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523B1 -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와 그 사용 방법 및 바퀴벌레 포획기 - Google Patents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와 그 사용 방법 및 바퀴벌레 포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523B1
KR100746523B1 KR1020000040127A KR20000040127A KR100746523B1 KR 100746523 B1 KR100746523 B1 KR 100746523B1 KR 1020000040127 A KR1020000040127 A KR 1020000040127A KR 20000040127 A KR20000040127 A KR 20000040127A KR 100746523 B1 KR100746523 B1 KR 100746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ckroach
container
attractant
test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161A (ko
Inventor
스기야마다카시
핫토리아츠히코
Original Assignee
후마킬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056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9020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1071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19980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0452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88009A/ja
Application filed by 후마킬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마킬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6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10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 A01M1/103Catching insects by using Traps for crawling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 A01M2200/01Insects
    • A01M2200/011Crawling ins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벌레 구제 장치에 배치되는 식이 물질 등을 바퀴벌레가 물어뜯는 것을 빠르게 하는 동시에, 효과의 지속성이 있는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와 그 사용 방법 및 매우 효율적으로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바퀴벌레 포획기를 제공한다. 주요 성분으로서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 아밀아세테이트, 아밀부틸레이트의 적어도 2 성분 이상을 함유하는 발산성의 소프트 후루츠계 후레버(flavor)로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구성한다. 그것을 용기측에 부여한다. 그 용기의 하나인 바퀴벌레 포획기는 그것에 설치된 바퀴벌레 침입구의 저면에서부터 상부면까지의 최단의 높이가 5∼20 mm이다.

Description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와 그 사용 방법 및 바퀴벌레 포획기{EATING INDUCING ATTRACTANT FOR COCKROACH, METHOD OF USING THE SAME AND COCKROACH TRAP}
도 1은 바퀴벌레 포획기의 일례의 개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바퀴벌레 유인제와 그 사용 방법, 더욱 자세하게는 바퀴벌레의 끽식(喫食)을 촉진하는 유인제와 그 사용 방법 및 바퀴벌레 포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바퀴벌레의 구제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중 바퀴벌레가 스스로 구제 수단에 접근하도록 하는 구제 방법으로서, 식독제나 점착제가 설치된 용기를 이용하는 것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식독제(食毒劑)는 살충제를 함유시킨 바퀴벌레가 즐겨 먹는 음식물을 바퀴벌레가 출입하는 장소에 놓고, 이것을 바퀴벌레가 먹음으로써, 바퀴벌레를 사멸시키는 것인데, 이 살충제를 함유시키기 위한 식이(食餌)로서는 바퀴벌레의 식이 물질 및 바퀴벌레가 적극적으로 유인되는 유인성 식이 물질이 유효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점착제가 설치된 용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용기에 바퀴벌레가 유인되는 유인성 물질이나 유인성의 식이 물질을 주로 사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바퀴벌레의 식이 물질로서는 예컨대, 조, 피, 기장, 메밀, 옥수수, 낙화생, 대두, 쌀겨 등의 곡류, 두류 혹은 이들의 혼합물의 분쇄물(일본 특허 공개 소53-38626호 공보), 술지게미, 술지게미의 건조물, 술지게미의 반건조물이나 빵가루, 번데기 가루, 키나가루, 전분 등과의 병용(일본 특허 공개 소53-113027호 공보)이 알려져 있다.
또, 식이 물질 중에서도 특히 유인성이 있는 식이 물질로서는 고구마, 토란, 콘스타치 등의 전분류, 밀가루, 메밀가루, 쌀가루 등의 분류(粉類), 쌀겨, 밀기울 등의 박강류(粕糠類), 대두 지게미, 면실(綿實) 지게미 등의 유박류(油粕類), 전분 지게미, 맥주 지게미 등의 제조 지게미류, 어분, 육분, 혈분 등의 부산물, 대두, 호박, 당근 등(일본 특허 공개 소60-54303호 공보), 밀크, 치즈, 크릴 가루, 분말 곤충 사료, 밀기울, 밀가루, 목분 혹은 이들의 혼합물(일본 특허 공개 소62-278930호 공보), 참기름(일본 특허 공개 소53-91140호 공보), 비스켓 부스러기, 크래커 부스러기, 어분, 번데기 가루, 키나가루, 밀가루, 옥수수 가루, 설탕 등(일본 특허 공개 소55-94302호 공보)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유인성 물질로서는, 예컨대 탄소수가 4 내지 10개인 지방산과 다가 알콜로 이루어진 지방산 에스테르(일본 특허 공개 소48-58126호 공보), 방향(芳香)을 갖는 방향족 화합물로, 알데히드, 케톤, 페놀, 알콜, 아민, 카르본산 또는 그 에스테르(일본 특허 공개 소50-42053호 공보), 목타르 또는 목초산에서 자극 성분을 제 거한 잔류물(일본 특허 공개 소50-46842호 공보), 비환원성 전분 중간 가수 분해물(일본 특허 공개 소50-88235호 공보), 만톨 및/또는 에틸만톨(일본 특허 공개 소52-38024호 공보), 메이플, 프에누그리크, 백화, 이들의 정제물, 효모 추출물 및 카라멜(일본 특허 공개 소52-82728호 공보), 알로에 식물 및/또는 알로에 식물의 추출물(일본 특허 공개 소61-291505호 공보), 제비붓꽃 종자유, 붓꽃 종자유, 노꽃창포 종자유, 달마히오우기 종자유(일본 특허 공개 소62-135403호 공보) 등이 알려져 있다. 더욱이, 바퀴벌레 해충의 분비물, 변, 그 추출물 또는 사체나 껍데기 등의 해충 자체가 같은 동료를 집합적으로 유인하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소50-9543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5-490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4-342511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것과 같은 식이 물질이나 유인성의 식이 물질은 음식물이므로 변질을 피할 수 없어 바퀴벌레의 끽식성이 저하되고, 그 때문에 유인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었다. 또한, 품질의 차이를 피할 수 없으므로, 한번에 여러곳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식독제로서의 사용시에는 개개의 식이를 물어뜯는 데에 따른 차가 있다고 하는 문제와, 그 때문에 사용자의 불신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 이 먹지 않은 먹이와 먹고 남은 먹이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부패나 변질이 생겨, 악취나 곰팡이 등이 발생하고, 특히 주방 등의 사용 장소에서는 불쾌하며 비위생적이다. 또, 다른 해충의 서식을 초래할 우려도 있다.
한편, 유인성 물질은 원재료의 입수가 불안정하고, 제조가 어렵다는 점에서 비용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서, 실용성 측면에서 만족스러운 것은 아니었다.
또한, 바퀴벌레를 구제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바퀴벌레를 포획하는 장치(바퀴벌레 포획기)가 수많이 제안되어 있지만, 종래 시판되고 있는 바퀴벌레 포획기는 모두 포획기 내에 바퀴벌레가 침입하지 않으면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이들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바퀴벌레가 즐겨 끽식하는 물질이나 바퀴벌레를 유인하는 향기 물질을 포획기 내에 설치하는 등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지만, 모두 실제의 집이나 식당 등의 현장에서 바퀴벌레를 포획기 내로 침입하게 하는 효과가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공지의 식이 물질, 유인성 식이 물질 및 유인성 물질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는 유인제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재료적 관점에서 안정적으로 비교적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고, 식독제로서 또는 점착제가 설치된 용기에 사용된 경우에는 바퀴벌레가 식이 물질 등을 물어뜯는 것을 빠르게 하는 동시에, 식이 물질 등의 품질의 변동이나 열화에 의한 효력의 저하를 극력 보완하고, 나아가 변질이 적고, 향기가 좋은 끽식 유발성 유인제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집이나 식당 등에 생식하는 바퀴벌레를 실제의 집이나 식당 등의 건물 내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포획하는 바퀴벌레 포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1) 주요 성분으로서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 아밀아세테이트, 아밀부틸레이트의 적어도 2 성분 이상을 함유하는 분산성의 소프트 후르츠계 후레버(flavor)로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구성한다.
(2) 상기 주요 성분을 후레버 베이스유로서 30∼85 중량% 함유하도록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구성한다.
(3) 상기 끽식 유발성 유인제는 식독제에, 또는 포획기에 이용되는 유인제에 배합하여 사용한다.
(4) 상기 끽식 유발성 유인제의 후레버 성분의 전형적인 예는 바나나 후레버로 한다.
(1)에 따르면, 바퀴벌레의 물어뜯음을 빠르게 하는 동시에 끽식량을 높이는 끽식 유발성 유인제가 저렴하게 안정적으로 제공된다.
(2)에 따르면, 끽식 유발성 유인제의 작용 효과가 가장 유효한 것이 제공된다.
(3)에 따르면, 각종 바퀴벌레 구제 방법에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 있는 끽식 유발성 유인제가 제공된다.
(4)에 따르면, 재료의 입수가 저렴하고, 또한 효과가 큰 끽식 유발성 유인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끽식 유발성 유인제의 사용 방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5) 주요 성분으로서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 아밀아세테이트, 아밀부틸레이트의 적어도 2 성분 이상을 함유하는 발산성의 소프트 후르츠계 후레버로 이루어진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용기에 부여한 것;
(6) 상기 (5)의 경우, 용기가 유인 식독제을 수용하는 독먹이 용기인 것;
(7) 상기 (5)의 경우, 용기가 유인 포획용 포획 용기인 것;
(8) 상기 (5)∼(7)의 경우, 인쇄, 도포 또는 함침하여 부여한 것;
(9) 상기 (5)∼(7)의 경우, 용기 재료에 혼합하여 부여한 것;
(10) 상기 (5)∼(7)의 경우, 별개 부재의 시트 재료에 미리 인쇄, 도포 또는 함침시킨 것을 배치하여 부여한 것을 제안하고 있다.
(5)에 따르면, 바퀴벌레 구제용 용기측에 유효성 있는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배치하게 되기 때문에, 미리 공장에서 준비할 수 있어서, 제작이 용이하고, 넓은 면적쪽에 준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인 효과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다.
(6)에 따르면, 독먹이 용기에 유효성 있는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부여하기 때문에, 독먹이의 준비와 유인제의 준비를 별개로 하는 것도 가능하기 때문에, 재료의 준비나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7)에 따르면, 유인 포획용의 포획 용기에 유효성 있는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부여하기 때문에, 미리 점착제에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8)에 따르면,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는 인쇄, 도포 또는 함침시켜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용기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9)에 따르면,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는 용기 재료에 혼합하여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보다 간단하게 된다.
(10)에 따르면,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는 별개 부재의 시트재료에 미리, 인쇄, 도포 또는 함침시킨 것을 배치하여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시트 재료에 범용성이 있어, 각종 제작이 간략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검토한 결과, 바퀴벌레가 건물 중에서도 좁고 어두운 공간을 좋아하고, 특히 좁은 틈에 침입할 때, 촉각으로 더듬어서 틈의 사이즈를 감지하기 때문에, 자기 몸의 사이즈에 비해서 지나치게 작은 틈뿐만 아니라 벽면에 촉각이 닿지 않는 큰 공간도 싫어한다고 하는, 종래에는 전혀 고려되지 않았던 습성을 갖는 점에 착안하여, 바퀴벌레의 침입에 최적인 바퀴벌레 포획기의 침입구 높이를 처음으로 알아냄으로써, 본 발명의 바퀴벌레 포획기를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서는,
(11) 바퀴벌레 포획기에 설치된 바퀴벌레 침입구의 저면에서부터 상부면까지의 최단의 높이가 5∼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퀴벌레 포획기를 제안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바퀴벌레가 먹다 남은 과실에 잘 모여든다는 기지의 사실로부터, 이것을 더욱 연구한 바, 향기로운 냄새를 갖는 수분을 포함한 과육 분쇄물에는 모이지만, 향기로운 냄새를 소실한 건조물에는 극단적으로 모여들지 않게 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각종 과육과 그 가공물의 유인 효과 차이를 연구하고 있던 중에, 일 부 과육의 향기가 바퀴벌레의 물어뜯음을 빠르게 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의한 끽식 유발성 유인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식품 후레버에 사용되고 있는 조합 성분 예컨대, 에틸아세테이트, 이소아밀알콜, 이소아밀아세테이트, n-아밀아세테이트, n-부틸아세테이트, 이소부틸아세테이트, 이소아밀부틸레이트, n-헥실아세테이트, 바닐린, 에틸바닐린, 헥실알데히드, 이소아밀알데히드, 부틸알콜, 디아세틸, 헥실아세테이트, 이소아밀이소발러레이트, 아밀발러레이트, 청엽 알콜, 청엽 알콜아세테이트, 이소오이게놀, 쿠마린, 에틸카프로에이트, 에틸카프리에이트, 아세트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게라닐아세테이트, 알릴카프로에이트, 에틸헵틸레이트, 노나락톤, 운데카락톤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각 성분을 조합(組合)시켜 조합(調合)한 것을 사용한다.
이 조합 성분 중, 바퀴벌레의 먹기를 가장 잘 재촉하는 끽식 유발성 유인제의 조합으로서, 아밀아세테이트, 아밀부틸레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의 적어도 2 성분 이상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후레버 베이스유로, 주요 성분의 총 함유량이 30∼85 중량%인 범위에서 유인 효과가 높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함유하는 후레버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식품 후레버에는 후르츠 후레버, 음료 후레버, 조리 후레버, 파이구이 후레버, 스파이스 후레버 등으로 많이 있지만, 이 중에서 후르츠 후레버의 소프트 후르츠계 후레버가 유인성을 보이며, 예컨대 사과 후레버, 바나나 후레버, 체리 후레버, 포도 후레버, 멜론 후레버, 파인애플 후레버, 자두 후레버 등이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과 후레버, 포도 후레버, 파인애플 후레버, 바나나 후레버를 들 수 있다. 상기 주요 성분의 함유량은 후레버 베이스유로서 30 중량% 이상이다. 또, 구로 바퀴벌레에 효과가 높은 후레버는 포도 후레버이고, 챠바네 바퀴벌레, 구로 바퀴벌레 등 다종의 바퀴벌레에 유인 효과를 보이는 후레버는 바나나 후레버 등이 있으며, 상기 주요 성분의 함유량은 후레버 베이스유로서 30∼85 중량%의 범위이며, 즉효적인 끽식 효과를 보여 적합하다.
상기 후레버는 천연 향료와 합성 향료를 소재로 조합하여, 실용 단위의 후레버 베이스를 작성하고, 이 베이스를 더욱 가공하여, 수용성 향료(엣센스), 유성 향료(오일), 유화 향료, 분말 향료 등으로 마무리된다. 이 각 향료 또는 베이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후레버 중의 끽식 유기 성분의 조합 비율은, 바퀴벌레의 종류나 고형, 분말형, 액상, 젤리형, 정제 등의 제제 형태, 혹은 제제의 사용 원재료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끽식 유발성 유인제의 효력 지속 수단으로는, 예컨대 마이크로 캡슐화한 것, 시클로덱스트린 등에 의해 포접화(抱接化)된 것, 실리카, 제올라이트 등 다공질 물질에 흡착된 것 등을 사용하거나,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에 분산된 것, 필림을 적층하는 등 서방화(徐放化) 수단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상기한 것과 같은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바퀴벌레 구제용 용기에 부여하는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서, 식이 물질 및/또는 살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식이 물질은 구체적으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단백질, 탄수화물, 지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예컨대, 식물성, 동물성 단백질로는 옥수수, 감자, 고구마 등의 전분가루, 밀가루, 쌀가루, 대두가루, 낙화생가루, 참깨가루, 밀기울 등, 혹은 번데기, 어분, 새우, 밀크, 치즈, 사료용 효모 등의 분체 등, 탄수화물로는 과당, 포도당, 흑설탕, 적설탕, 삼온당, 과립당(granulated sugar), 벌꿀, 설탕 키비, 과즙 등, 지질로서는 참깨유, 종피 오일, 야자유, 옥수수유, 낙화생유, 올리브유 등의 식물성 기름, 버터기름, 경유(鯨油), 난유(卵油) 등의 동물성유를 들 수 있고, 이들 각 물질이 혼합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살충제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피레슬로이드계 살충제, 유기인계 살충제,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그 밖의 살충제 등이 있다. 예컨대, 피나민포르테, 프탈스린, 펠메트린, 페노트린, 엠펜트린, 프랄레트린, 트란스플트린, 사이페노트린, 테랄레스린, 에토펜브록스 등의 피레슬로이드계 살충제, 페니트로치온, 크롤피리포스, 마라톤 등의 유기인계 살충제, 칼바릴, 프로폭슬 등의 카바메이트계 살충제, 메트푸렌, 피리프록시펜, 디풀벤즈론, 실마진 등의 곤충 성장 저해제, 메톡사디아존, 붕산, 히드라메틸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식이 물질에 살충제 및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배합, 그 밖에 방부제, 산화 방지제, 증량제, 오식(誤植) 방지제, 유인성 물질 등의 성분도 적절하게 원하는 배합 비율로 조합하고, 결합제와 혼합하여, 고루고루 섞어 성형한다. 성형물의 형상은 경도나 연도, 크기, 표면의 상태 등의 물리적 성질이나 수용 용기의 형상도 아울러 먹기 쉬운 형상으로 하면 되고,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분제, 과립, 겔형, 페이스트형 등도 가능하며, 모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포획제(용기)의 유인제는 상기 식이 물질에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배합, 기타, 방부제, 산화 방지제, 유인성 물질 등의 성분도 적절하게, 원하는 배합 비율로 조합하여 결합제와 혼합하고, 고루고루 섞어 성형한다. 또한, 분제, 과립, 페이스트형 등도 가능하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식이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종이재, 수지, 부직포 등 함침재에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함유시킨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유인 식독제를 수용하는 수지성 용기나 포획하는 종이로 만든 포획기에 이겨 넣거나 도포 등의 수단에 의해서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끽식 유발성 유인제의 효과를 구체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시험예 1(식독제의 예, 유인 속도 시험)
(1) 시험에 사용한 제제 : 표 1에 제시된 처방에 기초하여, 각 원료를 혼합하고, 고루고루 섞어 식독제를 조제하여, 이 식독제 2.5 g을 플라스틱으로 만든 용기(직경 4 cm× 높이 0.8 cm)에 충전하여 본 발명품 1 및 비교품 1을 만들었다.
성분 성분량
발명품 1 비교품 1
붕산 15.0 15.0
으깬 감자 40.0 40.0
당밀 10.0 10.0
글리세린 20.0 20.0
14.0 15.0
바나나 후레버 1.0 -
합계 100.0 100.0
※ 바나나 후레버: 아밀아세테이트, 아밀부틸레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의 총 함유량이 후레버 베이스유로서, 약 80 중량%
(2) 시험에 사용한 벌레 : 항온(25℃), 낮이 긴 조건하(14L1OD)에서 누대(累代) 사육중인 챠바네 바퀴벌레(Blattella germanica) 및 구로 바퀴벌레(Periplaneta fuliginosa)
(3) 시험 방법 : 목제 셀터, 물 및 먹이(고형 사료)를 설치한 시험 케이스(25×25 cm) 안에, 시험에 사용할 벌레(챠바네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30 개체 또는 구로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10 개체)를 24시간 방사하여 환경에 순화시켰다. 그 후, 이 케이스 내에 시험에 사용한 제제(본 발명품 1 또는 비교품 1)를 1개 설치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유인수를 카운트하여 조사했다.
시험은 3회 반복했다.
(4) 시험 결과 :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명품 1은 비교품 1에 비해서, 챠바네 바퀴벌레 3.6배, 구로 바퀴벌레 3.7배의 유인 속도를 보였다.
시험에 사용한 벌레 시험에 사용한 벌레의 수 시험에 사용한 제제 유인수 유인 속도* AT50 (분) 효력비
1분후 2분후 5분후 10분후 20분후 30분후
챠바네 바퀴벌레 60 실시예 1 12 33 58 58 59 60 1.80 3.6
비교예 1 0 3 21 46 52 55 6.51 1
구로 바퀴벌레 20 실시예 1 4 7 13 15 19 20 3.01 3.7
비교예 1 0 0 5 9 13 18 11.20 1
※ 유인 속도 AT50 : 50%의 개체가 유인되는 데 걸리는 시간
시험예 2 (식독제의 예, 끽식량 시험)
(1) 시험에 사용한 제제 : 시험예 1에서 제공한 발명품 1, 비교품 1을 사용했다.
(2) 시험에 사용한 벌레 : 시험예 1에서 제공한 챠바네 바퀴벌레 및 구로 바퀴벌레를 이용했다.
(3) 시험 방법 : 목제 셀터, 물 및 먹이(고형 사료)를 설치한 시험 케이스(25×25 cm) 안에, 시험에 사용하는 벌레(챠바네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30 개체 또는 구로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10 개체)를 24시간 방사하여 환경에 순화시켰다. 그 후, 이 케이스 내에 시험에 사용하는 제제(발명품 1 및 비교품 1)를 1개씩 병치하여, 24시간 후에 각각의 끽식량을 조사했다.
시험은 3 반복으로 했다.
(4) 시험 결과 :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명품 1은 비교품 1에 비해서, 챠바네 바퀴벌레 6.4배, 구로 바퀴벌레 2.5배의 끽식성을 보였다.
시험에 사용한 벌레 시험에 사용한 벌레의 수 시험에 사용한 제제 24시간 후의 끽식량 (mg/개체) 끽식비
챠바네 바퀴벌레 60 발명품 1 2.5 6.3
비교품 1 0.4 1
구로 바퀴벌레 20 발명품 1 11.1 2.6
비교품 1 4.3 1
시험예 3(식독제의 예, 시간 경과에 따라 끽식량 시험)
(1) 시험에 사용한 제제 : 시험예 1에서 제공한 발명품 1, 비교품 1을, 실온 조건하에서 24, 72, 120시간 방치한 것을 사용했다.
(2) 시험에 사용한 벌레 : 시험예 1에 제공한 챠바네 바퀴벌레 및 구로 바퀴벌레를 이용했다.
(3) 시험 방법 : 목제 셀터, 물을 설치한 시험 케이스(25×25 cm) 안에, 시험에 사용되는 벌레(챠바네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30 개체 또는 구로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10 개체)를 24시간 방사하여 환경에 순화시켰다. 그 후, 이 케이스 내에 시험에 사용한 제제(발명품 1 또는 비교품 1)를 1개씩 설치하여, 24시간후에 각각의 시간 경과에 따른 끽식량을 조사했다.
시험은 3회 반복했다.
(4) 시험 결과 : 표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명품 1은 비교품 1에 비해서, 시간 경과에 따른 끽식성 저하가 경감되는 결과를 보였다.
시험에 사용한 벌레 시험에 사용한 벌레의 수 시험에 사용한 제제 끽식량(mg/개체)
24시간 경시품 72시간 경시품 120시간 경시품
챠바네 바퀴벌레 60 발명품 1 2.1 2.0 1.8
비교품 1 1.8 1.2 0.9
구로 바퀴벌레 20 발명품 1 13.6 12.8 10.9
비교품 1 13.0 9.5 8.8
시험예 4 (식독제의 예, 유인제 종류별 시험)
(1) 시험에 사용한 벌레 : 표 1에 제시된 식독제 기재(붕산, 으깬 감자, 당밀, 글리세린, 물)에 후르츠계 후레버(사과 후레버, 파인애플 후레버, 바나나 후레버, 멜론 후레버, 포도 후레버) 0.1 중량%를 배합하여, 혼합하고, 고루고루 섞어 조제한 식독제 2.5 g을 플라스틱으로 만든 용기에 충전한 것을 발명품 3, 4, 5, 6, 7로 했다.
또한, 후레버(블루베리 후레버, 오렌지 후레버, 피치 후레버) 0.1 중량%, 바나나 과육 3 중량%를 배합하여, 고루고루 섞어 조제한 식독제 2.5 g을 플라스틱으로 만든 용기에 충전한 것을 비교품 3, 4, 5, 6으로 했다.
그리고, 후레버, 바나나 과육을 배합하지 않은 것을 무처리 먹이로 했다.
※ 사과 후레버 : 아밀부틸레이트, 에틸부틸레이트의 총 함유량이, 후레버 베이스유로서 약 35 중량%
파인애플 후레버 :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의 총 함유량이, 후레버 베이스유로서 약 55 중량%
바나나 후레버 : 아밀아세테이트, 아밀부틸레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의 총 함유량이, 후레버 베이스유로서 약 72 중량%
멜론 후레버 : 아밀아세테이트, 아밀부틸레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의 총 함유량이, 후레버 베이스유로서 약 42 중량%
포도 후레버 :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의 총 함유량이, 후레버 베이스유로서 약 30 중량%
(2) 시험에 사용한 벌레 : 시험예 1에서 제공한 챠바네 바퀴벌레 및 구로 바퀴벌레를 이용했다.
(3) 시험 방법 : 목제 셀터 및 물을 설치한 시험 용기(25×25×10 cm) 안에, 시험에 사용한 벌레(챠바네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30 개체 또는 구로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10 개체)를 24시간 방사하여 환경에 순화시켰다. 그 후, 시험에 사용한 제제(발명품 3, 4, 5, 6 또는 비교품 3, 4, 5, 6)와 무처리 먹이를 나란히 설치하고, 24시간 후에 각각의 끽식량을 측정하여, 끽식비(喫食比)를 조사했다. 시험은 3회 반복했다.
(4) 시험 결과 : 표 5,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품은 미량의 배합에 있어서도 끽식을 재촉하는 효과를 보였다. 특히, 바나나 후레버 배합품은 양 바퀴벌레 시험에 사용된 벌레에 대해 우수한 유인 효력을, 또한 포도 후레버 배합품은 구로 바퀴벌레에 현저한 유인 효력을 보였다.
시험에 사용한 챠바네 바퀴벌레
시험에 사용한 제제 끽식비
발명품 3 사과 1.24
발명품 4 파인애플 1.15
발명품 5 바나나 1.81
발명품 6 메론 1.29
발명품 7 포도 1.14
비교품 3 블루베리 1.04
비교품 4 오렌지 0.97
비교품 5 복숭아 0.89
비교품 6 바나나 과육 1.10
무처리 먹이 1.00
시험에 사용한 구로 바퀴벌레
시험에 사용한 제제 끽식비
발명품 3 사과 1.28
발명품 4 파인애플 1.13
발명품 5 바나나 1.36
발명품 6 메론 1.17
발명품 7 포도 1.37
비교품 3 블루베리 1.00
비교품 4 오렌지 1.03
비교품 5 복숭아 0.91
비교품 6 바나나 과육 1.08
무처리 먹이 1.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제가 설치된 용기를 이용한 바퀴벌레 구제 장치 등에 배치되는 바퀴벌레의 식이 물질에 병용된 경우, 바퀴벌레의 식이 물질의 물어뜯음을 빠르게 하는 동시에, 그 물어뜯는 효과를 보다 지속시키는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가 제공된다.
다음에, 상기 끽식 유발성 유인제의 사용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끽식 유발성 유인제는 필요에 따라서, 식이 물질, 살충제, 기타, 방부제, 산화 방지제, 증량제, 오식 방지제, 유인성 물질 등의 성분을 배합한 후, 바퀴벌레 구제용 용기에 부여한다.
용기는 예컨대 유인 식독제를 수용하는 독먹이 용기나 유인 포획용의 포획 용기이며, 이러한 용기의 재료로는 수지, 종이, 합성지 또는 이들의 복합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용기에의 부여 수단으로서는, 다음과 같은 대표적 예를 들 수 있다.
·인쇄, 도포, 함침 등에 의한 용기에의 부여
·용기의 재료에의 혼합에 의한 용기에의 부여
·별개 부재의 시트 재료에 미리 인쇄, 도포, 함침 등을 해 둔 것의 용기에의 접착 등에 의한 부여
상기한 것 중, 도포에 관해서는 예컨대, 끽식 유발성 유인제와 흡착재나 결합재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용기 표면의 전면 또는 가장 효과적인 부분에 도포하여, 건조함으로써 얻어진다. 흡착제로서는 규산염류, 석고, 세라믹, 알루미나 등의 무기질 분말, 전분, 셀룰로오스 분말 등의 다당류 및 그 유도체 등의 유기질 분말을 예시할 수 있다. 결합재로는 전분, 플루란, 셀룰로오스 유도체 등의 다당류 및 그 유도체, 폴리아미드, 비닐계 폴리머 등의 합성 고분자를 예시할 수 있다.
또, 도포의 경우, 예컨대 마이크로 캡슐화한 끽식 유발성 유인제와 수지 에멀젼 및 결합재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용기 표면의 전면 또는 가장 효과적인 부분에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시간 경과에 따라 효력을 지속시킬 수 있다. 수지로서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등의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마이크로 캡슐화 끽식 유발성 유인제는 젤라틴, 알긴산 소다, CMC, PVA,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 폴리스틸렌, 실리콘 등을 벽재(壁材)로 하여, 계면 중합법, 코어셀페이션법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얻는 것이 좋다. 마이크로 캡슐의 입자 지름은 300 ㎛ 이하, 경시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이다.
더욱이 도포의 경우, 미리 점착재에 배합한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용기의 재료에의 혼합에 관해서는, 용기 원재료에 혼입하여, 이 원재료로 용기를 성형하는 수단, 혹은 미리 함침, 도포, 인쇄를 한 입자, 시트체 등의 가공체를 용기 표면에 배치하는 수단을 들 수 있다.
예컨대,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함침시킨 흡착재를 용기 원료에 혼재시켜, 공지의 방법(인출 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성형, 사출 성형, 압축 성형 등)으로 용기 형상, 시트 형상, 필름 형상 등으로 성형하는 것이 있다.
또, 이상과 같이 끽식 유발성 유인제의 용기에의 부여는 먹이제에의 배합을 배척하는 것은 아니며, 먹이제에의 배합과 병용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용기에 부여하는 시험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식독제 수용 용기의 예 : 유인 속도 시험)
(1) 시험 장치: 마이크로 캡슐화한 바나나 후레버(바나나 후레버량으로서 0.5 g)를 함유한 수지로 만든 수용 용기(직경 4 cm×높이 0.8 cm, 5 g)와, 무배합의 수지로 만든 수용 용기를 준비하여, 이들 용기 각각에 표 7에 제시된 식독제를 배치하여, 발명품 1 및 비교품 1로 했다.
성분 성분량(%)
붕산 15.0
으깬 감자 40.0
당밀 10.0
글리세린 20.0
14.0
합계 100.0
(2) 시험에 사용한 벌레 : 챠바네 바퀴벌레 및 구로 바퀴벌레를 이용했다.
(3) 시험 방법: 목제 셀터, 물 및 먹이(고형 사료)를 설치한 시험 케이스(25×25 cm) 안에, 시험에 사용한 벌레(챠바네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30 개체 또는 구로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10개체)를 24시간 방사하여 환경에 순화시켰다. 그 후, 이 케이스 내에 시험 제공 장치(발명품 또는 비교품)를 1개 설치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유인수를 카운트하여 조사했다.
(4) 시험 결과 :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명품 1은 비교품 1에 비해서, 챠바네 바퀴벌레 4.9배, 구로 바퀴벌레 4.5배의 유인 속도를 보였다.
시험에 사용한 벌레 시험에 사용한 벌레의 수 시험에 사용한 장치 유인수 유인 속도* AT50 (분) 효력비
1분후 2분후 5분후 10분후 20분후 30분후
챠바네 바퀴벌레 60 발명품 1 15 40 55 59 60 60 1.59 4.9
비교품 1 0 0 17 45 53 54 7.90 1
구로 바퀴벌레 20 발명품 1 4 7 15 18 20 20 2.58 4.5
비교품 1 0 0 5 10 11 18 11.83 1
※ 유인 속도 AT50 : 50%의 개체가 유인되는 데 걸리는 시간
시험예 2(점착식 포획기의 예 : 포획 시험)
(1) 시험 장치: 코트 판지로 제작한 포획 용기(세로 7 cm, 가로 10 cm, 높이 1.5 cm)의 내부에,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 시트(6.5×9.5 cm)를 배치한 것을, 시험 제공 점착식 포획기로서 이용했다. 이 점착식 포획기 내의 점착 시트 상의 중앙에, 고형 사료 3 g 및 바나나 후레버 0.1 g을 도포한 여과지편(1×1 cm)을 놓은 것을 발명품 2로 했다. 또한 고형 사료 3 g 및 미도포의 여과지편을 놓은 것을 비교품 2로 했다.
(2) 시험에 사용한 벌레 : 챠바네 바퀴벌레 및 구로 바퀴벌레를 이용했다.
(3) 시험 방법 : 목제 셀터, 물 및 먹이(고형 사료)를 설치한 시험 필드(1×1 m) 안에, 시험에 사용한 벌레(챠바네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50 개체 또는 구로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10 개체)를 24시간 방사하여 환경에 순화시켰다. 그 후, 이 필드 내에 시험에 사용한 제제(발명품 2 및 비교품 2)를 병치하여, 24시간 후에 각각의 포획수를 카운트하여 조사했다.
(4) 시험 결과 :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명품 2는 비교품 2에 비해서, 챠바네 바퀴벌레 4.2배, 구로 바퀴벌레 3.0배의 포획 효력을 보였다.
시험에 사용한 벌레 시험에 사용한 벌레의 수 시험에 사용한 장치 24시간 후의 포획수 효력비
챠바네 바퀴벌레 100 발명품 2 80 4.2
비교품 2 19 1
구로 바퀴벌레 20 발명품 2 12 3.0
비교품 2 4 1
시험예 3(점착식 포획기의 예 : 포획 속도 시험)
(1) 시험 장치 : 코트 판지로 제작한 포획 용기(세로 7 cm, 가로 10 cm, 높 이 1.5 cm)의 내부에, 점착제를 도포한 점착 시트(6.5 ×9.5 cm)를 배치한 것을, 시험 제공 점착식 포획기로서 이용했다. 이 점착식 포획기 내의 점착 시트 상의 중앙에 고형 사료 3 g을 놓고, 점착식 포획기의 표면에 인쇄된 코트제 중에 바나나 후레버 0.1 g를 배합한 것을 발명품 3으로 했다. 또한, 바나나 후레버를 배합하지 않은 코트제를 인쇄한 것을 비교품 3으로 했다.
(2) 시험에 사용한 벌레 : 챠바네 바퀴벌레 및 구로 바퀴벌레를 이용했다.
(3) 시험 방법: 목제 셀터, 물 및 먹이(고형 사료)를 설치한 시험 케이스(25×25 cm) 안에, 시험에 사용한 벌레(챠바네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30 개체 또는 구로 바퀴벌레 자웅 성충 각 10 개체)를 24시간 방사하여 환경에 순화시켰다. 그 후, 이 필드 내에 시험에 사용한 벌레(발명품 3 또는 비교품 3)를 1개 설치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유인수를 카운트하여 조사했다.
(4) 시험 결과 : 표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명품 3은 비교품 3에 비해서, 바퀴벌레 4.7배, 구로 바퀴벌레 4.3배의 유인 속도를 보였다.
시험에 사용한 벌레 시험에 사용한 벌레의 수 시험에 사용한 장치 유인수 유인 속도* AT50 (분) 효력비
1분후 2분후 5분후 10분후 20분후 30분후
챠바네 바퀴벌레 60 발명품 3 11 41 46 58 58 60 1.9 4.7
비교품 3 0 6 20 39 41 49 9.0 1
구로 바퀴벌레 20 발명품 3 2 6 9 15 19 20 4.3 4.3
비교품 3 0 2 3 8 8 14 18.5 1
※ 유인 속도 AT50 : 50%의 개체가 유인되는 데 걸리는 시간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유효성이 높은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바퀴벌레 구제 장치의 용기측에 부여하기 때문에 유인 영역이 확대되어, 보다 높은 유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제 장치의 제작이나 셋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바퀴벌레 포획기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퀴벌레 포획기(이하, 포획기라 함)는 이 포획기에 설치된 바퀴벌레 침입구의 저면에서부터 상부면까지의 최단의 높이가 5∼20 mm인 것이 하나의 큰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는, 침입구의 최단의 높이를 상기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현재 시판되고 있는 제품(침입구의 높이: 25∼32 mm)에 비해 바퀴벌레의 포획기 내부로의 침입을 용이하게 하여 효율적으로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발현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포획의 대상으로 삼는 바퀴벌레로는 챠바네 바퀴벌레, 구로 바퀴벌레, 와몬 바퀴벌레, 야마토 바퀴벌레 등을 들 수 있다.
바퀴벌레 침입구의 저면에서부터 상부면까지의 최단의 높이는 바퀴벌레를 효율적으로 유인하여 포획하는 관점에서, 5∼20 mm이며, 10∼20 mm가 바람직하고, 15 mm 정도가 보다 바람직하다. 특히, 챠바네 바퀴벌레를 효율적으로 포획하는 관점에서, 5 mm 이상이 바람직하고, 구로 바퀴벌레를 효율적으로 포획하는 관점에서, 10 mm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입구의 형상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고, 직사각형, 원형, 다각형 및 이들에 물결 등의 변화를 가한 형상이라도 좋다. 여기서, 상기 「저면에서부터 상부면까지의 최단의 높이」란, 예컨대, 물결 등의 변화를 가한 형상의 경우, 그 여러 가지 높이 중에서 최단의 높이를 말한다.
침입구 폭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침입구의 포획기 저면에서부터의 높이는 바퀴벌레가 침입 가능한 높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침입구 수는 포획기의 크기, 형상 등으로부터 일률적으로 한정할 수 없지만, 예컨대, 상자형 포획기의 경우 포획기 내의 조도의 관점에서 1∼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침입구를 갖는 포획기의 내부 저면에는 바퀴벌레를 포획하기 위해서,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거나, 점착제를 도포한 시트 등을 설치하더라도 좋다. 점착제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폴리프텐, 액상 폴리이소부틸렌, 액상 폴리부타디엔, 액상 폴리클로로프렌, 액상 폴리설파이드, 액상 폴리이소프렌, 합성 고무, 천연 고무 등의 공지의 것을 들 수 있다.
포획기의 외형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고, 상자형, 타원형, 구형(球型) 등을 들 수 있으며, 실제의 집이나 식당에서 바퀴벌레가 숨을 것 같은 틈 사이에 설치하는 관점에서 상자형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획기를 보다 바퀴벌레의 생식 장소에 가까운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에, 포획기의 높이는 실제의 집이나 식당에서 바퀴벌레가 숨을 것 같은 틈에 직접 포획기를 삽입할 수 있는 관점에서, 10∼20 mm가 바람직하고, 10∼15 mm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획기의 높이를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시판품의 경우 설치할 수 없었던 틈 사이에도 설치할 수 있다.
포획기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컨대 상자형의 포획기의 경우에는 가로(짧은 변)의 길이가 8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세로(긴 변)의 길이가 150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획기 내의 조도는 바퀴벌레는 어둑어둑한 환경을 좋아한다는 관점에서, 조도가 120 룩스인 면에 상기 포획기를 설치한 경우, 7 룩스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룩스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포획기 내의 조도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하나의 큰 특징이고, 이러한 조도를 지님으로써, 시판되고 있는 포획기(통상, 7 룩스를 넘는 조도를 지님)에 비해서 바퀴벌레를 포획기 내에 침입하기 쉽게 하여 효율적으로 바퀴벌레를 포획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가 발현된다. 또, 포획기 내의 조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한 방법에 의해서 측정한다.
포획기의 조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침입구에 차양을 설치하거나, 침입구의 수를 필요한 최소의 수로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포획기의 재질로는 종이, 플라스틱, 고무, 금속, 나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경제성, 조립 용이성, 안전성, 폐기 등의 관점에서, 종이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판지 등의 두꺼운 종이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포획기의 예로는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퀴벌레 포획기(1)를 들 수 있다. 도 1은 바퀴벌레 포획기의 사시 설명도이다. 바퀴벌레 포획기(1)는 상자형이며, 옆면이 개구되고, 저면(2), 상부면(3) 및 세로면(4)에 바퀴벌레 침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바퀴벌레 포획기(1)에는 차양이 설치 되어 있지 않지만, 예컨대, 상부면(3)의 세로의 길이를 저면(2)의 세로의 길이보다 길게 함으로써 차양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바퀴벌레 포획기(1)의 상부면(3)의 개구 부분의 형상은 직선형이지만, 예컨대 개구 부분의 양단의 세로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곡선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획기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포획기는 바퀴벌레의 습성을 이용하여, 바퀴벌레를 포획기 내로 침입하기 쉽게 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포획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시험예 1
물(10 g), 고형 사료(종류 : 실험 동물용, 3 g), 목제 셀터(세로 8 cm, 가로 4 cm의 판 2장을 십자로 조합한 것)를 코너부에 설치하여, 시험에 사용할 벌레(챠바네 바퀴벌레 성충, 50 개체)를 방사한 아크릴로 만든 용기(25×25 cm) 안에, 바퀴벌레 침입구(직사각형, 폭 7 cm, 2개, 각각의 침입구에 차양 있음)의 높이를 변화시킨 5 종류의 상자형 포획기(종이로 만듬, 세로 10 cm, 가로 7 cm ; 예 1∼5)를 아크릴로 만든 용기의 중앙 부분에 설치했다. 그 후, 바닥면 조도 120 룩스하에서 3시간, 시험에 사용한 벌레의 행동을 연속적으로 관찰하여, 바퀴벌레의 포획 효율(포획 성공율)을 측정했다. 그 결과는 표 11에 제시되어 있다. 또, 시험은 3회 반복하고, 표 중의 바퀴벌레의 수는 3회 반복 시험의 합계이다.
침입구의 높이* 침입 시험을 한 바퀴벌레의 수 침입한 바퀴벌레의 수 포획 성공율(%)
예 1 3 mm 140 32 23
예 2 5 mm 144 122 85
예 3 10 mm 148 148 99
예 4 15 mm 141 140 99
예 5 20 mm 143 140 98
시판품 A 25 mm 148 139 94
시판품 B 32 mm 141 116 82
* 포획기의 저면에서부터 상부면까지의 거리
표 11의 결과로부터, 챠바네 바퀴벌레에 대하여 포획 효율이 좋은 높이는 5∼25 mm이며, 특히 시판품 A(높이 25 mm) 및 B(높이 32 mm)에 비하여, 10∼20 mm가 보다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시험에 사용한 벌레(구로 바퀴벌레 성충, 10 개체)가 다른 것 이외에는 시험예 1과 같은 식으로 시험에 사용한 벌레의 행동을 연속적으로 관찰했다. 그 결과는 표 12에 제시되어 있다
침입구의 높이* 침입 시험을 한 바퀴벌레의 수 침입한 바퀴벌레의 수 포획 성공율(%)
예 1 3 mm 26 1 4
예 2 5 mm 30 12 40
예 3 10 mm 30 25 83
예 4 15 mm 30 30 100
예 5 20 mm 30 28 93
시판품 A 25 mm 29 25 86
시판품 B 32 mm 28 20 71
* 포획기의 저면에서부터 상부면까지의 거리
표 12의 결과로부터, 구로 바퀴벌레에 대하여 포획 효율이 좋은 높이는 10∼25 mm이며, 특히 시판품 A(높이 25 mm) 및 B(높이 32 mm)에 비하여, 15∼20 mm가 보다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히로시마켄의 하츠카이치시내의 민가에서, 포획기를 설치하고 싶은 장소(바퀴벌레가 있을 것 같은 장소)와, 그 장소에 상기 예 3∼5, 시판품 A 및 B가 실제로 설치 가능한가의 여부에 관해서, 모니터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는 표 13에 제시되어 있다.
설치하고 싶은 장소 틈 높이 (mm) 적합성
예 3 예 4 예 5 시판품 A 시판품 B
부엌 개수대 옆 16 × × ×
개수대 뒤 17 × × ×
주전자 뒤 16 × × ×
냉장고 아래 28 ×
냉장고 옆 22 × ×
냉장고 뒤 20 × ×
찬장 뒤 15 × × ×
전자렌지 아래 17 × × ×
오븐토스터 아래 16 × × ×
가스대 아래 19 × × ×
가스대 옆 16 × × ×
거실 컴퓨터 본체 아래 17 × × ×
장식장 아래 29 ×
서랍장 옆 25 ×
세면장 세탁기 아래 75
틈 적합도(%) 100 100 40 27 7
표 13의 결과로부터 부엌에는 바퀴벌레의 잠복 장소가 될 수 있는 틈이 수많이 존재하고, 예 3∼5에서 이용한 포획기는 시판품 A 및 B에 비해, 보다 많은 틈에 설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예 3∼4에서 이용한 포획기는 모든 틈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최적의 포획기의 높이는 2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mm 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형광등(20 와트 2등)을 점등한 다다미 8장 넓이의 시험실 내에, 1m×1m의 시험 필드를 제작하여, 시험예 1과 같은 식으로 물, 고형 사료, 목제 셀터를 설치하여, 시험에 사용할 벌레(구로 바퀴벌레 성충, 100 개체)를 방사했다. 이 시험 필드 내에 점착제를 갖춘 포획기 6개(실시예 1∼4 및 비교예 1∼2)를 10 cm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하여, 24시간 후의 각각의 포획기 내의 포획충 수를 조사했다. 시험 필드 내의 저면의 조도는 100∼120 룩스의 범위였다. 또, 시험은 3회 반복했다. 표 중, 실시예 1의 포획기는 상기 예 4의 포획기이며, 실시예 2에서 이용한 포획기는 예 4의 포획기의 차양을 제외한 것이고, 실시예 3 및 4에서 이용한 포획기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각각의 포획기의 가로 면에 세로 면과 동일한 크기의 침입구를 설치한 것이다. 즉, 각 포획기의 침입구의 높이는 15 mm로 일치시켰다. 또한, 각 포획기 내의 조도는 미놀타 디지털 조도계 T-1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입구의 수 차양 유무 포획기내 조도(룩스) 포획충 수 비고
실시예 1 2 2.9 27 예 4
실시예 2 2 3.3 25
실시예 3 4 4.3 21
실시예 4 4 7.0 11
비교예 1 4 7.6 9 시판품 A
비교예 2 4 8.4 7 시판품 B
표 14의 결과로부터, 포획기 내의 조도가 7 룩스 이하인 포획기(실시예 1∼4)는 조도가 7 룩스를 넘는 시판품 A(비교예 1) 및 B(비교예 2)에 비하여, 포획충 수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포획기 내의 밝기를 7 룩스 이하, 바람직 하게는 5 룩스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포획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바퀴벌레 포획기는 설치 장소의 자유도가 크고, 본 발명의 바퀴벌레 포획기를 이용함으로써, 집이나 식당 등에 서식하는 바퀴벌레를 실제의 집이나 식당 등의 건물 내에서 매우 효율적으로 포획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개시한 실시예에 관해서,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 생략, 추가가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요소에 의해서 규정되는 범위 및 그 균등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다.

Claims (14)

  1. 주요 성분으로서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부틸레이트, 아밀아세테이트, 아밀부틸레이트 중 적어도 2 성분 이상을 함유하는 발산성의 소프트 후르츠계 후레버(flavor)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바퀴벌레용 끽식(喫食) 유발성 유인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성분을 후레버 베이스유로서 30∼85 중량%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
  3. 제1항에 있어서, 식독제, 또는 포획기에 이용하는 유인제에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
  4. 제2항에 있어서, 식독제, 또는 포획기에 이용하는 유인제에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징인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후레버가 바나나 후레버인 것이 특징인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
  6. 제1항에 기재된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를 용기에 부여하는 것이 특징인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의 사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용기는 유인 식독제를 수용하는 독먹이 용기인 것이 특징인 사용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용기는 유인 포획용의 포획 용기인 것이 특징인 사용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인쇄, 도포 또는 함침시켜 부여하는 것이 특징인 사용 방법.
  10.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용기 재료에 혼합하여 부여하는 것이 특징인 사용 방법.
  11.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별개 부재의 시트 재료에 미리 인쇄, 도포 또는 함침시킨 것을 배치하여 부여하는 것이 특징인 사용 방법.
  12. 제8항에 기재된 포획 용기로서, 그것에 설치된 바퀴벌레 침입구의 저면에서부터 상면부까지의 최단 높이가 5∼20 mm인 것이 특징인 바퀴벌레 포획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조도가 120 룩스인 면에 바퀴벌레 포획기를 설치한 경우, 그 포획기 내부의 조도가 5룩스 이하인 것이 특징인 바퀴벌레 포획기.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의 길이가 80 mm 이하이고 세로의 길이가 150 mm 이하인 것이 특징인 바퀴벌레 포획기.
KR1020000040127A 2000-01-14 2000-07-13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와 그 사용 방법 및 바퀴벌레 포획기 KR100746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5643A JP2001190205A (ja) 2000-01-14 2000-01-14 ゴキブリ捕獲器
JP2000-5643 2000-01-14
JP2000-10717 2000-01-19
JP2000010717A JP2001199801A (ja) 2000-01-19 2000-01-19 ゴキブリ用喫食誘起性誘引剤
JP2000104529A JP2001288009A (ja) 2000-04-06 2000-04-06 ゴキブリ用喫食誘起性誘引剤の使用方法
JP2000-104529 2000-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161A KR20010076161A (ko) 2001-08-11
KR100746523B1 true KR100746523B1 (ko) 2007-08-07

Family

ID=3753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127A KR100746523B1 (ko) 2000-01-14 2000-07-13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와 그 사용 방법 및 바퀴벌레 포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5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379A (ko) * 1997-09-26 1999-04-26 고사이 아끼오 살충/살진드기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379A (ko) * 1997-09-26 1999-04-26 고사이 아끼오 살충/살진드기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161A (ko) 200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998345B (zh) 一种诱杀蟑螂的胶饵及其制备方法
MXPA04001600A (es) Dispositivo para controlar insectos.
JP2009507785A (ja) 蚊及び小虫の空間的阻害剤、抑止剤及び忌避剤
JP3878366B2 (ja) ダニ捕獲器
JPS6039642B2 (ja) ゴキブリ殺虫剤
Barak Development of a new trap to detect and monitor khapra beetle (Coleoptera: Dermestidae)
JP3867810B2 (ja) 殺虫剤を含む餌の改良した乳濁液組成物
US3220921A (en) Bait-insecticide
KR100746523B1 (ko) 바퀴벌레용 끽식 유발성 유인제와 그 사용 방법 및 바퀴벌레 포획기
US5720968A (en) Device for controlling pests
CN110100846A (zh) 一种可以诱杀螨虫的制作方法
JP3909779B2 (ja) 害虫誘引方法及び害虫防除方法
JPH1192301A (ja) 害虫防除用毒餌剤、害虫誘引剤および害虫の防除方法
JP4616446B2 (ja) ゴキブリ捕獲用容器
JPH092905A (ja) 害虫誘引剤および害虫防除用毒餌剤
JP4970186B2 (ja) ゴキブリ用定着材
JP2001199801A (ja) ゴキブリ用喫食誘起性誘引剤
CN106234477B (zh) 一种诱杀螨虫香粉的应用方法
US9420779B1 (en) Insect baits
AU716136B2 (en) Insecticidal composition
JP2001288009A (ja) ゴキブリ用喫食誘起性誘引剤の使用方法
JPH09169611A (ja) ゴキブリ誘引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ゴキブリ誘殺剤
JP7083260B2 (ja) アリ用誘引剤及びアリ用毒餌剤
JP2860771B2 (ja) ゴキブリ誘因剤及び該誘因剤を使用したゴキブリ駆除方法
JP2019156811A (ja) 害虫用毒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