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261B1 -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261B1
KR100615261B1 KR1020040082089A KR20040082089A KR100615261B1 KR 100615261 B1 KR100615261 B1 KR 100615261B1 KR 1020040082089 A KR1020040082089 A KR 1020040082089A KR 20040082089 A KR20040082089 A KR 20040082089A KR 100615261 B1 KR100615261 B1 KR 100615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erminal
electrode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131A (ko
Inventor
허세준
신원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2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261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3Connection of the pixel electrodes to the thin film transistors [TF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221Static displays, e.g. displaying permanent log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콘 표시부의 캐소드전극단자를 화상표시부의 캐소드전극단자부에 연결하거나 또는 별도의 콘택전극에 연결시켜 줌으로써 캐소드전극에 대한 테스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은 원판과; 상기 원판에 배열되고, 각각 서로 별개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유기발광부와; 상기 각 유기발광부를 봉지하기 위한 다수의 봉지수단과;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유기발광부의 제1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와;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유기발광부의 제1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2전극단자부와;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유기발광부의 제2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제3전극단자부와;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유기발광부의 제2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제4전극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다수의 제4전극단자부와 통전되도록 연결된다.

Description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Substrat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LED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에 있어서, 각 유기발광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에 있어서, 각 유기발광부중 화상표시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에 있어서, 각 유기발광부중 아이콘 표시부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에 있어서, 각 유기발광부중 아이콘 표시부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기판 110 : 원판
102 : 아이콘 표시부 105 : 화상 표시부
111, 115 : 애노드전극 130, 135 : 캐소드전극
140, 141, 145, 150, 151, 155 : 전극단자부
160 : 봉지수단 170, 181, 185 : 절단선
180 : 콘택전극 181, 141a : 연결라인
본 발명은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이콘 표시부의 캐소드 단자부를 화상 표시부의 캐소드단자부에 연결하거나, 또는 별도의 콘택전극에 연결한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발광층이 개재되는 두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발광층으로부터 광이 발광되는 자발광형 표시소자로서, 액정표시소자에 비하여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하며,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이점으로 차세대 평판표시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유기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기발광부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부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로 구분되어 봉지수단에 의해 밀봉된다. 아이콘 표시부에는 아이콘형태의 제1전극과 전면전극형태의 제2전극이 배열되어 두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두 전극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으로부터 광이 발광하게 되어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또한, 유기발광부중 화상표시부에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제1전극이 배열되고, 상기 제1전극과 교차하도록 다수의 제2전극이 배열되며, 두 전극이 교차하는 부분에 발광층이 개재된 구조를 가지며, 두 전극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두 전극사이에 개재된 발광층으로부터 광이 발광하여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나의 유기발광부중 아이콘 표시부에 대한 평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10)는 다수의 유기발광부가 배열된 원판을 구비하는데, 도 1에는 원판에 배열된 다수의 유기발광부중 하나의 유기발광부에 대한 평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원판상에 배열된 유기발광부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아이콘 표시부는 아이콘형태의 전극패턴을 갖는 다수의 제1전극(11)이 배열된다. 상기 다수의 제1전극(11)상부에는 전면전극형태의 제2전극(31)이 배열된다. 상기 제1전극(11)과 제2전극(31)사이에는 유기막층(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개재된다.
상기 유기 발광부의 외곽부에는 상기 제1전극(11)에 소정의 전압, 예를 들어 양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41)와, 상기 제2전극(31)에 소정의 전압, 예를 들어 음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제2전극단자부(51)가 배열된다. 상기 제1전극(11)과 제1전극단자부(41)는 배선라인(41a)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진다. 상기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41)중 제1전극(11)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단자부는 더미 전극단자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원판은 다수의 유기발광부가 각각의 봉지수단(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밀봉된 다음 절단선(70)을 따라 절단되어 각각의 유기전계 발광소자 로 제조한다.
원판을 절단하여 개별적으로 제조된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전극단자부(41), (51)와 상기 전극단자부(41), (51)에 접속되는 제1전극 및 제2전극의 단락 또는 단선 등을 검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개별적으로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대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경우 작업효율이 낮아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절단선을 따라 원판을 절단하여 개별적인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조한 후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 대신에, 원판상태에서 제1전극단자부와 제2전극단자부의 단선 또는 단락을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기판단위로 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기판 단위로 검사하는 방법은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와 다수의 제2전극단자부를 각각 통전시키고, 통전된 제1전극단자부와 제2전극단자부에 대한 단선 또는 단락을 일괄적으로 검사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기판단위로 테스트를 완료한 후에는 절단선을 따라 원판을 절단하여 개별적인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작한다.
한편, 일본공개특허 공보 제1994-60984호에는 연결패턴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전극들을 연결하여 통전시켜 효율적인 에이징을 실시하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바와같이 다수의 전극단자부를 통전시켜 단락패턴형태로 만든 다음 일괄적으로 전압을 제공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는 방법은 개별적으로 전극단자부를 테스트하는 방법에 비하여 작업효율이 향상되어 생산을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아이콘 표시부와 같이 2개의 전극중 하나의 전극이 전면전극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패드인 전극단자부가 하나만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패널상태에서 구동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판단위에서 검사를 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전극단자부만이 존재하여 테스트핀의 헤드가 콘택될 수 있을 만큼의 콘택면적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아이콘 표시부의 캐소드전극에 대한 테스트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판과; 상기 원판에 배열되고, 각각 서로 별개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유기발광부와; 상기 각 유기발광부를 봉지하기 위한 다수의 봉지수단과;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유기발광부의 제1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와;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유기발광부의 제1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2전극단자부와;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유기발광부의 제2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제3전극단자부와;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유기발광부의 제2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제4전극단자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다수의 제4전극단자부와 통전되도록 연결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제1전극단자부 및 제4전극단자부와 봉지기판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나란하게 배열되고, 제3전극단자부는 상기 봉지기판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나란하게 배열되거나 또는 봉지기판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배열된다.
상기 제1표시부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부를 포함하고, 제2표시부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표시부에는 아이콘 형태의 전극패턴을 갖는 다수의 제1전극과 전면전극형태의 제2전극이 배열되어, 상기 제1전극단자부는 다수의 상기 제1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상기 제2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2표시부에는 다수의 제3전극과 다수의 제4전극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다수의 제3전극은 상기 다수의 제3전극단자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제4전극은 상기 다수의 제4전극단자부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연결라인에 의해 다수의 제4전극단자부와 연결되어, 기판단위로 단락 및 단선검사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4전극단자부가 통전된다.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4전극단자부를 연결시켜 주기위한 연결라인은 상기 제1전극단자부 내지 제4전극단자부와 동일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전극단자부 내지 제4전극단자부와 다른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4전극단자부를 연결시켜 주기위한 연결라인은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중 하나의 전극과 동일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 기 하나의 전극과는 다른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판과; 상기 원판에 배열되고, 각각 서로 별개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유기발광부와; 상기 각 유기발광부를 봉지하기 위한 다수의 봉지수단과;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유기발광부의 제1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와;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유기발광부의 제1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제2전극단자부와;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유기발광부의 제2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제3전극단자부와;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유기발광부의 제2표시부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제4전극단자부와; 상기 제2전극단자부보다 큰 콘택면적을 갖는 콘택전극을 구비하며,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상기 콘택전극에 연결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연결라인에 의해 상기 콘택전극에 연결된다. 상기 콘택전극 및 연결라인은 동일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택전극 및 연결라인은 상기 제1전극단자부 내지 제4전극단자부와 동일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1전극단자부 내지 제4전극단자부와는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택전극 및 연결라인은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중 하나의 전극과 동일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하나의 전극과는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 루어진다.
상기 원판은 이웃하는 봉지수단사이에 배열되는 절단선을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라인과 콘택전극은 상기 봉지수단과 절단선사이에 배열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부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를 갖는 유기발광부를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유기발광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봉지수단과;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는 아이콘 표시용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기판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는 아이콘 표시용 제2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는 화상표시용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는 화상표시용 다수의 제2전극단자부와; 기판의 상기 유기발광부의 외측에 배열된 콘택전극과; 상기 콘택전극을 상기 아이콘 표시용 제2전극단자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을 구비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20)은 단일의 큰 원판(mother board) (110)이 제공된다. 상기 원판(110)은 유리기판 또는 플라스틱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원판(110)은 다수의 유기발광부(30)를 구비한다. 각 유기발광부(30)는 메탈캡 또는 봉지기판과 같은 봉지수단(160)에 의해 밀봉되어 수분이나 산소로부터 보호된다.
상기 봉지수단(160)의 일측으로부터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40)가 인출되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봉지수단(16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다수의 제2전극단자부(150)가 인출되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상기 유기발광부(30)는 아이콘 표시부와 화상 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전극단자부(140)는 아이콘 표시부와 화상 표시부의 제1전극단자부를 임의로 도시한 것이고, 제2전극단자부(150)는 아이콘 표시부와 화상 표시부의 제2전극단자부를 임의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전극단자부(140)와 제2전극단자부(150)는 기판단위로 단선 또는 단락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통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40)가 봉지기판(160)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나란하게 배열되고, 다수의 제2전극단자부(150)가 봉지기판(16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다수의 제1 및 제2전극단자부(140), (150)가 봉지기판(160)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나란하게 배열되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배열가능하다.
상기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20)은 기판단위로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대한 단선 또는 단락을 테스트한 후, 절단선(181), (185)을 따라 절단되어 기판의 유기발광부(30)가 봉지기판(160)에 의해 밀봉된 구조를 갖는 개별적인 유기전계 발광소자로 제작된다. 이때, 통전되었던 다수의 제1 및 제2전극단자부(140), (150)은 절단선에 의해 절단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판단위의 테스트수행후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단선(181), (185)을 따라 절단하여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것으로 예시하 였으나, 다양한 방법으로 원판(110)을 절단하여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개별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에 있어서, 하나의 유기발광부(30)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20)은 다수의 유기발광부(30)를 구비한다. 상기 유기발광부(30)는 기호(104) 또는 숫자(103)를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부(102)와, 화상(106)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표시부(105)를 구비한다.
상기 아이콘 표시부(102)는 아이콘형태의 전극패턴을 구비한 다수의 제1전극, 예를 들어 다수의 애노드전극(111)이 배열되고, 상기 다수의 제1전극(111) 상부에 전면전극형태의 제2전극, 예를 들어 캐소드전극(도 5의 130)이 배열되며, 상기 제1전극(111)과 제2전극사이에 유기발광층(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전극(111)과 제2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두 전극사이의 발광층으로부터 광이 발광되어 아이콘, 즉 기호(104) 및 숫자(103)를 표시한다.
상기 아이콘 표시부(102)에 있어서, 상기 캐소드전극은 전면전극형태를 가지므로, 다수의 애노드전극(111)중 해당하는 애노드전극에 소정의 전압이 제공되면, 해당하는 애노드전극과 캐소드전극사이의 유기막층으로부터 광이 발광되어 해당하는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화상표시부(105)는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라인형태의 다수의 제1전극과 제2전극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고, 제1전극인 애노드전극과 제2전극인 캐 소드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두 전극이 교차하는 부분에 개재된 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되는 광에 의해 원하는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화상표시부(105)는 상기 아이콘 표시부(102)와 함께 도 2에서와 같이 봉지수단(160)에 의해 봉지되어 수분이나 산소로부터 보호되어진다. 봉지수단(160)은 메탈캡 또는 유리기판과 같은 봉지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기전계 발광소자가 칼라 유기전계 발광소자인 경우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105)의 애노드전극(도 4의 115)과 캐소드전극(도 4의 135)사이에는 R, G, B를 표시하기 위한 R, G, B 유기발광층이 각각 배열된다. 한편, 아이콘 표시부(102)는 기호나 숫자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각 아이콘이 단색을 표시하는 경우, 아이콘부(102)의 애노드전극(111)과 캐소드전극(130)사이에는 단색의 유기막층이 배열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에 있어서, 하나의 유기발광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는 유기발광부중 화상표시부의 평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면부호 101은 원판(110)중 하나의 유기발광부 가 배열되는 부분 즉, 절단공정후 하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기판을 나타낸다. 기판(101)은 유기발광부(30)를 구비하고, 상기 유기발광부(30)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부(102)와, 상기 아이콘 표시부(102)와는 별개의 소정의 화상(106)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표시부(105)를 구비한다.
기판(101)중 유기발광부(30)의 화상 표시부(105)에는 애노드전극인 다수의 제1전극(115)이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캐소드전극인 다수의 제2전극(135)이 상기 제1전극(115)과 교차하도록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화상표시부(105)의 애노드전극(115)과 캐소드전극(135)이 교차하는 부분에 유기박층이 배열된다. 상기 유기박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정공장벽층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막을 구비한다.
상기 기판(101)중 유기발광부(30)의 외곽부에는 상기 제1전극(115)과 제2전극(135)에 각각의 소정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전극단자부 가 배열되는데, 상기 유기발광부(30)의 일측 기판(101)상에는 상기 제1전극(115)으로 소정 전압, 예를 들어 양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화상표시용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45)가 배열된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부(30)의 다른 일측 기판(101)상에는 상기 제2전극(135)으로 소정 전압, 예를 들어 음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화상표시용 다수의 제2전극단자부(155)가 배열된다.
상기 제1전극(115)인 애노드전극은 ITO와 같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전극(135)인 캐소드전극은 Al 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한다. 일예로서, 상기 제1전극단자부(145)는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전극(115)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극패턴과, 상기 전극패턴상에 배열되는 보조전극패턴의 적층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극패턴은 상기 애노드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며, ITO 등과 같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전극패턴은 크롬과 같은 불투명 금속물질을 포함한다.
제2전극단자부(155)도 제1전극단자부(145)와 마찬가지로 전극패턴과 상기 전극패턴상에 배열되는 보조전극패턴의 적층구조를 갖으며, 상기 캐소드전극(135)에 연결되어진다. 상기 전극패턴은 상기 애노드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며, ITO 등과 같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전극패턴은 크롬과 같은 불투명 금속물질을 포함한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4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지수단(160)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기판단위로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통전되도록 배열되고, 또한 다수의 제2전극단자부(155)도 봉지수단(160)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기판단위로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통전되도록 배열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에 있어서, 하나의 유기발광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에는 유기발광부중 아이콘 표시부의 평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원판(110)중 하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100)가 배열되는 기판(도 4의 101에 해당함)은 유기발광부(30)를 구비하고, 상기 유기발광부(30)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부(102)와, 상기 아이콘 표시부(102)와는 별개의 소정의 화상(106)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표시부(105)를 구비한다. 아이콘 표시부(102)에는 기호 또는 숫자와 같은 아이콘 형태의 전극패턴으로 된 다수의 제1전극(111)이 배열되고, 아이콘 표시부(102)에 해당하는 유기발광부(30)상에는 제2전극(130)이 전면전극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제1전극(111)인 애노드전극과 제2전극 (130)인 캐소드전극사이에는 유기막층(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배열된다. 상기 유기막층은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전자수송층, 전자주입층 및 정공장벽층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막을 포함한다.
상기 유기발광부(30)중 아이콘 표시부(102)의 외곽부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제1전극(111)에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용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41)가 일정간격을 두고 배열되고, 상기 제2전극(130)으로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용 제2전극단자부(151)가 배열된다.
상기 아이콘 표시부(102)의 외곽부 일측에 배열되는 아이콘 표시용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41)는 일단이 다수의 배선라인(141a)에 의해 다수의 제1전극(111)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아이콘 표시용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41)은 검사를 위하여 타단이 하나의 연결라인(141b)에 의해 연결되어 통전되도록 배열된다. 상기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41)중 제1전극(111)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단자부는 더미 전극단자부를 나타내며, 또한 제2전극단자부(151)에 통전되도록 연결되고 제2전극(130)에는 연결되지 않은 전극단자부도 더미 전극단자부를 나타낸다.
한편, 아이콘 표시부(102)에는 하나의 캐소드전극(130)만이 배열되므로, 상기 캐소드전극(130)에 소정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용 하나의 제2전극단자부(151)가 상기 아이콘 표시용 제1전극단자부(141)와 나란하게 아이콘 표시부(102)의 일측 외곽부에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판단위로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테스트를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아이콘 표시부(102)의 일측 외곽부에 배열되는 상기 아이콘 표시용 제2전극단자부(151)를 화상표시부(105)의 제2전극단자부(155)에 연결시켜 준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유기발광부(30)의 일측 외곽부에 배열되는 화상표시용 다수의 제2전극단자부(155)는 테스트를 위하여 연결배선(151b)을 통해 통전되도록 연결되는데, 상기 연결배선(151b)에 의해 상기 아이콘 표시용 제2전극단자부(151)가 상기 화상표시용 제2전극단자부(155)와 함께 통전되도록 연결되어진다.
그러므로, 유기발광부(30)의 일측 외곽부에 아이콘 표시부(102)의 제2전극단자부(151)가 화상표시용 제2전극단자부(155)와 함께 나란하게 배열되어 연결라인(151b)에 의해 연결되므로, 상기 아이콘 표시부(102)의 캐소드전극(130)에 연결되는 제2전극단자부(151)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핀의 헤드와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아이콘 표시용 제2전극단자부(151)와 화상 표시용 제2전극단자부(155)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151b)은 테스트완료후 절단공정시 절단선(170)을 따라 절단되므로, 화상표시용 제2전극단자부(155)는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고, 또한 아이콘 표시용 제2전극단자부(151)도 상기 화상표시용 제2전극단자부(155)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진다.
또한, 아이콘 표시용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41)도 절단공정시 연결라인(141b)이 절단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진다. 한편,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화상표시부(105)의 외곽부의 다른 일측에 배열된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45)도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결라인에 의해 통전되도록 연결되어 기판단위 로 테스트를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아이콘 표시용 상기 애노드전극(111)은 ITO와 같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하고, 상기 캐소드전극(130)은 Al 과 같은 금속물질을 포함한다. 일예로서, 상기 제1전극단자부(141)는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1전극(111)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전극패턴과, 상기 전극패턴상에 배열되는 보조전극패턴의 적층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극패턴은 상기 애노드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며, ITO 등과 같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전극패턴은 크롬과 같은 불투명 금속물질을 포함한다.
제2전극단자부(151)도 제1전극단자부(141)와 마찬가지로 전극패턴과 상기 전극패턴상에 배열되는 보조전극패턴의 적층구조를 갖으며, 상기 캐소드전극(130)에 연결되어진다. 상기 전극패턴은 상기 애노드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며, ITO 등과 같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전극패턴은 크롬과 같은 불투명 금속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라인(141b), (151b)은 제1전극물질인 ITO 와 같은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거나, 제2전극물질인 Al 과 같은 금속막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제1전극물질 및 제2전극물질과는 다른 도전성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라인(141b), (151b)은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에 있어서, 하나의 유기발광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유기발광부중 아이콘 표시부 의 평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부의 평면구조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부의 평면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부의 아이콘 표시부의 캐소드단자부의 구성이 일 실시예에서와 다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유기발광부(30)중 아이콘 표시부(102)에는 아이콘 형태의 전극패턴으로 된 다수의 제1전극(111)과 전면전극 형태의 제2전극(130)이 배열되어, 두 전극(111), (135)사이에 유기막층이 개재된다. 아이콘 표시부(102)의 외곽부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제1전극(111)에 배선라인(141a)을 통해 연결되는 아이콘 표시용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41)가 배열된다. 상기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41)는 연결라인(141b)에 의해 연결되어 통전되어진다. 상기 다수의 제1전극단자부(141)중 제1전극(111)에 연결되지 않은 전극단자부는 더미 전극단자부를 나타낸다.
한편, 아이콘 표시부(102)의 일측 외곽부에는 전면전극형태의 제1전극(130)에 연결되어 상기 아이콘 표시용 제1전극단자부(141)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2전극단자부(151)가 배열된다. 이때, 기판단위로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대한 테스트수행시 캐소드 전극단자부에 대한 검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아이콘 표시부(102)의 일측 외곽부에 별도의 콘택전극(180)을 구비한다.
상기 콘택전극(180)은 테스트핀의 헤드와 콘택되는 데, 상기 콘택전극(180)은 상기 제2전극단자부(141)보다 크고 테스트핀과의 접촉을 위한 최소한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콘택전극(180)은 연결라인(181)에 의해 상기 아이콘 표시용 제2전극단자부(151)에 연결된다. 아이콘 표시부(102)의 제2전극단자부(151)가 테스트핀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한 콘택전극(180)과 연결라인(181)에 의해 연결되므로, 상기 아이콘 표시부(102)의 제2전극(130)에 연결되는 제2전극단자부(151)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핀의 헤드와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콘택전극(180)과 연결라인(181)은 제1전극물질인 ITO 와 같은 투명도전막으로 구성되거나, 제2전극물질인 Al 과 같은 금속막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제1전극물질 및 제2전극물질과는 다른 도전성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콘택전극(180) 및 연결라인(181)은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콘택전극(180)과 연결라인(181)은 동일한 물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소드전극(130)의 테스트를 위한 콘택전극(180)과 상기 콘택전극(180)을 캐소드전극(130)용 제2전극단자부(151)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181)을 유기 발광부(30)의 외곽부에 배열할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110)을 절단선(170)을 따라 절단할 때 상기 콘택전극(180)은 남아있고 연결라인(181)은 절단되어 제거되도록 배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캐소드전극(130)의 테스트를 위한 콘택전극(180)과, 상기 콘택전극(180)을 캐소드전극(130)용 제2전극단자부(151)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181)을 원판(110)을 절단선(170)을 따라 절단할 때 모두 절단되어 제거되도록 유기발광부(30)의 외곽부에 배열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캐소드전극(130)의 테스트를 위한 콘택전극(180)과 상기 콘택전 극(180)을 캐소드전극(130)용 제2전극단자부(151)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181)을, 원판(110)을 절단선(170)을 따라 절단한 후에도 유기발광부(30)의 외곽부에 남아있도록 배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콘택전극(180)와 연결라인(181)은 절단선(170)과 유기발광부사이 즉, 절단선(170)과 봉지수단(160)사이에 배열한다. 이 경우에는, 원판단위의 테스트 뿐만 아니라 원판을 절단선(170)을 따라 절단한 후에도 충분한 콘택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패널상태에서도 테스트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애노드전극이 아이콘형태의 다수의 전극패턴을 갖으며, 캐소드전극이 전면전극형태의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에서 하나의 전극단자부만이 구성되는 캐소드전극에 대한 테스트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전극중 하나는 전면전극 형태를 갖으며 다른 하나의 전극은 다수의 전극패턴을 갖는 구조에는 모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애노드전극이 전면전극형태를 갖으며 캐소드전극이 다수의 전극패턴을 갖는 구조에도 적용하여 애노드전극에 대한 테스트를 용이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봉지기판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전극단자부들이 인출되고, 봉지기판의 다른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2전극단자부들이 인출되도록 구성되었으나, 다른 예로서 봉지기판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제1전극단자부 및 제2전극단자부들이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하나의 캐소드전극만이 배열되는 아이콘 표시부를 구비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캐소드전극이 전 면전극형태로 형성되는 표시소자 또는 캐소드전극이 전면전극형태로 형성되는 아이콘부를 구비하는 표시소자에 적용가능하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콘 표시부의 캐소드전극에 연결되는 캐소드 전극단자부를 화상표시부의 캐소드 전극단자부에 연결하여 테스트를 수행하거나 또는 별도의 콘택전극을 구비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므로써, 원판단위로 테스트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캐소드 전극단자부에 연결되는 콘택전극을 별도로 배열하여 패널상태에서도 테스트를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에 있어서,
    원판과;
    상기 원판에 배열되고, 각각 서로 별개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유기발광부와;
    상기 복수개의 유기발광부를 각각 봉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봉지수단과;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유기발광부의 제1표시부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전극단자부들과;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유기발광부의 제1표시부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제2전극단자부들과;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유기발광부의 제2표시부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3전극단자부들과;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유기발광부의 제2표시부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4전극단자부들을 구비하며,
    각 유기발광부에 대하여, 상기 복수개의 제2전극단자부와 상기 복수개의 제4전극단자부는 통전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각 유기발광부에 대하여,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단자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4전극단자부와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3전극단자부는 상기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나란하게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각 봉지수단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각 유기발광부에서, 상기 제1표시부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부를 포함하고, 제2표시부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표시부에는 아이콘 형태의 전극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제1전극과 전면전극형태의 제2전극이 배열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단자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상기 제2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2표시부에는 복수개의 제3전극과 복수개의 제4전극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3전극은 상기 복수개의 제3전극단자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4전극은 상기 복수개의 제4전극단자부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연결라인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제4전극단자부와 연결되어, 기판단위로 단락 및 단선검사가 가능하도록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복수개의 제4전극단자부가 통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4전극단자부를 연결시켜 주기위한 연결라인은 상기 제1전극단자부 내지 제4전극단자부와 동일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제1전극단자부 내지 제4전극단자부와 다른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제4전극단자부를 연결시켜 주기위한 연결라인은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중 하나의 전극과 동일한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하나의 전극과는 다른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7.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에 있어서,
    원판과;
    상기 원판에 배열되고, 각각 서로 별개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유기발광소자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유기발광부와;
    상기 복수개의 유기발광부를 각각 봉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봉지수단과;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유기발광부의 제1표시부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전극단자부들과;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유기발광부의 제1표시부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제2전극단자부들과;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유기발광부의 제2표시부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3전극단자부들과;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복수개의 유기발광부의 제2표시부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4전극단자부들과;
    상기 제2전극단자부들보다 큰 콘택면적을 갖는 콘택전극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2전극단자부들은 상기 콘택전극들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8. 제7항에 있어서,
    각 유기발광부에 대하여,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단자부 및 상기 복수개의 제4전극단자부와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나란하게 배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3전극단자부는 상기 각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2전극단자부와 나란하게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각 봉지수단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인출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9. 제7항에 있어서,
    각 유기발광부에서, 상기 제1표시부는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부를 포함하고, 제2표시부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표시부에는 아이콘 형태의 전극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제1전극과 전면전극형태의 제2전극이 배열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단자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상기 제2전극에 연결되며,
    상기 제2표시부에는 복수개의 제3전극과 복수개의 제4전극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복수개의 제3전극은 상기 복수개의 제3전극단자부와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4전극은 상기 복수개의 제4전극단자부와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단자부는 연결라인에 의해 상기 콘택전극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전극 및 연결라인은 동일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전극 및 연결라인은 상기 제1전극단자부 내지 제4전극단자부와 동일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제1전극단자부 내지 제4전극단자부와는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전극 및 연결라인은 상기 제1전극 내지 제4전극중 하나의 전극과 동일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하나의 전극과는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은 이웃하는 봉지수단사이에 배열되는 절단선을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라인과 콘택전극은 상기 봉지수단과 절단선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15. 아이콘을 표시하기 위한 아이콘 표시부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를 갖는 유기발광부를 구비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유기발광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봉지수단과;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는 아이콘 표시용 복수개의 제1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는 아이콘 표시용 제2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는 화상표시용 복수개의 제1전극단자부와;
    상기 봉지수단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되는 화상표시용 복수개의 제2전극단자부와;
    기판의 상기 유기발광부의 외측에 배열된 콘택전극과;
    상기 콘택전극을 상기 아이콘 표시용 제2전극단자부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전극 및 연결라인은 동일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서로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전극 및 연결라인은 아이콘 표시용 상기 제1 및 제2전극단자부와 화상표시용 제1 및 제2전극단자부와 동일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아이콘 표시용 상기 제1 및 제2전극단자부와 화상표시용 제1 및 제2전극단자부와는 다른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부에는 아이콘 형태의 전극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제1전극과, 전면전극형태의 제2전극이 배열되고,
    상기 복수개의 제1전극에 상기 아이콘 표시용 복수개의 제1전극단자부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2전극에 상기 아이콘 표시용 제2전극단자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전극 및 연결라인은 아이콘 표시부에 배열된 제1전극과 동일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아이콘 표시부 배열된 제2전극과 동일한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전극은 상기 제2전극단자부보다 큰 콘택면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KR1020040082089A 2004-10-14 2004-10-14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615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089A KR100615261B1 (ko) 2004-10-14 2004-10-14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089A KR100615261B1 (ko) 2004-10-14 2004-10-14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131A KR20060033131A (ko) 2006-04-19
KR100615261B1 true KR100615261B1 (ko) 2006-08-25

Family

ID=37142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089A KR100615261B1 (ko) 2004-10-14 2004-10-14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685B1 (ko) * 2006-05-09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소자용 부도체 캡 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131A (ko) 2006-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491B1 (ko) 유기전계발광 소자
KR100884455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모기판
US9882174B2 (en) Repairing method, repai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rray substrate
KR20100130548A (ko) 표시 장치
JP2003257667A (ja)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480989B2 (ja) 有機el表示装置
JP4455165B2 (ja) 有機el表示装置用基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WO2019187088A1 (ja) 表示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15261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JP2010145712A (ja) マトリックス型表示装置及びマトリックス型表示装置の検査方法
CN101692142A (zh) 显示面板
US9576513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 display apparatus
KR101156424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용 기판
KR100708689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JP4943152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ディスプレイをテストする装置
JP4499490B2 (ja) 有機el表示装置用基板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US8890125B2 (en) Display apparatu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JP2004192925A (ja) 有機el表示パネル及びその検査方法
KR100606413B1 (ko)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 제조방법
KR100708687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JP4733445B2 (ja) 有機el表示装置用基板
KR20070087845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116568093A (zh) 一种pm显示面板母板、pm显示面板及制备方法
KR20130105161A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80701B1 (ko) 모기판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소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