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313B1 -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313B1
KR100740313B1 KR1020070016746A KR20070016746A KR100740313B1 KR 100740313 B1 KR100740313 B1 KR 100740313B1 KR 1020070016746 A KR1020070016746 A KR 1020070016746A KR 20070016746 A KR20070016746 A KR 20070016746A KR 100740313 B1 KR100740313 B1 KR 100740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anda
flower bed
planting
shelf
f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무현
Original Assignee
(주)진아건축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아건축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진아건축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016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4Hanging flower pots and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에 관한 것으로, 조경용 화초가 식재된 식재선반을 베란다의 실내에 비치하여 재배 및 관리가 용이하고 필요시 실외로 이동하여 베란다의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은, 상하 수평부 및 좌우 수직부에 의해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공동주택 베란다의 실외측에 1개소 이상 설치되는 화단 조성틀(10)과; 상기 화단 조성틀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크기이며 중앙부에 종방향의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화단 조성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부에 탄성의 실링재가 부착된 투명의 마감창(20)과; 내부에 수납부를 갖으며 상기 마감창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공동주택 베란다의 실내와 실내에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식재선반(30)과; 상기 식재선반의 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식재선반에서 배수되는 물을 집수하는 드레인판(50)과; 그 내부에 화분이 수용되거나 화초이 식재되는 상부 개방형 통 구조이며 상기 식재선반의 수납부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는 식재통(40)으로 구성된다.
공동주택, 베란다, 화단, 식재선반, 회전형 마감창

Description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A VERANDA FLOWER BEDIN OF APRATMENT HOUS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의 시공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에 적용된 식재선반의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단 조성틀, 20 : 마감창
21 : 회전축, 23 : 록커
30 : 식재선반, 33 : 배수공
40 : 식재통, 50 : 드레인판
본 발명은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베란다를 자연친화적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한 화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경용 화초를 베란다 실내와 실외에 비치하며 조경용 화초를 베란다 실내와 실외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한된 베란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조경용 화초의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과 같은 2층 이상의 공동주택에는 응접실 등과 분리되는 소정 공간의 베란다가 조성된다.
상기 베란다는 주로 거주에 필요한 소품 등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경제발전으로 인해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최근에는 베란다에 화단을 조성하거나 조경용 화초 등을 비치하여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하고 있다.
상기 베란다를 자연친화적으로 조성하는 방법으로는 일단 이상의 선반을 갖는 화분받침대를 베란다에 비치하여 상기 선반에 화분을 올려놓는 방법, 베란다 실외측에 난간을 형성하여 이 난간에 화분을 비치하는 방법, 베란다 바닥에 식생토를 깔아 화단으로 조성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 중 화분받침대를 이용하는 방법은 베란다 공간이 협소해짐에 따라 제한된 베란다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베란다 실외측의 난간에 화분을 비치하는 방법은 화분이 실외측에 자리하기 때문에 물과 양분을 공급하는 등의 관리가 어렵고 불편한 단점이 있으며, 베란다 바닥에 화단을 조성하는 방법은 초기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베란다를 이미 조성한 화단 이외의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경용 화초가 식재된 식재선반을 베란다의 실내에 비치하여 재배 및 관리가 용이하고 필요시 실외로 이동하여 베란다의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은, 조경용 화초가 식재되며 베란다의 실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란다의 실내와 실외에 자유롭게 비치되는 식재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은, 베란다(1)의 실외측 유리창(2)에 개구부(11)를 형성하는 화단 조성틀(10)과, 화단 조성틀(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며 아울러 화단 조성틀(1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투명의 마감창(20)과, 마감창(20)에 일체로 형성되어 마감창(20)과 함께 회전하면서 베란다(1)의 실내 또는 실외에 놓여지는 식재선반(30)과, 식재선반(30)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수용되며 그 내부에 화분(3)(화초(4)가 식재된 화분)이 수납되거나 화초(4)가 식재되는 식재통(40)(화초(4)가 식재되는 경우 식생토가 채워지거나 식생매트가 깔림)으로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화단 조성틀(10)은 상하 수평부(12,13) 및 좌우 수직부(14,15)에 의해 내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된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베란다(1)의 샤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화단 조성틀(10)은 베란다(1)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그 크기 또한 다양한 크기로 사용될 수 있다.
마감창(20)은 화단 조성틀(10)의 개구부(11)를 밀폐하는 크기이며 중앙부에 종방향의 회전축(21)이 형성되어, 이 회전축(21)의 상하 단부가 화단 조성틀(10)의 상하 수평부(12,1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화단 조성틀(10)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회전된다. 마감창(20)은 식재통(40)이 베란다(1)의 실내 또는 실외에 배치되도록 회전되는 것이며, 식재통(40)이 실내/외 어디에든 배치되어도 항상 개구부(11)를 막을 수 있다. 마감창(20)은 화단 조성틀(10)과의 사이를 통해 공기와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그 둘레부에 실링재(22)가 부착된다.
이러한 구조의 마감창(20)은 바람 등에 의해 회전하지 않도록 록킹수단이 더 갖추어진다. 상기 록킹수단은 마감창(20)의 둘레부(바람직하게 좌측 또는 우측)에 장착되어 화단 조성틀(10)의 우측 수직부(15)에 형성된 록킹홀(15a)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록커(23)일 수 있다. 마감창(20)이 회전되어 식재선반(30)이 실내 또는 실외에 놓여지므로 상기 록킹수단은 마감창(20)의 양면 모두에 장착된다.
식재선반(30)은 반원형(화단 조성틀(1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모든 형상이 가능함)으로 이루어져 직선부가 마감창(20)의 일면에 결합되는 바닥부(31), 바닥부(31)의 둘레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주벽(32)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납부(33)가 형성되며 마감창(20)과 함께 회전하여 식재통(40)이 공동주택 베란다(1)의 실내 또는 실내에 선택적으로 놓여지도록 한다.
식재통(40)은 그 내부에 화분(3)이 수용되거나 화초(4)가 식재되는 상부 개방형 통 구조이며 식재선반(30)의 수납부(33)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된다.
식재선반(30)과 식재통(40)은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청소가 용이하도록 화분(3)과 화초(4)가 식재되는 식재통(40)을 분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서 보이는 것처럼, 화분(3)과 화초(4)에 급수되는 물의 배수를 위하여 식재선반(30)의 바닥부에는 다수의 배수공(33)이 천공되고, 배수공(33)의 저부에는 드레인판(50)이 갖추어진다. 드레인판(50)은 식재선반(30)에 탈착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하여 식재선반(30)에는 드레인판(50)이 수납되는 수납부(34)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에 적용된 마감창(20)과 식재선반(30)이 분리 구성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식재선반(30)은 하나 이상의 행거(60)를 통해 마감창(20)에 걸려 고정된다. 행거(60)는 마감창(20)의 상단부에 끼워지도록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며 와이어(61)를 매개로 하여 식재선반(30)에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때, 식재선반(30)이 흔들리지 않도록 식재선반(30)에는 마감창(20)의 저부에 끼워지는 상부 개방형 연결홈(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공동주택 거주자는 식재선반(30) 또는 식재통(40)에 조경용 화초가 식재된 화분(3)을 수납하거나 화초(4)를 식재하여 베란다(2) 내부에 화단을 조성하고 록커(23)를 록킹홀(15a)에 끼워 마감창(20)이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베란다(2) 내부에 화단을 조성한 후 거주자는 물과 양분을 공급하여 조경용 화초를 재배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베란다(1)를 청소하거나 베란다(1) 공간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거나 우천시 식재선반(30)에 식재된 화초에 물을 공급할 경우 록커(23)를 록킹홀(15a)에서 빼낸 후 마감창(20)의 일측을 밀거나 당기면 마감창(20)의 회전축(21)의 안내를 받아 마감창(20)과 식재선반(30)이 회전하여 베란다(1) 실외로 이동하게 되며, 마감창(20)의 록커를 록킹홀(15a)에 끼워 식재선반(30)을 고정한다. 따라서, 식재선반(30)이 베란다(1) 실내에서 실외공간을 이동하여 베란다(1)의 청소가 용이하고 베란다(1) 내부를 화단 조성용 이외의 다른 용도(수납 등)로 사용할 수 있으며, 우천시 식재선반(30)에 수용된 조경용 화초에 빗물을 공급할 수 있다.
식재선반(30)이 베란다(1) 실내와 실외에 배치될 때 항상 마감창(20)이 화단 조성틀(10)의 개구부(11)를 폐쇄하기 때문에 거주자가 원하지 않는 실외 공기(먼지)가 실내에 유입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에 의하면, 베란다 실내 공간에 조경용 화단을 조성하여 거주의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화단을 베란다의 실내와 실내의 어느 곳에도 자유롭게 비치할 수 있고, 또한 필요시 베란다 실내의 화단을 베란다 실외로 이동하여 베란다 실내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상하 수평부 및 좌우 수직부에 의해 내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지며 공동주택 베란다의 실외측에 1개소 이상 설치되는 화단 조성틀과;
    상기 화단 조성틀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크기이며 중앙부에 종방향의 회전축이 형성되어 상기 화단 조성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둘레부에 탄성의 실링재가 부착된 투명의 마감창과;
    상기 마감창의 둘레부에 장착되며 상기 화단 조성틀에 형성된 록킹홀에 끼워져 상기 마감창을 록킹하는 록커와;
    반원형으로 이루어져 직선부가 상기 투명의 마감창에 접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둘레부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는 주벽으로 구성되어 내부에 수납부를 갖으며 상기 마감창과 함께 회전하여 상기 공동주택 베란다의 실내와 실내에 선택적으로 놓여지는 식재선반과;
    상기 식재선반의 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식재선반에서 배수되는 물을 집수하는 드레인판과;
    그 내부에 화분이 수용되거나 화초이 식재되는 상부 개방형 통 구조이며 상기 식재선반의 수납부에 분리 가능하게 수납되는 식재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재선반은 상기 마감창과 분리 형성되며, 상기 식 재선반은 상기 마감창의 상부에 걸리는 행거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마감창에 걸려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
KR1020070016746A 2007-02-16 2007-02-16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 KR100740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746A KR100740313B1 (ko) 2007-02-16 2007-02-16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746A KR100740313B1 (ko) 2007-02-16 2007-02-16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0313B1 true KR100740313B1 (ko) 2007-07-18

Family

ID=3849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746A KR100740313B1 (ko) 2007-02-16 2007-02-16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3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388B1 (ko) * 2013-08-27 2015-09-30 (주)대우건설 여닫이 복합창호
CN107288237A (zh) * 2017-08-27 2017-10-24 李红星 一种房屋建筑绿化结构
CN107288238A (zh) * 2017-08-27 2017-10-24 李红星 一种房屋绿化施工方法
CN115176626A (zh) * 2022-08-26 2022-10-14 苍南县设计研究院 一种市政生态立体绿化系统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1Y1 (ko) * 2000-04-27 2000-10-16 윤진영 화분
KR20010000009U (ko) * 1999-06-01 2001-01-05 윤진영 벽면설치용 다단화분
KR200264603Y1 (ko) * 2001-06-22 2002-02-16 이정휘 아파드 베란다 설치용 화분 및 보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009U (ko) * 1999-06-01 2001-01-05 윤진영 벽면설치용 다단화분
KR200200911Y1 (ko) * 2000-04-27 2000-10-16 윤진영 화분
KR200264603Y1 (ko) * 2001-06-22 2002-02-16 이정휘 아파드 베란다 설치용 화분 및 보온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6388B1 (ko) * 2013-08-27 2015-09-30 (주)대우건설 여닫이 복합창호
CN107288237A (zh) * 2017-08-27 2017-10-24 李红星 一种房屋建筑绿化结构
CN107288238A (zh) * 2017-08-27 2017-10-24 李红星 一种房屋绿化施工方法
CN107288238B (zh) * 2017-08-27 2019-04-19 深圳市夺天工环境建设有限公司 一种房屋绿化施工方法
CN115176626A (zh) * 2022-08-26 2022-10-14 苍南县设计研究院 一种市政生态立体绿化系统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614B1 (ko) 벽면식재장치
US6385899B1 (en) Decorative plant stand with integrated drainage and rotation features
KR101105543B1 (ko)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KR100740313B1 (ko)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
TWI578899B (zh) 多段疊層用之裝飾盆單元
CN201422286Y (zh) 保湿保肥花盆
KR101345525B1 (ko) 입체 녹화용 식물 재배 용기 및 이를 이용한 입체 녹화 시스템
KR102271415B1 (ko)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 정화장치
KR101070331B1 (ko) 식물의 식재가 가능한 거실장
CN203243736U (zh) 可清淤泥的防涝保湿花盆
CN205284348U (zh) 墙体绿化系统
CN209420432U (zh) 一种倒挂种植器
JP2009165400A (ja) 植栽用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る緑化用植栽ユニット及びそのシステム
KR200474047Y1 (ko) 조경용 식생 담장
CN208293745U (zh) 一种一体式种植阳台
RU76774U1 (ru) Мхово-торфяной блок (варианты) и гидроп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на их основе
KR101947706B1 (ko)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화분
KR200288830Y1 (ko) 실내 및 건물 외벽에 설치하는 다용도 분식물(盆植物) 무배수 용기
JP2005110515A (ja) 棚式屋上緑化設備
JP3932435B2 (ja) 吊下げかん水プランター
EP3784023A1 (en) Floral architecture
KR20010044752A (ko) 점적식 거리미화용 화분
CN213881045U (zh) 直栽式带活动污水箱花架
CN211406977U (zh) 一种园林绿化隔离墙块
KR20160061928A (ko) 실내 다랑이텃밭 설치 건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