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0685B1 - 디스플레이 소자용 부도체 캡 부재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소자용 부도체 캡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0685B1
KR100750685B1 KR1020060041659A KR20060041659A KR100750685B1 KR 100750685 B1 KR100750685 B1 KR 100750685B1 KR 1020060041659 A KR1020060041659 A KR 1020060041659A KR 20060041659 A KR20060041659 A KR 20060041659A KR 100750685 B1 KR100750685 B1 KR 100750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branch
cap member
cap
branch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병조
임광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06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0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0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동시에 그리고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부도체 캡 부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도체 캡 부재는 각 유니트 캡 열의 일측부 표면에 형성된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 제 1 배선에서 연장된 제 1 분기 배선; 제 2 배선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분기 배선을 포함하여 모기판의 각 소자 영역에 형성된 배선부와 제 1 분기 배선 및 제 2 분기 배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여기서, 제 1 분기 배선은 제 2 배선을 향하여 연장되며, 제 2 분기 배선은 제 1 분기 배선을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제 1 분기 배선과 제 2 분기 배선은 그 종단에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되, 접촉부는 분기 배선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부도체 캡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소자용 부도체 캡 부재{Glass cap member for displa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기본적인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모기판에 다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구성된 상태의 평면도.
도 3은 부도체 캡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부도체 캡 부재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B" 부분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도체 캡 부재의 저면도.
도 6은 도 5의 C-C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부도체 캡 부재 외곽부의 더미 영역 및 더미 영역에 형성된 더미 배선을 도시한 부도체 캡의 평면도.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소자용 부도체 캡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모기판에 형성된 다수의 소자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디스플레이 소자용 부도체 캡 부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픽셀 회로부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평면도로서, 편의상 캡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또한 모기판(1)에 형성된 다수의 픽셀 회로부 중 어느 하나의 픽셀 회로부(AA)만을 블록 형태로 도시하였다.
픽셀 회로부(AA)를 구성하는 다수의 애노드 전극 및 캐소드 전극은 픽셀 회로부(AA) 외측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2A) 및 스캔 라인(4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데이터 라인(2A)과 스캔 라인(4A)의 각 단부는 모기판(1)의 한 부분으로 집중되어 패드(P)를 형성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픽셀 회로부(AA) 및 데이터 라인(2A)과 스캔 라인(4A)을 형성한 후, 실란트를 이용하여 캡을 모기판(1)의 외곽부에 부착한다. 캡이 부착되는 영역은 모기판(1) 외곽부, 즉 픽셀 회로부(AA)의 외측 영역(S)이다.
한편, 미설명 도면 부호 "4A-1" 및 "2A-1"는 스캔 라인(4A) 및 데이터 라인(2A)에 연결된 연결부(소위 "쇼트 바아(short bar)")로서, 다수의 스캔 라인(4A) 및 다수의 데이터 라인(2A)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모기판에 다수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구성된 상태의 평면도로서, 모기판(10) 상의 구분된 소자 영역(11)에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소자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도 2에서는 편의상 패드에 배열된 데이터 라인과 스캔 라인의 일부 및 쇼트 바(4A-1, 2A-1)만을 도시하였으며, 픽셀 회로부, 픽셀 회로부에 연결된 데이터 라인 및 스캔 라인을 박스 형태로 도시하고 도면 부호 "12"를 부여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기판(10)의 각 소자 영역(11)에 각 구성 요소를 형성한 후, 부도체 캡 부재를 모기판(10)에 부착한다. 이 과정을 도 2 및 도 3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부도체 캡을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부도체 캡 부재의 평면도로서, 글라스, 플라스틱 필름 등과 같은 재료로 구성된 부도체 캡 부재(20)는 가상 스크라이브 라인(L2)에 의하여 구분된 다수의 유니트 캡(21)이 일체로 형성된 단일 부재이다. 각 유니트 캡(21)의 하단부에는 전 폭에 걸쳐 개구(21-1)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부도체 부재(20)를 도 2에 도시된 모기판(10)에 부착시키며, 이때 각 유니트 캡(21)은 각 소자 영역(11)의 캡 부착 영역(도 1의 S)에 각각 부착됨으로써 각 소자 영역(11)에 형성된 구성 요소가 유니트 캡(21)에 의하여 밀봉된다.
이 때, 각 소자 영역(11)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 및 스캔 라인의 일부 영역(즉, 패드(P)) 및 연결부는 각 유니트 캡(21)의 개구(21-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도 4는 도 3의 "BB" 부분의 상세도로서, 스캔 라인(4A)과 데이터 라인(2A)의 일부 및 연결부(4A-1 및 2A-1)가 각 유니트 캡(21)의 개구(21-1)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모기판(10)에 부도체 캡 부재(20)를 부착한 후, 각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대한 점등 검사 및 에이징(aging) 과정을 실시한다.
즉, 테스트 장비의 전원 공급용 핀을 각 유니트 캡(21)의 개구(21-1)를 통하여 노출된 어느 하나의 스캔 라인(4A) 및 어느 하나의 데이터 라인(2A)에 접촉시킨 다. 이후, 이 연결부(4A-1 및 2A-1) 그리고 모든 스캔 라인(4A) 및 데이터 라인(2A)을 통하여 픽셀 회로부(AA) 내의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에 스캔 신호 및 데이터 신호가 공급(점등 검사) 또는 역전압이 인가(에이징 과정)되어 소자의 정상적인 발광 여부를 검사하는 점등 검사 또는 소자 안정화를 위한 에이징 과정이 진행된다.
위와 같은 점등 검사 및 에이징 과정이 종료된 후, 모기판(10)의 스크라이브 라인(L1)을 따라 모기판(10)과 부도체 캡 부재(20)를 절단하여 개별 소자화한다. 이 과정에서, 기판(10)에 형성된 연결부(4A-1 및 2A-1)는 소자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기판(10)의 절단 가상선인 스크라이브 라인(L1)과 부도체 캡 부재(20)의 제 1 절단 가상선(L2)은 일치하며, 따라서 스크라이빙 공정시 부도체 캡 부재(20)의 각 유니트 캡(21) 역시 분리된다.
이후, 개구부(21-1)에 인접한 제 2 절단 가상선(L3)을 절단하는 부도체 캡 부재(20)에 대한 스크라이빙 공정을 수행하여 기판(10)에 형성된 패드(도 1의 P)를 노출시킴으로써 부도체 캡이 장착된 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글라스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료로 이루어진 캡 부재(20)에서는, 각 유니트 캡(21) 해당 영역에 개구(21-1)를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
즉, 글라스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파손되기 쉬운 특성을 갖는 부도체 재료를 정밀하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기계적인 힘을 가하여 개구(21-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캡 부재(20)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특히, 가공 과정에서 육안으로 관찰될 수 없을 정도의 미세 균열이 캡 부재(20)에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균열은 최종 소자의 기능에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한편, 부도체 캡 부재(20) 부착 후 실시되는 각 소자에 대한 검사 공정 및 에이징 과정에서는, 테스트 장비의 전원 공급용 핀을 각 유니트 캡(21)의 개구(21-1)에 삽입하여 스캔 라인(4A) 및 데이터 라인(2A)에 접촉시켜야한다.
이러한 검사 과정은 부도체 캡 부재(20)를 구성하는 다수의 유니트 캡(21)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진행되며, 따라서 검사 공정 및 에이징 과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규격이 서로 다른 디스플레이 소자들에 대한 검사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각 디스플레이 소자의 사양에 맞는 검사 장비를 구비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유니트 캡으로 구분된 부도체 캡 부재에서 발생하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수의 디스플레이 소자를 동시에 그리고 신속하게 검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부도체 캡 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도체 캡 부재는 각 유니트 캡 열의 일측부 표면에 형성된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 제 1 배선에서 연장된 제 1 분기 배선; 제 2 배선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분기 배선을 포함하여 모기판의 각 소자 영역에 형성된 배선부와 제 1 분기 배선 및 제 2 분기 배선이 각 각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여기서, 제 1 분기 배선은 제 2 배선을 향하여 연장되며, 제 2 분기 배선은 제 1 분기 배선을 향하여 연장된다. 또한, 제 1 분기 배선과 제 2 분기 배선은 그 종단에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되, 접촉부는 분기 배선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한편, 제 1 배선과 제 2 배선은 어느 한 종단부가 부재 외측으로 연장되며, 그 종단에 단자부가 형성되며, 이때 제 1 배선과 제 2 배선의 단자부는 서로 반대측의 종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소자용 부도체 캡 부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한 종류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에 적용되는 캡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이하, "패널"이라 칭함)는 기판 상에 배열된 애노드 전극, 애노드 전극 상에 형성된 유기 전계 발광층 및 유기 전계 발광층 상에 형성된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나, 캐소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의 적층 순서는 역으로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이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기판은 플라스틱 필름, 글라스 등과 같은 다양한 부도체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도체 캡 부재의 저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부도체 캡 부재(30; 이하, 단순히 "캡 부재"라 칭함) 역시 가상 스크라이브 라인(L4 및 L5)에 의하여 구분된 다수의 유니트 캡(31)가 일체로 형성된 단일 부재이다.
도 5에 도시된 캡 부재(30)를 도 2에 도시된 모기판(10)에 부착시키며, 이 때 각 유니트 캡(31)은 소자 영역(11)의 캡 부착 영역(도 1의 S)에 각각 부착됨으로써 소자 영역(11)에 형성된 구성 요소가 유니트 캡(31)에 의하여 밀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캡 부재(30)의 가장 큰 특징은 각 유니트 캡 열(31A)의 일측에 제 1 및 제 2 배선(32 및 33)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어느 한 유니트 캡 열(31A)의 일측에 형성된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32 및 33)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 1 배선(32)과 제 2 배선(33)은 캡 부재(30) 표면에 형성된다. 제 1 배선(32)과 제 2 배선(33)은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스퍼터링 또는 e-빔(e-beam) 공정 등과 같은 증착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 1 배선(32)과 제 2 배선(33)은 소정 간격을 두고 캡 부재(30)를 가로질러 형성되며, 어느 한 종단에는 배선보다 넓은 폭을 갖는 단자부(32B 및 33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배선(32) 및 제 2 배선(33)의 종단에 형성된 단자부(32B 및 33B)의 위치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제 1 배선(32)과 제 2 배선(33)의 간격이 좁은 점을 고려할 때, 제 1 배선(32)의 단자부(32B)와 제 2 배선(33)의 단자부(33B)는 서로 반대의 종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각 단자부(32B 및 33B)는 캡 부재(30)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야 각 소자에 대한 검사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각 유니트 캡(31)에 인접하는 영역 내의 제 1 배선(32)에서는 제 1 분기 배선(32-1)이 제 2 배선(33)을 향하여 연장되며, 또한 제 2 배선(33)에서는 2개의 제 2 분기 배선(33-1 및 33-2)이 제 1 배선(32)을 향하여 연장된다.
각 분기 배선(32-1, 33-1, 33-2)의 종단에는 소정 면적의 접촉부(32A-1, 33A-1, 33A-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분기 배선(32-1) 및 2개의 제 2 분기 배선(33-1, 33-2) 종단에 각각 형성된 제 1 접촉부(32A-1) 및 제 2 접촉부(33A-1, 33A-2)는 일직선 상에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는 제 2 배선(33)에서 2개의 제 2 분기 배선(33-1, 33-2)이 연장되어 있음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1에서의 스캔 라인(4A)이 픽셀 회로부(AA)의 일측에만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용하기 위한 캡 부재(30)에는 제 2 배선(33)에 하나의 분기 배선만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분기 배선(32-1, 33-1, 33-2) 및 접촉부(32A-1, 33A-1, 33A-2)는 각 유니트 캡 열(31A)의 모든 유니트 캡(31)의 대응 영역 내에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각 유니트 캡(31)의 대응 영역 내에 형성된 제 1 접촉부(32A-1) 및 2개의 제 2 접촉부(33A-1, 33A-2)의 위치 및 상호 간격은 제한되지는 않으며, 캡 부재(30)가 부착되는 모기판(도 2의 10)의 각 소자 영역(도 2의 11)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 연결부(2A-1) 및 2개의 스캔 라인 연결부(4A-1)의 위치 및 상호 간격과 동일하게 그 위치 및 간격이 설정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캡 부재(30)의 기능을 각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C-C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도 2에 도시된 모기판(10)에 도 5에 도시된 캡 부재(30)를 부착한 상태에서의 모기판에 형성된 한 소자 영역 및 어느 한 유니트 캡(31)만을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기판(10)의 각 소자 영역(11)에 구성 요소를 형성한 후, 기판(10) 상에 도 5에 도시된 캡 부재(30)를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는 모기판(10)의 각 소자 영역(11)은 캡 부재(30)의 각 유니트 캡(31)과 대응한다.
따라서, 각 유니트 캡(31)의 인접 영역 내에 형성된 제 1 접촉부(32A) 및 2개의 제 2 접촉부(33A-1, 33A-2)는 모기판(10)의 각 소자 영역(11)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 연결부(2A-1) 및 2개의 스캔 라인 연결부(4A-1)와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이후, 캡 부재(30) 외측으로 연장된 제 1 배선(32) 및 제 2 배선(33)의 단자부(32B, 33B)에 테스트 장비의 전원 공급용 핀을 각각 접촉시킨 상태에서 전압을 인가하면, 제 1 배선(32), 다수의 제 1 분기 배선(32-1), 다수의 제 1 접촉부(32A), 데이터 라인 연결부(2A-1) 및 다수의 데이터 라인(2A)을 통하여 픽셀 회로부(AA) 내의 애노드 전극에 신호(데이터 신호)가 공급된다.
이와 함께, 제 2 배선(33), 다수의 제 2 분기 배선(33-1, 33-2), 다수의 제 2 접촉부(33A-1, 33A-2), 스캔 라인 연결부(4A-1) 및 다수의 스캔 라인(4A)을 통하여 픽셀 회로부(AA) 내의 캐소드 전극에 신호(스캔 신호)가 공급되며, 따라서 각 소자의 정상적인 발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과정은 캡 부재(30)의 각 유니트 캡 열(31A) 별(즉, 모기판(10)에 형성된 소자 열 별)로 진행될 수 있으며, 또한 테스트 장비에 모든 배선(32, 33)의 단자부(32B, 33B)에 대응하는 수의 전원 공급용 핀을 구비함으로써 모기판(10)에 형성된 모든 소자 영역(11)에 대한 검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검사 공정이 완료된 후, 모기판(10) 및 캡 부재(30)에 대한 스크라이빙 공정을 진행하여 유니트 캡이 부착된 개별 소자화한다.
캡 부재(30)에서의 가상 스크라이브 라인(L5)이 유니트 캡(31)과 제 1 배선(32), 유니트 캡(31)과 제 2 배선(33)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개별화된 부도체 캡 표면에는 배선(32, 33), 분기 배선(32-1, 33-1, 33-2) 및 접촉부(32A, 33A-1, 33A-2)가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캡 부재(30)에서의 가상 스크라이브 라인(L5)은 유니트 캡(31)을 기준으로 모기판의 스크라이브 라인(도 1의 L)보다 내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모기판(10) 및 캡 부재(30)의 스크라이빙 공정 후 얻어지는 소자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드(P)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캡 부재(30)의 부가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캡 부재(30) 표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배선(32, 33), 제 1 및 2 분기 배선(32-1, 33-1, 33-2) 그리고 제 1 및 제 2 접촉부(32A, 33A-1, 33A-2)는 1 내지 100㎛의 높이를 갖는다. 캡 부재(30)와 모기판(10)의 부착 공정 후, 제 1 및 제 2 배선(32, 33), 제 1 및 2 분기 배선(32-1, 33-1, 33-2) 그리고 제 1 및 제 2 접촉부(32A, 33A-1, 33A-2)의 높이에 의하여 캡 부재(30)와 모기판(10)의 부착 상태에 미세 결함(간극 발생)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및 제 2 배선(32, 33), 제 1 및 제 2 분기 배선(32-1, 33-1, 33-2)이 형성된 부재 영역에 소정 깊이의 홈(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고, 이 홈 내에 제 1 및 제 2 배선(32, 33), 그리고 제 1 및 제 2 분기 배선(32-1, 33-1, 33-2)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배선(32, 33), 그리고 제 1 및 제 2 분기 배선(32-1, 33-1, 33-2)은 캡 부재(30) 표면 위로 돌출되지 않는다.
여기서, 소자 영역의 연결부(2A-1, 4A-1)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32A) 및 2개의 제 2 접촉부(33A-1, 33A-2) 역시 홈 내에 형성할 수 있으나, 연결부(2A-1, 4A-1)와의 확실한 전기적인 접촉 상태를 얻기 위하여 제 1 접촉부(32A) 및 2개의 제 2 접촉부(33A-1, 33A-2)는 부재 표면 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유니트 캡 열(31A)에 인접한 영역에 2개의 배선(32, 33)이 형성되고, 이 배선(32, 33)의 종단에 단자부(32B, 33B)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테스트 장비에는 유니트 캡 열(31A)의 수와 동일한 신호 인가용 핀이 필요하며, 또한 각 유니트 캡 열(31A)에 대한 검사를 각각 진행해야만 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7에 도시된 구성을 채택하였다.
도 7은 캡 부재 외곽부의 더미 영역 및 더미 영역에 형성된 더미 배선을 도 시한 부도체 캡의 평면도로서, 편의상 외곽부의 더미 영역(30-1)에 형성된 각 배선(32, 33)의 단자부(32B, 33B) 및 더미 배선(42, 43)만을 도시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부재(30)의 외곽부의 더미 영역(30-1) 상에는 제 1 배선(32)의 종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단자부(3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더미 배선(42) 및 제 2 배선(33)의 종단부에 형성된 다수의 단자부(3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더미 배선(4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더미 배선(42) 및 제 2 더미 배선(43)의 종단에는 테스트 장비의 신호 인가용 핀이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더미 단자부(42-1, 43-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단지 3개(또는 2개)의 신호 인가용 핀을 통하여 제 1 더미 배선 (42) 및 제 2 더미 배선(43)의 종단의 제 1 및 제 2 더미 단자부(42-1, 43-1)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면, 모든 소자 영역에서의 검사가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캡 부재(30)에 대한 스크라이빙 공정시 더미 영역(30-1), 더미 배선(42, 43) 및 더미 단자부(42-1, 43-1) 역시 제거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부도체 캡 부재에서는 소자를 검사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와 함께 소자에 대한 검사를 모기판 상에 형성된 소자 열 별로 진행하거나 또는 모든 소자에 대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공정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삭제
  2. 유니트 캡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 캡 열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 소자 영역이 구분된 모기판에 부착되는 부도체 캡 부재에 있어서,
    각 유니트 캡 열의 일측부 표면에 형성된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
    제 1 배선에서 연장된 제 1 분기 배선; 및
    제 2 배선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분기 배선을 포함하여 모기판의 각 소자 영역에 형성된 배선부와 제 1 분기 배선 및 제 2 분기 배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되,
    제 1 분기 배선은 제 2 배선을 향하여 연장되며, 제 2 분기 배선은 제 1 분기 배선을 향하여 연장되는 부도체 캡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분기 배선과 제 2 분기 배선은 그 종단에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되, 접촉부는 분기 배선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부도체 캡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배선, 제 2 배선, 제 1 분기 배선 및 제 2 분기 배선은 부재 표면에 형성된 홈의 내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부도체 캡 부재.
  5.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배선, 제 2 배선, 제 1 분기 배선 및 그 종단의 접촉부 그리고 제 2 분기 배선 및 그 종단의 접촉부는 부재 표면에 형성된 홈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부도체 캡 부재.
  6. 유니트 캡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 캡 열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 소자 영역이 구분된 모기판에 부착되는 부도체 캡 부재에 있어서,
    각 유니트 캡 열의 일측부 표면에 형성된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
    제 1 배선에서 연장된 제 1 분기 배선; 및
    제 2 배선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분기 배선을 포함하여 모기판의 각 소자 영역에 형성된 배선부와 제 1 분기 배선 및 제 2 분기 배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되,
    제 1 배선과 제 2 배선은 어느 한 종단부가 부재 외측으로 연장되며, 그 종단에 단자부가 형성된 부도체 캡 부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배선과 제 2 배선의 단자부는 서로 반대측의 종단에 형성된 부도체 캡 부재.
  8. 유니트 캡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 캡 열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 소자 영역이 구분된 모기판에 부착되는 부도체 캡 부재에 있어서,
    각 유니트 캡 열의 일측부 표면에 형성된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
    제 1 배선에서 연장된 제 1 분기 배선; 및
    제 2 배선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분기 배선을 포함하여 모기판의 각 소자 영역에 형성된 배선부와 제 1 분기 배선 및 제 2 분기 배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되,
    부도체 캡 부재는 그 외곽부 표면의 더미 영역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더미 배선을 더 포함하며, 제 1 배선의 한 종단부는 제 1 더미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 2 배선의 한 종단부는 제 2 더미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부도체 캡 부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더미 배선과 제 2 더미 배선은 그 종단에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되, 접촉부는 더미 배선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부도체 캡 부재.
  10. 유니트 캡으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유니트 캡 열로 이루어지며, 디스플레이 소자 영역이 구분된 모기판에 부착되는 부도체 캡 부재에 있어서,
    각 유니트 캡 열의 일측부 표면에 형성된 제 1 배선 및 제 2 배선;
    제 1 배선에서 연장된 제 1 분기 배선; 및
    제 2 배선에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분기 배선을 포함하여 모기판의 각 소자 영역에 형성된 배선부와 제 1 분기 배선 및 제 2 분기 배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촉하되,
    각 소자 영역에 대응하는 제 2 배선에서 연장된 제 2 분기 배선은 2개로 구분되며, 제 1 분기 배선과 2개의 제 2 분기 배선은 일직선 상에 배치되는 부도체 캡 부재.
  11. 삭제
KR1020060041659A 2006-05-09 2006-05-09 디스플레이 소자용 부도체 캡 부재 KR100750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659A KR100750685B1 (ko) 2006-05-09 2006-05-09 디스플레이 소자용 부도체 캡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659A KR100750685B1 (ko) 2006-05-09 2006-05-09 디스플레이 소자용 부도체 캡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0685B1 true KR100750685B1 (ko) 2007-08-22

Family

ID=3861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659A KR100750685B1 (ko) 2006-05-09 2006-05-09 디스플레이 소자용 부도체 캡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06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730A (ko) * 2000-10-17 2002-04-25 가네꼬 히사시 불연속 금속보조전극들을 가지는 유기el장치
KR20060033131A (ko) * 2004-10-14 2006-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60117818A (ko) * 2005-05-14 2006-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0730A (ko) * 2000-10-17 2002-04-25 가네꼬 히사시 불연속 금속보조전극들을 가지는 유기el장치
KR20060033131A (ko) * 2004-10-14 2006-04-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60117818A (ko) * 2005-05-14 2006-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115B1 (ko)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소자의 기판 배선 구조 및 방법
CN101320736A (zh) 有机发光显示器件及其母板
JP6653022B2 (ja) ビデオウォールモジュールおよびビデオウォール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10095704B (zh) 检测阵列基板中电路缺陷的装置及方法
KR100736575B1 (ko) 디스플레이 소자용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1537858A (zh) 检测装置以及检测方法
EP1850390A2 (en) Display device module
JP4490820B2 (ja) 電気装置および電気装置を製作する方法
KR100750685B1 (ko) 디스플레이 소자용 부도체 캡 부재
KR100870615B1 (ko) 유기 el 패널 및 그의 결함 검사방법
JP7054802B2 (ja) 表示基板およびled素子の実装方法
JPH09246599A (ja) 半導体素子の電気光学特性測定装置
KR100717330B1 (ko) 유기 전계발광 표시소자의 에이징 방법
KR102559566B1 (ko) Led 검사 장치 및 이송 장치
CN113485578B (zh) 触控显示面板及其检测方法和制备方法、显示装置
JP4943152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ディスプレイをテストする装置
JP2001024270A (ja) バーンイン用基板及びそれを用いたバーンイン方法
KR102057653B1 (ko) 테스트 소자, 이를 갖는 어레이 기판 및 이를 이용한 면저항 측정 방법
KR100504473B1 (ko) 글라스 실-커버를 이용한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의제조방법
JP4499490B2 (ja) 有機el表示装置用基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KR101156424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KR20030010368A (ko) 테스트 배선을 갖는 유기 el 소자
KR20150059496A (ko)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11105740A (zh) 显示器电路结构、显示器以及拼接式显示器
KR100615261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