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706B1 -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화분 - Google Patents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화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7706B1 KR101947706B1 KR1020180080294A KR20180080294A KR101947706B1 KR 101947706 B1 KR101947706 B1 KR 101947706B1 KR 1020180080294 A KR1020180080294 A KR 1020180080294A KR 20180080294 A KR20180080294 A KR 20180080294A KR 101947706 B1 KR101947706 B1 KR 1019477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storage space
- water storage
- drain hole
- vertic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의 수분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식물의 성장에 적당한 환경을 조성하여 식물을 잘 기를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판상으로 되어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방되는 배수공(110)이 형성된 바닥부(100); 상기 바닥부(100)의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입설되는 4개의 측면부(200); 상기 바닥부(100)의 배수공(110)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수공(110) 외측 둘레부를 물저장공간(300)으로 구획하는 격벽(120); 수직부(410)와, 상기 수직부(410)의 하단에서 수평연장되어 단부가 개방된 수평부(420)를 포함하도록 아크릴관으로 제조되어, 상기 수평부(420)가 상기 물저장공간(300)과 연통되도록 상기 측면부(200) 중의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수위표시관(400);을 포함한다.
사각판상으로 되어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방되는 배수공(110)이 형성된 바닥부(100); 상기 바닥부(100)의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입설되는 4개의 측면부(200); 상기 바닥부(100)의 배수공(110)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수공(110) 외측 둘레부를 물저장공간(300)으로 구획하는 격벽(120); 수직부(410)와, 상기 수직부(410)의 하단에서 수평연장되어 단부가 개방된 수평부(420)를 포함하도록 아크릴관으로 제조되어, 상기 수평부(420)가 상기 물저장공간(300)과 연통되도록 상기 측면부(200) 중의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수위표시관(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친환경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화분의 수분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되어, 화분에 식재된 식물에 물을 주면 물의 일부는 화분에 담아진 흙에 흡수되고 일부는 배수공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식물을 재배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수분관리인데, 물이 너무 과하거나 또는 물이 부족하여도 식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죽게 된다. 그런데 사람들이 화분 내부의 수분상태를 확인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화분의 물관리가 상당히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화분의 수분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식물의 성장에 적당한 환경을 조성하여 식물을 잘 기를 수 있으며, 특히,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에도 식물이 고사되지 않도록 수분관리를 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사각판상으로 되어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방되는 배수공(110)이 형성된 바닥부(100); 상기 바닥부(100)의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입설되는 4개의 측면부(200); 상기 바닥부(100)의 배수공(110)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수공(110) 외측 둘레부를 물저장공간(300)으로 구획하는 격벽(120); 수직부(410)와, 상기 수직부(410)의 하단에서 수평연장되어 단부가 개방된 수평부(420)를 포함하도록 아크릴관으로 제조되어, 상기 수평부(420)가 상기 물저장공간(300)과 연통되도록 상기 측면부(200) 중의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수위표시관(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화분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면부(200) 중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수위표시관(400)의 수평부(420)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관통공(210)과, 상기 관통공(210)과 연결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수위표시관(400)의 수직부(410)가 삽입되는 삽입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420)의 단부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절곡단부(43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단부(430)에는 스펀지로 된 필터(432)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부(410)의 양측에는 힌지축(4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20)에는 상기 힌지축(412)이 끼워지는 힌지공(202)이 형성되어, 상기 수위표시관(400)은 상기 힌지축(412)에 의해 수직부(410)가 측면부(200)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물저장공간(300)에는 망체로 되어 상기 수평부(420) 둘레에 흙이 채워지지 않도록 커버하는 보호망체(230)가 구비되어, 상기 보호망체(230)에 의해 상기 수평부(420)가 상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며,
상기 수직부(410)의 상단은 개방되어, 상기 수직부(410)의 상단을 통해 상기 물저장공간(3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바닥부(100)에는 물저장공간(300)과 연통되는 보조배수공(13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00) 하측에는 상기 보조배수공(130)을 개폐시키는 개폐도어(140)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배수공(130)을 통해 상기 물저장공간(300)의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화분 내부에 물저장공간이 형성되고 물저장공간의 수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수위표시관이 구비되어 사용자가 화분 내부의 수분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수분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식물을 잘 키울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수위표시관을 통해 물저장공간에 물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저면관수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는데, 특히,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에 수위표시관에 수도호스 등을 연결하여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되도록 하면 집을 비우는 동안 식물이 고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점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물저장공간의 물을 배출하기 위한 보조배수공이 형성되면, 물저장공간의 화분 내부의 수분 상태를 좀 더 긴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한층 더 수월하게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에서 보조배수공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에서 보조배수공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들이고, 도 4는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사각판상으로 되어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배수공(110)이 형성된 바닥부(100)와, 상기 바닥부(100)의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입설되는 4개의 측면부(200)와, 상기 바닥부(100)의 배수공(110)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수공(110) 외측 둘레부를 물저장공간(300)으로 구획하는 하단격벽(120), 투명 아크릴관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물저장공간(300)과 연통되도록 상기 측면부(200) 중의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수위표시관(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부(100)는 사각형상을 가지며, 중앙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배수공(110)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200)는 상기 바닥부(100)의 전후좌우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입설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바닥부(100)와 측면부(200)에 의해 상향으로 개방된 사각통체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바닥부(100)와 측면부(200)는 폐플라스틱으로 성형되어, 조립식으로 끼움결합된다. 이와 같이 바닥부(100)와 측면부(200)가 폐플라스틱으로 성형되면, 폐기되는 자원을 재활용하는 것이므로 자원 재활용성이 향상되고,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00)의 배수공(110) 둘레부에는 소정 높이를 가지는 격벽(120)이 상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이 격벽(120)은 바닥부(10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바닥부(100)와 별체로 형성되어 바닥부(100)에 끼움결합 또는 접착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격벽(120)에 의해 상기 배수공(110)의 둘레부에는 물저장공간(300)이 형성된다. 이 물저장공간(3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화분에 물을 주면 물의 일부가 고여서 저장되는 공간이다.
한편, 상기 측면부(200) 중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물저장공간(300)과 연통되는 수위표시관(400)이 결합된다.
상기 수위표시관(400)은 수직부(410)와, 수직부(410)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20)를 포함하는 투명 아크릴관으로 이루어지는데, 수직부(410)의 상단은 개방되거나 또는 폐쇄되어도 무관하나 수평부(420)의 단부는 개방되어 수위표시관(400) 내부로 물이 유입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200)중의 어느 하나에는 수위표시관(400)의 수평부(420)가 끼워지도록 수평으로 관통된 관통공(2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위표시관(400)은 수평부(420)가 상기 관통공(210)을 통해 물저장공간(300)에 위치되도록 측면부(200)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표시관(400)의 수평부(420) 단부에는 상향으로 다소 돌출된 절곡단부(430)가 형성되고, 이 절곡단부(430)에는 스펀지로 이루어진 필터(432)가 끼워진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위표시관(400) 내부로 흙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표시관(400)의 수직부(410)가 측면부(20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측면부(200)에는 상기 관통공(210)과 연결되어 수위표시관(400)의 수직부(410)가 삽입되는 삽입홈(22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분에 흙을 채우고, 식물을 심는다. 흙이 물저장공간(300)으로 유입되더라도 상기 수위표시관(400)의 절곡단부(430)에 끼워진 필터(432)에 의해 수위표시관(400) 내부에는 흙이 유입되지 않는다.
식물을 심은 다음, 식물에 물을 주는데, 물의 일부는 흙을 통과하여 배수공(110)으로 배출되고, 나머지 물은 흙을 통과하여 물저장공간(300)에 고여서 저장된다. 물저장공간(300)에 저장된 물은 삼투압현상에 의해 흙에 흡수되어 식물에 물이 공급된다.
한편, 물저장공간(300)에 물이 고임에 따라 수위표시관(400) 내부에도 물이 유입되어, 물저장공간(300)의 수위가 수위표시관(400)의 수직부(410)에 그대로 표시된다. 그리고 물저장공간(300)의 물이 식물의 뿌리에 흡수되어 물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수위표시관(400)의 수위도 낮아지므로 사용자는 수위표시관(400)의 수위를 통해 물저장공간(300)에 고인 물의 양, 즉, 화분 내부의 수분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화분 내부의 수분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식물에 적당한 수분환경을 제공하여 식물을 잘 기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위표시관(400)이 측면부(2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위표시관(400)의 수직부(410)의 상단부가 개방되며, 수직부(410)의 하단부 양측에는 힌지축(412)이 돌출형성되고, 측면부(200)의 삽입홈(220)에는 상기 힌지축(412)이 끼워지는 힌지공(20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위표시관(400)이 측면부(2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표시관(400)을 회동시키면, 수위표시관(400)의 수직부(410)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수직부(410)의 개방된 상단이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수직부(410)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물저장공간(3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저면관수"는 모세관작용에 의해 식물이 밑으로 부터 물을 흡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물주기방법에 의해서는 화분의 흙이 단단해지고 흙과 화분의 측벽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등 식물의 생육이 저해되는 단점이 있으나, 저면관수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가장 이상적인 물주기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표시관(400)의 수직부(410)의 상단을 통해 물저장공간(300)에 물을 공급함으로써, "저면관수"가 가능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에, 상기 수직부(410)에 수도호스 등을 연결하여 물저장공간(300)에 적정량의 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면, 집을 비우는 동안에도 식물이 고사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수위표시관(400)의 수직부(410) 측면부(400)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면 굳이 수위표시관(400)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지 않아도 수위표시관(400)을 통해 저면관수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수위표시관(400)의 수직부(410) 상단부가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개방된 수직부(410)를 통해 물저장공간(300)의 물이 증발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수위표시관(400)이 측면부(200) 전방으로 돌출되므로 보기에도 좋지 않고, 수위표시관(400) 내부로 먼지 등이 유입되는 문제도 발생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수위표시관(400)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수직부(410)의 상단이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공간(300)에 망체로 되어 상기 수위표시관(400)의 수평부(402)를 커버하는 보호망체(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수위표시관(400) 회동시키면, 물저장공간(300)으로 삽입되어 있는 수평부(420)가 상향으로 회동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물저장공간(300)에 흙이 재워져 있는 경우에는 흙에 의해 수위표시관(400)의 회동이 방해를 받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호망체(230)가 더 구비되고, 보호방체(230) 내부에는 흙을 채우지 않으면, 수평부(403)가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므로 수위표시관(400)의 원활한 회동에 도움이 된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바닥부(100)에는 물저장공간(300)에 연통되는 보조배수공(130)이 형성되고, 바닥부(100) 하측에는 보조배수공(130)을 개폐시키는 개폐도어(140)가 더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도어(140)가 바닥부(100)의 하측에 형성된 레일을 통해 슬라이드되도록 도시되었다.
상기 보조배수공(130)은 물저장공간(300)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화분에 물을 과도하게 많이 준 경우나 실내습도나 온도 등에 따라 화분의 흙을 건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개폐도어(140)를 열어서 보조배수공(130)을 통해 물저장공간(30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보조배수공(130)과 보조배수공(130)을 개방시키는 개폐도어(140)가 더 구비되면, 화분 내부의 수분 상태를 좀 더 긴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식물의 성장에 적합한 환경을 한층 더 수월하게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 사각판상으로 되어 중앙부에는 상하로 개방되는 배수공(110)이 형성된 바닥부(100);
상기 바닥부(100)의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입설되는 4개의 측면부(200);
상기 바닥부(100)의 배수공(110)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수공(110) 외측 둘레부를 물저장공간(300)으로 구획하는 격벽(120);
수직부(410)와, 상기 수직부(410)의 하단에서 수평연장되어 단부가 개방된 수평부(420)를 포함하도록 아크릴관으로 제조되어, 상기 수평부(420)가 상기 물저장공간(300)과 연통되도록 상기 측면부(200) 중의 어느 하나에 끼워지는 수위표시관(400)을 포함하되;
상기 측면부(200) 중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수위표시관(400)의 수평부(420)가 관통되게 끼워지는 관통공(210)과, 상기 관통공(210)과 연결되도록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수위표시관(400)의 수직부(410)가 삽입되는 삽입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420)의 단부에는 상향으로 절곡된 절곡단부(430)가 형성되고, 상기 절곡단부(430)에는 스펀지로 된 필터(432)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부(410)의 양측에는 힌지축(41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20)에는 상기 힌지축(412)이 끼워지는 힌지공(202)이 형성되어, 상기 수위표시관(400)은 상기 힌지축(412)에 의해 수직부(410)가 측면부(200)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물저장공간(300)에는 망체로 되어 상기 수평부(420) 둘레에 흙이 채워지지 않도록 커버하는 보호망체(230)가 구비되어, 상기 보호망체(230)에 의해 상기 수평부(420)가 상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고,
상기 수직부(410)의 상단은 개방되어, 상기 수직부(410)의 상단을 통해 상기 물저장공간(3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화분.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0)에는 물저장공간(300)과 연통되는 보조배수공(130)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00) 하측에는 상기 보조배수공(130)을 개폐시키는 개폐도어(140)가 구비되어,
상기 보조배수공(130)을 통해 상기 물저장공간(300)의 수분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화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0294A KR101947706B1 (ko) | 2018-07-11 | 2018-07-11 |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화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0294A KR101947706B1 (ko) | 2018-07-11 | 2018-07-11 |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화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47706B1 true KR101947706B1 (ko) | 2019-02-13 |
Family
ID=6536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0294A KR101947706B1 (ko) | 2018-07-11 | 2018-07-11 |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화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7706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77128A (ja) * | 2013-10-14 | 2015-04-23 | ロッキ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植木鉢用水位表示装置 |
-
2018
- 2018-07-11 KR KR1020180080294A patent/KR1019477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77128A (ja) * | 2013-10-14 | 2015-04-23 | ロッキ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植木鉢用水位表示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4180606U (zh) | 一种透气储水花盆 | |
KR101126188B1 (ko) | 물받침이 없는 화분 | |
JP4657359B2 (ja) | 緑化システムおよび緑化用トレー | |
KR101947706B1 (ko) | 물저장공간과 수위표시수단이 구비된 화분 | |
JP3098357B2 (ja) | 底面灌水式プランター | |
CN203243736U (zh) | 可清淤泥的防涝保湿花盆 | |
TWM507640U (zh) | 蓄水種植箱 | |
CN209420432U (zh) | 一种倒挂种植器 | |
KR100740313B1 (ko) | 공동주택의 베란다용 화단 | |
JP2001314126A (ja) | 貯水部付き植物育成容器 | |
CN211267823U (zh) | 一种组合式花盆 | |
CN201188786Y (zh) | 有蓄水装置的种植盆 | |
CN208001761U (zh) | 一种用于林木根部灌溉排水装置 | |
CN207167154U (zh) | 一种吸湿除潮式种植盆 | |
CN207802882U (zh) | 一种沙漠地区植树容器 | |
CN207672603U (zh) | 一种构建海绵城市的绿化挡土墙 | |
CN206728675U (zh) | 一种具备蓄排水功能的花池 | |
CN207885378U (zh) | 套接式种植容器用二级蓄水结构 | |
RU173971U1 (ru) | Мо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ртикального или наклонного размещения растений | |
CN208434497U (zh) | 一种可利用种植体多面空间的立体种植结构 | |
CN206354061U (zh) | 一种苗木种植装置 | |
JP3118116U (ja) | 楽して節水できる植木鉢とプランター | |
CN218649389U (zh) | 一种多功能花盆 | |
CN208425249U (zh) | 一种具有储水保湿防涝根功能的花盆 | |
JP6705795B2 (ja) | 栽培装置及び栽培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