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3867B1 - 다방향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3867B1
KR100743867B1 KR1020050103714A KR20050103714A KR100743867B1 KR 100743867 B1 KR100743867 B1 KR 100743867B1 KR 1020050103714 A KR1020050103714 A KR 1020050103714A KR 20050103714 A KR20050103714 A KR 20050103714A KR 100743867 B1 KR100743867 B1 KR 100743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tem
contact portion
open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2377A (ko
Inventor
히로미치 고우즈마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3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3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과제) 진애가 하우징 내의 접점부로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진애에 기인한 도통 불량 등의 문제를 방지하는 것.
(해결수단) 일방이 개구하여 저면에 접점부를 갖는 하우징 (10) 에 요동 조작할 수 있게 스템 (25, 26) 수납하여, 덮개체 (34) 로 하우징 개구부를 덮음과 함께 스템 (25, 26) 의 조작단측을 삽입통과구 (35) 에서 하우징 밖으로 돌출시킨다. 방진 부재 (22) 를 접점부와 스템 (25, 26) 사이에 배치하여 접점부 상을 덮은 상태로 한다. 방진 부재 (22) 는 유지 부재 (24) 로 유지하지만, 상기 스템 (25, 26) 을 하우징 (10) 내에 내장할 때에 당해 스템 (25, 26) 의 하단에 형성된 가압편 (29∼32) 이 접점부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당해 스템 (25, 26) 을 위치 결정하는 것으로 하였다.

Description

다방향 입력 장치{MULTI DIRECTION INPUT DEVICE}
도 1(a)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다방향 입력 장치로서 스템이 중립 위치에서의 측단면도이고, 도 1(b)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다방향 입력 장치로서 스템이 경사져 쓰러질 때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다방향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하우징의 저면 상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다방향 입력 장치에서 덮개체를 떼어낸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다방향 입력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다방향 입력 장치에서 덮개체를 떼어낸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7 은 종래의 다방향 입력 스위치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1: 제 1 중앙 고정 접점
12: 제 2 중앙 고정 접점
13: 제 3 중앙 고정 접점
14: 제 4 중앙 고정 접점
15: 제 5 중앙 고정 접점
16: 주연 고정 접점
17∼21: 가동 접점 스프링
22: 방진 부재
23: 단차부
24: 유지 부재
25: 제 1 스템
26: 제 2 스템
27: 가이드 구멍
28: 스커트부
29∼32: 가압편
33: 차양부
34 덮개체
35: 삽입통과구
36: 단자
37: 커먼 단자
38: 개구부
39: 걸어맞춤편
48: 방진 부재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88738호
본 발명은 스템을 요동 조작할 수 있게 하우징 내에 수납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스템의 요동에 의해 경도 방향에 따른 전환 신호를 출력하는 다방향 입력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다방향 입력 스위치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U 자형을 이루는 하우징 (1) 의 내저부에 접점부 (2, 3) 가 형성되고 있고, 이들 접점부 상에 각 접점부를 개별적으로 가압하는 제 1 스템 (4) 및 제 2 스템 (5) 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 (1) 의 개구부에 씌우는 덮개체 (6) 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에 제 1 스템 (4) 을 통과시킴으로써 외부에서 요동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스템의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가이드 구멍에 제 2 스템을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외부에서 센터 푸시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다방향 입력 스위치는 덮개체 (6) 의 스템 삽입통과용 개구를 통해 하우징 내로 진애가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덮개체 (6) 와 하우징 (1) 의 이음매를 통해서도 하우징 내로 진애가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 내로 침입한 진애가 접점부 (2, 3) 에 쌓여 도통 불량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일방이 개구하여 저면에 접점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요동 조작할 수 있게 수납된 스템과, 상기 접점부와 상기 스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점부 상을 덮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하우징 개구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스템의 조작단측을 삽입통과구에서 하우징 밖으로 돌출시킨 덮개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방향 입력 장치에 의하면, 하우징 내의 접점부 상을 덮는 방진 부재를 형성하였으므로, 덮개체의 개구부와 스템의 간극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진애가 침입하더라도, 진애는 방진 부재로 차단되게 되어 접점부로의 침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진애에 기인한 도통 불량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진 부재는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되므로 방진 부재가 벗겨지거나 또는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스템을 하우징 내에 내장할 때에 당해 스템의 하단에 형성된 가압 단부가 상기 접점부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당해 스템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방진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가 스템을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로서 기능함으로써, 스템을 하우징에 내장할 때의 위치 맞춤이 용이해지고, 조립 작업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는, 일방이 개구하여 저면에 접점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요동 조작할 수 있게 수납된 스템과, 상기 접점부와 상기 스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점부 상을 포함하는 하우징 저면 및 하우징 측벽 내면의 모두를 덮는 방진 부재와, 하우징 개구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스템의 조작단측을 삽입통과구에서 하우징 밖으로 돌출시켜, 상기 방진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하우징 개구부와의 사이에 끼우는 덮개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방향 입력 장치에 의하면, 방진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덮개체와 하우징 개구부 사이에 끼우기 때문에, 방진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별도로 준비하지 않고 방진 부재를 유지할 수 있어, 진애가 접점부로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방진 부재가 유지 부재로서의 기능도 가지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어, 조립 작업의 효율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 장치에 관련되는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되는 다방향 입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 는 다방향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하우징 (10) 은 전체가 상방에 개구를 갖는 상자 형상을 갖고 있고, 내저면 중앙부에는 제 1 중앙 고정 접점 (11) 을 중심으로 제 2, 제 3, 제 4, 제 5 중앙 고정 접점 (12, 13, 14, 15) 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1 에는 제 1, 제 2, 제 3 중앙 고정 접점 (11, 12, 13) 만이 나타나 있다. 각 중앙 고정 접점 (11, 12, 13, 14, 15) 의 주위에는 주연 고정 접점 (16) 이 배치되어 있다. 도 1 에는 주연 고정 접점 (16) 이 부분적 (16a, 16b, 16c) 으로 나타나 있지만, 하나의 연속한 접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중앙 고정 접점 (11) 상에는 상방 (스템측) 으로 팽출된 가동 접점 스프링 (17) 이 탑재되어 있다. 가동 접점 스프링 (17) 의 외주연부를 제 1 중앙 고정 접점 (11) 주위에 배치한 주연 고정 접점 (16a) 에 실음으로써, 제 1 중앙 고정 접점 (11) 과 비접촉의 상태로 한다. 또한, 제 2 중앙 고정 접점 (12) 상에는 상방으로 팽출된 가동 접점 스프링 (18) 이 탑재되어 있다. 가동 접점 스프링 (17) 의 외주연부의 일부를 제 2 중앙 고정 접점 (12) 주위에 배치한 주연 고정 접점 (16b) 에 싣고, 외주연부의 나머지 부분은 하우징 (10) 의 저면에 직접 실음으로써, 제 2 중앙 고정 접점 (12) 과 비접촉 상태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 3 중앙 고정 접점 (13) 상에도, 상방으로 팽출된 가동 접점 스프링 (19) 이 탑재되고, 가동 접점 스프링 (19) 의 외주연부의 일부가 주연 고정 접점 (16c) 에 실리고, 외주연부의 나머지 부분은 하우징 (10) 의 저면에 직접 실려 있다. 도 1 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 4, 제 5 중앙 고정 접점 (14, 15) 과 그 주위에 배치한 주연 고정 접점 (16) 의 일부와의 관계도 제 2, 제 3 중앙 고정 접점 (12, 13) 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각 고정 접점 및 각 가동 접점 스프링의 조합에 의해 접점부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우징 (10) 의 내저면 중앙부에 형성된 접점부에 대하여, 그 상면을 덮는 방진 부재 (22) 가 형성되어 있다. 방진 부재 (22) 는 조작 감촉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가요성 시트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 (10) 에는 상기 접점부를 형성한 내저면 중앙부를 둘러싸도록 단차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방진 부재 (22) 는 하우징 (10) 의 내저면과 대략 동일한 형상으로 재단되어 있고, 그 주연부를 단차부 (23) 에 탑재함으로써 내저면 중앙부, 즉 접점부의 전체면을 덮는 것으로 되어 있다. 방진 부재 (22) 중 단차부 (23) 에 탑재하는 주연부에는 점착부 (22a) 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 부재 (22) 의 점착부 (22a) 를 단차부 (23) 에 접착함으로써, 조립시 및 사용시에 방진 부재 (22) 가 벗겨지거나 또는 들뜨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미세한 진애의 침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장착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하우징 (10) 을 기울이더라도 접점부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방진 부재 (22) 를 유지함과 함께 스템의 위치 결정 기능을 갖게 한 유지 부재 (24) 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 부재 (24) 는 스템의 최외경부보다 큰 내경을 갖고, 또한 하우징 (10) 의 개구 형상에 맞춘 외형을 갖는 고리형체를 이루고 있다. 또한, 유지 부재 (24) 의 두께는 단차부 (23) 에 탑재한 상태에서 하우징 (10) 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하지 않을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유지 부재 (24) 가 갖는 스템의 위치 결정 기능 및 회전 방지 기능에 관련되는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 유지 부재 (24) 를 하우징 (10) 에 끼워 넣음으로써 단차부 (23) 와 유지 부재 (24) 의 맞닿음면과의 사이에 방진 부재 (22) 의 외주가 끼워져 방진 부재 (22) 가 고정된다.
스템은 요동 입력용의 제 1 스템 (25) 과 센터 푸시용의 제 2 스템 (26) 으로 구성된 2중 스템 구조이다. 제 1 스템 (25) 의 중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구멍 (27) 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구멍 (27) 에 제 2 스템 (26) 이 삽입통과되어 있다. 제 1 스템 (25) 에는 하방으로 향하여 퍼지는 스커트부(28) 가 형성되어 있고, 스커트부 (28) 의 외주부는 약 90도 간격으로 외측으로 연장된 4개의 가압편 (29, 30, 31, 32) 을 갖고 있다. 또, 도 1 에는 가압편 (31, 32) 은 나타나 있지 않다. 4개의 가압편 (29, 30, 31, 32) 은, 제 2 중앙 고정 접점 (12), 제 3 중앙 고정 접점 (13), 제 4 중앙 고정 접점 (14), 제 5 중앙 고정 접점 (15) 상에 탑재된 각 가동 접점 스프링 (18, 19, 20, 21) 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스템 (25) 에 삽입된 제 2 스템 (26) 의 하단부는 제 1 중앙 고정 접점 (11) 상에 탑재된 가동 접점 스프링 (17) 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스템 (26) 의 하단부 외주에는 차양부 (33) 가 형성되고, 그 차양부 (33) 를 가이드 구멍 (27) 의 개구 외연에 걸어맞춤으로써 제 2 스템 (26) 이 상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하우징 (10) 의 개구부는 덮개체 (34) 를 씌움으로써 막혀 있다. 덮개체 (34) 의 중앙부에는 제 1 스템 (25) 의 스커트부 (28) 의 외경에 상당하는 넓이의 삽입통과구 (35) 가 형성되고, 그 삽입통과구 (35) 에 제 1 스템 (25) 을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제 1 스템 (25) 의 상부 및 제 2 스템 (26) 의 상반분을 하우징 외부 로 요동 조작할 수 있게 돌출시키고 있다. 하우징 (10) 에는 외주를 둘러싸도록 측벽 (10a) 이 세워져 형성되어 있고, 그 측벽 (10a) 의 상단면에 대하여 덮개체 (34) 가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 (10) 에 장착된 덮개체 (34) 의 삽입통과구 (35) 에 삽입통과한 제 1 스템 (25) 은 그 스커트부 (28) 가 삽입통과구 (35) 에 각도를 갖고 접촉함으로써 상 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 1 스템 (25) 의 스커트부 (28) 는 하방으로 벌어진 형상이므로, 제 1 스템 (25) 에 경도 방향의 힘이 작용한 경우, 덮개체 (34) 의 삽입통과구 (35) 내주부가 스커트부 (28) 의 테이퍼면 상을 접동하므로 요동 조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3 은 하우징 (10) 에 배치한 각 중앙 고정 접점 (11∼15) 및 주연 고정 접점 (16) 의 형성 패턴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각 중앙 고정 접점 (11∼15) 은 서로 독립하고 있지만, 주연 고정 접점 (16) 은 각 중앙 고정 접점 (11∼15) 의 주위에 형성된 1개의 연속한 접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기기의 회로 기판과의 접속용 단자 (36a, 36b, 36c, 36d, 36e) 는 각 중앙 고정 접점 (11∼15) 으로부터 하우징 (10) 의 외부로 각각 인출되고, 마찬가지로 단자 (37) 는 주연 고정 접점 (16) 으로부터 하우징 (10) 의 외부로 인출된 커먼 단자이다.
도 4 는 도 1(a) 에 나타내는 다방향 입력 장치로부터 덮개체 (34) 를 떼어낸 상태의 상면도이다. 하우징 (10) 은 상면 개구가 정사각형의 4 코너를 둥글게 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유지 부재 (24) 는 하우징 (10) 의 상면 개구에 맞춘 외형을 갖고 있어, 4 코너를 둥글게 한 정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즉, 하우징 (10) 의 개구에 대하여 유지 부재 (24) 가 미소한 간극을 남기고 끼워져 있다. 이 때문에, 유지 부재 (24) 는 하우징 (10) 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위치 결정되게 된다. 또한, 유지 부재 (24) 에 대하여 회전력이 작용하더라도 하우징 (10) 의 측벽 (10a) 내면에 유지 부재 (24) 의 측벽이 맞닿아 유지 부재 (24) 의 회전이 규제된다. 한편, 유지 부재 (24) 의 중앙부에는 대략 정사각형으로 4 코너를 둥글게 한 형상의 개구부 (38)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스템 (25) 의 4개의 가압편 (29, 30, 31, 32) 은 각각 대응하는 개구부 (38) 의 4 코너에 끼워져 기계적으로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유지 부재 (24) 의 개구부 (38) 에 제 1 스템 (25) 을 삽입하면, 제 1 스템 (25) 이 하우징 (10) 의 접점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게 된다. 제 1 스템 (25) 이 유지 부재 (24) 에 의해서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템 (25) 의 4개의 가압편 (29∼32) 은 클릭감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각각 대응하는 가동 접점 스프링 (18∼21) 의 팽출된 정상부 상에 위치하고, 또한 제 2 스템 (26) 의 하단부는 가동 접점 (17) 상에 위치한다. 더구나, 제 1 스템 (25) 에 회전력이 작용하더라도, 가압편 (29∼32) 은 각각 대응하는 개구부 (38) 의 4 코너에 끼워져 있으므로, 제 1 스템 (25) 에 회전은 완전히 규제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 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다방향 입력 장치의 조립 작업에 관해서 설명한다. 하우징 (10) 의 제 1 중앙 고정 접점 (11) 상에 가동 접점 스프링 (17) 이 배치되도록 가동 접점 스프링 (17) 의 외주연부를 주연 고정 접점 (16a) 상에 탑재한다. 본 예에서는 가동 접점 스프링 (17) 은 3장 겹쳐 사용하고 있다. 가동 접점 스프링 (17) 의 중첩 장수에 따라 반발력을 조 정하여 적절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중앙 고정 접점 (12), 제 3 중앙 고정 접점 (13), 제 4 중앙 고정 접점 (14), 제 5 중앙 고정 접점 (15) 상에 각 가동 접점 스프링 (18, 19, 20, 21) 이 배치되도록 각 가동 접점 스프링 (18, 19, 20, 21) 을 탑재한다. 각 가동 접점 스프링 (18, 19, 20, 21) 은 2장 겹쳐 사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가동 접점 스프링 (17∼21) 상을 덮는 방진 부재 (22) 를 씌운다. 본 예에서는 점착부 (22a) 를 갖는 방진 부재 (22) 를 사용한다. 방진 부재 (22) 의 점착부 (22a) 를 하우징 (10) 의 단차부 (23) 에 접착시킨다. 그럼으로써 유지 부재 (24) 로 방진 부재 (22) 를 누르기 전이더라도 벗겨지거나 또는 들뜨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방진 부재 (22) 의 외주부를 눌러 지지하도록 유지 부재 (24) 를 하우징 (10) 에 끼워넣는다. 유지 부재 (24) 는 하우징 (10) 의 단차부 (23) 에 맞닿아, 단차부 (23) 와의 사이에 방진 부재 (22) 의 외주부 (점착부 (22a) 포함) 를 끼운다. 그럼으로써 방진 부재 (22) 는 점착부 (22a) 에 의한 고정뿐만 아니라, 유지 부재 (24) 에 의해서 하우징 (10) 에 대하여 고정된 것으로 된다. 다음으로, 제 1 스템 (25) 의 가이드 구멍 (27) 에 제 2 스템 (26) 을 삽입하고, 당해 조합된 스템을 유지 부재 (24) 의 개구부 (38) 로부터 삽입한다. 이 때,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스템 (25) 의 4개의 가압편 (29∼32) 이, 유지 부재 (24) 의 개구부 (38) 의 4 코너와 일치하지 않으면, 유지 부재 (24) 의 개구부 (38) 에 스템을 끼워넣을 수 없다. 그리고, 제 1 스템 (25) 의 4개의 가압편 (29∼32) 을 유지 부재 (24) 의 개구부 (38) 의 4코너와 일치시켜 끼워넣음으로써, 스템이 하우징 (10) 의 접점 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 1 스템 (25) 및 제 2 스템 (26) 을 덮개체 (34) 의 삽입통과구 (35) 에 삽입통과시켜, 당해 덮개체 (34) 를 하우징 (10) 의 개구부에 장착한다. 덮개체 (34) 의 하면이 하우징 측벽 (10a) 의 상단면에 맞닿은 시점에서, 삽입통과구 (35) 의 내주연부가 제 1 스템 (25) 의 스커트부 (28) 의 외면에 가볍게 접촉한다. 덮개체 (34) 의 대향하는 2변에는 각각 한 쌍의 걸어맞춤편 (39) 이 형성되고, 그 걸어맞춤편 (39) 에는 구멍 (39a)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체 (34) 의 나머지의 2변에는 절곡편 (41) 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 측벽 (10a) 의 외주면에는 구멍 (39a) 에 걸어맞추는 돌기 (42)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맞춤편 (39) 을 절곡하여 돌기 (42) 를 구멍 (39a) 에 걸어맞춤과 함께, 절곡편 (41) 을 하우징 측벽 (10a) 의 상단부를 따라 절곡한다. 이상의 작업에 의해 다방향 입력 장치의 조립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다방향 입력 장치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a) 는 스템이 중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b) 는 도 1(a)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화살표 X 방향으로 스템을 경도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a)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스템을 화살표 X 방향으로 경도시키는 힘을 작용시키면, 제 2 스템 (26) 을 통해 밑에서 지탱됨과 함께 덮개체 (34) 의 삽입통과구 (35) 에 의해 지탱된 제 1 스템 (25) 이 화살표 X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 결과, 경도 방향의 가압편 (29) 이 방진 부재 (22) 의 위로부터 가동 접점 스프링 (18) 을 가압한다. 가동 접점 스프링 (18) 은 어느 정도 하방으로 눌려지면 어느 시점에서 반전하여 반대쪽으로 뒤젖혀짐으로써 제 2 중앙 고정 접점 (12) 에 접촉한다. 가동 접점 스프링 (18) 이 반전할 때에 조작자는 클릭감을 얻을 수 있다. 가동 접점 스프링 (18) 의 반전에 의해 제 2 중앙 고정 접점 (12) 과 주연 고정 접점 (16) 이 도통하고, 단자 (36d) 에 전환 신호가 나타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전환 신호를 단자 (36a, 36b, 36c, 36d, 36e) 및 커먼 단자 (37) 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회로 기판 상의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판독하여 판별함으로써, 스템의 조작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방진 부재 (22) 를 유지 부재 (24) 로 하우징 (10) 에 대하여 압접하고 있으므로, 스템에 잡아 당겨져 방진 부재 (22) 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차부 (23) 에 걸린 시트 외주연을 가압하므로, 점착부 (22a; 점착 부분) 를 작게 할 수 있어, 폭 방향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스템을 화살표 X 방향으로 경도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가동 접점 스프링 (18) 의 복귀력에 의해 가압편 (29) 이 되돌려지고 스템이 초기 상태로 되돌려진다. 스템을 화살표 X 방향 이외로 경도시킨 경우에도, 경도 방향의 가동 접점 스프링 (19∼21) 이 대응하는 가압편 (30, 31, 32) 에 의해 눌려지고 어느 시점에서 반전하여 반대쪽으로 뒤젖혀짐으로써 각 중앙 고정 접점 (13, 14, 15) 에 접촉한다. 그럼으로써 각 중앙 고정 접점 (13, 14, 15) 과 주연 고정 접점 (16) 이 도통하고, 대응하는 단자 (36; b, c, e) 에 전환 신호가 나타난다. 또한, 제 2 스템 (26) 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센터 푸시), 제 2 스템 (26) 이 가동 접점 스프 링 (17)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가이드 구멍 (27) 내를 하방으로 접동하여 방진 부재 (22) 상으로부터 가동 접점 스프링 (17) 을 가압한다. 가동 접점 스프링 (17) 은 어느 정도 하방으로 눌려지면 어느 시점에서 반전하여 반대쪽으로 뒤젖혀짐으로써 제 1 중앙 고정 접점 (11) 에 접촉한다. 그럼으로써 제 1 중앙 고정 접점 (11) 과 주연 고정 접점 (16) 이 도통하고, 단자 (36a) 에 전환 신호가 나타난다.
여기서, 제 1 스템 (25) 을 하우징 (10) 의 접점부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기 위해서는, 유지 부재 (24) 가 없으면 하우징 (10) 의 측벽 (10a) 을 이용하게 된다. 그래서, 본래대로라면 제 1 스템 (25) 의 가압편 (29∼32) 의 선단부를 하우징 (10) 의 측벽 (10a) 가까이까지 연장시키게 된다. 그러나, 제 1 스템 (25) 의 가압편 (29∼32) 의 선단부를 연장시키면, 당해 선단부와 단차부 (23) 등이 간섭하여 스템의 요동 동작을 방해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는 제 1 스템 (25) 을 하우징 (10) 의 측벽 (10a) 이 아니라, 유지 부재 (24) 로 위치 결정하므로, 가압편 (29∼32) 의 선단부를 연장시킬 필요가 없어져 짧게 할 수 있으므로, 스템의 요동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경도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우징 (10) 의 내부에 배치한 접점부를 덮는 방진 부재 (22) 를 형성하였으므로, 덮개체 (34) 와 하우징 (10) 의 이음매, 제 1 스템 (25) 의 가이드 구멍 (27) 과 제 2 스템 (26) 의 접촉부, 또 덮개체 (34) 의 삽입통과구 (35) 와 제 1 스템 (25) 과의 접촉부 등으로부터 진애가 하우징 내로 침입하더라도 방진 부재 (22) 로 차단하므로, 접점부가 진애에 기인하 여 동작 불량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진 부재 (22) 를 누르는 유지 부재 (24) 에 의해 스템을 위치 결정하므로, 스템의 요동 동작을 방해하지 않고, 경도 각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5 는 본 실시형태 2 에 관련되는 다방향 입력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하우징 (40) 의 저면에는, 복수의 중앙 고정 접점 (41, 42, 43) 등이 배치되고, 그들 중앙 고정 접점의 주위에는 주연 고정 접점 (44) 이 배치되어 있다. 각 중앙 고정 접점 (41, 42, 43) 등의 위에는 가동 접점 스프링 (45, 46, 47) 등이 탑재되어 있다. 각 중앙 고정 접점 및 대응하는 가동 접점 스프링으로 접점부를 구성한다. 여기까지의 구성은 상기 기술한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다.
본 실시형태 2 에 있어서는 접점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저면 및 하우징 측벽 내면의 전체면에 저면 및 측벽 내면을 따르도록 하여 방진 부재 (48) 를 형성하고 있다. 방진 부재 (48) 는 접점부의 조작 감각을 방해하지 않는 가요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진 부재 (48) 의 외측 가장자리부 (48a) 를 하우징 (40) 의 측벽 (40a) 의 상면부와 덮개체 (50) 사이에 끼움으로써, 방진 부재 (48) 의 내측에 이물 (진애 포함) 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럼으로써 방진 부재 (48) 에 점착부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방진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스템은 요동 입력용의 제 1 스템 (51) 과 센터 푸시용의 제 2 스템 (52) 으로 구성되는 2중 스템 구조이다. 제 1 스템 (51) 은 중심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가이드 구멍 (53) 을 갖고, 그 가이드 구멍 (53) 에 제 2 스템 (52) 을 삽입통과하고 있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다방향 입력 장치에서 덮개체 (50) 를 떼어낸 상태의 상면도이다. 하우징 (40) 에 형성된 개구부는 대략 정사각형으로 4코너가 바깥쪽으로 반원형으로 부풀어진 형상을 하고 있다. 한편, 제 1 스템 (51) 의 중앙부에는 바깥쪽으로 퍼지는 스커트부 (51a) 가 형성되고, 스커트부 (51a) 의 선단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40) 의 개구부와 서로 닮은 형태의 4개의 반원부 (54a, 54b, 54c, 54d) 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제 1 스템 (51) 의 4개의 반원부 (54a, 54b, 54c, 54d) 가 하우징 (40) 의 개구부에 끼워짐으로써, 제 1 스템 (51) 및 제 2 스템 (52) 의 회전 방지 기능 및 위치 결정 기능을 달성한다. 또, 각 반원부 (54a, 54b, 54c, 54d) 를 포함하는 제 1 스템 (51) 의 외주부와 하우징 (40) 의 개구부 사이에는 방진 부재 (48) 가 끼워진다. 이 때문에, 하우징 (40) 의 개구부와 제 1 스템 (51) 의 외주 형상은 서로 닮은 형태이지만, 제 1 스템 (51) 의 사이즈를 방진 부재 (48) 의 두께에 대응시킨 만큼 작게 되어 있다. 또한, 방진 부재 (48) 의 외측 가장자리부 (48a) 가 하우징 (40) 의 개구 가장자리부 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 (40) 의 개구부를 막도록 덮개체 (50) 를 장착하면, 방진 부재 (48) 의 외측 가장자리부 (48a) 가 하우징 (40) 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덮개체 (50)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각 반원부 (54a∼54d) 의 하면에는 각각 대응하는 가동 접점 스프링 (46∼49) 을 가압하는 돌기부 (55a∼55d)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기부 (55a∼55d) 는 스템을 위치 결정하였을 때에 대응하는 가동 접점 스프링 (46∼49) 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하우징 (40) 의 측면에는 상기 접점부의 도통 상태를 출력하는 단자 (56) 가 인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다방향 입력 장치에서는 스템을 임의 방향으로 기울이는 요동 조작을 행하면,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화살표 Y 방향으로 기울이면, 제 1 스템 (51) 의 반원부 (54a) 가 하방으로 변위하여 돌기부 (55a) 가 가동 접점 스프링 (46) 을 가압한다. 가동 접점 스프링 (46) 은 가압에 의해 반전하여 클릭감을 조작자에게 부여하여 중앙 고정 접점 (42) 에 접촉한다. 이 결과, 대응하는 단자 (56) 로부터 도통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가 출력된다.
본 실시형태 (2) 의 구성에 의하면, 방진 부재 (48) 의 외측 가장자리부 (48a) 를 하우징 (40) 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덮개체 (50) 사이에 끼워 고정시키므로, 방진 부재 (48) 의 외주연부 (48a) 에 접착부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방진 부재 (48) 와 하우징 (40) 의 간극으로부터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1, 2 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 1, 2 에 있어서는 4 방향과 누름 방향의 다방향 입력에 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4 방향 이외의 다방향과 누름 방향의 다방향 입력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의 원하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애가 하우징 내의 접점부로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진애에 기인한 도통 불량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다방향 입력 장 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일방이 개구하여 저면에 접점부를 갖는 housing (하우징) 과, 상기 하우징 (housing) 에 요동 조작할 수 있게 수납된 스템 (stem) 과, 상기 접점부와 상기 스템 (stem)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점부 상을 덮는 방진 부재와, 상기 방진 부재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하우징 (housing) 개구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스템 (stem) 의 조작단측을 삽입통과구에서 하우징 (housing) 밖으로 돌출시킨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스템 (stem) 을 하우징 (housing) 내에 내장할 때에 당해 스템 (stem) 의 하단에 형성된 가압 단부가 상기 접점부를 가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당해 스템 (stem) 을 위치 결정하고, 상기 스템 (stem) 의 요동 단부와 걸어맞춰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다방향 입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를 하우징 (housing) 내벽을 따라 형성하여, 상기 유지 부재와 하우징 (housing) 내벽의 접촉부에 방진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재를 가요성 시트 (sheet) 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 부재는 외측 가장자리부에 점착부가 형성된 점착재 부착 시트 (sheet) 로 이루어지고, 그 점착부를 하우징 (housing) 내벽에 접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로 상기 방진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하우징 (housing) 내벽에 압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8. 일방이 개구하여 저면에 접점부를 갖는 하우징 (housing) 과, 상기 하우징 (housing) 에 요동 조작할 수 있게 수납된 스템 (stem) 과, 상기 접점부와 상기 스템 (stem)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접점부 상을 포함하는 하우징 (bousing) 저면 및 하우징 (housing) 측벽 내면의 전부를 덮는 방진 부재와, 하우징 (housing) 개구부를 덮음과 함께 상기 스템 (stem) 의 조작단측을 삽입통과구에서 하우징 (housing) 밖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방진 부재의 외측 가장자리부를 하우징 (housing) 개구부와의 사이에 끼우는 덮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는 상기 스템 (stem) 의 요동 단부와 걸어맞춰 회전을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9. 삭제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는 하우징 (housing) 저면에 형성된 고정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 상에 탑재하여 가압에 의해 반전하는 가동 접점 스프링을 조합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 (stem) 은 요동 입력용의 제 1 스템 (stem) 과 중앙 위치에서의 눌러내림 입력용의 제 2 스템 (stem) 의 2중 스템 (stem)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 장치.
KR1020050103714A 2004-11-09 2005-11-01 다방향 입력 장치 KR1007438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24741 2004-11-09
JP2004324741A JP2006134792A (ja) 2004-11-09 2004-11-09 多方向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377A KR20060052377A (ko) 2006-05-19
KR100743867B1 true KR100743867B1 (ko) 2007-07-30

Family

ID=36728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714A KR100743867B1 (ko) 2004-11-09 2005-11-01 다방향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134792A (ko)
KR (1) KR100743867B1 (ko)
CN (1) CN10041673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993B1 (ko) * 2010-03-25 2012-03-16 화남전자 주식회사 초음파 진단기용 스위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003A (ko) * 1993-05-17 1994-12-10 가다오까 마사다까 푸시버튼 스위치
JPH10177824A (ja) 1996-12-19 1998-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19980064759A (ko) * 1996-12-27 1998-10-07 가따오까마사따까 다방향 스위치
KR19990021948A (ko) * 1995-06-20 1999-03-25 소랍 보수기 용량적으로 결합된 다중축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10082633A (ko) * 2000-02-15 2001-08-30 카나이 히사오 ; 나가토시 다쯔미 다방향 조작스위치
KR20030000663A (ko) *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코드 저장 메모리 셀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3830A (ja) * 1995-09-04 1997-03-18 Shinmei Denki Kk プッシュスイッチ
CN2613866Y (zh) * 2003-03-05 2004-04-28 陈庆邦 防水防尘防油污轻触开关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7003A (ko) * 1993-05-17 1994-12-10 가다오까 마사다까 푸시버튼 스위치
KR19990021948A (ko) * 1995-06-20 1999-03-25 소랍 보수기 용량적으로 결합된 다중축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JPH10177824A (ja) 1996-12-19 1998-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19980064759A (ko) * 1996-12-27 1998-10-07 가따오까마사따까 다방향 스위치
KR20010082633A (ko) * 2000-02-15 2001-08-30 카나이 히사오 ; 나가토시 다쯔미 다방향 조작스위치
KR20030000663A (ko) * 2001-06-26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코드 저장 메모리 셀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40027003
200366309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34792A (ja) 2006-05-25
KR20060052377A (ko) 2006-05-19
CN100416730C (zh) 2008-09-03
CN1773642A (zh)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8623B1 (ko) 다방향 조작스위치
JP4100879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4371987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2000151772A (ja) 携帯端末装置
JPH11134963A (ja) ボタン装置
US6956179B2 (en) Rocker/pushbutton switch
KR100396535B1 (ko) 다방향 조작스위치
KR100279397B1 (ko) 다방향 스위치
JP3737901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100743867B1 (ko) 다방향 입력 장치
KR0145438B1 (ko) 조종간식스위치
JP2001217561A (ja) 携帯電話用ハウジングケース
KR100595043B1 (ko) 푸시버튼 스위치
JP2005166333A (ja) 多方向入力装置
KR0140661B1 (ko) 푸시버튼 스위치
KR10083466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양방향 키
JP3790304B2 (ja) 多方向入力スイッチ装置
KR1006281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KR20210106819A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JP2002170462A (ja) 揺動操作型電気部品
JP3446083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2002270063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0243181A (ja) 押圧型スイッチ構造
KR200368172Y1 (ko) 간극 방지 수단을 구비한 사이드 버튼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319349Y1 (ko) 다방향 택트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