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369B1 -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369B1
KR100742369B1 KR1020050109256A KR20050109256A KR100742369B1 KR 100742369 B1 KR100742369 B1 KR 100742369B1 KR 1020050109256 A KR1020050109256 A KR 1020050109256A KR 20050109256 A KR20050109256 A KR 20050109256A KR 100742369 B1 KR100742369 B1 KR 100742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memory device
nonvolatile memory
semiconductor lay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1548A (ko
Inventor
최대철
최병덕
박혜향
정주연
박현선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0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369B1/ko
Publication of KR2007005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1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24Gate electrodes for transistors with a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floating gat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30Organic light-emitting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상에 소오스 영역에 비해 불순물이 도핑된 영역이 얕은 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과 드레인 영역과 가까운 영역의 두께가 얇은 제1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Description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판 120 : 반도체층
130 : 제1게이트 절연막 140 : 제1게이트 전극
150 : 제2게이트 절연막 160 : 제2게이트 전극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기판상에 소오스 영역에 비해 불순물이 도핑된 영역이 얕은 드레인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과 드레인 영역과 가까운 영역의 두께가 얇은 제1게이트 절연막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소자는 전원이 끊어졌을 때, 정보가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 소자(Volatile memory device)와 전원이 끊어져도 정보가 남아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Nonvolatile memory device)로 구분할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대표적으로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와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가 있고,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대표적으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가 있다.
이때, 상기 플래시 메모리는 반도체 기판 상에 터널 산화막(Tunnel Oxide), 플로팅 게이트(Floating Gate), 상부 게이트 절연막, 컨트롤 게이트(Control Gate)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식각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플로팅 게이트는 상기 터널 산화막과 상부 게이트 절연막 사이에서 고립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상기 컨트롤 게이트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거나 지우거나 읽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의 플래시 메모리는 단결정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웨이퍼 기판상에 형성됨으로서 메모리의 특성은 우수하나, 다른 장치, 예를 들어, 표시 장치와 결합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장치 또는 구성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플래시 메모리는 쓰기(Programming) 시 터널 산화막과 반도체층의 계면에 손상이 발생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지우기(Erasing) 시 컨트롤 게이트에 쓰기 또는 읽기(Reading) 시 보다 상대적으로 고전압을 인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같은 평판 표시 장치가 형성되는 기판상에 형성하고, 소오스 영역이 드레인 영역 보다 불순물 주입 영역이 깊게 되도록 형성하고, 드레인 영역과 가까운 터널 산화막을 다른 영역에 비해 얇게 형성함으로서 평판 표시 장치에 직접 메모리 소자를 직접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기 및 지우기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기판; 상기 기판상에 위치하고, 소오스 영역, 상기 소오스 영역에 비해 불순물 주입 영역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은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소오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에 위치한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상에 위치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에 가까운 영역이 상기 소오스 영역에 가까운 영역에 비해 두께가 얇은 제1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제1게이트 절연막상에 위치한 제1게이트 전극, 제2게이트 절연막 및 제2게이트 전극으로 이루어진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기판; 상기 기판상에 위치하고, 제1전극, 적어도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제2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제1전극 또는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이격된 영역상에 위치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소오스 영역, 상기 소오스 영역에 비해 불순물 주입 영역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은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소오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에 위치한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상에 위치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에 가까운 영역이 상기 소오스 영역에 가까운 영역에 비해 두께가 얇은 제1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제1게이트 절연막상에 위치한 제1게이트 전극, 제2게이트 절연막 및 제2게이트 전극으로 이루어진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길이, 두께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 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절연 기판(100)상에 버퍼층(110)이 위치한다.
상기 버퍼층(110)상에 소오스 영역(S), 드레인 영역(D) 및 채널 영역(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20)이 위치한다.
또한, 상기 반도체층(120)상에 터널 산화막의 역할을 하는 제1게이트 절연막(130), 플로팅 게이트의 역할을 하는 제1게이트 전극(140), 상부 게이트 절연막의 역할을 하는 제2게이트 절연막(150) 및 컨트롤 게이트의 역할을 하는 제2게이트 전극(160)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반도체층(120)의 소오스 영역(S)의 불순물 주입 영역은 상기 드레인 영역(D)의 불순물 주입 영역에 비해 깊게 형성, 즉, 상기 드레인 영역(D)이 상기 소오스(S)에 비해 상대적으로 얕게 형성되어 있어 쓰기(즉, 프로그래밍) 시 소오스 영역(S)과 채널 영역(C)의 접합(Junction) 영역과 상기 제1게이트 절연막(130)과 채널 영역(C)의 계면(Interface) 사이에 발생하는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게이트 절연막(130)은 실리콘 산화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께는 50 내지 300 Å의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제1 게이트 절연막의 두께가 50 Å이면, 제 1 게이트 절연막의 열화가 너무 빨리 일어나서 소자 수명이 짧게 되고, 두께가 300 Å보다 크게 되면 전자의 이동이 방지되어 쓰기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게이트 절연막(13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 영역(D)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다른 영역에 비해 두께가 얕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지우기 동작 시 컨트롤 게이트(160)에 가장 높은 전압이 걸리게 되는데, 상기 컨트롤 게이트(16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는 상기 제1게이트 절연막(130)의 특성(특히, 드레인 영역(D)에 가까운 제1게이트 절연막의 두께)에 영향을 받게 된다. 즉, 상기 제1게이트 절연막(130)의 두께가 얇을수록 지우기 동작시 입력되는 전압의 크기는 작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게이트 절연막(150)은 콘트롤 옥사이드로 작용하며, 두께는 절연성을 만족하면서 공정 조건을 고려하여 50 내지 1,000 Å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게이트 절연막 역시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전기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아무런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 즉, 초기 상태(Initial State)이거나 지우기 동작을 실행한 경우의 I-V 곡선(E)에 비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즉, 쓰기 동작을 실행한 경우의 I-V 곡선(P)이 오른쪽으로 이동(Shift)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같은 전압이 컨트롤 게이트상에 인가되었을 때, 정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낮은 전류 값을 나타낸다는 뜻이다. 반대로, 동일한 전류 값을 얻기 위해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에는 더 높은 전압이 인가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절연 기판(200)상에 버퍼층(210)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버퍼층(210)은 상기 기판(200)에서 발생하는 수분 또는 불순물의 확산을 방지하거나, 결정화 시 열의 전달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서, 반도체층의 결정화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퍼층(210)상에 표시 영역(300) 및 메모리 영역(400)상에 각각 박막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310) 및 메모리 영역의 반도체층(410)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표시 영역(300)의 반도체층(310)은 불순물 주입 영역의 깊이가 거의 동일한 소오스/드레인 영역(312,314)가 형성되어 있는 반면, 메모리 영역(400)의 반도체층(410)의 소오스/드레인 영역(412,414)은 소오스 영역(412)가 드레인 영역(414)보다 깊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300)의 소오스/드레인 영역(312,314)의 불순물 주입 영역의 깊이는 상기 메모리 영역(400)의 소오스 영역(412) 또는 드레인 영역(414)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깊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300)의 반도체층(310) 및 메모리 영역(400)의 반도체층(410)은 RTA법(Rapid Thermal Annealing), SPC법(Solid Phase Crystallization), ELA법(Excimer Laser Crystallization), MIC법(Metal Induced Crystallization), MILC법(Metal Induced Lateral Crystallization), SGS법(Super Grain Silicon) 및 SLS법(Sequential Lateral Solidification) 중 어느 하나의 결정화법을 이용하여 형성된 다결정 실리콘층을 각각 패터닝하여 형성함으로서 동일한 결정성 및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SGS법은 비정질 실리콘층상에 금속 촉매가 확산할 수 있는 절연막으로 캡핑층을 형성하고, 상기 캡핑층상에 Ni 등과 같이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할 수 있는 금속 촉매로 금속 촉매층을 형성한 후, 열처리함으로써, 캡핑층상에 위치한 금속 촉매가 비정질 실리콘층으로 확산하고, 확산된 금속 촉매에 의해 비정질 실리콘층이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결정화되는 결정화법을 말한다.
상기 표시 영역(300)의 반도체층(310)상에 게이트 절연막(320) 및 상기 반도체층(310)의 채널 영역(316)에 대응하는 위치에 게이트 전극(330)이 위치하고 있는 반면, 상기 메모리 영역(400)상의 반도체층(410)의 채널 영역(416)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게이트 절연막(422), 제1게이트 전극(424), 제2게이트 절연막(426) 및 제2게이트 전극(428)이 위치하고, 상기 제1게이트 절연막(422), 제1게이트 전극(424), 제2게이트 절연막(426) 및 제2게이트 전극(428)의 측면상에 이들을 보호하는 스페이서(430)가 위치한다.
이때, 상기 표시 영역(300)의 게이트 절연막(320)과 상기 메모리 영역(400)의 제1게이트 절연막(422)은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300)의 게이트 전극(330)과 상기 메모리 영역(400)의 제2게이트 전극(428)은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영역(300)의 게이트 전극(330) 및 상기 메모리 영역(400)의 제2게이트 전극(428)상에 층간절연막(340,440)이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층간절연막(340,440)은 같은 물질로 한번에 형성될 수 도 있고, 각기 다른 물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층간절연막(340,440)상에 각각 상기 표시 영역(300)의 층간절연막(340) 및 게이트 절연막(320)의 소정 영역이 식각되어 노출된 반도체층(310)의 소오스/드레인 영역(312,314)과 콘택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350) 및 상기 메모리 영역(400)의 층간절연막(340)의 소정 영역이 식각되어 노출된 반도체층(410)의 소오스/드레인 영역(412,414)과 콘택하는 소오스/드레인 전극(450)이 위치한다.
이때, 상기 표시 영역(300)의 소오스/드레인 전극(350)과 메모리 영역(400)의 소오스/드레인 전극(450)은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영역(300)상에는 박막트랜지스터가 위치하게 되고, 메모리 영역(400)상에는 비휘발성 메모리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350,450)들이 위치하는 기판상에 평탄화층(360,460)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300)의 상기 평탄화층(360)의 일부를 식각하여 노출된 상기 소오스/드레인 전극(350)과 콘택하는 제1전극(370)이 위치하고, 상기 제1전극(370)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화소 정의막(380,480)이 상기 평탄화층(360,460)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도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표시 영역(300)의 상기 제1전극(370)상에 적어도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제2전극이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기판(500)상에 제1전극, 적어도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제2전극을 포함하고 있는 표시 영역(510)이 위치한다.
상기 표시 영역(510) 외각에는 표시 영역(5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공통전원 버스 라인(520) 및 캐소드 버스 라인(530)과 표시 영역(510)에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스캔 드라이버(540) 및 데이터 드라이버(550)이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510)에 전원 또는 신호를 공급하는 공통전원 버스 라인(520), 캐소드 버스 라인(530), 스캔 드라이버(540) 및 데이터 드라이버(550)와 연결된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는 메모리 영역(560)이 상기 표시 영역(510)의 외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외부 장치에서 상기 공통전원 버스 라인(520), 캐소드 버스 라인(530), 스캔 드라이버(540), 데이터 드라이버(550) 또는 메모리 영역(560)에 신호 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접촉부인 패드(570)가 가장 외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510), 공통전원 버스 라인(520), 캐소드 버스 라인(530), 스캔 드라이버(540), 데이터 드라이버(550) 및 메모리 영역(560)을 감싸도록 위치하고, 봉지 기판(도시 안함)을 봉지하기 위한 실링부(580)가 기판의 가장자 리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 영역(510), 공통전원 버스 라인(520), 캐소드 버스 라인(530), 스캔 드라이버(540) 및 데이터 드라이버(550) 등의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와 패드(570) 사이에 위치한 메모리 영역(560)에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가 위치하고 있어, 상기 패드(57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또는 전원 등의 신호를 저장하거나, 상기 패드(57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또는 전원 등에 의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저장되어 있는 신호 등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공통전원 버스 라인(520), 캐소드 버스 라인(530), 스캔 드라이버(540) 및 데이터 드라이버(550) 등을 통해 상기 표시 영역(510)의 박막트랜지스터, 제1전극 또는 제2전극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는 평판 표시 장치에 직접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직접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쓰기 및 지우기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기판;
    상기 기판상에 위치하고, 소오스 영역, 상기 소오스 영역에 비해 불순물 주입 영역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은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소오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에 위치한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상에 위치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에 가까운 영역이 상기 소오스 영역에 가까운 영역에 비해 두께가 얇은 제1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제1게이트 절연막상에 위치한 제1게이트 전극, 제2게이트 절연막 및 제2게이트 전극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다결정 실리콘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결정 실리콘층은 RTA법, SPC법, MIC법, MILC법, SGS법, ELA법 및 SLS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형헝된 다결정 실리콘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게이트 전극은 플로팅 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게이트 전극은 컨트롤 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6. 기판;
    상기 기판상에 위치하고, 제1전극,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및 제2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의 제1전극 또는 제2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표시 영역과 이격된 영역상에 위치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는 소오스 영역, 상기 소오스 영역에 비해 불순물 주입 영역의 깊이가 상대적으로 얕은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소오스 영역과 드레인 영역 사이에 위치한 채널 영역을 포함하는 반도체층;
    상기 반도체층상에 위치하고, 상기 드레인 영역에 가까운 영역이 상기 소오스 영역에 가까운 영역에 비해 두께가 얇은 제1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제1게이트 절연막상에 위치한 제1게이트 전극, 제2게이트 절연막 및 제2게이트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에는 상기 표시 영역의 제1전극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사이에 연결되고,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전극, 층간절연막 및 소오스/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는 박막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반도체층과 동일한 결정화법으로 결정화된 반도체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2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20050109256A 2005-11-15 2005-11-15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 장치 KR100742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256A KR100742369B1 (ko) 2005-11-15 2005-11-15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256A KR100742369B1 (ko) 2005-11-15 2005-11-15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548A KR20070051548A (ko) 2007-05-18
KR100742369B1 true KR100742369B1 (ko) 2007-07-24

Family

ID=38274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256A KR100742369B1 (ko) 2005-11-15 2005-11-15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3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2891A (en) 1995-10-03 1999-10-05 Kabushiki Kaisha Tosbhi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00004233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플래쉬 메모리 셀
KR20030054684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의 제조 방법
KR20040054143A (ko) * 2002-12-17 2004-06-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KR20040059382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2891A (en) 1995-10-03 1999-10-05 Kabushiki Kaisha Tosbhi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20000004233A (ko) * 1998-06-30 2000-01-25 김영환 플래쉬 메모리 셀
KR20030054684A (ko) * 2001-12-26 2003-07-0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쉬 메모리의 제조 방법
KR20040054143A (ko) * 2002-12-17 2004-06-2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셀 제조 방법
KR20040059382A (ko) * 2002-12-28 2004-07-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1548A (ko) 2007-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383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TWI415250B (zh) 具有非晶態金屬氧化物半導體通道之剛性半導體記憶體
JP4989415B2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
JP6276348B2 (ja) 記憶装置及び記憶装置の作製方法
US20180151748A1 (en) Semiconductor device
TWI471979B (zh) 電晶體
US7579220B2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WI508287B (zh) 氧化半導體薄膜、半導體裝置及製造半導體裝置之方法
US11087675B2 (en) Display device,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device
US822780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TFT) and OLED display having TFTS manufactured by the same
TWI424571B (zh) 包含在不同高度之通道區域之電子裝置及其形成方法
KR101506671B1 (ko) 유기 발광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80011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9506563A (ja) アモルファス多結晶シリコン薄膜回路の製造方法
JP4839904B2 (ja) 半導体装置、集積回路、及び電子機器
Hsieh et al. MONOS memory in sequential laterally solidified low-temperature poly-Si TFTs
US7445972B2 (en) Fabrication process of memory cell
TW200926306A (en) Thin film transistor (TFT) manufacturing method and OLED display having TFT manufactured by the same
KR100742369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표시 장치
JP2006330719A (ja)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73226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JP2002050762A (ja) 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表示装置
US20230389357A1 (en)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WO2023223657A1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802076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