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863B1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863B1
KR100742863B1 KR1020067006120A KR20067006120A KR100742863B1 KR 100742863 B1 KR100742863 B1 KR 100742863B1 KR 1020067006120 A KR1020067006120 A KR 1020067006120A KR 20067006120 A KR20067006120 A KR 20067006120A KR 100742863 B1 KR100742863 B1 KR 100742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main assembly
cartridge
displaceable
process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4474A (ko
Inventor
도루 오구마
시게오 무라야마
다이스께 아베
히데유끼 마쯔바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4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03G21/1871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A)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B)이며, 주 조립체(A)는, 전기 연결 위치와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후퇴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출력 접속부(144a)와, 출력 접속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가능 부재(147)와, 출력 접속부(144a)를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를 향해 압박하도록 변위 가능 부재(147)를 탄성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탄성 기능 부재(149)를 포함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107)과, 전자 사진 감광 드럼(107) 상에 작용 가능한 처리 수단(108)과, 카트리지 프레임(B1)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동 작동 부재(142)를 포함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100)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가동 작동 부재(142)는 카트리지 프레임(B1)에 대해 이동하도록 장치(100)의 주 조립체(A) 내에 고정된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릴 수 있고,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의 맞물림 후에 출력 접속부(144a)를 탄성 기능 부재(149)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변위 가능 부재(147)의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와 맞물릴 수 있고,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된 출력 접속부(144a)와의 맞물림에 의해 처리 수단(108)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전기 접속부(141a)를 또한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22100274-pct00001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출력 접속부, 입력 접속부, 가동 작동 부재, 고정식 맞물림 부재, 변위 가능 부재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처리를 통해 기록재(기록 시트, OHP 시트 등)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는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와, 대전 부재 및 현상 부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처리 수단을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카트리지이고,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 방식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문 기사가 없이 사용자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작동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그러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서, 프로세스 카트리지 내에 포함된, 전자 사진 감광 부재(감광 드럼)를 전기적으로 대전하기 위한 대전 부재,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 등에 전압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카트리지의 제공은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제 위치에 장착될 때, 카트리지와 장치의 주 조립체 사이의 전기 연결을 위한 입력 전기 접속부를 구비한다. 다른 한편으로, 장치의 주 조립체는 출력 접속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입력 전기 접속부는 출력 접속부와 연결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압이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카트리지로 공급될 수 있다.
특히, 다음의 구조가 공지되어 있다.
접속 부재(출력 접속부)를 덮는 가동 보호판이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다. 프린터(화상 형성 장치)가 유지 보수 작업을 받을 때, 작업자 및/또는 공구가 접속 부재를 만지는 것이 방지된다.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의 카트리지의 삽입 이동에 의해, 보호판은 후퇴 위치로 후퇴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기 연결은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접속 부재와 카트리지 상의 접속 부재(입력 전기 접속부) 사이에서 허용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H7-77921호의 문단 [0012]-[0015] 및 도1-3).
유닛이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탈착될 때, 커넥터 핀(출력 접속부)이 격벽 내부에 은폐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기사 또는 사용자가 커넥터 핀을 만지는 것이 방지된다.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의 유닛의 삽입에 의해, 커넥터 핀은 유닛 삽입 공간으로 진입한다. 따라서, 커넥터 핀과 유닛의 커넥터부(입력 전기 접속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4면 하부 좌측 칼럼 제15행 내지 상부 좌측 칼럼 제15행, 도1A, 도1B, 도4A).
또한, 드럼 셔터는 조절부를 구비한다. 조절부는 전기 접속부(입력 전기 접속부)를 덮는데 효과적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기 접속부 상의 이물질의 침착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접속 결함이 방지될 수 있다.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의 카트리지의 진입에 의해, 카트리지의 전기 접속부와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전기 접속부(출력 접속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H10-74030호의 [0039]-[0047], 도17).
접속 부재(출력 접속부)가 제공되고, 후퇴 위치와 정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카트리지의 접속부(입력 전기 접속부)와 장치의 주 조립체의 접속 부재가 적절하게 서로 접속된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되기 전에, 접속 부재(출력 접속부)는 후퇴 위치에 있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접속 부재는 정규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접속부와 접속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H9-68833호의 [0016]-[0029], 도1 - 도3).
본 발명은 그러한 구조에 있어서 추가의 개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될 때,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입력 전기 접속부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출력 접속부 사이의 전기 연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전기 회로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장착부에 장착될 때,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대한 충돌 또는 충격이 감소될 수 있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출력 접속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작업에 의해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공되고, 상기 주 조립체는 전기 연결 위치와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후퇴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출력 접속부와, 출력 접속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가능 부재와, 출력 접속부를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를 향해 압박하도록 변위 가능 부재를 탄성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탄성 기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작용 가능한 처리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동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될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하도록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고정된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릴 수 있고,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의 맞물림 후에, 출력 접속부를 탄성 기능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변위 가능 부재의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릴 수 있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된 출력 접속부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처리 수단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전기 접속부를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지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고려하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의 주 조립체의 장착부를 도시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수용하기 위한 장치의 주 조립체의 장착부를 도시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드럼 유닛의 구조를 도 시한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 작동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 작동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 작동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회로 기판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 조를 도시한다.
도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21은 가동 작동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동 작동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23은 가동 작동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 작동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25는 가동 작동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드럼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3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3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3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3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2는 가동 작동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3은 가동 작동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4는 가동 작동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가동 작동 부재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8은 가동 작동 부재 및 화상 형성 장치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 작동 부재 및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5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50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전기 접속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51은 외측 플레이트의 외부로부터 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내의 변위 가능 부재 및 출력 접속 부재의 도면이다.
도5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출력 접속 부재의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5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출력 접속 부재의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53의 (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입력 전기 접속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변위 가능 부재 및 출력 접속 부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53의 (b)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입력 전기 접속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변위 가능 부재 및 출력 접속 부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53의 (c)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입력 전기 접속 부재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변위 가능 부재 및 출력 접속 부재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1)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반적인 구조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B; 카트리지)가 설명될 것이다. 도1은 카트리지(B)의 단면도이다.
도1에서, 카트리지(B)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107; 감광 드럼)을 포함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A;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면, 감광 드럼(107)은 주 조립체(A)로부터 구동력을 수신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감광 드럼(107)의 외측 표면에 대향하여, 대전 부재로서 기능하는 대전 롤러(108)가 배치된다. 대전 롤러(108)는 장치의 주 조립체(A)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아서, 감광 드럼(107)을 전기적으로 대전시킨다. 대전 롤러(108)는 감광 드럼(107)에 접촉되어 감광 드럼(107)에 의해 회전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장착되면, 대전 롤러(108)는 출력 접속부로서 기능하는 대전 출력 접속부(144a; 도4) 및 입력 전기 접속부로서 기능하는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 도10)를 통해 장치의 주 조립체(A)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다. 대전 롤러(108)는 전압에 의해 감광 드럼(107)을 전기적으로 대전시키도록 기능한다.
카트리지(B)는 현상 부재로서 기능하는 현상 롤러(110)를 포함한다. 현상 롤러(110)는 감광 드럼(107)에 인접한 현상 구역 내로 현상제(t)를 공급한다. 현상 롤러(110)는 현상제(t)에 의해 감광 드럼(107)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현상 롤러(110)는 자석 롤러(111; 영구 자석)를 포함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장착되면, 현상 롤러(110)는 출력 접속부로서 기능하는 현상 출력 접속부(161a; 도41) 및 입력 전기 접속부로서 기능하는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 도40)를 통해 장치의 주 조립체(A)로부터 전압을 공급받는다. 현상 롤러(110)는 이렇게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기능한다.
현상 롤러(110)의 주연 표면에, 현상 블레이드(112)가 접촉된다. 현상 블레이드(112)는 현상 롤러(110)의 주연 표면 상에 침착되는 현상제(t)의 양을 조절하도록 기능한다. 현상 블레이드(112)는 또한 현상제(t)를 마찰 전기적으로 대전시키도록 기능한다.
현상제 수용 용기(114) 내에 수용된 현상제(t)는 교반 부재(115, 116)의 회전에 의해 현상제 챔버(113a) 내로 공급된다. 전기 접속부(160a)를 통해 전압을 공급받은 현상 롤러(110)가 회전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현상 블레이드(112)에 의해 인가된 마찰 전기 대전을 갖는 현상제의 층이 현상 롤러(110)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현상제(t)는 잠상의 패턴에 따라 감광 드럼(107) 상으로 전사된다. 따라 서, 잠상이 현상된다.
감광 드럼(107) 상의 현상 화상은 전사 롤러(104)에 의해 기록재(102) 상으로 전사된다.
감광 드럼(107)의 외측 표면에 대향하여, 탄성 세척 블레이드(117a)가 배치된다. 세척 블레이드(117a)는 감광 드럼(107)에 접촉되는 모서리를 갖는다. 블레이드(117a)는 기록재(102) 상으로의 현상 화상의 전사 후에 감광 드럼(107)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t)를 제거하도록 기능한다. 블레이드(117a)에 의해 감광 드럼(107)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현상제(t)는 제거 현상제 용기(117b) 내에 수용된다.
카트리지(B)는 현상 유닛(119) 및 드럼 유닛(120)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다.
현상 유닛(119)은 카트리지 프레임(B1)의 일부인 현상 장치 프레임(113)에 의해 구성된다. 현상 유닛(119)은 현상 롤러(110), 현상 블레이드(112), 현상제 챔버(113a), 현상제 수용 용기(114), 및 교반 부재(115, 116)를 포함한다.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는 현상 장치 프레임(113)으로부터 노출되어 제공된다.
드럼 유닛(120)은 카트리지 프레임(B1)의 일부인 드럼 프레임(118)에 의해 구성된다. 드럼 유닛(120)은 감광 드럼(107), 세척 블레이드(117a), 제거 현상제 용기(117b), 및 대전 롤러(108)를 포함한다.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드럼 프레임(118)으로부터 노출되어 제공된다. 전기 접속부(141a)는 드럼 프레임(118)의 하부에 배치된다. 특히, 전기 접속부(141a)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위치될 때, 드럼 프레임(118)의 하부와 같은 위치에 배치된다.
감광 드럼(107)의 일 단부는 드럼 프레임(118)에 의해 지지된다. 드럼 샤프 트(139)의 외측 단부는 도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될 카트리지 가이드(140L1)로서 기능한다.
도6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가이드(140R1, 140R2)는 드럼 유닛(120)의 하나의 종방향 단부(120a)에 제공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가이드(140L1) 및 다른 카트리지 가이드(140L2)는 다른 종방향 단부(120b)에 제공된다.
현상 유닛(119) 및 드럼 유닛(120)은 핀(P)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현상 롤러(110)는 유닛(119, 120)들 사이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탄성 부재에 의해 감광 드럼(107)으로 압박된다. 현상 유닛(119) 내에 제공된 아암이 119a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아암(119a)은 드럼 유닛(120)과 맞물리고, 핀(P)은 유닛(119, 120)들 내에 형성된 구멍 내에 설치된다.
(2)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도2를 참조하여, 카트리지(B)가 사용될 수 있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2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00;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배열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화상 형성 장치(100)인 레이저 비임 프린터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화상 형성 작업 시에, 감광 드럼(107)의 표면은 대전 롤러(108)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레이저 비임은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방출되어, (도시되지 않은) 다각형 거울, 렌즈, 및 편향 거울을 포함하는 광학 수단(101)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라 감광 드럼(107) 상으로 투사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전 잠상이 화상 정보 에 대응하여 감광 드럼(107) 상에 형성된다. 잠상은 이상에서 설명된 현상 롤러(110)에 의해 현상된다.
다른 한편으로, 현상 화상의 형성과 동기하여, 카세트(103a) 내의 기록재(102)가 픽업 롤러(103b)에 의해 공급되어 나오고, 공급 롤러(103c, 103d, 103e)에 의해 전사 위치로 공급된다. 전사 위치에, 전사 롤러(104; 전사 수단)가 제공된다. 전사 롤러(104)는 전압을 공급받는다. 이에 의해, 감광 드럼(107) 상의 현상 화상은 기록재(102) 상으로 전사된다.
이제 전사된 현상 화상을 갖는 기록재(102)는 가이드(103f)를 통해 정착 수단(105)으로 공급된다. 정착 수단(105)은 구동 롤러(105c) 및 내부에 가열기(105a)를 포함하는 정착 롤러(105b)를 포함한다. 정착 수단(105)은 그를 통과하는 기록재(102)에 열과 압력을 인가하여 기록재(102) 상의 현상 화상을 정착시킨다. 기록재(102)는 한 쌍의 롤러(103g, 103g)에 의해 트레이(106) 상으로 공급된다. 롤러(103b), 공급 롤러 쌍(103c, 103d, 103e), 가이드(103f), 롤러 쌍(103g, 103h) 등은 기록재(102)를 위한 공급 수단(103)을 구성한다.
카트리지(B)는 다음의 방식으로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탈착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제공된 도어(109)를 개방한다. 카트리지(B)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제공된 카트리지 장착 수단(130)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장착 수단(130)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의 주 조립체 가이드(130R1, 130R2, 130L1, 130L2)를 포함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장착될 때, 이는 카트리지 가이드(140R1, 140R2; 도6)가 주 조립체 가이드(130R1, 130R2)에 의해 안내되고 카트리지 가이드(140L1, 140L2; 도7)가 주 조립체 가이드(130L1, 130L2)에 의해 안내되도록 카트리지 장착부(130a)를 향해 삽입된다.
카트리지 가이드(140R1)는 주 조립체 가이드(130R1)의 위치 설정부(130R1a)와 맞물리고, 카트리지 가이드(140R2)는 주 조립체 가이드(130R2)의 위치 설정부(130R2a)에 맞닿고, 카트리지 가이드(140L1)는 주 조립체 가이드(130L1)의 위치 설정부(130L1a)와 맞물리고, 카트리지 가이드(140L2)는 주 조립체 가이드(130L2)의 위치 설정부(130L2a)에 맞닿는다. 이 때, 카트리지(B)는 장착 수단(130)에 의해 카트리지 장착부(130a)에 착탈식으로 장착된다. 카트리지 장착부(130a) 내의 제 위치에 장착된 카트리지(B)에 의해, 화상 형성 작업이 활성화된다. 여기서, 카트리지 장착부(130a)는 장착 수단(130)에 의해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제 위치에 장착된 카트리지(B)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이다.
카트리지(B)가 장착될 때, 구동력 전달부로서 기능하는 커플링(134; 도5)이 후퇴 위치에 있어서, 장착을 위해 삽입되는 카트리지(B)를 방해하지 않는다. 커버(109)가 폐쇄되면,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제공된 커플링(134)은 구동력 수신부로서 기능하는 카트리지(B)의 커플링(170a; 도6)과 맞물리게 된다. 그 다음,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장치의 주 조립체(A)로부터 감광 드럼(107)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수신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0)는 주 조립체(A)와, 주 조립체(A)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포함한다.
(3) 카트리지(B)의 대전 입력 전기 접속 부재
감광 부재를 대전시키기 위해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카트리지(B) 내에 제공된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8은 드럼 프레임(118)의 내부가 보일 수 있도록 드럼 프레임(118)의 측면이 제거된 사시도이다. 도10의 (a) 및 (b)는 카트리지(B)의 측면도이다.
도8, 도1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유닛(120)은 장치의 주 조립체(A)로부터 대전 롤러(108)로 공급되는 대전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대전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 입력 전기 접속 부재)를 구비한다.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는 드럼 프레임(118) 상에 장착된다.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의 일부인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 입력 전기 접속부)가 드럼 프레임(118; 도7)의 다른 종방향(드럼(107)의 종방향) 단부(120b)에서 측표면(120b1) 상에 제공되어 노출된다.
특히,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되는 방향(X)에 대해 드럼 샤프트(139) 하류의 위치에 배치된다.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는 드럼 유닛(120) 내의 대전 롤러(10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전 롤러(108)의 금속 샤프트(108a)가 도전성 수지 재료로 만들어진 대전 롤러 베어링(1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전 롤러(108)가 드럼 프레임(118) 상에 장착된다. 베어링(132)과 드럼 프레임(118) 사이에, 금속 스프링(133; 탄성 부재)이 제공된다. 이러한 스프 링(133)은 (도8에 도시되지 않은) 감광 드럼(107)에 대해 대전 롤러(108)를 가압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는 출력 접속부(144a)와 접속하기 위한 전기 접속부(141a) 및 스프링(133)과 접속하기 위한 전기 접속부(141b)를 포함한다.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는 일체형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되고, 드럼 프레임(118)에 장착된다.
그러므로,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전기 접속부(141b), 스프링(133), 베어링(132), 및 금속 샤프트(108a)를 통해 대전 롤러(10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의 일 단부는 드럼 유닛(120)의 대체로 하단부 및 측표면(120b1)에서 노출된다.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가 노출된 노출 영역(141c) 내에, 입력 전기 접속부(141a)가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측표면(120b1)에서 노출된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휴지 위치), 도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가동 작동 부재(142)에 의해 덮인다.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는 드럼 유닛(120)의 하부 및 측표면(120b1)에서 노출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드럼 유닛(120) 내에 배치된다. 대기 위치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의 가동 작동 부재(142)의 회전이 정지된 위치이며, 도10의 (a)에 도시된 위치이다. 가동 작동 부재(142)의 구조가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4) 카트리지(B)의 가동 작동 부재
도9를 참조하여, 카트리지(B) 상에 장착된 가동 작동 부재(142)의 구조에 대 해 설명될 것이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유닛(120)은 가동 작동 부재(142)를 구비한다. 가동 작동 부재(142)는 드럼 프레임(118)의 측표면(120b1)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샤프트(118j)가 측표면(120b1) 상에 제공되어, 가동 작동 부재(142)의 후면(142k) 내에 제공된 원통형 부분(142a)의 구멍(142a1)과 맞물린다. 그 후에, 드럼 샤프트(139; 도7)는 샤프트(118j)의 구멍(118j1) 내에 끼워 맞춰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동 작동 부재(142)는 드럼 샤프트(139)에 의해 드럼 프레임(118)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가동 작동 부재(142)는 감광 드럼(107)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동 작동 부재(142)는 샤프트(118j)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그러므로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탈착될 때, 가동 작동 부재(142)는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가동 작동 부재(142)가 샤프트(118j)와 맞물리므로, 가동 작동 부재(142)는 드럼 프레임(118)과 함께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39)가 또한 감광 드럼 샤프트이므로, 카트리지(B)는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추가의 샤프트를 제공할 필요가 없고 그를 위한 공간을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가동 작동 부재(142)는 카트리지(B)의 측표면(120b1) 상에 장착되고, 그러므로 조립이 간편하다.
원통형 부분(142a)은 탄성 기능 부재(143;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를 구비한다. 부재(143)의 아암 부분(143a)의 일 단부는 가동 작동 부재(142)의 후면 상에 제공된 로킹부(142e) 상에 후크 결합된다. 탄성 기능 부재(143)의 아암 부분 (143b)의 타 단부는 측표면(120b1) 내에 형성된 홈(118n)과 맞물린다. 이렇게 함으로써, 탄성 기능 부재(143)는 그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작동 부재(142)를 도9 및 도10의 (a)의 화살표(a)에 의해 표시된 회전 방향으로 가압한다. 탄성 기능 부재(143)에 의해 압박되는 가동 작동 부재(142)의 후면(142k) 상의 후면 맞닿음부(142b)는 드럼 프레임(118)의 맞닿음부(118e)와 맞닿는다. 따라서, 가동 작동 부재(142)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가동 작동 부재(142)가 도9 및 도10의 (a)의 화살표(b)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될 때, 후면(142k) 상의 맞닿음부(142c)는 드럼 프레임(118) 상에 제공된 맞닿음부(118f)에 맞닿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동 작동 부재(142)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의 회전 범위가 제한된다.
가동 작동 부재(142)의 회전 작동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탄성 기능 부재(143)의 제공은 필수적이지는 않다. 예를 들어, 가동 작동 부재(142)는 드럼 프레임(118)과 가동 작동 부재(142)의 후면(142k)의 활주 표면 사이에 비교적 큰 마찰력을 제공함으로써 또는 스냅 결합 구조물 등을 사용함으로써 대기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탄성 기능 부재(143)의 사용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리하다. 도10의 (a) 및 (b)는 가동 작동 부재(142)가 화살표(a)의 방향 및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10의 (a)의 상태에서, 가동 작동 부재(142)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되어, 대기 위치에 유지된다. 이러한 대기 상태에서,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의 노출 영역(141c)은 가동 작동 부재(142)에 의해 덮인다. 도10의 (b)에 도시된 상 태에서, 가동 작동 부재(142)는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되었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출 영역(141c)이 노출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서 제 위치에 장착되지 않으면, 가동 작동 부재(142)는 도10의 (a)에 도시된 위치를 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출 영역(141c) 상에 위치된 전기 접속부(141a)는 가동 작동 부재(142)에 의해 덮인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노출 영역(141c), 특히 입력 전기 접속부(141a)를 우발적으로 만지는 것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이물질이 침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가동 작동 부재(142)에 의해 노출 영역(141c)을 덮는 것은 필수적이지는 않다. 이는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5) 대전 출력 접속 부재(144)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제공된 대전 출력 접속 부재(144)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 측판(145) 상에, 입력 전기 접속부(141a)에 대전 전압을 인가하도록 입력 전기 접속부(141a)에 접속되는 대전 출력 접속 부재(출력 접속 부재)가 제공된다.
출력 접속 부재(144)의 일부인 대전 출력 접속부(144a; 출력 접속부)는 입력 전기 접속부(141a)에 접속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출력 접속부(144a)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의 측판(145)의 내부 측표면(145e)의 외측면인 후퇴 위치에 위치된다. 즉, 출력 접속부(144a)는 측표면(145e) 후방의 후퇴 위치에 있어서, 카트리지 장착부(130a) 내로 돌출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주 조립체(A)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 등을 위해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그의 손을 삽입하더라도, 손은 출력 전기 접속 부재(144), 특히 출력 접속부(144a)를 쉽게 만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접속 부재(144) 및 전기 접속부(144a)는 이물질의 침착으로부터 보호된다. 또한, 이들은 손상으로부터 보호된다. 작업자가 접속 부재(144) 및 전기 접속부(144a)를 우발적으로 만질 가능성이 있고, 그 결과 이하에서 설명되는 전기 회로(E)가 대전된 신체에 대한 정전기 방전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손상은 회피될 수 있다. 그러므로, 카트리지(B)와 장치의 주 조립체(A) 사이의 전기 연결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접속 부재(144)는 리드선에 의해 전기 회로 기판(EC) 상에 제공된 전기 회로(E; 전원 회로, 도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출력 접속부(144a)는 전기 연결 위치와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후퇴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카트리지 장착부(130a) 내에 위치되고, 출력 접속부(144a)는 전기 회로(E)를 통해 전원(S; 도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11 내지 도13의 (a) 및 (b)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측판(145)은 측판(145)에 고정되어 카트리지 장착부(130a)를 향해 돌출한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를 구비한다.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X)에 대한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의 하류측에, 변위 가능 부재(147)의 일 단부에 제공된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 도13의 (b))가 제공되고, 이는 측판(145) 내에 형성된 개구(145a1)를 통해 장착부(130a)를 향해 돌출한다.
특히, 변위 가능 부재(147)는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를 구비한다. 변위 가능 부재(147)는 출력 접속부(144a)를 후퇴 위치와 전기 연결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킨다. 맞물림부(147c)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되는 삽입 방향(X)에 대해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의 하류에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삽입 방향(X)에 대한 맞물림부(147c)의 적어도 일부는 맞물림 부재(146) 후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장치의 주 조립체(A)의 유지 보수 작업을 목적으로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그의 손을 삽입하더라도, 손이 맞물림부(147c)를 우발적으로 만질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출력 접속부(144a)는 카트리지(B)가 장착부(130a)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전기 연결 위치 내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유리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도11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147c)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및 탈착과 관련하여 화살표(c)의 방향 또는 화살표(d)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147c)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의 카트리지(B)의 장착 공정에서 화살표(c)의 방향으로 가동 작동 부재(142; 도10)에 의해 밀려난다. 그 다음, 출력 접속부(144a)는 맞물림부(147c)를 갖는 변위 가능 부재(147)의 작동과 관련하여, 측판(145) 내에 형성된 개구(145a2)를 통해 카트리지 장착부(130a) 또는 공간 내로 튀어나온다.
이렇게 함으로써, 출력 접속부(144a)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의 카트리지(B)의 장착 공정에서 입력 전기 접속부(141a)와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대전 롤러(108)는 회로 기판(EC) 내에 제공된 CPU(200; 도16)의 제어 작업에 응답하여 전기 회로(E)를 통해 장치의 주 조립체(A)로부터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위치되지 않았을 때,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는 탄성 기능 부재(149;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 도13의 (b))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도11의 (b)의 화살표(d)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일체형인 변위 가능 부재(147)의 작동과 관련하여, 출력 접속부(144a)는 측판(145)의 외부로, 즉 측판(145)에 대해 장착부(130a)로부터 대향하여 후퇴된다 (도11의 (a)). 도11의 (a)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화살표(d)의 방향으로의 맞물림부(147c)의 이동은 측판(145) 내에 형성된 개구(145a1)의 모서리에 의해 제한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로부터 탈착될 때, 요소들의 작동 및 이동은 장착 또는 삽입 작업 중의 작동 및 이동과 반대이다.
(6)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 구조
도12를 참조하여,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 구조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12는 전면(D)으로부터 본, 즉 카트리지(B)를 장착하는 방향(도3)에서의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의 정면도이다.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측 하부 표면, 즉 카트리지 장착부(130a)의 하부 표면 상에, 회로 기판(EC; 도16)이 있다. 장착 방향에 대한 장착부(130a)의 하나의 측방향 측면에서, 내측 측판(145)의 내부 측표면(145e) 외부에, 모터(M)와 모터(M)로부터 구동력을 커플링(134) 등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동 기어열(M1; 구동력 전달 수단)이 배치된다.
장착부(130a)의 대향 측방향 측면에서,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는 장치의 주 조립체(A)에 대한 카트리지(B)의 삽입 방향(X)에 대해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의 하류에 배치된다. 또한, 맞물림부(147c)의 적어도 일부는 삽입 방향(X)에서 보았을 때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중첩된다. 바꾸어 말하면, 맞물림부(147c) 의 일부는 삽입 방향(X)에서 보았을 때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 후방에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작업자가 카트리지(B)가 탈착된 후에 유지 보수(용지 걸림 제거 작업 등)의 목적으로 장치의 전면(D)으로부터 주 조립체(A) 내로 그의 손을 삽입하더라도, 손은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에 의해 차단된다. 그러므로,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는 작업자에 의해 우발적으로 접근되는 것으로부터 보호된다. 후퇴 위치에 위치된 (도12에 도시되지 않은) 출력 접속부(144a)는 전기 연결 위치로의 우발적인 이동이 방지된다.
(7) 가동 작동 부재 및 대전 출력 접속 부재의 작동
가동 작동 부재(142) 및 대전 출력 접속 부재(144)의 작동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13 내지 도15는 카트리지(B)가 화상 형성 장치(100) 내로 삽입될 때의 작동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13의 (a), 도14의 (a), 및 도15의 (a)는 장착부(130a)로부터 측판(145)으로의 방향에서 본 도면, 즉 도11의 (a)의 화살표(Y)의 방향에서 본 도면들이다. 도13의 (b), 도14의 (b), 및 도15의 (b)는 각각 도13의 (a), 도14의 (a), 및 도15의 (a)의 화살표(Z)의 방향에서 본 도면들이다.
이러한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는 측판 (145)의 외부(측판(145)에 대한 장착부(130a)를 갖는 측면으로부터의 대향 측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는 샤프트부(147a)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출력 접속 부재(144)는 지지 부재(148) 상에 장착된다. 지지 부재(148)는 샤프트부(148a)에 대한 회전을 위해 측판(145)의 장착부(145b)에 장착된다. 지지 부재(148)는 탄성 기능 부재(149; 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e; 도13의 (b))의 방향으로 압박된다. 변위 가능 부재(147)와 지지 부재(148)는 그의 맞닿음부(147b)에서 서로 맞닿는다. 그러므로, 변위 가능 부재(147)와 지지 부재(148)는 서로 관련된다.
탄성 기능 부재(149; 도13의 (b))에 의한 화살표(e)의 방향으로의 지지 부재(148)의 압박에 의해, 변위 가능 부재(147)는 화살표(f)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다음, 맞닿음부(147d)는 측판(145)의 개구(145a1)의 모서리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변위 가능 부재(147)는 바르게 위치된다. 이 때, 출력 접속부(144a)는 측판(145)을 넘어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로 돌출하지 않은 후퇴 위치에 위치된다. 즉, 출력 접속부(144a)는 출력 접속부(144a)가 입력 전기 접속부(14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후퇴된다. 바꾸어 말하면, 출력 접속부(144a)는 장착부(130a)의 외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탄성 기능 부재(149)는 출력 접속부(144a)를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이동시켜서 유지하도록 변위 가능 부재(147)를 탄성적으로 압박하도록 기능한다.
도13의 (a) 및 (b)는 카트리지(B)를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하는 공 정에서의 상태를 도시한다. 특히, 도13의 (a) 및 (b)에서, 카트리지(B)는 가동 작동 부재(142)가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에 접촉하기 직전의 위치로 삽입되어 있다. 카트리지(B)는 장착 가이드부(130L1, 130L2)를 따라 화살표(X)의 방향으로 삽입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가동 작동 부재(142)는 탄성 기능 부재(143)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j; 도13의 (a))의 방향으로 압박된다. 가동 작동 부재(142)의 맞닿음부(142b)는 맞닿음부(118e)에 맞닿는다. 설명된 바와 같이, 출력 접속부(144a)는 측판(145)을 넘어 장착부(130a) 내로 돌출하지 않은 후퇴 위치에 유지된다.
도14의 (a) 및 (b)에서, 카트리지(B)는 도13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추가로 삽입되어 있다. 도14의 상태에서, 가동 작동 부재(142)의 제1 맞물림부(142f)가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의 맞물림부(146a)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동 작동 부재(142)는 카트리지(B)의 추가의 삽입에 따라 화살표(k; 도14의 (a))의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 부재(142)는 드럼 프레임(118)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한다. 이는 맞닿음부(142b)가 맞닿음부(118e)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드럼 프레임(118)에 대한 가동 작동 부재(142)의 이동에 의해, 가동 작동 부재(142)는 가동 작동 부재(142)가 맞물림부(146) 아래로 통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회전하고, 제2 맞물림부(142d)는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 도14의 (a))와 맞닿는다. 그 다음,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제1 맞물림부(142f)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려서 회전되고, 이에 의해 작동 부재(142)의 자유 단부의 제2 맞물림부(142d)는 맞물림부(147c)에 대한 맞물림 위치로 이동된다.
카트리지(B)의 추가의 삽입에 의해, 제2 맞물림부(142d)는 변위 가능 부재(147)의 맞물림부(147c)를 밀어낸다. 이는 변위 가능 부재(147)를 화살표(g; 도14의 (b))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148)는 화살표(h; 도14의 (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출력 접속부(144a)는 측면 플레이트(145)를 넘어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 즉 카트리지 장착부(130a) 내로 돌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작동 부재(142)는 맞물림부(146a)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어 맞물림 부재(146) 아래로 통과할 수 있다.
맞물림 부재(142d)가 맞물림부(147c)와 맞물릴 때, 작동 부재(142)는 맞물림 부재(146)로부터 분리되어 그와 접촉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작동 부재(142)의 이동은 맞물림 부재(146)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서, 제2 맞물림부(142d)는 맞물림부(147c)와 확실하게 맞물릴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가동 작동 부재(142)는 입력 전기 접속부(141a)를 덮는 위치(도10의 (a))로부터 접속부(141a)를 노출시키는 위치(도10의 (b))로 이동한다.
도15의 (a) 및 (b)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의 완전한 설정 위치로 추가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카트리지(B)의 삽입에 의해, 제2 맞물림부(142d)는 변위 가능 부재(147)를 화살표(g; 도15의 (b))의 방향으로 추가로 회전시킨다. 그와 관련하여, 출력 접속부(144a)는 측면 플레이트(145)를 넘어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추가로 돌출된다. 출력 접속부(144a)는 그 다음 노출된 입력 전기 접속부(141a)에 접속하게 된다. 이 때, 가동 작동 부재(142)는 맞물림 부재(146) 아래로 통과하여,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로부터 분리된다. 가동 작동 부재(142)는 변위 가능 부재(147)로부터 화살표(i; 도15의 (a))의 방향으로 반작용력을 수신하고, 이에 의해 맞닿음부(142c)는 맞닿음부(118f)에 맞닿고 바르게 위치된다.
따라서, 가동 작동 부재(142)는 드럼 프레임(118)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가동 작동 부재(142)는 장치의 주 조립체(A) 상에 고정된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려서 드럼 프레임(118)에 대해 이동된다. 가동 작동 부재(142)가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린 후에, 이는 변위 가능 부재(147)의 맞물림부(147c)와 맞물려서 출력 접속부(144a)를 탄성 기능 부재(149)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킨다. 특히,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될 때, 작동 부재(142)는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려서, 맞물림 부재(146)를 드럼 프레임(118)에 대해 후퇴 위치로 이동시켜서 카트리지(B)의 추가 삽입을 허용한다. 작동 부재(142)는 맞물림 부재(146)와의 맞물림 후에,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와 맞물려서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를 밀어낸다. 이에 의해, 접속부(144a)는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된다.
가동 작동 부재(142)는 가동 작동 부재(142)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기능 부재(143)를 더 포함하고,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렸을 때 탄성 기능 부재(14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드럼 프레임(118)에 대해 이동한다.
가동 작동 부재(142)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맞물림부(142f)와,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맞물림부(142d)를 포함한다. 가동 작동 부재(142)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가동 작동 부재(142)는 제1 맞물림부(142f)의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의 맞물림에 의해 드럼 프레임(118)에 대해 이동된다. 가동 작동 부재(142)는 제1 맞물림부(142f)의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의 맞물림 후에 제2 맞물림부(142d)의 변위 가능 부재(147)의 맞물림부(147c)와의 맞물림에 의해 출력 접속부(144a)를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킨다.
본 명세서의 전기 연결 위치는 입력 전기 접속부(141a)와 출력 접속부(144a)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이다. 특히, 이는 카트리지(B)가 장착부(130a)에 장착되면, 입력 전기 접속부(141a)와 출력 접속부(144a)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위치이다.
후퇴 위치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위치되지 않았을 때 출력 접속부(144a)가 존재하는 위치이다. 접속부가 후퇴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작업자의 손 등이 장치의 주 조립체(A)로 진입하면, 손 등은 전기 접속부(144a)가 전기 연결 위치에 있을 때보다 접속부(144a)를 덜 쉽게 만진다. 따라서, 전기 접속부(144a)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손이 접속부(144a)를 만질 가능성은 전기 접속부(144a)가 전기 연결 위치에 있을 때보다 더 낮다. 명세서에서, 후퇴 위치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제공된 측판(145)의 내측 측표면(145a) 외부에 (측판(145)에 대해 장착부(130a)로부터 대향하여) 있거나, 전기 접속부(144a)가 장착부(130a)로부터 커버부(171)에 대해 대향하여 배치되거나 (실시예 2), 전기 접속부(144a)가 수직판(145f)들 사이에 배치되는 (실시예 9)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제한적이지 않으며, 전술한 조건이 만족되면 다른 위치일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후퇴 위치에 유지되었던 출력 접속부(144a)는 가동 작동 부재(142), 변위 가능 부재(147), 및 지지 부재(148)의 작동에 의해 입력 전기 접속부(141a)와 접속하게 된다. CPU(200; 도16)의 제어에 의해, 전압이 전원(S; 도16)으로부터 전기 회로(E), 출력 접속부(144a), 및 입력 전기 접속부(141a)를 통해 대전 롤러(108)로 공급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원(S)과 전기 접속부(144a)는 항상 전기 회로(E)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대전 롤러(108; 상기 처리 수단)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압을 수신하도록 전기 연결 위치에 위치된 출력 접속부(144a)와 접속된다.
(8) 회로 기판 (전기 회로(E))
도1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제공된 회로 기판(EC)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회로 기판(EC)은 카트리지 장착부(130a) 아래에 배치된다. 회로 기판(EC)은 CPU(200) 및 전기 회로(E; 전원 회로)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EC), 특히 전기 회로(E)는 전원(S)과 연결된다. 전기 회로(E)는 대전 바이어스 회로(E1), 현상 바이어스 회로(E2), 및 전사/대전 바이어스 회로(E3)에 의해 구성된다.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는 음의 DC 전압 및 AC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는 이러한 전압들의 합의 형태의 전압을 대전 롤러(108)에 인가한다. 대전 롤러(108)는 전압을 수신하고 감광 드럼(107)을 대전시킨다.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는 음의 DC 전압을 또한 구동 롤러(105c)를 통해 정착 롤러(105b)에 인가한다. 현상 바이어스 회로(E2)는 음의 DC 전압 및 AC 전압을 발생시킨다. 현상 롤러(110)는 이러한 전압들의 합의 형태의 전압을 공급받는다. 현상 롤러(110)는 현상제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전압을 수신한다. 전사 바이어스 회로(E3)는 양 또는 음의 DC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는 양 또는 음의 DC 전압을 전사 롤러(104)에 인가한다.
따라서, 대전 롤러(108)는 전원(S)으로부터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를 통해 전압을 공급받는다. 정착 롤러(105b) 및 구동 롤러(105c)는 전원(S)으로부터 대전 바이어스 회로(E1)를 통해 전압을 공급받는다. 현상 롤러(110)는 전원(S)으로부터 현상 바이어스 회로(E2)를 통해 전압을 공급받는다. 전사 롤러(104)는 전원(S)으로부터 전사/대전 바이어스 회로(E3)를 통해 전압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회로(E1, E2, E3)들은 회로 기판(EC) 상에 제공된 CPU(200)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켜짐-꺼짐 제어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자가 용지 걸림 제거(기록재(102)가 주 조립체(A) 내에서 걸렸을 때 주 조립체(A)로부터의 기록재(102)의 제거)의 목적으로 또는 유지 보수 작업의 목적으로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그의 손을 삽입하더라도, 출력 접속부(144a)는 손에 의해 쉽게 만져지지 않는 다. 이는 출력 접속부(144a)가 후퇴 위치로 후퇴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1) 출력 접속부(144a)는 이물질(손 위에 침착된 현상제, 그리스, 땀 등)의 침착으로부터 보호된다.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의 부품들 상의 그리스 또는 현상제가 작업자 손을 오염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이 발생하면 이는 출력 접속부(144a)를 오염시키기 쉽다. (2) 또는, 출력 접속부(144a)는 손상되지 않는다. (3) 또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의 전기 회로(E) 내의 소자(도16)들은 정전기 잡음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신체의 정전기가 출력 접속부(144a) 상에 인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회피될 수 있는 정전기 잡음이다.
따라서, 전원(S; 도16)으로부터 대전 롤러(108)로의 전기 전도 결함이 (1), (2), 및 (3)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출력 접속부(144a)와 입력 전기 접속부(141a) 사이의 전기 연결의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변위 가능 부재(147)의 맞물림부(147c)는 삽입 방향(X)에 대해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의 하류에 위치되며, 맞물림부(147c)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방향(X)의 방향에서 볼 때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중첩된다. 즉, 삽입 방향(X)에서 보았을 때, 맞물림부(147c)의 적어도 일부는 맞물림 부재(146) 후방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용지 걸림 제거 등과 같은 유지 보수 작업의 목적으로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그의 손을 삽입하더라도, 맞물림 부재(146)는 손이 맞물림부(147c)를 만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후퇴 위치에 위치된 출력 접속부(144a)의 전기 연결 위치로의 우발 적인 이동이 회피될 수 있다.
설명된 바와 같이,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의 카트리지(B)의 삽입 공정에서, 맞물림부(147c)는 탄성 기능 부재(149)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이동된다.
그러므로,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의 카트리지(B)의 삽입에 의한 장착부(130a)로의 장착 시에 카트리지(B) 상의 충격 또는 충돌은 탄성력에 의해 완충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부(130a)로의 장착 시에 카트리지(B)에 의해 장치의 주 조립체(A)로부터 수신되는 충격 또는 충돌이 감소될 수 있다.
이는 그러한 충돌에 기인할 수 있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및 카트리지(B)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카트리지(B)로부터 외부로의 현상제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접속부(144a)와 입력 전기 접속부(141a) 사이의 접속 또는 맞닿음 시의 충돌이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접속 부재(141, 144)의 손상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가동 작동 부재(142)는 탄성 기능 부재(143)의 탄성력에 의해 전면을 향해, 즉 삽입 방향(X)에 대한 반대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박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작동 부재(142)는 탄성력에 대항하여 이동된다. 그러므로, 충돌이 탄성력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충돌은 탄성 기능 부재(143)의 탄성력 및 탄성 기능 부재(149)의 탄성력의 합에 의해 완충될 수 있다. 따라서, 충돌의 악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이러한 실시예는 다음의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 작업자가 용지 걸림 제거 작업 등의 목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그의 손을 삽입하더라도,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전기 접속부는 손에 의해 쉽게 만져지지 않고, 이는 출력 접속부가 내측 측표면을 넘어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삽입 방향에서 보았을 때, 출력 접속부를 돌출시키는데 효과적인 변위 가능 맞물림부는 주 조립체에 고정된 고정식 맞물림 부재의 후방 표면 후방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는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변위 가능 맞물림부를 쉽게 만질 수 없다. 그러므로, 땀 또는 그리스 등의 침착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전도 결함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출력 접속 부재는 정전기 잡음의 인가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그러므로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전기 회로 내의 소자의 고장이 회피될 수 있다.
(2) 가동 작동 부재의 이동을 카트리지의 장착 및 탈착 작업과 관련시킴으로써, 작업자는 전기 접속부들을 접속시키기 위해 특별한 일을 행할 필요가 없다.
(3) 접속 부재는 구동측에 대향한 측면에 배치되고, 그러므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의 공간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어서, 장치의 크기 감소를 달성한다.
(4)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기 접속부가 하부 위치에 배치되고, 조립 특성이 개선된다. 이러한 경우에, 가동 작동 부재를 상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동 작동 부재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를 향해 돌출되지 않아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가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5) 가동 작동 부재는 샤프트에 대해 회전하고, 그러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탈착될 때의 가동 작동 부재의 이동이 매끄럽게 될 수 있다.
(6) 가동 작동 부재가 샤프트와 맞물리므로, 조립 작업이 간편하다.
(7) 가동 작동 부재는 꼬임식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 기능 부재에 의해 압박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될 때, 가동 작동 부재는 탄성력에 대항하여 이동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시의 충돌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의 손상, 및/또는 현상제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주 조립체의 전기 접속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기 접속부 사이의 맞닿음 시의 충돌을 제거함으로써, 접속 부재들의 손상이 회피될 수 있다.
(8) 가동 작동 부재가 감광 드럼의 회전 샤프트와 동축인 경우에, 추가의 회전 샤프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가동 작동 부재를 측표면 상에 배치함으로써, 조립 특성이 개선된다.
실시예 2
도17 내지 도21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 및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조는 실시예 1(도1 및 도2)의 것과 유사하다.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이러한 실시 예의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되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1) 카트리지(B)의 가동 작동 부재
도17 내지 도19는 카트리지(B)가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장착되는 방향에 대한 카트리지(B)의 선단측 부분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는 드럼 유닛(120) 및 현상 유닛(119)을 일체로 포함한다.
장착 방향에 대한 카트리지(B)의 선단측에서의 종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대전 롤러(108)에 대한 대전 바이어스 전압의 인가를 위한 대전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의 전기 접속부(141a)가 제공된다. 전기 접속부(141a)는 드럼 프레임을 둘러싸는 리브(118g)에 의해 드럼 프레임(118)의 표면을 넘어 돌출되지 않는다.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의 코너부에 인접한 영역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제공된 대전 출력 접속부(144a)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141a)로서 기능한다.
드럼 프레임(118)은 감광 드럼(107)을 보호하기 위한 드럼 셔터(170)를 구비한다. 드럼 셔터(170)는 감광 드럼(107)을 덮고 대향 단부들(일 단부만이 도시됨)에서 지지 아암(170b)을 지지하는 셔터부(170a)를 갖고, 피벗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드럼 셔터(170)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의 카트리지(B) 장착 작업과 관련하여 화살표(s)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광 드럼(107)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위치(도17의 (a))로부터 감광 드럼(107)을 노출시키기 위한 노출 위치(도17의 (b))로 이동한다. 도18에서, 드럼 셔터(170)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드럼 프레임(118)은 샤프트(118h)에 의해 그 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 작동 부재(142)를 구비한다. 가동 작동 부재(142)는 드럼 셔터(170)의 회전 샤프트의 방향에 대한 회전식 지지 아암(170b)의 경로 외부에 배치된다.
가동 작동 부재(142)에, 코일 스프링(143; 탄성 기능 부재)이 그 원통형 부분(142a) 상에 장착되고, 일측의 아암 부분(143a)이 로킹부(142e) 상에 후크 결합된다. 다른 아암 부분(143b)은 드럼 프레임(118)의 로킹부(118i) 상에 후크 결합된다. 그러한 스프링(143)에 의해, 가동 작동 부재(142)는 화살표(a)의 회전 방향으로 편위된다. 스프링(143)에 의해 압박되는 가동 작동 부재(142)는 맞닿음부(142b)의 드럼 프레임(118)의 맞닿음부(118e)에 대한 맞닿음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위치된다 (도19의 (a)).
가동 작동 부재(142)는 맞닿음부(142c)가 드럼 프레임(118)의 맞닿음부(118f)와 맞닿을 때까지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도19의 (b)).
(2)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대전 출력 접속부(144a)
카트리지(B)가 장착될 수 있는 장치의 주 조립체(A)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측 측판(145)은 카트리지(B)의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에 의해 접속부를 통해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대전 출력 접속 부재(144)를 구비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출력 접속 부재(144)는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측 측판(145)의 내측 측표면(145e) 상에 제공 된 커버부(171)를 넘어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로 돌출하지 않은 후퇴 위치에 위치된다 (도20의 (a)). 즉, 전기 접속부(144a)는 내측 측판(145)에 대해 커버 부재(171)로부터 대향한 측면으로 후퇴된다. 출력 접속 부재(144)는 리드 와이어 등을 통해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 내의 전기 회로(E; 도16)에 연결된다.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카트리지(B)의 장착 작업과 관련하여 가동 작동 부재(142)를 회전시키기 위한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가 제공되고,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는 내부 측표면(145e)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돌출된다.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에 대해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의 하류에, 변위 가능 부재(147)가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변위 가능 부재(147)는 샤프트부(147a)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변위 가능 부재(147)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및 탈착 작업과 관련하여 회전한다. 도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변위 가능 부재(147)는 카트리지(B)의 가동 작동 부재(142)에 의해 압박되어 화살표(c)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출력 접속 부재(144)는 커버부(171)를 넘어 외부 전기 연결부로 돌출한다. 그리고, 출력 접속부(144a)는 카트리지(B)의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의 접속부(141a)와 접속하게 된다.
(3) 가동 작동 부재 및 대전 출력 접속부의 작동
카트리지(B)의 가동 작동 부재(142) 및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제공된 대전 출력 접속 부재(144)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21은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의 작동의 개략도 이다.
도21은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로부터 본 (도20의 (a)에서 화살표(Y)의 방향에서의)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측 측판(145)의 도면이다. 도21의 (a)는 도21의 (a) 안으로의 카트리지(B)의 삽입 공정에서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21의 (b)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서 제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2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가능 부재(147)는 측면 플레이트(145) 상에 장착되어 샤프트부(147a)에 대해 회전한다. 출력 접속 부재(144)는 부재(147) 상에 장착된다. 변위 가능 부재(147)는 코일 스프링(149; 탄성 기능 부재)에 의해 화살표(d)의 방향으로 압박되어, 맞닿음부(147d)가 측면 플레이트(145)의 맞닿음부(145d)에 맞닿아서 유지된다. 이 때, 출력 접속 부재(144)는 측표면(145e)의 커버부(171)를 넘어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돌출하지 않도록 후퇴 위치에 위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접기 접속 부재(144)는 커버부(171)에 대해 장착부(130a)로부터 대향한 외부 위치(후퇴 위치)에 위치된다.
카트리지(B)는 주 조립체 가이드(130L1, 130L2)를 따라 화살표(X)의 방향으로 삽입된다.
카트리지가 도21의 (a)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가동 작동 부재(1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143; 탄성 기능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j)의 방향으로 편위된다. 그리고, 작동 부재(142)는 맞닿음부(142b)가 드럼 프레임(118)의 맞닿음부(118e)에 맞닿은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출력 접속 부재(14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171)를 넘어 돌출하지 않은 후퇴 위치에 유지된다.
카트리지(B)가 도21의 (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추가로 삽입되면, 가동 작동 부재(142)의 제1 맞물림부(142f)가 장치의 주 조립체(A) 상에 고정되어 제공된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의 접촉부(146a)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 부재(142)는 화살표(k)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작동 부재(142)의 제2 맞물림부(142d)는 변위 가능 부재(147)의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를 상방으로 압박한다. 이는 변위 가능 부재(147)를 화살표(c)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대전 출력 접속 부재(144)는 커버부(171)를 넘어 돌출된다. 따라서, 전기 접속부(144a)는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된다.
도2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장착부(130a)에 완전히 장착되면, 커버부(171)를 넘어 돌출된 출력 접속부(144a)는 카트리지(B)의 입력 전기 접속부(141a)에 접속된다. 이는 대전 바이어스를 장치의 주 조립체(A)로부터 카트리지(B)의 대전 롤러(108)로 공급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실시예 2에서, 전술한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작동 부재(142)는 카트리지 프레임(B1)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작동 부재(142)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고정되어 제공된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려서 카트리지 프레임(B1)에 대해 이동한다. 작동 부재(142)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린 후에, 변위 가능 부재(147)의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와 접촉하게 되어, 출력 접속부(144a)를 코일 스프링(149; 탄성 기능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이는 전기 연결 위치에 위치된 출력 접속부(144a)와의 맞물림을 통해 대전 롤러(108; 상기 처리 수단)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압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전기 접속부(141a)를 갖는다.
이는 작동 부재(142)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스프링(143; 탄성 기능 부재)을 더 포함한다. 작동 부재(142)가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리면, 작동 부재(142)는 스프링(143)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카트리지 프레임(B1)에 대해 이동한다.
작동 부재(142)는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맞물림부(142f)와, 상기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맞물림부(142d)를 포함한다. 작동 부재(142)의 제1 맞물림부(142f)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려서, 카트리지 프레임(B1)에 대해 이동하고, 제1 맞물림부(142f)가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린 후에, 제2 맞물림부(142d)가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와 맞물린다. 이에 의해, 출력 접속부(144a)는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제1 맞물림부(142f)는 작동 부재(142)와 맞물려서 회전된다. 따라서, 작동 부재(142)의 선단부에 제공된 제2 맞물림부(142d)는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와의 맞물림을 위한 위치로 이동하여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와 맞물린다. 제2 맞물림부(142d)가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와 맞물리면, 작동 부재(142)는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리고 그와 접촉되지 않는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A)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부(130a)와,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전기 연결 위치와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후퇴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출력 접속부(144a)와, 출력 접속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를 갖는 변위 가능 부재(147)를 포함하고, 변위 가능 맞물림부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의 하류에 배치되고, 상기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스 카트리지(B)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중첩되고, 상기 주 조립체는 출력 접속부(144a)를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를 향해 압박하도록 변위 가능 부재(147)를 탄성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탄성 기능 부재(149)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실시예 1과 유사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142)는 드럼 셔터(170)의 회전 샤프트에 대한 지지 아암(170b)의 이동 경로 외부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카트리지(B)의 장착 및 탈착 시에 셔터(170)와 작동 부재(142) 사이의 개방 및 폐쇄 시점 관계에 주의할 필요가 없다.
실시예 3
도22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 및 화상 형성 장치(100)의 일반적인 배열은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이러한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되고, 그의 상세한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 및 장치의 주 조립체(A)는 가동 작동 부재(142), 변위 가능 부재(147), 대전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 및 대전 출력 접속 부재(144) 등을 또한 포함하고, 이러한 부재들은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각각의 구조 및 기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부재들의 상세한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되고,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요소에 할당된다.
도22 내지 도25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는 드럼 프레임(118)의 측표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가동 작동 부재(142)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카트리지(B)의 측표면은 대전 롤러(108)에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대전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의 접속부(141a)를 갖는다.
도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작동 부재(142)는 코일 스프링(143; 탄성 기능 부재)에 의해 도면에서 시계 방향(화살표(j)의 방향)으로 편위 또는 압박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작동 부재(142)에 의해 덮인다.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측 측판(145)은 입력 전기 접속부(141a)와의 전기 접속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대전 롤러에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출력 접속 부재(144)를 갖는 측표면(145e) 상에 제공된다.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 및 변위 가능 부재(147)는 실시예 1에서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변위 가능 부재(147)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및 탈착과 관련하여 화살표(c, d)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변위 가능 부재(147)는 작동 부재(142)에 의해 화살표(c)의 방향으로 밀려난다. 변위 가능 부재(147)의 작동과 관련하여, 출력 접속부(144a)는 내측 측판(145)의 개구(145a2)를 통해 돌출되어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와 접속하게 된다. 구조는 실시예 1의 구조와 유사하다.
가동 작동 부재(142) 및 출력 접속 부재(144)의 작동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22 내지 도25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의 작동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22, 도23, 도24, 및 도25의 (a)는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로부터 본,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측 측면 플레이트(145)의 도면이고, 도25의 (b)는 도25의 (a)의 화살표(Z)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22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의 카트리지(B)의 삽입 공정에서의 상태를 도시한다. 특히, 도22는 작동 부재(142)가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에 접촉되기 직전의 카트리지(B)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카트리지(B)는 주 조립체 가이드(130L1, 130L2)를 따라 화살표(X)의 방향으로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 작동 부재(142)는 탄성 기능 부재(143)의 탄성력에 의해 도22에서 시계 방향(화살표(j)의 방향)으로 압박된다.
도23은 카트리지(B)가 도2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방향(X; 내측)으로 추가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142)의 맞닿음부, 즉 제1 맞물림부(142f)는 장치의 주 조립체(A) 상에 장착된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의 맞닿음부(146a)와 접촉하게 된다. 작동 부재(142)는 맞닿음부(146a)의 상부 표면 상으로 올라간다. 그 다음, 작동 부재(142)는 카트리지(B)의 삽입에 따라 반시계 방향(화살표(k)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출력 접속부(144a)는 측판(145)을 넘어 장착부(130a)를 향해 돌출되지 않은 후퇴 위치에 있다.
카트리지(B)의 추가의 삽입에 따라, 제1 맞물림부(142f)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 위로 올라간다. 도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맞물림부(124f)는 그 다음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로부터 분리된다. 도25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의 카트리지(B)의 추가의 삽입에 의해, 작동 부재(142)의 제2 맞물림부(142d)가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와 접촉하게 된다.
접촉 후에, 카트리지(B)의 추가의 삽입은 작동 부재(142)가 변위 가능 부재(147)를 화살표(c)의 방향으로 밀어내게 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이러한 구조에서, 제2 맞물림부(142d)가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에 맞닿을 때, 충돌 또는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변위 가능 부재(147)는 변위 가능 부재(147)를 화살표(c)의 방향으로 밀어내는 작동 부재(142)에 의해 화살표(g; 도25의 (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지지 부재(148)는 화살표(h; 도25의 (b))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출력 접속부(144a)는 측판(145)의 외부(후퇴 위치)로부터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전기 연결 위치), 즉 카트리지 장착부(130a) 내로 돌출된다.
다른 한편으로, 도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은 작동 부 재(142)의 이동에 의해, 작동 부재(142)는 변위 가능 부재(147)에 의해 반시계 (화살표(k))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작동 부재(142)는 카트리지 프레임(B1)에 대해 입력 전기 접속부(141a)를 덮는 위치(도22 내지 도24)로부터 접속부(141a)를 노출시키는 위치(도25의 (a) 및 (b))로 이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도25의 (a) 및 (b)는 카트리지(B)가 추가로 삽입되어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카트리지(B)의 삽입에 의해, 제2 맞물림부(142d)는 변위 가능 부재(147)를 화살표(g; 도25의 (b))의 방향으로 추가로 회전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출력 접속부(144a)는 측판(145)을 넘어 추가로 돌출된다. 출력 접속부(144a)는 그 다음 노출된 입력 전기 접속부(141a)에 접속하게 된다.
따라서, 가동 작동 부재(142)는 드럼 프레임(118) (카트리지 프레임(B1))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가동 작동 부재(142)는 장치의 주 조립체(A) 상에 고정된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려서 드럼 프레임(118)에 대해 이동된다. 가동 작동 부재(142)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맞물린 후에, 변위 가능 부재(147)의 맞물림부(147c)와 맞물려서 출력 접속부(144a)를 탄성 기능 부재(149)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킨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후퇴 위치로 후퇴된 출력 접속부(144a)는 가동 작동 부재(142), 변위 가능 부재(147), 및 지지 부재(148)의 작동에 의해 입력 전기 접속부 (141a)와 접속하게 된다. CPU(200; 도16)의 제어에 의해, 전압이 전원(S; 도16)으로부터 전기 회로(E), 출력 접속부(144a), 및 입력 전기 접속부(141a)를 통해 대전 롤러(108)로 공급된다.
바꾸어 말하면,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전기 연결 위치에 위치된 출력 접속부(144a)와 맞물리고 대전 롤러(108; 상기 처리 수단)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압을 수신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유리한 효과가 제공된다.
실시예 4
도26 및 도2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 및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조는 실시예 1(도1 및 도2)의 것과 유사하다.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되고, 그러한 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실시예 1에서, 도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142)가 (화살표(a)의 방향으로의 회전 후에 위치된) 대기 위치에 있을 때,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의 노출되는 영역(141c)은 가동 작동 부재(142)에 의해 덮인다. 도10의 (b)에 도시된 작동 상태에서, 영역(141c)은 노출된다.
따라서,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작동 부재(142)는 도10의 (a)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영역(141c) 내의 전기 접 속부(141a)는 작동 부재(142)에 의해 덮인다. 이러한 이유로, 입력 전기 접속부(141a)가 영역(141c), 특히 입력 전기 접속부(141a)에 대한 작업자의 접촉으로부터 보호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노출 영역(141c)을 작동 부재(142)로 덮는 것은 필수적이지는 않다.
도26 및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실시예 1과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 작동 부재(142)가 드럼 샤프트(139) 및 드럼 프레임(118)의 측표면(120b1) 상의 샤프트(118j; 도27)를 사용하여, 측표면(120b1)에 장착된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가동 작동 부재(142) 내에 형성된 원통형 부분(142a; 도9)의 구멍의 맞물림 후에, 드럼 샤프트(139)는 샤프트(118j)의 구멍 내로 끼워 맞춰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동 부재(142)는 감광 드럼(107)의 회전축과 동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142)는 또한 화살표(a, b; 도26)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142)가 대기 위치(도26; 작동 부재(142)가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된 후의 위치)에 있을 때,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의 노출 영역(141c)은 가동 작동 부재(142)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즉, 도26에 도시된 대기 위치에서, 노출 영역(141c)은 실제로 노출된다.
도27로부터 가장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실시예의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입력 전기 접속부(141a)가 드럼 프레임(118)의 측표면을 넘어 돌출하지 않도록 리브(118g)에 의해 둘러싸인 표면 상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카트리지(B) 가 취급될 때 작업자에 의해 만져지기 어렵다. 그러므로, 접속부(141a)는 땀, 그리스 등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전도 결함으로부터 보호된다. 따라서, 접속부(141a)는 접속부(141a)를 덮는 작동 부재(142)의 사용이 없이도 보호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유리한 효과가 제공된다.
실시예 5
도28 내지 도32를 참조하여, 제5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 및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조는 실시예 1(도1 및 도2)의 것과 유사하다.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되고, 그러한 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실시예 4에서, 도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리브(118g)에 의해 둘러싸여서, 드럼 프레임(118)의 측표면을 넘어 돌출되지 않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노출된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만지기 어렵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가동 작동 부재(142)의 다른 구조가 작업자가 입력 전기 접속부(141a)를 우발적으로 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채용된다.
도28 내지 도32는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 작동 부재(142)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에서, 드럼 프레임(118)의 측표면(120b1)은 실시예 1 내지 4와 유 사하게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의 접속부(141a)를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가동 작동 부재(142)가 지지되고 위치된다.
도28에 도시된 예에서, 가동 작동 부재(142)는 실시예 1과 유사하게 대기 상태에 위치되어 접속부(141a)를 덮는다. 그러나, 접속부(141a)와 대면하는 가동 작동 부재(142)는 개구(142p)를 구비한다. 바꾸어 말하면, 접속부(141a)는 작동 부재(142)에 의해 덮이지 않지만, 접속부(141a)의 표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작동 부재(142)의 표면이 있다.
도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작동 부재(142)는 대기 상태 또는 위치에서 접속부(141a)의 상부의 일부를 덮도록 리브(142g)를 갖는다.
도30, 도31, 및 도32는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들 각각의 예의 가동 작동 부재(142)는 접속부(141a)의 일부 둘레에서, 대기 상태에서 접속부(141a)의 표면보다 더 높은 표면(142r, 도30; 142s, 도31; 또는 142t, 도32)을 구비한다.
도30의 예에서, 작동 부재(142)의 표면(142r)은 도면에서 접속부(141a) 아래에 배치된다. 도31의 예에서, 작동 부재(142)의 표면(142s)은 접속부(141a)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32의 예에서, 작동 부재(142)의 표면(142t)은 접속부(141a)의 하부 코너부에 배치된다.
이들 예에서, 실시예 4와 유사하게, 접속부(141a)보다 더 높은 표면이 작동 부재(142)의 접속부(141a)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그러므로, 만지기 어려운 전기 접속부가 제공되어, 작업자가 접속부를 우발적으로 만지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접속부는 땀, 그리스 등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전도 결함으로부터 보호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유리한 효과가 제공된다.
실시예 6
도33 내지 도3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 및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조는 도1 및 도2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 1의 것과 유사하다. 작동 부재(142)의 구조 및 기능은 실시예 2의 것과 유사하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되고, 그러한 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실시예 2에서, 도17의 (a)에 도시된 대기 상태에서,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작동 부재(142)에 의해 덮인다. 도18에 도시된 작동 상태에서, 접속부(141a)는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실시예 2의 작동 부재(142)가 변형된다. 작동 부재(142)는 변형되고, 여전히 작업자가 입력 전기 접속부(141a)를 우발적으로 만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도33 내지 도38은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작동 부재(142)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이들 예에서,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한 선단측에서 종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드럼 프레임 (118g)의 표면을 넘어 돌출하지 않도록 제공된다.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는 코너부에 인접하여, 대전 출력 접속부(144a)와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141a)를 구성하는 영역을 구비한다. 작동 부재(142)는 실시예 2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지지되고 위치된다.
도3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142)는 실시예 2와 유사하게, 대기 상태에서 접속부(141a)를 덮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실시예 2와 달리, 접속부(141a)와 대면하는 작동 부재(142)의 영역은 개구(142p)를 구비한다.
그러나, 접속부(141a)는 리브(118g)에 의해 둘러싸인다. 접속부(141a)에 인접하여, 작동 부재(142)는 접속부(141a)를 대체로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노출된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작업자에 의한 만짐으로부터 보호된다.
도34의 예에서, 작동 부재(142)는 대기 상태에서 접속부(141a)의 주변부를 둘러싼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접속부(141a)를 둘러싸는 작동 부재(142)의 부분은 복수의 뼈대(142u)에 의해 구성된 골격 구조를 갖는다.
도35에 도시된 예에서, 작동 부재(142)는 대기 상태에서 접속부(141a)의 상부의 일부를 덮기 위한 리브(142v)를 구비한다.
도36, 도37, 및 도38의 예에서, 작동 부재(142)는 접속부(141a)의 주변부의 일부 둘레에서, 대기 상태에서 접속부(141a)의 표면보다 큰 높이를 갖는 각각의 표면(142w, 142x, 142y)을 갖는다.
따라서, 도36의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142)의 표면(142w)은 도면에서 접속부(141a) 위에 배치된다. 도37의 예에서, 작동 부재(142)의 표면(142x)은 도면에 서 접속부(141a)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도38의 예에서, 작동 부재(142)의 표면(142y)은 접속부(141a)의 측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이들 각각의 예에서, 실시예 4 및 5와 유사하게, 가동 작동 부재(142)는 접속부(141a)에 인접하여 더 큰 높이를 갖는 리브(142u) 또는 리브(141v) 또는 표면(142w), 표면(142x) 또는 표면(142y)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만지기 어려운 배열이 제공되고, 전기 접속부가 실시예 4, 5, 및 6에서 노출되지만, 작업자가 전기 접속부를 우발적으로 만질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부(141a)가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유리한 효과가 제공된다.
실시예 7
도39 내지 도4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는 측표면 상에서, 대전 롤러(108)에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의 측표면은 또한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에 추가하여, 현상 유닛(119)의 현상 롤러(111)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현상 입력 전기 접속 부재(160)의 일부인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 및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조는 도1 및 도2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 1의 것과 유사하다.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되고, 그러한 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1) 카트리지(B)의 가동 작동 부재
도3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B)를 도시한다. 카트리지(B)는 그의 측표면 상에서,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현상 유닛(119)은 측표면 상에서, 현상 롤러(110)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현상 입력 전기 접속 부재(160)의 일부인 접속부(160a)를 구비한다. 현상 입력 전기 접속 부재(160)는 현상 유닛(119) 내의 (도시되지 않은) 현상 롤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드럼 프레임(118)은 드럼 프레임(11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 부재(142)를 갖는다. 작동 부재(142)의 구조는 실시예 1의 것과 유사하다.
도40의 (a) 및 (b)는 작동 부재(142)가 화살표(a)의 방향 및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4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142)가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된 후에 위치되면,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는 작동 부재(142)에 의해 덮인다. 도4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142)가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가 노출된다.
즉,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장착되지 않았을 때, 작동 부재(142)는 도40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와 같다. 바꾸어 말하면,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가 작동 부재(142)에 의해 덮인다. 접속부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보호된다.
(2) 대전 출력 접속부 및 현상 출력 접속부
도41을 참조하여, 카트리지(B)가 장착될 수 있는 장치의 주 조립체(A)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측 측판(145)의 측표면(145e)은 카트리지(B)의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와의 접속에 의해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대전 출력 접속부(144a)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와의 접속에 의해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현상 출력 접속부(161a) 또한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 및 변위 가능 부재(147)의 구조 및 기능은 실시예 1의 것과 유사하다.
즉, 변위 가능 부재(147)는 도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의 장착 및 탈착과 관련하여 화살표(c, d)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4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장착될 때, 변위 가능 부재(147)는 작동 부재(142; 도40)에 의해 화살표(c)의 방향으로 밀려난다. 변위 가능 부재(147)의 작동과 관련하여, 대전 출력 접속부(144a) 및 현상 출력 접속부(161a)는 각각 내측 측판(145)의 개구(134a2, 145a3)를 통해 돌출된다. 그 다음, 이들은 각각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에 접속하게 된다.
(3) 가동 작동 부재(142), 대전 출력 접속 부재(144), 및 현상 출력 접속 부재(161)
작동 부재(142), 전기 접속 부재(144), 및 전기 접속 부재(161)의 작동에 대해 더욱 설명될 것이다.
도42 내지 도44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의 카트리지(B)의 삽입 작업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42의 (a), 도43의 (a), 및 도44의 (a)는 내부로부터 본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측 측판(145)의 도면(도41의 (a)의 화살표(Y)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고, 도42의 (b), 도43의 (b), 및 도44의 (b)는 도42의 (a), 도43의 (a), 및 도44의 (a)의 화살표(Z)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42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의 카트리지(B)의 삽입 공정에서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43은 카트리지(B)가 도4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추가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44는 카트리지(B)가 추가로 삽입되어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가능 부재(147)가 샤프트부(147a)에 대한 회전을 위해 내측 측판(145)의 외부 상에 장착된다. 접속 부재(144) 및 접속 부재(161)가 지지 부재(148) 상에 장착된다. 지지 부재(148)는 화살표(e, h)의 방향으로의 활주 이동을 위해 내측 측판(145) 상에 장착된다. 지지 부재(148)는 탄성 기능 부재로서 기능하는 압축 스프링(149)에 의해 화살표(e)의 방향으로 압박된다.
변위 가능 부재(147)와 지지 부재(148)는 각각의 맞닿음부(147b, 148b)에서 서로에 대해 맞닿아서, 서로 관련된다.
지지 부재(148)가 화살표(e)의 방향으로 압박되면, 변위 가능 부재(147)는 화살표(f)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다음, 맞닿음부(147d)는 내측 측판(145)의 개구(145a1)의 모서리에 맞닿는다. 따라서, 변위 가능 부재(147)는 제 위치에 위치된다. 이 때, 접속부(144a)는 접속부(144a)가 내측 측판(145) 내에 형성된 개구(145a2)를 통해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은 후퇴 위치에 있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작동 부재(142)의 제1 맞물림부(142f)는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의 카트리지(B)의 장착 작업에 의해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의 접촉부(146a)와 접촉하게 된다. 이는 작동 부재(142)를 화살표(k)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다음,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가 노출된다. 그리고, 작동 부재(142)는 변위 가능 부재(146)를 화살표(g)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는 지지 부재(148)를 화살표(h)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접속부(144a, 161a)들이 내측 측판(145)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접속부(144a, 161a)들은 접속부(141a, 160a)들에 접속된다. 대전 바이어스 전압 및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이제 장치의 주 조립체(A)로부터 각각 대전 롤러(108) 및 현상 롤러(110)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는 작동 부재(142)에 의해 덮인다. 그러므로, 전기 접속부(141a, 160a)들은 작업자가 카트리지(B)를 취급할 때, 작업자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보호된 다. 이러한 방식으로, 땀, 그리스 등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전도 결함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상기 설명에서, 작동 부재(142)는 대기 상태 또는 위치에서 전기 접속부(141a, 160a)를 덮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시예 4 및 5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접속부(141a, 160a)보다 더 높은 표면 또는 표면들이 작동 부재(14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만지기 어려운 전기 접속부 구조가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의 유리한 효과가 제공된다.
실시예 8
도45 내지 도48을 참조하여, 제8 실시예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3에서,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한 선단측의 종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드럼 프레임(118)의 표면을 넘어 돌출하지 않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의 측표면은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를 구비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B) 및 화상 형성 장치(100)의 구조는 도1 및 도2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 1의 것과 유사하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되고, 그러한 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1) 카트리지(B)의 가동 작동 부재
도45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B)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한 선단측의 종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 부재(141)는 그의 코너부에 인접하여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를 갖는다. 제1 가동 작동 부재(142A)가 실시예 2와 유사한 지지 및 위치 설정 구조를 갖는 드럼 프레임(118) 상에 장착된다.
다른 한편으로, 카트리지(B)의 측표면은 현상 롤러(110)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를 구비한다. 현상 입력 전기 접속 부재(160)는 카트리지 내의 현상 롤러(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가동 작동 부재(142B)가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에 인접한 샤프트부(139)에 대한 회전을 위해 장착된다. 작동 부재(142B)는 종방향에 대해,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되는 카트리지(B)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118k 및 118m) 외부에 배치된다. 작동 부재(142B)는 실시예 1의 작동 부재(142)와 유사한 구조로 장착된다. 작동 부재(142B)는 탄성 기능 부재로서 기능하는 코일 스프링(143)에 의해 화살표(p)의 방향으로 압박된다.
도4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142A)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 부재(142B)는 화살표(p)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위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접속부(141a) 및 접속부(160a)는 각각 작동 부재(142A) 및 작동 부재(142B)에 의해 덮인다.
도4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부재(142A)가 화살표(b)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작동 부재(142B)가 화살표(m)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접속부(141a) 및 접속부(160a)가 노출된다. 즉,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작동 부재(142A) 및 작동 부재(142B)는 도45의 (a)에 도시된 상태에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접속부(141a) 및 접속부(160a)는 각각 작동 부재(142A) 및 작동 부재(142B)에 의해 덮임으로써 보호된다.
(2)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의 대전 출력 접속부(144a) 및 현상 출력 접속부(161a)
도46 및 도47을 참조하여, 카트리지(B)가 장착될 수 있는 장치의 주 조립체(A)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46의 (a) 및 도47의 (a)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의 사시도이다. 도46의 (b) 및 도47의 (b)는 도46의 (a) 및 도47의 (a)의 화살표(W)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실시예 2와 유사하게, 장치의 주 조립체(A)는 대전 출력 접속 부재(144)를 구비한다. 제1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A) 및 제1 변위 가능 부재(147A)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구조로 장착된다.
변위 가능 부재(147A)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및 탈착과 관련하여 화살표(c, d)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4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변위 가능 부재(147A)는 작동 부재(142A; 도45)에 의해 밀려나서 화살표(c)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의해, 대전 출력 접속부(144a)는 커버부(171)로부터 돌출되어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와 접속하게 된 다.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측 측표면은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와의 접속을 통해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현상 출력 접속부(161a)를 구비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접속부(161a)는 내측 측판(145) 내에 형성된 개구 리브(145a2)를 통해 돌출하지 않은 위치에 유지된다. 내측 측판(145)과 주 조립체 가이드(130L1, 130L2) 사이에 (주 조립체 가이드(130L1, 130L2) 외부 및 내측 측판(145)의 내부에), 카트리지(B)의 장착과 관련하여 작동 부재(142B)를 회전시키기 위한 맞닿음부인 제2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B)가 제공된다. 제2 변위 가능 부재(147B)의 일 단부(147c)가 카트리지(B)의 장착 방향에 대한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B)의 하류에서 돌출된다.
변위 가능 부재(147B)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및 탈착과 관련하여 화살표(n, o)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4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장착될 때, 변위 가능 부재(147B)는 카트리지(B)의 작동 부재(142B; 도45)에 의해 화살표(o)의 방향으로 밀려난다. 이에 의해, 접속부(161a)는 변위 가능 부재(147B)의 작동과 관련하여 내측 측판(145) 상에 제공된 개구 리브(145a2)를 통해 돌출된다. 그리고, 접속부(161a)는 현상 장치 접속부(160a)와 접속하게 된다.
변위 가능 부재(146B) 및 접속 부재(161)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즉, 변위 가능 부재(147B)는 내측 측판(145)의 외부 상에 장착되어, 샤 프트부(147a)의 중심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접속 부재(161)는 지지 부재(148) 상에 장착된다. 지지 부재(148)는 샤프트부(148a)에 대한 회전을 위해 장착된다. 지지 부재(148)는 탄성 기능 부재로서 기능하는 압축 스프링(149)에 의해 화살표(e)의 방향으로 압박된다. 변위 가능 부재(147B)와 지지 부재(148)는 각각의 맞닿음부(147b, 148b)에서 서로에 대해 맞닿고, 서로 관련된다.
지지 부재(148)가 화살표(e)의 방향으로 압박되면, 변위 가능 부재(147B)는 화살표(f)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는 내측 측판(145) 내에 형성된 개구(145a1)의 모서리와 맞닿는 맞닿음부(147c)에 의해 제 위치에 위치된다. 이 때, 접속부(161a)는 내측 측판(145) 내에 형성된 개구 리브(145a2)를 통해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돌출하지 않은 후퇴 위치에 위치된다.
(3) 가동 작동 부재, 대전 출력 접속 부재, 및 현상 출력 접속 부재
작동 부재(142A), 작동 부재(142B), 대전 출력 접속 부재(144), 및 현상 출력 접속 부재(161)의 작동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48은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되는 작업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48은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로부터 본 (도46의 (a)의 화살표(Y)의 방향에서 본) 내측 측판(145)의 도면이고, 도48의 (a)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의 카트리지(B)의 삽입 공정에서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48의 (b)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서 제 위치에 장착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가능 부재(147A) 및 접속 부재(144)는 실시예 2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위치되고 지지된다. 즉, 변위 가능 부재(147A)의 회전에 의해, 접속부(144a)는 커버부(171)를 통행 돌출하는 전기 연결 위치와 그렇지 않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실시예 2와 유사하게, 작동 부재(142A)의 제1 맞물림부(142f)는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의 카트리지(B)의 장착 작업에 의해 제1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A)와 접촉하게 된다. 이는 작동 부재(142A)를 화살표(k)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가 노출된다. 작동 부재(142A)는 변위 가능 부재(147A)를 화살표(c)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대전 출력 접속부(144a)는 커버부(171)로부터 돌출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대전 출력 접속부(144a)는 카트리지(B)의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에 의해 접속된다. 그러므로, 대전 롤러(108)는 이제 장치의 주 조립체(A)로부터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받을 수 있다.
작동 부재(142B) 및 접속 부재(161)는 실시예 1의 작동 부재(142) 및 접속 부재(144)와 동일한 구조로 작동된다.
즉,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카트리지(B)를 장착하는 작업에 의해, 작동 부재(142B)의 제1 맞물림부(142f)는 제2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B)에 접촉된다. 이는 작동 부재(142)를 화살표(m)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 도48에서 현상 입력 전기 접속 부재(160)의 후방 표면)가 노출된다.
그리고, 작동 부재(142B)는 변위 가능 부재(147B)의 맞닿음부(147c)를 화살 표(o)의 방향으로 밀어낸다. 이는 지지 부재(148)를 회전시킨다. 그 다음, 접속부(161a)는 내측 측판(145)의 개구 리브(145a2)를 통해 돌출된다. 이는 접속부(161a)가 접속부(160a)와 접속하게 한다. 그러므로,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이제 장치의 주 조립체(A)로부터 현상 롤러(110)로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 및 현상 입력 전기 접속부(160a)는 작동 부재(142A, 142B)에 의해 덮인다. 그러므로, 전기 접속부(141a, 160a)는 작업자가 카트리지(B)를 취급할 때, 작업자에 의한 접촉으로부터 보호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땀, 그리스 등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전도 결함의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작동 부재(142A, 142B)는 각각 대기 상태 또는 위치에서 전기 접속부(141a, 160a)를 덮는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구조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시예 4, 5, 및 6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접속부(141a, 160a)보다 더 높은 표면 또는 표면들이 작동 부재(14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만지기 어려운 전기 접속부 구조가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실시예의 유리한 효과가 제공된다.
실시예 9
도49 내지 도53을 참조하여, 제9 실시예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가 대응하는 기능을 갖는 요소에 할당되고, 그러한 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단하게 하기 위해 생략된다.
실시예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전원(S)과 출력 접속부(144a)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점에서 실시예 1과 다르다. 그러므로, 전원(S)으로부터의 전압은 출력 접속부(144a)에 인가되지 않는다.
도49는 카트리지(B) 상에 장착된 가동 작동 부재(142) 및 대전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유닛(120)의 일 측면은 실시예 1(도8 및 도9)과 유사한 구조로 장착된 가동 작동 부재(142) 및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를 구비한다. 그러나,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의 대전 입력 전기 접속부(141a)가 실시예 1에서 카트리지(B)의 측표면(120b1)과 평행하지만, 이는 본 실시예에서 하방으로 기울어진다.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제공된 대전 출력 접속 부재(144)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50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내부 측판(145) 상에, 입력 전기 접속부(141a)에 대전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입력 전기 접속부(141a)에 접속되는 대전 출력 접속 부재(출력 접속 부재)가 제공된다. 측판(145)은 장치의 주 조립체(A)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외측판(184)의 내부 상에 장착된다. 외측판(184)은 외측 케이싱(C, 도3)에 의해 덮인다.
출력 접속 부재(144)는 와이어에 의해 구성된다. 그의 일부인 출력 접속부(144a)는 입력 전기 접속부(141a)와 접속된다. 여기서, 접속 부재(144)는 채널형 형상을 갖고, 그의 코너부는 전기 접속부(144a)로서 기능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전기 접속부(144a)는 측판(145)의 내측 측표면(145e) 상에 제공된 수직판(145f; 도50의 (a))들 사이의 위치에 위치된다. 측판(145)은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실시예 1에서와 유시한 구조의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를 일 단부에 갖는 변위 가능 부재(147)를 구비한다. 바꾸어 말하면, 수직판(145f)들은 그들 사이에 간극을 가지고 나란히 배치되며, 측판(145)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전기 접속 부재(141)가 이들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작업자의 손 또는 공구 등은 작업자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한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때, 접속 부재(144)에 쉽게 접촉될 수 없다. 이는 손 등이 수직판(145f)에 의해 수직판(145f)들 사이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변위 가능 부재(147c)는 카트리지(B)의 장착 및 탈착과 관련하여 화살표(c, d)의 방향으로 이동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삽입될 때,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는 작동 부재(142)와 접촉하게 되어, 장착 방향(X; 삽입 방향)으로의 카트리지(B)의 이동에 의해 화살표(c)의 방향으로 밀려난다.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의 이동과 관련하여, 변위 가능 부재(147)가 이동한다. 변위 가능 부재(147)의 작동과 관련하여, 출력 접속부(144a)는 수직판(145f)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출력 접속부(144a)는 입력 전기 접속부(141a)와 접속된다 (도50의 (b)).
도51 내지 도53을 참조하여, 변위 가능 부재(147) 및 출력 접속 부재(144)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51은 외측판(184)의 외부로부터 본, 변위 가능 부재(147) 및 출력 접속 부재(144)의 도면이다. 도52의 (a) 및 (b)는 출력 접속 부재(144)의 장착부의 구조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판(184)은 그 안에 형성된 구멍(184c, 184d, 184e)들을 갖는다. 구멍(184c)을 통해, 측판(145) 상에 제공된 장착부(145b)가 외측으로 돌출된다. 유사하게, 구멍(184d)을 통해, 측판(145) 상에 제공된 장착부(145j)가 외측으로 돌출된다. 유사하게, 구멍(184e)을 통해, 측판(145) 상에 제공된 장착부(145g)가 외측으로 돌출된다.
실시예 1과 유사하게, 변위 가능 부재(147)는 측판(145)의 외부 상에 장착된 샤프트부(147a)에 대한 회전을 위해 장착된다. 샤프트부(147a)의 일 단부는 장착부(145j) 상에 장착된다. 샤프트부(147a)의 타 단부는 장착부(184b) 상에 장착된다. 장착부(184b)는 외측판(18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레버(181)가 샤프트부(181a)에 대한 회전을 위해 장착된다. 샤프트부(181a)의 일 단부는 장착부(145b) 상에 장착된다. 샤프트부(181a)의 타 단부는 장착부(184a) 상에 장착된다. 장착부(145b)는 측판(145) 상에 제공되어, 측판(145) 내에 형성된 구멍(184c)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된다. 장착부(184a)는 외측판(18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레버(181)는 탄성 기능 부재(149;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에 의해 화살표(e)의 방향으로 압박된다. 그러므로, 탄성 기능 부재(149)의 탄성력에 의해, 변위 가능 부재(147)와 레버(181)가 각각의 맞닿음부(147b, 181b)에서 서로에 대해 맞닿는다. 따라서, 변위 가능 부재(147)와 레버(181)가 서로 관련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레버(181)는 주 조립체 전기 접속 부재(182)를 구비한다. 주 조립체 전기 접속 부재(182)는 리드선 등을 통해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제공된 회로 기판(EC)의 전기 회로(E; 전원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주 조립체 전기 접속 부재(182)는 레버(181)의 작동에 의해 출력 접속 부재(14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연결된다.
출력 접속 부재(144)는 지지 부재(180) 상에 장착된다. 지지 부재(180)는 (서로 동축인) 샤프트부(180a, 180b)들에 대한 회전을 위해 측판(145)의 장착부(145g) 상에 장착된다.
출력 접속 부재(144)는 출력 접속부(144a) 및 제2 전기 접속부(144b)를 구비한 아암 부분(144e)을 갖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전기 접속 부재(144)는 지지 부재(180)의 샤프트부(180a) 상에 장착된다.
지지 부재(180)의 샤프트부(180b)에, 코일 스프링(183)이 장착된다. 스프링(183)은 아암 부분(183a)에서 지지 부재(180)의 로킹부(180c)와 로킹된다. 스프링(183)의 아암 부분(183b)은 측판(145)의 로킹부(145h)와 로킹된다 (도52의 (a)). 이렇게 함으로써, 스프링(183)은 스프링 부재(180)를 화살표(r)의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 때, 지지 부재(180)의 돌출부(180d)는 측판(145) 내부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맞닿음부에 맞닿는다. 따라서, 회전 방향에 대한 지지 부재(180)의 위치가 결정된다 (전기 접속부(144a)가 수직판(145f)들의 내부로 후퇴된 도50의 (a) 및 도53의 (c)에 도시된 후퇴 위치).
도52의 (a) 및 (b)에서, 지지 부재(180)는 더 나은 이해를 위해 장착부(145g)로부터 제거되어 있다.
도53의 (a) 및 (b)는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서 제 위치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53의 (b) 및 도53의 (a)는 화살표(V)의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다시 도53의 (a)에서, 측판(145) 및 외측판(184)이 생략되어 있다. 도53의 (b)에서, 측판(145)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53의 (c)는 카트리지(B)가 (도50의 (a)에서와 동일하게)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로 장착될 때, 가동 작동 부재(142)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146)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가동 작동 부재(142)는 실시예 1(도10의 (b))과 유사하게, 드럼 샤프트(139)에 대해 화살표(b)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이는 전기 접속부(141a)를 덮는 위치로부터 이동된다. 이는 입력 전기 접속부(141a)를 노출시킨다. 그 다음, 가동 작동 부재(142)는 변위 가능 맞물림부(147c)와 접촉하게 된다. 카트리지(B)의 추가의 삽입에 의해, 변위 가능 부재(147)는 화살표(g)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실시예 1(도13의 (a), 도14의 (a), 및 도15의 (a))과 유사하다.
변위 가능 부재(147)는 화살표(g)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변위 가능 부재(147)의 회전과 관련하여, 레버(181)는 화살표(h; 도53의 (a))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레버(181) 상에 장착된 주 조립체 전기 접속 부재(182)를 도53의 (c)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53의 (b)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주 조립체 전기 접속 부재(182)는 지지 부재(180)에 접촉된다. 이는 지지 부재(180)를 화살표(u)의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 다음, 지지 부재(180) 상에 장착된 출력 접속부(144a)는 수직판(145f)들 사이로부터 출력 접속부(144a)로 상방으로 돌출된다. 전기 접속부(144a)는 이제 장착부(130a) 내에 있는 카트리지(B)의 입력 전기 접속부(141a)와 접속하게 된다. 이 때, 주 조립체 전기 접속 부재(182)의 주 조립체 전기 접속부(182a)와 출력 접속 부재(144)의 제2 접속부(144b)가 서로 접속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의해, 전원(S; 도16)으로부터의 전압이 주 조립체 접속 부재(182), 주 조립체 전기 접속부(182a), 출력 접속 부재(144), 및 입력 전기 접속 부재(141)를 통해 대전 롤러(108)에 인가될 수 있다. 카트리지(B)가 장치의 주 조립체(A) 내에 장착되지 않았을 때, 주 조립체 전기 접속부(182a)와 출력 접속 부재(144)의 제2 접속부(144b)는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전원(S)으로부터의 전압은 출력 접속부(144a)에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작업자가 유지 보수 작업 등에서 출력 접속 부재(144) 및/또는 출력 접속부(144a)를 우발적으로 만지더라도, 전기 회로(E)가 손상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실시예 1과 유사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본원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는 설명된 세부 사항에 구속되지 않고, 본 출원은 개선의 목적 또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들 수 있는 변형 또는 변화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장착될 때 ,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입력 전기 접속부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출력 접속부 사이의 전기 연결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9)

  1. 전기 연결 위치와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후퇴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출력 접속부와, 출력 접속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가능 부재와, 출력 접속부를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이격되어 후퇴 위치를 향해 압박하도록 변위 가능 부재를 탄성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탄성 기능 부재를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으며,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작용 가능한 처리 수단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되어 있을 때,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하도록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고정된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릴 수 있으며,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의 맞물림 후에 변위 가능 부재의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릴 수 있어서 출력 접속부를 탄성 기능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동 작동 부재와,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된 출력 접속부와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처리 수단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 전기 접속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작동 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기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작동 부재가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려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상기 탄성 기능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맞물림부와,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의 상기 제1 맞물림부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려서 상기 가동 작동 부재를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맞물림부가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린 후에, 상기 제2 맞물림부는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려서 출력 접속부를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제1 맞물림부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려서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동 작동 부재의 제2 맞물림부가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리게 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맞물림부가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려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분리되어 접촉하지 않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속부는 출력 접속부로부터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전압을 수신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속부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전압을 출력 접속부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주 조립체와,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장치의 주 조립체는,
    전기 연결 위치와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후퇴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출력 접속부와,
    출력 접속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가능 부재와,
    출력 접속부를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이격되게 후퇴 위치를 향해 압박하도록 변위 가능 부재를 탄성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탄성 기능 부재와,
    고정식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작용 가능한 처리 수단과,
    상기 처리 수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 전기 접속부와,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동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려서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하고,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의 맞물림 후에, 변위 가능 부재의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려서, 출력 접속부를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켜서 출력 접속부와 상기 입력 전기 접속부 사이의 전기 연결을 확립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가동 작동 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기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작동 부재가 상기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려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상기 탄성 기능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맞물림부와,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의 상기 제1 맞물림부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려서 상기 가동 작동 부재를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맞물림부가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린 후에, 상기 제2 맞물림부는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려서 출력 접속부를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제1 맞물림부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동 작동 부재의 제2 맞물림부가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리게 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맞물림부가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려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분리되어 접촉하지 않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는 전원 및 전기 회로를 포함하고, 출력 접속부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출력 접속부는 전원과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출력 접속부가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할 때, 출력 접속부는 상기 전기 회로를 통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속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전압을 출력 접속부로부터 수신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속부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전압을 출력 접속부로부터 수신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16.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 있어서,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부와,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전기 연결 위치와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후퇴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출력 접속부와,
    고정식 맞물림 부재의 하류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중첩되는, 출력 접속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가능 맞물림부를 갖는 변위 가능 부재와,
    출력 접속부를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이격되게 후퇴 위치로 압박하도록 변위 가능 부재를 탄성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탄성 기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작용 가능한 처리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동 작동 부재와,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된 출력 접속부와 맞물려서 상기 처리 수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 전기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될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상기 가동 작동 부재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추가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고정식 맞물림 부재를 넘어 이동 가능한 위치로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하도록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릴 수 있고,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의 맞물림 후에,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릴 수 있어서 변위 가능 맞물림부를 밀어내어 출력 접속부를 탄성 기능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작동 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기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작동 부재가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려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상기 탄성 기능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맞물림부와,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의 상기 제1 맞물림부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려서 상기 가동 작동 부재를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맞물림부가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린 후에, 상기 제2 맞물림부는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려서 출력 접속부를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제1 맞물림부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동 작동 부재의 제2 맞물림부가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리기 위한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리게 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맞물림부가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려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분리되어 접촉하지 않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속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전압을 출력 접속부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속부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전압을 출력 접속부로부터 수신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3. 주 조립체와, 주 조립체에 착탈식으로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갖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주 조립체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착탈식으로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부와,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전기 연결 위치와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후퇴된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출력 접속부와,
    고정식 맞물림 부재의 하류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중첩되는, 출력 접속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변위 가능 맞물림부를 갖는 변위 가능 부재와,
    출력 접속부를 전기 연결 위치로부터 이격되게 후퇴 위치를 향해 압박하도록 변위 가능 부재를 탄성적으로 압박하기 위한 탄성 기능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 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상에서 작용 가능한 처리 수단과,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한 가동 작동 부재와,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된 출력 접속부와 맞물려서 상기 처리 수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압을 수신하는 입력 전기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상기 가동 작동 부재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추가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고정식 맞물림 부재를 넘어 이동 가능한 위치로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하도록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릴 수 있고,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의 맞물림 후에,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릴 수 있어서 변위 가능 맞물림부를 밀어내어 출력 접속부를 탄성 기능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자 사진 화상 형 성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가동 작동 부재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한 탄성 기능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작동 부재가 상기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려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상기 탄성 기능 부재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맞물림부와,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되어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의 상기 제1 맞물림부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려서 상기 가동 작동 부재를 카트리지 프레임에 대해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맞물림부가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린 후에, 상기 제2 맞물림부는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려서 출력 접속부를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시키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제1 맞물림부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가동 작동 부재의 제2 맞물림부가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리기 위한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리게 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맞물림부가 변위 가능 맞물림부와 맞물려 있을 때, 상기 가동 작동 부재는 고정식 맞물림 부재와 분리되어 접촉하지 않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는 전원 및 전기 회로를 포함하고,
    출력 접속부가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출력 접속부는 전원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출력 접속부가 후퇴 위치로부터 전기 연결 위치로 이동할 때, 출력 접속부는 상기 전기 회로를 통해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수단은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적으로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전기 접속부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 드럼을 대전시키기 위한 전압을 출력 접속부로부터 수신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67006120A 2003-09-30 2004-03-25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742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2607 2003-09-30
JP2003342607 2003-09-30
JPJP-P-2003-00435559 2003-12-26
JP2003435559A JP3625470B1 (ja) 2003-09-30 2003-12-26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474A KR20060054474A (ko) 2006-05-22
KR100742863B1 true KR100742863B1 (ko) 2007-07-26

Family

ID=3431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120A KR100742863B1 (ko) 2003-09-30 2004-03-25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6993264B2 (ko)
EP (1) EP1521139B1 (ko)
JP (1) JP3625470B1 (ko)
KR (1) KR100742863B1 (ko)
RU (1) RU2319190C1 (ko)
TW (1) TWI238297B (ko)
WO (1) WO20050338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1929B2 (ja) * 2003-02-06 2007-08-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多色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625470B1 (ja) * 2003-09-30 2005-03-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7934B2 (ja) *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7932B2 (ja)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87933B2 (ja) * 2003-12-09 2009-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378299B2 (ja) 2004-02-20 2009-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95589B2 (ja) * 2004-02-27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035516B2 (ja) * 2004-02-27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50555B2 (ja) * 2004-03-09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間部材
JP4455124B2 (ja) * 2004-03-31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86182B2 (ja) * 2004-09-27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94892B2 (ja) * 2005-04-11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81946B2 (ja) * 2005-05-27 2011-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945184B2 (en) * 2005-05-30 2011-05-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with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ion to image-forming device
JP4277220B2 (ja) * 2005-06-24 2009-06-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610006B2 (ja) * 2005-07-19 2011-01-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4878151B2 (ja) * 2005-11-24 2012-0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804212B2 (ja) * 2006-04-19 201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生産方法及び再生産方法
JP5110569B2 (ja) * 2006-11-02 2012-12-26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4464435B2 (ja) 2006-12-11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831168B2 (en) * 2007-03-15 2010-11-09 Lexmark International, Inc. Imaging units and methods of insertion into an image forming device
JP4921348B2 (ja) * 2007-12-28 2012-04-25 矢崎総業株式会社 導通検査具の導通ピン保護構造
KR100941420B1 (ko) * 2008-02-21 2010-02-10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4840399B2 (ja) * 2008-04-25 2011-12-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88900B2 (ja) * 2008-06-20 2013-09-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27584B2 (ja) * 2008-06-20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40318B2 (ja) * 2008-07-31 2010-03-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893769B2 (ja) * 2009-03-25 2012-03-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像担持体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506236B2 (ja) 2009-04-30 2014-05-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704911B2 (ja) 2009-12-16 2015-04-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911228B2 (ja) 2010-01-29 2012-04-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644391B2 (ja) * 2010-11-09 2014-1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電気接続構造、画像形成装置
US9535398B2 (en) 2014-09-04 2017-01-0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524723B2 (ja) * 2015-03-09 2019-06-0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723694B2 (ja) 2015-07-01 2020-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6884788B2 (ja) 2016-08-26 2021-06-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ップリング部材
JP7091096B2 (ja) 2017-03-15 202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RU2745019C1 (ru) 2017-12-13 2021-03-18 Кэнон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Картридж и устройство формирова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JP7262983B2 (ja) 2018-11-30 2023-04-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969730B2 (en) 2019-02-25 2021-04-0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unit
JP7305417B2 (ja) 2019-04-25 202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921A (ja) * 1993-09-09 1995-03-2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US6097906A (en) * 1997-02-14 2000-08-0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ain assembly connector and a process cartridge having a cartridge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able with the main assembly connector
US6993264B2 (en) * 2003-09-30 2006-01-3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5278A (ja) 1986-03-15 1987-09-21 Kyocera Corp 電子写真装置
JPH0968833A (ja) 1995-09-04 1997-03-11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5898912A (en) * 1996-07-01 1999-04-27 Motorola, Inc. Direct current (DC) offset compensation method and apparatus
JP3290597B2 (ja) 1996-08-30 2002-06-1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28224A (ja) *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338600A (ja) * 1998-05-26 1999-12-10 Yamatake Corp 設定数値変更方法および設定数値変更装置
US6134797A (en) * 1998-08-12 2000-10-24 Boyce; Timothy C. Device and method to define angles on a workpiece
JP3372932B2 (ja) 1999-05-20 2003-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386019B2 (ja) * 1999-10-27 2003-03-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ミキサ回路
US7477706B2 (en) * 2001-05-01 2009-01-13 Matsushita Communication Industrial Corporation Of U.S.A. Switched capacitor network for tuning and downconversion
JP3774691B2 (ja) 2001-10-01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34807B2 (ja) 2002-02-20 2005-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7921A (ja) * 1993-09-09 1995-03-20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装置
US6097906A (en) * 1997-02-14 2000-08-01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ain assembly connector and a process cartridge having a cartridge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able with the main assembly connector
US6993264B2 (en) * 2003-09-30 2006-01-3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25470B1 (ja) 2005-03-02
WO2005033806A1 (en) 2005-04-14
EP1521139A1 (en) 2005-04-06
JP2005128469A (ja) 2005-05-19
US7162176B2 (en) 2007-01-09
RU2006114707A (ru) 2007-11-10
EP1521139B1 (en) 2016-05-11
TW200512550A (en) 2005-04-01
US20070092285A1 (en) 2007-04-26
KR20060054474A (ko) 2006-05-22
US7315706B2 (en) 2008-01-01
US20050069338A1 (en) 2005-03-31
US20060029416A1 (en) 2006-02-09
RU2319190C1 (ru) 2008-03-10
TWI238297B (en) 2005-08-21
US6993264B2 (en) 2006-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863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854277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3809402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215901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1182520A2 (en) Memory member, unit,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27035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JP4455124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CN100454177C (zh) 处理盒和电摄影成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