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3340B1 -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3340B1
KR100523340B1 KR1020050018414A KR20050018414A KR100523340B1 KR 100523340 B1 KR100523340 B1 KR 100523340B1 KR 1020050018414 A KR1020050018414 A KR 1020050018414A KR 20050018414 A KR20050018414 A KR 20050018414A KR 100523340 B1 KR100523340 B1 KR 100523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dscaping
vegetation
fence
pai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영
Original Assignee
(주)다산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산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다산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18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3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0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building blocks, e.g. from concrete or sto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간의 부지경계를 위해 시공되는 담장에 식생공간을 형성하여 조경식물을 식재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즉, 조경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내측에 식재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벽에 제1 통공과 제1 체결공이 일체로 형성되어 부지경계를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조경블록과,
상기 등간격으로 설치된 조경블록과 조경블록사이에 볼트 체결되어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생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식생박스는 서로 대칭을 이루어 토사를 채울 수 있도록 소정간격 이격되고, 양단부에 단턱이 형성된 한쌍의 판넬과,
상기 한쌍의 판넬양측에 연결되도록 전/후단부에 상기 단턱과 걸림을 이루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 통공과 제2 체결공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체결구가 구비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MOUNT STRUCTURE OF FENCE FOR LANDSCAPE ARCHITECTURE OF APPARTMENT HOUSE }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과 건물의 부지경계를 위해 시공되는 담장에 별도의 식생공간을 형성하여 각종 식물을 식재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담장의 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삭막한 도시환경에서 탈피하여 환경 친화적이면서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을 지은 후에는 부지경계선을 구분하기 위해 담장을 설치하며, 이와 같은 담장에 미감을 부여하기 위해 다양한 문양의 그림등을 표현해 놓는다.
특히, 가정 또는 공공장소(공원,운동장)등지에서는 환경 친화적이면서도 자연미를 느낄 수 있도록 꾸미려는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는 더 이상 자연을 접하기가 쉽지 않게 되면서 이러한 욕구는 더욱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으로는 공원 등지의 대단위 친환경적인 조경사업 및 각 개인가정의 실내, 외에서 자연친화적인 인테리어 등에서 엿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담장구조는 설치함에 있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 담장은 단순 콘크리트블록 또는 적색 및 황토색 등과 같은 색상을 갖는 블록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집안이 보이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삭막한 도시미관을 조성하여 외부인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과 건물의 부지경계를 위해 시공되는 담장에 별도의 식생공간을 형성하여 각종 식물을 식재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담장의 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삭막한 도시환경에서 탈피하여 환경 친화적이면서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경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조경블록과 식생박스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물공급호스를 삽입/관통시킴으로써, 조경용 식생담장의 길이에 관계없이 조경식물에 용이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즉, 조경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내측에 식재공간이 형성되고, 양측벽에 제1 통공과 제1 체결공이 일체로 형성되어 부지경계를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조경블록과,
상기 등간격으로 설치된 조경블록과 조경블록사이에 볼트 체결되어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식생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식생박스는 서로 대칭을 이루어 토사를 채울 수 있도록 소정간격 이격되고, 양단부에 단턱이 형성된 한쌍의 판넬과,
상기 한쌍의 판넬양측에 연결되도록 전/후단부에 상기 단턱과 걸림을 이루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제2 통공과 제2 체결공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체결구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를 나타낸 제작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를 나타낸 설치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는 조경블록(10)과 식생박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경블록(10)은 건물과 건물간에 부지경계를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조경블록(10)은 내측에 조경식물을 식재할 수 있는 식재공간(11)이 형성되고, 양측벽에는 높이를 달리하는 제1 통공(13)과 제2 체결공(27)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식생박스(20)는 등간격으로 설치된 조경블록(10)과 조경블록(10)사이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식생박스(20)는 한쌍의 판넬(21)과 한쌍의 체결구(24)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쌍의 판넬(21)은 그 양단부에 단턱이 형성되며, 서로 대칭을 이루어 토사를 채울 수 있을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판넬(21)은 외부로 돌출되는 바깥측면에 벽돌문양이 양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구(24)는 그 전/후 단부에 상기 한쌍의 판넬(21) 단턱(22)과 걸림을 이룰 수 있도록 절곡부(25)가 형성되고, 그 내측벽에는 상기 제1 통공(13) 및 제1 체결공(15)과 동일한 높이를 갖는 제2 통공(26) 및 제2 체결공(2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통공(13)과 제2 통공(26)에는 외주면에 다수개의 관통공(32)이 형성된 물공급호스(30)를 삽입/관통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물공급호스(30)에 의해 조경블록(10)과 식생박스(20)에서 식생하는 식물에 용이하게 물을 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체결공(15)과 제2 체결공(27)에는 볼트를 삽입/관통시켜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조경블록(10)과 식생박스(20)가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는 건물과 건물간의 경계선을 나타내기 위해 설치되는 담장에 별도의 식생공간을 형성하여 쾌적한 주거환경을 이룰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사용관계 및 그에 따른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생담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건물간의 경계부위에 조경블록(10)을 등간격으로 설치한 후, 상기 등간격으로 설치된 조경블록(10)사이에 식생박스(2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조경블록(10)의 제1 체결공(15)과 식생박스(20)의 제2 체결공(27)에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 체결함으로써, 상기 조경블록(10)과 식생박스(20)가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통공(13)과 제2 통공(26)에는 물공급호스(30)를 삽입/관통시킨다. 이후, 상기 조경블록(10)의 식재공간(11)과 식생박스(20)의 내측에 토사를 채운 후 조경식물을 심어주어, 담장 본연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호스(30)를 이용하여 물간의 경계부위에 설치된 조경블록(10)과 식생박스(20)에 동시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건물과 건물의 부지경계를 위해 시공되는 담장에 별도의 식생공간을 형성하여 각종 식물을 식재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담장의 미관을 미려하게 함과 동시에 삭막한 도시환경에서 탈피하여 환경 친화적이면서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경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조경블록과 식생박스에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물공급호스를 삽입/관통시킴으로써, 조경용 식생담장의 길이에 관계없이 조경식물에 용이하게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를 나타낸 제작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를 나타낸 설치상태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조경블록 11 : 식재공간
20 ; 식생박스 21 : 판넬
24 : 체결구 30 : 물공급호스
32 : 관통공

Claims (3)

  1. 직사각형 형태로 길이방향 및 폭 방향으로 다수개의 판넬이 형성되고, 그 판넬이 조립된 식생 박스의 길이방향으로 물공급 호스가 관통되며, 그 식생 박스의 내부에 토사가 적재되어 꽃, 나무 등이 식재되는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식생 박스(20)가 등간격으로 설치된 사이에 조경 블록(10)이 볼트 체결되는 한편,
    상기 조경 블록(10)은, 조경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내측에 식재 공간(11)이 형성되고, 양측벽에 제1 통공(13)과 제1 체결공(15)이 일체로 형성되어 부지경계를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식생박스(20)는 서로 대칭을 이루어 토사를 채울 수 있도록 소정간격 이격되고, 양단부에 단턱(22)이 형성된 한쌍의 판넬(21)과,
    상기 한쌍의 판넬(21) 양측에 연결되도록 전/후단부에 상기 단턱(22)과 걸림을 이루는 절곡부(25)가 형성되고, 내측벽에 제2 통공(26)과 제2 체결공(27)이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체결구(24)로 구성되며,
    상기 물공급 호스(30)는, 다수개의 관통공(32)이 형성되고,
    상기 판넬(21)은 외부로 돌출되는 바깥측면에 벽돌문양이 양각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050018414A 2005-03-05 2005-03-05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 KR100523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414A KR100523340B1 (ko) 2005-03-05 2005-03-05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414A KR100523340B1 (ko) 2005-03-05 2005-03-05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3340B1 true KR100523340B1 (ko) 2005-10-24

Family

ID=37305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414A KR100523340B1 (ko) 2005-03-05 2005-03-05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3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680B1 (ko) * 2006-08-14 2007-03-16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에 설치하는 조경 식생 담장구조
KR200474047Y1 (ko) 2012-11-12 2014-08-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조경용 식생 담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680B1 (ko) * 2006-08-14 2007-03-16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건축단지에 설치하는 조경 식생 담장구조
KR200474047Y1 (ko) 2012-11-12 2014-08-1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조경용 식생 담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461B1 (ko) 식재 기능을 갖는 조경용 조립식 담장
US9901036B2 (en) Versatile eco-friendly planting block
KR100523340B1 (ko) 공동주택의 조경용 식생담장 설치구조
KR200353491Y1 (ko) 조립식 화단
KR20100086150A (ko) 파일 결속형 식생대
KR100943222B1 (ko) 시스템 식재형 옹벽블록 및 그 축조방법
KR20140019517A (ko) 친환경 블록 패널형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79089B1 (ko) 건축단지용 가변 조립식 화단
KR102317257B1 (ko) 동굴이 있는 인공산
KR20110017614A (ko) 식물 식생이 가능한 자연석 첩석 쌓기 공법 및 이를 이용한 옹벽
KR101071082B1 (ko) 돌담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647838B1 (ko) 건축물 또는 건축단지의 조경 식생담장구조
KR100520888B1 (ko) 공동주택의 조립식 조경울타리 설치구조
KR100851822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건물 외벽용 화분
KR100603920B1 (ko) 화분일체식 방음벽형 옹벽
KR100619528B1 (ko) 건축단지용 조립식화단
KR100467089B1 (ko) 건축용 조립식 옹벽블록 설치구조
KR100695680B1 (ko) 건축단지에 설치하는 조경 식생 담장구조
KR20100045161A (ko) 조립식 화분
KR100685705B1 (ko) 건축물 비탈면 옹벽
KR101041683B1 (ko) 옹벽용 식생 축조블록
KR100505996B1 (ko) 건축용 법면보호시설
KR101822473B1 (ko) 식재면적이 넓은 친환경 잔디블록
KR100675520B1 (ko) 건축단지 내 비탈면 토사유실 방지구조물
KR101046401B1 (ko) 환경친화형 옹벽용 콘크리트 식생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