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6138B1 -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6138B1
KR100746138B1 KR1020060033125A KR20060033125A KR100746138B1 KR 100746138 B1 KR100746138 B1 KR 100746138B1 KR 1020060033125 A KR1020060033125 A KR 1020060033125A KR 20060033125 A KR20060033125 A KR 20060033125A KR 100746138 B1 KR100746138 B1 KR 100746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hamming
upper body
cylind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033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6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6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6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3Mou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aightening Metal Sheet-Like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정 압력의 유,공압을 설정주기로 공급하는 동력원(1)과, 상기 동력원(1)에 연결하여 유,공압을 제공받는 원통형의 실린더(2)와, 상기 실린더(2)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어 동력원(1)을 온/오프 시키는 작동스위치(3)와, 상기 실린더(2) 내에 설치되어 공급받은 유,공압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가압수단(4)과, 상기 실린더(2)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수단(4)의 가압력에 의해 휀더 하단의 해밍부(F15)를 절곡시키는 해밍수단(5)으로 구성되어,
휀더의 부분적인 파손시에 파손부위 만을 신속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손실 최소화와 작업 소요시간 단축을 구현할 수 있고, 교체부위의 외형을 완벽하게 재현하여 차량의 수명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동력원, 실린더, 작동 스위치, 가압수단, 해밍수단, 피스톤, 가압봉, 복귀 스프링, 홀더, 고정부, 베이스, 상부바디, 타격구, 가이더, 휀더, 아우터 패널, 인너 패널, 해밍부, 해밍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Fender Hemming Device for auto}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휀더의 예시도로서,
a)는 플랜지형 휀더의 단명 구성도
b)는 해밍형 휀더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밍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밍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해밍장치의 작용설명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동력원 2 : 실린더
3 : 작동스위치 4 : 가압수단
5 : 해밍수단
25 : 연결캡 41 : 피스톤
45 : 씨일링 48 : 가압봉
49 : 복귀 스프링 51 : 홀더
52 : 고정부 53a,53b,53c : 체결부재
54 : 베이스 55 : 힌지
56 : 상부바디 57 : 타격구
57a: 경사면 57b : 타격면
58 : 탄성부재 59 : 조절구
60,61 : 가이더 F,F1,F2 : 휀더
F11 : 아우터 패널 F12 : 인너 패널
F15 : 해밍부 H : 해밍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휀더(Fender) 해밍장치(Hemm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휀더의 부분적인 파손시에 파손부위 만을 신속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게되어 경제적 손실의 최소화와 작업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휀더는 차량의 양옆 전,후면에 설치되어 타이어로 부터 비산되는 흙, 빗물 등을 막아주면서 자동차의 외형을 미려하게 유지하게 된 것으로, 접촉, 충돌 등에 의해 파손될 경우 해당부위를 포함하는 전체, 예를들면 전방 좌측휀더 또는 후방 우측휀더 등을 전체적으로 교환하도록 구성,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휀더(F1)의 종래구성은 도 1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아우터 패널(F11)과 인너 패널(F12)로 이루어지며, 그 하단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F13,F14)가 구비되어 적정간격으로 실시되는 스포트 웰딩(spot welding)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F13,F14)가 용접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휀더(F1)에서는 외부에 구성한 아우터 패널의 부분적인 손상이 발생되어 이웃터 패널을 교환할 경우 기존에 아우터 패널과 인너 패널의 스포트 용접한 결합부분인 플랜지부를 분리하여야 하는데 그 과정을 보면, 플랜지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가스용접기 등으로 절단하여 아우터 패널을 분리한 후 인너 패널에 스포트 용접된 아우터 패널의 플랜지부를 그라인딩 등의 작업으로 제거한 다음 교체된 아우트 패널을 부착하여 플랜지부를 용접하는 작업으로 그 작업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상당한 번거로움이 많아 수리단가가 상당히 높았고, 이로 인해 간편히 작업하기 위하여 휀더(F1) 전체를 교환하는 경우가 있으나 그에 따른 과대한 수리비용이 요구된다는 비경제적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도 2b에서와 같이, 휀더(F2)를 구성하는 아우터 패널(F11)의 하단에 해밍부(F15)를 형성시키고, 상기 해밍부(F15)를 절곡시킴으로써 그사이에 인너 패널(F12)의 하단부가 가압,고정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휀더(F2)에서는 부분적인 손상이 발생된 경우, 손상부위를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제거하고, 새로운 판재를 제거부위에 맞추어 접합시킨 후, 그 하단의 해밍부(F15)를 절곡시켜 줌으로써 최소한의 경비로 손상된 휀더(F2)를 수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휀더(F2)에서도 문제점은 지적되고 있는바, 이는 작업성이 불량하고 완벽한 외형의 복원이 거의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이 그것이다.
즉, 새로운 판재를 손상부위에 접합시킨 후에는 그 하단의 해밍부(F15)를 절곡시켜 인너 패널(F12)과 결합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해밍작업은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자의 햄머링(Hammerring)에 의해 진행되어야 하므로 작업시간 지연과 작업성 저하의 주요인을 제공하게 되고, 햄머링 작업의 진행시에 아우터 패널(F11)의 하단이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원래형태로 복원하기 힘들다는 문제점들이 유발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적극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도록 손상된 휀더의 손상부위만을 신속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 함과 동시에 새로이 접합된 아우터 패널의 하단이 기계적으로 절곡되어 인너 패널과 결합 되도록 함으로써 완벽한 외형으로 복원할 수 있게된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는, 적정 압력의 유,공압을 설정주기로 공급하는 동력원과, 상기 동력원에 연결되는 원통형의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어 동력원을 온/오프 시키는 작동스위치와, 상기 실린더 내에 설치되어 공급받은 유,공압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가압수단과, 상기 실린더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수단의 가압력에 의해 휀더 하단의 해밍부를 절곡시키는 해밍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해밍장치(H)의 사시도로서, 도 3에서는 그 단면구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 해밍장치(H)는, 적정 압력의 유,공압을 설정주기로 공급하는 동력원(1)과, 상기 동력원(1)으로부터 유,공압을 공급받도록 연결되면서 동력원(1)을 온/오프 시키는 작동스위치(3)를 갖는 실린더(2)와, 상기 실린더(2) 내에 설치되어 공급받은 유,공압에 의해 전,후로 작동하는 가압수단(4)과, 상기 실린더(2)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수단(4)의 가압력에 의해 휀더 하단의 해밍부(F15)를 절곡시키는 해밍수단(5)으로 구성한다.
상기 동력원(1)은 가압모터 또는 콤프레셔 등에 의해 유,공압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유,공압을 설정주기, 예를 들면 초당 1회의 주기로 실린더(2) 측에 연속, 반복적으로 공급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2)는 그 외측에 동력원을 연결하기 위한 닛플(21)을 체결한 연결구(23)가 구비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타측에는 조임너트(24)를 포함하는 연결캡(25)이 설치되며, 그 내부에는 부싱(26)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수단(4)은, 상기 실린더(2)의 작동공간(27)내에 설치되는 피스톤(41)과, 상기 피스톤(41)의 전방에 형성된 고정부(42)에 너트(43)와 와셔(44)에 의해 고정 설치된 씨일링(45)과, 상기 씨일링(45)의 후방 복수개소에 고정 설치된 웨어링(Wear ring)(46,47)과, 상기 피스톤(41)의 후단에 상기 연결캡(25) 후방으로 출몰하도록 형성된 가압봉(48)과, 상기 피스톤(41)과 부싱(26) 사이에 탄입 설치되어 피스톤(41)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49)으로 구성된다.
상기 해밍수단(5)은, 상기 연결캡(25)에 용접 고정되면서 전방 양측에 대향 구비된 고정부(52)를 포함한 홀더(51)와, 상기 고정부(52)에 체결부재(53a)로 체결 고정되고 그 대략 중앙에는 자석(54a)이 매립 고정된 베이스(54)와, 상기 고정부(52)의 후방에 힌지(55)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압봉(48)에 의해 설정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상부 바디(56)와, 상기 상부바디(56)의 전방 하부에 체결부재(53b)로 체결,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휀더의 해밍부를 안내, 절곡시키는 경사면(57a) 및 타격면(57b)이 형성된 타격구(57)와, 상기 타격구(57)와 베이스(54)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바디(56)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58)와, 상기 상부바디(56)의 일측 후방에 체결되어 초기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구(59)와, 상기 베이스(54)의 양측면에 전후 위치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휀더의 해밍부를 안내하는 가이더(60,61)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더(60,61)에는 장공(62)이 형성되어 체결부재(53C)에 의해 위치조정 가능하게 베이스(54)에 고정 설치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발명 해밍장치(H)는 휀더(F)의 손상 부위를 제거하고 새로운 휀더(F)를 제거부위에 맞추어 부분접합 한 후, 아우터 패널(F11) 하단의 해밍부(F15)를 절곡시켜 인너 페널(F12)과 결합시키게 됨은 전기와 같다.
이때 본 발명 해밍장치(H)를 사용하여 상기, 해밍부(F15)를 절곡 즉, 해밍시 키게 되는데, 이러한 해밍 과정의 설명을 위해 우선 본 발명 해밍장치(H)의 작동을 설명한다.
초기에, 작업의 시작을 위해 동력원(1)에서는 설정된 압력으로 유.공압을 발생시켜 대기하게 되고, 해밍 작업을 위해 작동스위치(3)를 온 시키게 되면, 동력원(1)에서 발생된 유.공압이 닛플(21)를 통해 실린더(2) 내부로 공급된다.
이 경우 공급된 유.공압은 피스톤(41)을 도면상 우측으로 밀어주게 되고, 공급이 중지되면 복귀 스프링(49)의 탄발력에 의해 피스톤(41)은 초기의 위치 즉,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피스톤(41)의 작동은 동력원(1) 측에 설정된 싸이클타임에 맞추어 연속 반복적으로 실시되며, 따라서 가압수단(4)을 구성하는 피스톤(41) 전방의 가압봉(48)은 홀더(51)의 전방으로 출몰 작동하게 된다.
상기 가압봉(48)의 출몰 작동시에, 해밍수단(5)을 구성하는 고정부(52)에 힌지(55)로 고정된 상부바디(56)는 구간 회동을 반복하게 되는데, 가압봉(48)의 돌출시에 그 끝단은 상부바디(56)를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상부바디(56)는 힌지(55)를 축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베이스(54)와 타격구(57)의 사이에 삽입된 휀더(F)의 해밍부(F15)는 타격면(57b)에 의해 해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가압봉(48)의 인입시에는 상부바디(56)에 대한 가압력이 해지되므로, 타격구(57)와 베이스(54)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58)의 탄발력에 의해 상부바디(56)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본 발명 해밍장치(H)의 해밍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손 상된 크기로 절단되어진 휀더(F)는 그 하단에 구비된 해밍부(F15)를 도 3에서와 같이 일측을 미리 절곡시킨 상태에서 접합시키게 되는데,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새로이 접합된 부위만을 도시 하였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본 발명 해밍장치(H)의 해밍수단(5)을 구성하는 베이스(54)가 아웃더 패널(F11)과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타격구(57)와 상기 베이스(54)의 사이에 시작부분을 미리 절곡시킨 해밍부(F15)를 진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스위치(3)를 온시키게 되면, 전기한 바와 같이 타격구(57)가 베이스(54)를 연속적으로 타격하여 해밍부(F15)를 완벽히 해밍시켜 아웃터패널(F11)과 인너 패널(F12)을 결합 시키게 되는데, 이와 동시에 작업자는 본 발명 해밍장치(H)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경우, 펼쳐져 있던 해밍부(F15)는 타격구(57)의 경사면(57a)에 의해 점차로 절곡됨과 동시에 타격면(57b)이 절곡된 해밍부(F15)를 타격하여 완벽히 해밍시키게 된다.
또한, 해밍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해밍부(F15)의 절곡된 하단은 양측 가이더(60,61)에 의해 균일한 위치에 타격이 부하 되므로 완벽한 복원이 가능하게 되며, 타격위치의 조정은 상기 가이더(60,61)의 위치조정에 의해 극히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 해밍장치(H)는 손상된 휀더부위를 신속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 손실 최소화와 작업 소요시간 단축을 구현할 수 있고, 교체부위의 외형을 완벽하게 재현하여 차량의 수명연장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적정 압력의 유,공압을 설정주기로 공급하는 동력원(1)과; 상기 동력원(1)에 연결되면서 작동스위치(3)를 갖는 실린더(2)와; 상기 실린더(2) 내에 설치되어 공급받은 유,공압에 의해 전,후로 작동하는 가압수단(4)과; 상기 실린더(2)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수단(4)에 의해 휀더 해밍부(F15)를 절곡시키는 해밍수단(5)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해밍수단(5)은,
    실린더(2)의 단부에 설치된 연결캡(25)의 전면에 용접 고정되면서 전방 양측에 대향 구비된 고정부(52)를 포함한 홀더(51)와,
    상기 고정부(52)의 전방에 체결부재(53a)로 체결 고정되고 그 대략 중앙에는 자석(54a)이 매립 고정된 베이스(54)와,
    상기 고정부(52)의 후방에 힌지(55)로 고정 설치되어 설정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한 상부 바디(56)와,
    상기 상부바디(56)의 전방 하부에 체결부재(53b)로 체결 설치 되고 그 하부에는 휀더의 해밍부를 안내, 절곡시키는 경사면(57a) 및 타격면(57b)이 형성된 타격구(57)와,
    상기 타격구(57)와 베이스(54)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바디(56)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58)와,
    상기 베이스(54)의 양측면에 전후 위치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휀더의 해밍부를 안내하는 가이더(60,6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4)은,
    상기 실린더(2)의 작동공간(27)내에 설치되는 피스톤(41)과,
    상기 피스톤(41)의 전방에 형성된 고정부(42)에 너트(43)와 와셔(44)에 의해 고정 설치된 씨일링(45)과,
    상기 씨일링(45)의 후방 복수개소에 고정 설치된 웨어링(Wear ring)(46,47)과,
    상기 피스톤(41)의 후단에 상기 연결캡(25) 후방으로 출몰하도록 형성된 가압봉(48)과,
    상기 피스톤(41)과 부싱(26) 사이에 탄입 설치되어 피스톤(41)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4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바디(56)의 일측 후방에 체결되어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구(59)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
KR1020060033125A 2006-04-12 2006-04-12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 KR100746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125A KR100746138B1 (ko) 2006-04-12 2006-04-12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3125A KR100746138B1 (ko) 2006-04-12 2006-04-12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6138B1 true KR100746138B1 (ko) 2007-08-03

Family

ID=38601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3125A KR100746138B1 (ko) 2006-04-12 2006-04-12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61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3429A (zh) * 2011-12-31 2012-06-27 长春大正博凯汽车设备有限公司 一种车门框的滚边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331A (ja) * 1993-09-28 1995-04-11 Daikin Ind Ltd 管のフレア加工装置
JP2000334522A (ja) 1999-05-24 2000-12-05 Kamekura Seiki Kk 折り曲げ装置
JP2002172581A (ja) 2000-12-06 2002-06-18 Honda Motor Co Ltd ワークの把持装置
KR100581125B1 (ko) 2004-06-18 2006-05-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휠 하우스 헤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밍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6331A (ja) * 1993-09-28 1995-04-11 Daikin Ind Ltd 管のフレア加工装置
JP2000334522A (ja) 1999-05-24 2000-12-05 Kamekura Seiki Kk 折り曲げ装置
JP2002172581A (ja) 2000-12-06 2002-06-18 Honda Motor Co Ltd ワークの把持装置
KR100581125B1 (ko) 2004-06-18 2006-05-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휠 하우스 헤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헤밍 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3429A (zh) * 2011-12-31 2012-06-27 长春大正博凯汽车设备有限公司 一种车门框的滚边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138B1 (ko) 자동차용 휀더 해밍장치
CN107671408B (zh) 螺柱焊接设备
JP3700025B2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ボルトの溶接装置
KR101028561B1 (ko) 스폿 용접장치
KR101570690B1 (ko) 하이브리드 용접기
CN213944385U (zh) 拉拔器及钣金凹坑修复系统
WO2004009385A2 (en) Tool and method for reorienting a flange
JP3998629B2 (ja) コンロッド分解治具
US4176541A (en) Hammer device attachment
KR101980211B1 (ko) 스터드 너트 용접장치
KR100527478B1 (ko) 스폿 용접 건
KR20150121961A (ko) 스폿 용접용 용접팁 교환장치
KR102610085B1 (ko) 블라인드 리벳을 이용한 판재 조립체
JP3135362U (ja) 空冷式スタッドガン
KR101562178B1 (ko) 스터드 용접 그을음 제거장치
KR100535039B1 (ko) 자동차 연료탱크용 체결볼트의 용접방법
JP3712905B2 (ja) 振動溶着機
KR20090040006A (ko) 차량용 어퍼암 장착용 로딩장치
KR100813642B1 (ko) 특장차 장착용 붐대의 제작방법
CN109396605B (zh) 一种夹具固定装置及弧焊工作站
CN207534739U (zh) 防止接触损伤的安装装置
KR100228236B1 (ko) 자동차 용접라인의 차체 하부 용접장치
KR200153673Y1 (ko) 자동차의 차체용접부위 변형복원장치
KR100435772B1 (ko) 차량의 프론트엔드모듈 조립 지그
JP2002205115A (ja) 板金用引出装置とそれに使用する引出補助具及び板金面の凹部補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