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454B1 -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454B1
KR100745454B1 KR1020050127334A KR20050127334A KR100745454B1 KR 100745454 B1 KR100745454 B1 KR 100745454B1 KR 1020050127334 A KR1020050127334 A KR 1020050127334A KR 20050127334 A KR20050127334 A KR 20050127334A KR 100745454 B1 KR100745454 B1 KR 100745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ir
connector
defrost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7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6310A (ko
Inventor
제종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7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454B1/ko
Publication of KR20070066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6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92Damper doors moved by translation, e.g. curtain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디프로스트 노즐에 연결된 디프로스트 연결구 및 에어벤트에 연결되는 벤트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디프로스트 연결구와 상기 벤트 연결구의 공기 유동에 대한 상류 양측에 너비를 가진 패널이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증발기와 히터가 배치되는 공조 하우징; 상기 공조 하우징의 통로에 배치되어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 디프로스트 연결구와 상기 벤트 연결구 중 어느 한쪽을 개방하는 개구가 형성된 개폐패널; 및 상기 공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패널에 외력을 가해 미끄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함으로써, 차량의 HVAC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HVAC의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HVAC, 공조 하우징, 개폐패널, 구동모터, 구동기어

Description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SLIDE TYPE DOOR DEVICE OF HVAC IN A CA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의 개폐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공조 하우징 102: 디프로스트 연결구
103: 벤트 연결구 104: 통로
105: 증발기 110: 증발기실
112: 차단패널 115: 제1 개폐도어
120: 히터 125: 히터실
127: 제2 개폐도어 131: 좌측부
132: 우측부 135: 유입구
140: 개폐패널 142: 개구
145: 기어 150: 이동부
152: 구동기어 155: 구동모터
본 발명은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디프로스트 노즐과 에어벤트에 대한 공기 조화된 공기의 유동을 개폐하는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냉난방 장치는 주위온도의 변화에 따라 온도 및 습도 등의 공기 환경을 적당하게 유지함으로써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차량의 냉난방 장치로서 사용되는 냉난방 유닛인 HVAC(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모듈은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 공기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 공기의 가열을 위한 히터를 포함하고, 팬은 외부 또는 내부의 공기를 상기 증발기나 히터로 유동시켜 송풍구를 형성하는 벤트부분을 통해 차량의 실내로 공급한다.
또한, 송풍팬의 후방에는 증발기가 배치되는데, 상기 증발기는 콘덴서에서 응축되고 팽창 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에 포함된 열을 흡수함으로써 공기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의 후방에는 히터가 위치하는데, 상기 히터는 엔진의 실린더 블록을 냉각시키며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가 유동하며, 히터의 냉각 수는 HVAC 모듈에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여 더운 공기를 만든다.
이때, 상기 증발기와 히터 사이에는 송풍온도 제어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온도 제어도어는 히터실을 개방하거나 폐쇄시켜 송풍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한다.
즉, 저온의 공기가 송풍구로 토출되려면, 상기 송풍온도 제어도어가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히터실을 폐쇄시키고, 고온배출 도어도 닫히게 되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도어가 개방된 송풍구로 배출된다.
그리고, 고온의 공기가 송풍구로 토출되려면, 상기 송풍온도 제어도어가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가 히터를 통과하도록 히터실를 개방시키고,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는 히터를 통과한 후, 송풍도어가 개방된 송풍구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HVAC 모듈의 송풍구는 차량의 실내에 대한 공기의 유통로를 이루는 벤트부분으로서, 상기 벤트부분은 차량의 전방석인 운전석과 후방석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는 관부에 연결된다.
즉, HVAC모듈의 벤트부분은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형성되어 유리의 습기를 제거하는 디프로스트 노즐 및 차량의 실내로 공기를 배출하는 에어벤트에 관부에 의해 연결되는데, 디프로스트 노즐은 HVAC 모듈의 디프로스트 벤트에 연결되고, 에어벤트는 HVAC 모듈에 형성된 에어벤트에 연결된다.
여기서, HVAC모듈의 디프로스트 벤트와 에어벤트는 공기의 유동을 개폐하는 벤트도어가 각각 축 결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공기의 유동을 개폐하는데, HVAC모듈의 송풍구를 형성하는 디프로스트 벤트와 에어벤트 각각에 벤트도어 및 모터가 배치됨으로써 HVAC모듈의 중량이 증가하여 차량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부품의 증가로 HVAC모듈의 원가가 상승하며, 많은 부품 수의 조립에 의한 작업공수가 늘어나고, 조립불량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HVAC모듈의 중량을 감소시켜 차량의 무게를 줄이고, 부품이 간소화되어 조립공수를 줄이고 조립이 견고해지고, HVAC모듈의 원가를 절감하는 이점을 제공함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는, 차량의 디프로스트 노즐에 연결된 디프로스트 연결구 및 에어벤트에 연결되는 벤트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디프로스트 연결구와 상기 벤트 연결구의 공기 유동에 대한 상류 양측에 너비를 가진 패널이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증발기와 히터가 배치되는 공조 하우징; 상기 공조 하우징의 통로에 배치되어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 디프로스트 연결구와 상기 벤트 연결구 중 어느 한쪽을 개방하는 개구가 형성된 개폐패널; 및 상기 공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패널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미끄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패널은 일측에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공조 하우징의 상기 통로 일측에 축 결합되어 상기 개폐패널의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의 개폐패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는 차량의 디프로스트 노즐에 연결된 디프로스트 연결구(102) 및 에어벤트에 연결되는 벤트 연결구(103)가 형성되고, 상기 디프로스트 연결구(102)와 상기 벤트 연결구(103)의 공기 유동에 대한 상류 양측에 너비를 가진 패널이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통로(104)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증발기(105)와 히터(120)가 배치되는 공조 하우징(100)과, 상기 공조 하우징(100)의 통로(104)에 배치되어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 디프로스트 연결구(102)와 상기 벤트 연결구(103) 중 어느 한쪽을 개방하는 개구(142)가 형성된 개폐패널(140) 및 상기 공조 하우징(100)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패널(140)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미끄럼 이동시키는 이동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공조 하우징(100)의 디프로스트 연결구(102)는 공조 하우징(100)의 상부 좌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에어벤트 연결구(103)는 디프로스트 연결구(102)의 바로 우측에 형성되어 있는데, 공조 하우징(100)에서 상부로 돌출된 형태로서 차량의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관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통로(104)의 일측은 디프로스트 연결구(102) 하부에서 좌측으로 형성되어 공조 하우징(100)의 좌측부(131)를 따라 하부까지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에어벤트 연결구(103)의 하부에서 시작하여 우측으로 연장되어 공조하우징의 우측부(132)를 따라 소정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통로(104)는 패널형태가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너비를 가지면서 공조 하우징(100)에 형성되는데, 통로(104)를 형성하는 부분은 내측패널(104a)과 내측패널(104a)에서 이격되어 배치된 외측패널(140b)로 되어 있으며, 내측패널(104a)과 외측패널(140b) 사이로 통로(104)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조 하우징(100)의 좌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35)가 형성되며, 유입구(135) 하류에는 상기 증발기(105)가 경사지게 배치되고, 증발기(105)의 상부에는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증발기(105)가 배치된 공간에 증발기실(110)을 형성하는 차단패널(112)이 배치되며, 차단패널(112)의 하부에는 증발기실(110)에서 디프로스트 연결구(102) 및 에어벤트 연결구(103)에 대한 공기의 유동을 개폐하는 제1 개폐도어(115)가 축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증발기실(110)은 냉각수가 유동하는 히터(120)가 배치된 히터실(125)에 연결되는데, 상기 히터실(125)은 제1 개폐도어(115)에 의해 유입구(135) 가 개폐되며, 히터실(125)의 배출구에는 히터실(125)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개폐하는 제2 개폐도어(127)가 배치된다.
상기 제2 개폐도어(127)는 히터실(125)에서 디프로스트 연결구(102) 및 에어벤트 연결구(103)에 대한 공기의 유동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공조 하우징(100)에 축 결합되어 있다.
또한, 제1, 2 개폐도어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공조 하우징(100)의 일측에 배치된 모터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패널(140)은 일측에 기어(145)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150)는 상기 공조 하우징(100)의 상기 통로(104) 일측에 축 결합되어 상기 개폐패널(140)의 기어(145)에 맞물리는 구동기어(152) 및 상기 구동기어(152)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15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55)를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기어(152)는 공조 하우징(100)의 좌측 상부에 축 결합되어 배치되고, 구동모터(155)는 구동기어(152)의 후방에 배치되어 구동기어(152)를 회전시키며, 구동기어(152)는 개폐패널(140)을 이동시켜, 개폐패널(140)이 통로(104)에서 미끄럼 이동되도록 한다.
즉, 차량의 유리내면에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려면, 공조 하우징(100)에 배치된 증발기(105)를 작동시키고, 공조 하우징(100)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증발기(105)를 통과하여 차량의 디프로스트 노즐에 공급되어야 하는데, 증발기실(110)과 히터실(125) 사이에 배치된 제1 개폐도어(115)는 히터실(125) 측으로 회전하여 히터실(125)에 대한 공기유입은 차단하고, 증발기실(110)의 공기 유출구를 개 방한다.
이때, 구동모터(155)가 작동하여 개폐패널(140)을 이동시키고, 개폐패널(140)의 개구(142)를 디프로스트 연결구(102)에 연결시킴으로써, 증발기(105)를 통과한 공기는 디프로스트 연결구(102)를 배출되고, 디프로스트 연결구(102)와 관부로 연결된 차량내부의 디프로스트 노즐은 냉각된 공기를 제공받아 유리에 분사한다.
여기서, 개폐패널(140)은 개구(142)가 디프로스트 연결구(102)를 개방하면, 에어벤트 연결구(103)는 개폐패널(140)의 차단부분에 의해 공기유출이 차단되고, 차량의 에어벤트로는 냉기가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외기가 공조 하우징(100)의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히터실(125)로 유입되어 에어벤트로 더운 공기가 배출되는 유동은 제1 개폐도어(115)가 증발기(105)의 유출구(106) 측으로 회전하여 히터실(125)을 개방하여, 히터실(125)의 유입구(135)가 개방되어 히터실(125)로 공기가 유입되어 히터(120)를 지나고, 히터(120)의 냉각수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히터실(125)의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개폐패널(140)이 디프로스트 연결구(102)는 차단하고 개구(142)가 에어벤트의 연결구로 연결되면서 차량의 에어벤트를 통해 더운 공기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패널(140)은 구동모터(155)의 구동에 의해 통로(104)를 이동하면서 디프로스트 연결구(102)나 에어벤트 연결구(103)를 개방하며, 개폐패널(140) 하나의 동작에 의해 공조 하우징(100)에 형성된 디프로스트 연결구(102)나 에어벤트 연결구(103)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패널(140)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통로(104)의 굴곡된 부분에서는 굴곡되어 미끄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개폐패널(140)의 개구(142)는 디프로스트 연결구(102)나 에어벤트 연결구(103) 형상에 맞게 형성되어 공기의 유동에 대한 저항을 줄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HVAC모듈의 중량을 감소시켜 차량의 무게를 줄이고, 부품이 간소화되어 조립공수를 줄이고 조립이 견고해지고, HVAC모듈의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차량의 디프로스트 노즐에 연결된 디프로스트 연결구 및 에어벤트에 연결되는 벤트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디프로스트 연결구와 상기 벤트 연결구의 공기 유동에 대한 상류 양측에 너비를 가진 패널이 슬라이드 이동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증발기와 히터가 배치되는 공조 하우징;
    상기 공조 하우징의 통로에 배치되어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 디프로스트 연결구와 상기 벤트 연결구 중 어느 한쪽을 개방하는 개구가 형성된 개폐패널; 및
    상기 공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개폐패널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미끄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패널은 일측에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공조 하우징의 상기 통로 일측에 축 결합되어 상기 개폐패널의 기어에 맞물리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
  2. 삭제
KR1020050127334A 2005-12-21 2005-12-21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 KR100745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334A KR100745454B1 (ko) 2005-12-21 2005-12-21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7334A KR100745454B1 (ko) 2005-12-21 2005-12-21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310A KR20070066310A (ko) 2007-06-27
KR100745454B1 true KR100745454B1 (ko) 2007-08-02

Family

ID=3836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7334A KR100745454B1 (ko) 2005-12-21 2005-12-21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099B1 (ko) * 2009-09-18 2015-12-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160024687A (ko) 2014-08-26 2016-03-07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
CN114379318B (zh) * 2021-12-27 2023-11-21 杭州科技职业技术学院 新能源汽车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1116A (ja) * 1987-11-25 1989-06-02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08282244A (ja) * 1995-04-19 1996-10-29 Nippondenso Co Ltd 空気通路切換装置
JP2001130239A (ja) 1999-11-04 2001-05-15 Denso Corp 空調装置用ドア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1116A (ja) * 1987-11-25 1989-06-02 Nippon Denso Co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08282244A (ja) * 1995-04-19 1996-10-29 Nippondenso Co Ltd 空気通路切換装置
JP2001130239A (ja) 1999-11-04 2001-05-15 Denso Corp 空調装置用ドア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6310A (ko) 200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6726A1 (en) Air-conditioning unit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0028943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2008049782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322700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0745454B1 (ko) 차량용 hvac의 슬라이드 도어장치
KR101438093B1 (ko) 리어공조장치를 이용한 에어커튼유니트
JP2007055382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210550A (ja) 空調装置
JP4032987B2 (ja) 車載用空調装置
CN108290472B (zh) 制冷制热模块
KR10261266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2001080339A (ja) 空気調和ユニット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20070131407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H0717150B2 (ja) 車両用の空気調和装置
JP2007131280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042556B2 (ja) 空調装置
JP6565739B2 (ja) 車両用空気吹き出し装置
JP2004256048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442465Y1 (ko) 차량용 공조 유니트의 벤트 도어
JP201014956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952475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492517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9119912A (ja) 車両用空調装置
JP4085688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5225249A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