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034B1 -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034B1
KR100744034B1 KR1020050063269A KR20050063269A KR100744034B1 KR 100744034 B1 KR100744034 B1 KR 100744034B1 KR 1020050063269 A KR1020050063269 A KR 1020050063269A KR 20050063269 A KR20050063269 A KR 20050063269A KR 100744034 B1 KR100744034 B1 KR 100744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route
gps
vehicle
bright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212A (ko
Inventor
박해용
Original Assignee
(주)비에스아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에스아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비에스아이시스템
Priority to KR102005006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034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GPS를 이용하여 정확히 운행방향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운송수단에 구비되어, 그 운송수단의 운행방향의 상행 또는 하행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표시수단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표시내용 지시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제어수단으로부터, 표시동작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GPS수신수단은, 일정 주기마다 수신되는 GPS값을, 인터페이스수단을 거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입력하며, 메모리수단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지시신호에 의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또한 상기 운송수단의 복수개의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메모리수단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재 노선의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을 로딩하여, 이와 상기 일정 주기마다 입력되는 현재의 GPS값의 방향성을 비교하여, 현재의 GPS값의 증가 또는 감소방향의 계산에 의하여 상기 운송수단의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에 대한 상대이동 방향을 상하행 운행방향으로 판정하여, 적어도 현재 노선의 양 종점 중의 하나 이상과, 상기 상하행 운행방향과, 현재의 노선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의 구동제어수단에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운송수단, 상하행, 표시장치, GPS, LED

Description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A display apparatus of upbound and downbound for transportation means}
도 1은, 본 발명의 운송수단 상하행 표시장치를 이루는 하드웨어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운송수단 상하행 표시장치의 전원투입 후의 동작 플로챠트이다.
도 3은, 차량 노선의 일부 구간의 평면도의 일례이다.
도 4는, 도 3의 노선을 GPS 좌표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경우의, 다양한 모델을 예시하는 도표로서, (a)는 정밀편도모델, (b)는 간략화된 편도모델, (c)는 중심선과 폭에 의한 편도모델, (d)는 중심선과 폭에 의한 왕복모델을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조작패널부에 설치되는 키와 표시장치 등에 의한 노선 결정에 있어서, 키가 숫자키인 경우의 노선과의 대응관계의 예를 예시하는 도표이다.
도 6은, 광도감지부와 광도변경부에 의한 표시수단의 광도 변경에 대한 동작 플로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중앙처리장치(CPU)
200 : 표시수단
201 : 표시수단 구동제어부
300 : 광도감지부
301 : 광도변경부
400 : GPS수신부
401 : 인터페이스부
402 : 메모리부
403 : 노선 데이터베이스
500 : 조작패널부
600 : 전원부
본 발명은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버스나 전철, 기차, 유람선, 스쿨버스, 통근버스 등과 같이, 미리 정해져 있는 일정한 몇 개의 노선을 가지고 있는 운송수단에 있어서, 운행 전에는 노선을 결정하여 입력할 수 있고, 운행 중에는 GPS값에 의하여 출발지와 도착지 사이의 진행방향을 정확히 표시할 수 있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나 전철, 유람선과 같이, 일정한 구간 사이를 반복적으로 운행하는 운송수단에 있어서는, 승객에게 어느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개 운송수단의 최전방 또는 최후방 또는 탑승하려는 승긱에게 가장 잘 보이는 위치에, 출발지와 도착지를 표시하고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중간에 정차 또는 정박하는 주요 지점에 대한 정보와 노선의 번호 등의 정보도 제공하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표시를 위한 수단으로서는 종래부터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특히 내용의 변경이 비교적 간단하고, 야간 시인성이 좋다는 이유로 LED를 이용한 표시수단이 근래에 보급되고 있다.
상기 종래의 LED 표시수단은, 주로 LED와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수단과, 이에 연결되어 LED의 표시내용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에는 램 또는 롬으로 이루어지는 메모리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현재 운행될 노선에 대한 양 종점과 노선번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현재 운행될 노선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메모리부를 교체하거나, 외부의 별도의 컴퓨터에 연결하여 그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교체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하,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운송수단의 예로서 버스에 대해서만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 미리 정해져 있는 일정한 노선을 하나 이상 가지고 있고, 출발지와 도착지를 표시해야 하는 운송수단이라면, 육상, 해상 등의 구분을 하지 않고, 이 버스에 대한 기술에서 기재하고 있는 기술적 사항의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노선 관련 정보의 표시장치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근래에 들어서는, 하나의 운송수단이, 시간에 따라서 여러 노선에 취항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 대, 아침에 광주를 출발하여 여수로 이동한 버스가, 점심때 여수를 출발하여 목포로 이동하고, 저녁때 목포를 출발하여 광주로 이동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때, 간단한 조작으로 노선을 선택 변경하여 표시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표시수단에 표시되는 노선 정보, 특히 양 종점과 운행방향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표시수단에 표시될 내용을 결정하는 장치의 프로그램이 담겨있는 칩을 교환하거나, 표시수단에 표시될 내용을 결정하는 장치를 외부의 컴퓨터와 연결한 후 프로그램에 의하여 제어, 변경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반인들, 특히 운전자나 회사의 일반직원들이 이를 직접 처리할 수는 없었고, 반드시 이 표시수단을 제작한, 또는 판매한 전문가, 또는 회사내에서 이러한 교육을 이수한 소수의 전문가에 의하여만 노선변경 처리를 해야 하였다.
그런데, 상기 노선의 변경은 한번만 행하면 그것으로 장기간 변경을 요하지 않는 경우도 있을 테지만, 그렇지 않고, 앞서 예시한 바와 같이, 아침, 점심, 저녁으로 그 노선을 수시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종래의 장치가 극히 불편하며, 비전문가에 의하여 다루어지는 경우에 발생되는 손상이나 고장의 위험은 늘 상존하고 있었다.
그리고,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LED를 이용한 노선 등의 표시수단에 있어서는, 주간이나 야간, 날씨 등에 따라서는 상기 LED의 광도가 너무 세거나 약해서 시인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특히 주간에는 강력한 태양광의 영향으로 LED에 점등된 부분이 시인되지 않게 되고, 이는 아침저녁으로 태양광이 지평선 부근에 있을 때는 더욱 그러하다. 또한, 야간에는 주변의 불빛이 거의 없는 한적한 곳에서 는, LED의 광도가 너무 강하여, 난시성 시력을 가진 자 뿐만 아니라 정상인에게 있어서도 눈이 시리다는 느낌을 가지게 하여, 불편함을 더하고 있다. 그리고, 우천시, 안개시 등에는 일반적인 맑은 날에 비하여 LED의 시인성이 훨씬 떨어지는데도,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이를 감안하지 않고 일정하게 LED의 광도를 설정하여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다.
그리고, 출발지에서 도착지까지 운행하고, 다시 도착지에서 출발지를 향하여 되돌아오도록 운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종래의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다시 칩의 교환 또는 컴퓨터 연결에 의한 프로그래밍에 의하여 상기 상/하행 표시를 변경시켜야 하는데, 이는 짧은 노선인 경우에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되어서, 불편함이 매우 지대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운송수단의 노선의 출발지와 도착지 및 운행방향을 표시하는 LED 등으로 이루어지는 표시수단을 구비함과 함께, 상기 운행방향이 GPS값에 따라서 자동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시수단에 출력되어 표시되는 광도가, 주위 광도나 날씨 등 외부요인에 따라서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패널부에서의 입력에 따라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여러개의 노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여러개의 표시형태세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운행되는 노선에 대한 GPS값을 미리 입력하여두고, 이와 현재 운행중인 운송장치의 GPS값을 비교하여, 정확한 운행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운송수단에 구비되어, 그 운송수단의 운행방향의 상행 또는 하행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중앙처리장치와, 표시수단과, GPS수신수단과, 메모리수단과, 전원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표시내용 지시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제어수단으로부터, 표시동작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GPS수신수단은, 일정 주기마다 수신되는 GPS값을, 인터페이스수단을 거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입력하며, 상기 메모리수단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지시신호에 의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또한 상기 운송수단의 복수개의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메모리수단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재 노선의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을 로딩하여, 이와 상기 일정 주기마다 입력되는 현재의 GPS값의 방향성을 비교하여, 현재의 GPS값의 증가 또는 감소방향의 계산에 의하여 상기 운송수단의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에 대한 상대이동 방향을 상하행 운행방향으로 판정하여, 적어도 현재 노선의 양 종점 중의 하나 이상과, 상기 상하행 운행방향과, 현재의 노선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의 구동제어수단에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GPS값으로 표현되는 노선데이터와, 일정 주기로 수신되는 운송수단의 현재의 GPS값의 방향성을 비교함으로써, 그 값의 증감에 의하여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방향을 결정하기 때문에, 항상 정확하게 운행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광도감지수단 및 광도변경수단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광도감지수단은, 운송수단 외부의 광도를 감지하여 입력하여, 상기 광도변경수단에 입력하고, 상기 광도변경수단은, 상기 입력된 광도와 미리 정해져 있는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표시수단의 출력광도를 변경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의 구동제어수단에 변경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부 광도에 따라서 상기 표시수단에 출력되는 출력 광도를 조절하므로, 예컨대 주간에는 강하게 표시하고, 야간에는 약하게 표시하도록 하여, 이용자의 시인성을 제고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도변경수단은, 상기 입력된 광도가 미리 정해져 있는 기준치보다 강하면, 상기 표시수단의 출력광도를 강하게 변경하고, 상기 입력된 광도가 미리 정해져 있는 기준치보다 약하면, 상기 표시수단의 출력광도를 약하게 변경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의 구동제어수단에 변경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부 광도가 강하면 출력 광도를 강하게 하고, 외부 광도가 약하면 출력 광도를 약하게 하여 조절하므로, 예컨대 주간에는 강하게, 야간에는 약하게 표시하거나, 야간에 반대차선의 차량과 교행시에는 강하게 표시하도록 하여, 이용자의 시인성을 제고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에는, 운행 노선의 주위 환경 중, 특정시간대에 상습적으로 평균 광량치보다 지나치게 많거나 지나치게 적은 광도가 수신되는 특정 광도이상(異常)지역에 대하여, 그 지역의 리스트와, 각 지역에 해당되는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과, 각 지역의 광도이상이 발생되는 시간대와, 발생되는 광도를 저장하여 광도이상지역 데이터베이스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과 일정 주기마다 수신되는 GPS값으로부터, 상기 운송장치가 상기 광도이상지역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지역 내에서 운행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표시수단의 구동제어수단에 출력광량의 특별증감을 위한 표시내용 지시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번화가나 터널, 시골길 등 광도에 있어서 특징이 있는 곳인 광도이상지역을 미리 선정하여, 그 시간대와 광도를 고려하여 출력 광도를 조절한다. 예컨대, 번화가, 가로등 시설이 밝은 곳에서는 출력 광도를 강하게 하고, 시골길이나 가로등 시설이 없는 곳에서는 출력 광도를 약하게 한다. 따라서, 이용자의 시인성을 제고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는, 적어도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조작패널수단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메모리수단의 상기 노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복수개의 노선데이터에는, 미리 지정된 식별자가 부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조작패널수단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노선데이터를, 상기 복수개의 노선데이터 중에서 선택하여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그 운송수단이 운행될 후보지를 미리 저장하여 둘 수 있고, 실제 운행시에는 상기 조작패널수단에 구비된 키 등의 입력장치에 의하여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과 같이 프로그램 칩의 교환이나, 컴퓨터 연결에 의한 프로그램 제어에 의한 재설정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운행자가 간단히 노선을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면은, 각 종점의 명칭을 표시하는 구역과,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구역과,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구역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메모리수단에는, 상기 각 구역의 크기와 위치와 표시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달리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표시형태세트가, 미리 지정된 식별자가 부여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조작패널수단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표시형태세트를, 상기 복수개의 표시형태세트 중에서 선택하여 로딩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양 종점명의 각각과 상하행표시, 노선번호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표시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는 노선 데이터베이스에는, 양 종점의 한국어 명칭에 대응되는 외국어 명칭도 함께 저장되고, 상기 표시수단에 있어서의 양 종점의 표시는, 적어도 한국어 및 외국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언어로 표시하거나, 둘 이상의 언어를 병기하거나 할 수 있어서,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에게도 친화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도변경수단은, 외부의 습도와 온도에 따라서 상기 표시수단의 출력광도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습도나 온도의 고저에 따른 빛의 물리적 굴절현상이나, 심리적 인식의 변화를 반영하여 출력 광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비오는 날, 안개낀 날, 혹서, 혹한 등에 따른 출력 광도를 이용자가 받아들이기 안락하게 조절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도변경수단은, 외부의 습도가 높으면 상기 표시수단의 출력광도를 높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오는 날 등의 습도가 높을 때에 출력광도를 높임으로써, 빛의 굴절이나 심리적 수용상태에 맞춘 출력 광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도변경수단은, 외부의 온도가 높으면 상기 표시수단의 출력광도를 낮추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혹서의 여름 한낮 등의 고온시에는 출력광도를 낮춤으로써, 빛의 굴절이나 심리적 수용상태에 맞춘 출력 광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는 각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는, 노선의 특이(特異)지점의 GPS값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노선에 대응되는 GPS 데이터를 일정 간격마다 샘플링하지 않으므로, 데이터의 용량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승강장 등의 특이지점에 대한 데이터는 세밀하게 저장되므로, 운행시의 중요 포인트 지점에 대한 상하행의 판단이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는 각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는, 노선의 특이지점 중, 노선 중심선으로부터 최외부에 존재하는 특이지점이 포함되고, 또한 노선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직선화된, 간략화된 노선의 특이지점의 GPS값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 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노선에 대응되는 GPS 데이터를, 특이지점까지 포함하여 큰 범위로 설정하므로, 인도나 보도 등까지 노선으로 설정되는데, 이러한 인도나 보도 등의 부분에는 실제로 운송수단이 지나가지 않을 것이므로, 간략화된 아웃라인에 의하여 노선 대응 GPS 데이터의 개수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는 각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는, 노선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그 각 구간마다의 노선의 중심선의 시작점과 끝점의 GPS값, 및 노선의 폭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노선에 대응되는 GPS 데이터를, 특정 구간마다의 노선 중심선을 따른 시작점과 끝점, 그리고 노선의 폭으로 표현하므로, 직선구간이 많을수록 노선 대응 GPS 데이터의 개수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참고로, 첨부된 도면에는 도면부호를 통일성을 가지고 부여하고 있으며, 별개의 도면에도 동일한 도면부호가 부여되어 있다면, 그 기능 및 작용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따라서, 동일한 도면부호의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 는 경우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송수단 상하행 표시장치를 이루는 하드웨어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운송수단에 설치된다. 상기 운송수단으로는, 지상의 버스, 전철, 기차는 물론이고, 해상의 여객선, 화물선, 관광유람선 등이 모두 포함된다. 즉, 출발지와 목적지를 표시하고, 현재의 진행방향이 어느 방향인지를 표시하여야 하는 운송수단은 모두 포함된다. 그리고, 현재 기술로서 GPS에 의한 위치추적이나 GPS 데이터 수신에 어려움이 존재하는 운송수단인 경우에도, 이런 기술적 곤란성이 해소된다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운송수단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에는, 적어도 중앙처리장치(100)와, 표시수단(200)과, GPS 수신수단(400)과, 메모리수단(402)과, 전원수단(600)이 구비된다.
먼저, 상기 표시수단(200)은, 그 구동제어수단(201)으로부터 표시동작신호를 입력받아 그 내용을 표시하는 수단이다. 상기 구동제어수단(201)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로부터의 표시내용 지시신호에 따라 작동된다.
상기 표시내용 지시신호의 내용은 예컨대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서울역 200 망우리
for Seoul for Mangwoo station 200 -Dong
그런데, 상기 표 1이나 표 2의 표시형태에 있어서는, 어느 방향으로 상기 운송수단이 운행중인지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운송수단의 진행방향에 대한 표시까지도 행할 수 있는 표시형태가 제공된다. 예컨대 다음과 같다.
→ 서울역 200 망우리 ←
for Seoul → for Mangwoo station 200 -Dong ←
상기 표시에서는, 숫자 200 상단이나 하단의 화살표가 운행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며, 실제의 운행방향에 따라서 상행인지 또는 하행인지에 따라서 둘 중의 어느 하나만이 표시됨은 물론이다.
또는,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200 서울역 방향
200 in the direction Seoul station
상기 표시에서는, 화살표가 아닌 문자에 의하여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기 GPS 수신수단(400)은, 일정한 주기로 GPS값을 수신(S300)하는 수단이다. 이 수신된 값은, 인터페이스수단(401)을 거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수단(402)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로부터의 지시신호에 의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수단이다. 여기에는 특히, 상기 메모리수단(402)에는, 노선 데이터베이스(403)가 미리 구비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운송수단은, 복수개의 노선에 운용되는 것이 예정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는 그 중의 어느 특정 노선에서 운행되고 있더라도, 조만간 다른 후보지 노선 중에서 하나에 운행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노선 데이터를 GPS 대응값으로 변환하여, 이들 노선에 대한 식별자와 노선을 이루는 데이터, 즉 운송수단이 존재할 수 있는 확률공간으로서의 경계값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를 모아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두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운송수단 상하행 표시장치의 전원투입 후의 동작 플로챠트이다. 도 3은, 차량 노선의 일부 구간의 평면도의 일례이다.
상기 모든 구성요소를 총괄 관리하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는, 상기 도 2의 흐름에 따라서 제어 처리를 행한다.
먼저, 전원이 투입되면, 상기 메모리수단(402)의 노선 데이터베이스(403)에 저장된 현재 노선의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을 로딩(S100)한다. 이를 노선 맵이라 불러도 좋다. 이 노선 맵의 작성예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GPS 수신수단(400)에서는 일정 주기로, 예컨대 초당 수회 상기 운송수단의 현재의 GPS값이 수신(S300)된다. 따라서, 이 노선 맵의 GPS값들과 상기 일정 주기마다 입력되는 상기 운송장치의 현재 위치 GPS값을 비교하여, 현재 위치가 노선 맵의 어느 곳에 있는지를 판단(S400)한다. 상기 판단에 있어서, 양 종점의 위치가 아닌 경우에는, 운행중이라고 판단(S400)한다.
그 후, 상기 현재 수신받은 GPS값이 그 바로 전에 수신받은 GPS값에 비하여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방향성을 계산할 수 있다. 즉, GPS값의 증가방향을 계산(S430)한다.
다음으로, 이 방향성과, 현재 운행되고 있는 노선의 그 부근의 GPS 대응값을 비교하는 것이다. 그러면, 노선의 특정지점, 즉 운송수단의 현재 GPS 위치 부근의 노선의 지점의 GPS값에 대하여, 현재 GPS값의 증가 또는 감소방향의 계산(S430)이 가능하다. 이런 계산을 복수개, 예컨대 2개 이상의 노선상의 특정지점의 GPS값에 대하여 계산하면, 상기 운송수단의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에 대한 상대이동 방향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검증도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의 b5 위치 부근에 운송수단이 존재한다고 GPS값을 받은 후, 그 다음 주기에 받은 운송수단의 GPS값이 b5보다 b6쪽으로 진행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는, 이 운송수단은 상행선에 있으며, 그 운행방향도 상행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운송수단의 노선에 대한 GPS 대응값의 결정방법 및 이에 의한 노선 맵의 작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노선을 GPS 좌표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경우의, 다양한 모델을 예시하는 도표로서, (a)는 정밀편도모델, (b)는 간략화된 편도모델, (c)는 중심선과 폭에 의한 편도모델, (d)는 중심선과 폭에 의한 왕복모델을 각각 나타낸다. 이에 의하여 바로 노선 맵을 구성하게 된다.
도 3과 같은 노선의 일부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에, 도 4의 (a)와 같이, 상행선의 모든 특이지점에 대한 GPS값을 모두 데이터베이스화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좌측라인의 좌표로서, 중앙선인 c1, c2, c3의 값을 저장하고, 우측라인의 좌표로서, 인도 또는 보도측인 b1 내지 b12의 값을 저장하여 두면, 이들로 이루어지는 경계선의 안쪽은 상기 운송수단이 존재할 수 있는 확률범위가 된다. 물론 하행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논리에 의거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부 구간들을 전 노선 범위에 걸쳐서 데이터베이스화하면, 하나의 노선 전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한편, 도 4의 (b)와 같이, 그 일부 구간 중, 중앙선의 반대측, 즉 인도나 보도측으로 가장 들어가 있는 부분을 기준으로 하여, 이를 포함하도록 우측라인의 좌표를 설정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좌측라인의 좌표는 그대로이지만, 우측라인의 좌표는, b13, b14, b15의 단 3개로 개수가 줄어든다. 이러한 기법은 상기 메모리수단(402)의 활용도와 처리속도에 있어서 중요한 플러스 요소가 된다.
생각을 바꿔서, 도 4의 (c)와 같이, 상행선에 있어서, 그 상행선의 우측라인을 도로의 중앙선으로 설정하고, 좌측라인을 상기 도 4의 (b)에 있어서의 간략화된 인도(보도)측 라인으로 하여, 그 중간의 선인 a1, a2, a3를 기억하도록 하면 좋다. 이때, 좌우측의 경계라인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노선의 폭인 w1을 더욱 기억하여 두면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중간선(a1, a2, a3)으로 이루어지는 직선을 중심으로 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폭(w1)만큼 좌우로 쉬프트한 직선이 좌우측라인을 이루는 좌표의 선이 된다. 따라서 기억해야 할 데이터의 개수가 현격히 줄어들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상기 메모리수단(402)의 활용도와 처리속도에 있어서 중요한 플러스 요소가 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도 4의 (c)의 생각방식을 상행선 뿐만 아니라 하행선까지 포함하도록 확장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중간선은, 바로 중앙선(c1, c2, c3)이 되며, 노선의 폭은 상행선 또는 하행선 중의 어느 하나의 폭으로서, 상기 도 4의 (b)에 있어서의 간략화된 인도(보도)측 라인까지로 하면, 그 폭은 w2가 된다. 이때, 상기 중앙선(c1, c2, c3)으로부터 상행선측의 경계까지의 폭과 하행선측의 경계까지의 폭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더 큰 쪽을 취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인도(보도) 위에는 운송수단이 운행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실제보다 넓게 경계를 취하더라도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상기 모든 예에 있어서, 저장된 각 GPS 대응값의 사이의 값은, 그 저장순서대로 서로 연결되어 직선을 이루는 것으로 가정함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직선화나 간략화 및 저장에 의하여 노선 맵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노선 대응 GPS값으로 이루어지는 여러 노선 맵을 담고 있는 노선 데이터베이스(403)로부터 현재 운행되는 하나의 노선 맵을 불러오고(S100), 일정 주기마다 수신(S300)되는 상기 운송장치의 현재의 위치에 해당되는 GPS값의 좌표와 변동추이를 계산함으로써, 상기 노선 맵 상에서 상기 운송수단이 어느 방향으로 이동 중인지를 알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하행 운행방향으로 판정(S440)하는 것이다.
그 후에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는, 적어도 현재 노선의 양 종점 중의 하나 이상과, 상기 상하행 운행방향과, 현재의 노선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 구동제어수단(201)에 전송한다. 물론 표시내용 지시신호도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표시수단 구동제어수단(201)은, 상기 지시에 따라서 상기 표시수단(200)의 실제 구동에 필요한 전압, 전류치와 위치지정신호 등을 포함하는 표시동작신호를, 상기 표시수단(200)에 전송한다. 이로써 적어도 현재 노선의 양 종점 중의 하나 이상과, 상기 상하행 운행방향과, 현재의 노선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상기 표시수단(200)에 표시되며(S450, S460), 이용자의 이용에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GPS값으로 표현되는 노선데이터와, 일정 주기로 수신(S300)되는 운송수단의 현재의 GPS값의 방향성을 비교함으로써, 그 값의 증감에 의하여 상기 운송수단의 이동방향을 결정(S440)하기 때문에, 항상 정확하게 운행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광도감지수단(300) 및 광도변경수단(301)이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도감지수단(300)은, 운송수단 외부의 광도를 감지하여 입력하여, 상기 광도변경수단(301)에 입력하는 수단이다. 예컨대, 외부 광도를 적절한 집광수단에 의하여 모아서 입력받아서 동작하도록 구성하면, 포토가변저항나 포토다이오드 등의 광전소자로 이루어지는 광센서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보다 간단하고 바람직하게는 CdS(황화카드뮴 소자)를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예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광도변경수단(301)은, 상기 입력된 광도와 미리 정해져 있는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표시수단(200)의 출력광도를 변경하도록, 상기 표시수단(200)의 구동제어수단(201)에 변경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수단이다. 물론, 상기 구동제어수단(201)은 상기 변경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이에 따라서 상기 표시수단(200)을 구동하는 전압, 전류 등의 조절을 위한 표시동작신호를 새로이 상기 표시수단(200)에 전송하게 된다.
상기 광도감지수단(300)과 광도변경수단(30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투입시와 운행중일 때에 일정 주기마다 광도를 감지하고, 그 광도를 변경(S200)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부 광도에 따라서 상기 표시수단(200)에 출력되는 출력 광도를 조절하므로, 예컨대 주간에는 강하게 표시하고, 야간에는 약하게 표시하도록 하여, 이용자의 시인성을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광도감지수단(300) 및 광도변경수단(301)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광도변경수단(301)은, 상기 입력된 광도가 미리 정해져 있는 기준치보다 강하면, 상기 표시수단(200)의 출력광도를 강하게 변경(S200)하고, 상기 입력된 광도가 미리 정해져 있는 기준치보다 약하면, 상기 표시수단(200)의 출력광도를 약하게 변경(S200)하도록, 상기 표시수단(200)의 구동제어수단(201)에 변경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광도의 발광체라도, 낮에는 잘 안보여서 시인성이 떨어지고, 밤에는 잘 보여서 시인성이 올라간다. 따라서 입력 광도에 따라서 출력 광도를 조절하되, 강할 때는 강하게, 약할 때는 약하게 조절하여야, 시인성 제고 및 에너지 절약에 효과가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외부 광도가 강하면 출력 광도를 강하게 하고, 외부 광도가 약하면 출력 광도를 약하게 하여 조절하므로, 예컨대 주간에는 강하게, 야간에는 약하게 표시하거나, 야간에 반대차선의 차량과 교행시에는 강하게 표시하도록 하여, 이용자의 시인성을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상기 광도감지수단(300) 및 광도변경수단(301)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광도가 평균적 지역보다 현격히 강하거나 약한 광도이상지역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구비하고, 상기 운송수단의 현재위치가 이 지역에 해당되면 그 이상광도에 대응하여 출력광도를 조절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를 위하여, 상기 메모리수단(402)에는, 운행 노선의 주위 환경 중, 특정시간대에 상습적으로 평균 광량치보다 지나치게 많거나 지나치게 적은 광도가 수신되는 특정 광도이상(異常)지역에 대하여, 그 지역의 리스트와, 각 지역에 해당되는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과, 각 지역의 광도이상이 발생되는 시간대와, 발생되는 광도를 저장하여 광도이상지역 데이터베이스가 더욱 구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는, 상기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과 일정 주기마다 수신(S300)되는 GPS값으로부터, 상기 운송장치가 상기 광도이상지역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지역 내에서 운행 중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표시수단(200)의 구동제어수단(201)에 출력광량의 특별증감을 위한 표시내용 지시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번화가나 터널, 시골길 등 광도에 있어서 특징이 있는 곳인 광도이상지역을 미리 선정하여, 그 시간대와 광도를 고려하여 출력 광도를 조절한다. 예컨대, 번화가, 가로등 시설이 밝은 곳에서는 출력 광도를 강하게 하고, 시골길이나 가로등 시설이 없는 곳에서는 출력 광도를 약하게 한다. 따라서, 이용자의 시인성을 제고할 수 있다.
도 5는, 조작패널부에 설치되는 키와 표시장치 등에 의한 노선 결정에 있어서, 키가 숫자키인 경우의 노선과의 대응관계의 예를 예시하는 도표이다.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 연결되는 조작패널수단(500)이 더욱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작패널수단(500)은, 키패드나 키보드 등의 미도시된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LCD, LED 등의 간단한 미도시된 출력수단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수단(402)의 상기 노선 데이터베이스(403)에 저장되는 복수개의 노선데이터에는, 미리 지정된 식별자가 부여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을 위한 식별자와, 노선의 명칭 또는 그 명칭과 함께 그 노선에 해당되는 GPS 대응값의 데이터가 대응되어 저장되면 된다.
이렇게 구성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패널수단(500)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노선데이터를, 상기 복수개의 노선데이터 중에서 선택하여 로딩(S100)하게 된다. 상기 노선의 변경(S410) 조작은, 상기 운송수단이 종점 위치에 있다고 판단(S400)된 경우에 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운송수단의 위치 판단(S400)은, 노선 맵과 수신(S300)된 현재위치 GPS값을 비교(S400)함으로써 행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예컨대, 상기 조작패널수단(500)으로부터 '0003'이 입력된 경우, 이 입력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가지는 데이터인 '광주→목포' 노선이 선택되는 것이다. 이에 의하여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는, 상기 노선의 데이터를 로딩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그 운송수단이 운행될 후보지를 미리 저장하여 둘 수 있고, 실제 운행시에는 상기 조작패널수단(500)에 구비된 키 등의 입력장치에 의하여 그 중에서 하나를 선택(S420)하여 표시수단(200)에 표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기술과 같이 프로그램 칩의 교환이나, 컴퓨터 연결에 의한 프로그램 제어에 의한 재설정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운행자가 간단히 노선을 변경(S410)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상기 조작패널수단(500)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면은, 각 종점의 명칭을 표시하는 구역과,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구역과,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구역으로 나뉘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예컨대, 표 1 내지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표시 레이아웃에 따라서, 이 각종 레이아웃의 구성요소인 종점 명칭, 진행방향, 노선번호를 표시할 표시면의 구역을 다양하게 나눌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구역의 분할은, 상기 표시수단(200)의 하드웨어적으로 전용 구역을 설정하여 배치할 수도 있고, 전체로서 범용 표시면을 가지는 표시수단(200)에 대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구역을 설정할 수도 있는데, 후자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메모리수단(402)에는, 상기 각 구역의 크기와 위치와 표시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달리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표시형태세트가, 미리 지정된 식별자가 부여되어 저장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예컨대, 표 1 내지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표시 레이아웃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하여 고유의 식별자를 부여하여 둔다. 상기 식별자는 차후의 인출을 위한 것이다.
그러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는, 상기 조작패널수단(500)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표시형태세트를, 상기 복수개의 표시형태세트 중에서 선택하여 로딩하여 표시하는 것이다. 이렇게 표시된 것이 예컨대 표 1 내지 표 6의 표시수단(200)의 표시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양 종점명의 각각과 상하행표시, 노선번호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크기로 표시할 수 있으므로, 표시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메모리수단(402)에 저장되는 노선 데이터베이스(403)에는, 양 종점의 한국어 명칭에 대응되는 외국어 명칭도 함께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국어는, 영어 뿐만 아니라, 일본어, 중국어 등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표시수단(200)에 있어서의 양 종점의 표시는, 적어도 한국어 및 외국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즉 한국어에 있어서도 한자와 한글의 병기도 가능할 수 있고, 또한 이들과 외국어의 병기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언어로 표시하거나, 둘 이상의 언어를 병기하거나 할 수 있어서,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에게도 친화적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상기 광도감지수단(300) 및 광도변경수단(301)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광도변경수단(301)은, 외부의 습도와 온도에 따라서 상기 표시수단(200)의 출력광도를 변경(S200)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습도나 온도는 빛의 굴절을 초래한다. 따라서 동일한 발광체를 보더라도, 습도나 온도에 따라서 빛의 편이가 발생되므로, 이를 수용하는 느낌이 다르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면, 습도나 온도에 따른 가장 적합한 강도나 색감의 표시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광도감지부와 광도변경부에 의한 표시수단의 광도 변경에 대한 동작 플로챠트이다.
예컨대, 온도나 습도와 같은 날씨요인까지 고려하는 출력 광도의 모델을,
광도 = 광도 * 외부광도 가중치 + 날씨별 기본광도
라는 식으로 정리하여 간략히 표현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여기서, 좌변의 광도는 앞으로 출력될 새로운 광도이고, 우변의 광도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기존의 광도이다. 또한 외부광도 가중치란, 외부로부터 광도감지수단(300)을 통하여 입력되는 광도를 기준으로 하여, 새로운 출력광도를 가공하기 위한 가중치로서, 예컨대 평균적 광도를 0으로 하였을 때, 그보다 강한 광도를 플러스, 약한 광도를 마이너스로 한다면, 가중치를 2로 하는 경우에는, 그 입력광도의 2배의 광도를 발하도록 출력광도를 설정한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날씨별 기본광도란, 온도나 습도에 의한 요인을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평균 광도를 100으로 한 경우, 이 날씨별 기본광도를 ±10으로 하면, 온도나 습도가 기준치보다 1단계 높거나 낮을 경우에는 10을 가감하고, 2단계 높거나 낮을 경우에는 20을 가감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온도에 의한 요인과 습도에 의한 요인을 별개로 고려하도록, 이 날씨별 기본광도를 둘로 나눠서, 온도 기본광도와 습도 기본광도로 분리할 수도 있다. 상기 가중치나 날씨별 기본광도는, 실험에 의하여 적정한 값을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단순한 모델의 예에 불과함은 물론이며, 다양한 요인의 가중치나 기본값의 가감승제에 의한 출력광도의 계산방법은 이에 한하지 않는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습도나 온도의 고저에 따른 빛의 물리적 굴절현상이나, 심리적 인식의 변화를 반영하여 출력 광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비오는 날, 안개낀 날, 혹서, 혹한 등에 따른 출력 광도를 이용자가 받아들이기 안락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상기 광도변경수단(301)은, 외부의 습도가 높으면 상기 표시수단(200)의 출력광도를 높이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습도가 높으면 일반적으로 불쾌지수가 높아진다. 또한 비오는 날이나 안개낀 날 등의 경우에는, 빛의 굴절에 의하여 시인성도 저하된다. 이런 경우에 있어서 강한 빛은, 마치 습기를 증발시켜버릴 것 같은 느낌을 가지게 하며, 또한 비나 안개를 통과하여 빛이 이용자에게 잘 전달될 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받아들이기에 안락하고 명쾌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오는 날 등의 습도가 높을 때에 출력광도를 높임으로써, 빛의 굴절이나 심리적 수용상태에 맞춘 출력 광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이때,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상기 광도변경수단(301)은, 외부의 온도가 높으면 상기 표시수단(200)의 출력광도를 낮추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온도가 높으면 일반적으로 서늘한 것을 추구하게 마련인데, 빛의 광도가 높으면 서늘한 느낌이 덜하고, 빛의 광도가 낮으면 상대적으로 서늘한 느낌이 들게 된다. 또한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아지랑이가 발생하는 등 굴절도 심해지므로, 가능한 한 광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혹서의 여름 한낮 등의 고온시에는 출력광도를 낮춤으로써, 빛의 굴절이나 심리적 수용상태에 맞춘 출력 광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도 4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메모리수단(402)에 저장되는 각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는, 도 4의 (a)와 같이, 노선의 특이(特異)지점의 GPS값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특이지점이란 도 3의 b1 ~ b12, c3 ~ c1 등 선분의 양단에 해당되는 지점을 말한다. 그리고,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구간에 대해서는, 미리 정해져 있는 일정 간격, 예컨대 1m 간격으로 곡선을 직선화하여 데이터화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노선에 대응되는 GPS 데이터를 일정 간격마다 기계적으로 샘플링하지 않으므로, 특히 직선구간에 대해서는 데이터의 용량이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또한 승강장 등의 특이지점에 대한 데이터는 세밀하게 저장되므로, 운행시의 중요 포인트 지점에 대한 상하행의 판단(S430)이 정밀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메모리수단(402)에 저장되는 각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는, 도 4의 (b)와 같이, 노선의 특이지점 중, 노선 중심선으로부터 최외부에 존재하는 특이지점, 예컨대 b3, b4, b9, b10 등으로 표시된 승강장, 대피소, 주유소 등의 부분지점이 포함되고, 또한 노선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직선화된, 예컨대 b1, b2, b3의 굽은 선이 아니라, b13, b3의 직선으로 표시된, 간략화된 노선의 특이지점의 GPS값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노선에 대응되는 GPS 데이터를, 특이지점까지 포함하여 큰 범위로 설정하므로, 인도나 보도 등까지 노선으로 설정되는데, 이러한 인도나 보도 등의 부분에는 실제로 운송수단이 지나가지 않을 것이므로, 간략화된 아웃라인에 의하여 노선 대응 GPS 데이터의 개수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메모리수단(402)에 저장되는 각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는, 도 4의 (c)와 같이, 노선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그 각 구간마다의 노선의 중심선(a1, a2, a3)의 시작점과 끝점(a1 및 a2, 그리고 a2 및 a3)의 GPS값, 및 노선의 폭(w1)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노선에 대응되는 GPS 데이터를, 특정 구간마다의 노선 중심선을 따른 시작점과 끝점, 그리고 노선의 폭으로 표현하므로, 직선구간이 많을수록 노선 대응 GPS 데이터의 개수를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이 투입되면, 중앙처리장치(100)는, 도 1의 메모리수단(402)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노선의 GPS 대응 노선 맵을 노선 데이터 베이스(403)에서 로딩(S100)한다. 그리고, 광도감지수단(300) 및 광도변경수단(301)이 구비된 경우에는, 운송수단 외부의 광도를 감지하여, 이에 기하여 표시수단(200)에 표시될 내용의 출력 광도를 조절(S200)한다. 그리고, 온도, 습도에 따른 광도 조절기능까지 구비된 경우에는, 그 온도 또는 습도에 따라서 출력 광도를 더욱 조절할 수 있다.
그 후에는, 미리 설정된 일정 주기마다 입력되는 운송수단의 현재위치 GPS값을 수신(S300)받을 때마다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루틴에 의하여 구현되는데, 이 수신(S300)된 GPS값을 일단 노선 맵과 비교(S400)한다. 비교의 결과는, 상기 운송수단이 종점위치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로 판단(S400)한다.
만일 상기 운송수단이 종점위치에 위치한다면, 노선을 변경(S410)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조작패널수단(500)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조작패널수단(500)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노선을 변경(S410)하려고 하는 것인지의 판단을 할 수 있고, 노선 변경(S410)의 경우에는 상기 조작패널수단(500)으로부터 식별자의 입력을 받아서, 도 5와 같은 식별자의 추출에 의하여 노선 데이터베이스(403)로부터 새로운 노선 맵을 로딩(S100)하게 된다. 그리고, 표시형태세트가 복수종류 구비된 경우에는, 또다른 식별자에 의하여 이들 중에서 표시형태세트를 선택하여 표시수단(200)에 표시할 수 있고, 외국어로 종점 명칭을 표시하는 기능이 구비된 경우에는, 한국어 뿐만 아니라 외국어도 단독으로, 또는 병기하여 표시장치(20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만일 노선 변경(S410)이 아닌 경우에는, 다시 새로 받은 운송수단의 현재위치 GPS값과 현재의 노선 맵을 비교(S400)하는 상기 과정으 로 되돌아간다.
한편, 상기 운송수단이 종점위치에 위치하지 않는다면, 이는 운행 중인 것으로 판단(S400)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운송수단의 현재위치 GPS값과 노선 맵의 GPS 대응값을 비교하여, 상기 운송수단의 현재위치 GPS값이 어느 방향으로 증가하는지, 즉 어느 방향으로 노선 맵의 위를 움직이고 있는지를 계산(S430)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노선 맵의 어느 종점에 가까이 가도록 움직이는지를 판단하여, 상행 또는 하행의 판단(S440)을 한다.
상기 상행 또는 하행의 판단이 이루어지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는, 표시수단(200)의 구동제어수단(201)에, 상행의 표시(S460) 또는 하행의 표시(S450)를 하도록 표시내용 지시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입력받은 구동제어수단(201)은, 상기 표시수단(200)에, 상행 또는 하행의 표시(S460, S450)를 하도록 표시동작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표시수단(200)에는 상행 또는 하행의 표시(S460, S450)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동일성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운송수단의 운행방향이 GPS값에 따라 서 자동으로 전환되어 표시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에 출력되어 표시되는 광도가, 주위 광도나 날씨 등 외부요인에 따라서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조작패널부에서의 입력에 따라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여러개의 노선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여러개의 표시형태세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운행되는 노선에 대한 GPS값을 미리 입력하여두고, 이와 현재 운행중인 운송장치의 GPS값을 비교하여, 정확한 운행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3)

  1. 운송수단에 구비되어, 그 운송수단의 운행방향의 상행 또는 하행을 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중앙처리장치와, 표시수단과, GPS 수신수단과, 메모리수단과, 전원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표시내용 지시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제어수단으로부터, 표시동작신호를 입력받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GPS수신수단은, 일정 주기마다 수신되는 GPS값을, 인터페이스수단을 거쳐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입력하며,
    상기 메모리수단은,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의 지시신호에 의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하고, 또한 상기 운송수단의 복수개의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메모리수단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현재 노선의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을 로딩하여, 이와 상기 일정 주기마다 입력되는 현재의 GPS값의 방향성을 비교하여, 현재의 GPS값의 증가 또는 감소방향의 계산에 의하여 상기 운송수단의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에 대한 상대이동 방향을 상하행 운행방향으로 판정하여, 적어도 현재 노선의 양 종점 중의 하나 이상과, 상기 상하행 운행방향과, 현재의 노선번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의 구동제어수단에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광도감지수단 및 광도변경수단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광도감지수단은, 운송수단 외부의 광도를 감지하여 입력하여, 상기 광도변경수단에 입력하고,
    상기 광도변경수단은, 상기 입력된 광도와 미리 정해져 있는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표시수단의 출력광도를 변경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의 구동제어수단에 변경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도변경수단은, 상기 입력된 광도가 미리 정해져 있는 기준치보다 강하면, 상기 표시수단의 출력광도를 강하게 변경하고, 상기 입력된 광도가 미리 정해져 있는 기준치보다 약하면, 상기 표시수단의 출력광도를 약하게 변경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의 구동제어수단에 변경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에는, 운행 노선의 주위 환경 중, 특정시간대에 상습적으로 평균 광량치보다 지나치게 많거나 지나치게 적은 광도가 수신되는 특정 광도이상(異常)지역에 대하여, 그 광도이상 지역의 리스트와, 각 광도이상 지역에 해당되는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과, 각 광도이상 지역의 광도이상이 발생되는 시간대와, 발생되는 광도를 저장하여 광도이상지역 데이터베이스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과 일정 주기마다 수신되는 GPS값으로부터, 상기 운송장치가 상기 광도이상지역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는 지역 내에서 운행중이고, 운행시각이 상기 광도이상지역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특정시간대에 속한다고 판단되면, 상기 광도이상지역의 해당발생광도가 상기 평균광량치보다 강한 경우에는 표시수단의 구동제어수단에 출력광량의 추가증가를 지시하고, 상기 광도이상지역의 해당발생광도가 상기 평균광량치보다 약한 경우에는 표시수단의 구동제어수단에 출력광량의 추가감소를 지시하는 광량 증감을 위한 표시내용 지시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는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조작패널수단이 더욱 구비되고,
    상기 메모리수단의 상기 노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복수개의 노선데이터에는, 미리 지정된 식별자가 부여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조작패널수단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노선데이터를, 상기 복수개의 노선데이터 중에서 선택하여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의 표시면은, 각 종점의 명칭을 표시하는 구역과,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구역과, 노선번호를 표시하는 구역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메모리수단에는, 상기 각 구역의 크기와 위치와 표시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달리하도록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표시형태세트가, 미리 지정된 식별자가 부여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조작패널수단에서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대응되는 표시형태세트를, 상기 복수개의 표시형태세트 중에서 선택하여 로딩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는 노선 데이터베이스에는, 양 종점의 한국어 명칭에 대응되는 외국어 명칭도 함께 저장되고,
    상기 표시수단에 있어서의 양 종점의 표시는, 적어도 한국어 및 외국어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8.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광도변경수단은, 외부의 습도와 온도에 따라서 상기 표시수단의 출력광도를 변경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도변경수단은, 외부의 습도가 높으면 상기 표시수단의 출력광도를 높 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광도변경수단은, 외부의 온도가 높으면 상기 표시수단의 출력광도를 낮추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는 각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는, 노선 외곽선과 노선 중심을 개략 형성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구성성분들의 양단점으로 이루어지는 노선의 특이(特異)지점의 GPS값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는 각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노선의 특이지점 중, 노선 중심선을 기준으로 노선의 외곽선의 최외부에 존재하고, 또한 노선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직선화된, 특이지점만이 포함되도록 선택하여, 간략화된 노선의 특이지점의 GPS값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는 각 노선데이터의 GPS 대응값으로 이루어지는 데 이터베이스는, 노선의 진행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의 구간으로 나누고, 그 각 구간마다의 노선의 중심선의 시작점과 끝점의 GPS값, 및 노선의 폭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KR1020050063269A 2005-07-13 2005-07-13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KR100744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269A KR100744034B1 (ko) 2005-07-13 2005-07-13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3269A KR100744034B1 (ko) 2005-07-13 2005-07-13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212A KR20070008212A (ko) 2007-01-17
KR100744034B1 true KR100744034B1 (ko) 2007-07-30

Family

ID=38010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269A KR100744034B1 (ko) 2005-07-13 2005-07-13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0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675B1 (ko) * 2013-08-19 2017-01-24 아마데우스 에스.에이.에스. 육상 운송 네트워크 표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999A (ja) * 1993-12-08 1995-06-23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ワンマンバスの車内自動案内システム
KR980004243A (ko) * 1997-08-20 1998-03-30 김정민 정류장 안내 방송 방법 및 방송 장치
KR19990011771U (ko) * 1998-12-07 1999-03-25 조정일 버스 정류장 자동 안내 장치
KR19990061350A (ko) * 1997-12-31 1999-07-26 김덕중 Gps를 이용한 버스 노선 구간 자동 안내 장치
KR20030066198A (ko) * 2002-02-05 2003-08-09 이동희 차량 노선정보 안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999A (ja) * 1993-12-08 1995-06-23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ワンマンバスの車内自動案内システム
KR980004243A (ko) * 1997-08-20 1998-03-30 김정민 정류장 안내 방송 방법 및 방송 장치
KR19990061350A (ko) * 1997-12-31 1999-07-26 김덕중 Gps를 이용한 버스 노선 구간 자동 안내 장치
KR19990011771U (ko) * 1998-12-07 1999-03-25 조정일 버스 정류장 자동 안내 장치
KR20030066198A (ko) * 2002-02-05 2003-08-09 이동희 차량 노선정보 안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212A (ko) 200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26807C (zh) 导航装置及地图显示方法
US20180066955A1 (en) Mapping application with transit mode
US8583304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cise state of charge management
CN106878934A (zh) 一种电子地图显示方法及装置
Kang et al. New highway geometric design methods for minimizing vehicular fuel consumption and improving safety
US20070055443A1 (en) Navigation device
JP4587217B2 (ja) 夜間走行支援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10288920A (zh) 用于高铁站台的指引显示系统及显示方法
JP5456271B2 (ja) 交通信号制御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交通信号制御方法
CN104794923B (zh) 交通线路的气象信息显示方法及装置
KR100744034B1 (ko) 운송수단의 상하행 표시장치
CN107146428A (zh) 道路交通智能诱导系统
CN103678743B (zh) 地铁限界绘制方法
CN107882365A (zh) 智能候车亭
CN104966410A (zh) 一种基于可调光蓝牙led引导的室内停车场导航方法及系统
JPH08178683A (ja) 電気自動車の走行ルート選定システム
CN108489508A (zh) 一种导航放大图的显示方法
JP6551218B2 (ja) 制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20217923A1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TWI425194B (zh) 路徑規劃系統及其路徑規劃方法
CN1764581B (zh) 乘客输送机的运送流向指示器
KR20090045613A (ko) 고속도로 진출램프 수요에 따른 영업소 광장차로 및톨게이트 동적운영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CN205582191U (zh) 一种出租车显示控制报警系统
CN205893840U (zh) 用于城市地下车库联络道交通引导装置
CN110719677B (zh) 一种照明控制方法、系统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