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8024B1 -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 - Google Patents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8024B1
KR100748024B1 KR1020060108219A KR20060108219A KR100748024B1 KR 100748024 B1 KR100748024 B1 KR 100748024B1 KR 1020060108219 A KR1020060108219 A KR 1020060108219A KR 20060108219 A KR20060108219 A KR 20060108219A KR 100748024 B1 KR100748024 B1 KR 100748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molding rod
storage
ossuary
fami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희
전명국
Original Assignee
윤명희
전명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명희, 전명국 filed Critical 윤명희
Priority to KR102006010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묘지로 인한 국토의 잠식을 최소화하며 분산된 묘지를 한 곳에 모아 묘지의 유지관리와 성묘 및 벌초를 용이하게 하여 교통체증, 경제적 손실, 교통체증 등을 없앨 수 있을 뿐 아니라 1m이내 봉분형에 맞는 1봉 다수 매장을 위한 것으로서, 좌측과 뒤쪽에는 연결홈을 형성하면서 우측과 앞쪽에는 연결구를 형성한 보관함의 상면에는 경사 상면을 갖는 뚜껑을 기밀하게 결합하도록 하면서 저면의 네모서리에는 반구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보관함들을 내부에 보관하는 성형 봉분의 외면에 형성된 리브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흙을 덮고 잔디를 심을 수 있도록 하며 둘레에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한 상기 성형 봉분의 전면에 형성한 도어를 통하여 보관함들을 꺼내거나 넣도록 한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내부의 공간에 납골단지를 내장하는 하나씩의 보관함들을 가로와 세로로 계속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관함의 뚜껑은 습기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온도의 영향을 받지않도록 하고,
내부에 원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 납골단지가 넣어지는 상기 보관함의 바닥에는 반구형 돌출부를 네 모서리에 형성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의 보관함이 가로와 세로로 다수 연결되는 보관함들이 내부의 공간부에 안장되며 외면에 리브가 형성된 성형 봉분의 외면에는 흙으로 덮으면서 잔디를 심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성형 봉분의 측면은 보관함이 놓이는 석재의 바닥면보다 긴 연장부와 끝단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바닥면의 둘레에 형성한 걸림돌기에 상기 성형 봉분의 내측에 형성한 걸림턱이 끼워져 기밀한 상태에서 습기의 유입도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의 보관함들을 넣거나 빼기 위한 도어가 설치되는 상기 성형 봉분의 전면에는 전방 절곡부를 형성하여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바닥면에는 빗물의 배수를 위한 홈을 다수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상돌과의 사이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필요시 가이드편으로 메우면서 상기의 보관함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납골단지, 보관함, 성형 봉분, 도어, 바닥면, 상돌, 가이드편

Description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a sepulcher of ashes to re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족 납골묘의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성형 봉분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납골묘에 다수 내장되는 보관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관함에 납골단지를 보관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납골단지 2 : 보관함
7 : 뚜껑 10 : 성형 봉분
20 : 도어 21 : 바닥면
25 : 상돌 26 : 가이드편
본 발명은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좌측과 뒤쪽에는 연결홈을 형성하면서 우측과 앞쪽에는 연결구를 형성한 보관함의 상면에는 경사 상면을 갖는 뚜껑을 기밀하게 결합하도록 하면서 저면의 네모서리에는 반구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보관함들을 내부에 보관하는 성형 봉분의 외면에 형성된 리브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흙을 덮고 잔디를 심을 수 있도록 하며 둘레에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한 상기 성형 봉분의 전면에 형성한 도어를 통하여 보관함들을 꺼내거나 넣도록 한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의 나라에서 행해지는 장례 문화는 시신을 매장하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상기의 시체를 매장하는 풍습은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싹텄으며, 그 뒤 여러 가지 형태로 분묘를 만들게 되었다. 대표적인 분묘는 시신을 염한 후 관속에 넣고, 땅을 파고 하관한 후 그 위에 봉분을 쌓아 만들게 된다.
매장식 장례 문화는 고인은 물론 후손들도 시신의 훼손됨을 원치 않고 조상을 공경하는 유교와 풍수 지리 등에 따른 종교의 영향을 받아 오랜 전통적인 문화로 자리 잡아 왔다.
그러나, 매장을 선호하는 장례 문화 때문에 아직까지 화장률은 극히 낮아 묘지난 가중의 원인이 되고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매년 여의도 면적의 1.2배가 묘지로 변하고 있고, 전국의 묘지 수는 약 2천만 기로 전 국토의 1%나 차지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새로운 장례 문화로 납골당 시설을 늘리거나 화장을 통한 산골(散骨:유골을 뿌리는 장례법)로 전환하는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납골묘이다. 납골묘는 한 기의 봉분에 통 상 12~20명의 유골을 모실 수 있어 묘지보다 토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매장식 장례 문화와도 부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납골묘를 보관하기 위한 납골당은 전체적으로 넓은 면적을 차지하면서 여러가지 납골당 관련 부품이 설치 및 장착되고 있기 때문에 고비용이 소요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납골당은 납골묘를 설치하고 상기 납골묘 내부에 납골단지를 집어넣어 설치하기 때문에 납골묘의 면적이 매우 넓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납골묘 내부에 설치한 납골단지 안에는 유골을 가루로 하여 담아놓고 있어 납골묘를 유지하기 위하여 환기장치가 필요하고 설령 환기장치를 설치하더라도 환기장치의 유지 및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납골묘의 환기장치의 유지 및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좌측과 뒤쪽에는 연결홈을 형성하면서 우측과 앞쪽에는 연결구를 형성한 보관함의 상면에는 경사 상면을 갖는 뚜껑을 기밀하게 결합하도록 하면서 저면의 네모서리에는 반구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보관함들을 내부에 보관하는 성형 봉분의 외면에 형성된 리브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흙을 덮고 잔디를 심을 수 있도록 하며 둘레에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한 상기 성형 봉분의 전면에 형성한 도어를 통하여 보관함들을 꺼내거나 넣도록 한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은,
내부의 공간에 납골단지를 내장하는 하나의 보관함의 좌측과 뒤쪽에는 연결홈을 형성하면서 우측과 앞쪽에는 연결구를 형성하여 다수의 보관함들을 가로와 세로로 계속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상면이 개구된 상기 보관함의 측면 위쪽에는 지지턱을 돌출형성하여 하단의 요홈이 끼워지면서 습기의 유입이 방지되면서 온도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않도록 한 뚜껑은 전방보다 후방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하여 이름을 뚜껑에 기록할 경우 정면이나 측면에서 잘 보여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원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 납골단지가 넣어지는 상기 보관함의 바닥에는 반구형 돌출부를 네 모서리에 형성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의 보관함이 가로와 세로로 다수 연결되는 보관함들이 내부의 공간부에 안장되는 성형 봉분의 외면에는 흙으로 덮으면서 잔디를 심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성형 봉분의 외면에는 다수의 종리브와 횡리브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의 흙이 밀리지 않으면서 큰 힘에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횡리브에 형성한 물흐름 구멍을 통해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성형 봉분의 측면은 보관함이 놓이는 석재의 바닥면보다 긴 연장부와 끝단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바닥면의 둘레에 형성한 걸림돌기에 상기 성형 봉분의 내측에 형성한 걸림턱이 끼워져 기밀한 상태에서 습기의 유입도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의 보관함들을 넣거나 빼기 위한 도어가 설치되는 상기 성형 봉분의 전면에는 전방 절곡부를 형성하여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바닥면에는 빗물의 배수를 위한 홈을 다수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상돌과의 사이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필요시 가이드편으로 메우면서 상기의 보관함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좌측과 뒤쪽에는 연결홈을 형성하면서 우측과 앞쪽에는 연결구를 형성한 보관함의 상면에는 경사 상면을 갖는 뚜껑을 기밀하게 결합하도록 하면서 저면의 네모서리에는 반구형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의 보관함들을 내부에 보관하는 성형 봉분의 외면에 형성된 리브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흙을 덮고 잔디를 심을 수 있도록 하며 둘레에 빗물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한 상기 성형 봉분의 전면에 형성한 도어를 통하여 보관함들을 꺼내거나 넣도록 한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은,
내부의 공간에 납골단지를 내장하는 하나의 보관함의 좌측과 뒤쪽에는 연결홈을 형성하면서 우측과 앞쪽에는 연결구를 형성하여 다수의 보관함들을 가로와 세로로 계속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상면이 개구된 상기 보관함의 측면 위쪽에는 지지턱을 돌출형성하여 하단의 요홈이 끼워지면서 습기의 유입이 방지되면서 온도의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않도록 한 뚜껑은 전방보다 후방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하여 이름을 뚜껑에 기록할 경우 정면이나 측면에서 잘 보여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고,
내부에 원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 납골단지가 넣어지는 상기 보관함의 바닥에는 반구형 돌출부를 네 모서리에 형성하여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의 보관함이 가로와 세로로 다수 연결되는 보관함들이 내부의 공간부에 안장되는 성형 봉분의 외면에는 흙으로 덮으면서 잔디를 심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성형 봉분의 외면에는 다수의 종리브와 횡리브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의 흙이 밀리지 않으면서 큰 힘에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횡리브에 형성한 물흐름 구멍을 통해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상기 성형 봉분의 측면은 보관함이 놓이는 석재의 바닥면보다 긴 연장부와 끝단의 절곡부를 형성하여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바닥면의 둘레에 형성한 걸림돌기에 상기 성형 봉분의 내측에 형성한 걸림턱이 끼워져 기밀한 상태에서 습기의 유입도 방지되도록 하고,
상기의 보관함들을 넣거나 빼기 위한 도어가 설치되는 상기 성형 봉분의 전면에는 전방 절곡부를 형성하여 빗물이 들이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면서 바닥면에는 빗물의 배수를 위한 홈을 다수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상돌과의 사이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필요시 가이드편으로 메우면서 상기의 보관함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 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에 의하여서는 내부에 납골단지를 조관하는 보관함의 좌측과 뒤쪽에는 연결홈을 형성하면서 우측과 앞쪽에는 연결구를 형성하여 가로와 세로로 계속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의 보관함을 내부의 바닥면에 보관하는 성형 봉분의 외면에는 흙을 덮고 잔디를 심을 수 있도록 하면서 측면에는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보관함을 넣거나 빼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성형 봉분의 전면에는 상기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상돌과의 사이에 배수로를 형성하여 필요시 가이드편으로 메우면서 상기의 보관함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관리가 용이하므로 관리비 및 시설비가 80%이상 절감되며 작은 공간에 다수의 납골단지를 보관할 수 있고 보관함에 다시 공기과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2중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어 악취나 부패를 획기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의 공간(3)에 납골단지(1)를 내장하는 하나의 보관함(2)의 좌측과 뒤쪽에는 연결홈(4)을 형성하면서 우측과 앞쪽에는 연결구(5)를 형성하고,
    상면이 개구된 상기 보관함(2)의 측면 위쪽에 돌출형성한 지지턱(6)에 뚜껑(7)의 하단에 형성한 요홈(8)이 끼워지도록 하여 보관함들(2)(2a)...(2n)을 가로와 세로로 연결하도록 한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2)의 바닥에는 반구형 돌출부(9)를 네 모서리에 형성하여 가로와 세로로 다수 연결되는 보관함들(2)(2a)...(2n)이 성형 봉분(10)의 내부 바닥면(21)과 접하면서 이동가능하게 보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
  2. 삭제
  3. 보관함(2)이 가로와 세로로 다수 연결되는 보관함들(2)(2a)...(2n)이 내부의 공간부(11)에 안장되는 성형 봉분(10)의 외면에는 흙으로 덮으면서 잔디를 심을 수 있도록 한 가족 납골묘의 성형 봉분에 있어서,
    상기 성형 봉분(10)의 외면에는 다수의 종리브(12)와 횡리브(13)를 돌출되게 형성하면서 상기의 횡리브(13)에는 물흐름 구멍(14)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성형 봉분(10)의 측면은 석재의 바닥면(21)보다 긴 연장부(15)와 끝단의 절곡부(16)를 형성하고,
    상기 바닥면(21)의 둘레에 형성한 걸림돌기(22)에 상기 성형 봉분(10)의 내측에 형성한 걸림턱(17)이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의 보관함들(2)(2a)...(2n)을 넣거나 빼기 위한 도어(20)가 설치되는 상기 성형 봉분(10)의 전면 개구부(18)의 상단에는 전방 절곡부(19)를 형성하면서 상기의 바닥면(21)에는 홈(23)을 다수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의 바닥면(21)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는 상돌(25)과의 사이에는 가이드편(26)에 의해 메워지는 배수로(24)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 납골묘의 성형 봉분.
KR1020060108219A 2006-11-03 2006-11-03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 KR100748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219A KR100748024B1 (ko) 2006-11-03 2006-11-03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219A KR100748024B1 (ko) 2006-11-03 2006-11-03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024B1 true KR100748024B1 (ko) 2007-08-09

Family

ID=38602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219A KR100748024B1 (ko) 2006-11-03 2006-11-03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02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5299U (ko) * 1978-02-01 1979-08-13
KR0134967Y1 (ko) * 1996-04-23 1999-02-18 김정길 공동용 납골함
KR0125350Y1 (ko) * 1995-09-30 1999-05-01 김헌재 납골단지
KR19990017655U (ko) * 1999-02-11 1999-05-25 김정길 전통원형묘지형태의납골당
KR200172615Y1 (ko) * 1999-10-06 2000-03-15 김형섭 매립형 납골묘
KR200189934Y1 (ko) * 2000-03-02 2000-07-15 노인달 봉분식 납골당의 유골함 보관대
KR200411730Y1 (ko) * 2005-12-27 2006-03-20 오웅진 납골묘비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5299U (ko) * 1978-02-01 1979-08-13
KR0125350Y1 (ko) * 1995-09-30 1999-05-01 김헌재 납골단지
KR0134967Y1 (ko) * 1996-04-23 1999-02-18 김정길 공동용 납골함
KR19990017655U (ko) * 1999-02-11 1999-05-25 김정길 전통원형묘지형태의납골당
KR200172615Y1 (ko) * 1999-10-06 2000-03-15 김형섭 매립형 납골묘
KR200189934Y1 (ko) * 2000-03-02 2000-07-15 노인달 봉분식 납골당의 유골함 보관대
KR200411730Y1 (ko) * 2005-12-27 2006-03-20 오웅진 납골묘비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7402T3 (es) Sistema de revestimiento para tumbas.
KR100748024B1 (ko) 가족 납골묘의 납골단지 보관함과 성형 봉분
KR100740313B1 (ko)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
EP2620568A1 (en) Tombstone fitted with means for keeping live plants
KR100761485B1 (ko) 결로 방지구조를 갖는 평장형 봉안묘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CN205531618U (zh) 具有美化环境功能的墓室以及墓冠
KR200392056Y1 (ko) 납골묘
KR200433174Y1 (ko) 장식물이 배치된 납골함 안치단의 구조
KR20120138867A (ko) 친환경 평토 자연장지의 유골함 봉안실
KR200406931Y1 (ko) 유골이 흙 속에 매장된 상태로 된 납골묘
KR200200935Y1 (ko) 납골묘
KR101614269B1 (ko) 다층식 공동묘
KR20080088689A (ko) 석재 묘지 시설
KR200278391Y1 (ko) 납골묘
KR200210575Y1 (ko) 납골분묘
KR200224082Y1 (ko) 전통형태의 가족묘지와 납골 병행 안치소
KR200189920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KR200326188Y1 (ko) 복수개의 유골함을 적층하기 용이한 납골묘
KR200200954Y1 (ko) 자연환풍장치 및 배수장치가 구비된 납골묘
KR200185323Y1 (ko) 배수·환기구가 설치된 납골묘
KR100337374B1 (ko) 터널식 납골묘
KR100647129B1 (ko) 매장형 납골함
KR200430546Y1 (ko) 인물 석상을 이용한 납골함 안치대
KR100555908B1 (ko) 수목장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