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828B1 -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포함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 Google Patents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포함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828B1
KR100744828B1 KR1020050126300A KR20050126300A KR100744828B1 KR 100744828 B1 KR100744828 B1 KR 100744828B1 KR 1020050126300 A KR1020050126300 A KR 1020050126300A KR 20050126300 A KR20050126300 A KR 20050126300A KR 100744828 B1 KR100744828 B1 KR 100744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block copolymer
fiber composite
polymer
composi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5651A (ko
Inventor
천승한
채주석
김종근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6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828B1/ko
Publication of KR2007006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8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22Halogen fre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포함 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층-접착층-고분자 지지층-보호층으로 이루어진 섬유 복합 구조물 중 고분자 지지층을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등의 비할로겐계 고분자를 기재로 함으로써 기존의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고분자 지지층의 기재로 사용하고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함께 사용하던 경우와 달리 미반응 단량체인 비닐클로라이드(Vinyl Chroride Monomer)나, 가소제로 사용된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phthalate)등의 독성의 염소계 화합 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고, 상기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장기간 노출시 섬유 복합 구조물의 표면 밖으로 이형되어 발생하는 프탈레이트계의 환경호르몬 물질을 발생시키지도 않으며, 다이옥신(Dioxine) 연소시 염소와 같은 유해 가스 발생이 없고, 수은, 납 크롬 등과 같은 중금속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아 환경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뿐 아니라 비중이 작고 부드러운 감성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볍고 편안한 용도의 섬유 복합 구조물의 응용 제품에도 적합한 특성을 나타내는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포함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고분자 지지층, 섬유 복합 구조물

Description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포함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Fabric structure with polymer backing layer using styrenic block co-polymer}
본 발명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포함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층-접착층-고분자 지지층-보호층으로 이루어진 섬유 복합 구조물 중 고분자 지지층을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등의 비할로겐계 고분자를 기재로 함으로써 기존의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고분자 지지층의 기재로 사용하고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함께 사용하던 경우와 달리 미반응 단량체인 비닐클로라이드(Vinyl Chroride Monomer)나, 가소제로 사용된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phthalate)등의 독성의 염소계 화합 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고, 상기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장기간 노출시 섬유 복합 구조물의 표면 밖으로 이형되어 발생하는 프탈레이트계의 환경호르몬 물질을 발생시키지도 않으며, 다이옥신(Dioxine) 연소시 염소와 같은 유해 가스 발생이 없고, 수은, 납 크롬 등과 같은 중금속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아 환경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뿐 아니라 비중이 작고 부드러운 감성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볍고 편안한 용도의 섬유 복합 구조물의 응용 제품에도 적합한 특성을 나타내는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포함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섬유 복합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섬유층-접착층-고분자 지지층-보호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물로서, 각종 가방용, 햇빛 차단용, 텐트용, 신발용, 가구용 및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섬유 복합 구조물의 응용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섬유 복합 구조물에서 상기 섬유층은 다양한 천연 또는 합성 섬유와 이들의 혼방섬유들을 원료로 하고 있으며, 폴리에스터, 나일론, 면 및 이의 혼방 섬유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분자 지지층(backing layer)은 다양한 고분자가 원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분자 지지층은 섬유 제품의 방수기능 등 다양한 물리적 기능을 부여하고, 섬유체의 물리적 변형을 억제시키며, 감성 특성과 물리적 변형에 대한 신속한 복원력 유지 등의 기능을 부여하기 때문에, 상기 고분자 지지층은 우수한 인장강도, 파열강도, 표면 마모도, 내수압성, 내긁힘성, 섬유와의 접착성 및 인쇄성 등의 특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다양한 물성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고분자 재료 중에는 현재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고분자가 고분자 지지층에 뛰어난 연질 특성과 내긁힘성, 섬유와의 접착력, 마모도 등의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고분자 소재는 환경호르몬 유발 물질인 가소제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시 염화수소 기체, 다이옥신 등 인체 및 대기 환경에 유해한 물질을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중합체 제조시 해중합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중금속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키므로 환경단체 등에서 환경 파괴물질로 규제 대상이 되고 있으며 또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중합체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경량화 추세에 또한 부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대체 재료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등이 적용되고 있으나 가공성, 감성특성 및 탄성 회복력이 낮아 그 이용이 제한적이다.
미국특허 제6,716,777호는 환경 친화적이고 경량화 추세에 부합할 수 있는 섬유 구조물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방법에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와 플라스틱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섬유 안감 재료를 언급하고 있으나, 실시예, 물성 등의 그 구체적인 방법 예를 언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이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볼 수 없어 상기 특허를 이용하여 가방용 섬유 복합체 등을 제조할 경우 기술된 효과 등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열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등의 비할로겐계 소재를 고분자 지지층(backing layer)의 원료로 사용할 경우 환경오염 등의 문제와 제품화 되었을 경우 감성적 특성을 비롯한 다양한 물성을 만족시키는 섬유 복함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포함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을 이용한 섬유 생활 용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섬유층-접착층-고분자 지지층-보호층으로 이루어진 섬유 복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층 지지층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고분자 30 ∼ 80 중량%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10 ∼ 50 중량% 및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10 ∼ 20 중량%로 구성된 기재 고분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섬유 복합 구조물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층-접착층-고분자 지지층-보호층으로 이루어진 섬유 복합 구조물 중 고분자 지지층을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등의 비할로겐계 고분자를 기재로 함으로써 기존의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고분자 지지층의 기재로 사용하고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와 함께 사용하던 경우와 달리 미반응 단량체인 비닐클로라이드(Vinyl Chroride Monomer)나, 가소제로 사용된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phthalate)등의 독성의 염소계 화합 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고, 상기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및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장기간 노출시 섬유 복합 구조물의 표면 밖으로 이형되어 발생하는 프탈레이트계의 환경호르몬 물질을 발생시키지도 않으며, 다이옥신(Dioxine) 연소시 염소와 같은 유해 가스 발생이 없고, 수은, 납 크롬 등과 같은 중금속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아 환경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 뿐 아니라 비중이 작고 부드러운 감성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볍고 편안한 용도의 섬유 복합 구조물의 응용 제품에도 적합한 특성을 나타내는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섬유 복합 구조물을 각 구성성분 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섬유 복합 구조물은 섬유층-접착제층-고분자 지지층-보호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섬유층은 천연, 합성 또는 이들의 혼방 섬유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소재의 종류를 한정하지 않으나 폴리에스터 섬유, 나일론 섬유, 면류 및 이의 혼방 섬유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유성 및 수성을 포함하는 용제형과 상온하에서 고체 상태인 핫멜트형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선택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섬유 복합 구조물은 고분자 지지층의 구성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고분자 지지층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등의 비할로겐계 소재를 기재로 사용함에 특징이 있는 바, 이는 기존의 고분자 지지층이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사 용하여 구성되는 것과 비교하여 보다 환경 친화적이고 가벼워 소재 경량화에 적합하다.
상기 고분자 지지층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고분자 30 ∼ 80 중량 %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비할로겐계 고분자 20 ∼ 70 중량%로 이루어진 기재 고분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Styrenic Block Copolymers, SBC)는 고분자 지지층을 구성하는 기재 중 30 ∼ 8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40 ∼ 70 중량% 사용하며, 이러한 SBC 사용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섬유구조물의 유연성이 떨어지고, 80 중량%를 초과하면 섬유구조물의 표면성질이 나빠진다. 상기 SBC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SIS),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ethylene-butylene-styrene block copolymer, SEBS),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ethylene-propylene-styrene block copolymer, SEPS) 및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tyrene-butadiene-butylene-styrene block copolymer, SBBS) 등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예시된 SBC 중에서 SBS 20 ∼ 50 중량%, SIS 5 ∼ 10 중량%, SEBS 10 ∼ 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 25 ∼ 40 중량%이고, 수평균분자량 60,000 ∼ 240,000 범위이며, 선형, 테이퍼드형 또는 십자형 구 조의 고분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 15 ∼ 25 중량%이고, 수평균분자량 50,000 ∼ 100,000인 선형 구조의 고분자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수평균분자량 80,000 ∼ 260,000인 선형 또는 십자형 구조의 고분자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비할로겐계 고분자로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량은 상기 고분자 지지층 중 20 ∼ 70 중량%이며, 바람직하기로는 30 ∼ 60 중량% 인데, 사용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섬유구조물의 표면성질이 나빠지고, 70 중량%를 초과하면 섬유구조물의 유연성이 떨어진다.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10 ∼ 50 중량%,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10 ∼ 20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는 필요한 물성에 따라 선택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구체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폴리프로필렌 단일 중합체(polypropylene homo-polymer),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olypropylene copolymer),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polypropylene random polyme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Diene, EPDM),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EPM), 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Ethylene Methacrylate copolymer, EMA),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EVA) 및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Ethylene alpha-olefin copolymer, EOC) 등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스티렌계 고분자는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스티렌(General Purpose Polystyrene, GPPS), 고충격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HIPS),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tyrene Acrylonitrile copolymer, SAN) 및 스티렌 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Styrene Maleic Anhydride copolymer, SMA) 등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지지층은 상기 기재 고분자 외에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연화제(processing oil), 증량제, 무기물,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및 안료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선택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호층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표면코팅제 중에서 요구되는 물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 사용할 수 있으며, 유성형인 유기 용매계, 에멀젼 상태의 수성형 용매 등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성분들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섬유 복합 구조물은 먼저 섬유층을 결정하고, 선정된 섬유층 위에 그라비아 인쇄기 등을 이용해서 접착제를 도포한다. 상기 섬유층에 접착제층을 도포한 표면에 고분자 지지층을 접착시키는데, 상기한 고분자 지지층은 캘린더나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지지층은 섬유층 위에 상기 제시된 비할로겐계 고분자를 사용하여 제조한 조성물을 제조 즉시 도포하거나, 별도로 제조해 두었다가 따로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섬유층-접착제층-고분자 지지층 위에 보호층을 부가하여 섬유층-접착제층-고분자 지지층-보호층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섬유 복합 구조물을 완성한다.
즉, 표면코팅에 의하여 형성된 보호층은 고분자 지지층의 광택성과 표면의 내구성, 내후성 및 내긁힘성을 개선시키며, 또한 내마모성과 부드러운 촉감(soft touch feel) 특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섬유 복합 구조물은 다양한 섬유 가공 제품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가방, 신발, 텐트류, 가구용 액세서리, 의자, 문구류 및 선반류 등의 섬유 생활용품에 적용될 경우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는 바, 다음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6
나일론 섬유층 위에 접착제를 그라비아 인쇄기를 통하여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이 접착체층 위에 캘린더링 공정에 의하여 고분자 지지층을 직접 접착시킨 후 보호층을 올려 섬유층-접착제층-고분자 지지층-보호층으로 이루어진 섬 유 복합 구조물을 제조하였다.
고분자 지지층에 사용한 SBS로는 KTR 201 (금호석유화학)을, SIS로는 KTR 802 (금호석유화학), SEBS로는 Septon 8004 (Kuraray),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는 LDPE로 LDPE 5305 (한화석유화학), LLDPE로 LLDPE 4305(한화석유화학), PP로 RP 344N (Polymirae), EVA로 EVA 1157 (한화석유화학) 들 중 1종 이상을 선택했고, 폴리스티렌계 고분자로는 GPPS로 GP 125 (금호석유화학), HIPS로 HI 425TVL (금호석유화학), SAN으로 SAN 320 (금호석유화학), ABS로 ABS 780 (금호석유화학) 들 중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고분자 지지층은 컴파운딩하여 미리 준비한 후 사용하였다.
다음 표 1 에 실시예 1 ∼ 6에 적용된 고분자 지지층에 사용된 조성성분과 그에 따른 기계 물성 및 환경적 유해물질 분석결과를 나타내었다.
구분/상품명 조성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SBS KTR 201 20 20 20 50 50 50
SIS KTR 802 - - - 10 10 10
SEBS Kuraray 8004 10 10 10 20 20 20
폴리 올레핀계 LDPE 5305 20 - 10 - - -
LLDPE 4305 20 - 10 20 - 10
RP 344N 10 - 10 - - -
EVA 1157 20 - 20 - - -
폴리 스티렌계 GP125 - 10 - - - -
HI 425TVL - 40 10 - 10 10
SAN 320 - 10 10 - 10 -
ABS 780 - 10 - - - -
기계적 물성 비중 0.91 0.93 0.92 0.93 0.92 0.91
인장강도 kgf/㎠ 250 280 270 280 270 290
신장율 % 180 150 160 800 750 850
환경적 유해물질 분석 Cl,mg/kg 미검출
Pb,mg/kg 미검출
Cd,mg/kg 미검출
Cr,mg/kg 미검출
Hg,mg/kg 미검출
DOP,mg/kg 미검출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고분자 지지층이 적용된 섬유 복합 구조물은 기계적물성이 균형되게 나타나며, 비중이 매우 낮아 가벼운 섬유 복합체 응용 제품에 적용시 적당하다.
또한 인장강도와 신율이 높기 때문에 부드럽고 비교적 복원력이 우수한 고분자 지지층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원자흡광스펙트로미터기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피로 확인한 환경적 유해물질 분석 결과에 의하면 납, 크롬, 수은과 같은 중금속,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염소 등을 검출할 수 없어 환경 친화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제시된 조성성분으로 이루어진 고분자 지지층이 적용된 섬유 복합 구조물은 연질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고분자층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미반응 단량체(Vinyl Chroride Monomer), 디옥틸프탈레이트(Dioctylphthalate)등의 독성 또는 환경호르몬 유발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고, 태웠을 때 염소가스 또는 다이옥신(Dioxine)등의 유해 가스와 중금속 등이 전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환경적 문제를 유발시키지 않는다.
또한 비중이 작아 제품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부드러운 촉감과 같은 감성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볍고 편안한 섬유 복합체 응용 제품의 제조에 적합하다.

Claims (11)

  1. 섬유층-접착층-고분자 지지층-보호층으로 이루어진 섬유 복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층 지지층은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 고분자 30 ∼ 80 중량%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10 ∼ 50 중량% 및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10 ∼ 20 중량%로 구성된 기재 고분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로서 고분자 지지층 총 중량 중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20 ∼ 50 중량%,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5 ∼ 10 중량%,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10 ∼ 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 25 ∼ 40 중량%이고, 수평균분자량 60,000 ∼ 240,000 범위이며, 선형, 테이퍼드형 또는 십자형 구조의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 15 ∼ 25 중량%이고, 수평균분자량 50,000 ∼ 100,000인 선형 구조의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는 수평균분자량 80,000 ∼ 260,000인 선형 또는 십자형 구조의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스티렌계 고분자는 폴리스티렌, 고충격 폴리스티렌,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스티렌 말레인산 무수물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지지층은 연화제, 증량제, 무기물,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난연제 및 안료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11. 청구항 1 내지 6 및 8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한 섬유 복합 구조물을 재료로 하는 가방, 신발, 텐트류, 가구용 액세서리, 의자, 문구류 및 선반류 중에서 선택된 섬유 생활용품.
KR1020050126300A 2005-12-20 2005-12-20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포함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KR100744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300A KR100744828B1 (ko) 2005-12-20 2005-12-20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포함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6300A KR100744828B1 (ko) 2005-12-20 2005-12-20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포함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651A KR20070065651A (ko) 2007-06-25
KR100744828B1 true KR100744828B1 (ko) 2007-08-01

Family

ID=3836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300A KR100744828B1 (ko) 2005-12-20 2005-12-20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포함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8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361A (ko) * 2016-06-15 2017-1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비할로겐계 발포폴리머층을 포함하는 섬유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6777B2 (en) * 2001-11-08 2004-04-06 Epitech Inc. Fabric structure for making bags and the like
US20040161611A1 (en) * 2001-07-26 2004-08-19 Klaus Mueller Laminat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20040241479A1 (en) * 2003-05-27 2004-12-02 Domine Joseph Dominic New Backing layers and subastrates for articles formed from ionomer laminates
US20040258874A1 (en) * 2002-03-07 2004-12-23 Peter Desai Surface coverings containing styrene polym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1611A1 (en) * 2001-07-26 2004-08-19 Klaus Mueller Laminated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6716777B2 (en) * 2001-11-08 2004-04-06 Epitech Inc. Fabric structure for making bags and the like
US20040258874A1 (en) * 2002-03-07 2004-12-23 Peter Desai Surface coverings containing styrene polymers
US20040241479A1 (en) * 2003-05-27 2004-12-02 Domine Joseph Dominic New Backing layers and subastrates for articles formed from ionomer lamin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5651A (ko) 2007-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2501B2 (en) Floor covering composition containing renewable polymer
JP6698035B2 (ja) コーティングされた基材及びそれから作製された物品
TWI380902B (zh) 地板材
KR101007533B1 (ko)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성형품 및 다층구조체
CA2926725A1 (en) A printable magnetic receptive composite sheet and method of making
KR20190085155A (ko) 개선된 기계적 특성 및 높은 내후성을 갖는 압출 무광 호일
KR102368113B1 (ko)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성형품
WO1995003174A1 (de) Mehrschichtige kunststoffbahnen oder -platten mit transparenter deckschicht
KR100744828B1 (ko) 스티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고분자 지지층으로 포함하는 섬유 복합 구조물
CA2189198C (en) Floorcovering material
JP2011056879A (ja) エンボス化粧シート
KR102367517B1 (ko)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
JP4823335B2 (ja) 複層成形品
JP2017149937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布積層成形体
HU214681B (hu) Eljárás nagy polaritású komonomer csoportokkal módosított polimeralapú padlóburkolatok és falburkolatok előállítására és az eljárással előállított termékek
KR101931756B1 (ko) 친환경 데코시트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데코시트
JPH11189689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2002096426A (ja)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からなる積層体
JPH0925347A (ja) ポリプロピレン系軟質フィルム・シート
KR100610212B1 (ko)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벽지
JP4493372B2 (ja) 複層成形品
JP2766467B2 (ja) 樹脂被覆布地およびテーブルクロス
KR101718943B1 (ko) 친환경 데코레이션시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데코시트
JP2005206694A (ja)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JP2006035656A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