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047Y1 - 조경용 식생 담장 - Google Patents

조경용 식생 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047Y1
KR200474047Y1 KR2020120010304U KR20120010304U KR200474047Y1 KR 200474047 Y1 KR200474047 Y1 KR 200474047Y1 KR 2020120010304 U KR2020120010304 U KR 2020120010304U KR 20120010304 U KR20120010304 U KR 20120010304U KR 200474047 Y1 KR200474047 Y1 KR 2004740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wall
stopper
side wall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3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976U (ko
Inventor
장한두
정동훈
한균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200103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04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9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9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0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0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8Multi-compartmented po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경용 식생 담장에 관한 것으로써, 계절 등에 따라 식물을 재배하는 식재함을 회전시켜 담장의 청결함과 통일감을 유지하며 계절에 따른 변화의 기능을 갖는 조경용 식생 담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조경용 식생 담장은, 상부에 식재공간부가 형성된 벽체와; 상기 식재공간부에 삽입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 형성되어 식물이 수용되는 식재함과; 상기 식재함을 상기 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식재함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식재함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면 또는 하면이 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경용 식생 담장 { VEGETATION FENCE FOR LANDSCAPE ARCHITECTURE }
본 고안은 조경용 식생 담장에 관한 것으로써, 계절 등에 따라 식물을 재배하는 식재함을 회전시켜 담장의 청결함과 통일감을 유지하며 계절에 따른 변화의 기능을 갖는 조경용 식생 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에서는 영역과 경계를 구분 짓고, 외부로부터의 출입과 침입을 통제해 안전한 주거환경을 꾀하기 위해 담장을 설치한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담장은 그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콘크리트 혹은 벽돌 등 강한 재료를 이용하여 설치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러한 육중한 담장이 주는 위압감과 지나친 도시화로 인한 삭막함에 반대하면서 도시경관과 미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친환경적인 삶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담장에 식물 등을 재배해 자연미를 느끼고자 하는 시도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무작정 담장에 식물을 심어 재배할 경우, 무분별한 식재로 인해 미적 통일성이 저해될 수 있으며, 식재를 하지 않을 시에는 담장의 미관과 청결상태가 오히려 불결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5591호 2. 등록특허공보 제10-0523340호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식물을 재배하는 식재함이 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계절 등에 따라 식재함을 회전시켜 식물을 재배하거나 담장과 동일한 모습을 유지하여, 담장의 청결함과 통일감을 유지하며 계절에 따른 변화의 기능을 갖는 조경용 식생 담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조경용 식생 담장은, 상부에 식재공간부가 형성된 벽체와; 상기 식재공간부에 삽입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 형성되어 식물이 수용되는 식재함과; 상기 식재함을 상기 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식재함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식재함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면 또는 하면이 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재함은, 개방된 상면이 상방향으로 배치되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회전에 의해 하면이 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식재공간부를 폐쇄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식재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식재함을 상기 벽체에 연결하여 상기 식재함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상기 식재함은 측벽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걸림돌기가 상기 측벽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측벽 또는 상기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함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식재함의 회전시 상기 측벽 또는 상기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벽체에 지지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걸림부의 하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측벽의 상부 또는 상기 걸림돌기를 덮어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벽체의 상면에 접하여 지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경용 식생 담장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담장이 도시환경의 일부로서 친환경적인 주거환경을 조성하고 경사지 주택의 경관을 쾌적하게 할 뿐만 아니라 식물 재배가 가능하면서도 미적 통일감과 청결함을 잃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식생 담장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식생 담장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함에 식물을 재배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함을 회전시켜 식재공간부를 폐쇄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식생 담장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식생 담장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함에 식물을 재배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식재함을 회전시켜 식재공간부를 폐쇄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조경용 식생 담장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0)와, 식재함(20)과, 회전축(30)과, 스토퍼(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10)는 담장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상부에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식재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재함(2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식재공간부(11)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식재함(20)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식재함(20)은 상면이 개방 형성되어, 식물이 수용되어 재배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식재함(20)은 측벽(2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21)의 하부에는 하면(22)에 형성되어 상기 식재함(20)의 측방향과 하방향을 폐쇄한다.
또한, 상기 식재함(20)의 하면(22)에는 상기 측벽(21)의 반대방향으로 걸림돌기(2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30)은 상기 식재함(20)을 상기 벽체(10) 자세하게는 상기 식재공간부(1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회전축(30)은 양단이 상기 벽체(10)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식재함(20)이 상기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식재함(20)은 상기 식재공간부(11)에 삽입 배치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식재함(20)의 단면 크기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공간부(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상기 식재함(20)의 측벽(21)은 상기 식재공간부(11)를 형성하는 상기 벽체(10)와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식재함(20)은 상기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기 식재공간부(11)의 내부에서 상기 벽체(10)에 간섭없이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은 상기 식재함(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상면이 상방향으로 배치되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 회전에 의해 하면(22)이 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식재공간부(11)를 폐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식재함(20)의 하면(22)에는 상기 벽체(10)의 무늬와 동일한 무늬가 형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함(20)의 하면(22)이 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식재공간부(11)를 폐쇄하였을 때, 담장의 청결함과 벽체(10)와의 통일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식재함(20)이 상기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식재함(20)은 상기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된 후 상기 스토퍼(40)에 의해 그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식재함(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40)에 의해 상면 또는 하면이 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측벽(21) 또는 상기 걸림돌기(23)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함(2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40)는 걸림부(41)와 지지부(43)로 이루어져, 상기 식재함(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식재함(20)을 상기 벽체(10)에 연결하여 상기 식재함(20)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상기 걸림부(41)는 상기 식재함(20)의 회전시 상기 측벽(21) 또는 상기 걸림돌기(23)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곳으로써, 상기 걸림부(41)의 하면(22)에는 걸림홈(42)이 형성되어 상기 측벽(21)의 상부 또는 상기 걸림돌기(23)를 덮어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43)는 상기 걸림부(41)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벽체(10)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43)는 상기 벽체(10)의 상면에 접하여 지지됨으로써, 상기 식재함(20)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스토퍼(40)는 상술한 구조 이외에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식재함(20)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봄,여름, 가을 등의 계절에 상기 식재함(20)에 식물을 심어 재배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함(20)의 개방된 상면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 후 상기 식재함(20)에 식물을 심어 재배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식재함(20)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식재함(20)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걸림홈(42)이 상기 식재함(20)의 측벽(21)을 덮어 상기 걸림부(41)가 상기 식재함(20)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43)는 상기 벽체(10)의 상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식재함(20)이 상기 스토퍼(40)에 의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겨울 등의 계절이나 식물을 재배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식재함(20)을 180도 회전시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함(20)의 폐쇄된 하면(22)이 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식재함(20)의 하면(22) 양측에 형성된 상기 걸림돌기(23)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함(20)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식재함(20)과 벽체(10) 사이의 공간을 덮고 있어, 그 사이로 쓰레기, 낙엽 등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담장의 청결함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식재함(20)이 회전되어 상기 식재공간부(11)를 폐쇄함으로써, 담장의 청결함을 유지시킬 수 있고, 상기 식재함(20)의 하면(22)에 형성된 무늬와 상기 벽체(10)의 무늬가 동일하여 전체적으로 통일감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40)도 상기 벽체(10)의 무늬와 동일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인 조경용 식생 담장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벽체, 11 : 식재공간부, 20 : 식재함, 21 : 측벽, 22 : 하면, 23 : 걸림돌기, 30 : 회전축, 40 : 스토퍼, 41 : 걸림부, 42 : 걸림홈, 43 : 지지부,

Claims (6)

  1. 상부에 식재공간부가 형성된 벽체와;
    상기 식재공간부에 삽입 배치되고, 상면이 개방 형성되어 식물이 수용되는 식재함과;
    상기 식재함을 상기 벽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식재함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정지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식재함은 상기 스토퍼에 의해 상면 또는 하면이 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식생 담장.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식재함은, 개방된 상면이 상방향으로 배치되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회전에 의해 하면이 상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식재공간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식생 담장.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식재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식재함을 상기 벽체에 연결하여 상기 식재함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식생 담장.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식재함은 측벽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걸림돌기가 상기 측벽의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되,
    상기 스토퍼는 상기 측벽 또는 상기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식재함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식생 담장.
  5.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식재함의 회전시 상기 측벽 또는 상기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벽체에 지지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식생 담장.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하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측벽의 상부 또는 상기 걸림돌기를 덮어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벽체의 상면에 접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식생 담장.
KR2020120010304U 2012-11-12 2012-11-12 조경용 식생 담장 KR2004740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304U KR200474047Y1 (ko) 2012-11-12 2012-11-12 조경용 식생 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304U KR200474047Y1 (ko) 2012-11-12 2012-11-12 조경용 식생 담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76U KR20140002976U (ko) 2014-05-21
KR200474047Y1 true KR200474047Y1 (ko) 2014-08-19

Family

ID=5198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304U KR200474047Y1 (ko) 2012-11-12 2012-11-12 조경용 식생 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0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824A (ko) 2019-09-02 2021-03-10 윤희남 화단겸용담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138B1 (ko) * 2020-01-14 2020-08-28 홍민화 조경시설 설치방법
KR102350851B1 (ko) * 2021-09-16 2022-01-13 트리폴건설(주) 물저장트레이 및 그것을 구비한 트램궤도 수평면 및 경사면 식생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734Y1 (ko) 2004-04-26 2004-07-19 강동화 각도 조정이 가능한 화분대
KR100523340B1 (ko) 2005-03-05 2005-10-24 (주)다산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
KR101035461B1 (ko) 2008-09-10 2011-05-18 김철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734Y1 (ko) 2004-04-26 2004-07-19 강동화 각도 조정이 가능한 화분대
KR100523340B1 (ko) 2005-03-05 2005-10-24 (주)다산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
KR101035461B1 (ko) 2008-09-10 2011-05-18 김철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6824A (ko) 2019-09-02 2021-03-10 윤희남 화단겸용담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76U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6549B2 (ja) 建物緑化構造体
AU2015100015A4 (en) Modular Garden Planter
KR200474047Y1 (ko) 조경용 식생 담장
KR20140055677A (ko) 다단 적층형 입체 녹화 식생 자원 재배 용기의 틸팅 장치
AU2015224399A1 (en) Terrarium
KR101783024B1 (ko) 벽면 다육식물 전시장치
KR200471719Y1 (ko) 공기층을 갖는 식물 재배 이중 용기
US20130042528A1 (en) Tree surround decorative planter pot
JP2018110535A (ja) 栽培装置
KR100740313B1 (ko)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
JP2011097883A (ja) 立面緑化パネルユニット
JP2005068713A (ja) 壁面緑化構造
CN110306599B (zh) 一种园林景观绿化带内的多功能观赏性井盖结构
JP3157945U (ja) 緑化パネル
KR20220057992A (ko) 테라리움용 전용 용기
JP2009291098A (ja) 緑化用ルーバー
JP2002138571A (ja) 住宅の緑化構造
JP4226296B2 (ja) ビルの屋上等に設置される緑化用容器
KR20100012861U (ko) 조립식 미니텃밭
JP2001186816A (ja) 花卉ハンギングバッグおよび花卉ハンギングセット。
JP6528025B1 (ja) 植栽容器カバー
CN209030710U (zh) 一种园林植被种植装置
CN109328727B (zh) 一种绿色节能房屋结构及其施工方法
CN206620552U (zh) 花盆和立体花架
IE86759B1 (en) An integrated recessed drainage and manhole inspection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