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480B1 - 문자 자동 마킹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자동 마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480B1
KR100746480B1 KR1020020039200A KR20020039200A KR100746480B1 KR 100746480 B1 KR100746480 B1 KR 100746480B1 KR 1020020039200 A KR1020020039200 A KR 1020020039200A KR 20020039200 A KR20020039200 A KR 20020039200A KR 100746480 B1 KR100746480 B1 KR 100746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king
hull member
unit
hull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9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4956A (ko
Inventor
변구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9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480B1/ko
Publication of KR2004000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1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for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Landscapes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자동 마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선박 건조시 전처리 공정에서 철판을 이동하는 중에 선각 부재의 정보를 자동으로 마킹할 수 있도록 하여 마킹 처리속도를 증가 시키고, 작업 공수와 작업자의 피로를 감소시키며, 공기를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문자 자동 마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마킹이 이루어지는 이동식 마킹장치부(1) 및 고정식 마킹장치부(15)와, 강판의 반입상태와 형태를 검출하는 강재 센서(2)와, 각종 제어장치를 한군데로 모아 놓은 제어부(3)와, 선각부재에 마킹될 내용을 입력하는 설계정보부(4)와, 전처리 공정으로 투입되는 선각부재의 종류를 결정하는 공정관리부(5)로 구성된 문자 자동 마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선각부재, 전처리공정, 자동마킹, 잉크헤드, 이동식, 고정식, HSPN모듈.

Description

문자 자동 마킹 방법{Automatic Character Marking System}
도 1 은 종래의 부재 문자 마킹 수작업 사진,
도 2 는 본 발명 이동식의 실시예의 실험사진,
도 3 은 본 발명 이동식의 실시예의 전체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 이동식의 마킹장치부의 입체도,
도 5 는 본 발명 이동식의 마킹장치부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 고정식의 마킹장치부의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 고정식의 실시예의 작동순서도,
도 8 은 본 발명 고정식의 마킹장치부의 구성 다이어그램,
도 9 는 본 발명 고정식의 마킹장치부의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 고정식의 마킹장치부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식 마킹장치부 (2) : 강재센서
(3) : 제어부 (4) : 설계정보부
(5) : 공정관리부 (6) : 캐리지
(7) : Z축 모터 (8) : Y축 모터
(9) : X축 모터 (10) : 이동식 잉크헤드
(11) : 컨베이어 롤러 (12) : 가이드 축
(13) : 고정식 마킹장치부 (14) : 고정식 잉크헤드(HSPN 모듈)
(15) : 거더 (16) : 업-다운 에어실린더장치
본 발명은 문자 자동 마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건조시 전처리 공정에서 철판을 이동하는 중에 선각 부재의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마킹할 수 있도록 하여 마킹속도를 증가 시키고, 작업 공수와 작업자의 피로를 감소시키며, 공기를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동식과 고정식의 문자 자동 마킹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건조의 최초 작업은 가공공장에서 시작되는 강재의 전처리작업, 이 강재의 절단작업, 및 성형작업을 거치며 “선각(船殼)부재”를 제작하는 되는데, 철판 형상의 강재를 잘라서 선체 일부의 모양에 맞도록 접고 굽혀 설계도면과 같이 선각부재를 제작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후, 소조립 공장에서 크기가 작은 다수개의 선각부재를 서로 결합시키는 작업을 통해, 선체 블록의 일부를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도 1 과 같이 마킹작업 수행을 위해 설계실에서 출도한 도면을 장비 운전자가 판독하여 이해한 후 절단정반에서 절단장비 가동 중 철판위에 부재별로 수작업을 실시함으로서 다량의 공수 및 비용이 소비되었고, 값비싼 절단장비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부재번호의 오 게재로 인하여 생산라인에 혼란을 초래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선박 건조시 전처리 공정에서 철판을 이동하는 중에 선각 부재의 식별정보를 자동으로 마킹할 수 있도록 하여 마킹 처리속도를 증가 시키고, 작업 공수와 작업자의 피로를 감소시키며, 공기를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이동식의 문자 자동 마킹 방법 및 장치와 고정식의 문자 자동 마킹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X, Y, Z축으로 이루어진 직교좌표 로봇장치로 구성된 마킹 장비(마킹헤드 포함)와 철판이 동시에 이동하면서 마킹하는 시스템으로, LM 가이드를 일측면 상부와 하부에 구비하여 Y축 상에 형성한 가이드 축과, 상기 LM 가이드 상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직교좌표 로봇의 Z축에 듀얼 식으로 장착된 잉크헤드와, 로봇의 상부 일측에 잉크 클리닝 장치를 장착하여 구성한 이동식 마킹장치부와, 철판의 반입상태와 형태를 검출하는 강재 센서와, 기능을 분산하여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내부온도를 안정시키는 온도 조절장치와, 이동하는 선각부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모니터 및 CCTV와, 각종 센서 및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한 제어부와, 선각부재에 마킹될 내용을 입력하는 설계정보부와, 전처리 공정으로 투입되는 선각부재의 종류를 결정하는 공정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의 문자 자동 마킹 장치와,
마킹장비와 마킹헤드를 고정시키고, 철판이 이동하면서 마킹하는 고정식 문자 자동 마킹 시스템으로, 마킹장비의 X축과 마킹헤드의 Y축으로의 이동이 없도록 설계·제작한 본체와, 이동하는 강판에 선각 부재의 문자를 마킹할 때 마킹하고자 하는 문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마킹노즐의 ON/OFF를 제어, 잉크를 분사하여 동시에 철판의 실재 폭에 해당하는 폭만큼의 문자를 동시에 마킹하기 위하여 최대 사용 철판의 폭보다 크게 제작한 마킹헤드와, 잉크헤드의 잉크 클리닝 자동 장치를 설치하여 구성한 고정식 마킹장치부와, 철판의 반입상태와 형태를 검출하는 강재 센서와, 기능을 분산하여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내부온도를 안정시키는 온도 조절장치와, 이동하는 철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모니터 및 CCTV와, 각종 센서 및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한 제어부와, 선각부재에 마킹될 내용을 입력하는 설계정보부와, 전처리 공정으로 투입되는 철판의 종류를 결정하는 공정관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의 문자 자동 마킹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발명이 추구하는 목적을 달성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 이동식의 실시예의 실험사진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3 은 본 발명 이동식의 실시예의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 는 본 발명 이동식 의 마킹장치부의 입체도를, 도 5 는 본 발명 이동식의 마킹장치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마킹이 이루어지는 이동식 마킹장치부(1)와, 선각부재의 반입상태 즉, 선각부재의 형상과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강재 센서(2)와, 이 강재 센서(2)로부터 검출신호를 수신하는 것과 더불어 각종 제어장치를 한군데로 모아 놓은 제어부(3)와, 선각부재에 마킹될 내용, 즉 선각부재의 식별정보를 입력하는 설계정보부(4)와, 전처리 공정으로 투입되는 선각부재의 종류를 결정하는 공정관리부(5)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식 마킹장치부(1)는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출력단에 설치된 잉크헤드(10)가 3축 구동의 직교좌표계 상을 구동하는 갠트리형 로봇장치를 소개하고 있는 것으로, 컨베이어 롤러(11)의 양측에 배치되는 레일에 지지된 채, X축모터(9)의 작동으로 선각부재의 진입방향과 나란하게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이드 축(12); 이 가이드 축(12)에 설치되어, Y축모터(8)의 작동으로 선각부재의 진입방향에 수직한 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지(6)와; 이 캐리지에 설치되어, Z축모터(7)의 작동으로 선각부재의 진입방향에 수직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잉크헤드(10)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마킹장치부(1)는 X, Y, Z축 모터(9)(8)(7)를 통항 구동방향 즉, 컨베이어 롤러를 따라 이동하는 선각부재와 나란한 방향(X축), 이동하는 선각부재의 수직한 폭방향(Y축), 선각부재에 대한 상하방향(Z축)의 구동을 구현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LM 가이드를 측면 상부와 하부에 구비하고 Y축 상에 형성한 가이드 축(12)과, 상기 LM 가이드 상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캐리지(6)와, 상기 캐리지(6)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캐리지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Y축 모터와, 상기 캐리지(6)의 일측면에 듀얼 식으로 장착된 이동식 잉크헤드(10)와, 상기 이동식 잉크헤드(10)를 상하 이동시키는 Z축 모터(7)와, 로봇의 상부 일측에 잉크 클리닝 장치와, X축 상에 설치되어 장치를 이동시키는 X축 모터(9)를 장착하여 구성한 X, Y, Z축으로 이루어진 직교좌표 로봇장치로 구성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마킹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마킹장치부(1)의 출력단에 설치된 상기 잉크헤드(10)가 선각부재의 진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의 X축, 선각부재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폭방향의 Y축, 선각부재의 진입방향과 수직한 상하방향의 Z축의 직교좌표계를 갖는 로봇장치로 구성된 마킹장치부(1)를 이용한 선각부재에 대한 식별정보 마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잉크헤드(1)내의 잉크 응고를 방지하기 위한 잉크 클리닝장치를 부가하여 구성하며; 상기 마킹장비부(1)의 전방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롤러(11)를 향해 진입하는 선각부재의 형상 및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강재센서(2)와; 기능을 분산하여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내부온도를 안정시키는 온도 조절장치와, 이동하는 선각부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모니터 및 CCTV와, 상기 강재센서를 통해 감지된 선각부재의 형상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입력된 선각부재의 식별정보로부터 마킹관련 구동프로그램, 잉크 클리닝장치관련 구동프로그램, 및 마킹장치부 구동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한 제어부(3)와; 상기 선각부재에 마킹될 식별정보를 미리 입력하는 설계정보부(4)와; 전처리 공정으로 투입되는 선각부재의 종류를 결정하는 공정관리부(5)로 구성된다.
상기 강재센서(2)는 컨베이어 롤러(11)를 따라 마킹장치부(1)를 향하며 진입하는 선각부재의 종류별 형상 및 진입 위치정보(길이, 폭, 두께, 기울어진 진입상태 등)를 감지하게 되며, 이렇게 감지된 선각부재의 형상 및 위치정보를 상기 제어부(3)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는, 마킹장치부(1)의 X, Y, Z축 모터(9)(8)(7)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과 더불어 마킹장치부(1)의 출련단에 설치된 잉크헤드(10)를 이용한 마킹작동 및 상기 잉크 클리닝 장치의 작동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도록 한 것으로,
기능을 분산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내부온도를 안정시키는 온도조절장치와, CCTV 등의 모니터, 및 문자마킹에 따른 텍스트정보를 그래픽정보로 변환하는 마킹정보 변환프로그램과, 상기 그래픽정보로부터 실질적인 마킹장치부의 구동을 위한 그래픽 제어시스템과, 선각부재에 해당 식별정보를 문자형태로 잉크를 분사하여 마킹하는 마킹장치의 제어프로그램과, 마킹장치부에 구비된 잉크헤드의 잉크 클리닝(막힘 현상방지)장치의 제어프로그램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만, 본원발명에 따른 제어부(3)는, 설계정보부(4)를 통해 미리 입력된 선각부재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강재센서(2)를 통해 컨베이어 롤러(11)에 놓여진 채 마킹장치부(1)를 향해 진입하는 선각부재의 형상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이렇게 진입하는 선각부재의 형상 및 위치정보에 대해 마킹장치부(1)의 X, Y, Z축 모터(9)(8)(7)에 구동신호를 송신하고, 이후 설정된 마킹관련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잉크헤드(10)를 통해 잉크 분사관련 제어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제어부(3)에는 상기 잉크 클리닝장치와 관련된 제어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되는데, 잉크헤드(10)를 통해 마킹작업, 즉 잉크헤드(10) 노즐을 통해 잉크분사작동이 소정의 시간 동안 수행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해당 노즐에 용제로서 사용되는 솔벤트를 자동으로 공급하여 해당 노즐의 응고를 방지하도록 하며, 더불어 이러한 시간보다 장시간 걸쳐 잉크헤드(10)의 잉크분사작동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X, Y, Z축 모터(9)(8)(7)를 구동시켜, 마킹장치부(1)의 구동범위 내에 머무르는 잉크헤드(10) 클리닝용 파킹장치(스펀지, 헝겁 등이 솔벤트에 담겨진 용기)측으로 잉크헤드(10)를 이동하여 담기도록 하여 잉크헤드(10) 노즐의 응고를 방지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원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롤러(11) 상에 놓여지는 다음 선각부재의 진입을 대기하는 시간(대략 컨베이어 롤러의 이동속도 차례로 진입하는 선각부재의 간격에 따라 달리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이 대략 5분(min)정도 소요되는 경우, 이와 같이 최종 잉크를 분사한 잉크헤드(10)의 분사작동이 5분(min)이 지나게 되는 시점에서 자동으로 노즐을 향해 솔벤트를 공급하도록 하며, 아울러, 본원발명에 따른 문자마킹 공정에 전,후 공정라인이 부득이하게 정지되거나, 혹은 장치의 유지보수를 위해 마킹작업 공정이 장시간 정지하는 시간을 예컨대, 60분(min)으로 미리 설정해 놓음으로서, 잉크헤드(10)의 잉크분사작동이 60분(min)이상 수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제어부(3)는 상기 마킹장치부(1)의 X, Y, Z축 모터(9)(8)(7)을 작동시켜 잉크헤드(10)를 상기 파킹장치로 이동하여 솔벤트에 잠수된 상태를 취하도록 한다.
도 6 은 본 발명 고정식의 마킹장치부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 은 본 발명 고정식의 실시예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8 은 본 발명 고정식 마킹장치부의 시스템 구성 다이어그램을, 도 9 는 본 발명 고정식의 마킹장치부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 은 본 발명 고정식의 마킹장치부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마킹이 이루어지는 고정식 마킹장치부(13)와, 강판의 반입상태와 형태를 검출하는 강재 센서(2)와, 각종 제어장치를 한군데로 모아 놓은 제어부(3)와, 선각부재에 마킹될 내용을 입력하는 설계정보부(4)와, 전처리 공정으로 투입되는 선각부재의 종류를 결정하는 공정관리부(5)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식 마킹장치부(13)는 마킹머신 본체의 Y축 상에 형성한 거더(15)에 장착된 고정식 잉크헤드(14)와, 상기 고정식 잉크헤드(14)를 상하 이동시키는 업-다운 에어 실린더 장치(16)와, 일정시간 마다 자동으로 퍼지하는 잉크 클리닝 장치로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3)는 기능을 분산하여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내부온도를 안정시키는 온도 조절장치와, 모니터 및 CCTV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텍스트 정보를 그래픽 정보로 변환하는 마킹정보 변환프로그램과, 마킹 위치변화에 따른 그래픽제어 시스템과, 마킹장치 제어 프로그램과, 잉크 막힘 방지를 자동으로 수행하는 잉크 클리닝 제어프로그램과, 각종 센서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식 마킹장치의 작용은, 설계정보부(4)에 선각부재에 마킹될 식별정보의 내용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설계정보부(4)에 입력된 식별정보를 제어부(3)로 보내주는 단계와, 공정관리부(5)에 의해 마킹될 선각부재가 전처리 작업장의 컨베이어 롤러(11)에 투입되는 단계와, 투입된 선각부재가 컨베이어 롤러(11)에 의해 이동하는 단계와, 이동되고 있는 선각부재의 형상 및 위치정보가 강재센서(2)에 의해 측정·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강재센서(2)에 입력된 선각부재의 형상 및 위치정보를 제어부(3)로 보내주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선각부재의 형상 및 위치정보에 의해 마킹장치부(1)의 잉크헤드(10))를 정렬하는 단계와, 컨베이어 롤러(11)에 의해 이동하고 있는 선각부재에 대해 마킹장치부(1)의 잉크헤드(10)를 이용하여 마킹하는 단계와, 하나의 선각부재에 대한 마킹작업이 완료된 이후, 다음 선각부재의 진입을 대기하는 시간 동안 솔벤트로 노즐을 퍼지하여 잔류 잉크의 응고로 인한 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선각부재에 대한 마킹작업 후, 공정라인의 작업정지상태가 일정시간 유지됨을 확인할 시에는 잉크헤드(10)를 파킹장치로 이동시켜 솔벤트와 공기로 차례대로 퍼지한 후 파킹장치에 파킹시키는 퍼지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어부(3)는 강재센서(2)를 통해 컨베이어 롤러(11)를 통해 진입하는 선각부재의 형상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앞서 공정관리부(5) 및 설계정보부(4)를 통해 미리 입력된 선각부재의 해당 식별번호를 컨베이어 롤러(11) 위를 이동 중인 선각부재와 연동하여 마킹장치부(1)를 이동시켜가며 그 출력단에 구비된 잉크헤드(10)를 통해 마킹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마킹작업을 수행하는 중 제어부에서는 컨베이어 롤러(11)상에서 6 m/min 로 이동하는 선각부재의 상태를 각종 센서 및 CCTV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이동식 마킹장치부(1)를 보정하고, 강재 진입 각도에 따른 기울임 마킹 및 전처리 장치의 속도에 따른 연동 마킹 등을 제어하며, 상기 퍼지 단계에서는, 마킹작업이 5분 이내의 단시간, 즉 하나의 선각부재에 대한 마킹작업이 완료되고 다음 다른 선각부재의 진입을 대기하는 동안 중단시 솔벤트로 자동 퍼지 하여 잔류 잉크의 응고로 인한 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60분 이상 장시간, 즉 유지보수 혹은 전후 공정라인의 정지로 인한 마킹공정이 미 작동시 이동식 잉크헤드(10)를 파킹장치로 이동시켜 솔벤트와 공기로 차례대로 퍼지 한 후 이동식 잉크헤드(10)를 파킹장치에 파킹하여 잉크 응고로 인한 노즐 막힘을 방지한다. 이때 파킹후 마킹을 재 시작하면 자동으로 잉크가 공급되고 1~2회 퍼지 하여 마킹작업 준비를 자동으로 실시하여 준비시간을 최소화 한다. 이후 연속으로 진입하는 선각부재에 대한 식별정보(호선번호, 블록번호, 부재번호, 송선기호 등)를 마킹하는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식 마킹장치부(1)는 제어부(3)의 제어에 의해 선각부재를 36 m/min 으로 왕복하면서 1회에 약 800 mm 씩 마킹을 실행한다.
고정식 마킹장치의 작용은, 설계정보부(4)에서 부재에 마킹할 내용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설계정보부(4)에 입력된 정보를 제어부(3)로 보내주는 단계와, 공정관리부(5)에 의해 마킹될 선각부재가 전처리 작업장의 컨베이어 롤러(11)에 투입되는 단계와, 투입된 선각부재가 컨베이어 롤러(11)에 의해 이동하는 단계와, 이동되고 있는 선각부재의 정보가 강재센서(2)에 의해 측정·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강재센서(2)에서 인식된 선각부재의 정보를 제어부(3)로 보내주는 단계와, 입력된 정보에 의해 고정식 잉크헤드(13)를 정렬하는 단계와, 컨베이어 롤러(11)에 의해 이동하고 있는 선각부재에 고정식 잉크헤드(13)로 마킹하는 단계와, 마킹 완료 후 고정식 잉크헤드(14)의 노즐에 잔류하는 잉크를 일정시간 마다 자동으로 솔벤트를 분사하여 제거하는 퍼지(purge)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컨베이어 롤러(11)상에서 6 m/min로 이동하는 선각부재의 상태를 CCTV와 각종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고정식 마킹장치부(13)로 입력하고, 강재 진입 각도에 따른 기울임 마킹 및 전처리 장치의 속도에 따른 연동 마킹 등을 제어하며, 상기 퍼지 단계에서는, 마킹작업이 일정시간 동안 중단시 솔벤트를 자동 퍼지 하여 잔류 잉크의 응고로 인한 고정식 잉크헤드(14)의 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식 마킹장치부(13)는 제어부(3)의 제어에 의해 강판에 선각 부재의 문자를 마킹할 때 마킹하고자 하는 문자의 위치에 해당하는 마킹노즐의 ON/OFF를 제어, 잉크를 분사하여 동시에 철판의 실재 폭에 해당하는 폭만큼의 문자를 동시에 마킹을 실행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선박의 선각부재에 수작업으로 실시하고 있는 마킹 작업을 전처리 공정에서 자동 마킹 시스템을 적용하여 선각부재가 이동되며 마킹을 함으로서, 수작업으로 인한 작업시간의 낭비와 과다 인력 투입을 줄일 수 있어 비용이 감소되고, 장치의 효율이 증가하고, 작업자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마킹 처리속도를 증가 시켜 공기를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수작업시 필요로 하는 별도의 공간을 없앨 수 있어 공장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설계정보부(4)에 선각부재에 마킹될 식별정보의 내용을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설계정보부(4)에 입력된 식별정보를 제어부(3)로 보내주는 단계와,
    공정관리부(5)에 의해 마킹될 선각부재가 전처리 작업장의 컨베이어 롤러(11)에 투입되는 단계와,
    투입된 선각부재가 컨베이어 롤러(11)에 의해 이동하는 단계와,
    이동되고 있는 선각부재의 형상 및 위치정보가 강재센서(2)에 의해 측정·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강재센서(2)에 입력된 선각부재의 형상 및 위치정보를 제어부(3)로 보내주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선각부재의 형상 및 위치정보에 의해 마킹장치부(1)의 잉크헤드(10)를 정렬하는 단계와,
    컨베이어 롤러(11)에 의해 이동하고 있는 선각부재에 대해 마킹장치부(1)의 잉크헤드(10)를 이용하여 마킹하는 단계와,
    하나의 선각부재에 대한 마킹작업이 완료된 이후, 다음 선각부재의 진입을 대기하는 시간동안 솔벤트로 노즐을 퍼지하여 잔류 잉크의 응고로 인한 노즐의 막힘 현상을 방지하고; 선각부재에 대한 마킹작업 후, 공정라인의 작업정지상태가 소정시간 유지됨을 확인할 시에는 잉크헤드를 파킹장치로 이동시켜 솔벤트와 공기로 차례대로 퍼지한 후 파킹장치에 파킹시키는 퍼지단계,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자동 마킹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20039200A 2002-07-08 2002-07-08 문자 자동 마킹 방법 KR100746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200A KR100746480B1 (ko) 2002-07-08 2002-07-08 문자 자동 마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9200A KR100746480B1 (ko) 2002-07-08 2002-07-08 문자 자동 마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956A KR20040004956A (ko) 2004-01-16
KR100746480B1 true KR100746480B1 (ko) 2007-08-03

Family

ID=37315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9200A KR100746480B1 (ko) 2002-07-08 2002-07-08 문자 자동 마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4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541B1 (ko) * 2008-05-08 2010-08-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강재 계측 시스템 및 방법
KR100995289B1 (ko) 2008-06-23 2010-11-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강재 라벨링 시스템에서의 라벨링 방법 및 마킹 수단 제어방법
KR101312444B1 (ko) 2012-09-11 2013-10-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 색선 마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8700B1 (ko) * 2004-02-12 2006-07-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크 자동용접 장치
KR100683838B1 (ko) * 2005-12-20 2007-02-1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마크 자동용접로봇의 핸들링 장치
KR100894354B1 (ko) * 2007-08-17 2009-04-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강재의 라벨링 시스템
KR101148089B1 (ko) * 2008-09-04 2012-05-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강재 라벨링 장치 및 방법
KR100926517B1 (ko) * 2009-02-06 2009-11-12 주식회사 씨.아이.제이코리아 강판용 인쇄장치
CN109703210B (zh) * 2017-10-16 2020-09-01 海门茵萃斯纺织品有限公司 一种钢条打标机构的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5868B1 (ko) * 1995-05-25 1998-08-17 김광호 잉크젯트 기록장치에서 기록 헤드의 노즐 청소장치 및 그 방법
KR0167402B1 (ko) * 1994-09-27 1999-03-30 오오바 히로시 판 형상체의 인쇄장치
JP2001010142A (ja) * 1999-06-28 2001-01-16 Kawasaki Heavy Ind Ltd マーキング装置
KR20010015415A (ko) * 1999-07-23 2001-02-26 무토 히로시 잉크 제트 프린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402B1 (ko) * 1994-09-27 1999-03-30 오오바 히로시 판 형상체의 인쇄장치
KR0145868B1 (ko) * 1995-05-25 1998-08-17 김광호 잉크젯트 기록장치에서 기록 헤드의 노즐 청소장치 및 그 방법
JP2001010142A (ja) * 1999-06-28 2001-01-16 Kawasaki Heavy Ind Ltd マーキング装置
KR20010015415A (ko) * 1999-07-23 2001-02-26 무토 히로시 잉크 제트 프린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541B1 (ko) * 2008-05-08 2010-08-1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강재 계측 시스템 및 방법
KR100995289B1 (ko) 2008-06-23 2010-11-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강재 라벨링 시스템에서의 라벨링 방법 및 마킹 수단 제어방법
KR101312444B1 (ko) 2012-09-11 2013-10-1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 색선 마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4956A (ko) 2004-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480B1 (ko) 문자 자동 마킹 방법
KR100637001B1 (ko) 선각부재 자동 마킹 및 절단 장치
CN102224068B (zh) 维护设备
KR100894354B1 (ko) 강재의 라벨링 시스템
JP7249623B2 (ja) 鉄骨自動塗装装置、および鉄骨の塗装方法
CN114472044B (zh) 智能喷涂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80103165A (ko) 다축 엔코더조립체를 구비한 마킹장치 및 신호처리방법
CN210451935U (zh) 一种焊接缺陷标记装置
KR102492922B1 (ko) 전기 자동차용 pcb 기판의 전자부품 본딩 시스템
CN109278433B (zh) 一种高精度高效率造船钢板信息印刷生产线
CN1278195A (zh) 被测定工件的自动清洗装置及设有该装置的自动生产系统
CN110181951A (zh) 一种钢板预处理时的门架型智能多头打印系统及其打印方法
CN112548592B (zh) 钢轨原材料在线无损检测及自动下料集成系统及方法
JPH09155457A (ja) 船体外板の自動加熱曲げ加工装置用冷却水噴射ノズル付き定盤
CN210634286U (zh) 一种用于数控切割机的自动旋转定位多点喷墨装置
KR0180978B1 (ko) 마킹용 겐트리 로보트
KR100598700B1 (ko) 마크 자동용접 장치
JP4317502B2 (ja) 機械部品等洗浄装置
CN220641428U (zh) 一种切割平台
CN209226206U (zh) 一种全自动化产线喷码系统
KR20050055924A (ko) 헤어라인 가공 장치
JPH07125490A (ja) 自動マーキング装置
CN220009219U (zh) 一种光纤激光在线喷码机
KR20140049676A (ko) 반목위치 마킹로봇 및 반목위치 자동 표시 방법
KR101202618B1 (ko) 터널등 청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