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764B1 - 탄성레일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탄성레일체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47764B1 KR100747764B1 KR1020050080729A KR20050080729A KR100747764B1 KR 100747764 B1 KR100747764 B1 KR 100747764B1 KR 1020050080729 A KR1020050080729 A KR 1020050080729A KR 20050080729 A KR20050080729 A KR 20050080729A KR 100747764 B1 KR100747764 B1 KR 1007477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shoulder
- spring clip
- fastening device
- elast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4/00—Characteristics of the track and its foundations
- E01B2204/07—Drainag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5/00—Electrical insulation of railway track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는 침목(20)의 상면과 레일풋(11)의 저면 사이에 삽입되는 레일패드(100)와; 상기 레일풋(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절연블럭(200)과; 상기 절연블럭(200)의 상면을 압압하는 직선형의 전방부(310),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대칭으로 형성된 끝단부(320) 및 상기 끝단부(3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방부(310)와 연결되는 곡선형의 만곡부(330)가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클립(300)과; 상기 레일패드(100)와 절연블럭(200)과 접촉하면서 침목(20)에 매립되고, 상기 스프링클립(300)이 끼워져 고정되고 슬라이딩되면서 레일을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숄더(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숄더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독자적인 형상의 숄더를 채택함으로써 체결시 뿐만 아니라 해체시에 있어서도 신속하고 간단한 작업으로 체결 또는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탄성레일체결장치, 레일패드, 절연블럭, 스프링클링, 숄더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탄성레일체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종래의 탄성레일체결장치의 해체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숄더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체결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해체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과 절연블럭 및 레일패드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재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숄더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종래의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숄더의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숄더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레일 11 : 레일풋
20 : 침목 100 : 레일패드
110 : 배수홈 200 : 절연블럭
210 : 수평부 220a : 수직홈
220b : 수평홈 230 : 수직부
300 : 스프링클립 310 : 전방부
320 : 끝단부 330 : 만곡부
400 : 숄더 410 : 머리부
420 : 체결 430 : 고정프레임
431 : 안내면 432 : 제1스톱퍼
433 : 경사면 434 : 걸림턱
435 : 절곡면 436 : 제2스톱퍼
437 : 접촉면 440 : 다리부
450 : 매립단부 460 : 돌출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는 레일을 침목에 체결하는 탄성레일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목의 상면과 레일풋의 저면 사이에 삽입되는 레일패드와; 상기 레일풋의 상면에 설치되는 절연블럭과; 상기 절연블럭의 상면을 압압하는 직선형의 전방부,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대칭으로 형성된 끝단부 및 상기 끝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방부와 연결되는 곡선형의 만곡부가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클립과; 상기 레일패드와 절연블럭과 접촉하면서 침목에 매립되고, 상기 스 프링클립이 끼워져 고정되고 슬라이딩되면서 레일을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숄더로 구성되어, 체결시 뿐만 아니라 해체시에 있어서도 신속하고 간단한 작업으로 체결 또는 해제할 수 있고, 숄더에 있어서 불필요한 부분을 삭정하여 경량화한 탄성레일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레일의 탄성 체결장치는 레일을 지지하는 침목의 좌우에 2개의 레일이 침목에 고정되도록 체결하는 장치로서, 레일의 궤도 간격을 유지해 주고 철도 차량의 주행 시 차량에 의해 궤도에 가해지는 상하, 좌우 방향의 하중 및 진동을 하부구조인 침목과 도상 및 노반 등에 감쇄시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종래의 탄성레일체결장치는 해외에서 사용되는 것으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0092132호에서 종래기술로 개시된 바 있는 PR 클립 및 e 클립의 영국형, RN형 및 나브라형의 프랑스형, W형 및 보슬러형의 독일형이 있고, 국내에서는 공개특허공보 제2002-0092132호에 개시된 탄성레일체결장치가 있다.
먼저, 상기한 영국형은 적은 부품수와 유지보수면에서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조절성이 부족하고 2중 틸팅 방지기능이 없어 파손이 쉽게 발생될 뿐만 아니라 체결 또는 해체작업등 유지보수에 상당히 어려운 단점이 있고, 프랑스형과 독일형은 나사를 사용하므로 선로에 수없이 많이 설치된 체결장치의 나사 체결상태를 검사하기 위한 유지보수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0092132호에 개시된 탄성레일체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목(20)에 고정되는 고정 프레임의 상부면 중앙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상부 지지턱이 대칭되게 형성되는 고정부가 돌출형성되고, 이 고 정부의 일측으로는 측면 지지턱이 돌출 형성된 숄더(400)와; 상기 숄더의 고정부가 내측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상부 지지턱에 지지 고정되도록 끝단부가 근접된 위치에 대칭 형성되며, 상기 끝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만곡부는 상기 측면 지지턱에 지지 고정되고, 직선 형태의 전방부는 레일 풋을 압압 고정하도록 절곡 형성된 체결 스프링과(300); 상기 체결 스프링과 레일 풋의 사이에 위치되는 절연블록(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방식을 적용하지 않고도 2중 안전장치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숄더(400)와 체결스프링(300)을 제공함에 따라 그 만큼 체결작업을 위한 공간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체시 체결스프링(300)을 숄더(400)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후에야 비로소 레일 교체 등 필요한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기 때문에 기계화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형상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불필요한 부분으로 인한 숄더(400)의 중량이 2.1 kg에 달하여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는 침목(20)의 상면과 레일풋(11)의 저면 사이에 삽입되는 레일패드(100)와; 상기 레일풋(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절연블럭(200)과; 상기 절연블럭(200)의 상면을 압압하는 직선형의 전방부(310),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대칭으로 형성된 끝단부(320) 및 상기 끝단부(3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방부(310)와 연결되는 곡선형의 만곡부(330)가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클립(300)과; 상기 레일패드(100)와 절연블럭(200)과 접촉하면서 침목(20)에 매립되고, 상기 스프링클립(300)이 끼워져 고정되고 슬라이딩되면서 레일을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숄더(400)로 구성되어, 체결시 뿐만 아니라 해체시에 있어서도 신속하고 간단한 작업으로 체결 또는 해제할 수 있고, 숄더에 있어서 불필요한 부분을 삭정하여 경량화한 탄성레일체결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는, 침목(20)의 상면과 레일풋(11)의 저면 사이에 삽입되는 레일패드(100)와; 상기 레일풋(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절연블럭(200)과; 상기 절연블럭(200)의 상면을 압압하는 직선형의 전방부(310),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대칭으로 형성된 끝단부(320) 및 상기 끝단부(3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방부(310)와 연결되는 곡선형의 만곡부(330)가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클립(300)과; 상기 레일패드(100)와 절연블럭(200)과 접촉하면서 침목(20)에 매립되고, 상기 스프링클립(300)이 끼워져 고정되고 슬라이딩되면서 레일을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숄더(4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숄더(400)는 상기 스프링클립(300)에 비틀림을 가하는 머리부(410)와; 상기 스프링클립(300)이 결합되는 체결부(420)와; 상기 스프링클립(300)의 만곡부(330)가 고정 또는 슬라이딩되는 고정프레임(430)과; 상기 고정프레임(430)의 하부에 연장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리부(440)와; 상기 다리부(44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침목(20)내에서 숄더(40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매립단부(4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숄더(400)의 체결부(420) 하단에는 돌출부(46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420)는 레일해체시 상기 스프링클립(300)이 레일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직각의 홈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숄더(400)의 고정프레임(430) 상면에는 스프링클립(300)이 안착지지되도록 레일내측방향으로부터 안내면(431)과 제1스톱퍼(43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숄더(400)의 고정프레임(430) 상면의 레일내측 단부에는 절연블럭의 지지면을 크게 해주기 위한 걸림턱(43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레일체결장치.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430)의 상면에는 제1스톱퍼(432)에서 연장되어 절곡면(435)과 제2스톱퍼(436)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톱퍼(436)에서 연장되어 경사면(4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숄더(400)의 중량은 1.25 kg 로 경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블럭(200)은 그 수직부(230) 측면에 상기 숄더(400)의 돌출부(460)가 안착되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홈(22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블럭(200)은 그 수평부(210) 상면에 상기 스프링클립(300)의 전방부(310)가 안착되는 수평홈(220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7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해체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8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재체결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의 숄더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종래의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숄더의 상세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숄더의 상세도이다.
우선, 레일풋(11)의 저면에 설치되는 레일패드(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레일패드(100)는 도 7의 (b)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숄더(400)와 절연블럭(200)이 끼워맞춰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고 체결 또는 해체시 유동을 방지할 수 있고,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표면에 배수홈(1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진 레일패드(100)는 레일(10)을 통해 침목(20)으로 직접 전달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침목의 파손을 방지하고, 완충 및 진동감쇠효과를 통하여 도상진동을 줄일 수 있으며, 도상침하를 감소시키기 때문에 보수주기의 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구성품으로서, 천연고무를 주성분으로 하고 고속철도용 레일패드의 표준규격의 스프링정수를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레일풋(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절연블럭(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궤도의 구성품 중 하나인 침목은 대개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는데, 콘크리트는 반도체이므로 레일(10)과 대지(미도시)와의 전기적인 절연이 필요하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보안시스템이 궤도회로에 의존하는 경우, 신호전류의 절연에 의거, 좌우레일을 절연해야 하므로, 교류구간에서는 통신 유도장애대책으로서, 직류구간에서는 궤도재료 전식 대책으로서 변전소로의 귀선전류 누전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절연블럭(200)은 도 7의 (a)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체결시 접촉되는 레일풋(11), 레일패드(100) 및 숄더(400)의 형상을 고려하여 수평부(210)와 수직부(230)로 구성되고, 수평부(210)의 상면에는 레일체결시 스프링클립(300)의 전방부(310)가 안치되는 수평홈(220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부(230)의 외측면에는 숄더(400)의 돌출부(460)가 안착지지되는 수직홈(220a)이 형성되어 있고, 그 재질로는 PA66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레일풋(11)의 상면을 압압하여 레일(10)을 고정시키는 스프링클립(300)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스프링클립(300)은 SPS 9 이상 재질의 봉스프링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부(310), 끝단부(320) 및 만곡부(330)로 이루어지며, 레일체결시 숄더(400)의 체결부(420)에 삽입함으로써 그 기능을 발휘하는데, 숄더(400)의 머리부(410)가 끝단부(320)를 가압하면, 자체적으로 발생하는 비틀림에 의하여 전방부(310)의 저면이 절연블럭(200)의 수평홈(220b)을 가압하고, 결과적으로 레일풋(11)의 상면을 눌러 침목(20)과 레일 (10)을 체결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스프링클립(300)에 비틀림을 가하는 숄더(4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숄더(400)는 전체적으로, 스프링클립(300)에 비틀림을 가하는 머리부(410), 스프링클립(300)이 착탈되는 체결부(420), 스프링클립(300)의 만곡부(330)가 슬라이딩되는 고정프레임(430), 고정프레임(43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리부(440) 및 침목(20)에 매립시 유동방지를 위한 매립단부(450)가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머리부(410)는 스프링클립(300)의 끝단부(320)를 가압해 줌과 동시에 스프링클립(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체결부(420)는 레일체결시에는 스프링클립(300)의 끝단부(320)가, 레일해체시에는 스프링클립(300)의 전방부(310)가 체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430)의 저면은 침목과 접촉하고 레일쪽 측면은 절연블럭(200)과 레일패드(100)와 접촉하며, 상면은 스프링클립(300)의 만곡부(330)가 접촉하게 되는데, 고정프레임(430)의 상면에는 레일내측방향으로부터 스프링클립(300)의 만곡부(330)가 고정 또는 슬라이딩되는 안내면(431)이 형성되고, 안내면(431)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스프링클립(30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제1스톱퍼(432), 레일해체시 스프링클립(300)의 만곡부(330)가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는 경사면(4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스톱퍼(432)와 경사면(433) 사이에는 2차적 풀림방지 수단 또는 단계적 해체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절곡면(435)과 제2스톱퍼(436)을 더 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도 9 내지 도 11을 비교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숄더(400)는 종래의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숄더보다 형상을 단순히 하였고, 그 크기도 축소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숄더가 2.1 kg 인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숄더(400)는 1.25 kg 으로 경량화시켰으며, 숄더(400)의 경량화에 불구하고, 체결력의 강화와 풀림방지 기능이 더 향상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의 체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체결방법은 그 구조적 형상의 차이가 있음에도 상기한 종래의 탄성레일체결장치의 체결방법과 동일하다.
우선 레일패드(100)를 침목(20)의 상면에 깔고 레일패드(100) 위에 레일(10)을 올려놓는다(레일셋팅단계).
상기와 같이 레일(10)을 셋팅한 후 숄더(400)에 절연블럭(200)을 설치하는데, 절연블럭(200)의 수직부(230)를 레일패드(100)의 측면에 형성된 홈에 끼우고 절연블럭(200)의 수직부(230)에 형성된 수직홈(220a)에 숄더(400)의 돌출부(460)를 끼워 유동을 방지하고, 절연블럭(200)의 수평부(210) 저면을 레일풋(11)에 안착시킨다(절연블럭설치단계).
상기와 같이 숄더(400)와 절연블럭(200)을 설치한 후에는 스프링클립(300)을 역방향으로 체결하는데, 스프링클립(300)의 만곡부(330)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상 기 숄더(400)의 체결부(420)에 끼운 후 외력을 가하여 스프링클립(300)을 레일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스프링클립(300)의 만곡부(330)가 고정프레임(430)의 안내면(431)위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숄더(400)의 체결부(420)가 스프링클립(300)의 끝단부(320)까지 삽입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420)의 상단에 형성된 숄더(400)의 머리부(410)가 스프링클립(300)의 끝단부(320)를 압압하면 스프링클립(300)이 자체적으로 비틀리면서 스프링클립(300)의 전방부(310)가 절연블럭(200)의 수평부(210)에 형성된 수평홈(220b)을 압압하고, 결과적으로 레일풋(11)을 눌러서 견고하게 고정된다(스프링클립설치단계).
상기와 같은 역방향 체결방법은 종래의 정방향 체결방법이 갖는 풀림현상 등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나사방식을 채택한 레일체결장치보다 우수한 유지보수성을 갖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의 해체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종래의 탄성레일체결장치는 레일교체 등 필요한 작업을 위하여 레일체결장치를 해체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방법의 역순으로 상기 스프링클립(300)을 완전히 분리하여 해체해야만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장시간 요구되고 작업량이 상대적으로 많아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의 해체방법은 종래의 해체방법과는 달리, 단지 상기 스프링클립(300)에 일정한 외력을 가하여 레일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한 상태에서 레일교체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구체적으로 설명 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클립(300)의 전방부(310) 또는 만곡부(330)에 일정한 외력을 가하여 레일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스프링클립(300)의 만곡부(330)가 제1스톱퍼(432)를 타고 넘어 절곡면(435)에 위치하고, 다시 제2스톱퍼(436)를 타고 넘는다.
여기서, 제1스톱퍼(432)는 레일체결시 스프링클립(300)의 만곡부(330)를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배를 크게 형성해야 하고, 이로 인해서 레일해체시에는 제2스톱퍼(436)에서 가해지는 외력보다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달리, 제2스톱퍼(436)는 2차적 풀림방지 수단 또는 단계적 해체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므로 제1스톱퍼(432)에서 가해지는 외력보다 작은 힘을 가해도 해체작업이 가능하다.
만약, 제2스톱퍼(436)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레일해체시 제2스톱퍼(436)를 타고 넘은 스프링클립(300)은 중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침목 위로 떨어질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레일체결장치에서는 제2스톱퍼(436)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경사면(433)을 구비함으로써 해체작업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또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도 7의 (a)(b)에서 알 수 있듯이, 좌우 한쌍의 스프링클립(300)의 전방부(310) 사이의 간격이 어느정도 확보되면 레일(10) 또는 절연블럭(220) 등을 교체할 수 있고, 이는 종래의 탄성레일체결장치의 해체방법에 비하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한 레일해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또 하나의 주요특징을 레일교체 등 필요한 작업을 수행한 후 레일체결장치를 재체결하는 방법이 매우 단순하다는 것에 있다.
즉, 종래의 탄성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재체결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일해체시 스프링클립(330)이 숄더(40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해체되기 때문에 다시 최초 레일체결방법과 동일하게 수많은 스프링클립(330)을 일일이 체결해야 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에 있어서 재체결방법은 상기한 레일해체방법을 역순으로 수행함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하게 레일을 재체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작업을 마친 후 상기 스프링클립(300)의 전방부(310) 또는 만곡부(330)에 레일쪽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면 매우 신속하고 간단하게 레일을 재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의 구성을 단순히 형상변경, 치환하는 것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고,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철도분야 이외의 다른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체결장치로 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숄더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독자적인 형상의 숄더를 채택함으로써 체결 시 뿐만 아니라 해체시에 있어서도 신속하고 간단한 작업으로 체결 또는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탄성레일체결장치는 해체시 스프링클립을 숄더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후에야 비로소 레일교체 등 필요한 공정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에 의하면 스프링클립을 숄더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단지 스프링클립을 숄더의 고정프레임 위에서 레일 외측으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레일교체 등 필요한 공정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고 특히, 해체작업과 체결작업을 기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레일체결장치에서 채택한 숄더는 종래의 숄더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삭정함으로써 숄더의 중량을 2.1 kg에서 1.25 kg으로 경량화하여 제조단가를 줄이는 효과를 통하여 상품으로서의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0)
- 침목(20)의 상면과 레일풋(11)의 저면 사이에 삽입되는 레일패드(100)와;상기 레일풋(11)의 상면에 설치되는 절연블럭(200)과;상기 절연블럭(200)의 상면을 압압하는 직선형의 전방부(310),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대칭으로 형성된 끝단부(320) 및 상기 끝단부(3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전방부(310)와 연결되는 곡선형의 만곡부(330)가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클립(300)과;상기 레일패드(100)와 절연블럭(200)과 접촉하면서 침목(20)에 매립되고, 상기 스프링클립(300)의 만곡부(330)가 고정 또는 슬라이딩되는 고정프레임(430)이 형성된 숄더(400)로 구성되되,상기 숄더(400)의 고정프레임(430) 상면에는 스프링클립(300)이 안착지지되도록 레일내측방향으로부터 안내면(431)과 제1스톱퍼(43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스톱퍼(432)에서 연장되어 절곡면(435)과 제2스톱퍼(436)가 형성되며, 상기 제2스톱퍼(436)에서 연장되어 경사면(43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레일체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숄더(400)는 상기 스프링클립(300)에 비틀림을 가하는 머리부(410)와;상기 스프링클립(300)이 결합되는 체결부(420)와;상기 고정프레임(430)의 하부에 연장되어 수직으로 형성되는 다리부(440)와;상기 다리부(440)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침목(20)내에서 숄더(400)이 고정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매립단부(4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레일체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숄더(400)의 체결부(420) 하단에는 돌출부(46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레일체결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체결부(420)는 레일해체시 상기 스프링클립(300)이 레일외측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직각의 홈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레일체결장치.
- 삭제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숄더(400)의 고정프레임(430) 상면의 레일내측 단부에는 절연블럭(200)의 지지면을 크게 해주기 위한 걸림턱(434)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레일체결장치.
- 삭제
- 제 1 항 내지 제 4 항 및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숄더(400)의 중량은 1.25 kg 로 경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레일체결장치.
- 제 8 항에 있어서,상기 절연블럭(200)은 그 수직부(230) 측면에 상기 숄더(400)의 돌출부(460)가 안착되어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직홈(220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레일체결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상기 절연블럭(200)은 그 수평부(210) 상면에 상기 스프링클립(300)의 전방부(310)가 안착되는 수평홈(220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레일체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0729A KR100747764B1 (ko) | 2005-08-31 | 2005-08-31 | 탄성레일체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80729A KR100747764B1 (ko) | 2005-08-31 | 2005-08-31 | 탄성레일체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5013A KR20070025013A (ko) | 2007-03-08 |
KR100747764B1 true KR100747764B1 (ko) | 2007-08-08 |
Family
ID=3809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80729A KR100747764B1 (ko) | 2005-08-31 | 2005-08-31 | 탄성레일체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47764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4607B1 (ko) * | 2010-02-02 | 2012-09-21 | 조경호 | 레일패드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레일 체결부 |
KR101971503B1 (ko) | 2018-04-17 | 2019-04-23 | 이국현 | 물유입 방지 커버를 포함하는 레일체결장치 |
KR101971501B1 (ko) | 2018-04-20 | 2019-04-23 | 이국현 |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
KR101987102B1 (ko) | 2018-09-20 | 2019-06-10 | 주식회사 엔트켐 | 레일 체결장치의 가이드 플레이트 체결구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7713B1 (ko) * | 2011-09-19 | 2013-08-19 | 서경테크(주) | 철도레일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
KR200470249Y1 (ko) * | 2011-09-28 | 2013-12-11 | 이영제 | 레일체결장치 |
CN110158375B (zh) * | 2019-06-28 | 2023-10-31 | 上海工程技术大学 | 一种开关式弹条双层弹性减振扣件系统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81000121A1 (en) | 1979-07-05 | 1981-01-22 | Mckay Ralph Ltd | Rail fastener |
DE3111876A1 (de) | 1980-04-03 | 1982-06-09 | Ernst Schmitthelm, Federn- Und Metallwarenfabrik Gmbh & Co Kg, 6900 Heidelberg | Federnde schienenbefestigung auf betonschwellen |
JPH0254001A (ja) * | 1988-08-16 | 1990-02-23 | Vossloh Werke Gmbh | 鉄道用レール固定装置 |
WO1991000391A1 (fr) | 1989-06-30 | 1991-01-10 | Allevard Industries | Dispositif de fixation elastique d'un rail de chemin de fer sur son support |
KR20020092132A (ko) * | 2001-06-02 | 2002-12-1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탄성레일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
KR20030000518A (ko) * | 2001-06-25 | 2003-01-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도어 힌지의 마운팅 보강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사이드 패널 |
KR200322037Y1 (ko) | 2003-05-13 | 2003-08-02 | 재단법인 한국철도기술공사 |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절연레일이음매 체결장치 |
KR200342448Y1 (ko) | 2003-10-18 | 2004-02-18 | 동양주공주식회사 | 철도용 레일 고정지지구 |
-
2005
- 2005-08-31 KR KR1020050080729A patent/KR1007477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1981000121A1 (en) | 1979-07-05 | 1981-01-22 | Mckay Ralph Ltd | Rail fastener |
DE3111876A1 (de) | 1980-04-03 | 1982-06-09 | Ernst Schmitthelm, Federn- Und Metallwarenfabrik Gmbh & Co Kg, 6900 Heidelberg | Federnde schienenbefestigung auf betonschwellen |
JPH0254001A (ja) * | 1988-08-16 | 1990-02-23 | Vossloh Werke Gmbh | 鉄道用レール固定装置 |
WO1991000391A1 (fr) | 1989-06-30 | 1991-01-10 | Allevard Industries | Dispositif de fixation elastique d'un rail de chemin de fer sur son support |
KR20020092132A (ko) * | 2001-06-02 | 2002-12-11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탄성레일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
KR20030000518A (ko) * | 2001-06-25 | 2003-01-0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도어 힌지의 마운팅 보강구조를 갖는 자동차의 사이드 패널 |
KR200322037Y1 (ko) | 2003-05-13 | 2003-08-02 | 재단법인 한국철도기술공사 |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절연레일이음매 체결장치 |
KR200342448Y1 (ko) | 2003-10-18 | 2004-02-18 | 동양주공주식회사 | 철도용 레일 고정지지구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2003518310000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4607B1 (ko) * | 2010-02-02 | 2012-09-21 | 조경호 | 레일패드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레일 체결부 |
KR101971503B1 (ko) | 2018-04-17 | 2019-04-23 | 이국현 | 물유입 방지 커버를 포함하는 레일체결장치 |
KR101971501B1 (ko) | 2018-04-20 | 2019-04-23 | 이국현 | 레일체결장치 절연 막대 |
KR101987102B1 (ko) | 2018-09-20 | 2019-06-10 | 주식회사 엔트켐 | 레일 체결장치의 가이드 플레이트 체결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5013A (ko) | 2007-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47764B1 (ko) | 탄성레일체결장치 | |
JP5775531B2 (ja) | 鉄道レール締結装置 | |
KR20110044196A (ko) | 측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레일 체결 장치 | |
KR20100106476A (ko) | 레일 고정 시스템용 서포트 및 레일 고정 시스템 | |
JP5686478B2 (ja) | 線路のまくら木へのレール固定装置 | |
KR20150034201A (ko) | 접속 영역용 레일 체결 장치 | |
EA038080B1 (ru) |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и подкладная пластина дл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 |
KR101530965B1 (ko) | 전단하중 유도용 외함을 구비한 레일 체결장치 | |
KR20160073259A (ko) | 콘크리트침목 레일고정장치 | |
RU2670844C9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рельса для рельсов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 |
JP6337014B2 (ja) | 鉄道レール固定デバイス | |
KR20130007077U (ko) | 조립식 매립형 레일구조 | |
CN111936701A (zh) | 用于将铁路轨道紧固至下方路基的锚固组件 | |
KR101305455B1 (ko) | 레일체결장치 | |
KR20130002150U (ko) | 레일체결장치 | |
KR100448847B1 (ko) | 콘크리트 도상 직결매립식 분기부 레일 고정장치 | |
WO2003012204A1 (en) | Rail vibration isolator | |
KR100776203B1 (ko) | 가드레일 체결장치용 분리형 가드상판 | |
KR200430266Y1 (ko) | 신축 및 분기기 레일 체결장치 | |
AU770816B2 (en) | Electrically insulating rail pad | |
KR19990064863A (ko) | 고무보판 건널목 장치 | |
KR20120056949A (ko) | 철도 베이스플레이트 및 레일 체결장치 | |
KR101573701B1 (ko) | 레일 체결장치 | |
KR20020092132A (ko) | 탄성레일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 |
KR20110090114A (ko) | 레일패드의 두께를 보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레일 체결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