들어 미세캡슐을 조사하였던바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1 내지 3에 정리하였다.
감초 성분 분말 미세캡슐 제조를 위한 미세캡슐화 방법
캡슐의 크기(um) 교반 초음파 자불
>1 21 21 20
<1 57(73.1) 64(75.3) 59(74.7)
합계 78 85 79
상술한 표 및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1) 감초에 함유된 성분만으로 미세캡슐을 제조할 수 있으며,
2) 캡슐 크기별 캡슐 수에 있어서 자불 처리에 비해 교반 처리 및 초음파 처리에서 캡슐의 제조가 안정적이었으나, 전자현미경 사진의 비교에서, 교반 처리 및 초음파 처리에서 파괴된 캡슐이 많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현상은 중심물질이 적어 캡슐의 파괴가 일어난 것으로 추론되는 결과를 얻었고, 따라서 감초 성분은 벽 물질로서 기능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며,
3) 감초 성분을 자불 처리한 경우 캡슐 형상이 다소 부진하였으며, 이는 감초에 내재한 성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감초는 다른 중심물질을 둘러싸는 벽 물질로서 효과가 인정되며, 고유한 미세캡슐제조가 가능하고, 특히 교반 처리와 초음파 처리시 캡슐제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2. 감초 성분을 벽 물질 이용한 다른 중심물질의 미세캡슐화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1에서 밝혀진 감초의 벽 물질로서의 효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중심물질로 소수성 물질인 콩기름을 선택하여 미세캡슐화 효율성을 조사하였다.
즉, 물 100ml에 감초 가루 10g을 첨가한 다음 3분간 교반하여 감초 성분을 추출한 후 유화제 (HLB16.7)를 0.5% 함유한 1ml 콩기름(soy bean oil)을 감초 추출액에 넣고 1.5분간 교반하여 캡슐화를 유도하였으며, 캡슐의 형태와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액상캡슐용액은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제조하였으며 캡슐의 형태와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4에 정리하였다.
감초 성분을 이용한 콩기름 미세캡슐화 효과
미세캡슐 크기(um) 액상캡슐 분말캡슐
1~5 386(9.8) 90(22.6)
<1 3,568(90.2) 308(77.4)
합계 3,954(100) 398(100)
또한,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감초 가루를 이용한 액상 미세캡슐화에서 1㎛이하의 미세캡슐의 비율 90.2%로 나타났으나, 캡슐의 크기는 작고 균일하였다. 참고로, 타원형 물질을 감초 함유 당질이며, 작고 점처럼 보이는 것이 미세캡슐에 해당한다.
이러한 액상 미세캡슐을 분무 건조하였을 때 나노캡슐의 비율은 표 4내 기재된 바와 같이, 77.4%이었으며, 이러한 나노캡슐 비율의 감소는 비산하여 포집율 저하와 관련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감초는 콩기름과 같은 소수성 생리활성물질을 포집하는 능력이 우수하여 벽 물질로 활용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3. 감초 및 감초 성분 미세캡슐의 사료첨가 효과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미세캡슐과 그 부산물을 사료 총 중량중 1~10%씩 함유시킨 사료를 거세우와 비거세우에 각각 30일씩 급여하였다. 물론 감초 급여수준을 10%이상 증가시켜 급여할 수 있으나 영양소 요구량을 감안하여 10%이내 수준에서 급여한 경우 일당 증체량이 증가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하기 표 5 및 6에 정리하였다.
거세우 대상 감초 및 미세캡슐의 급여효과
처리 개시체중 종료체중 증체량 개선효과
비급여군 453 491 38.3 0
급여군 434 480 45.8 19.6%
비거세우 대상 감초 및 미세캡슐의 급여효과
처리 개시체중 종료체중 증체량 개선효과
비급여군 437 472 34 0
급여군 408 444 37 8.8%
상기 표 5 및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도축시 육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환축에 급여시 생산성이 증가하였고, 비육우에게 급여시 유량과 유질이 개선되는 효과 및 체세포수의 감소와 착유시간의 단축과 같은 효과가 있었다.
한편 돼지에게 급여하였을 때 육색이 개선되고 사료섭취량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여 감초 및 감초 미세캡슐을 사료첨가제로 사용하였을 때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감초의 주요 생리활성물질을 추출하고 동시에 미세캡슐화를 유도하여 소화흡수가 용이하고 장기적으로 안정할 수 있으며, 감초 자체 성분만으로 미세캡슐을 제조함으로써 감초 고유성분만을 함유하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용성 벽 물질에 의한 용해도 개선으로 음용시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감초의 성분을 벽 물질로 활용하면 안정성과 섭취 편리성이 높은 다양한 소수성의 생리활성물질 미세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감초 및 감초 성분 미세캡슐을 가축의 사료첨가제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5)

  1. 감초를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감초를 물에 용해시키거나 현탁시켜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으로부터 미세캡슐을 석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초의 분쇄크기는 100 메쉬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감초를 물 100 ml당 5-20g 범위내로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캡슐은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으로부터 교반, 초음파 혹은 자불 처리하여 석출되며, 이때 처리시간은 30초 내지 5분 범위내임을 특 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초분말 대신 감초진액 형태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조된 미세캡슐은 액상 혹은 분말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감초 성분 함유 미세캡슐을 사료 총중량 기준으로 1-10%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가축용 사료첨가제
  8. 감초를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감초분말을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감초 용액에 중심물질로서 생리활성물질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으로부터 미세캡슐 형성을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을 벽 물질로 활용한 미세 캡슐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초의 분쇄크기는 100 메쉬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을 벽 물질로 활용한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감초를 물 100 ml당 5-20g 범위내로 혼합하여 용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을 벽 물질로 활용한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캡슐은 생리활성물질 함유 용액으로부터 교반, 초음파 혹은 자불 처리하여 석출되며, 이때 처리시간은 30초 내지 5분 범위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을 벽 물질로 활용한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초분말 대신 감초진액 형태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을 벽 물질로 활용한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물질로는 글리시리진, 글라브라산, 플라보노이드, 트리펜계 사포닌, 사포나레틴, 리쿠라시드, 쿠마린, 정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며, 그 첨가량은 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을 벽 물질로 활용한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제조된 미세캡슐은 액상 혹은 분말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을 벽 물질로 활용한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된 감초 성분 활용 미세캡슐은 사료 총중량 기준으로 1-10%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가축용 사료첨가제
KR1020060096960A 2006-10-02 2006-10-02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사료첨가제 KR100776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960A KR100776639B1 (ko) 2006-10-02 2006-10-02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사료첨가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6960A KR100776639B1 (ko) 2006-10-02 2006-10-02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사료첨가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6639B1 true KR100776639B1 (ko) 2007-11-15

Family

ID=39062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6960A KR100776639B1 (ko) 2006-10-02 2006-10-02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사료첨가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66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2389A (zh) * 2013-04-25 2013-07-17 叶文明 一种甘草渣粗饲料制备方法
KR101391466B1 (ko) 2013-12-17 2014-05-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02389A (zh) * 2013-04-25 2013-07-17 叶文明 一种甘草渣粗饲料制备方法
KR101391466B1 (ko) 2013-12-17 2014-05-0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한약재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6665A (en) Compositions of oats and nettle extracts to be used as a food additive or pharmaceutical preparation in human health care
CN102178100B (zh) 一种低色氨酸杂交鸡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251873B (zh) 一种消食化积的中兽药
KR20100042337A (ko) 류머티스관절염 치료제 생약제 조성물 및 그 치료제 제조방법
CN104351573A (zh) 一种治疗奶牛缺乳症的配合饲料及制备方法
CN106577489A (zh) 一种防治寄生虫病的生态养羊法
CN106212860A (zh) 牛饲料中草药添加剂
CN104222638A (zh) 一种用于防治鲤鱼鳃霉病的功能性饲料及其制备方法
CN106173548A (zh) 一种秋季用鲤鱼饲料
KR101139372B1 (ko) 한약재 미세캡슐을 이용한 증체목적용 돼지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7981351B (zh) 一种调节体脂肪率的膳食性微胶囊颗粒及其制备方法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100776639B1 (ko)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감초 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및이로부터 제조된 사료첨가제
KR101391466B1 (ko) 한약재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7087707A (zh) 饲料添加剂及制备方法
KR100750909B1 (ko) 장기 안정성이 우수한 콩성분 미세캡슐의 제조방법
KR20130013424A (ko) 한약재를 이용한 사료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5535094A (zh) 一种促进畜禽和鱼类生产性能的中药组合物
CN1931271A (zh) 吴茱萸提取物及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和用途
KR20030053417A (ko) 삼백초를 주성분으로 한 건강식품
CN107281084A (zh) 一种美白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
CN104068276B (zh) 一种枸骨兔用颗粒饲料制作方法
CN113456778A (zh) 一种提升能量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4397695A (zh) 一种海参番茄红素茶多酚片及其制备方法
KR0137897B1 (ko) 두충엽을 주원료로 함유한 건강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