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789B1 - 스로틀 밸브 장치 - Google Patents

스로틀 밸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789B1
KR100746789B1 KR1020050083076A KR20050083076A KR100746789B1 KR 100746789 B1 KR100746789 B1 KR 100746789B1 KR 1020050083076 A KR1020050083076 A KR 1020050083076A KR 20050083076 A KR20050083076 A KR 20050083076A KR 100746789 B1 KR100746789 B1 KR 100746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throttle valve
main body
drum
tor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1070A (ko
Inventor
도시오 야마모토
아키히로 이이무로
도이치로 히키치
마사히로 시미즈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777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09023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77761A external-priority patent/JP46068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777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204055B2/ja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02D9/10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having pivotally-mounted flaps
    • F02D9/1065Mechanical control linkage between an actuator and the flap, e.g. including levers, gears, springs, clutches, limit stops of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밸브 주몸체(10)는 축부(12)의 한단부 상에 형성된 확대된 드럼부(13)와, 축부의 외측으로부터 스로틀 조정 조작력을 전달하기 위한 드럼부(13)를 포함한다. 토션 스프링(27)은 밸브의 주몸체(10)를 덮는 커버(28)와 드럼부(13, 13)의 측면으로부터 스로틀 몸체 사이에 개재된다. 토션 스프링(27)은 밸브를 닫는 방향으로 드럼부(13)를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 형태의 것이다. 토션 스프링(27)은 밸브 주몸체(10)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토션 스프링(27)은 토션 스프링(27)의 코일부의 안쪽으로 직경 방향으로 구부러진 두개의 단부 부분(271, 272)을 포함한다. 두 개의 단부 부분(271, 272)은 커버(28)와 드럼부(13)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슬릿(131, 284)과 결합된다. 이에 의해 토션 스프링(28)은 제자리에 로크되며,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스로틀 밸브 장치{THROTTLE VALV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를 포함하는 흡입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의 정면도.
도 4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를 도시한 상부면도.
도 5는 토션 스프링을 수용하기 위한 커버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토션 스프링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7은 외부 커버와 스로틀 몸체 사이의 결합부를 도시한 외형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1은 스로틀 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스로틀 몸체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A-A선을 취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더스트 실을 포함하는 탄성 중합체 몰딩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린더 헤드 2 : 흡입 포트
3 : 흡입 밸브 4 : 흡입 파이프
5 : 커넥터 6 : 단열체
7 : 에어 클리너 케이스 8 : 스로틀 몸체
10 : 스로틀 밸브 주몸체 11 : 밸브부
12 : 축부 13 : 드럼부
16, 18 : 벽부 17, 19 : 슬리브
20 : 부싱 21 : 와셔
22 : 스탑링 (Stop ring) 23 : 탄성부
24, 25 : 환형부 27 : 토션 스프링
30 : O링 33 : 고리부
본 발명은 스로틀 밸브 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를 스로틀 폐쇄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을 또한 스로틀 밸브 주몸체 축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스로틀 몸체에 대하여 스로틀 밸브 주몸체를 가압하도록 설치된 스로틀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로틀 몸체는 전자 제어 유니트(ECU), 스로틀 센서, 더스트 실(Dust seal)을 포함한다.
스로틀 밸브 장치는 내연기관의 연소실 내로 흡입되는 공기 연료 혼합체의 유입량을 조절하므로서 내연기관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기화기나 전자 제어 연료 분사 시스템에 결합되어 있다. 공지의 스로틀 밸브 장치는 스로틀 센서와, 아이들 제어 밸브(IACV)와, 스로틀 주몸체에 더하여 전자적 동작에 관련된 다른 부품을 포함한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303164호에는 스로틀 센서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과, 스로틀 몸체의 외벽 상에 장착되고 스로틀 밸브 몸체로부터 분리되어 주조된 압력 센서 등과, 전기적 동작에 관련된 스로틀 몸체와 일체로 주조된 다른 부품들을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를 구비한 스로틀 밸브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4-66738호는 ECU를 구성하는 인쇄 회로 기판이 스로틀 몸체에 배치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스로틀 밸브 장치는 스로틀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스로틀 밸브 주몸체의 축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된 토션 스프링을 포함한다. 스로틀 밸브 주몸체를 회전시키는 것에 부가하여, 토션 스프링은 또한 스로틀 몸체 내측의 축부의 연장 방향으로 축부를 가압하도록 작용한다. 그러나, 스로틀 밸브 주몸체의 축부와 동심원적 및 둘레에 배치된 토션 스프링은 축부로부터 편위(Offset)된 어떤 위치로 연장된 토션 스프링의 단부 부분과 함께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로 인하여, 축부의 연장 방향으로 축부를 가압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력은 또한 축부와 경사진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로서, 공기의 누설이 스로틀 밸브 주몸체와 스로틀 몸체 사이에 생성된 틈새에서 발생 될 때 일어난다.
통상적으로, 스로틀 몸체에 ECU, IACV, 스로틀 센서 등을 나사 결합하여 스로틀 밸브 장치를 조립한다. 따라서, 조립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립 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스로틀 밸브 장치는 스로틀 축과 스로틀 몸체 사이의 공간 내로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로틀 축과 스로틀 몸체 사이에 배치된 더스트 실을 포함한다. 그러나, 더스트 실은 스로틀 동작을 위하여 축부가 회전될 때, 저항체로서 작용 한다. 따라서, 부드러운 스로틀 작동감이 저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션 스프링이 스로틀 밸브 주몸체를 경사시키도록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스로틀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공수가 적은 스로틀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부드러운 스로틀 밸브 작동감을 저해하지 않는 스로틀 밸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은 첨부된 명세서에서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터플라이(Butterfly) 밸브부를 가진 스로틀 밸브 주몸체와, 버터플라이 밸브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된 축부와, 스로틀 조정 조작력을 외측으로부터 축부로 전달하기 위한 축부의 한단부 상에 형성된 확대된 드럼부와, 축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스로틀 밸브 주몸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스로틀 몸체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용 스로틀 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 장치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와 드럼부의 측면으로부터 스로틀 몸체를 덮는 커버와, 드럼부와 버터플라이 밸브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드럼부를 가압하는 커버 사이에 개재된 압축 코일형의 토션 스프링을 구비한다. 토션 스프링의 코일부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와 동심으로 배치된다. 토션 스프링은 양단부에 의해 제위치에 로크되며 코일부로부터 안쪽으로 직경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각각 커버와 드럼부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있어서, 커버와 드럼부는 드럼부 내에 직경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며 슬릿에 토션 스프링의 양단부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 주몸체는 축부와 동심으로 형성되고 드럼부로부터 드럼부에 인접한 축부까지 연장된 환형 요홈을 포함한다. 스로틀 밸브 주몸체는 환형 요홈 내측 부분에 드럼부와 축부에 직경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더 포함한다. 스로틀 몸체는 스로틀 몸체 내의 드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스프링 지지부를 포함하며 스로틀 폐쇄방향으로 개방되고 스로틀 개방방향으로 폐쇄되는 요홈을 구비한다. 스로틀 밸브 장치는 코일부를 포함하는 압축 코일형의 토션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한단부 부분은 코일부의 안쪽으로 대각선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고 다른 한단부 부분은 코일부의 외측으로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토션 스프링의 한단부 부분은 슬릿내에 삽입되어 있다. 코일부는 환형 요홈 내에 삽입되어 있다. 다른 단부 부분상의 돌출부는 스로틀 폐쇄 방향으로 스로틀 밸브 주몸체 상에 비틀림력이 작용하는 조건에서 스프링 지지부 내의 요홈 내에 삽입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 장치는 스로틀 몸체로부터 스로틀 밸브 주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드럼부를 동심으로 둘러싸고 축부를 지지하는 원통형 벽부와, 원통형 벽부와 드럼부 사이에 배치된 환형 더스트 실을 더 구비한다. 더스트 실은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형성된 외주 에지를 가진 탄성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 장치는 버터플라이 밸브부로부터 버터플라이 밸브부와 축부 사이의 경계부까지를 덮는 탄성 중합체로 형성된 코팅 부재를 더 구비한다. 코팅 부재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와 스로틀 몸체 사이의 부품을 기밀이 형성되도록 밀봉한다. 더스트 실은 코팅 부재와 일체로 주조된 탄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 주몸체는 플라스틱 몰딩을 포함하며 더스트 실과 코팅 부재는 듀열 몰딩을 통하여 스로틀 밸브 주몸체에 부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 장치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에 연결된 적어도 스로틀 센서와 스로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출력을 처리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어 유니트를 더 구비한다. 제어 유니트는 하우징 또는 스로틀 몸체 중의 하나의 측면에 배치된 돌출부를 통하여 스로틀 몸체에 연결되며, 고리를 가진 탭부는 하우징 또는 스로틀 몸체 중의 하나의 다른 측면에 배치되고 돌출부와 결합된다.
스로틀 몸체와 하우징은 수지 물질로 형성된다.
스로틀 밸브 장치는 축부를 지지하며 드럼부를 동심으로 둘러싸며 스로틀 몸체로부터 스로틀 주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원통형 벽부와, 원통형 벽부의 단부 부분을 덮도록 위치되어 있는 커버와, 버터플라이 밸브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드럼부를 가압하며 드럼부와 커버 사이에 개재된 토션 스프링과, 원통형 벽부의 단부와 커버 사이에 개재된 더스트 실을 더 구비한다.
더스트 실은 O링 또는 플라스틱 몰딩인 커버에 관하여 일체로 주조된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환형 몸체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원통형 벽부의 외측 외주면상에 형성되고, 돌출부와 결합될 고리부는 커버 상에 형성되고, 고리부는 더스트 실의 탄성에 대한 반작용과 원통형 벽부의 외측 외주를 따라 회전되어 원통형 벽부를 따라 축방향으로 가압되어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굴곡부내에 형성된다.
원통형 벽부는 원통형 벽부의 기초부상에 작은 외경을 가지는 스텝내에 형성 되고 커버는 원통형 벽부내에 형성된 스텝에 의해 파지되는 고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서, 토션 스프링은 코일부 내측의 직경 방향으로 구부러진 양 단부를 통하여 커버와 드럼부상에 지지된다. 따라서, 토션 스프링이 토션 스프링의 코일부 안쪽으로 연신될 때 힘이 작용한다. 동시에, 이러한 힘은 스로틀 밸브 주몸체의 회전 중심에 작용하고, 이에 의해 스로틀 밸브 주몸체를 스로틀 밸브 주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밀게 된다. 즉, 스로틀 밸브에 대하여 스로틀 밸브 주몸체를 미는 힘은 중심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이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가 스로틀 몸체로부터 틈새를 만들도록 경사지게 하는 문제점을 없애준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서, 토션 스프링은 드럼부 내에 직경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 내에 결합되는 코일부의 내측에 직경 방향으로 만곡 된다. 이는 토션 스프링의 힘이 스로틀 밸브 주몸체의 회전 중심에 정확하게 작용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라서, 토션 스프링은 코일부의 안쪽으로 만곡된 하나의 단부를 거쳐 드럼부상에 지지된다. 더욱이, 토션 스프링은 토션 스프링의 다른 단부 상의 코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를 거쳐 드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스프링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두 단부 부분은 토션 스프링의 반발력이 스로틀 밸브 주몸체의 회전 중심축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라서, 스프링 지지부는 스로틀 폐쇄방향에서 개방되고 스로틀 개방 방향에서 폐쇄되는 요홈과 함께 토션 스프링을 지지한다. 이는 토션 스프링이 토션 스프링을 비틀어서 미리 생성되는 토션 스프링의 반발력을 가지고 개방측으로부터 토션 스프링의 돌출부를 결합하여 지지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라서, 더스트 실은 스로틀 몸체의 원통형 벽부의 단부면 상에 배치되고 더스트 실과 스로틀 몸체 사이에 작은 접촉 영역만이 있다. 이는 마찰이 커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더스트 실의 구불구불한 외주 에지는 마찰 조절 마진을 크게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스로틀 조정시 부드러운 작동감은 쉽게 저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따라서, 탄성 중합체를 스로틀 밸브 주몸체와 일체로 주조함은 사용되는 부품의 갯수를 감소시켜 주며 조립에 필요한 작업 공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제어 유니트가 스로틀 몸체에 대하여 가압될 때, 스로틀 몸체가 탭부를 포함하고 있다면 하우징에 의해 탭부가 눌려지며 넓어진다. 마찬가지로, 제어 유니트가 스로틀 몸체에 대하여 가압될 때, 하우징이 탭부를 포함하고 있다면 스로틀에 의해 눌려지며 넓어진다. 제어 유니트가 상기한 바와 같이 탭부가 변형되도록 또 가압될 때, 탭부는 원래 상태대로 회복되며, 탭부는 돌출부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변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제어 유니트는 스로틀 몸체에 대하여 제어 유니트를 가압하는 단일 액션으로 스로틀 몸체에 연결할 수 있다.
탭부와 돌출부는 비교적 많이 변형된 상태로부터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할 수 있는 수지재(고탄성을 나타내는)로 형성된다. 탭부의 고리가 크게 만들어지거나 또는 돌출부가 크게 돌출될지라도, 탭부는 돌출부를 타고 올라가며 탭부와 돌출부는 원래의 형상대로 회복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견고한 연결상태가 달성된다.
스로틀 몸체 및 하우징은 모두 수지재로 제조된다. 이는 열적 변형의 차를 최소화하며, 상호 밀착부의 밀봉 성능을 향상시킨다.
더스트 실은 커버와 스로틀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의 상호 위치적 관계는 변하지 않는다. 스로틀 밸브 주몸체가 스로틀 조정을 위하여 회전될 때 일지라도 더스트 실과 스로틀 밸브 주몸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찰에는 변화가 없다. 따라서, 부드러운 작동감은 스로틀 조정 작업 중에 달성될 수 있다.
양호한 밀봉 성능은 O링과 탄성 중합체의 탄성도로부터 얻어진다. 특히, 커버와 탄성 중합체를 일체로 주조하는 것은 사용되는 부품의 갯수를 감소시키고 조립 공수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커버는 고리부를 돌출부와 결합되도록 가압된다. 이러한 가압 동작은 잠시 더스트 실을 압축하며, 더스트 실이 그 원래의 형상으로 회복될 때 양호한 밀봉을 제공하게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신규한 것이라 생각하며, 본 발명의 요소적 특징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개시된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만이며 축적으로 도시된 것은 아니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설명을 읽으면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본 발명의 같은 부품에는 같은 참조번호를 붙여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서 축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다.
본 발명이 적용된 특정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 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보면, 흡입 밸브(3)는 내연기관의 실린더 헤드(1)내에 형성된 흡입 포트(2)내에 배치된다. 흡입 포트(2)에 공기 연료 혼합체를 도입하기 위한 흡입 파이프(4)는 커넥터(5), 단열체(6), 에어 클리너 케이스(7), 스로틀 몸체(8)를 포함한다. 커넥터(5)는 실린더 헤드(1)에 결합된다. 단열체(6)는 절연재로 형성된다. 연료 분사 밸브(9)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7)의 하부 부분에 의해 형성된 흡입 파이프(4)의 한부분에 배치된다. 연료 분사 밸브(9)는 분사 구멍이 흡입 파이프(4)의 내측을 향하여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단열체(6)는 열이 엔진으로부터 에어 클리너 케이스(7)와 스로틀 몸체(8)로 직접 전도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의해 단열체(6)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7)와 스로틀 몸체(8)가 비교적 낮은 내열성을 가진 수지재로 형성되도록 한다.
스로틀 몸체(8)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7)의 내측에 형성된다. 흡입 포트(81)는 에어 클리너 케이스(7)내로 돌출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 주몸체(공기 필터)(도시 안함)에 의해 여과된 공기는 내연 기관의 흡입 행정 중에 스로틀 몸체(8)의 상부 부분에 배치된 확대된 흡입 포트(81)를 통하여 흡입 파이프(4)내로 도입된다.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는 스로틀 몸체(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 된다.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는 버터플라이 밸브부(11, 이하에서 "밸브부"라 한다)와 스로틀 몸체(8)상의 밸브부(11)를 지지하는 축부(12)를 포함한다.
도 1은 스로틀 밸브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스로틀 밸브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스로틀 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스로틀 몸 체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2, 3, 11 및 12를 보면, 스로틀 몸체(8)내에 결합되어 있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는 밸브부(11), 축부(12), 드럼부(13)를 포함한다. 축부(12)는 양단부에 의해 스로틀 몸체(8) 상에 밸브부(11)를 지지한다. 스로틀 케이블(도시 안됨)은 드럼부(13)에 연결된다. 스로틀 케이블은 스로틀을 개방 조정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밸브부(11)를 회전시킨다. 밸브부(11), 축부(12), 드럼부(13)는 수지로 일체로 주조되어 있다.
밸브부(11)와, 적어도 밸브부(11)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에서의 흡입 파이프(4)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단면(도 3 참조)을 가진다. 밸브부(11)는 폐쇄된 상태에서 스로틀 밸브 내의 스로틀 몸체(8)의 내측에 형성된 스텝의 표면과 접촉한다. 상기 스텝은 밸브부(11)(도 2에 도시된 스로틀 몸체(8)의 단면도를 참조)에 관하여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에서 흡입 파이프(4)의 축을 변경하여 형성된다.
스로틀 몸체(8)는 벽부(16)와 슬리브(17)를 포함한다. 벽부(16)는 드럼부(13)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슬리브(17)는 벽부(16)의 내측 외주의 측면상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것이다. 스로틀 몸체(8)는 벽부(18)와 슬리브(19)를 더 포함한다. 벽부(18)는 드럼부(13)에 대향한 측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슬리브(19)는 벽부(18)의 내측 외주의 측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축부(12)는 도 1의 밸브부(11)의 하방에 배치된 축부(15)와 밸브부(11)의 상방에 배치된 축부(14)를 포함한다. 축부(12)의 축을 따라 연장된 평면에 의해 두개로 분할된 부싱(20)은 축부(14)의 외측 에지상에 배치되어 있다. 부싱(20)과 함께 축부(14)는 스로트 몸체(8)의 슬리브(17) 내에 삽입되어 있다. 축부(14)를 둘러싸 고 있는 부싱(20)은 밸브부(11)(실제적으로 사각 형상의 한 측면의 길이)의 치수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축부(15)는 밸브부(11)의 치수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도 1에서 하방에 배치된 축부(15)는 슬리브(19)내에 삽입되어 있다. 축부(15)의 단부 부분은 슬리브(19)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와셔(21)는 돌출부 위에 배치되고 스탑링(22)이 이것에 결합된다.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를 제자리에 로크하는 와셔(21)와 스탑링(22)은 스로틀 밸브 주몸체(10)가 스로틀 몸체(8)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밸브부(11)는 탄성부(23)로 덮혀 있다. 탄성부(23)는 밸브부(11)를 덮을 뿐만 아니라 축부(12)와 스로틀 몸체(8)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봉 부재로서도 작용한다. 탄성부(23)는 밸브부(11)로부터 각각 축부(14)와 축부(15)까지 연장된 환형부(24, 25)를 포함한다. 환형부(24, 25)의 외주 에지는 그 일부가 스로틀 몸체(8)와 양호한 접촉을 제공하도록 쉽게 구부러지는 스로틀 몸체(8)와 잘 밀착되도록 주름져 있다. 탄성부(23)는 탄성 중합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중합체는 우수한 내화학성을 제공한다. 탄성부(23)는 플라스틱으로 주조된 스로틀 밸브 주몸체(10)에 주조를 통하여 부가된다. 특히, 탄성부(23)는 듀얼 몰딩을 통하여 스로틀 밸브 주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듀얼 몰딩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특히,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는 플라스틱을 주입 성형하여 우선 형성된다. 탄성부(23)를 형성하기 위하여 탄성 중합체가 주입될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몰드는 주입 성형된 스로틀 밸브 주몸체(10) 둘레에 배치된다. 그런 다음에 탄성 중합체가 몰드내로 주입된다. 이에 의해 탄성부(23)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10)에 부착된다.
탄성부(23)는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작용한다. 특히, 주름진 외주 에지부를 가진 환형부(24, 25)는 축부(12)가 토션 스프링(27)에 의해 축부(12)를 따라 종방향으로 가압될 때, 축부(12)와 스로틀 몸체(8) 사이에서 양호한 밀봉을 제공하도록 스로틀 몸체(8)내의 스텝에 대하여 놓인다. 또한, 밸브부(11)를 덮은 탄성부(23)는 밸브부(11)가 스로틀 몸체(8)내의 스텝과 접촉할 때, 밸브부(11)와 스로틀 몸체(8) 사이에서 양호한 밀봉을 제공한다.
요홈부(26)는 드럼부(13)의 상방, 즉 밸브부(11)로부터 이격된 측면에 형성된다. 요홈부(26)는 축부(12)를 한 방향으로 비틀도록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27)의 코일의 한단부를 지지한다. 벽부(16)의 상부 부분 상에 위치하는 외측 커버(28)는 토션 스프링(27) 코일의 다른 단부를 수용한다. 토션 스프링(27)의 단부 부분(271)은 축부(12)에 로크되고, 단부 부분(272)은 외측 커버(28)에 로크된다. 외측 커버(28)는 토션 스프링(27)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원통형부(281)를 포함한다. 드럼부(13)는 다른 외주를 따라 형성된 요홈(29)을 포함한다. 스로틀 케이블(도시안됨)은 상기 요홈(29)에 의해 안내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4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드럼부(13)의 측면으로부터 본)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외측 커버(28)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토션 스프링(27)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과 함께 도 4, 5, 6을 본다. 토션 스프링(27)은 압축 코일 스프링이다. 토션 스프링(27)의 양단부 부분(271, 27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 스프링(27)의 코일 직경(D)의 안쪽으로 만곡되어 있다. 단부 부분(271, 272)은 코일 직경(D)의 중심을 향하여 대향되도록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션 스프링(27)은 드럼부(13)와 스로틀 몸체(8)의 원통형 벽부(16)를 덮는 외부 커버(28)사이에 삽입된다. 요홈부(26)는 드럼부(13)의 상방, 즉 밸브부(11)로부터 이격된 측면상에 형성된다. 요홈부(26)는 한 방향으로 축부(12)를 비틀도록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27)의 코일의 한 단부를 지지한다. 드럼부(13)는 슬릿(131)을 포함한다. 토션 스프링(27)의 단부 부분(271)은 토션 스프링(27)이 회전에 의해 구속되도록 슬릿내에 결합된다. 또한 스로틀 밸브 주몸체(10)의 드럼부(13)는 외측 외주를 따라 형성된 요홈(29)을 포함한다. 스로틀 케이블(도시안됨)은 요홈(29)에 의해 안내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27)의 코일의 다른 단부는 벽부(16)의 상부 부분 상에 위치되는 스프링 홀더로서 작용하는 외부 커버(28)에 의해 수용된다. 외부 커버(28)는 토션 스프링(27)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원통형부(281)를 포함한다. 원통형부(281)는 슬릿(284)을 포함한다. 토션 스프링(27)의 단부 부분(272)는 토션 스프링(27)이 회전에 의해 구속되도록 슬릿(284)내에 결합된다.
토션 스프링(27)은 스로틀이 완전히 닫히는 방향으로 밸브부(11)를 가압하도록 설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스로틀 케이블이 당겨질 때, 축부(12)는 토션 스피링(27)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에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의해 스로틀이 개방된다.
외부 커버(28)는 하부 부분에 배치된 환형 요홈(31)을 포함한다. 더스트 실을 위한 밀봉 부재로서 작용하는 O링(30)은 환형 요홈(31)내에 결합된다. O링(30)은 벽부(16)의 상부에 결합된 외부 커버(28)와 벽부(16)의 상부 단부 부분 사이를 밀봉한다.
토션 스프링(27)은 스로틀 몸체(8)의 벽부(16)를 덮는 외부 커버(28)와 드럼부(13) 사이에 삽입된다. 토션 스프링(27)은 스로틀 밸브 주몸체(10)가 축부(12)에 관하여 회전가능하게 가압하도록 한다. 요홈부(26)는 드럼부(13)의 상방, 즉 밸브부(11)의 이격 측면 상에 형성된다. 요홈부(26)는 한 방향으로 축부(12)를 비틀기 위하여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27)의 코일의 한 단부를 지지한다. 벽부(16)의 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외부 커버(28)는 토션 스프링(27)의 코일의 다른 단부를 수용한다. 축부(12)는 토션 스프링(27)의 단부 부분(271)을 래치(Latch)하고 외부 커버(28)는 단부 부분(272)을 래치한다. 외부 커버(28)는 토션 스프링(27)이 좌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하는 원통형부(281)을 포함한다. 드럼부(13)는 외측 에지를 따라 형성된 요홈(29)을 포함한다. 스로틀 케이블(도시안함)은 요홈(29)에 의해 가이드로서 장착된다.
토션 스프링(27)이 도 1에서 하방으로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를 가압할 때, 환형 부분(24, 25)은 스로틀 몸체(8)의 내측의 유체 통로와 외부부분 사이에서 양호한 밀봉을 제공하도록 스로틀 몸체(8)상에 놓인다.
도 7은 외부 커버와 스로틀 몸체 사이의 결합부를 도시한다. 도 7을 보면, 벽부(16)의 외측 외주 표면상의 두 위치에 돌출부(32)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외부 커버(28)는 하나의 돌출부(32)와 대응하여 결합된 고리부(33)를 포함한다. 각각의 고리부(33)는 처짐부(331)와 수평부(332)를 포함하는 만곡부이다. 수평부(332)는 처짐부(331)로부터 돌출부(32) 아래로 지나가도록 수평으로 연장된다.
외부 커버(28)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바와 같이 벽부(16)에 고정된다. 특히, 외부 커버(28)는 여러 위치에 위치된 고리부(33)와 함께 상방 방향으로부터 벽부(16)에 대하여 위치되며, 여기에서 고리부(33)는 돌출부(32)를 방해하지 않는다. O링(30)은 우선 환형 요홈(31)내에 배치된다. 외부 커버(28)가 벽부(16)상에 위치될 때, 외부 커버(28)는 수평부(332)가 돌출부(32)의 하부 표면과 결합되도록 수평부(332)의 연장된 방향(R)으로 회전한다. 벽부(16)에 관한 외부 커버(28)의 회전 동작은 O링(30)을 압축하도록 벽부(16)의 단부 표면에 대하여 가압되는 외부 커버(28)와 함께 달성된다. 그러므로 고리부(33)는 이전의 동작을 통하여 돌출부(32)상에 고리 연결된다. O링(30)이 그 원래의 형상을 회복하기 위한 탄성력은 외부 커버(28)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될 때 작용한다. 그 결과로서, 고리부(33)와 돌출부(32)는 고정된 벽부(19)와 외부 커버(28) 사이에서의 밀봉 상태로 서로 결합된다.
벽부(18)는 플라스틱재로 형성된 제어 유니트(34)와 함께 장착되어 있다. 제어 유니트(34)는 스로틀 센서(35), 커플링축(36), 제어보드(37), 블럭 또는 도시되지 않은 내장된 IACV 기구가 내장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도 13은 제어 유니트의 하우징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제어 보드(37)는 스로틀 센서(35)에 의해 감지된 출력을 처리하여 IACV 기구를 적어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 회로(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를 포함한다. 제어 유니트(34)의 하우징은 제 1 부분(341)과 제 2 부분(342)을 포함한다. 제 1 부분(341)은 스로틀 밸브 주몸체(10)와 스로틀 센서(35)의 축부(12)를 연결하는 커플링축(36)을 지지한다. 제 1 부분(341)은 IACV기구 또는 자동 스로틀 밸브 기구의 벽부(18)내에 배치된 아이들 포트(38, 39)를 연결하는 덕트라인(40, 41)을 포함한다. 제 2 부분은 복수의 세트스크류(42)를 사용하여 제 1 부분(341)에 결합된다. 스로틀 센서(35), 제어 보드(37), 도시 안된 IACV 기구는 제 2 부분(342)내에 수용된다.
캡(43)은 제 2 부분(342)상에 결합된다. 캡(43)은 제 2 부분(342)으로부터 돌출된 환형부(343)상에 결합된다. 그런 다음에, 환형부(343) 부분 내에 형성된 탭(344)은 캡(43)의 측면의 구멍(431)과 결합되며, 이에 의해 캡(43)이 제위치에 고정된다.
벽부(18)는 그 단부 부분에 플랜지(181)를 포함한다. 제 1 부분(341)은 플랜지(181)에 걸려 있는 복수위 탭(345)을 포함한다. 탭(345)은 플랜지(181)의 단부면의 윤곽에 맞도록 성형된다. 플랜지(181)의 죠오(182)는 탭(345)에 걸리며 이에 의해 제어 유니트(34)는 스로틀 몸체(8)에 연결된다. 제어 유니트(34)와 스로틀 몸체(8)의 하우징은 플라스틱재로 제조한다. 그러므로, 제어 유니트(34)가 플랜지(181)에 대하여 눌려질 때, 탭(345)은 눌려지고 넓어진다. 제어 유니트(34)가 더 눌려질 때, 플랜지(181)의 죠오(182)는 탭(345)의 선두 단부 고리부를 물게 된다. 탭(345)의 탄성은 결합 상태에서 유지된다.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조립된다. 특히,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는 슬리브(17)에 관하여 축부(15)의 측면으로부터 스로틀 몸체(8)내로 삽입된다. 축부(15)가 슬리브(19)를 통하여 통과하게 하면 축부(15)의 단부 부분은 슬리브(19)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그런 다음에, 와셔(21)와 스탑링 (22)을 축부(15)의 단부 부분의 외측 에지에 결합한다.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10)가 한 방향으로 스로틀 몸체(8)에 관하여 조립되도록 다음과 같은 배치를 갖는다. 특히, 부싱(20)은 밸브 부분(11)의 치수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축부(15)는 밸브부(11)의 치수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축부(12)의 형상은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축부(14)의 직경은 부싱(20)과 같이 큰 직경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별개 형태의 부싱(20)이 있어야할 필요성이 없어진다. 또한 이러한 배치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10)가 한 방향으로부터 스로틀 몸체(8)에 조립되는 것을 허용한다.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는 토션 스프링(27)의 반발력이 스로틀 몸체(8)에 대하여 탄성부(23)의 외주 에지부를 가압할 때, 양적인 밀봉 성능이 주어 지게 된다. 더욱이, 스탑링(22)이 축부(14)의 측면으로부터 축부(15)의 측면을 향한 방향으로 트러스트 부하가 적용되도록 축부(12)에 결합 된다면, 더 큰 밀봉 성능이 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호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양호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양호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보면, 스로틀 밸브 장치는 스로틀 몸체(8), 스로틀 밸브 주몸체(10), 토션 스프링(27)을 포함한다.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는 스로틀 몸체(8)에 삽입된다. 토션 스프링(27)은 화살표 방향(R1), 즉 스로틀 밸브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를 가압한다. 또한, 토션 스프링(27)은 화살표 방 향(T), 즉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를 스로틀 몸체(8)로 미는 방향으로 스로틀 밸브 주몸체(10)을 가압한다. 토션 스프링(27)은 코일부(275)와 코일부(275)의 한단부를 만곡하여 형성된 돌출부(276)를 포함한다. 로킹부(277)는 코일부(275)의 다른 단부에 형성된다. 코일부(275)의 다른 단부를 코일 직경의 중심으로 향하여 안쪽으로 구부려서 로킹부(277)를 형성한다.
분해할 때, 토션 스프링(27)은 도 9에서 참조번호 27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유로이 연장된 상태이다.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토션 스프링(27)은 도 9에서 참조번호 27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상태이다. 특히, 토션 스프링(27)의 코일부(275)는 완전히 조립될 때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내에 가압된 채로 수용된다. 토션 스프링(27)의 돌출부(276)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로부터 돌출된다. 돌출부(276)의 양단부(276a, 276b)는 스로틀 몸체(8)내에 구비되어 있는 스프링 지지부로서 작용하는 스테이(82, 83)내의 요홈(84, 85)에 결합된다.
스로틀 밸브 주몸체(10)는 또한 드럼부(13)로부터 축부(14)로 연장된 환형 요홈(121)을 포함한다. 토션 스프링(27)의 코일부(275)는 상기 환형 요홈(121)내에 내장되어 있다. 코일부(275)의 만곡 로킹부(277)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10)의 축부(14)와 드럼부(13)를 직경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도록 슬릿내에 결합된다.
도 10을 보면, 스로틀 케이블(50)은 드럼부(13)에 장착된다. 스로틀 케이블(50)의 한단부는 드럼부(13)에서 핀구멍(133)내에 결합된 핀(51)과 함께 드럼부(13)에 고정되어 있다. 스로틀 케이블(50)은 요홈(29)을 따라 드럼부(13)의 외주의 외측에 감겨 있으며 가이드 튜브(52)내로 연장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27)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스로틀 밸브 주몸체(10)에 조립된다. 특히, 코일부(275)의 단부상의 로킹부(277)는 우선 슬릿(122)내에 결합된다. 그 다음에 코일부(275)는 압축된다. 토션 스프링(27)은 돌출부(276)가 요홈(84, 85)과 같은 레벨로 근접하게 될 때까지 압축될 때, 토션 스프링(27)은 돌출부(276)의 단부(276a, 276b)가 스테이(82, 83) 내의 요홈(84, 85) 부분으로 이동할 때까지 화살표(R1) 방향으로 비틀게 된다. 그 다음에, 그 위치에서, 돌출부(276)는 요홈(84, 85)과 결합되도록 화살표(R1)에 반대방향으로 되돌아 온다.
본 발명의 양호한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토션 스프링(27)의 돌출부(276)의 단부(276a, 276b)와 결합될 스프링 지지부(스테이, 82, 83)는 스로틀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고 별개의 부품으로 스프링 수용부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또한, 토션 스프링(27)의 한단부는 돌출부(276)의 양단부를 통하여 고르게 스로틀 몸체(8)에 지지되고, 토션 스프링(27)의 다른 단부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10)의 축부(12)의 중심에 지지된다. 이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10)의 축부(12)의 연장 방향으로 적용되는 편심 부하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도면부호가 같은 부품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 및 3을 참조로 설명한 스로틀 밸브 장치에 있어서, 제어 유니트(34)의 제 1 부분(341)은 스로틀 몸체(8)내에 포함된 벽부(18)의 플랜지(181)에 의해 걸리는 탭(345)이 구비된다.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양호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장치에 있어서, 한편, 탭(183)은 스로틀 몸체(8)의 벽부 (18)의 플랜지(181)상에 형성된다. 탭(183)은 제어 유니트(34)의 플랜지(346)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에 있어서, 또한 제어 유니트(34)와 스로틀 몸체(8)의 하우징은 플라스틱재로 제조된다. 제어 유니트(34)가 벽부(18)에 대하여 가압 될 때, 탭(183)은 가압되고 넓어진다. 제어 유니트(34)가 더 가압 될 때, 플랜지(346)의 죠오(347)는 탭(183)의 선두 단부 고리부를 건다. 탭(183)의 탄성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제 4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도면부호가 같은 부품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 및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로틀 밸브 장치에 있어서, 외부 커버(28)는 스로틀 몸체(8)의 돌출부(32)가 L형 고리부(33)와 걸리도록 회전되어 제 위치에 고정된다. 도 16에 도시된 스로틀 밸브 장치에 있어서, 한편, 외부 커버(28)는 원통형부(282)가 벽부(16)의 하부 부분보다 더 연장되게 형성되도록 더 깊게 제조된다. 또한, 원통형부(282)의 단부 부분(283)은 벽부(16)의 하부면(161)에 고리가 걸리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사각형 단면을 가진 환형 더스트 실(44)은 외부 커버(28)의 한 부분에 배치되고, 스로틀 몸체(8)의 벽부(16)의 단부면이 접촉된다.
외부 커버(28)가 벽부(16)(도 6에서 상부측으로부터)의 단부 부분의 측면으로부터 가압 될 때, 단부 부분(283)은 팽창한다. 그 다음에 외부 커버(28)는 벽부(16)를 따라 하방으로 더욱 가압된다. 외부 커버(28)는 단부 부분(283)이 벽부(16)의 하부면(161)에 도달할 때까지 가압 될 때, 단부 부분(283)의 고리는 벽부(16)의 하부면(161)에 고리 결합된다. 이는 외부 커버(28)가 스로틀 몸체(8)에 고정되게 하는 결과가 된다.
탄성부(23)와 마찬가지로, 환형 더스트 실(44)은 탄성 중합체로 형성할 수 있다. 환형 더스트 실(44)은 외부 커버(28)와 별개로 형성 또는 듀얼 몰딩으로 통하여 외부 커버(8)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외부 커버(28)는 우선 플라스틱으로 주조된다. 그 다음에, 외부 커버(28)는 환형 더스트 실(44)을 포함하는 치수를 가지는 몰드에 의해 둘러싸인다. 탄성 중합체는 몰드와 외부 커버(28)사이의 공간으로 최종적으로 주입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스로틀 밸브 장치에 있어서, 도 16에 도시된바와 같은 환형 더스트 실(44)은 O링(30) 대신에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를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양호한 제 5 실시예에 따른 스로틀 밸브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16에 도시된 도면부호가 같은 부품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7을 보면, 스로틀 밸브 주몸체(10)의 축부(14)는 밸브부(11)보다 큰 치수를 가진다. 이러한 큰 축부(14)는 상기한 부싱(20)보다 작은 벽두께를 가진 부싱(20)을 거쳐 스로틀 몸체(8)의 벽부(16)에 삽입되고 지지된다. 토션 스프링(27)의 한단부는 축부(14)상에 고정되고 지지된다. 토션 스프링(27)의 다른 단부는 스로틀 몸체(8)에 고정된다.
더스트 실(46)은 드럼부(13)와 축부(14) 사이의 경계부(스텝부)에 배치된다. 더스트 실(46)은 구불 구불한 외주 에지(47)를 가진다. 외주 에지(47)의 한 측면 표면(도 17에서 상부면)은 드럼부(13)의 하부면과 접촉한다. 외주 에지(47)의 다른 한 측면 표면은 벽부(16)의 상부면과 접촉한다. 이에 의해 더스트 실(46)은 축부(14)와 벽부(16) 사이의 공간으로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더스트 실(46)의 외주 에지(47)가 주름져 있기 때문에 더스트 실(46)은 벽부(16)와 드럼부(13) 사이에서의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먼지의 침입을 방지한다.
더스트 실(46)은 코팅 부재로서 상기한 탄성부(23)의 일부분으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탄성 중합체는 탄성부(23)를 주입 성형을 통하여 스로틀 밸브 주몸체(10)에 부가할 수 있다.
도 18은 스로틀 밸브 주몸체(10)에 일체로 주조된 더스트 실(46)을 포함하는 탄성부(23)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탄성부(23)의 환형부(24)는 커플링부(48)에 의해 더스트 실(46)에 연결된다. 릴리프(요홈부)는 커플링부(48)에 대응하는 부분에서 축부(14)에 형성된다.
명세서, 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2004년 9월 24일 일본특허출원 제2004-27762호, 제2004-27761호, 제2004-27763호의 전체 개시 내용이 전체로서 본원에 참조로서 인용되어 있다.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대체안, 수정 및 변경을 하여도 상기 기재내용에 비추어 본 기술분야에서 숙달된 자들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영역이나 사상을 내포하는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6)

  1. 버터플라이 밸브부를 갖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 버터플라이 밸브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된 축부, 스로틀 조정 조작력을 외측으로부터 축부로 전달하도록 축부의 한단부 상에 형성된 확대된 드럼부와, 축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스로틀 밸브 주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스로틀 몸체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용 스로틀 밸브 장치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 장치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와 드럼부의 측면으로부터 스로틀 몸체를 덮기 위한 커버와, 버터플라이 밸브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드럼부를 가압하는 커버와 드럼부 사이에 개재된 압축 코일형의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며,
    토션 스프링의 코일부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토션 스프링은 코일부로부터 안쪽으로 직경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커버와 드럼부와 각각 결합되는 양단부에 의해 제위치에 로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스로틀 밸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커버와 드럼부는 드럼부에 직경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며, 여기에 토션 스프링의 양단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의 스로틀 밸브 장치.
  3. 버터플라이 밸브부를 갖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 버터플라이 밸브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된 축부, 스로틀 조정 조작력을 외측으로부터 축부로 전달하도록 축부의 한단부 상에 형성된 확대된 드럼부와; 축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스로틀 밸브 주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스로틀 몸체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용 스로틀 밸브 장치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 장치는 드럼부로부터 드럼부에 인접한 축부까지 연장되고 축부와 동심으로 형성된 환형 요홈과, 드럼부와 환형 요홈 내측의 축부에 직경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과, 스로틀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개방하고 스로틀 개방 방향으로 폐쇄하는 요홈을 포함하며 스로틀 몸체 내의 드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스프링 지지부와, 한 단부 부분은 코일부로부터 안쪽으로 직경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고 다른 단부 부분은 코일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구부러져 있는 코일부를 포함하는 압축 코일형태의 토션 스프링을 구비하고,
    토션 스프링의 한 단부 부분은 슬릿 내에 삽입되며, 코일부는 환형 요홈 내에 삽입되고, 다른 단부 부분의 돌출부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에 스로틀 폐쇄 방향으로 적용되는 비틀음력을 갖는 스프링 지지부내의 요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용 스로틀 밸브 장치.
  4. 버터플라이 밸브부를 갖는 스로틀 밸브 주몸체, 버터플라이 밸브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된 축부, 스로틀 조정 조작력을 외측으로부터 축부로 전달하도록 축부의 한단부 상에 형성된 확대된 드럼부와; 축부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스로틀 밸브 주몸체를 수용하기 위한 스로틀 몸체를 포함하는 내연 기관용 스로틀 밸브 장치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 장치는 스로틀 몸체로부터 스로틀 밸브 주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드럼부를 동심적으로 둘러싸며 축부를 지지하는 원통형 벽부와, 원통형 벽부와 드럼부 사이에 배치된 환형 더스트 실을 구비하며,
    더스트 실은 주름진 형상으로 형성된 외주 에지를 갖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용 스로틀 밸브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 주몸체와 스로틀 몸체 사이의 부분을 기밀 밀봉하며, 버터플라이 밸브부로부터 버터플라이 밸브와 축부 사이의 경계까지의 영역을 덮는 탄성 중합체로 형성된 코팅 부재를 더 구비하며, 더스트 실은 코팅 부재와 일체로 주조된 탄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용 스로틀 밸브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스로틀 밸브 주몸체는 플라스틱 몰딩을 포함하며, 더스트 실과 코팅 부재는 듀얼 몰딩을 통하여 스로틀 밸브 주몸체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 기관용 스로틀 밸브 장치.
KR1020050083076A 2004-09-24 2005-09-07 스로틀 밸브 장치 KR100746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77763 2004-09-24
JP2004277763A JP2006090237A (ja) 2004-09-24 2004-09-24 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JP2004277761A JP4606829B2 (ja) 2004-09-24 2004-09-24 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JPJP-P-2004-00277762 2004-09-24
JPJP-P-2004-00277761 2004-09-24
JP2004277762A JP4204055B2 (ja) 2004-09-24 2004-09-24 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070A KR20060051070A (ko) 2006-05-19
KR100746789B1 true KR100746789B1 (ko) 2007-08-06

Family

ID=3631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076A KR100746789B1 (ko) 2004-09-24 2005-09-07 스로틀 밸브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46789B1 (ko)
BR (1) BRPI0504130A (ko)
TW (1) TWI304112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5521A (en) * 1995-04-07 1997-11-11 Hadsys, Inc.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5521A (en) * 1995-04-07 1997-11-11 Hadsys, Inc. Throttle valve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070A (ko) 2006-05-19
BRPI0504130A (pt) 2006-05-16
TW200613640A (en) 2006-05-01
TWI304112B (en) 200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8587B2 (en) Throttle apparatus for an engine
EP0780565B1 (en) EGR system using a control valve arranged perpendicularly to the axis of an air intake passage
EP1092854B1 (en) Intake air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anufacturing the same
JPH07151508A (ja) 回転スロットル位置センサ
JP5420059B2 (ja) エアバイパスバルブ装置
JP2007046470A (ja) 吸気装置
US4949983A (en) Multi plane articulating rod seal
KR100746789B1 (ko) 스로틀 밸브 장치
EP3540279B1 (en) Solenoid valve device
US7469879B2 (en) Throttle device and motor therefor
JP4606829B2 (ja) 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JP4204055B2 (ja) 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JPH09303164A (ja) エンジンのスロットルボディ及び吸気装置
US6352019B1 (en) Diaphragm actuator
JP5846852B2 (ja) 気化器のチョーク機構
JPH1078142A (ja) 操作装置
KR101300043B1 (ko) 전자식 가속페달의 히스테리시스 모듈
US6378846B1 (en) Carburetor with adjustable flow rate throttle lever
KR101553615B1 (ko) 히스테리시스 발생 구조를 구비한 가속페달
JP2006090237A (ja) スロットルバルブ装置
KR100286929B1 (ko) 압력 스위치 및 압력 스위치 부착 펌프
JP2001182558A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及びその組付方法
JP7221121B2 (ja) 燃料供給装置
JP7308685B2 (ja) アクチュエータ
JP3932596B2 (ja) 回転スロットル位置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