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624B1 -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624B1
KR100748624B1 KR1020060113450A KR20060113450A KR100748624B1 KR 100748624 B1 KR100748624 B1 KR 100748624B1 KR 1020060113450 A KR1020060113450 A KR 1020060113450A KR 20060113450 A KR20060113450 A KR 20060113450A KR 100748624 B1 KR100748624 B1 KR 100748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yrolysis
rotary kiln
waste
cstr
type pyroly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환
김광호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60113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14Fractional distillation or use of a fractionation or rectification column
    • B01D3/32Other features of fractionating columns ; Constructional details of fractionating colum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3/16 - B01D3/3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dry-heat treatmen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2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plastics, e.g. rub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2개 이상 병렬로 연결하여 단계적, 연속적으로 저급 폐플라스틱을 용융 분해하도록 하고, 상기 다수의 킬른형 열분해장치에서 분해된 용융물질을 순차적으로 연속 공급받아 CSTR형 열분해장치에서 2차 분해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증류와 정제공정을 통해 생성유를 수득하도록 하는 등 저급 폐플라스틱에 대한 전처리 공정을 간소화하고, 연속 열분해가 가능하도록 한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폐고무에 포함된 미량의 흙, 알루미늄 코팅물 등무기물이 포함된 저급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생성유를 수득하는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체로 가압수단에 의해 수용된 저급 폐플라스틱에 가압하여 부피를 축소시키는 감용기와; 상기 감용기로 압축된 폐플라스틱을 컨베이어로 전송받아 화로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용물에 열을 가해 용융 및 분해가 이루어지게 하는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와; 상기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에서 용융 및 분해된 분해물을 공급받아 재열분해가 이루어지는 CSTR형 열분해장치와; 상기 CSTR형 열분해장치에서 열분해된 저비점 생성물을 공급받아 중단과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로 원하는 성상상태로 증류된 저비점생성유를 포집하여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하부에 남은 고비점잔유물은 CSTR형 열분해 장치로 이송하여 재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증류탑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생성유를 정제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급 폐플라스틱, 열분해, 유화, 로터리 킬른형 반응기, CSTR형 반응기, 정제

Description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yrolysis of Waste Plastics using Rotary Kiln Type Pyrolysis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주요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일예에 따른 정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의 열분해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열분해시스템 20 : 감용기
30 :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 31~33 : 제1~3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
40 : CSTR형 열분해장치 41 : 슬러지포집장치
50 : 증류탑 51, 52 : 제1, 2저장탱크
60 : 정제장치 61~64 : 제1~4정제탱크
65 : 백필터 66~69 : 제1~4카트리지필터
P1 : 가압과정 P2 : 열분해과정
P3 : 재열분해과정 P4 : 증류과정
P5 : 정제과정 S1 : 공급단계
S2 : 열분해단계 S3 : 이송단계
S4 : 재열분해단계 S5 : 배출단계
본 발명은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2개 이상 병렬로 연결하여 단계적, 연속적으로 저급 폐플라스틱을 용융 분해하도록 하고, 상기 다수의 킬른형 열분해장치에서 분해된 용융물질을 순차적으로 연속 공급받아 CSTR형 열분해장치에서 2차 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증류와 정제공정을 통해 생성유를 수득하도록 하는 등 전처리 공정을 간소화하고, 연속 열분해가 가능하도록 한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탄화수소로 구성되는 고분자 물질인 플라스틱은 산업발달에 의해 배출량이 증가되어 환경오염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심각 한 사회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는 것으로, 최근에는 연간 수백만 톤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는 대부분 매립과 소각에 의해 처리되지만 점차 매립은 불가능하고 소각 또한 대기오염 등 환경적인 문제점을 발생시켜 대체 재활용 방법이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기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하고, 고유가시대에 대한 대안으로 열분해유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도 폐플라스틱 수거가 혼합 형태로 수거되기 때문에 순수한 물질만을 선별하는데 곤란함은 물론 선별하는 양도 한정적이다.
또한, 열분해에 사용되는 반응로도 직경이 큰 탱크형 반응로를 사용하기 때문에 열전달효율이 낮아서 신속한 열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소규모로만 사용하고 있고, 이 또한 간접가열에 의해 표면에 쉽게 코크가 생성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생산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선별공정과 폐플라스틱을 소규모의 일정크기로 파쇄하는 공정 등 다수 전처리 과정으로 수행되고 있으므로, 낮은 공정 효율 및 많은 투자비가 들어 경제성이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폐고무에 포함된 미량의 흙, 알루미늄 코팅물등 무기물이 포함된 저급 폐플라스틱을 다수의 전처리 공정들이 없이 간단한 파쇄 후 감용기에 의해 부피만 줄여서 열전달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에 투입하여 다량을 처리하도록 하고, 이를 CSTR형 열분해장치에 공급하여 2차열분해가 더 이루어지게 한 후 증류와 정제과정을 통해 생성유를 제공하는 열분해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병열로 2개 이상 설치하여 1차분해물을 순차적으로 CSTR형 열분해장치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폐플라스틱이 1차열분해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에 다른 시스템이 부분적으로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킨 열분해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은,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폐고무에 포함된 미량의 흙, 알루미늄 코팅물등 무기물이 포함된 저급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생성유를 수득하는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체로 가압수단에 의해 수용된 저급 폐플라스틱에 가압하여 부피를 축소시키는 감용기와; 상기 감용기로 압축된 폐플라스틱을 컨베이어로 전송받아 화로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용물에 열을 가해 용융 및 분해가 이루어지게 하는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와; 상기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에서 용융 및 분해된 분해물을 공급받아 재열분해가 이루어지는 CSTR형 열분해장치와; 상기 CSTR형 열분해장치에서 열분해된 저비점 생성물을 공급받아 중단과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로 원하는 성상상태로 증류된 저비점 생성유를 포집하여 저장탱크에 저장하고, 하부에 남은 고비점잔유물은 CSTR형 열분해장치로 이송하여 재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증류탑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생성유를 정제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는 2개 이상을 병렬로 연결하여 제1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에서 열분해가 이루어지거나 열분해물을 CSTR형 열분해장치로 이송되는 동안에 제2, 3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에 각각 폐플라스틱을 투입하고,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폐플라스틱과 CSTR형 열분해장치로의 열분해물을 연속공급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CSTR형 열분해장치의 하부에 이송관으로 연통설치되어 CSTR형 열분해장치로부터 열분해과정에서의 잔류물인 슬러지를 공급받고, 일정량이 되면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에 폐플라스틱과 함께 투입하여 재처리하도록 하는 슬러지 포집장치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장치는 불순물이 포함된 생성유를 유입하여 봉투형상의 백(bag)필터에 큰 입자를 필터링하는 제1정제탱크와; 상기 제1정제탱크로 정제된 생성유를 탱크내부에 설치되는 봉형상의 제1카트리지필터로 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제2정제탱크와; 상기 제2정제탱크로 정제된 생성유를 내부에 설치된 제2, 3카트리지필터로 초미세입자와 수분을 필터링하는 제3정제탱크와; 상기 제3정제탱크로 정제된 생성유를 유입하여 카본재질의 제4카트리지필터를 통과시켜 유해화학성분을 필터링하는 제4정제탱크;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주요부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의 열분해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을 설명하면,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폐고무에 포함된 미량의 흙, 알루미늄 코팅물등 무기물이 포함된 저급 폐플라스틱류를 가압하는 감용기(20)가 구비된다. 상기 감용기(20)는 저급플라스틱류가 수용되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압수단으로 구성되어, 수용된 폐플라스틱을 가압하여 부피를 최소한으로 축소시키는 것이다. 상기 원통체의 용량은 후술되는 킬른형 열분해장치에 원활이 공급될 수 있는 용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용기에 의해 부피가 축소된 폐플라스틱은 컨베이어에 의해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30)로 공급된다. 상기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30)는 화로가 회전하면서 전체에서 열을 가하여 고온에 의해 내부 폐플라스틱을 용융 및 열분해가스와 탄화된 잔류물로 분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는 열분해의 효율성을 위해 폐플라스틱을 투입한 후에 열분해가 이루어지고 열분해가 충분히 이루어진 후 배출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무산소 조건의 고열에서 분해가 이루어짐으로 소각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이옥신의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용융 및 분해된 열분해물은 CSTR형 열분해장치(40)로 이송되어 재열분해가 이루어진다. 즉,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30)에서 열분해가 덜된 왁스와 같은 물질을 최종적인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CSTR형 열분해장치에서는 열분해로 인한 열분해가스와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잔류물인 슬러지로 분리되어 상기 열분해가스는 증류탑(50)으로 이송되고, 슬러지는 하부의 슬러지포집장치(41)로 포집되어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30)에서 재공급하여 재처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는 열분해로 발생된 탄화물과 초기 투입된 폐플라스틱에 혼합된 불순물을 포함한 것이다.
상기 증류탑(50)은 전송받은 열분해가스를 원하는 성상으로 증류하게 된다. 증류탑의 구조는 증류탑에 다수의 배출구가 형성되어 수용자의 요구에 따라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데, 증류탑의 상단에는 저비점의 생성물이 수득되고, 중단에 형성된 배출구로는 상대적을 고비점의 생성물이 수득되는 것이다. 물론 수득되지 않는 고비점의 생성물은 CSTR형 열분해장치(40)로 재이송되어 열분해가 더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열원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증류탑의 배출구로부터 수득된 생성물은 이송관에 개재된 냉각기에 의해 응집되어 저장탱크(51, 52)에 포집되도록 한다.
즉, 증류탑(50)의 상단에서 포집된 저비점의 생성물로부터 응집수득한 생성유는 불순물의 함유량이 적은 고품질의 경질유이고, 증류탑의 중단에서 포집된 생성물로부터 응집수득한 생성유는 상대적으로 불순물의 함유량이 높은 중질유이다. 그러나 상기 두 생성유도 불순물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정제를 통해 불순물을 필터링 한 후에 판매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정제는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품질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수의 필터층을 통해 미세입자와 수분이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한 바와 같이 정제장치(60)는 제1~4정제탱크(61~64)로 구성되어 순차적인 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저장탱크(51, 52)로부터 생성유가 유입되는 제1정제탱크(61)에는 백필터(65)가 장착되어 10미크론 이상의 큰입자가 필터링되도록 하고, 상기 제2정제탱크(62)에서는 제1카트리지필터(66)가 장착되어 5미크론 이상의 미세입자가 필터링되도록 하고, 상기 제3정제탱크(63)에는 제2카트리지필터(67)와 제3카트리지필터(68)가 장착되어 제2카트리지필터(67)에서는 생성유에 함유된 수분기와 0.5미크론 이상의 미세입자의 분리하도록 하고, 제3카트리지필터(68)에서는 잔여 미세수분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제4정제탱크(64)에는 카본재질인 제4카트리지필터(69)를 장착하여 각종 유해물질을 필터에 흡착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제2카트리지필터(67)는 에폭시수지가 코팅된 다공판과, 유리섬유층과, 24메쉬의 유리섬유층, 폴리에스테르섬유층, 면직물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3카트리지필터(68)는 외측으로부터 테플론으로 코 팅된 200메쉬의 와이어메쉬, 메탈라스(metal lath), 큰지름 다공판, 작은지름 다공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정제장치(60)는 품질에 따라 달라 저장된 저장탱크 예컨대, 저비점의 생성유를 저장하는 제1저장탱크(51)와 상대적으로 고비점의 생성유를 저장하는 제2저장탱크(52)를 순차적으로 정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저장탱크(51)와 제2저장탱크(52)를 하나의 탱크로 형성하여 정제할 수 있지만 생성물의 질 차이로 따로 구분하여 저장 탱크에 저장하게 된다. 따라서, 제1저장탱크(51)에 포집된 저비점 생성유의 정제가 필요할 시에는 제2저장탱크(52)의 밸브를 단속하고, 제1저장탱크의 밸브를 개방하여 정제 등의 번갈아가면서 정제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구성되는 본 발명의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은, 도 2를 참조한 바와 같이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다수 병렬 연결할 수 있다.
이는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30)에서 열분해되는 동안에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로의 폐플라스틱 유입이 중단됨으로 다수개를 병렬연결하여 작업의 연속성을 부여한 것이다. 예컨대, 제1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31)에서 열분해된 분해 생성물이 CSTR형 열분해장치(40)로 이송하는 동안 제2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32)에서는 폐플라스틱의 유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번갈아 가면서 각 장치가 운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 분해방법은,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폐고무에 포함된 미량의 흙, 알루미늄 코팅물 등무기물이 포함된 저급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생성유를 수득하는 폐플라스틱의 열분해방법에 있어서, 가압과정(P1)과, 열분해과정(P2)과, 재열분해과정(P3)과, 증류과정(P4)과, 정제과정(P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과정(P1)은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체로 가압수단에 의해 수용된 저급 폐플라스틱을 가압하여 부피를 축소시키는 과정이다.
다음으로, 상기 열분해과정(P2)은 상기 압축된 폐플라스틱을 컨베이어로 전송받아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의 화로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을 가해 수용물을 용융하거나, 열분해가스와 탄화물로 분해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에서는 가압과정에서 가압된 폐플라스틱을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의 내부로 유입하는 단계(S1)와, 유입된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는 단계(S2)와, 열분해물을 다음 과정으로 이송하는 단계(S3)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가 하나만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 단계가 순차적으로 일어나고, 다수개가 병렬로 구성될 경우에는 제1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에서 충분히 분해되어 분해물을 다음과정으로 이송하는 단계(S3)를 수행하는 동안 제2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에서는 초기 분해단계(S2)가 이루어지고, 제3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에는 압출된 폐플라스틱을 공급받는 단계(S1)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로부터 열분해물을 공급받는 CSTR형 열분해장치에는 연속적으로 열분해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재열분해과정(P3)은 상기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에서 열분해된 분해물 중 왁스와 같이 일부 분해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용융된 상태의 물질을 재가열하여 오일 뿐만 아니라 열분해가스와 탄화물질로 분리하는 재열분해단계(S4)와, 상기 열분해하고 남은 탄화물질 및 열분해가 되지 않는 이물질등의 잔류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슬러지포집장치로 처리되도록 하는 배출단계(S5)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단계는 열분해장치 내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열분해효율을 상승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증류과정(P4)은 상기 열분해된 생성물인 열분해가스를 공급받아 원하는 성상인 저비점 생성유과 상대적으로 고비점인 생성유를 수득하는 과정이고, 하부의 고비점 잔류물은 재열분해과정(P3)으로 환류시켜 열분해가 다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열분해장치의 열원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수득된 생성유에는 정제과정(P5)이 더 이루어져 생성유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품질이 향상된 생성유의 수득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서술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가 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부분변경 사용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 및 방법은,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폐고무에 포함된 미량의 흙, 알루미늄 코팅물 등무기물이 포함된 저급 폐플라스틱을 다수 전처리 공정 없이 감용기에 의해 부피만 줄여서 열전달이 우수한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에 투입하여 다량을 처리하도록 하고, 이를 CSTR형 열분해장치에 공급하여 2차열분해가 더 이루어지게 한 후 증류와 정제과정을 통해 생성유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병열로 다수 설치하여 1차분해물을 순차적으로 CSTR형 열분해장치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폐플라스틱이 1차열분해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에 다른 시스템이 부분적으로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효율적인 구동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즉, 폐플라스틱으로부터 수득하는 생성유의 제조단가를 낮추어 생산성을 향상시켜 적극적인 시설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오염예방과 수입자원의 감소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시스템 및 방법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Claims (6)

  1.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폐고무에 포함된 미량의 흙, 알루미늄 코팅물등 무기물이 포함된 저급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생성유를 수득하는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체로 가압수단에 의해 수용된 저급 폐플라스틱에 가압하여 부피를 축소시키는 감용기(20)와;
    상기 감용기로 압축된 폐플라스틱을 컨베이어로 전송받아 화로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용물에 열을 가해 용융 및 분해가 이루어지게 하는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30)와;
    상기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에서 용융 및 분해된 분해물을 공급받아 재열분해가 이루어지는 CSTR형 열분해장치(40)와;
    상기 CSTR형 열분해장치(40)에서 열분해된 저비점 생성물을 공급받아 중단과 상단에 형성된 배출구로 원하는 성상상태로 증류된 저비점생성유를 포집하여 저장탱크(51, 52)에 저장하고, 하부에 남은 고비점잔유물은 CSTR형 열분해장치(40)로 이송하여 재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증류탑(50)과;
    상기 저장탱크(51, 52)에 저장된 생성유를 정제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제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30)는 다수개를 병렬 연결하여 제1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31)에서 열분해가 이루어지거나 열분해물을 CSTR형 열분해장치(40)로 이송되는 동안에 제2(32), 3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33)에 각각 폐플라스틱을 투입하고,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폐플라스틱과 CSTR형 열분해장치로의 열분해물을 연속공급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CSTR형 열분해장치(40)의 하부에 이송관으로 연통설치되어 CSTR형 열분해장치로부터 열분해과정에서의 잔류물인 슬러지를 공급받고, 일정량이 되면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30)에 폐플라스틱과 함께 투입하여 재처리하도록 하는 슬러지 포집장치가 더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장치(60)는 불순물이 포함된 생성유를 유입하여 봉투형상의 백(bag)필터(65)에 큰입자를 필터링하는 제1정제탱크(61)와;
    상기 제1정제탱크로 정제된 생성유를 탱크내부에 설치되는 봉형상의 제1카트리지필터(66)로 미세입자를 필터링하는 제2정제탱크(62)와;
    상기 제2정제탱크로 정제된 생성유를 내부에 설치된 제2(67), 3카트리지필터(68)로 초미세입자와 수분을 필터링하는 제3정제탱크(63)와;
    상기 제3정제탱크로 정제된 생성유를 유입하여 카본재질의 제4카트리지필터(69)를 통과시켜 유해화학성분을 필터링하는 제4정제탱크(6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시스템.
  5. 폐플라스틱, 폐합성수지, 폐고무에 포함된 미량의 흙, 알루미늄 코팅물 등무기물이 포함된 저급 폐플라스틱을 열분해하여 생성유를 수득하는 폐플라스틱의 열분해방법에 있어서,
    수용공간이 형성된 원통체로 가압수단에 의해 수용된 저급 폐플라스틱을 가압하여 부피를 축소시키는 가압과정(P1)과;
    상기 압축된 폐플라스틱을 컨베이어로 전송받아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의 화로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용물에 열을 가해 용융 및 분해가 이루어지게 하는 열분해과정(P2)과;
    상기 분해물을 공급받아 재열분해시키는 단계(S4)와, 열분해가 이루어지지 않는 잔유물은 외부로 배출시켜 열분해효율을 증가시키는 단계(S5)로 이루어진 재열분해과정(P3)과;
    상기 열분해된 생성물을 공급받아 증류하여 저비점 생성유과 상대적으로 고비점인 생성유를 수득하고, 하부의 고비점 잔류물은 열분해과정으로 환류시켜 열분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증류과정(P4)과;
    상기 수득한 생성유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는 정제과정(P5);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과정(P2)에서는 다수 구비된 로터리킬른형열분해장치 중 제1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에서 다량 발생되는 분해물을 다음과정으로 이송하는 단계(S3)를 수행하는 동안 제2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에서는 초기 분해단계(S2)가 이루어지고, 제3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에는 압출된 폐플라스틱을 공급받는 단계(S1)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 열분해방법.
KR1020060113450A 2006-11-16 2006-11-16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8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450A KR100748624B1 (ko) 2006-11-16 2006-11-16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450A KR100748624B1 (ko) 2006-11-16 2006-11-16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624B1 true KR100748624B1 (ko) 2007-08-10

Family

ID=38602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450A KR100748624B1 (ko) 2006-11-16 2006-11-16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624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370B1 (ko) 2007-06-07 2008-08-12 동명알피에프 주식회사 폐열을 이용한 관로형 반응기가 구비된 열분해 오일화 장치
KR101072596B1 (ko) * 2009-05-21 2011-10-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폐합성수지에서 고급 오일을 얻는 장치 및 방법
KR101869333B1 (ko) 2017-02-14 2018-06-21 이달은 열분해기용 정제기
KR20190055975A (ko) * 2017-11-16 2019-05-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속식과 반연속식 동시 운전 로터리킬른형 열분해 시스템
CN109970891A (zh) * 2019-04-17 2019-07-05 科米诺新材料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调制蜡生产用三级纯化装置
KR20190131208A (ko) 2018-05-16 2019-11-2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열분해물 분리기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함유 플라스틱 혼합물의 재활용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함유 플라스틱 혼합물의 재활용 방법
KR20200126707A (ko) * 2019-04-30 2020-11-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연성 폐기물으로부터 열분해 오일 생산 시스템 및 이의 이용
KR102262779B1 (ko) 2020-12-08 2021-06-11 성안이엔티주식회사 폐합성수지와 가연성 폐기물의 연속투입은 물론 열분해된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하고 미세먼지와 폐수의 배출이 없이 고품질 오일을 생성하는 열분해 유화 방법 및 장치
KR20220056915A (ko) * 2020-10-28 2022-05-09 인지이엔티 주식회사 재생유 여과장치
KR20220154909A (ko) 2021-05-14 2022-11-22 이병삼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KR20230078101A (ko) *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비점 열분해유의 제조방법
KR20230168371A (ko) 2022-06-07 2023-12-14 김진규 폐기물 연속 투입식 열분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482A (ko) * 1998-09-24 2001-11-29 리칭 가정의 쓰레기 및/또는 유기 폐기물로부터 탄화수소의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40054454A (ko) * 2002-12-18 2004-06-25 (주)젠텍코리아 폐비닐 및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유화방법 및 장치
KR100693464B1 (ko) 2006-01-10 2007-03-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혼성 폐플라스틱 및 폐유를 이용한 재생 연료유 자동화생산 설비
KR20070044748A (ko) * 2005-10-25 2007-04-30 유덕명 폐플라스틱 정제유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482A (ko) * 1998-09-24 2001-11-29 리칭 가정의 쓰레기 및/또는 유기 폐기물로부터 탄화수소의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40054454A (ko) * 2002-12-18 2004-06-25 (주)젠텍코리아 폐비닐 및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유화방법 및 장치
KR20070044748A (ko) * 2005-10-25 2007-04-30 유덕명 폐플라스틱 정제유 제조장치
KR100693464B1 (ko) 2006-01-10 2007-03-1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혼성 폐플라스틱 및 폐유를 이용한 재생 연료유 자동화생산 설비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370B1 (ko) 2007-06-07 2008-08-12 동명알피에프 주식회사 폐열을 이용한 관로형 반응기가 구비된 열분해 오일화 장치
KR101072596B1 (ko) * 2009-05-21 2011-10-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폐합성수지에서 고급 오일을 얻는 장치 및 방법
KR101869333B1 (ko) 2017-02-14 2018-06-21 이달은 열분해기용 정제기
KR20190055975A (ko) * 2017-11-16 2019-05-2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속식과 반연속식 동시 운전 로터리킬른형 열분해 시스템
KR101985770B1 (ko) 2017-11-16 2019-06-0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속식과 반연속식 동시 운전 로터리킬른형 열분해 시스템
KR20190131208A (ko) 2018-05-16 2019-11-2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열분해물 분리기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함유 플라스틱 혼합물의 재활용을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함유 플라스틱 혼합물의 재활용 방법
CN109970891A (zh) * 2019-04-17 2019-07-05 科米诺新材料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调制蜡生产用三级纯化装置
CN109970891B (zh) * 2019-04-17 2024-04-16 科米诺新材料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调制蜡生产用三级纯化装置
KR102228583B1 (ko) 2019-04-30 2021-03-1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연성 폐기물으로부터 열분해 오일 생산 시스템 및 이의 이용
WO2020222423A3 (ko) * 2019-04-30 2021-04-2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폐기물로부터 열분해 오일 생산 시스템
KR20200126707A (ko) * 2019-04-30 2020-11-0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연성 폐기물으로부터 열분해 오일 생산 시스템 및 이의 이용
KR20220056915A (ko) * 2020-10-28 2022-05-09 인지이엔티 주식회사 재생유 여과장치
KR102555506B1 (ko) 2020-10-28 2023-07-14 인지이엔티 주식회사 재생유 여과장치
KR102262779B1 (ko) 2020-12-08 2021-06-11 성안이엔티주식회사 폐합성수지와 가연성 폐기물의 연속투입은 물론 열분해된 부산물을 연속적으로 배출하고 미세먼지와 폐수의 배출이 없이 고품질 오일을 생성하는 열분해 유화 방법 및 장치
KR20220154909A (ko) 2021-05-14 2022-11-22 이병삼 폐합성수지의 유화장치
KR20230078101A (ko) * 2021-11-26 2023-06-02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비점 열분해유의 제조방법
KR102624291B1 (ko) * 2021-11-26 2024-01-15 주식회사 대경에스코 폐플라스틱의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비점 열분해유의 제조방법
JP7436613B2 (ja) 2021-11-26 2024-02-21 テギョン エス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廃プラスチック熱分解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低沸点熱分解油の製造方法
KR20230168371A (ko) 2022-06-07 2023-12-14 김진규 폐기물 연속 투입식 열분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624B1 (ko)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플라스틱의열분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72596B1 (ko) 로터리킬른형 열분해장치를 사용하여 연속적으로 폐합성수지에서 고급 오일을 얻는 장치 및 방법
CN114127234A (zh) 废弃物的热解油生产系统
CN106185938B (zh) 一种废旧电子产品处理的系统及方法
KR101076023B1 (ko)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폐전선의 재활용 장치 및 방법
WO2022136334A1 (en) Char handling section and depolymerization process associated therewith
JP4465851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ケミカルリサイクル方法及び装置
JP2006016594A (ja) 廃プラスチック油化処理装置および廃プラスチックの油化処理方法
KR100736845B1 (ko) 연료유정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열분해유화시스템
KR20100100366A (ko) 폐합성수지 유화장치
JPH1161148A (ja) 廃プラスチックの処理方法
IT201800009798A1 (it) Processo e relativo impianto per la depolimerizzazione di materie plastiche per produzione di idrocarburi
EP1013991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energy of waste classification incineration
CN116064064A (zh) 一种热解回收废塑料的方法及系统
JP4329507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ケミカルリサイクル装置
JP4337517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ケミカルリサイクル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31501B1 (ko) 폐합성수지 유화장치
US5846385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energy recovering through waste classification and calcination
JP2005154510A (ja) 廃プラスチックのケミカルリサイクル装置
KR100508334B1 (ko) 무촉매 열분해 반응을 수행하는 대체 연료유 제조장치
JP2004131516A (ja) 有機物の熱分解リサイクル方法
JP4329506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ケミカルリサイクル装置
CN215049937U (zh) 一种废塑料辐射热裂解系统
KR200299240Y1 (ko) 폐합성수지 유화 처리장치
WO2021171313A1 (en) Process for the conversion of plastic material to fu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