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648B1 - 디스크 체인져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체인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648B1
KR100742648B1 KR1020010054657A KR20010054657A KR100742648B1 KR 100742648 B1 KR100742648 B1 KR 100742648B1 KR 1020010054657 A KR1020010054657 A KR 1020010054657A KR 20010054657 A KR20010054657 A KR 20010054657A KR 100742648 B1 KR100742648 B1 KR 100742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disc
sub
disk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0220A (ko
Inventor
이나타니아끼히사
이토신지
요시무라하루토시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0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0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1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 G11B17/223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in a vertical direction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디스크 체인져 장치는 디스크테이블, 재생수단, 제 1 트레이, 제 2 트레이, 수납수단 및 이동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디스크테이블은 거기에 장착된 디스크와 함께 회전된다. 재생수단은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한다. 제 1 트레이는 거기에 장착된 디스크를, 디스크가 장착된 로딩위치와 디스크가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장착위치의 사이 및 디스크 장착위치와 디스크가 수납되는 수납위치의 사이에서 이송한다. 제 2 트레이는 제 1 트레이와 결합되어 제 1 트레이를 디스크 로딩위치와 디스크 장착위치 사이에서 이송한다. 수납수단은 복수의 제 1 트레이를 제 1 트레이에 장착된 디스크의 주요면에 거의 수직인 축적방향으로 축적하여 수납한다. 이동수단은 수납수단에 수납된 제 1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축적방향에 의거한 한쪽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수납수단의 한쪽 방향에 반대되는 측의 디스크 장착위치에 위치하는 제 1 트레이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체인져 장치{Disc changer apparatus}
본 발명의 디스크 체인져 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4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45 내지 도 73은 디스크 체인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디스크 체인져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음향기기의 개략정면도이다.
도 2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커버본체, 유닛홀더 등이 배치된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메인 트레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메인 트레이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메인 트레이가 서브-트레이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메인 트레이가 서브-트레이에 연결되는 또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메인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록레버(lock lever)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0은 랙부재(rack member)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랙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서브-트레이의 확대평면도이다.
도 13은 서브-트레이의 확대저면도이다.
도 14는 베이스 유닛이 배치된 유닛홀더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15는 베이스 유닛이 배치된 유닛홀더를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다.
도 16은 베이스 유닛이 배치된 유닛홀더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7은 척킹풀리(chucking pulley)가 지지된 척킹부재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18은 척킹풀리가 지지된 척킹부재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9는 스톡커(stocker)의 확대평면도이다.
도 20은 스톡커의 확대저면도이다.
도 21은 스톡커의 확대측면도이다.
도 22는 규제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23은 서브-트레이가 상승하기 전의 상태를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확대배면도이다.
도 24는 서브-트레이가 상승된 상태를 일부를 절단하여 나타내는 확대배면도이다.
도 25는 누르는 부재의 확대우측면도이다.
도 26은 누르는 부재의 확대배면도이다.
도 27은 누르는 부재의 확대좌측면도이다.
도 28은 승강 슬라이더의 내면을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다.
도 29는 승강 슬라이더의 외면을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다.
도 30은 록해제레버(lock releasing lever)의 확대측면도이다.
도 31은 하우징에 배치된 주요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2는 주요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확대평면도이다.
도 33은 또 다른 주요 기구를 나타내는 개략확대평면도이다.
도 34는 구동력 전달슬라이더의 확대평면도이다.
도 35는 구동력 전달슬라이더의 확대저면도이다.
도 36은 캠기어의 확대평면도이다.
도 37은 캠기어의 확대저면도이다.
도 38은 이동용 슬라이더의 확대평면도이다.
도 39는 이동용 슬라이더의 확대저면도이다.
도 40은 구동랙(drive rack)의 확대측면도이다.
도 41은 구동랙의 확대평면도이다.
도 42는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된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3은 제어회로기판과 릴레이기판을 나타내는 확대저면도이다.
도 44는 후면패널의 확대정면도이다.
도 45는 메인트레이가 인출위치에 있는 상태(초기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6은 베이스유닛이 배치된 유닛홀더와 척킹풀리를 지지하는 척킹부재의 초기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7은 척킹풀리를 지지하는 척킹부재와 스톡커의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측 면도이다.
도 48은 캠기어 등의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49는 메인트레이가 디스크 장착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0은 메인트레이가 디스크 장착위치에 있고 유닛홀더가 하강위치에 있을 때 캠기어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51은 메인트레이가 디스크장착위치에 있고 유닛홀더가 상승하는 도중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2는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척킹될 때 척킹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3은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척킹될 때 유닛홀더 등의 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4는 유닛홀더가 서브-트레이에 위치결정되는 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다.
도 55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로부터 정보가 재생될 때 캠기어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56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척킹이 해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7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척킹이 해제될 때 캠기어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58은 서브-트레이의 로킹이 해제된 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내는 확대측면도이다.
도 59는 서브-트레이가 스톡커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0은 서브-트레이가 스톡커에 수납될 때 스톡커의 위치 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1은 서브-트레이가 스톡커에 수납될 때 캠기어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62는 스톡커가 중단위치에 있을 때 캠기어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63은 스톡커가 중단위치로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4는 제 2수납부에서 서브-트레이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5는 제 2수납부에서 서브-트레이를 인출하였을 때 캠기어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66은 스톡커가 하단까지 하강하였을 때 캠기어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67은 스톡커가 하단까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8은 스톡커가 하단까지 하강하였을 때 유닛홀더가 기울어지는 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9는 제 1수납부에서 서브-트레이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0은 제 1수납부에서 서브-트레이를 인출하였을 때 캠기어 등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이다.
도 71은 스톡커에 수납된 서브-트레이가 상승하는 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나 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2는 랙부와 제 2측면기어 사이의 백래쉬(backlash)를 나타내기 위해 제 2측면기어의 기어톱니 중 하나가 랙부의 랙톱니의 일측 벽면 중 대응면과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3은, 도 72와 유사하게, 제 2측면기어의 기어톱니 중 하나가 랙부의 랙톱니의 타측 벽면 중 대응면과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4는 중계기판을 거쳐서 제어회로기판이 메인기판에 접속되는 경우의 트래킹에러의 발생상황을 조사하는 실험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주부에서 측정된 값이 나타나 있다.
도 75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회로기판이 중계기판을 거치지 않고 디스크 체인져 장치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메인기판에 접속되는 경우의 트래킹에러의 발생상황을 조사하는 실험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주부에서 측정된 값이 나타나 있다.
도 76은, 도 74와 유사하게,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주부와 외주부와의 사이의 중간부에서 측정된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7은, 도 75와 유사하게,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주부와 외주부와의 사이의 중간부에서 측정된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디스크 체인져 장치 2. 하우징
8. 메인 트레이 18. 서브-트레이
18A, 18B, 18C. 서브-트레이 20. 유닛 홀더
21d, 21e, 21f. 위치결정돌기 26. 광픽업
28. 디스크테이블 41. 스톡커
41a. 제 1수납부 41b. 제 2수납부
41c. 제 3수납부 43. 측벽부
50. 규제부재 51. 가세부재
52. 승강 슬라이더 67. 구동모터
70. 구동력전달 슬라이더 71b. 결합돌기
77. 결합핀 78. 캠홈
79. 이동용 슬라이더 90. 제어회로기판
91. 중계기판
본 발명은 디스크 체인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에 삽입된 복수의 디스크형 기록매체 중 하나를 적절히 선택하여 그 선택된 기록매체로부터 정보의 재생 등을 실행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운반하는 트레이와, 트레이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따로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를 갖는 스톡커(stocker)와, 트레이에 의해 운반된 디스크형 기록매체 중 원하는 것에 대하여 정보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구 동부를 포함하는 구성의 디스크 체인져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들 종래기술의 디스크 체인져 장치 중,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스톡커에 수납할 때, 스톡커를 승강시켜서 그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빈 수납부에 수납하는 유형이 있다.
스톡커를 승강시켜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빈 수납부에 수납하는 상술한 종래기술의 체인져 장치에 있어서, 전문 승강기구, 빈 수납부를 검지하는 센서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또 트레이를 이송하는 모터 이외에 승강기구를 동작시키는 전문모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부품수가 증가함으로써 제조비용의 저감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부품수의 감소를 고려하여, 디스크 기록매체를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를 포함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가 알려져 있고, 이에 있어서 스톡커로서 기능하는 룰렛식(roulette type)트레이를 회전시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서로 교환할 수 있으나, 그러한 디스크 체인져 장치에서는,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한 평면상에 수납되기 때문에, 디스크 체인져 장치의 전체크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 체인져 장치의 부품수를 감소시키고 디스크 체인져 장치를 소형화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형태에 의하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테이블과,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를 디스크가 로드(load)되는 로딩위치와 디스크가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되는 장착위치와의 사이나 디스크장착위치와 디스크가 수납되는 수납부와의 사이에서 이송하는 제 1트레이와, 제 1트레이를 디스크로딩위치와 디스크장착위치 사이에서 이송하는 제 1트레이와 결합된 제 2트레이와, 제 1트레이에 장착된 디스크의 주요면에 거의 수직한 축적방향(stacking direction)으로 복수의 제 1트레이를 축적하여 수납하는 수납부와, 수납수단에 포함되어 있는 제 1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축적방향에 의거한 일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수납수단의 일방향측에 반대인 그 측의 디스크장착위치에 위치한 제 1트레이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스톡커를 승강시켜 빈 수납부에 트레이를 수납하는 종래기술의 디스크 체인져 장치와 달리, 전용의 승강기구와, 빈 수납부를 검지하는 센서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짐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는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부품수의 감소를 고려하여 스톡커로서 기능하는 룰렛식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스톡커에 서브-트레이(sub-tray)를 축적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 체인져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형태에 의하면,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테이블과 그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base unit)과, 거기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를 디스크가 로드되는 로딩위치와 디스크가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되는 장착위치와의 사이나 디스크장착위치와 디스크가 수납되는 수납위치와의 사이에서 이송하는 서브-트레이(sub-tray)와, 디스크 로딩위치와 디스크장착위치와의 사이에서 서브-트레이를 이송하기 위해 서브-트레이와 결합되어 있는 메인 트레이와, 메인 트레이에 대하여 승강하고, 내부에 그 승강방향으로 복수의 서브-트레이를 축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복수의 수납부를 갖는 스톡커(stocker)와, 구동모터로 회전되는 캠 기어(cam gear)와, 이동과 함께 이송방향으로 메인 트레이와 서브-트레이를 이송하도록 서브-트레이가 이송되는 이송방향으로 캠 기어의 회전과 함께 이동하는 제 1슬라이더(slider)와, 스톡커의 승강방향으로 계단형으로 형성된 캠 홈(cam groove)을 가지고, 그 형성된 캠 홈에 의해 적어도 베이스 유닛과 스톡커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도록 캠기어의 회전과 함께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슬라이더와, 스톡커에 수납되어 있는 서브-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승강방향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수납부의 승강방향측의 반대인 디스크장착위치에 있는 서브-트레이를 수납하는 하나의 수납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 2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베이스유닛과 함께 승강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캠기어의 회전에 의해 세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어 메인 트레이와 서브-트레이를 이동시키고 베이스 유닛과 스톡커를 승강시키기 때문에, 부품수를 더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형태에 의한 디스크 체인져 장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캠기어는 한면에는 캠홈을 다른 면에는 결합핀을 가지고 있고, 제 1슬라이더는 캠기어의 결합핀이 결합될 캠홈을 가지고 있고, 제 1슬라이더의 캠홈은 서브-트레이가 디스크수납위치에서 디스크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제 1슬라이더를 디스크장착위치에 대응하는 제 1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1돌기와 서브-트레이가 디스크 로딩위치에서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제 1슬라이더를 디스크장착위치에 대응하는 제 1위치로부터 디스크 수납위치측에 오프셋되는 제 2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돌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서브-트레이가 디스크 수납위치에서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캠기어의 결합핀은 제 1돌기의 튀어나온 양에 대응하는 양만큼 디스크 수납위치에서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고, 메인 트레이가 인출위치에서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캠기어의 결합핀은 제 2돌기의 튀어나온 양에 대응하는 양만큼 인출위치에서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서브-트레이와 메인 트레이를 디스크 장착위치로 확실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형태에 의한 디스크 체인져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의 구성성분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가지고 있는 제어회로기판과,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고 유연한 기판을 거쳐서 제어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중계기판(relay board)과,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전원을 제어하여 중계기판을 거쳐서 회로기판을 제어하기 위해 유연한 기판을 거쳐서 중계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메인 기판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재생시 등에 발생하는 진동 시스템은 디스크 체인져 장치에서 끝나고, 중계기판을 선두로 메인기판에 연결되어 있는 또 다른 연결라인에 의해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트래킹 에러의 발생을 감소시켜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재생신호의 동작 등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스크 체인져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부 하우징(101)에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1)와 다른 필수유닛을 포함하는 음향기기(100)가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하우징(101)의 전면패널(102)은 상단측에 위치한 액정표시부(103)와 하단측에 위치한 디스크 체인져 장치(1)와, 복수의 조작버튼(104)과, 직경이 대략 64mm인 디스크형 기록매체(미니디스크, 상표명)를 음향기기(100)에 삽입할 수 있게 하는 슬롯(105)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기록매체에 대하여 정보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생하게 된다. 음향기기(100)는 또한 라디오부를 가지고 있다.
디스크 체인져 장치(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2)에 필수부재와 기구를 가지고 있다.
수직으로 길게 형성된 하우징(2)은 전면부(3)와, 그 전면부(3)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 양측면부(4)를 가지고 있다(도 2 및 도 42 참조). 측면부(4)는 세로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된 대략 직사각형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4)의 후반부는 배치판부(5)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각 측면부(4)의 상면은 측방향으로 약간 넓은 폭과,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돌기(4a)를 가지 고 있다. 각 측면부(4)의 내면은 세로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로부터 약간 오프셋된 위치에서, 내측으로 돌출한 레버지지핀(lever supporting pin)(4b)을 가지고 있다. 각 측면부(4)의 내면은 또한 세로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로부터 약간 오프셋된 위치에서, 내측으로 돌출한 가이드 돌기(4c)를 가지고 있다. 각 측면부(4)의 외면은 하단 근처의 위치에서, 세로방향으로 연장한 가이드 레일(4d)을 가지고 있다(도 42 참조).
배치판부(5)는 그것의 좌우단부를 제외하고 평판형 기어배치부(5a)로서 형성된다. 기어배치부(5a)의 좌우양측은 상측으로 열린 두 개의 슬라이더 배치홈부(5b)로 형성된다. 슬라이더 배치홈부(5b)는 각각 하우징(2)의 전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도 2 참조). 각각의 슬라이더 배치홈부(5b)를 형성하는 저면부의 후면은 측면부(4)의 전단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장한 가이드 레일(5c)을 가지고 있다(도 43 참조).
배치판부(5)는 후단부에 위치한 모터축 삽입구(5d)와, 중앙부에 위치한 제 1기어삽입구(5e)와, 후단 근처에 위치한 제 2기어삽입구(5f)를 가지고 있다. 배치판부(5)는 또한 후면의 중앙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하는 가이드 돌기(5g)를 가지고 있다(도 33 참조).
기어배치부(5a)의 전면측부분은 기어배치부(5a)보다 높은 단부(stepped portion)(6)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단부(6)는 좌우양측 가장자리에, 수직방향으로 연장한 두 개의 지지홈(6a)을 가지고 있다(도 2 참조). 하우징(2)은 배치판부(5)의 앞에 위치한 커다란 배치공간(2a)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2)의 전반부는 커버본체(7)로 덮여 있다(도 3 참조). 투명재료로 만들어진 커버본체(7)는 중앙부에 풀리삽입구(pulley insertion hole)(7a)를 가지고 있다. 커버본체(7)의 상면은 좌우단부의 후단 근처의 두 개의 위치에서, 두 개의 지지홈부(supporting groove portions)(7b)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2)에는 메인 트레이(8)가 세로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3 참조). 메인 트레이(8)는 받음면부(receiving surface portion)(9)와, 받음면부(9)의 전단으로부터 입설된 전단부(10)와, 받음면부(9)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입설된 두 개의 측부(11)와, 측부(11)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한 두 개의 누름부(hold-down portions)(12)를 가지고 있다(도 4 내지 도 8 참조). 전단부(10)의 양측 가장자리는 측부(11)의 전면 가장자리와 연속하여 있고, 전단부(10)의 상측 가장자리의 좌우단부는 누름부(12)의 전면 가장자리와 연속하고 있으므로, 메인 트레이(8)의 좌우측에 내측 및 후측으로 열린 두 개의 삽입부(13)를 형성하고 있다.
받음면부(9)는 전단부(10)에 연속하여 있고 거의 측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초부(9a)(base portion)와, 기초부(9a)의 좌우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두 개의 돌기(9b)를 포함한다. 기초부(9a)는 좌우양단부에, 세로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한 두 개의 위치결정구멍(9c)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돌기(9b)는 후단부에, 록레버 배치구멍(lock lever arrangement hole)(9d)을 가지고 있다. 받음면부(9)는 측방향으로 중앙부에, 통과구멍(through-hole)(9e)을 가지고 있다. 받음면부(9)는 또한 그것의 후면에, 규제될 두 개의 돌기편(projecting pieces)(9f)을 가지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편(9f)은 록레버 배치구멍(9d)의 직후에 위치결정된다.
각각의 누름부(12)는 위치결정구멍(9c)에 걸쳐서 직접 형성된 위치결정구멍(12a)을 가지고 있다. 위치결정구멍(12a)의 세로방향 길이는 위치결정구멍(9c)의 세로방향 길이보다 짧다.
메인 트레이(8)는 또한 양측부(11)의 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돌출한 두 개의 다리부(leg portions)(14)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다리부(14)는 외면부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랙부(rack portion)(14a)를 가지고 있다(도 5 내지 도 8 참조). 다리부(14)의, 측부(11)에 연속하고 있는 부분은 외측으로 열리도록 노치(notch)되어 있고, 그 부분은 랙부(14a)가 없는 노치부(notch portion)(14b)로서 취해진다(도 5 및 도 8 참조).
메인 트레이(8)는 랙부(14a)로부터 내측으로 직접 위치결정되는 부분에서, 하측으로 열려 있고 세로방향으로 연장한 두 개의 슬라이딩 홈(sliding grooves)(8a)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슬라이딩 홈(8a)은 측부(11)의 전단부로부터 다리부(14)의 후단부까지 연장되어 있다(도 5 참조). 메인 트레이(8)는 또한 슬라이딩 홈(8a)으로부터 내측으로 직접 위치결정되는 부분에서, 하측으로 열려 있고 세로방향으로 연장하여 지지될 홈(8b)을 가지고 있다.
메인 트레이(8)의 각각의 록레버 배치구멍(9d)에는 록레버(15)가 회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도 4, 도 7 및 도 9 참조). 도 9를 참조하면, 록레버(15)는 좌우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한 지지축부(15a)와, 지지축부(15a)로부터 대략 전방으로 돌 출한 연장부(15b)와, 지지축부(15a)로부터 대략 후측으로 돌출하여 조작될 부분(15c)을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록레버(15)는 상측으로 돌출하는 식으로 연장부(15b)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록돌기(lock projection)(15d)와, 좌우방향으로 돌출하는 식으로 연장부(15b)의 전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회동규제돌기(15e)와, 연장부(15b)의 지지축부(15a) 근처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스프링받이 돌기(spring receiving projection)(15f)를 더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록레버(15)는 지지축부(15a)가 록레버 배치구멍(9d)의 개방단의 일부에 의해 회동자재로 지지되는 식으로 록레버 지지구멍(9d)에 지지되고, 록 돌기(15d)는 토션 코일스프링(torsion coil spring)(16)에 의해 록 돌기(15d)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세된다. 토션 코일스프링(16)은 그 코일부가 지지축부(15a)에 감겨지는 식으로 배치되어 있고, 일단부는 스프링받이 돌기(15f)와 탄성접촉하게 되고, 타단부는 메인 트레이(8)의 받음면부(9)의 후면과 탄성접촉하게 되어 있다. 토션 코일스프링(16)의 이러한 구성으로, 회동규제돌기(15e)는 받음면부(9)의 후면과 탄성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록 돌기(15d)가 상승하는 방향으로의 록레버(15)의 회동이 규제된다.
메인 트레이(8)의 슬라이딩 홈(8a)에는 두 개의 랙부재(17)가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8, 도 10 및 도 11 참조).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각각의 랙부재(17)는 세로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된 판형 메인부(17a)와, 메인부(17a)의 전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고 있는 돌기(17b)와, 돌기(17b)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부(17c)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메인부(17a)의 하단 가장자리는 랙 이 설치되어 있으며, 랙부(17d)로서 형성되어 있다.
각 랙부재(17)의 메인부(17a)는 슬라이딩 홈(8a)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그 연결부(17c)가 (후술할) 서브-트레이(18)의 연결홈(18c)에 삽입가능하다.
메인 트레이(8)의 지지될 홈(8b)이 하우징(2)의 측면부(4)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4a)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메인 트레이(8)는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서브-트레이(18)는 거기에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장착되며, 직경이 대략 12cm인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장착될 제 1장착 오목부(18a)와, 직경이 대략 8cm인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장착될, 제 1장착 오목부(18a)보다 깊은 제 2장착 오목부(18b)를 포함한다(도 6, 도 7, 도 12 및 도 13 참조). 서브-트레이(18)는 서브-트레이(18)의 후단에서 장착 오목부(18b)의 중앙부까지 내측으로 연장한 커다란 삽입노치(insertion notch)(19)를 가지고 있다.
서브-트레이(18)는 전단측의 좌우측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개방된 두 개의 연결홈(18c)을 가지고 있고, 전단측의 좌우측 가장자리부에는 두 개의 위치결정구멍(18d)을 가지고 있다. 위치결정구멍(18d)의 세로방향 길이는 메인 트레이(8)의 위치결정구멍(9c)의 길이와 같다. 서브-트레이(18)의 후면은 후단측의 좌우단부에 두 개의 로킹 오목부(18e)를 가지고 있다. 서브-트레이(18)는 또한 제 2장착 오목부(18b)의 전단 근처의 위치에 통과구멍(18f)을 가지고 있다.
디스크 체인져 장치(1)에는 세 개의 서브-트레이(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세 개의 서브-트레이는 서브-트레이(18A, 18B 및 18C)로 한다(도 12 및 도 13 참조). 각각의 서브-트레이(18A, 18B 및 18C)는 차광 돌기편(light shielding projecting piece)(18g, 18h 또는 18i)을 가지고 있다. 이들 서브-트레이(18A, 18B 및 18C)는 차광 돌기편의 형성위치를 제외하고 형상과 크기가 서로 동일하다. 더 상세하게, 서브-트레이(18A)는 차광 돌기편(18g)을 가지고 있고, 서브-트레이(18B)는 차광 돌기편(18h)을 가지고 있고, 서브-트레이(18C)는 차광 돌기편(18i)을 가지고 있다.
랙부재(17)의 연결부(17c)는 서브-트레이(18)의 연결홈(18c)에 삽입되고, 그것에 의해, 서브-트레이(18)는 랙부재(17)에 연결된다(도 6 참조). 이 상태에서, 서브-트레이(18)의 좌우양측 가장자리는 메인 트레이(8)의 삽입부(13)에 위치결정됨으로써, 서브-트레이(18)가 세로방향으로의 랙부재(17)의 이동에 따라서 메인 트레이(8)에 대하여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서브-트레이(18)가 메인 트레이(8)에 대한 이동범위의 전단에 위치결정된 상태에서, 메인 트레이(8)로 지지된 록레버(15)의 로킹돌기(15d)는 서브-트레이(18)의 로킹 오목부(18e)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서브-트레이(18)는 메인트레이(8)와 록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로킹상태에서, 서브-트레이(18)는 메인 트레이(8)와 함께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서브-트레이(18)가 메인 트레이(8)와 로킹이 해제될 때, 서브-트레이(18)는 단독으로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서브-트레이(18)가 메인 트레이(8)와 록된 상태에서, 서브-트레이(18)의 위치결정구멍(18d)은 메인 트레이(8)에 설치되어 있는 상하측 위치결정구멍(12a, 9c)간에 위치결정되어 있고, 서브-트레이(18)의 통과구멍(18f)은 메인 트레이(8)의 통과구 멍(9e)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도 7 참조).
하우징(2)의 배치공간(2a)에는 유닛홀더(20)가 배치되어 있다(도 14 내지 도 16 참조). 유닛홀더(20)는 하측으로 개방된 박스형으로 형성된 배치부(21)와, 배치부(21)의 후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돌출한 돌기부(22)와, 돌기부(22)의 좌우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두 개의 상승부(23)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배치부(21)는 좌우양측면 각각에, 전측에 배치되어 지지될 핀(21a)과 후측에 배치되어 지지될 핀(21b)을 가지고 있다. 배치부(21)의 상측면에는 커다란 개구(21c)가 있다.
배치부(21)는 전단 근처의 좌우양단에 두 개의 위치결정 돌기(21d)를 가지고 있고, 후단부의 좌우단측에 두 개의 위치결정 돌기(21e)를 가지고 있고, 후단근처의 좌우양단에 두 개의 위치결정 돌기(21f)를 가지고 있다. 각 위치결정돌기(21d, 21e 및 21f)의 상측면은 기울어 있다(도 15 및 도 16 참조).
유닛홀더(20)는 전단부의 중앙영역에 좌우방향으로 광학센서(20a)를 가지고 있다(도 14 참조).
배치부(21)에는 댐퍼(damper)(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유닛홀더(20)로 지지되는 베이스 유닛(24)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 유닛(24)은 지지판(25)과, 지지판(25)에 지지된 광픽업(26)과, 지지판(25)의 후면측에 고정된 스핀들 모터(27)와, 스핀들 모터(27)의 모터축의 상단부에 고정된 디스크 테이블(28)을 포함한다(도 14 내지 도 16 참조). 디스크 테이블(28)에는 환상의 자석(28a)이 매립되어 있다(도 14 참조).
광픽업(26)은 이동가능한 베이스(26a)와 그 이동가능한 베이스(26a)에 배치되어 있는 2축 엑츄에이터(26b)를 포함하고 있다. 광픽업(26)은 가이드축(29)과 그 가이드 축(29)에 평행하게 위치한 가이드 돌기 가장자리(30)와의 사이에서 가이드 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광픽업(26)과 디스크 테이블(28)은 유닛 홀더(20)의 개구(21c)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있다(도 15 및 도 16 참조).
척킹부재(chucking member)(31)는 베이스부(base portion)(32)와, 베이스부(32)의 전단측에 설치되어 있는 풀리 지지부(pulley supporting portion)(33)와, 베이스부(32)의 좌우양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여 동작될 두 개의 다리부(34)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도 17 및 도 18 참조).
베이스부(32)는 좌우양측면에, 베이스부(32)의 후단 근처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지지될 두 개의 축(32a)을 가지고 있다. 풀리 지지부(33)는 그것의 중앙에 풀리 지지구멍(33a)이 있는 디스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동작될 각 다리부(34)의 후단부는 가압될 부분(34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척킹풀리(35)는 디스크형 장착판(36a)에 풀리(36)를 장착함으로써 형성된다(도 17 및 도 18 참조). 풀리(36)는 축부(37)와 그 축부(37)의 하단 가장자리로부터 방사상으로 돌출한 복수의 가압편(38)을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가압편(38)의 후면에는 환상의 고무(39)가 고착되어 있다. 축부(37)에는 철판(40)이 배치되어 있다.
풀리(36)의 축부(37)의 상측 가장자리가 장착판(36a)에 장착되고, 축부(37)가 척킹부재(31)의 풀리 지지구멍(33a)에 삽입됨으로써, 척킹풀리(35)는 척킹부재(31)에 의해 지지된다. 척킹풀리(35)가 척킹부재(31)로 지지된 상태에서, 척킹풀리(35)는 척킹부재(31)에 대하여 축부(37)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척킹풀리(35)를 지지한 척킹부재(31)는 지지될 축(32a)을 커버본체(7)의 지지홈부(7b)에 삽입함으로써 커버본체(7)에 의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척킹부재(31)는 지지될 축(32a)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다. 척킹부재(31)가 커버본체(7)로 지지되는 상태에서, 가압될 부분(34a)이 (후술할) 누름부재에 의해 위에서 눌려지지 않을 때, 척킹부재(31)는 그 자중에 의해, 척킹부재(31)로 지지된 척킹풀리(35)가 아래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척킹부재(31)가 하방 전측으로 회동될 때, 척킹풀리(35)는 커버본체(7)의 풀리삽입구멍(7a)을 통해 커버본체(7)에 삽입된다.
스톡커(stocker)(41)는 상벽부(42)와 그 상벽부(42)의 좌우양측 가장자리로부터 매달린 두 개의 측벽부(43)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도 19 내지 도 21 참조).
각 측벽부(43)의 외면은 전단부에, 세로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수직 가이드홈(43a)과, 그 가이드 홈(43a)으로부터 후방으로 위치결정된 가이드될 수직홈(43b)을 가지고 있다. 측벽부(43)는 전단 근처의 위치에는 세로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지지구멍(44, 45)을 가지고 있고, 또한 후단 근처의 위치에는, 세로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두 개의 지지구멍(44, 45)을 가지고 있다(도 21 참조).
지지구멍(44, 45)은 서로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구멍(44)은 동일높이로 배치되어 있고, 지지구멍(45)은 지지구멍(44)보다 높다. 지지구멍(44, 45)은 각각 대략 역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 지지구멍(44)은 수직방향으로 연장한 수직부(44a)와, 그 수직부(44a)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세로방향으로 연장한 수평부(44b)를 포함하고 있으며, 지지구멍(45)은 수직방향으로 연장한 수직부(45a)와, 그 수직부(45a)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고 세로방향으로 연장한 수평부(45b)를 포함하고 있다.
측벽부(43)는 하단 가장자리의 내면에, 전측에 배치되어 있는 피지지핀(43c)과 후측에 배치되어 있는 피지지핀(43d)을 가지고 있다(도 20 참조). 측벽부(43)는 또한 내벽에, 세로방향으로 연장하여 서로 떨어져 있는 한 쌍의 탈락방지돌기립(slip-off preventive projecting ribs)(46)을 가지고 있다. 탈락방지돌기립(46)은 하측 지지구멍(44)의 수평부(44b)의 하측개구 가장자리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돌기(4c)가 가이드될 홈(43b)에 결합됨으로써, 스톡커(41)는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식으로 하우징(2)에 의해 지지된다.
두 개의 누름부재(47)는 스톡커(41)의 측벽부(43)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홈(43a)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도 25 내지 도 27 참조). 누름부재(47)는 수직방향으로 긴 피지지부(48)와, 그 피지지부(48)의 수직방향으로 대략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암(arm)(49)을 가지고 있다. 외측으로 돌출한 누름편(48a)은 피지지부(48)의 상측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있고, 내측으로 돌출한 축부(48b)는 피지지부(48)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피지지부(48)의 전후양측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얇은 피지지편(48c)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재(47)의 피지지편(48c)이 스톡커(41)의 각 측벽부(43)의 가이드홈(43a)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누름부재(47)는 스톡커(41)의 각 측벽부(43)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규제부재(50)는 각각의 지지구멍(44, 45)에 삽입되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도 21 내지 도 24 참조).
규제부재(50)는 피지지축부(50a)와, 피지지축부(50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제 1회동규제부(50b)와, 피지지축부(50a)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한 스프링받이부(50c)와, 스프링받이부(50c)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규제돌기부(50d)와, 스프링 받이부(50c)의 상단 근처의 위치에서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한 두 개의 제 2회동규제부(50e)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도 22 참조). 규제돌기부(50d)는 수평의 상면(50f)과, 그 상면(50f)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속하여 하방으로 연장한 둔각의 곡면(50g)을 가지고 있다.
규제부재(50)는 피지지축부(50a)가 지지구멍(44, 45)의 수평부(44b, 45b)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 1회동규제부(50b)가 수평부(44b, 45b)의 내면의 하개구 가장자리와 접촉하고, 제 2회동규제부(50e)가 수직부(44a, 45a)의 외면의 개구측 가장자리와 접촉하도록 지지구멍(44, 45)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 지지구멍(44, 45)의 상측에 가세부재(biasing member)(51)가 장착되어 있다(도 21 참조).
가세부재(51)는 기단부(base end portion)(51a)와, 기단부(51a)의 전단부로부터 매달려 있는 제 1스프링부(51b)와, 기단부(51a)의 후단부로부터 매달려 있는 제 2스프링부(51c)를 일체로 포함하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세부재(51)는 기단부(51a)가 지지구멍(44, 45)의 상측에 장착되고, 제 1스프링부(51b)가 지지구멍(44)에 의해 지지된 규제부재(50)의 스프링받이부(50c)와 외부에서부터 탄성접촉하게 되고, 제 2스프링부(51c)가 지지구멍(45)에 의해 지지된 규제부재(50)의 스프링받이부(50c)와 외부에서부터 탄성접촉하게 되도록 스톡커(41)에 장착되어 있다. 그 결과, 가세부재(51)는 규제부재(50)에 규제돌기(50d)가 내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세력을 부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규제부재(50)가 스톡커(41)에 의해 지지되고 가세부재(51)가 스톡커(4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브-트레이(18)는 스톡커(41)에 포함될 수 있다. 스톡커(41)의 상벽부(42)와 스톡커(41)의 양측벽부(43)에 설치되어 있는 네 개의 지지구멍(45)에 의해 지지되는 네 개의 규제부재(50)의 네 개의 규제돌기(50d)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공간은 제 1수납부(41a)로서 형성되고, 상기 스톡커(41)의 양측벽부(43)에 설치되어 있는 네 개의 지지구멍(45)에 의해 지지되는 네 개의 규제부재(50)의 네 개의 규제돌기(50d)와 스톡커(41)의 양측벽부(43)에 설치되어 있는 네 개의 지지구멍(44)에 의해 지지되는 네 개의 규제부재(50)의 네 개의 규제돌기(50d)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중간공간은 제 2수납부(41b)로서 형성된다. 스톡커(41)의 양측벽부(43)에 설치되어 있는 네 개의 지지구멍(44)에 의해 지지되는 네 개의 규제부재(50)의 상기 네 개의 규제돌기(50d)와 스톡커(41)의 양측벽부(41)에 설치되어 있는 탈락방지돌기립(46)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하측공간은 제 3수납부(41c)로서 형성된다(도 23 및 도 24 참조). 게다가, 제 3수납부(41c)는 서브-트레이(18)가 디스크장착위치로부터 삽입되는 삽입영역으로서 기능한다.
각각의 서브-트레이(18A, 18B, 18C)는 서브-트레이(18)를 전측으로부터 스톡커(41)에 삽입함으로써 수납부(41a, 41b, 41c)중 하나에 수납된다. 서브-트레이(18)는 제 1수납부(41a)나 제 2수납부(41b)에 수납되면, 규제부재(50)의 규제돌기(50d)에 위치하여 유지되며(도 23 및 도 24 참조), 제 3수납부(41c)에 수납되면, 탈락방지돌기립(46)에 위치하여 유지된다(도 23 참조).
어떤 서브-트레이(18)가 제 3수납부(41c)에 유지되고 나머지 다른 서브-트레이(18)가 제 1수납부(41a)나 제 2수납부(41b)에 유지되지 않으면, 제 3수납부(41c)에 유지되는 서브-트레이(18)는 후술하는 유닛홀더(20)의 상측이동시에 유닛홀더(20)의 상승부(23)에 의해 상승하여 제 2수납부(41b)에 수납된다(도 23 및 도 24 참조).
제 3수납부(41c)에 수납되어 있는 서브-트레이(18)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24)(유닛홀더(20))의 상측이동시에 유닛홀더(20)의 상승부(23)에 의해 상승되기 때문에, 베이스 유닛(24)(유닛홀더(20))은 서브-트레이(18)를 상승시키는 이동수단으로 기능한다.
서브-트레이(18)의 후면은 상승부(23)에 의해 가압된다. 이 때, 서브-트레이(18)의 양측 가장자리는 규제부재(50)의 규제돌기(50d)의 곡면(50g)을 가압한다. 가압된 규제부재(50)는 가세부재(51)의 가세력에 대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23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 서브-트레이(18)의 양측면의 하단 가장자리가 규제부재(50)의 상면(50f)에 도달할 때, 규제부재(50)는 가세부재(51)의 가세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서브-트레이(18)는 규제부재(50)의 상면(50f)에 배치되어 제 2수납부(41b)에 수납된다(도 24 참조).
유닛홀더(20)는 서브-트레이(18)가 제 2수납부(41b)에 수납될 때, 더 이상 상승하지 않는다. 두 개의 서브-트레이(18)가 제 2수납부(41b) 및 제 3수납부(41c)에 수납되고 제 1수납부(41a)에는 어떤 서브-트레이(18)도 수납되지 않으면, 제 3수납부(41c)에 수납된 서브-트레이(18)가 제 2수납부(41b)로 상승할 때, 제 2수납부(41b)에 수납되어 있는 서브-트레이(18)는 이런 식으로 가압되는, 제 1수납부(41a)에 수납될 서브-트레이(18)에 의해 상승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규제부재(50)와 가세부재(51)는 스톡커(41)에서 상승한 서브-트레이(18)를 유지하고 서브-트레이(18)를 상승방향에 반대되는 하방으로 규제하는 유지/이동규제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서브-트레이(18)의 유지/이동규제동작은 상술한 두 종류의 부재의 조합에 의해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다. 이는 낮은 생산비용과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하게 서브-트레이(18)를 유지하고 서브-트레이(18)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2)의 좌우슬라이더 배치홈부(5b)에는 두 개의 승강 슬라이더(52)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28 및 도 29 참조).
각각의 승강 슬라이더(52)는 그 내면에, 세로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유닛홀더용 캠홈(cam grooves)(53, 54)을 두 개 가지고 있다(도 28 참조). 유닛홀 더(20)의 각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피지지핀(21a, 21b)은 각각 슬라이더(52)의 캠홈(53, 5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유닛홀더용 캠홈(53)은 서로 연속하여 있는 세 개의 캠홈부, 즉, 상측수평부(53a)와, 상측수평부(53a)의 전단으로부터 전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부(53b)와, 경사부(53b)의 전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하측수평부(53c)를 가지고 있다. 유닛홀더용 캠홈(54)은 서로 연속하여 있는 다섯 개의 홈부, 즉, 상측수평부(54a)와, 상측수평부(54a)의 전단으로부터 전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부(54b)와, 경사부(54b)의 전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하측수평부(54c)와, 하측수평부(54c)의 전단으로부터 전하방으로 기울어진 하측경사부(54d)와, 하측경사부(54d)의 전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한 수평 최하위부(54e)를 가지고 있다. 상측수평부(53a)와 상측수평부(54a)는 동일높이로 배치되어 있고, 하측수평부(53c)와 하측수평부(54c)는 동일높이로 배치되어 있다.
승강 슬라이더(52)의 내면은 하단부의 후반부에 랙부(55)를 가지고 있다(도 28 참조).
승강 슬라이더(52)의 외면에는 전측으로부터, 후술하는 록해제레버용 캠홈(56)과, 스톡커용 캠홈(57)과, 겸용 캠홈(58)이 그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도 29 참조).
록해제레버용 캠홈(56)은 서로 연속하고 있는 세 개의 홈부, 즉, 상측수평부(56a)와, 상측수평부(56a)의 전단으로부터 전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부(56b)와, 경사부(56b)의 전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하는 하측수평부(56c)를 가지고 있다.
스톡커용 캠홈(57)은 서로 연속하여 있는 다섯 개의 홈부, 즉, 상측수평부(57a)와, 상측수평부(57a)의 전단으로부터 전하방으로 기울어진 상측경사부(57b)와, 상측경사부(57b)의 전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중간수평부(57c)와, 중간수평부(57c)의 전단으로부터 전하방으로 기울어진 하측경사부(57d)와, 하측경사부(57d)의 전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한 하측수평부(57e)를 가지고 있다.
겸용홈(58)은 서로 연속하여 있는 다섯 개의 홈부, 즉, 상측수평부(58a)와, 상측수평부(58a)의 전단으로부터 전하방으로 기울어진 상측경사부(58b)와, 상측경사부(58b)의 전단으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중간수평부(58c)와, 중간수평부(58c)의 전단으로부터 전하방으로 기울어진 하측경사부(58d)와, 하측경사부(58d)의 전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한 하측수평부(58e)를 가지고 있다. 하측수평부(58e)는 스톡커용 캠홈(57)의 하측수평부(57e)로부터 세로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스톡커(41)의 좌우측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피지지핀(43c, 43d)은 스톡커용 캠홈(57)과 겸용캠홈(58)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스톡커(41)의 좌우측 각각에 의해 지지되는 누름부재(47)의 축부(48b)는 겸용캠홈(58)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록해제레버(59)는 하우징(2)의 레버지지핀(4b) 각각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도 30 내지 도 58 참조). 록해제레버(59)는 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있고, 세로방향으로 대략 중앙부는 레버지지핀(4b)에 의해 지지된다. 록해제레버(59)는 전단부에, 내측으로 돌출한 피지지축부(59a)를 가지고 있고, 후단부에는 가압부(59b)를 가지고 있다. 록해제레버(59)의 피지지축부(59a)는 록해제레버용 캠홈(56)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2)의 배치판부(5)의 상면에는 우단부에 스위칭 회로기판(60)이 장착되어 있다(도 31 참조). 스위칭 회로기판(60)에는 세로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식으로 제 1스위치(61)와 제 2스위치(62)가 설치되어 있다(도 31 및 도 32 참조).
배치판부(5)의 상면에는 스위칭 회로기판(60)의 바로 좌측에 스위칭 기어(switching gear)(63)가 지지되어 있다(도 31 및 도 32 참조). 스위칭 기어(63)의 주변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식으로 제 1조작편(63a)과 제 2조작편(63b)이 설치되어 있다. 제 1조작편(63a)의 원주방향의 길이는 제 2조작편(63b)의 원주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배치판부(5)의 상면에는 풀리부재(pulley member)(64)가 지지되어 있다. 풀리부재(64)는 상측에 위치한 풀리부(64a)와 하측에 위치한 기어부(64b)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도 31 및 도 32 참조).
풀리부재(64)의 기어부(64b)에는 배치판부(5)에 지지된, 2단기어로서 구성되어 있는 제 1중간기어(65)와 제 1중간기어(65)의 상측기어부가 맞물려 있다(도 31 및 도 32 참조). 제 1중간기어(65)의 하측기어부에는 배치판부(5)에 지지된, 2단기어로서 구성되어 있는 제 2중간기어(66)와 제 2중간기어(66)의 상측기어부(66a)가 맞물려 있다(도 31 및 도 32 참조).
제 2중간기어(66)는 상측기어부(66a)가 배치판부(5)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하측기어부(66b)가 제 2기어삽입구멍(5f)을 통과하여 배치판부(5)의 하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배치판부(5)의 후면의 후단부에는 구동모터(67)가 장착되어 있다(도 31 참조). 구동모터(67)의 모터축은 모터축 삽입구멍(5d)을 통과하고, 모터축의 상단부에는 작은 풀리(68)가 고정된다. 작은 풀리(68)와 풀리부재(64)의 풀리부(64a)사이에는 벨트(69)가 감겨져 있다(도 31 참조).
배치판부(5)의 후면에는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식으로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가 지지되어 있다(도 33 내지 도 35 참조).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는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의 피지지판부(71)와 그 직사각형 피지지판부(71)의 전반부로부터 좌우측으로 돌출하는 두 개의 돌출판부(72)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직사각형의 피지지판부(71)의 세로방향에 있어서 중앙부에는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한 에스케이프 구멍(escape hole)(71a)이 형성되어 있다. 에스케이프 구멍(71a)의 전측 개구단에는 상방으로 돌출한 결합돌기(71b)가 설치되어 있다. 직사각형의 피지지판부(71)의 후면은 에스케이프 구멍(71a)의 전후측에 두 개의 가이드 홈(71c)을 가지고 있다. 돌출판부(72)의 좌우양측 가장자리에는 두 개의 랙부(72a)가 형성되어 있다.
배치판부(5)의 후면의 전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식으로 두 개의 전달기어(73)가 지지되어 있다(도 33 참조). 각각의 전달기어(73)는 상측에 위치한 소기어(73a)와 하측에 위치한 대기어(73b)를 일체로 포함한다. 소기어(73a)는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좌우측의 랙부(72a)와 맞물려 있다. 전달 기어(73)의 대기어(73b)는 각 승강 슬라이더(52)의 랙부와 맞물려 있다.
캠기어(74)는 배치판부(5)의 후면에서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를 아래에서부터 덮으면서 지지되어 있다(도 33, 도 36 및 도 37 참조). 캠기어(74)는 상측에 위치한 소기어부(75)와 하측에 위치한 대기어부(76)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소기어부(75)는 제 1기어삽입구멍(5e)을 통과하여 배치판부(5)의 상면측에 배치되고, 스위칭 기어(63)와 맞물려 있다. 대기어부(76)의 후면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변위된 위치에 결합핀(77)이 설치되어 있다(도 37 참조).
캠기어(74)의 상면에는 캠홈(78)이 있다(도 36 참조). 캠홈(78)은 캠기어(74)의 중심측으로 오프셋된 위치에 있는 원호형 비동작부(non-operational portion)(78)와, 비동작부(78)에 연속하여 중심측으로 변위된 제 1유닛승강부(78b)와, 제 1유닛승강부(78b)에 연속하여 외주측으로 변위된 제 2유닛승강부(78c)와, 제 2유닛승강부(78c)에 연속하여 비동작부(78a)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1원호부(circular-arc portion)(78d)와, 제 1원호부(78d)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2원호부(78e)와, 제 2원호부(78e)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3원호부(78f)를 가지고 있다. 제 1원호부(78d)와, 제 2원호부(78e)와, 제 3원호부(78f)의 시작단부(즉, 유닛 승강부(78c)의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가 서로 연속하여 있다. 제 2유닛승강부(78c)의 길이는 제 1유닛승강부(78b)의 길이보다 약간 더 길다.
캠기어(74)의 캠그루브(78)에는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2)의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5c)에는 세로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식으로 이동용 슬라이더(79)가 지지되어 있다(도 38 및 도 39 참조). 이동용 슬라이더(79)는 수직으로 긴 직사각형 메인 판부(80)와 그 메인 판부(80)의 양측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두 개의 가이드 돌기(81)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메인판부(80)는 좌우방향의 중심부에 캠홈부(82)를 가지고 있다. 캠홈부(82)는 전단측에 위치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한 시작단부(83)와, 시작단부(83)의 좌단에 연속하고 좌측으로 돌출한 커다란 반원형으로 형성된 전측 원호부(84)와, 전측 원호부(84)의 후단에 연속하고 우측으로 기울어서 돌출한 후측 원호부(85)와, 후측 원호부(85)에 연속하고 좌우방향으로 연장한 종단부(86)를 가지고 있다.
시작단부(83)의 전측 내면의 좌단부에는 약간 후방으로 돌출한 원호형의 제 1돌기(83a)가 설치되어 있다. 시작단부(83)의 좌반부(83b)는 시작단부(83)의 다른 부분보다 넓으며, 후측 내면(83c)은 후방으로 돌출하는 둔각의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측 원호부(85)의 후측 내면의 좌단부에는 약간 전방으로 돌출한 원호형의 제 2돌기(85a)가 설치되어 있다.
이동용 슬라이드(79)의 가이드 돌기(81) 각각은 상측으로 개방되고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81a)을 가지고 있다. 가이드홈(81a)은 하우징(2)의 가이드 레일(5c)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 돌기(81)는 전단 근처에 상측으로 개방된 연결오목부(81b)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2)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용 슬라이더(79)는 탈락방지부 재(도시하지 않음)의 일부에 의해 아래에서 가압되어 하우징(2)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하우징(2)의 측면부(4)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4d)에는 세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식으로 두 개의 구동랙(drive racks)(87)이 지지되어 있다(도 40 내지 도 42 참조). 각각의 구동랙(87)은 세로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세로방향으로 양단부를 제외하고 구동랙(87)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랙부(87a)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랙(87)은 내면의 세로방향으로 중심부에, 내측으로 돌출한 연결핀(87b)을 가지고 있다. 구동랙(87)은 또한 내면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홈(87c)을 가지고 있다.
구동랙(87)의 가이드홈(87c)은 가이드 레일(4d)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랙(87)의 연결핀(87b)은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연결 오목부(81b)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구동랙(87)이 가이드 레일(4d)에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랙(87)은 이동용 슬라이더(70)의 이동에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된다. 구동랙(87)은 후술하는 탈락방지부재의 일부에 의해 측으로부터 가압되어 하우징(2)으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2)의 측면(4)에는 각각 제 1측면기어(88)와 제 2측면기어(89)가 지지되어 있다. 제 1측면기어(88)는 소기어(88a)와 대기어(88b)를 갖는 2단 기어이다. 각 구동랙(87)의 랙부(87a)는 소기어(88a)와 맞물려 있다(도 42 참조). 제 2측면기어(89)는 소기어(89a)와 대기어(89b)를 갖는 2단 기어이다. 제 1측면기어(88)의 대기어(88b)는 소기어(89a)와 맞물려 있고, 대기어(89b)는 메인 트레이(8)에 의해 지지되는 각각의 랙부재(17)의 랙부(17d)와 맞물려 있다(도 8 참조). 메인 트레이(8)가 세로방향으로 이동할 때, 대기어(89b)는 랙부재(17)의 랙부(17d)로부터 해제되고, 메인 트레이(8)의 랙부(14a)와 맞물려 있다.
구동모터(67)가 회전되면, 구동모터(67)의 구동력은 작은 풀리(68)와 벨트(69)와 풀리부재(64)와 제 1중간기어(65)를 거쳐서 제 2중간기어(66)로 전달되며, 제 2중간기어(66)의 하측기어부(66b)와 맞물려서 캠기어(74)를 회전시킨다. 캠기어(74)가 회전되면, 스위칭기어(63)가 회전되어 제 1스위치(61)와 제 2스위치(62)를 서로 바꾼다.
동시에 캠기어(74)가 회전되면,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 또는 이동용 슬라이더(70)는 세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된다.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가 이동되면,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랙부(rack portion)(72a)와 맞물린 전달기어(73)가 회전되어, 유닛 홀더(20)를 승강시키고, 척킹부재(31)를 회동시키고, 또는 스톡커(41)에 있는 서브-트레이(18)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세로방향으로 승강 슬라이더(52)를 이동시킨다.
한편, 이동용 슬라이더(79)가 이동되면, 서브-트레이(18)는, 이동용 슬라이더(79), 제 1측면기어(88) 및 제 2측면(89)에 접속되어 있는 구동랙(87)을 거쳐서 메인트레이(8)와 통합되거나 또는 독자적으로 세로방향으로 이동된다.
제어회로기판(90)은 베이스 유닛(24)의 후면상에 제공된다(도 43 참조). 중계기판(91)은 하우징(2) 전단부의 배면에 장착되고, 제어회로기판(90)은 유연성 있는 프린트 기판을 거쳐서 중계기판(91)에 연결된다(도 43 참조). 다른 유연성 있는 프린트 기판(도시하지 않음)은 중계기판(91)으로부터 인도되고, 중계기판(91)은 유연성 있는 프린트 기판을 거쳐서 음향장치(100)의 전체적인 제어를 실행하도록 메인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
후면패널(93)은 하우징(2)의 후단부에 장착된다(도 44 참조). 센서(94, 95, 96)는 측면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방식으로 후면패널(93)의 전면에 제공된다. 센서(94, 95, 96)는 서브-트레이(18A, 18B, 18C)에서 제공되는 차광돌출편(light shielding projecting piece)(18g, 18h, 18i)의 측면 방향에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된다. 서브-트레이(18A, 18B, 18C)의 차광돌출편(18g, 18h, 18i)이, 센서(94, 95, 96)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슬릿상에서 세로방향으로 이동되면, 센서로부터의 검출광은 차단되고, 이로서 서브-트레이(18A, 18B, 18C)중 어느 것이 움직이고 있는지가 결정될 수 있다.
디스크 체인져 장치(1)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메인 트레이(8)가 서브-트레이(18)와 함께 인출되어 돌출된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가 초기 상태라고 가정한다.
메인 트레이(8)가 하우징(2)에서 꺼내진 상태에 있어서, 즉, 메인트레이(8)가 서브-트레이(18)와 함께 돌출된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록해제레버(59)에 의해 지지되는 축 부분(59a)은 승강 슬라이더(52)의 (레버용) 캠홈(56)의 상측 수평부(56a)의 전단부에 고정됨으로써 거의 수평 상태에서 유지되기 때문에(도 47 참조), 가압부(pressing portion)(59b)는 록레버(lock lever)(15)로부터 간격을 두게 된다. 따라서, 토션 코일스프링(16)에 의해 가세된 록레버(15)의 록돌기(15d)는 록킹오목부(18e)에 고정되고, 이로서 서브-트레이(18)는 메인 트레이(8)와 록된다. 또한, 랙부재(17)의 연결부(17c)는 서브-트레이(18)의 연결홈(18c)에 고정되고, 이로서 랙부재(17)는 랙부재(17) 이동 범위의 전단에 위치된다(도 45 참조). 이 때, 제 2표면기어(89)는 메인트레이(8)의 랙부(14a)의 후단부에 맞물린다(도 45 참조).
유닛 홀더(20)는 하위부에 위치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유닛 홀더(20)의, 각 측면 위에서, 피지지핀(21a, 21b)은, 각 승강 슬라이더(52)의 (유닛 홀더용) 캠홈(53, 54)의 하측수평부(53c, 54c)에 각각 고정된다(도 46 참조). 스톡커(41)는 이동 범위의 상위 끝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 스톡커(41)의, 각 측면 위에서, 피지지핀(43c, 43d)은, 스톡커 및 각 승강 슬라이더(52)의 겸용 홈(58)에 대하여 캠홈(57)의 상측수평부(57a, 58a)의 세로 방향의 거의 중앙에서 고정된다(도 47 참조).
스톡커(47)에 의해 지지되는 누름부재(47)는 이동 범위의 하위 끝에 위치되고, 겸용 캠홈(58)의 하측 경사부(58d)의 하위 끝 근처 부분에서 고정된다(도 47 참조). 따라서, 척킹부재(31)의 눌려지는 부분(34a)은, 위에서부터, 누름부재(47)의 누름편에 의해 눌려짐으로써, 척킹풀리(35)는 이동 범위의 상측에 위치된다(도 46 및 도 47 참조). 또한, 누름부재(47)가 상측에 위치되면, 누름부재(47)의 이동규제부재(49a)는, 스톡커(41) 내에 있는 서브-트레이(18)의 연결홈(18c)내로 삽입되며, 스톡커(41)로부터의 서브-트레이(18)의 이동은 제한된다.
동시에, 이동용 슬라이더(79)는 이동 범위의 전단부에 위치되고, 캠기어(74)의 고정핀(77)은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부(82)의 트레일링단부(trailing end portion)(86)에 고정된다(도 48 참조).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는 캠기어(74)의 비동작부(78a)의 시작단에 결합되어, 그 이동 범위의 중간부에 위치된다(도 48 참조).
스위칭회로기판(60)상의 제 1스위치(61)와 제 2스위치(62)는 각각 스위칭기어(63)의 제 2동작편(63b)과 제 1동작편(63a)에 접속되어 온(on) 된다.
또한, 메인 트레이(8)가 인출위치에 있는 경우, 어떤 디스크형 기록매체도 서브-트레이(18)에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는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서브-트레이(18)에 장착할 수 있으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이미 서브-트레이(18)에 장착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다른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트레이(8)가 인출위치에 있는 상기의 상태에서, 스톡커(41)에 제 1 및 제 2수납부(41a, 41b)가 이미 서브-트레이(18)를 포함하고 있고, 제 3수납부(41c)는 개방되어 있다고 가정한다(도 45 및 도 47 참조).
메인 트레이(8)가 인출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구동모터(67)가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때, 캠기어(74)가 도 48에 도시된 R1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기어(74)의 결합핀(77)이 트레일단부(86)에서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부(82)의 배면 원호부(85)로 이동하면서 캠홈부(82)의 트레일단부(86) 및 배면 원호부(85)의 내면에 압력을 가하여 이동용 슬라이더(79)가 뒤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메인 트레이(8)의 랙부(14a)와 맞물리는 제 2측면 기어(89)가 회전하여 메인 트레이(8)를 서브-트레이(8)와 함께 뒤쪽으로 이동시켜서, 하우징(2)에서의 메인 트레이(8)와 서브-트레이(18)가 디스크장착부까지 당겨진다(도 49참조). 메인 트레이(8)가 디스크장착부에 도달하는 때, 노치부(notch portion)(14a)가 각 제 2측면 기어(89)의 위치에 대응하는 곳에 위치하여 제 2측면 기어(89)가 메인 트레이(8)에 의해 지지되는 랙부재(17)의 랙부(17d)와 맞물린다(도 49 참조).
사용자는 메인 트레이(8)를 후방으로 눌러서 수동으로 인출위치에 있는 메인 트레이(8)를 디스크장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캠기어(74)의 결합핀(77)은 트레일단부(86)에서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부(82)의 배면 원호부(85)로 이동하면서 캠홈부(82)의 트레일단부(86) 및 배면 원호부(85)를 누른다. 이 경우, 배면 원호부(85)가 둔각의 원호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압력 부하가 작아진다. 결과적으로, 작은 힘으로 쉽게 메인 트레이(8)를 수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캠기어(74)가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때에도, 결합돌기(71b)가 캠홈(78)의 비동작부(78a)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는 세로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닛 홀더(20), 척킹부재(31) 및 스톡커(41)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이동용 슬라이더(79)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캠기어(74)의 결합핀(77)은 트레일단부(86)에서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부(82)의 배면 원호부(85)로 약간 이동하고, 메인 트레이(8)가 디스크 장착부에 도달하는 때, 결합핀(77)은 배면 원호부(85)에 위치한다(도 50 참조). 또한, 메인 트레이(8)가 디스크 장착부에 도 달하는 때, 이동용 슬라이더(79)의 결합돌기(71b)는 캠홈(78)의 비동작부(78a)와 제 1유닛승강부(78b) 간의 교차점에 위치한다(도 50 참조).
한편, 스위칭기어(63)는 캠기어(74)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메인 트레이(8)가 디스크 장착부에 도달하는 때, 스위칭기어(63)의 제 2조작편(63b)이 제 1스위치(61)에서 분리되어 오프된다. 이 때, 스위칭기어(63)의 제 1조작편(63a)은 제 2스위치(62)와 접속을 유지하여 온 상태로 남아 있다.
메인 트레이(8)가 디스크 장착부로 이동한 후 구동모터(67)가 한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경우, 캠기어(74)는 도 50에서 도시한 R1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기어(74)의 결합핀(77)이 상대적으로 배면 원호부(85)에서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부(82)의 전면측 원호부(84)로 이동하게 된다(도 55 참조). 따라서, 이동용 슬라이더(79)는 길이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아서 메인 트레이(8)와 서브-트레이(18)는 디스크 장착부에 고정된다.
캠기어(74)의 회전에 따라서, 구동력 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는 캠홈(78)의 제 1유닛승강부(78b)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구동력 전달 슬라이더(70)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승강 슬라이더(52)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승강 슬라이더(52)의 전방이동에 따라서, 스톡커(47)의 좌우측 각각에 지지된 누름부(47)의 축부(48b)가 하측 경사부(58d)에서 겸용 캠홈(58)의 중간 수평부(58c)로 이동하고, 상측 경사부(58b)에서 겸용 캠홈(58)의 상측 수평부(58a)로 더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도 52 참조). 따라서, 누름부재(47)가 상승이동하고, 척킹부재(31)는 그 전면 단부가 하강이동하는 방향으로 바뀐다(도 52 및 도 53 참조).
한편, 승강 슬라이더(52)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각 측면에 지지되는 스톡커(41)의 핀(43c, 43d)은 스톡커용 캠홈(57)의 상측 수평부(57a, 58a)와 각 승강 슬라이더(52)의 겸용 캠홈(58)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스톡커(41)의 지지되는 핀(57a, 58a)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측상의 이동단부에 고정된다.
승강 슬라이더(52)의 전방이동에 따라서, 측면의 각각에 지지되는 유닛홀더(20)의 핀(21a, 21b)이 각각 유닛홀더용 캠홈(53, 54)의 경사부(53b, 54b)를 통해 하측 수평부(53c, 54c)에서 상측 수평부(53a, 54a)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도 53 참조). 따라서, 유닛홀더(20)가 올려지고 디스크테이블(28)은 서브-트레이(18)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구멍에 삽입된다. 또한, 유닛홀더가 올려짐에 따라서,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서브-트레이(18)에서 위쪽으로 분리되어 고정된다. 즉, 디스크 테이블(28)과 척킹 풀리(35) 사이에 척킹된다(도 53 참조). 이 때, 척킹 풀리(35)상의 철판(40)이 디스크테이블(28) 상의 자석(28a)에 의해 당겨지고 디스크형 기록매체도 고무(39)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로 자석(28a)에 고정된다.
유닛홀더(20)가 올려질 때, 유닛홀더(20)의 위치결정돌기(21d)가 아래로부터 메인 트레이(8)의 위치구멍(9c)과 위치구멍(12a)(위치구멍(9c)에 수직으로 겹쳐진다) 및 서브 트레이(18)의 위치구멍(18d)에 삽입된다. 또한, 유닛홀더(20)의 위치결정돌기(21e)는 서브-트레이(18)의 후단 가장자리와 슬라이딩되게 접촉되어 있 어서 유닛홀더(20)는 서브-트레이(18)에 위치한다(도 54 참조). 이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결정돌기(21d, 21e)의 상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에, 유닛홀더(20)의 위치결정돌기(21d)가 정확히 메인 트레이(8)의 위치구멍(9c, 12a)과 서브-트레이(18)의 위치구멍(18d)에 삽입될 수 있고, 유닛홀더(20)의 위치결정돌기(21e)는 서브 트레이(18)의 후단 가장자리와 정확히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 테이블(28)은 서브-트레이(18) 상에 장착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중심구멍에 정확히 삽입될 수 있고,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정확히 척킹될 수 있다.
또한, 유닛홀더(20)가 올려지는 때, 유닛홀더(20)의 뒤쪽 단부에 있는 위치결정돌기(21f)는 아래로부터 스톡커(41)에 포함된 서브-트레이(18)의 위치구멍(18d)에 삽입되어서, 길이방향으로의 서브-트레이(18)의 이동이 제한된다(도 54 참조).
캠기어(74)의 회전에 따라서, 구동력 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가 캠홈(78)의 제1유닛승강부(78b)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척킹되는 경우, 결합돌기(71b)가 제 1유닛승강부(78b)와 제 2유닛승강부(78c)의 교차지점에 위치한다. 즉, 캠홈(74)의 캠기어(74)의 중심부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다. 따라서, 승강 슬라이더(52)가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그 이동범위의 앞 끝에 위치한다.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테이블(28)과 척킹 풀리(35)에 척킹된 후, 척킹된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스핀들모터(27)에 의해 회전되고 동시에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신호가 광픽업의 구동에 의해 재생된다.
한편, 스위칭기어(63)가 캠기어(74)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척킹되는 경우, 제 1 및 제 2조작편(63a, 63b)은 동작되지 않는다. 즉, 각 제 1 및 제 2스위치(61, 62)를 오프 한다(도 55 참조). 결과적으로,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재생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된다.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재생이 종료된 후 구동모터(67)가 한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는 경우, 캠기어(74)가 도 55에서 도시한 R1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기어(74)의 결합핀(77)이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부(82)의 전면 원호부(84)에서 더욱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용 슬라이더(79)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메인 트레이(8)와 서브-트레이(18)가 장착된 위치에 고정된다.
캠기어(74)의 회전에 따라서, 구동력 전달슬라이더(71b)의 결합돌기(71b)가 캠홈(78)의 유닛승강부(78c)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구동력 전달슬라이더(7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승강 슬라이더(52)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승강 슬라이더(52)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스톡커(41)의 좌우측 각각에 지지된 누름부재(47)의 축부(48)는 상측 수평부(58a)에서 각 승강 슬라이더(52)의 겸용 캠홈(58)의 하측 수평부(58e)로 이동한다(도 56 참조). 따라서, 누름부재(47)는 아래로 이동하여 척킹부재(31)는 디스크테이블(28)에서 떨어진 방향으로 바뀐다.
한편, 승강 슬라이더(52)가 뒤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측면의 각각에 지지되는 스톡커(41)의 핀(43c, 43d)은 스톡커용 캠홈(57)의 상측 수평부(57a, 58a)와 각 승강 슬라이더(52)의 겸용 캠홈(58)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스톡커(41)의 지지되는 핀(57a, 58a)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측상의 이동단부에 고정된다.
승강 슬라이더(52)의 전방이동에 따라서, 측면의 각각에 지지되는 유닛홀더(20)의 핀(21a, 21b)이 각각 유닛홀더용 캠홈(53, 54)의 경사부(53b, 54b)를 통해 상측 수평부(53c, 54c)에서 하측 수평부(53a, 54a)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도 53 참조). 따라서, 유닛홀더(20)가 내려져 디스크형 기록매체는 서브-트레이(18)에 다시 장착되고 디스크테이블(28)은 서브-트레이(18)에서부터 아래로 이동한다.
유닛홀더(20)가 아래로 이동하는 때, 유닛홀더(20)의 위치결정돌기(21d, 21e, 21f)도 하강한다.
캠기어(74)의 회전에 따라서, 구동력 전달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는 캠홈(78)의 제 2유닛승강부(78c)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유닛홀더(20)가 하강하는 경우, 결합돌기(71b)가 제 2유닛승강부(78c)와 제 1원호부(78d)의 교차점에 가까운 위치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도 57 참조).
한편, 캠기어(74)의 회전에 따라서, 스위칭기어(63)가 회전하고 유닛홀더(20)가 하강하고 디스형 기록매체의 척킹이 풀리는 때, 제 1조작편(63a)은 제 1스위치(61)에 접촉하여 제 1스위치(61)를 온 하고, 제 2스위치(62)는 오프된 상태로 남는다(도 57 참조).
제 2유닛승강부(78c)의 길이가 제 1유닛승강부(78b)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 에, 유닛홀더(20)가 하강하는 경우 각 승강 슬라이더(52)가 초기상태의 그 위치 위에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록해제레버(59)는 각 승강 슬라이더(52)의 캠홈(56)(레버용)의 경사부(56b)를 통해 상측 수평부(56a)에서 하측 수평부(56c)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도 58 참조).
각 록해제레버(59)의 지지된 축부(59a)가 하측 수평부(56c)에 결합되는 경우, 록해제레버(59)는 가압부(59b)가 위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바뀌어서 가압부(59b)는 아래서부터 록레버(15)의 조작부(15c)를 누른다. 록레버(15)의 조작부(15c)를 누른 경우, 록레버(15)는 지지축(15a) 주위의 토션 코일스프링의 가세력에 대항하여 움직여서 록레버(15)의 록킹 돌출부에 의한 서브-트레이(18)의 록킹을 풀게 된다. 또한, 록해제레버(59)의 가압부(59b)가 메인 트레이(8)의 규제 돌출편(9f)의 앞 끝에 접촉되거나 근방에 있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의 메인 트레이(8)의 이동이 제한된다(도 58 참조). 따라서, 서브-트레이(18)와 메인 트레이(8)는 독립하여 후방으로 이동가능하다.
구동모터(67)가 유닛홀더(20)가 하강한 후 한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때, 캠기어(74)는 도 57에 도시된 R1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기어(74)의 결합핀(77)이 전면측 원호부(84)에서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부(82)의 시작단부(83)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후방으로 시작단부(83)의 내면을 누름으로써 이동용 슬라이더(79)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랙부재(17)의 랙부(17d)와 맞물리는 제 2측면기어(89)가 회전하여 서브-트레이(18)가 조금 뒤로 이동한다(도 59 참조). 이 때, 스톡커(41)의 제 3수납부(41c)가 서브-트레이(18)의 뒤에 위치하기 때문에, 뒤로 이동된 서브-트레이(18)는 제 3수납부(41c)에 포함된다(도 60 참조).
캠기어(74)가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경우에도, 구동력 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 돌기(71b)가 캠홈(78)의 제 1원호부(78d)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구동력 전달 슬라이더(70)는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유닛홀더(20), 척킹부재(31) 및 스톡커(41)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서브-트레이(18)가 스톡커(41)에 포함되고 디스크 수납위치로 이동되고 이동용 슬라이더(79)가 배면측 상의 이동단부로 후퇴이동하는 때, 캠기어(74)의 결합핀(77)은 대략 이동용 슬라이드(79)의 캠홈(82)의 시작단부(83)의 중심부분에 위치한다(도 61 참조). 서브-트레이(18)가 디스크 수납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구동력 전달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는 캠홈(78)의 제 1원호부(78d)의 트레일단부에 위치한다(도 61 참조).
한편, 스위칭기어(63)가 캠기어(74)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서브-트레이(18)가 디스크수납위치에 도달하는 때, 제 1조작편(63a)은 제 1스위치(61)에 접촉되어 제 1스위치를 온 시키고, 제 2스위치는 오프로 남아 있다(도 61 참조).
서브-트레이(18)가 스톡커(41)에 포함된 후 구동모터(67)가 한 방향으로 더 회전하는 때, 캠기어(74)는 도 61에서 도시된 R1 방향으로 회전하여 캠기어(74)의 결합핀(77)은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부(82)의 시작단부(83)의 좌반부(83b)에서 이동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시작단부(83)의 좌반부(83b)가 시작단부(83)의 다른 부분보다 넓고, 내면(83c)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캠기어(74)가 서브-트레이(18)가 스톡커(41)에 포함된 상태로 회전하면, 결합핀(77)이 이동하고 좌반부(83b)의 양 내면과 접촉되지 않아서 이동용 슬라이더(79)가 배면측 이동단부에서 멈추고 서브-트레이(18)는 길이방향으로 움지이지 않게 된다.
캠기어(74)가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하면, 구동력 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부(71b)가 제 1원호부(78d)의 트레일단부에서 캠홈(78)의 제 2원호부(78e)로 이동하여 구동력 전달슬라이더(7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승강 슬라이더(52)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승강 슬라이더(52)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스톡커(41)의 좌우측 각각에 지지되는 누름부재(47)의 축부(48b)는 각 승강 슬라이더(52)의 겸용 캠홈(58)의 하측 수평부(58e)에서 전방으로 이동한다(도 63). 결과적으로, 누름부재(47)는 수직방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아서 척킹부재(31)가 상측상의 이동단부에 고정된다.
한편, 승강 슬라이더(52)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각 측면에 지지되는 스톡커(41)의 핀(43c, 43d)은 스톡커용 캠홈(57)의 상측 경사부(57b)와 각 승강 슬라이더(52)의 겸용 캠홈(58)을 통해 상측 수평부(57a, 58a)에서 중간 수평부(57c, 58c)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스톡커(41)는 중간 높이로 하강하여, 제 2수납부(41b)에 포함된 서브-트레이(18)는 메인 트레이(8)의 후방측에 위치한다. 제 2수납부(41b)에 포함된 서브-트레이(18)가 메인 트레이(8)의 후방측에 위치하면, 메인 트레이(8)의 랙부재(17)의 연결부(17c)와 제 3수납부(41c)에 포함된 서브-트레이(18)의 연결홈(18c)과의 연결이 해제되고, 메인 트레이(8)의 랙부재(17)의 연결부(17c)는 제 2수납부(41b)에 포함된 서브-트레이(18)의 연결홈(18c)과 연결된다.
승강 슬라이더(52)의 후방이동에 따라서, 각 측면에 지지되는 유닛홀더(20)의 핀(21a, 21b)은 각 승강 슬라이더(52)의 캠홈(53, 54)(유닛홀더용)의 하측 수평부(53c, 54c)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유닛홀더(20)는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한편, 스위칭기어(63)가 캠기어(74)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각 측면에 지지되는 스톡커(41)의 핀(43c, 43d)이 스톡커형 캠홈(57)의 중간 수평부(57c, 58c)와 각 승강 슬라이더(52)의 겸용 캠홈(58)에서 각각 상대적으로 이동하면, 제 1조작편(63a)이 제 1스위치(61)에 접속되어 제 1스위치를 온 시키고, 제 2스위치(62)는 오프 상태로 남는다(도 62 참조).
이 때, 구동모터(67)의 회전은 일단 멈추고, 구동모터(67)가 상술한 한쪽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톡커(41)의 제 2수납부(41b)에 수납되어 있던 서브-트레이(18)가 스톡커(41)에서 인출되어 장착위치까지 이동된다(도 64 참조).
즉, 구동모터(67)가 상술한 한쪽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캠기어(74)는 도 62에 나타낸 R2방향으로 회전되어, 캠기어(74)의 결합핀(77)이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부(82)의 시작단부(83)의 내측면을 전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이동용 스톡커(79)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제 2측면기어(89)가 상술한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랙부재(17)의 랙부(17d)가 전방으로 보내져서 서브-트레이(18)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장착위치에 도달한다(도 64 참조). 그리고, 서브-트레이(18)가 장착위치에 도달한 때에는, 록레버(15)에 의해 서브-트 레이(18)가 메인 트레이(8)에 대하여 록상태로 된다.
서브-트레이(18)가 장착위치에 도달한 때에는,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는 캠홈(78)의 제 2원호부(78e)의 시작단에 위치된다(도 65 참조).
메인 트레이(8)의 후방에 제 2수납부(41b)에 수납된 서브-트레이(18)가 위치된 때에, 구동모터(67)의 회전이 정지되지 않고 연속하여 한쪽 방향으로 구동모터(67)가 회전된다. 이 때, 캠기어(74)가 R1방향으로 회전되어, 상술한 동작과 유사하게 결합핀(77)은 좌반부(83b)의 양 내측면의 어디에도 접하지 않게 이동된다(도 66 참조). 결과적으로, 이동용 슬라이더(79)는 후방의 이동단에서 정지된 상태가 되어, 서브-트레이(18)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캠기어(74)가 계속 회전되면,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출부(71b)가 캠홈(78)의 제 2원호부(78e)의 트레일링단부를 거쳐서 제 3원호부(78f)의 트레일링단부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되어(도 66 참조),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가 전방을 향하여 더욱 이동되고 승강용 슬라이더(52)가 더욱 후방을 향하여 이동된다. 승강용 슬라이더(52)가 더욱 후방으로 이동되면, 스톡커(41)의 좌우측에 지지되어 있는 누름부재(47)의 축부(48b)는 겸용 캠홈(58)의 하측경사부(58d) 내를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어 각 승강용 슬라이더(52)의 겸용 캠홈(58)의 전단에 도달한다(도 67 참조). 따라서, 누름부재(47)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척킹부재(31)는 상측면의 이동단에 유지된다.
한편, 승강용 슬라이더(52)가 더욱 후방으로 이동되면, 스톡커(41)의 각 측면에 지지되는 피지지핀(43c,43d)은, 각각 승강용 슬라이더(52)의 스톡커용 캠홈(57), 겸용 캠홈(58)의 중간수평부(57c,58c) 및 하측경사부(57d,58d)를 거쳐서 하측수평부(57e,58e)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된다(도 67 참조). 따라서, 스톡커(41)는 더욱 하강되어 하단에 위치하고, 메인 트레이(8)의 후방에 제 1수납부(41b)에 수납된 서브-트레이(18)가 위치된다. 메인 트레이(8)의 후방에 제 1수납부(41b)에 수납된 서브-트레이(18)가 위치된 때에는, 제 1수납부(41a)에 수납되어 있는 서브-트레이(18)의 연결홈(18c)과 랙부재(17)의 연결부(17c)가 연결된다.
승강용 슬라이더(52)의 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유닛홀더(20)의 측면 각각에 지지되는 피지지핀(21a)은 승강용 슬라이더(52)의 유닛홀더용 캠홈(53)의 하측수평부(53c) 내를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되고, 유닛홀더(20)의 측면 각각에 지지되는 피지지핀(21b)은 승강용 슬라이더(52)의 홀더용 캠홈(54)의 하측수평부(54c)로부터 하측경사부(54d)를 거쳐서 최하부(5e)까지 이동된다. 따라서, 유닛홀더(20)는 후방 및 하측으로 기울어진다(도 68 참조).
이와 같이 유닛홀더(20)가 후방 및 하측으로 경사짐으로써, 하강되는 스톡커(41)가 유닛홀더(20)에 접촉되지 않아서, 하강동작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캠기어(74)의 회전에 의해 스위칭기어(63)가 회전되고, 스톡커(41)의 좌우측면 각각에 지지되는 피지지핀(43c,43d)이 승강용 슬라이더(52) 각각의 스톡커용 캠홈(57) 및 겸용캠홈(58)의 하측수평부(57e,58e)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된 때에는, 제 1조작편(63a)이 제 1스위치(61)와 접하여 제 1스위치(61)가 온으로 되며, 이 때, 제 2스위치(62)는 오프 상태에 있게 된다.
이 때 구동모터(67)의 회전이 일단 정지되고, 상술한 한쪽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구동모터(67)가 회전되면, 스톡커(41)의 제 1수납부(41a)에 수납되어 있던 서브-트레이(18)가 스톡커(41)로부터 인출되어 디스크장착위치까지 이동된다(도 69 참조).
즉, 구동모터(67)가 상술한 한쪽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캠기어(74)는 도 66에 나타낸 R2방향으로 회전되어, 캠기어(74)의 결합핀(77)이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부(82)의 시작단부(83)의 내측면을 전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이동용 슬라이더(79)는 전방으로 이동되어, 랙부재(17)가 전방으로 보내지고, 결과적으로 서브-트레이(18)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장착위치에 도달한다(도 69 참조). 그리고, 서브-트레이(18)가 장착위치에 도달한 때에는, 록레버(15)에 의해 서브-트레이(18)가 메인 트레이(8)에 대해서 록상태가 된다.
서브-트레이(18)가 장착위치에 도달한 때에는,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는 캠홈(78)의 제 3원호부(78f)의 시작단에 위치된다(도 70 참조).
서브-트레이(18)가 장착위치에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스톡커(41)의 제 3수납부(41c)에 수납되면, 구동모터(67)가 일단 정지되고, 그 구동모터(67)가 상기 한쪽 방향과 반대 쪽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와 유사하게 결합핀(77)이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부(82)의 시작단부(83)의 내측면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이동용 슬라이더(79)가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제 3수납부(41c)에 수납된 서브-트레이(18)가 다시 장착위치로 이동된다. 서브-트레이(18)가 장착위치에 도달한 때 에는,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는 캠홈(78)의 제 1원호부(78d)의 시작단에 위치된다.
스톡커(41)의 제 1수납부(41a), 제 2수납부(41b) 및 제 3수납부(41c)에 수납되어 있던 서브-트레이(18) 중 어느 것이 장착위치로 이동된 경우라도, 계속 구동모터(67)가 상술한 한쪽 방향과 반대 쪽 방향으로 회전되면, 캠기어(74)가 R2방향으로 회전되어, 그 캠기어(74)의 결합핀(77)이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부(82)의 전측 원호부(84)내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동용 슬라이더(79)는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아서, 메인트레이(8) 및 서브-트레이(18)는 장착위치에 유지된다.
한편, 계속 구동모터(67)가 상술한 한쪽 방향과 반대쪽 방향으로 회전되면, 캠기어(74)의 회전에 의해,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가 캠홈(78)의 제 2유닛승강부(78c) 내를 제 1유닛승강부(78b)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가 후방을 향하여 이동되고 승강용 슬라이더(52)가 전방을 향하여 이동된다. 승강용 슬라이더(5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스톡커(41)의 좌우측 각각에 지지되어 있는 누름부재(47)의 축부(48b)가 승강용 슬라이더(52) 각각의 겸용캠홈(58)의 하측수평부(58e)내를 이동한다. 따라서, 척킹부재(31)는 상측에 유지된다.
한편, 승강용 슬라이더(52)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스톡커(41)의 측면 각각에 지지되는 피지지핀(43c,43d)은 각각 승강용 슬라이더(52)의 스톡커용 캠홈(57) 및 겸용캠홈(58)의 하측수평부(57e,58e)로부터 상측수평부(57a,58a)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스톡커(41)는 이동범위 내에서의 상단까지 이동되고, 메인 트레이(8)의 후방에 제 3수납부(41c)가 위치된다. 이 때 유닛홀더(20)의 측면 각각에 지지되는 피지지핀(21a)은 승강용 슬라이더(52)의 유닛홀더용 캠홈(53)의 하측수평부(53c)내를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지만, 피지지핀(21b)은 승강용 슬라이더(52)의 유닛홀더용 캠홈(54)의 최하부(54e)로부터 하측수평부(54c)까지 이동한다. 따라서, 후방 및 하측으로 경사져 있는 유닛홀더(20)가 수평한 상태가 된다.
승강용 슬라이더(52)는 더욱 전방으로 이동되고, 유닛홀더(20)의 측면 각각에 지지되는 피지지핀(21a, 21b)은 각각 승강용 슬라이더(52)의 유닛홀더용 캠홈(53, 54)의 하측수평부(53c, 54c)에서 경사부(53b, 54b)를 거쳐서 상측수평부(53a, 54a)로 상대적으로 이동되어, 유닛홀더(20)가 상승된다(도 71 참조). 또, 스톡커(41)의 좌우측 각각에 지지되는 누름부재(47)의 축부(48b)는 승강용 슬라이더(52) 각각의 겸용캠홈(58)의 하측수평부(58e)에서 상측수평부(58a)까지 이동되고, 척킹부재(31)는 전단부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디스크장착위치로 이동되어 있는 서브-트레이(18)에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장착되어 있는 때에는, 디스크테이블(28)과 척킹풀리(35)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척킹된다(도 71 참조).
유닛홀더(20)가 상승될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3수납부(41c)에 서브-트레이(18)가 유지되며, 동시에 제 1수납부(41a) 또는 제 2수납부(41b) 중 어느 것에도 서브-트레이(18)가 유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유닛홀더(20)의 상승부(23, 23)에 의해 서브-트레이(18)가 상승되어, 제 3수납부(41c)가 개방된다(도 23, 도 24 및 도 71 참조). 따라서, 디스크장착위치로부터 스톡커(41)로 서브-트레이(18)가 수납될 때에는, 항시, 서브-트레이(18)는 제 3수납부(41c)에 수납된다.
캠기어(74)의 회전에 따라,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가 캠홈(78)의 제 2유닛승강부(78c)내를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유닛홀더(20)가 상단에 도달한 때에는, 결합돌기(71b)가 제 1유닛승강부(78b)와 제 2유닛승강부(78c)와의 교차점에 위치된다(도 55 참조). 따라서, 승강 슬라이더(52)는 더 이상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고 이동범위 내에서의 전단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크테이블(28)과 척킹풀리(35) 사이에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척킹된 때에는, 스핀들모터(27)의 회전에 의해 척킹된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회전되는 것과 동시에, 광픽업(26)의 구동에 의해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신호의 재생이 행해진다.
한편, 캠기어(74)의 회전에 의해 스위칭기어(63)가 회전되고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척킹되면, 제 1 및 제 2조작편(63a 및 63b)은 제 1 및 제 2스위치(61 및 62)를 조작하지 않음으로써 제 1 및 제 2스위치(61 및 62)는 턴오프되어(도 55 참조), 디스크형 기록매체가 재생위치에 위치되는 것을 검출한다.
유닛 홀더(20)가 상단에 도달하고 구동모터(67)가 한 방향에 대해서 반전된 방향으로 회전되고, 캠기어(74)가 회전됨으로써, 캠기어(74)의 결합핀(77)은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부(82)의 전면측 원호부(84)로 상대로 이동된다. 그 결과 이동용 슬라이더(79)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음으로써 메인 트레이(8) 및 서브-트레이(18)는 디스크 장착위치에 유지된다.
캠기어(74)의 회전에 의해,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는 캠홈(78)의 비동작부(78a)로 향해서 제 1유닛 승강부(78b)내로 상대적으로 이동됨으로써,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는 전방으로 향해 이동되고 승강 슬라이더(52)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승강 슬라이더(52)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스톡커(41)의 각 좌우측에 의해 지지되는 누름부재(47)의 축부(48b)는 상부측 수평부(58a)에서 각각 승강 슬라이더(52)의 겸용 캠홈(58)의 하측 수평부(58e)로 이동된다(도 56 참조). 따라서, 누름부재(47)는 하강함으로써 척킹부재(31)는 디스크테이블(28)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디스크 기록매체의 척킹을 해제한다.
한편, 승강 슬라이더(52)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조차도, 스톡커(41)의 각 측면에 지지되는 핀(43c 및 43d)은 스톡커용 캠홈(57)의 상측 수평부(57a 및 58a)와 각 승강 슬라이더(52)의 겸용 캠홈(58)내로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승강 슬라이더(52)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지만 상부 이동단에 유지된다.
승강 슬라이더(52)의 후방 이동에 의해, 스톡커(41)의 각 측면에 지지되는 핀(21a 및 21b)은 상부측 수평부(53c 및 54c)에서 각 승강 슬라이더(52)의 캠홈(53 및 54)(유닛 홀더용)의 경사부(53b 및 54b)를 거쳐서 하측 수평부(53a 및 54a)로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유닛 홀더(20)는 하강된다.
캠기어(74)의 회전에 의해,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는 캠홈(78)의 제 1유닛 승강부(78c)내로 상대적으로 이동되고, 유닛 홀더(20)가 하강되 면, 결합돌기(71b)는 제 1유닛 승강부(78c)와 비동작부(78a) 사이의 교차점까지 상대적으로 이동된다(도 50 참조).
한편, 스위칭기어(63)는 캠기어(74)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고, 유닛홀더(20)가 하강되면, 제 1스위치(61)는 턴오프되고 제 2스위치는 제 1조작편(63a)과 접촉되어서 턴온된다(도 50 참조).
메인 트레이(8)와 서브-트레이(18)가 디스크장착부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구동모터(67)가 한 방향에 대해서 반전된 방향으로 더 회전되면, 캠기어(74)가 회전됨으로써 캠기어(74)의 결합핀(77)은 후방측 원호부(85)에서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82)의 종단부(86)로 이동되면서 상기 부분들(85 및 86)의 내측면을 전방향으로 누르고 이동용 슬라이더(79)가 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제 2측면기어(8)는 랙부재(17)의 랙부(17d)의 후단부와 맞물림으로써 제 2측면기어(89)가 회전되어 랙부재(17)가 전방으로 공급된다. 이어서, 제 2측면기어(89)는 메인 트레이(8)의 랙부(14a)와 맞물림으로써 메인 트레이(8)는 서브-트레이(18)와 함께 인출위치로 이동된다(도 45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캠기어(74)가 회전되는 경우조차,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는 캠홈(78)의 비동작부(78a) 내로 상대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는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닛 홀더(20), 척킹부재 및 스톡커(41)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는다.
이동용 슬라이더(79)가 전방으로 이동되면, 캠기어(74)의 결합핀(77)은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82)의 종단부(86)의 내면을 누르고, 따라서, 메인 트레이(8)가 인출위치에 도달하면, 결합핀(77)은 종단부에 위치된다(도 48 참조). 또한, 메인 트레이(8)가 인출위치에 도달하면, 구동력전달 슬라이더(70)의 결합돌기(71b)는 캠홈(78)의 비동작부(78a)의 시작단에 위치된다(도 48 참조).
한편, 캠기어(74)의 회전에 의해 스위칭기어(63)가 회전되고 메인 트레이(8)가 인출위치에 도달하면, 제 1 및 제 2조작편(63a 및 63b)이 제 2 및 제 1스위치(62 및 61)와 접촉되어 제 2 및 제 1스위치(62 및 61)로 각각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체인져 장치(1)에 의하면, 디스크장치부에서 후방으로 이동되고 있는 서브-트레이(18)는 일반적으로 스톡커(41)의 제 3수납부(41c)에 수납된다.
따라서, 스톡커가 승강되어 빈 수납부에 트레이를 수납하는 종래의 디스크 체인져 장치와 달리, 전용 승강기구, 빈 수납부를 검출하는 센서 등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즉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부품수의 삭감을 고려하여 스톡커로 사용하는 룰렛형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3개의 서브-트레이(18)가 스톡커(41)에 축적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 체인져장치(1)는 최소화될 수 있다.
디스크 체인져 장치(1)에 의하면, 메인 트레이(8) 및 서브-트레이(18)의 이동, 유닛 홀더(20)의 승강, 척킹부재(31)의 회전, 스톡커(41)의 승강 및 스톡커(41)에 수납된 2개의 서브-트레이(18)의 상부 이동은 구동모터(67)를 이용함으로써 행해지고, 한 층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트레이(18)가 디스크 수납위치에서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될 때, 이동용 슬라이더(79)는 후방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그의 중앙부(이후, "중립영역"으로 부른다)로 이동된다. 반대로, 메인 트레이(8)가 메인트레이 인출위치에서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되면, 이동용 슬라이더(79)는 전방측에서 중립영역으로 이동된다.
상기 기술된 중립영역은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서브-트레이(18)나 메인 트레이(8)가 이동되면, 메인 트레이(8)에 의해 지지된 랙부재(17)의 랙부(17d) 또는 메인 트레이(8)의 랙부(14a)와 맞물리는 제 2측면기어(89)는 회전되고, 이 경우에 있어서, 도 72 및 7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기어 톱니와 대응하는 랙 톱니 사이에는 백래쉬(backlash) "d" 가 발생한다. 그 결과, 후방측에서 이동되고 있는 이동용 슬라이더(79)가 정지되는 수직 중심위치와 전방측에서 이동되고 있는 이동용 슬라이더(79)가 정지되는 수직 중심위치 사이에는 약간의 편차가 발생한다. 즉, 이동용 슬라이더(79)는 중립영역으로서 한정된 지정 영역내의 위치에 정지된다. 도 72 및 7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측면기어(89)의 각 기어 톱니가 2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트랙부재(17) 또는 메인 트레이(8)가 정지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나, 기어기구의 관점에서는 이러한 이상적인 상태를 실현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디스크 체인저장치(1)에 의하면, 백래쉬로 인한 위치 편차는 이동용 슬라이더(79)의 캠홈(78)에 설치된 제 1돌기(83a) 및 제 2돌기(85a)에 의해 조정된다.
구체적으로, 서브-트레이(18)가 디스크 수납부에서 디스크 장착부로 이동되면, 시작단부(83)에서 전방측 원호부(84)로 이동되고 있는 캠기어(74)의 결합핀(77)은 제 1돌기(83a)를 초과함으로써 이동용 슬라이더(79)는 제 1돌기(83a)의 돌출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디스크 수납부에서 디스크 장착부로 이동되는 서브-트레이(18)는 제 1돌기(83a)의 돌출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전방으로 이동되어, 확실히 디스크 장착부에 도달한다.
한편, 메인 트레이(8)는 메인 트레이 인출위치에서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후방측 원호부(85)에서 전방측 원호부(84)로 이동되고 있는 캠기어(74)의 결합핀(77)이 제 2돌기(85a)를 초과하여, 이동용 슬라이더(79)는 제 2돌기(85a)의 돌출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메인 트레이 인출위치에서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되고 있는 메인트레이(8)는 제 2돌기(85a)의 돌출량에 대응하는 양만큼 후방으로 이동되어, 확실히 디스크 장착부에 도달한다.
각각의 제 1 및 제 2돌기(83a 및 85a)의 돌출량은 백래쉬의 1/2이상이 필요하다.
디스크 체인져 장치(1)에 의하면, 중계기판(91)이 하우징(2)의 전후부의 배면에 장착되고, 제어회로기판(90)은 유연성 있는 기판(92)을 거쳐서 중계기판(91)에 접속되고, 중계기판(91)에서 도출된 다른 유연성 있는 프린트기판을 거쳐서 음향기기(100)의 전체 제어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메인 기판에 중계기판(91)이 접속된다.
제어회로기판(90)이 중계기판(91)을 거쳐서 메인 기판에 접속되면,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재생할 때 베이스 유닛(24) 등에서 발생된 진동시스템은 디스크 체인져 장치(1)에서 완결되고, 중계기판(91)에서 도출된 다른 유연성 있는 프린트기판에 의해 영향을 덜 받는다.
도 74 및 76은 제어회로기판(90)이 중계기판을 거쳐서 메인 기판에 접속되는 경우에 실행된 실험적인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74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주부에서 측청된 값이며, 도 76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주부와 외주부 사이의 중간 부분에서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도 75 및 도 77은 디스크 체인져 장치에 설치된 회로기판이 중계기판(91)을 거치지 않고 디스크 체인져 장치의 외측에 설치된 메인 기판에 직접 접속된 경우에 실행된 실험적인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75는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주부에서 측정된 값을 나타내며, 도 77은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내주부와 외주부 사이의 중간 부분에서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종축은 트래킹에러(기록트랙으로부터의 편차량)를 나타내며, 횡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종축의 편차량이 크게되면, 트래킹 에러로 인해, 예를 들면, 소위 음향 스킵(sound skip)이라는 불편이 발생한다.
도 74 내지 7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계기판(91)을 설치한 경우에 기록트랙으로부터의 편차량이 적게됨으로써,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된 신호의 재생동작을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을 알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톡커(41)내의 서브-트레이(18)가 상승부(23)에 의해 상승됨으로써 최하위 수납부(41c)는 다음 서브-트레이(18)가 수납되는 수납부로서 취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스톡커(41)내의 서브-트레이(18)가 가압됨으로써 최상위 수납부(41a)는 다음 서브-트레이(18)가 수납되는 수납부로서 취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정한 용어들을 이용하여 기술하였지만, 이러한 기술은 단지 서술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다음 청구항의 진의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변경 및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디스크 체인져 장치는, 스톡커를 승강시켜 빈 수납부에 트레이를 수납하는 종래기술의 디스크 체인져 장치와는 달리, 전문 승강기구와, 빈 수납부를 검지하는 센서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짐으로써 부품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로써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부품수의 감소를 고려하여 스톡커로서 기능하는 룰렛식 트레이를 사용하지 않고 스톡커에 서브-트레이를 축적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 체인져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서브-트레이가 디스크 수납위치에서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캠기어의 결합핀은 제 1돌기의 튀어나온 양에 대응하는 양만큼 디스크 수납위치에서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방향으로 이동하고, 메인 트레이가 인출위치에서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캠기어의 결합핀은 제 2돌기의 튀어나온 양에 대응하는 양만큼 인출위치에서 디스크 장착위치로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서브-트레이와 메인 트레이를 디스크 장착위치로 확실하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스크형 기록매체의 재생시 등에 발생하는 진동 시스템은 디스크 체인져 장치에서 끝나고, 중계기판을 선두로 메인기판에 연결되어 있는 또 다른 연결라인에 의해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트래킹 에러의 발생을 감소시켜 디스크형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재생신호의 동작 등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6)

  1. 디스크 체인져 장치(disc changer apparatus)에 있어서,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테이블과,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를, 디스크가 로드되는 로딩위치(loading position)와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되는 장착위치(mounting position)의 사이 및 상기 디스크 장착위치와 디스크가 수납되는 수납위치(containing position)의 사이에서 이송하는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를 상기 디스크 로딩위치와 상기 디스크 장착위치 사이에서 이송하는 상기 제 1 트레이와 결합된 제 2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에 장착된 디스크의 주요면(principal plane)에 거의 수직인 축적방향(stack direction)으로 복수의 상기 제 1 트레이를 축적하고(stacking) 수납하는(containing) 수납수단(containing means)과,
    상기 수납수단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제 1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축적방향에 근거하여 한쪽 방향으로(in one direction) 이동시켜서, 상기 수납수단의 상기 한쪽 방향에 반대인 측의 상기 디스크 장착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 1 트레이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협력하여 유지하는 척킹부(chucking portion)와,
    상기 디스크테이블을 상기 디스크테이블이 상기 디스크 장착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와 결합되어 유지되는 상기 제 1 트레이에 장착된 디스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디스크테이블의 맞은편에 배치된 상기 척킹부를 그 사이에 놓인 디스크와 함께 상기 척킹부가 디스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상기 척킹부와의 사이에 디스크를 척킹하는 이동제어수단(movement control means)과,
    상기 이동제어수단에 의해 이동된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디스크 장착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 1 트레이와 제 2 트레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삽입되는 위치결정 돌기(positioning projection)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수단에 의해 이동된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수납수단에 수납된 상기 제 1 트레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제 1 트레이 위치결정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이동제어수단에 의해 이동된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이동된 가압수단(pressing means)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척킹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수납수단에 수납된 상기 제 1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축적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한쪽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트레이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수납수단의 상기 한쪽 방향 측에 반대인 측의 상기 디스크 장착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트레이를 수납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방향에 근거한 상기 한쪽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수납수단에 수납된 각각의 상기 제 1 트레이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수단(restricting means)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한쪽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트레이로부터 에스케이프(escape)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수납수단의 측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규제돌기(restricting projection)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규제돌기는, 상기 수납수단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제 1 트레이의 상기 가압수단측의 표면을 지지하고,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한쪽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 1 트레이의 일부와 접촉하게 되고, 회동방향(turning direction)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상기 한쪽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에스케이프 될 수 있고,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규제돌기가 상기 수납수단의 내측으로 회동되는 다른 회동방향으로 상기 규제돌기를 가세하는(biasing) 가세수단(biasing means)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규제돌기가 상기 회동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제 1 트레이로부터 에스케이프된 후, 상기 규제돌기와 상기 제 1 트레이와의 접촉이 상기 제 1 트레이의 상기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해제되고, 이때, 상기 규제돌기가 상기 가세수단에 의해 상기 다른 회동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수납수단에 수납된 상기 제 1 트레이의 상기 가압수단 측의 표면을 다시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7. 디스크 체인져 장치에 있어서,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테이블과,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협력하여 유지하는 척킹부(chucking portion)와,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를, 디스크가 로드되는 로딩위치(loading position)와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되는 장착위치(mounting position)의 사이 및 상기 디스크 장착위치와 디스크가 수납되는 수납위치(containing position)의 사이에서 이송하는 제 1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를 상기 디스크 로딩위치와 상기 디스크 장착위치 사이에서 이송하는 상기 제 1 트레이와 결합된 제 2 트레이와,
    상기 제 1 트레이에 장착된 디스크의 주요면(principal plane)에 거의 수직인 축적방향(stack direction)으로 복수의 상기 제 1 트레이를 축적하고(stacking) 수납하는(containing) 수납수단(containing means)과,
    상기 디스크테이블을 상기 디스크테이블이 상기 디스크 장착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와 결합되어 유지되는 상기 제 1 트레이에 장착된 디스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디스크테이블의 맞은편에 배치된 상기 척킹부를 그 사이에 놓인 디스크와 함께 상기 척킹부가 디스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상기 척킹부와의 사이에 디스크를 척킹하는 이동제어수단(movement control means)과,
    상기 이동제어수단에 의해 이동된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디스크장착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 1 트레이와 제 2 트레이에 형성된 피결합부(portion to be engaged)와 결합되는 결합부(engagement portion)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이동제어수단에 의해 이동된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디스크장착위치에 위치한 상기 제 1 트레이와 제 2 트레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어수단에 의해 이동된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수납수단에 수납된 상기 제 1 트레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제 1 트레이 위치결정돌기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10. 디스크 체인져 장치에 있어서,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테이블과,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base unit)과,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를, 디스크가 로드되는 로딩위치와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되는 장착위치와의 사이 및 상기 디스크장착위치와 디스크가 수납되는 수납위치와의 사이에서 이송하는 서브-트레이(sub-tray)와,
    상기 디스크 로딩위치와 상기 디스크장착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서브-트레이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서브-트레이와 결합되어 있는 메인 트레이와,
    상기 메인 트레이에 대하여 승강하고, 내부에 상기 승강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서브-트레이를 축적(stack)하도록 하는 복수의 수납부를 가지는 스톡커(stocker)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캠 기어(cam gear)와,
    상기 메인 트레이와 상기 서브-트레이를 상기 서브-트레이가 이송되는 이송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상기 캠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송방향으로 이동되는 제 1 슬라이더(slider)와,
    상기 스톡커의 상기 승강방향으로 계단형으로 형성된 캠 홈(cam groove)을 가지고, 형성된 상기 캠 홈에 의해 적어도 상기 베이스 유닛과 상기 스톡커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캠기어의 회전과 함께 상기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더와,
    상기 스톡커에 수납되어 있는 상기 서브-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승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복수의 수납부의 상기 승강방향측의 반대인 측의 상기 디스크장착위치에 있는 상기 서브-트레이를 수납하는 하나의 수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 2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기 베이스유닛과 함께 승강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캠기어는 한 면에는 캠홈을, 다른 면에는 결합핀을 가지고,
    상기 제 1 슬라이더는 상기 캠기어의 상기 결합핀이 결합되는 캠홈을 가지고,
    상기 제 1 슬라이더의 상기 캠홈은 상기 서브-트레이가 상기 디스크수납위치로부터 상기 디스크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 슬라이더를 상기 디스크장착위치에 대응하는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1 돌기와, 상기 서브-트레이가 상기 디스크로딩위치로부터 상기 디스크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 1 슬라이더를 상기 디스크장착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디스크 수납위치 측으로 오프셋(offset) 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돌기를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체인져 장치의 상기 구성성분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가지고 있는 제어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고 플렉시블 기판(flexible board)을 통하여 상기 제어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중계기판(relay board)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계기판을 통하여 상기 제어회로기판에 대하여 적어도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플렉시블 기판(flexible board)을 통하여 상기 중계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기판(main board)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13. 디스크 체인져 장치에 있어서,
    장착되어 있는 디스크와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테이블과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로부터 정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을 포함하는 베이스 유닛과,
    상기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된 디스크를 상기 디스크테이블과 협력하여 유지하는 척킹부재(chucking member)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일면에는 캠홈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면에는 결합핀이 형성되어 있는 캠기어와,
    캠홈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캠기어의 상기 결합핀이 상기 캠홈과 결합하여, 그것에 의해 상기 캠기어의 회전에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용 슬라이더와,
    상기 이동용 슬라이더에 형성되어 있는 랙부(rack portion)와 맞물려 있음으로써 상기 이동용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와 맞물려 있는 랙부를 가지며, 상기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 트레이와,
    디스크가 장착될 디스크장착부와 상기 기어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랙부를 가지며, 디스크가 로드되는 로딩위치와 디스크가 상기 디스크테이블에 장착되는 장착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이동하는 메인 트레이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랙부와 맞물려 있는 상기 기어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디스크장착위치와 디스크가 수납되는 수납위치의 사이에서 단독으로 이동하는 서브-트레이와,
    상기 디스크 수납위치에 배치되며, 복수의 상기 서브-트레이를 상기 서브-트레이에 장착된 디스크의 주요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축적하고 수납하는 복수의 수납부를 가지는 스톡커(stocker)와,
    결합돌기를 가지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캠기어의 상기 캠홈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캠기어의 회전에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하는 구동력전달 슬라이더(drive force transmission slider)와,
    상기 구동력전달 슬라이더에 형성된 랙부와 맞물려 상기 구동력전달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전달기어(transmission gear)와,
    상기 전달기어와 맞물려 있는 랙부를 가지며, 상기 전달기어의 회전에 따라 세로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유닛의 승강동작, 상기 척킹부재의 승강동작, 상기 스톡커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승강 슬라이더(lifting/lowering slider)와,
    상기 베이스 유닛을 유지하는 유닛 홀더(unit holder)와,
    상기 유닛 홀더에 설치되며, 상기 유닛 홀더가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승할 때, 상기 디스크장착부의 상기 메인 트레이와 상기 서브-트레이의 위치결정구멍에 결합되고, 또한 상기 스톡커에 수납된 상기 서브-트레이의 위치결정구멍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메인 트레이와 상기 서브-트레이를 유지하는 위치결정돌기와,
    상기 유닛 홀더에 설치되며, 상기 유닛 홀더가 상기 승강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상승함으로써, 상기 유닛 홀더의 승강범위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스톡커에 수납된 상기 복수의 서브-트레이 중 하나가 상기 복수의 수납부 중 최하위 수납부에 위치결정되면, 상기 최하위 수납부에 위치결정된 상기 서브-트레이를 아래에서 가압하여 상기 최하위 수납부를 상기 디스크장착위치에 위치한 상기 서브-트레이의 수납위치로서 확인하는 상승부(lift-up portion)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슬라이더의 상기 캠홈은,
    상기 서브-트레이가 상기 디스크수납위치로부터 상기 디스크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용 슬라이더를 상기 디스크 장착위치에 대응하는 제 1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1 돌기와,
    상기 서브-트레이가 상기 디스크로딩위치로부터 상기 디스크장착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이동용 슬라이더를 상기 디스크 장착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디스크 수납위치로 오프셋 된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2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의 거리가, 상기 메인 트레이 또는 상기 서브-트레이에 형성된 상기 기어부와 상기 랙부 사이의 백래쉬(backlash)와 동일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체인져 장치의 상기 구성성분을 덮도록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회로를 가지는 제어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플렉시블 기판을 통하여 상기 제어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중계기판(relay board)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며, 상기 중계기판을 통하여 상기 제어회로기판에 대하여 적어도 전원공급을 제어하도록 플렉시블 기판을 통하여 상기 중계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메인 기판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톡커의 각각의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서브-트레이의 아래쪽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상기 상승부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아래에서부터 이동되는, 상기 서브-트레이로부터 에스케이프되는 규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규제수단은,
    상기 스톡커의 측벽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서브-트레이의 뒷면을 지지하고, 상기 상승부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아래에서부터 상승되는 상기 서브-트레이의 상측부의 일부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아래에서부터 가압됨으로써, 하나의 회동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서브-트레이로부터 에스케이프되는 규제돌기와,
    상기 규제돌기가 상기 스톡커의 내측으로 회동되는 다른 회동방향으로 상기 규제돌기를 가세하며, 상기 규제돌기가 상기 하나의 회동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서브-트레이로부터 에스케이프된 후, 상기 규제돌기와 상기 서브-트레이의 가압이 상기 서브-트레이를 위쪽 방향으로 더 이동시킴으로써 해제되고, 이때, 상기 규제돌기가 상기 다른 회동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상기 서브-트레이를 지지하는 가세수단(biasing means)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체인져 장치.
KR1020010054657A 2000-09-08 2001-09-06 디스크 체인져 장치 KR100742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74204 2000-09-08
JP2000274204A JP2002093020A (ja) 2000-09-08 2000-09-08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0220A KR20020020220A (ko) 2002-03-14
KR100742648B1 true KR100742648B1 (ko) 2007-07-25

Family

ID=1876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657A KR100742648B1 (ko) 2000-09-08 2001-09-06 디스크 체인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83829B2 (ko)
JP (1) JP2002093020A (ko)
KR (1) KR100742648B1 (ko)
CN (1) CN129569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004B1 (ko) 2002-07-27 2005-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시스템 및 그 업그레이드방법
JP2005122816A (ja) * 2003-10-16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2006202435A (ja) * 2005-01-21 2006-08-03 Fujitsu Ten Ltd ディスクチェンジャ
JP3120035U (ja) * 2005-12-22 2006-03-23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付きテレビジョンおよびディスク装置付き表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0728A (en) * 1990-05-31 1993-05-11 Nakamichi Corporation Elevation mechanism in disk player with disk changer functions including an adjustable drive nut which raises and lowers discs
US5528442A (en) * 1993-03-05 1996-06-18 Nakamichi Corporation Disk player with magazine switched drive source
JP2000057678A (ja) * 1998-08-06 2000-02-25 Alpine Electronics Inc ディスク装置
JP2000082251A (ja) * 1999-09-27 2000-03-21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プレ―ヤ
JP2000100051A (ja) * 1998-09-19 2000-04-07 Sony Corp ディスク交換装置
US6262963B1 (en) * 1998-03-27 2001-07-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hanger with spindles and elevating mean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69614B1 (en) * 1994-02-26 1997-11-12 Sony Corporatio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disc exchange function
CN1153384A (zh) * 1995-09-30 1997-07-02 三星电子株式会社 具有换盘功能的盘复制设备
JP3081553B2 (ja) * 1997-03-28 2000-08-28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0728A (en) * 1990-05-31 1993-05-11 Nakamichi Corporation Elevation mechanism in disk player with disk changer functions including an adjustable drive nut which raises and lowers discs
US5528442A (en) * 1993-03-05 1996-06-18 Nakamichi Corporation Disk player with magazine switched drive source
US6262963B1 (en) * 1998-03-27 2001-07-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sc changer with spindles and elevating means
JP2000057678A (ja) * 1998-08-06 2000-02-25 Alpine Electronics Inc ディスク装置
JP2000100051A (ja) * 1998-09-19 2000-04-07 Sony Corp ディスク交換装置
JP2000082251A (ja) * 1999-09-27 2000-03-21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クプレ―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36956A1 (en) 2002-03-28
JP2002093020A (ja) 2002-03-29
US6683829B2 (en) 2004-01-27
CN1349223A (zh) 2002-05-15
CN1295699C (zh) 2007-01-17
KR20020020220A (ko) 200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9703A (en) Disc player having a slider to move a disc between a disc reproducing position and a disc holder
KR100742648B1 (ko) 디스크 체인져 장치
EP0702363B1 (en) Disk player
JP3890660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5636199A (en) Automatic disc changer for retrieving a lowermost disc from a stack of stored discs and returning the disc to the top of the stack
JP3621264B2 (ja) 記録媒体の収納装置
JP2000260100A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H04302851A (ja) ディスクオートチェンジャープレーヤ
JPH08335385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6058096A (en)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medium
JP3634329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
JP3627802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ー装置
GB2268308A (en) Multi-disc player
JP3473311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470711B2 (ko)
JP3644896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3559409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3552533B2 (ja) スライダ駆動切換え機構
JP3570002B2 (ja) ディスクチェンジャ装置
JP3711579B2 (ja)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及び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3660975B2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のディスク位置ずれ防止機構
JP4890587B2 (ja) ディスク搬入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
JP2002190150A (ja) ディスク装置
JP3608953B2 (ja) 記録媒体収納用ストッカの分割装置
JP3609072B2 (ja) 記録媒体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