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254B1 -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254B1
KR100748254B1 KR1020060054978A KR20060054978A KR100748254B1 KR 100748254 B1 KR100748254 B1 KR 100748254B1 KR 1020060054978 A KR1020060054978 A KR 1020060054978A KR 20060054978 A KR20060054978 A KR 20060054978A KR 100748254 B1 KR100748254 B1 KR 100748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tape
polyol
weight
seam sealing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진섭
전병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에프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에프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에프앤티
Priority to KR1020060054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2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1/00Presence of polyether
    • C09J2471/006Presence of polyeth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09J2475/006Presence of polyurethan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테르 및 친수성계 폴리우레탄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투습·방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과;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올류의 쇄연장제가 배합되어 만들어진 고형분 및 유기용제가 배합되어 만들어진 투습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접착층이 합포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고형분은, 폴리올 75.5~86.8중량%, 이소시아네이트 1.8~2.6중량% 및 쇄연장제 11.4~21.9중량%의 비율로 배합되어 만들어짐으로써 의복 원단의 봉제 처리된 부위에 사용하여 의복 외부에서 내부로 침투하는 물을 차단시킬 뿐만 아니라 의복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쾌적한 착용감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의복을 제작할 수가 있다.
의복, 투습, 방수, 심 실링 테이프

Description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SEAM SEALING TAPE WITH WATERPROOF AND BREATHABLE FUN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 은 종래 심 실링 테이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실링 테이프의 층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심 실링 테이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실링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심 실링 테이프 11 : 필름층
12 : 접착층 12a : 접착성 폴리머
12b : 친수성 폴리머 20 : 롤러
22 : 히트 롤러 30 : 도포 수단
40 : 챔버
본 발명은 심 실링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의복 원단의 봉제 처리된 부위에 접착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침투되는 물을 차단하고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수용 심 실링 테이프(Seam sealing tape)는 의복에 사용되어 외부의 물이 의복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데 PVC(Polyvinylchloride), PET(Polyester), PA(Polyamide), PU(Polyurethane) 등의 무기능성 필름에 적정의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서 제조한다. 의복의 봉제선 부위에 방수용 심 실링 테이프를 접착하게 되면 비가 오거나, 등산, 스키 같은 야외 스포츠를 즐길 경우에 외부로부터 습기나 물이 의복 내부로 봉제선을 따라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쾌적한 의복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스포츠웨어와 같은 의복은 의복의 특성 상 원단 전체 중에서 약 30% 이상의 부위에 심 실링 테이프를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방수용 심 실링 테이프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 기능을 구비하여 외부의 물이 의복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할 수는 있더라도 내부에서 발생되는 땀 등의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투습 기능이 없기 때문에 의복의 투습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외부 기온의 하강에 따른 의복 내 땀의 응결로 인한 체온이 저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땀과 습기로 인한 불쾌감으로 인해 스포츠 활동에 극심한 장애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투습·방수용 의복 원단의 봉제 처리된 부위에 사용하여 외부에서 바느질에 의한 봉제선 사이의 구멍을 통하여 침투되는 물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에서 발생되는 습기를 통과시켜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는, 폴리에테르 및 친수성계 폴리우레탄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투습·방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과;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올류의 쇄연장제가 배합되어 만들어진 고형분 및 유기용제가 배합되어 만들어진 투습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접착층이 합포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고형분은, 폴리올 75.5~86.8중량%, 이소시아네이트 1.8~2.6중량% 및 쇄연장제 11.4~21.9중량%의 비율로 배합되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는, 폴리에테르 및 친수성계 폴리우레탄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투습·방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과;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올류의 쇄연장제가 배합되어 만들어진 고형분 및 유기용제가 배합되어 만들어진 투습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접착층이 합포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층은, 고형분 25~50중량% 및 유기용제 50~75중량%의 비율로 배합되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폴리올은, 부탄디올계 폴리에스터폴리올 30~70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 30~70중량%의 비율로 배합되어 만들수 있고,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배합되어 만들수 있고, 상기 쇄연장제는, 1,4 부탄디올 및 1,6 헥산디올 성분이 배합되어 만들수 있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제조 방법은, 이형지에 투습성을 갖되,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쇄연장제가 배합된 고형분, 및 유기용제가 배합되어 만들어진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접착층을 120~140℃, 130~160℃ 및 120~140℃ 조건 하에서 접착층을 일정한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 처리된 접착층과 폴리에테르 및 친수성계 폴리우레탄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투습·방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합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실링 테이프의 층 구성도로서, 크게 필름층(11)과 접착층(12)이 합포되어 있는데 접착층(12)은 접착성 폴리머(12a) 및 친수성 폴리머(12b)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름층(11)은 투습·방수성을 갖는 대략 0.02~0.20mm 두께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Breathable Thermoplastic PolyUrethane) 필름으로서 폴리에테르(Polyether) 및 친수성(Hydrophilic)계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수지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필름층(11)의 성능을 살펴보면, Tensile Strength는 5Mpa 이상, Elongation at Break는 200~700%, Modulus at 100%는 2MPa 이상, Softening range는 120~190℃, MVP(Moisture Vapor Permeability) at film state는 1,000g/m2.day(ASTM E96-00BW)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12)은 투습성을 갖는 대략 0.02~0.20mm 두께인 폴리우레탄 접착제로서 아래의 표 1 과 같이 폴리올(Polyol) 성분, 반응성이 높은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및 연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디올(diol)류의 쇄연장제(Chain extender)를 배합하여 만든 고형분 25~50중량%과 유기용제(Organic Solvent) 50~75중량%을 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성분 고형분(폴리올+이소시아네이트+쇄장연제) 유기용제
배합비(중량%) 25~50 50~75
이 때, 상기 고형분은, 아래의 표 2 와 같이 폴리올 75.5~86.8중량%, 이소시아네이트 1.8~2.6중량% 및 쇄연장제 11.4~21.9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만들 수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일정량의 촉매(catalyst)를 첨가할 수도 있다.
성분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배합비(중량%) 75.5~86.8 1.8~2.6 11.4~21.9
그런데, 상기 접착층(12)은 접착성 폴리머(12a) 및 친수성 폴리머(12b)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폴리올이 500~4,000의 분자량을 갖는 접착성의 부탄디올(Butane diol)계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올 30~70중량% 및 500~3,000의 분자량을 갖는 친수성의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폴리올 30~70중량%으로 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올과 쉽게 반응하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DI:Toluene Diisocynate),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DiphenylMethane Diisocynate)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MDI:Hexamethylene Diisocynate)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쇄연장제는, 1,4 부탄디올 및 1,6 헥산디올 성분을 적정하게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제는, 디메틸포름아미드(DMF:Dimethylformamide), 메틸에틸케톤(MEK:Methylethylketone) 및 에틸아세테이트(EA:EthylAcetate) 등의 물질 또는 이들의 배합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액안정성을 위하여 메틸에틸케톤 70~80중량% 및 디메틸포름아미드 20~30중량%으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층(12)에 사용되는 접착 물질의 점도는 5,000 ~ 25,000 CPS 정도이면 적당하고, 연화점(Softening point)은 대략 40 ~ 70℃ 정도이면 적당하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심 실링 테이프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서, 투습 기능에 의하여 의복 내부에서 발생되는 땀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내부의 땀이 심 실링 테이프의 필름층(11)을 거쳐 접착층(12)의 친수성 폴리머(2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방수 기능에 의하여 의복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이 차단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외부의 물이 심 실링 테이프의 접착층(12)과 필름층(11)에서 차단되는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심 실링 테이프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롤러(20)가 회전함에 따라 롤 형태로 감겨있는 이형지가 일정한 속도로 풀리면서 도포 수단(30)에 의하여 풀린 이형지의 한쪽 면에 폴리우레탄 접착액이 균일하게 도포됨으로써 접착층을 형성시킨다(S110). 여기서, 폴리우레탄 접착액은,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올류의 쇄연장제를 배합하여 만든 고형분 25~50중량% 및 유기용제 50~75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만들 수 있는데, 상기 폴리올은 접착 기능 및 투습 기능을 동시에 갖도록 접착성의 부탄디올계 폴리에스터 및 친수성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일정 비율로 배합하여 만들 수 있다.
이어서, 형성된 접착층을 일정한 온도 조건의 챔버(40) 내로 통과시켜서 유기용제를 휘발시키면서 건조시키게 되는데, 1차적으로는 120~140℃ 정도의 온도 조건 하에서 건조시키고, 2차적으로는 130~160℃ 정도의 온도 조건 하에서 건조시키고, 3차적으로는 120~140℃ 정도의 온도 조건 하에서 건조시킨다(S120).
마지막으로, 건조 처리된 접착층과 필름층이 합포될 수 있도록 두 개의 롤러 즉 접착층이 일정한 속도로 감겨지도록 회전하는 40~55℃의 온도로 가열된 히트롤러(22) 및 롤 형태로 감겨있는 필름층이 일정한 속도로 풀리면서 감겨지도록 회전하는 롤러(20)에 의하여 2개의 층을 합포시킴으로써 심 실링 테이프를 제조한다(S130).
이하, 실시예 등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의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적으로,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에 사용할 수 있는 투습성을 갖는 접착제를 만들기 위하여 접착성 물질의 폴리에스터폴리올, 친수성 물질의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 반응성이 높은 이소시아네이트, 연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쇄연장제 및 유기용제의 배합 비율을 조정하되 총 중량이 1,000g이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성분 폴리에스터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유기용제
중량(g) 250 - 47.4 5.6 697
표 3 과 같은 배합 비율로 접착제를 만든 결과, 다음과 같은 물성치를 얻을 수 있었다. 점도는 8,500CPS, 고형분은 30.3%, 연화점은 45℃ 이었고, 접착성이 우수하였지만 투습성은 0이었다.
[실시예 2]
성분 폴리에스터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유기용제
중량(g) 175 75 47.4 5.6 697
표 4 와 같은 배합 비율로 접착제를 만든 결과, 다음과 같은 물성치를 얻을 수 있었다. 점도는 12,000CPS, 고형분은 30.3%, 연화점은 50℃ 이었고, 접착성이 우수하였고 투습성은 1,500g/m2.24Hr이었다.
[실시예 3]
성분 폴리에스터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유기용제
중량(g) 130.83 112.14 70.1 8.43 678.5
표 5 와 같은 배합 비율로 접착제를 만든 결과, 다음과 같은 물성치를 얻을 수 있었다. 점도는 23,000CPS, 고형분은 32.15%, 연화점은 45℃ 이었고, 접착성이 우수하였고 투습성은 1,800g/m2.24Hr이었다.
[실시예 4]
성분 폴리에스터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유기용제
중량(g) 130.83 112.14 70.1 7.72 679.21
표 6 과 같은 배합 비율로 접착제를 만든 결과, 다음과 같은 물성치를 얻을 수 있었다. 점도는 25,000CPS, 고형분은 32.08%, 연화점은 55℃ 이었고, 접착성이 보통 수준이었고 투습성은 2,000g/m2.24Hr이었다.
[실시예 5]
성분 폴리에스터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유기용제
중량(g) 125 125 47.4 5.6 697
표 7 과 같은 배합 비율로 접착제를 만든 결과, 다음과 같은 물성치를 얻을 수 있었다. 점도는 15,000CPS, 고형분은 30.3%, 연화점은 55℃ 이었고, 접착성이 우수하였고 투습성은 2,000g/m2.24Hr이었다.
[실시예 6]
성분 폴리에스터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유기용제
중량(g) 125 125 33 5.6 711.4
표 8 과 같은 배합 비율로 접착제를 만든 결과, 다음과 같은 물성치를 얻을 수 있었다. 점도는 9,500CPS, 고형분은 28.86%, 연화점은 40℃ 이었고, 접착성이 보통 수준이었고 투습성은 2,800g/m2.24Hr이었다.
[실시예 7]
성분 폴리에스터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유기용제
중량(g) 100 150 47.4 5.6 697
표 9 와 같은 배합 비율로 접착제를 만든 결과, 다음과 같은 물성치를 얻을 수 있었다. 점도는 18,000CPS, 고형분은 30.3%, 연화점은 60℃ 이었고, 접착성이 보통 수준이었고 투습성은 4,000g/m2.24Hr이었다.
[실시예 8]
성분 폴리에스터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유기용제
중량(g) 125 62.5 53.72 8.4 750.38
표 10 과 같은 배합 비율로 접착제를 만든 결과, 다음과 같은 물성치를 얻을 수 있었다. 점도는 20,000CPS, 고형분은 25%, 연화점은 55℃ 이었고, 접착성이 보통 수준이었고 투습성은 800g/m2.24Hr이었다.
[실시예 9]
성분 폴리에스터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유기용제
중량(g) 75 175 47.4 5.6 697
표 11 과 같은 배합 비율로 접착제를 만든 결과, 다음과 같은 물성치를 얻을 수 있었다. 점도는 18,000CPS, 고형분은 30.3%, 연화점은 65℃ 이었고, 접착성이 우수하였고 투습성은 6,000g/m2.24Hr이었다.
[실시예 10]
성분 폴리에스터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쇄연장제 유기용제
중량(g) 75 175 47.4 7.72 694.88
표 12 와 같은 배합 비율로 접착제를 만든 결과, 다음과 같은 물성치를 얻을 수 있었다. 점도는 25,000CPS, 고형분은 30.5%, 연화점은 60℃ 이었고, 접착성이 보통 정도였고 투습성은 5,500g/m2.24Hr이었다.
상술한 실시예의 결과를 살펴볼 때,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에 사용할 수 있는 접착성과 투습성이 우수한 접착제는, 고형분 및 유기용제를 각각 25~50중량%, 50~75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만들되, 고형분은,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쇄연장제를 각각 75.5~86.8중량%, 1.8~2.6중량% 및 11.4~21.9중량%의 비율로 배합하여 만들고, 폴리올은, 부탄디올계 폴리에스터폴리올 및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을 각각 30~70중량%, 30~70중량%의 비율로 배합할 때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을 한정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하여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한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의 대안, 수정 및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복 원단의 봉제 처리된 부위에 사용하여 의복 외부에서 내부로 침투하는 물을 차단시킬 뿐만 아니라 의복 내부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쾌적한 착용감을 줄 수 있는 기능성 의복을 제작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폴리에테르 및 친수성계 폴리우레탄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투습·방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과;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올류의 쇄연장제가 배합되어 만들어진 고형분 및 유기용제가 배합되어 만들어진 투습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접착층이 합포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고형분은, 폴리올 75.5~86.8중량%, 이소시아네이트 1.8~2.6중량% 및 쇄연장제 11.4~21.9중량%의 비율로 배합되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3. 폴리에테르 및 친수성계 폴리우레탄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투습·방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층과;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디올류의 쇄연장제가 배합되어 만들어진 고형분 및 유기용제가 배합되어 만들어진 투습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접착층이 합포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접착층은, 고형분 25~50중량% 및 유기용제 50~75중량%의 비율로 배합되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부탄디올계 폴리에스터폴리올 30~70중량% 및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올 30~70중량%의 비율로 배합되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는,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배합되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쇄연장제는, 1,4 부탄디올 및 1,6 헥산디올 성분이 배합되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심 실링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이형지에 투습성을 갖되, 폴리올, 이소시아네이트 및 쇄연장제가 배합된 고형분, 및 유기용제가 배합되어 만들어진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접착층을 120~140℃, 130~160℃ 및 120~140℃ 조건 하에서 접착층을 일정한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건조시키는 단계와;
    상기 건조 처리된 접착층과 폴리에테르 및 친수성계 폴리우레탄 수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투습·방수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필름을 합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의 제조 방법.
KR1020060054978A 2006-06-19 2006-06-19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0748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978A KR100748254B1 (ko) 2006-06-19 2006-06-19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978A KR100748254B1 (ko) 2006-06-19 2006-06-19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254B1 true KR100748254B1 (ko) 2007-08-10

Family

ID=38602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978A KR100748254B1 (ko) 2006-06-19 2006-06-19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2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673B1 (ko) 2013-02-01 2013-06-12 문정환 기능성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8894B1 (ko) * 2013-05-13 2013-11-13 문정환 기능성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1877B1 (ko) 2016-02-02 2016-06-20 김미숙 무봉재 다운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다운 의류
KR20200058360A (ko) * 2017-03-27 2020-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6159A (ja) 1996-12-20 1998-06-30 Dainippon Ink & Chem Inc 形状記憶性接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04002825A (ja) 2002-04-19 2004-01-08 Mitsubishi Chem Mkv Co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製積層フィルム
KR20040090060A (ko) * 2003-04-16 2004-10-22 (주) 젠트롤 신규한 구조의 수계 폴리우레탄 합성피혁 및 그것의제조방법
KR20050006823A (ko) * 2003-07-10 2005-01-1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포장용 폴리우레탄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248097A (ja) 2004-03-08 2005-09-15 Nisshinbo Ind Inc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成形テープ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6159A (ja) 1996-12-20 1998-06-30 Dainippon Ink & Chem Inc 形状記憶性接着剤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JP2004002825A (ja) 2002-04-19 2004-01-08 Mitsubishi Chem Mkv Co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製積層フィルム
KR20040090060A (ko) * 2003-04-16 2004-10-22 (주) 젠트롤 신규한 구조의 수계 폴리우레탄 합성피혁 및 그것의제조방법
KR20050006823A (ko) * 2003-07-10 2005-01-1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포장용 폴리우레탄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5248097A (ja) 2004-03-08 2005-09-15 Nisshinbo Ind Inc 熱可塑性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成形テープ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673B1 (ko) 2013-02-01 2013-06-12 문정환 기능성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28894B1 (ko) * 2013-05-13 2013-11-13 문정환 기능성 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1877B1 (ko) 2016-02-02 2016-06-20 김미숙 무봉재 다운 의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다운 의류
KR20200058360A (ko) * 2017-03-27 2020-05-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38825B1 (ko) 2017-03-27 2021-12-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폴리 우레탄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299624B2 (en) 2017-03-27 2022-04-12 Lg Chem, Ltd. Thermoplastic polyurethane film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1312B1 (de) Laminat enthaltend folie und vlies auf der basis von thermoplastischem polyurethan
US20040058603A1 (en) Laminated tarp material
CN101333282B (zh) 防水透湿材料、薄膜及织品
CA2176233A1 (en) Water vapor permeable, air impermeable film and composite coatings and laminates
DE3227679A1 (de) Beschichteter verbundwerkstoff,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zum auskleiden von durchlaessen
KR100748254B1 (ko) 투습·방수 기능을 갖는 심 실링 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CN101415384A (zh) 医用片材基材以及使用它的医用片材
US6087463A (en) Reactive hot melt adhesive and adhesive composite sheet material
KR20200018755A (ko) 고내수성 및 투습성 신발용 갑피
KR101539034B1 (ko) 폴리우레탄계 합성수지를 이용한 투습방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 원단을 사용한 투습방수 장갑 제조방법
KR102335263B1 (ko) 균 또는 바이러스 방어용 복합적층체 및 이를 이용한 보호복
WO2000050529A1 (fr) Adhesif thermofusible reactif et son utilisation
TWI794284B (zh) 合成皮革之製造方法
JP7483602B2 (ja) 弾性膜
JP5456303B2 (ja) 植物由来成分からなるホットメルト接着シートおよびテープ
MXPA04006501A (es) Material laminado compuesto con matriz compuesta de material sintetico, metodo para su produccion y uso.
KR101272730B1 (ko) 투습 기능을 갖는 아웃도어 의류용 심실링 테이프
US11739475B2 (en) Water vapor-permeable composite material
KR101991223B1 (ko) 재생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한 심실링 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아웃도어용 의류
KR101929841B1 (ko) 투습성 및 방수성 의류용 섬유 원단
KR100710865B1 (ko) 내수압이 우수한 이중 복합 투습 방수직물의 제조방법
JP2003020574A (ja) 透湿防水性ラミネート布帛の製造方法
JPH11269450A (ja) 反応性ホットメルト接着剤および接着性複合シート材料
KR102630709B1 (ko)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기능성 의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2201042A (ja) 透湿防水性布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