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384B1 -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384B1
KR100748384B1 KR1020060029579A KR20060029579A KR100748384B1 KR 100748384 B1 KR100748384 B1 KR 100748384B1 KR 1020060029579 A KR1020060029579 A KR 1020060029579A KR 20060029579 A KR20060029579 A KR 20060029579A KR 100748384 B1 KR100748384 B1 KR 100748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ne
main body
cooking vesse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복희
강인주
Original Assignee
장복희
강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복희, 강인주 filed Critical 장복희
Priority to KR1020060029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3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3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3Tie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8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water-bath, e.g. pasta-coo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물을 조리할 경우에 사용되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보조용기와, 내부에 조리물을 수용하는 본체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용기의 외주면은 상기 본체용기의 상단에 밀착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용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인적, 시간적 노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조리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조리에 필요한 연료의 양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조리 용기{COOKING WA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리 용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조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체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리 용기의 실제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보조용기 30 : 본체용기
201 : 제 1 절곡부 202 : 제 1 경사면
301 : 제 2 절곡부 302 : 제 2 경사면
303 : 손잡이 304 : 측면
305 : 바닥부
본 발명은 조리물을 조리할 경우에 사용되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골 등을 물과 함께 끓여 탕이나 육수 등을 만드는 데 있어서 종래보다 단시간에 농도가 진한 육수를 우려낼 수 있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사골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는 음식에는 곰탕, 설렁탕 또는 육수가 들어가는 여러 음식 등이 있다. 상기 음식을 만드는데 있어서, 음식의 맛은 사골을 우려낸 육수의 농도가 얼마나 진한가에 의해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사골을 우려내어 사골 육수를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사골을 솥 등의 용기에 넣고 물을 사골과 함께 부어 원하는 농도의 사골 육수가 제조될 때까지 끓이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 용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진한 사골 육수를 제조하기 위해 오랜 시간을 끓여야 한다. 오랜 시간을 끓일 경우에는 뚜껑을 통해 조리 용기를 밀폐시키려고 하더라도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로 증발하게 되기 때문에, 원하는 양과 농도의 사골 육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동안 물을 계속 공급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물을 계속 공급하기 때문에 사골 육수가 원하는 농도에 도달하는데 그만큼 시간이 더 소요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대형 조리 용기를 사용하여 사골 1.5 kg 및 물 15 L 를 조리용기에 투입하여 사골 육수를 제조할 때에는 3 ~ 4 시간 정도마다 3 L 가량의 물을 공급하고 보통 물을 공급하는 횟수가 4회 정도이기 때문에, 총 12 ~ 16 시간 정도가 소요되 고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상기의 시간 동안 사골 육수를 제조하는 용기 내부를 계속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적 소모가 있다. 그리고, 오랜 시간 동안 조리 용기를 가열해야 하기 때문에 가열에 필요한 연료 등이 많이 소비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사골 육수를 오랫동안 끓일 경우에는 사골에 포함된 영양소의 파괴가 심해진다. 또한 사골 육수가 원하는 농도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서 공급하는 물의 양을 계속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매우 불편함을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조리 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짧은 시간이 소요되고 사용자가 조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충분한 농도의 사골 육수를 얻을 수 있는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리 용기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보조용기와, 내부에 조리물을 수용하는 본체용기와, 상기 보조용기와 상기 본체용기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용기의 외주면 중 일부는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본체용기의 상단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용기는 상기 결합수단이 상기 보조용기 측면에 형성된 제 1 경사면과 상기 본체용기 측면에 형성된 제 2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 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용기는 상기 제 1 경사면 및 상기 제 2 경사면의 경사각이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용기는 상기 보조용기가 그 상단에 제 1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 용기는 상기 본체용기가 그 상단에 제 2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조리 용기의 뚜껑을 대신해서, 사골 육수와 별도의 물을 수용하는 보조용기를 본체용기 위에 설치해서 사골 육수 대신 보조용기에 수용된 물이 수증기로 변해서 증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리 용기 내부에서는 사골 육수가 수증기로 기화되어 본체용기의 상부로 상승하면, 그 수증기는 보조용기에 부딪히게 되며, 이 경우에는 수증기가 갖고 있는 열이 보조용기 내부에 수용된 저온의 물에 흡수된다. 그러면 사골 육수의 수증기는 액화되기 때문에 사골 육수의 양은 거의 감소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조리 용기와 같이 사골 육수를 담는 조리 용기가 열전도도가 높고 비열이 낮은 금속성 재질로만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조리 용기 전체가 단시간에 열원의 온도에 근접하지만 그에 따라 조리 용기와 외부 간에 온도차이가 커지게 되기 때문에, 조리 용기로부터 외부로 방출되는 열량이 크다. 이에 관한 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22900069-pat00001
(Q: 열량, c: 비열, m: 질량, dT: 온도변화)
Figure 112006022900069-pat00002
(Q: 전도열량, r: 열전달계수, A: 전도물체의 단면적, dT: 온도차, L: 전도길이)
그렇기 때문에 사골 육수가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조리되기 위해서 필요한 열량이 사골 육수에 도달하기까지는 장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리 용기는 사골 육수가 수용되는 본체용기 위에 별도의 물을 수용하는 보조용기가 있기 때문에, 보조용기 내의 물에 열이 수용된다. 물은 금속에 비해서 열전도도가 낮고 비열이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리 용기는 사골 육수 제조시에 종래의 조리 용기보다 조리 용기의 온도가 상승하는 속도가 늦어지기 때문에, 조리 용기와 외부의 온도차가 적어지게 되고 따라서 조리 용기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열량이 적어진다. 또한, 물은 비열이 크기 때문에 물은 수용할 수 있는 열량이 크다. 그러므로, 보조용기 내의 물에 높은 열량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조리 용기보다 높은 열량을 사골 육수에 공급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조리 용기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사골 육수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리 용기는 본체용기 상단을 뚜껑으로 밀폐하기는 하지만, 뚜껑은 본체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로 인하여 높아진 압력을 잘 견디지 못한다. 따라서,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면, 뚜껑이 본체용기로부터 분리되기 때문에 본체용기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기 어렵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조리 용기는 본체용기를 물을 수용한 보조용기로 밀폐하기 때문에, 뚜껑에 비해 높은 내부압력을 견딜 수 있어서 본체용기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압력솥과 같은 원리에 의해 조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용기에 물이 수용되어 있는 한 사골 육수는 거의 수증기로 증발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사골 육수의 양의 감소를 확인해야 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새로운 물을 계속 공급하는 것에 의해 원하는 농도의 사골 육수를 얻는데 시간이 지나치게 소요되었던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내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리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 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용기는 보조용기(20) 및 본체용기(30)로 구성된다. 종래의 조리용기에는 뚜껑과 본체용기로 구성된 것에 반해, 본 발명에서는 뚜껑(10)대신 보조용기(20)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조리 용기를 사골 육수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할 때에는 보조용기(20) 및 본체용기(30)를 결합한 형태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용기(30)는 사골 육수를 제조하는 경우 이외의 일반적인 조리 과정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뚜껑이 본체용기(30)의 상단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보조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용기(20)는 제 1 절곡부(201)과 제 1 경사면(202)를 포함한다. 제 1 절곡부(201)는 제 1 경사면(202)의 모든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보조용기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 1 절곡부(201)는 사용자가 보조용기(20)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의 역할을 한다. 또한 보조용기(20)의 높이(h)는 사용자가 얻을려는 사골 육수의 양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보조용기(20)의 높이(h)는 80 ~ 9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본체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용기(30)는 종래 조리 용기의 본체용기와 그 재질은 유사하지만, 본체용기(30)의 상부에 제 2 절곡부(301)와 제 2 경사면(302)를 포함하는 점에서 종래 조리 용기와 차이가 있다. 보조용기(20)의 경우와 유사하게, 제 2 절곡부(301)는 제 2 경사면(302)의 모든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본체용 기(30)의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하지만, 본체용기(30)에서 보조용기(20)와 달리 제 2 경사면(302)이 본체용기(30)의 모든 측면부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며, 본체용기(30)의 측면부는 제 2 경사면(302)과 측면(304)의 두 부분으로 형성된다. 만약 본체용기(30)에서도 보조용기(20)의 경우와 같이, 제 2 경사면(302)이 본체용기(30)의 모든 측면부를 형성하도록 한다면, 제 2 경사면(302)이 본체용기(30)의 중심쪽으로 경사졌기 때문에 본체용기(30)의 바닥부(305)의 넓이가 작아지게 된다. 바닥부(305)는 본체용기(30)의 아래에 위치한 열원으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바닥부(305)의 넓이가 작아지게 되면 본체용기(30)로 유입되는 열량이 줄어들어서 조리 용기의 조리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 가정에서 본 발명의 조리 용기를 사용한다면 바닥부(305)의 반지름은 130~14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이유들에 의해 본체용기(30)의 제 2 경사면(302)을 측면부의 일부에 국한해서 형성한다. 다만, 제 2 경사면(302)이 형성된 면적이 지나치게 작으면 본체용기(30)와 보조용기(20)의 밀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점도 고려하여 제 2 경사면(302)을 적절하게 측면에 형성한다. 그리고 측면(304)에는 종래의 조리 용기와 마찬가지로 손잡이(303)를 형성한다. 손잡이(303)는 뚜껑 손잡이(101)와 같이 사용자가 화상 등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플라스틱 등의 열전도가 낮은 물질을 사용한다. 그리고 일반 가정에서 본 발명의 조리 용기를 사용할 경우에, 본체용기(30)의 높이(H)는 350 ~ 360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조용기(20)의 제 1 경사면(202) 및 본체용기(30)의 제 2 경사면은 서로 같은 정도로 경사지도록 형성한다. 따라서, 보조용기(20) 및 본체용기(30)가 서로 결합할 경우에 결합부위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조리 용기의 실제 사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사골 육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본체용기(30)의 내부에 원하는 사골 육수의 양에 따라 적당량의 사골(308)과 물(306)을 넣고, 그 위에 충분한 양의 물을 수용한 보조용기(20)를 덮는다. 그리고 종래의 조리 용기의 사용 방법처럼 본체용기(30)의 바닥부(305)에 열을 가하면 사골 육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 용기의 경우에는 사골 육수가 증발하는 대신 보조용기(20)내의 물이 증발할 뿐만 아니라, 뚜껑(10)과 보조용기(20)간 및 보조용기(20)와 본체용기(30)간의 밀착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에 조리 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수증기가 외부로 지나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용기 내의 사골 육수에 추가로 물을 공급할 필요가 없으며, 그로 인해 종래보다 현저하게 짧은 시간을 소요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농도의 사골 육수를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골(308) 1.5 kg 및 물(306) 15 L를 종래 조리 용기 내부에 투입하여 사골 육수를 제조하였을 때에는 12 ~ 16 시간 정도가 소요되어야 얻어지는 농도를 본 발명의 조리 용기를 사용하면 4 시간 정도 만에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 용기는 사용자가 사골 육수의 제조중에 조리 용기 내에 남아 있는 사골 육수의 양을 수시로 점검할 필요가 없다. 다만, 본 발명의 조리 용기의 경우에는 사골 육수의 제조중에는 보조용기(20)내에 물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보조 용기(20)내에 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만 확인하면 되며 보조용기(2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확인이 용이하다. 그리고 보조용기(20)가 충분한 양의 물을 수용할 수 있다면, 사골 육수의 제조중에 사용자의 확인조차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용기는 사골 육수의 제조중에 사용자의 번거로운 조작을 요하지 않는다. 게다가, 종래보다 조리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리 용기 내부를 확인하는 횟수도 종래의 조리 용기를 사용할 때보다 현저하게 감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보조용기를 본체용기에 밀착하기 위해 보조용기의 제 1 경사면과 본체용기의 제 2 경사면을 형성하였으나, 이와 달리 구성할 수도 있는 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 용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조리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인적, 시간적 노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조리 시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조리에 필요한 연료의 양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보조용기와,
    내부에 조리물을 수용하는 본체용기와,
    상기 보조용기와 상기 본체용기를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용기의 외주면 중 일부는 상기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본체용기의 상단에 밀착되고,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보조용기 측면에 형성된 제 1 경사면과 상기 본체용기 측면에 형성된 제 2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경사면 및 상기 제 2 경사면의 경사각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는 그 상단에 제 1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용기는 그 상단에 제 2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용기.
KR1020060029579A 2006-03-31 2006-03-31 조리 용기 KR100748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579A KR100748384B1 (ko) 2006-03-31 2006-03-31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579A KR100748384B1 (ko) 2006-03-31 2006-03-31 조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384B1 true KR100748384B1 (ko) 2007-08-10

Family

ID=38602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579A KR100748384B1 (ko) 2006-03-31 2006-03-31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3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650U (ko) * 1995-01-06 1996-08-17 설렁탕 등의 육수가열용기
KR20000003432U (ko) * 1998-07-24 2000-02-15 강경욱 전기 히타 중탕 가열솥
KR200236953Y1 (ko) * 2001-01-31 2001-10-25 김동현 구이팬
KR20040110175A (ko) * 2003-06-18 2004-12-31 송기순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6650U (ko) * 1995-01-06 1996-08-17 설렁탕 등의 육수가열용기
KR20000003432U (ko) * 1998-07-24 2000-02-15 강경욱 전기 히타 중탕 가열솥
KR200236953Y1 (ko) * 2001-01-31 2001-10-25 김동현 구이팬
KR20040110175A (ko) * 2003-06-18 2004-12-31 송기순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48362B1 (en) High-functionality bowl structure
JPS5844368B2 (ja) 料理器具
US7905226B2 (en) Synthetic oil-filled double-bottom pot and pan
KR200214880Y1 (ko) 다용도 튀김기
KR200445346Y1 (ko) 신선로
KR100748384B1 (ko) 조리 용기
KR20090006658U (ko) 가스렌지 및 인덕션렌지 겸용 주방용기
JP2008279142A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JP2010183933A (ja) 電磁誘導加熱式の食品加熱保温容器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CN101214117A (zh) 真空锅
JP2887309B2 (ja) 調理器
KR20080006129U (ko) 조리용 진공 솥
KR101406492B1 (ko) 조리용기
KR100596193B1 (ko) 축열을 이용한 조리기
CN214072872U (zh) 罐子和砂锅
KR100580564B1 (ko) 구이장치
KR101146362B1 (ko) 조리용기
CN214905909U (zh) 一种蒸锅
KR200435579Y1 (ko) 간접가열식 조리기
US20050224071A1 (en) Synthetic oil-filled double-bottom pot and pan
KR20100103910A (ko) 조리 기구
KR101102075B1 (ko) 계육탕(鷄肉湯) 조리를 위한 항아리 저온조리기
EP1426002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slow cooking of foods and furniture element incorporating the device
CN209404379U (zh) 一种蒸煮两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