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518B1 - 연속 필라멘트의 표면 구조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연속 필라멘트의 표면 구조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518B1
KR100740518B1 KR1020010053253A KR20010053253A KR100740518B1 KR 100740518 B1 KR100740518 B1 KR 100740518B1 KR 1020010053253 A KR1020010053253 A KR 1020010053253A KR 20010053253 A KR20010053253 A KR 20010053253A KR 100740518 B1 KR100740518 B1 KR 100740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upper layer
lower layer
continuous filaments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596A (ko
Inventor
후루야고다이
하야시히루
이가우에다카미쯔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8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종래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구조체로서, 피부에 대한 접촉 감촉이 양호하고, 또한 액체 투과성과 액의 역류 방지 효과의 모든 조건을 구비하는 것으로 또한 간단히 제조할 수 있는 것이 없었다. 본 발명의 일회용 기저귀(1)는 흡수성 코어(8)의 표면에 표면 구조체(10)가 설치되어 있다. 표면 구조체(10)는 연속 필라멘트의 다발인 하층(10a)의 위에 중층(10b)이 그 위에 상층(10a)이 포개어지고, 각 층의 연속 필라멘트가 접합선으로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시트화되고 있다. 중층(10b)과 상층(10a)을 중앙부에 배치하는 것으로, 중앙 부분을 부피감 있게 할 수고, 착용자의 배설 부위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연속 필라멘트의 다발을 포개어 접합한다고 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표면 구조체(10)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필라멘트의 표면 구조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ABSORBING ARTICLE USING A SURFACE STRUCTURE OF CONTINUOUS FILA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일회용 기저귀를 수액측으로부터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고 있는 표면 구조체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의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고 있는 표면 구조체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생리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일회용 기저귀
2 : 중간부
3 : 전방부
4 : 후방부
7 : 이면 시트
8 : 흡수성 코어
10, 10A, 20 : 표면 구조체
10a, 20a : 하층
10b, 20b : 중층
10c, 20c : 상층
11a, 11b, 11c, 21a, 21b, 21c : 연속 필라멘트
12, 12A, 22 : 접합선
본 발명은 연속 필라멘트에 의해 표면 구조체가 형성된 일회용 기저귀 또는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 또는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층의 이면측에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가 포개어지고, 액체를 수용하는 수액측인 표면측에 액체 투과성의 표면 시트가 포개어져 있다.
종래의 흡수성 물품의 상기 표면 시트는 액체 투과성의 부직포 또는 다수의 개공이 형성된 합성 수지 필름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표면 시트는, 그 두께가 폭 방향을 향해 일정하므로, 착용자의 배설 부위에 적절히 밀착시키는 것이 어렵고, 배설 부위와 표면 시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며, 배설액이 표면 시트로 전해져 측방으로 새는 문제가 생긴다.
그래서,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9-322908호에는 액체 투과성의 표면층의 중앙 부분을 착용자측으로 융기하도록 변형시킨 제방이 형성되고, 이 제방이 착용자의 배설 부위에 닿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표면층으로 전해져 측방으로 액 누설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종래는 상기 표면층의 양측부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설 방지벽을 형성한 것이 있다. 이 누설 방지벽은 상기 표면 시트로부터 상승하는 소수성의 시트와, 이 시트의 상단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 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소수성 시트를 표면 시트로부터 상승시킨 것이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제9-322908호에 기재된 것은, 흡수성 물품의 중앙부에 융기부를 형성하기 위한 구조로서, 표면층을 중앙부가 융기하 도록 변형시키고 있기 때문에, 표면층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제조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종래와 같이, 소수성의 시트에 의해 누설 방지벽을 형성한 것에 있어서도, 누설 방지벽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소수성의 시트를 표면 시트에 접합하거나, 상기 소수성의 시트에 탄성 부재를 접합하는 등의 제조 공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조 비용을 낮추는 것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수액측의 중앙부에 착용자의 배설 부위에 접촉하는 융기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양측부에 액 누설을 막는 제방을 형성할 때에, 그 제조를 매우 간단히 행할 수 있고, 또한 착용자의 피부와의 접촉감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의 표면 구조체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구조체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 구조체는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도중에서 끊기는 일 없이 연장되는 연속 필라멘트 다발이 2층 이상 적층되고, 층간에서 상기 연속 필라멘트가 부분적으로 접합된 것으로서, 상기 흡수층측에 위치하는 하층이 소정 폭 치수를 갖고, 표면측에 위치하는 상층은 상기 하층보다도 폭 치수가 짧으며, 상기 상층은 상기 하층의 중앙부 또는 양측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예컨대, 상기 상층보다도, 상기 하층쪽이 친수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상층은 친수 처리되어 있지 않은 소수성의 연속 필라멘트로 형성되고, 상기 하층은 친수 처리된 소수성의 연속 필라멘트 또는 친수성의 연속 필라멘트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층의 연속 필라멘트의 밀도와, 상기 하층의 연속 필라멘트의 밀도가 상이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층의 연속 필라멘트의 밀도가 상기 상층의 연속 필라멘트의 밀도보다도 높다.
또한, 상기 연속 필라멘트 다발은 하층과 상층의 2층이라도 좋지만, 상기 흡수층측으로부터 하층, 중층, 상층의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고, 폭 치수가 하층, 중층, 상층의 순서대로 짧아지고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상층, 중층, 하층의 순서대로 친수도가 높아져 있는 것이고, 예컨대 상기 상층은 친수 처리되어 있지 않은 소수성의 연속 필라멘트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층, 중층, 상층으로, 연속 필라멘트의 밀도가 상이한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상층, 중층, 하층의 순서대로, 연속 필라멘트의 밀도가 높아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층은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이 상층이 발수성인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표면 구조체가 연속 필라멘트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밀도가 낮고 부피가 높아져 착용자의 피부에 부드럽게 닿는다. 특히 연속 필라멘트가 표면 구조체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연속되고 있기 때문에, 표면에 필라멘트 단부가 나타나지 않으며, 따라서 표면이 매끄럽다.
이 연속 필라멘트의 표면 구조체에 있어서, 상층과 하층으로, 친수도 및/또는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표면 구조체에서의 액체 투과성이 양호해지고, 또한 액의 역류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친수도가 상이한 연속 필라멘트나, 밀도를 상이하게 하는 연속 필라멘트를 연속적으로 송출하여 부분적으로 융착하는 것으로, 친수도 및/또는 밀도가 상이한 층을 갖는 표면 구조체를 매우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의 실시 형태로서 일회용 기저귀를 수액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고, 도 2는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고 있는 표면 구조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일회용 기저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일회용 기저귀에 사용되고 있는 표면 구조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은 일회용 기저귀(1)를 평면형으로 전개하여 나타낸 것이고, X 방향이 폭 방향, Y 방향이 세로 방향이다. 이 일회용 기저귀(1)는 가랑이부에 장착되는 중간부(2)와, 복부측에 닿는 전방부(3)와, 엉덩이측에 닿는 후방부(4)를 갖는 모래 시계형상이다.
도 2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일회용 기저귀(1)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7)의 위에 흡수성 코어(흡수층)(8)가 포개어져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흡수성 코어(8)는 모래 시계 형상이고, 전방부(3)의 중간에서 상기 중간부(2)를 지나 후방부(4)의 중간까지를 차지하는 크기이다. 상기 흡수성 코어(8)의 수액측 표면에는, 연속 필라멘트로 형성된 액체 투과성의 표면 구조체(10)가 포개어져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면 구조체(10)의 양측부에는, 액체 불투과성의 사이드 시트(9, 9)가 접합되어 있고, 이 사이드 시트(9, 9)는 상기 중간부(2)의 좌우 양측부의 플랩부(6a, 6a), 전방부(3)의 양측부의 플랩부(6b, 6b) 및 후방부(4)의 양측부의 플랩부(6c, 6c)로 연장되고, 각 플랩부에서 상기 이면 시트(7)와 상기 사이드 시트(9, 9)가 핫멜트형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상기 이면 시트(7)는 액체 불투과성이며, 투습성의 수지 필름, 또는 부직포, 또는 수지 필름과 부직포가 접합된 것이다. 상기 흡수성 코어(8)는 분쇄 펄프와 SAP이 혼합된 것으로, 추가로 액체 투과성의 종이로 둘러싸인 것이거나, 또는 바인 더 처리로 시트화된 에어레이드 펄프 또는 흡수지, 또는 친수성 섬유를 주성분으로 한 부직포 등이다.
상기 사이드 시트(9)는 에어스루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등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고, 소수성 또는 발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표면 구조체(10)는 흡수층(8)측에 위치하는 하층(10a)과, 그 위의 중층(10b)과 또 그 위에 위치하는 상층(10c)의 3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층(10a)은 일회용 기저귀의 액 흡수 영역의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정의 폭 치수(W)를 갖고 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층(10b)은 상기 하층(10a)보다도 폭 치수가 짧고, 상기 상층(10c)은 상기 중층(10b)보다도 더욱 폭 치수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층(10b)은 상기 하층(10a)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층(10c)은 상기 중층(10b)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표면 구조체(10)는 X 방향의 양측부에서 평량 및 부피를 낮게, 중앙부를 향함에 따라서 평량 및 부피가 높아지는 중앙 볼록 형상이다.
상기 하층(10a)은 표면 구조체(10)에 있어서 Y 방향으로 도중에 끊기는 일 없이 연속되는 연속 필라멘트(11a)의 다발이고, 마찬가지로 중층(10b)과 상층(1Oc)도, 각각 Y 방향으로 도중에 끊기는 일 없이 연속되는 연속 필라멘트(11b, 11c)의 다발이다.
상기 연속 필라멘트(11a, 11b, 11c)는 상기 필라멘트를 권축하여 수속한 토 우(TOW)라고 칭하는 수속체로부터 개섬(開纖)된 것이다. 이 개섬에 의해 개개의 연속 필라멘트(11a, 11b, 11c)가 풀려 분리되고, 폭 방향으로 균일한 부피가 되며, 상기 하층(10a), 중층(10b) 및 상층(10c)이 형성된다.
상기 연속 필라멘트(11a, 11b, 11c)는, 열 융착 가능한 소수성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데, 예컨대 PE/PET, PE/PP 등의 심초형 구조의 복합 합성 섬유, PE/PET, PE/PP 등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섬유, 혹은 PE, PP, PET 등의 단섬유이다. 또한, 연속 필라멘트(11a, 11b, 11c)에는 산화 티타늄 등의 백색화를 위한 무기 충전재가 0.5∼10 질량%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색화 처리됨으로써, 흡수성 코어(8)에 흡수된 뇨(尿)를 외관상에서 은폐하기 쉬워진다. 또한 연속 필라멘트의 섬유 단면은 둥근형 또는 기타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 권축은 필라멘트의 제조시에 크림퍼 가공된 것으로, 또한 예열 카렌더 또는 열풍 처리에 의해 권축 수가 증가된다. 또는 예열 카렌더를 통과시키고, 이 때에 연신과 연신 해제를 반복함으로써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수지의 배향에 왜곡을 생기게 하여 코일형으로 권축시킨 것이라도 좋다.
권축된 상기 연속 필라멘트의 수속체는 이송 롤 사이에서 이송되고, 이 때 필라멘트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장력이 부여되며, 또한 장력이 해제되고, 이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연속 필라멘트가 개개로 뿔뿔이 분리되도록 개섬된다. 또는 이송 롤 사이에서 이송되는 상기 수속체에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를 양측에서 대고, 수속체를 상기 미끄럼 이동 플레이트에 미끄럼 이동시켜, 그 미끄럼 이동력으로 개개의 필라멘트를 뿔뿔히 분리하여 개섬할 수 있다. 수속체로부터 개섬된 연속 필라멘트 의 다발은 필라멘트 밀도가 작아지고 또 외관의 폭도 커진다.
또한 개섬된 연속 필라멘트의 다발은 폭 확대 공정에서 X 방향으로 그 부피가 균일하게 되도록 넓어지고, 폭 치수(W)의 하층(10a), 및 이것보다 폭 치수가 작은 중층(10b) 및 상층(10c)이 각각 형성된다.
개섬되어 폭 확대된 하층(10a)이 되는 연속 필라멘트(11a)의 다발의 위에, 중층(10b)이 되는 연속 필라멘트(11b)의 다발, 및 상층(10c)이 되는 연속 필라멘트(11c)의 다발이 포개어진다. 그리고 융착 롤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 엠보스 등에 의해, 접합선(12)이 형성된다. 이 접합선(12)에, 하층(10a)의 연속 필라멘트(11a)와, 중층(10b)의 연속 필라멘트(11b) 및 상층(10c)의 연속 필라멘트(11c)가 서로 열 융착되거나, 또는 초음파에 의한 유도 가열에 의해 융착되어 시트화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합선(12)은 X 방향에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각 접합선(12)은 Y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P) 간격으로 형성되고 있다. 다만, 상기 접합선의 평면 패턴이 삼각 함수 곡선에 근사한 연속 곡선이라도 좋고, V자 형상이라도 좋다. 혹은 X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간헐 접합선이라도 좋다. 또는 상기 접합선이 아니라, 도트 형태로 분포되는 원형 등의 접합부에 의해 상기 연속 필라멘트가 융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표면 구조체(10)는 하층(10a), 중층(10b) 및 상층(10c)을 구성하는 각 연속 필라멘트의 다발을 Y 방향으로 송출하여 적층시키고, 상기한 바와 같이, 융착 롤로 접합하는 공정으로 간단히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층의 폭 치수, 평량 및 부피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층수도 도면의 실시예와 같은 3층에 한정되지 않고, 하층과 상층만의 2층으로 할 수 있고, 또한 4층 이상의 다층 구조로 하는 것도 용이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층(10a)만의 부분은 두께는 T1, 하층(10a)과 중층(10b)이 포개어진 부분의 두께는 T2, 하층(10a), 중층(10b) 및 상층(10c)이 포개어진 중앙 부분의 두께는 T3이며, 폭 방향(X 방향)을 향하는 각 부분에서 두께 및 평량이 상이하다.
예컨대 상기 두께 T1은 5∼8 mm, T2는 8∼15 mm, T3은 15∼25 mm 이다. 또한 상기 두께 T1의 부분의 평량은 25∼75 g/m2, 두께 T2의 부분에서는 75∼100 g/m2이며, 두께 T3의 부분에서는 100∼200 g/m2이다.
또한, 하층(10a)과 중층(10b) 및 상층(10c)을 조합한, 표면 구조체(10) 전체의 필라멘트의 평균 밀도는 O.OO2∼O.O1 g/cm3이다.
또한, 각 층의 연속 필라멘트(11a, 11b, 11c)의 섬도는 1.1∼20 dtex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1∼11 dtex이다.
또한, 연속 필라멘트(11a, 11b, 11c)의 권축 수는 1인치당 5∼30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개이며, 권축 탄성율은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축 수는 JISL1015, 권축 탄성율은 JISL1074에 기초한 것이고, 섬도 5.5 dtex 미만의 필라멘트의 경우는, 인장 방향으로 0.49 mN의 초기 하중을 부여하며, 섬도 5.5 dtex 이상의 필라멘트의 경우는, 인장 방향으로 0.98 mN의 초기 하중 을 부여한다. 상기 권축 수는 상기 초기 하중을 부여했을 때의 1인치(25 mm) 길이당 권축의 마루 수이다.
또한, 상기 초기 하중을 부여했을 때의 필라멘트의 길이를 a, 또한 1.1 dtex 당 4.9 mN의 장력을 30초간 부여하여 권축을 늘렸을 때의 길이를 b, 상기 장력을 제거하여 2분간 경과한 후, 재차 상기 초기 하중을 부여했을 때의 길이를 c로 했을 때, 상기 권축 탄성율은 {(b-c)/(b-a)} ×100(%)로 나타낸다.
상기 표면 구조체(10)를 이용한 일회용 기저귀(1)에서는, 피부에 닿는 부분이 연속 필라멘트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에 섬유단이 나타나지 않고, 피부에 매끄럽게 닿으며, 또한 연속 필라멘트가 피부에 따라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피부에 대한 자극성이 적다. 또한. 부피가 크고 쿠션성이 우수하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나타내는 표면 구조체(10)는 중앙부의 부피가 두껍게 되어 있기 때문에, 여성용으로서 사용했을 때에, 중앙부의 두께 T3의 부분이 착용자의 배설 부위에 밀착하기 쉽다. 따라서, 뇨 등의 배설액은 밀착하고 있는 상층(10c)에 제공되고, 좌우로 분산되지 않고 표면 구조체(10)를 투과하여 흡수성 코어(8)에 제공된다. 착용자의 배설 부위와 표면 구조체(10)가 밀착하기 쉽고, 배설 부위와 표면 구조체(10)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에 뇨 등의 가로 누설이 생기기 어렵게 된다.
또한, 연속 필라멘트(11a, 11b, 11c)가 일회용 기저귀(1)의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액의 흐름 방향이 세로 방향이 되어 가로 방향(X 방향)으로의 가로 누설을 적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연속 필라멘트(11a, 11b, 11c) 는 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P) 간격의 접합선(12)에 의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구조체(10)에서 세로 방향으로의 액 확산을 억제할 수 있어 액을 흡수층(8)으로 유도하기 쉬워진다.
상기 표면 구조체(10)에 있어서, 각 층에서 연속 필라멘트의 친수도를 변화시키는 것, 예컨대 상층(10c)보다도 하층(10a)쪽의 친수도를 높게 하거나, 또는 상층(10c), 중층(10b), 하층(10a)의 순서대로 친수도가 높아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각 층에서 필라멘트의 밀도를 상이하게 하는 것, 예컨대 상기 상층(10c)의 밀도가 하층(10a)의 밀도보다도 높거나, 혹은 하층(10a)의 필라멘트 밀도가 상층(10c)의 필라멘트 밀도보다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층간에서 친수도와 밀도의 쌍방에 차이를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하층으로 감에 따라 친수도를 높게 하면, 상층(10c)에 제공된 뇨 등이 그것보다도 하층의 연속 필라멘트에 의해 끌어 당겨지고, 따라서 흡수성 코어(8)에 뇨 등을 유도하기 쉽고, 또한 상층측을 소수성 또는 친수도가 낮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흡수성 코어(8)에 흡수된 뇨 등이 착용자의 피부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층측에서 밀도를 높게 해 두면, 밀도가 높은 층에서의 모세관 작용에 의해, 상층측에 제공된 뇨 등이 끌어당겨져 흡수성 코어(8)로의 액체 투과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뇨 등이 착용자측으로 역류하는 현상도 생기기 어렵게 된다.
여기서, 친수도의 차이란, 소수성 필라멘트의 경우에서, 그 표면의 계면 화학적 성질의 차이를 의미하고, 물의 접촉 각도가 낮은 쪽이 친수도가 높다. 또한 친수성 필라멘트는 표면의 친수기에 의해 수분이 끌어 당겨지지만, 이 친수기에 의해서도 친수도가 달라진다. 즉, 친수기에 의해 수분을 많이 끌어 당기는 필라멘트쪽이 친수도가 높다. 또한 친수 처리된 소수성 섬유 및 친수성 섬유에서는 단위 질량당 비교했을 때에 표면적이 클수록 친수도가 높아진다.
상기 연속 필라멘트가 PE/PP나 PE/PET의 심초형 복합 섬유 등과 같은 소수성 필라멘트이고, 이들 연속 필라멘트의 표면에 친수 유제가 도포되어 친수 처리되고 있는 경우에, 상기 친수 유제로서 액체에 대한 내구성이 상이한 것을 사용함으로써, 친수도에 차이를 갖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상층(10c) 및/또는 중층(10b)의 연속 필라멘트에 초기 친수 유제, 즉 물이나 그 밖의 액과 접촉했을 때에 비교적 탈락하기 쉬운 친수 유제가 도포된다. 이 종류의 초기 친수 유제는, PEG변성폴리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설페이트, 알킬인산에스테르 칼륨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스테르, 알킬술포네이트 나트륨염 등이다.
한편, 하층(10a)의 연속 필라멘트에는 상기 초기 친수 유제에 비교해서 물이나 액에 의해서 잘 탈락되지 않는 내구 친수 유제가 도포된다. 이 내구 친수 유제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에테르 비이온,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술포숙시네이트, 폴리옥시에틸렌아미드에테르, 알킬이미다졸린형 양이온, 폴리글리세린폴리에스테르 등이다.
이와 같이, 친수 유제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하층(10a) 측에서의 액체에 대한 친수 유제의 내구성을 높이고, 하층(10a)의 친수도를 중층(10b)이나 상층(1Oc)의 친수도보다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층(10c)을 친수 처리하지 않는 소수성 필라멘트로 형성하고, 중층(10b)의 필라멘트에 상기 초기 친수 유제를 도포하며, 하층(10a)의 필라멘트에 상기 내구 친수 유제를 도포함으로써, 상층(10c), 중층(10b), 하층(10a)의 순으로 친수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는, 연속 필라멘트의 1 dtex 당, 친수 유제의 도포량을 변화시킴으로써 친수도에 차이를 갖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상층(10c)의 연속 필라멘트(11c)에는 친수 유제를 도포하지 않고, 중층(10b)의 연속 필라멘트(11b)에는 소량의 친수 유제를 도포하며, 하층(10c)의 연속 필라멘트(11a)에 다량의 친수 유제를 도포함으로써, 상층(1Oc), 중층(10b), 하층(10a)의 순서로 친수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층(1Oc)을 친수 처리하지 않는 소수성의 연속 필라멘트로 구성하고, 중층(10b)을 친수 처리한 소수성의 연속 필라멘트로 구성하며, 하층(10a)을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등의 친수성의 연속 필라멘트로 구성함에 의해서도, 상층(10c), 중층(10b), 하층(10a)의 순서로 친수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하층(10a)을 구성하는 소수성의 연속 필라멘트에 천연 셀룰로오스 섬유 등의 단섬유를 접착제 등으로 고착하여, 하층(10a)의 친수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밀도의 차이는 연속 필라멘트의 섬도를 바꿈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섬도가 작은 연속 필라멘트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이 섬도의 차이에 의해 상층(10c)보다도 하층(10a)의 밀도를 높게 하거나, 상층(10c), 중층(10b), 하층(10a)의 순서대로 밀도를 높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속 필라멘트의 권축 수를 바꾸는 것 및/또는 권축 탄성율을 바꾸는 것에 의해서도 층간의 밀도에 차이를 줄 수 있다. 예컨대, 연속 필라멘트 권축 수를 많게 함으로써 밀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권축 탄성율을 높게 함으로써도 밀도를 낮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단면도를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1A)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표면 구조체(10) 대신 도 5에 나타내는 표면 구조체(20)가 사용되고 있다. 이 표면 구조체(20) 이외의 부분의 기저귀의 구조는 도 2와 도 4가 완전히 동일하다.
이 실시예의 표면 구조체(20)는 하층(20a), 중층(20b), 상층(20c)이 순서대로 적층된 것으로, 폭 치수는 하층(20a), 중층(20b), 상층(20c)의 순서로 짧아지고 있다. 그리고, 권축된 필라멘트로 된 토우로 칭해지는 수속체로부터 개섬된 연속 필라멘트(21a, 21b, 21c)에 의해서 균일한 부피의 상기 하층(20a), 중층(20b) 및 상층(20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필라멘트는 Y 방향으로 도중에서 끊기는 일 없이 연속하여 연장되고 있다.
다만, 이 실시예에서는, 중층(20b)이 하층(20a)의 좌우 양측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층(20c)이 좌우 양측부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하층(20a), 중층(20b), 상층(20c)을 구성하는 각 연속 필라멘트가 Y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 P 간격으로 형성된 접합선(22)에 의해 서로 융착되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각 부의 두께 T1, T2, T3 및 각 부의 평량은, 도 3에 나타낸 표면 구조체(10)와 동일하다. 또한, 연속 필라멘트의 섬도나, 표면 구조체(20)의 평균 밀도도 상기 표면 구조체(10)와 동일하다.
도 4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1A)에서는, 양측부에 부피가 있는 표면 구조체(20)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특히 남성용 기저귀로서 적합하다. 상기 표면 구조체(20)에서는, 좌우 양측부에 중층(20b)과 상층(20c)이 위치하여 두께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이 중층(20b)과 상층(20c)이 실질적으로 뇨의 가로 누설을 막는 누설 방지 제방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표면 구조체(10)와 같이, 상층(20c) 보다도 하층(20a)의 친수도를 높게 하거나, 또는 상층(20c), 중층(20b), 하층(20a)의 순서로 친수도를 높게 하여도 좋다. 대안적으로/추가로, 상층(20c) 보다도 하층(20a)의 필라멘트 밀도를 높게 하고, 또는 상층(20c), 중층(20b), 하층(20a)의 순서로 필라멘트의 밀도를 높게 하여도 좋다.
또 누설 방지 효과를 높게 하기 위해서, 상층(20c)의 밀도를 하층(20a)의 밀도보다도 높게 하거나, 또는 하층(20a), 중층(20b), 상층(20c)의 순서로 밀도를 높게 하여도 좋다. 또한, 하층(20a)의 연속 필라멘트(20a)로서 친수 처리된 소수성의 연속 필라멘트를 이용하고, 중층(20b)과 상층(20c)의 적어도 한쪽을 발수성 처리함으로써, 뇨 등의 가로 누설을 막는 누설 방지 제방으로서의 기능을 높일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연속 필라멘트의 다발인 중층(20b)과 상층(20c)을, 하층(20a)의 연속 필라멘트의 다발에 포개고, 부분적으로 융착하는 공정으로, 누설 방지 제방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소수성 시트와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누설 방지 벽보다도 간단한 구성으로 누설 방지 제방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3과 도 5에 나타내는 표면 구조체(10, 20)에 있어서, 중층(10b, 20b)을 생략하고, 하층(10a, 20a)과 상층(10c, 20c)의 2층 구조로 하여도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생리대(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생리대(30)는 액체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31)의 위에 흡수층이 설치되고, 그 위에 도 3에 나타내는 표면 구조체(10)와 근사한 구조의 표면 구조체(10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측부의 누설 방지 벽(32, 32)이 소수성 시트로 형성되고, 이 소수성 시트가 양측의 플랩부(33, 33)에 있어서 상기 이면 시트(31)에 접합되어 있다.
이 생리대(30)의 표면 구조체(10A)는, 도 3에 나타내는 표면 구조체(10)와 같이, 연속 필라멘트 다발의 하층(10a)의 중앙부에 마찬가지로 연속 필라멘트 다발의 중층(10b)이 포개어지고, 더 그 위의 중앙부에 연속 필라멘트 다발의 상층(10c)이 포개어져 있다. 다만 상층(10c)은 생리대(30)의 세로 방향의 중앙부에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층(10a), 중층(10b), 상층(10c)의 각 연속 필라멘트는, 만곡선형상의 접합선(12A)에 의해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시트화되고 있다. 이 표면 구조체(10A)에서는, 중앙 부분이 융기하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배설 부위에 밀착할 수 있고, 경혈의 가로 누설을 방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층(10c), 중층(10b), 하층(10a)의 순서대로 친수도를 높게 하고, 및/또는 밀도를 높게 하는 것으로, 액의 투과성이 양호해지고, 또 한 액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표면 구조체(10A)도 하층(10a)과 상층(10c)의 2층만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연속 필라멘트의 다발만으로 표면 구조체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각 층을 형성하는 연속 필라멘트의 다발아래에, 액체 투과성의 부직포 시트를 포개어 각 층의 연속 필라멘트와 상기 부직포 시트를 함께 접합하여 표면 구조체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구조체는, 액체 투과성이 좋고, 액의 역류가 생기기 어려운 것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피부에 부드럽게 닿고 쿠션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또한 부피가 상이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친수도와 밀도가 상이한 표면 구조체를, 단지 다층의 연속 필라멘트 다발을 포갠다고 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Claims (11)

  1. 액체 투과성의 표면 구조체와,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구조체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표면 구조체는,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도중에서 끊기는 일 없이 연장되는 연속 필라멘트 다발이 2층 이상 적층되고 층간에서 상기 연속 필라멘트가 부분적으로 접합된 것이고, 상기 흡수층측에 위치하는 하층이 배치되어 있고, 표면측에 위치하는 상층은, 상기 하층보다도 폭 치수가 짧으며, 상기 상층은 상기 하층의 중앙부 또는 양측부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보다도 상기 하층쪽이 친수도가 높은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은 친수 처리되어 있지 않은 소수성의 연속 필라멘트로 형성되고, 상기 하층은 친수 처리된 소수성의 연속 필라멘트 또는 친수성의 연속 필라멘트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의 연속 필라멘트의 밀도와, 상기 하층의 연속 필라멘트의 밀도가 상이한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의 연속 필라멘트의 밀도가 상기 상층의 연속 필라멘트의 밀도보다도 높은 흡수성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필라멘트 다발은 상기 흡수층측으로부터, 하층, 중층, 상층의 순서대로 적층되어 있고, 폭 치수가 하층, 중층, 상층의 순서대로 짧아지고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중층, 하층의 순서대로 친수도가 높아지고 있는 흡수성 물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은 친수 처리되어 있지 않은 소수성의 연속 필라멘트로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 중층, 상층에서, 연속 필라멘트의 밀도가 상이한 흡수성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 중층, 하층의 순서대로, 연속 필라멘트의 밀도가 높아지고 있는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은 폭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고, 이 상층이 발수성인 흡수성 물품.
KR1020010053253A 2000-09-01 2001-08-31 연속 필라멘트의 표면 구조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KR100740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65519A JP4162368B2 (ja) 2000-09-01 2000-09-01 連続フィラメントの表面構造体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JP-P-2000-00265519 2000-09-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596A KR20020018596A (ko) 2002-03-08
KR100740518B1 true KR100740518B1 (ko) 2007-07-20

Family

ID=18752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253A KR100740518B1 (ko) 2000-09-01 2001-08-31 연속 필라멘트의 표면 구조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762340B2 (ko)
EP (1) EP1184019B1 (ko)
JP (1) JP4162368B2 (ko)
KR (1) KR100740518B1 (ko)
CN (1) CN1181798C (ko)
AT (1) ATE375775T1 (ko)
BR (1) BR0103834B1 (ko)
CA (1) CA2355514C (ko)
DE (1) DE60130948T2 (ko)
ES (1) ES2292542T3 (ko)
MY (1) MY128828A (ko)
SG (1) SG99951A1 (ko)
TW (1) TW5006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3479A1 (en) * 2000-04-18 2000-10-26 Lohmann Gmbh & Co. Kg Non woven textile structure incorporating stabilized filament assemblies
JP3875018B2 (ja) * 2000-12-12 2007-01-3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連続フィラメントの表面材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4146192B2 (ja) * 2001-09-11 2008-09-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R034469A1 (es) * 2002-06-11 2004-02-25 Freudenberg S A Una capa de transferencia de fluidos liquidos y articulo absorbente que la incorpora.
JP2005168999A (ja) * 2003-12-15 2005-06-30 Nishikawa Living Inc 繊維積層体
US7855314B2 (en) 2004-06-28 2010-12-21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er and absorbent article
EP1782783B1 (en) 2004-06-28 2014-03-12 Daio Paper Corporation Absorbing material
EP1772126B1 (en) 2004-06-28 2013-09-11 Daio Paper Corporation Apparatus for producing absorbing material, absorbing material and absorbent article
US8859844B2 (en) 2004-06-30 2014-10-14 Diao Paper Corporation Sanitary napkin with a tow fiber assembly
JP4593986B2 (ja) * 2004-06-30 2010-12-08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
EP1774940B1 (en) * 2004-06-30 2013-09-11 Daio Paper Corporation Humor absorbent article
JP4533076B2 (ja) * 2004-09-30 2010-08-25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JP4324067B2 (ja) * 2004-09-30 2009-09-02 大王製紙株式会社 紙おむつ
JP4346581B2 (ja) 2005-06-16 2009-10-2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070078424A1 (en) * 2005-09-30 2007-04-05 Wu Lanying Z Curved absorbent article
MX2009004675A (es) * 2006-11-02 2009-06-03 Sca Hygiene Prod Ab Dispositivo de entrega.
JP5043552B2 (ja) * 2007-08-06 2012-10-1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US20100312216A1 (en) * 2007-10-12 2010-12-09 Lori Lee Periman Potty training liners
JP5184966B2 (ja) * 2008-05-20 2013-04-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410852B2 (ja) * 2009-06-18 2014-02-0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JP5960404B2 (ja) * 2011-09-30 2016-08-02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ップ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WO2015134359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substrates
US10285874B2 (en) 2014-03-06 2019-05-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WO2015134371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US20150250659A1 (en) * 2014-03-06 2015-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JP6129124B2 (ja) * 2014-06-27 2017-05-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
JP6158992B2 (ja) * 2015-08-17 2017-07-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7034796A1 (en) 2015-08-26 2017-03-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three-dimensional substrates and indicia
WO2018000410A1 (en) 2016-07-01 2018-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topsheet dryness
CZ307292B6 (cs) * 2016-09-30 2018-05-16 Pegas Nonwovens S.R.O. Spunbondová netkaná textilie pro akvizičně distribuční vrstvu a absorpční výrobek
US11547613B2 (en) 2017-12-05 2023-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tretch laminate with beamed elastics and formed nonwoven layer
EP3810057A1 (en) 2018-06-19 2021-04-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N114025729A (zh) * 2019-06-19 2022-02-08 宝洁公司 具有功能成形的顶片的吸收制品及制造方法
US11819393B2 (en) 2019-06-19 2023-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function-formed top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N110403767A (zh) * 2019-08-29 2019-11-05 武汉市川田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双层面料的卫生巾
CN111184607A (zh) * 2020-02-21 2020-05-22 湖北丝宝股份有限公司 一种吸收制品
CN112726029B (zh) * 2020-12-22 2022-09-30 杭州诺邦无纺股份有限公司 一种长丝无纺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N114948448A (zh) * 2021-02-23 2022-08-30 康那香企业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3323A1 (en) * 1998-05-02 1999-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mproved topshee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9130A (en) * 1974-01-04 1976-04-06 Tuff Spun Products, Inc. Spun bonded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S56106710U (ko) * 1980-01-17 1981-08-19
US5997989A (en) * 1992-02-03 1999-12-07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Elastic nonwoven webs and method of making same
CA2107170A1 (en) * 1993-05-20 1994-11-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Lightweight nonwoven web laminates with improved comfort and barrier properties
FR2713083B1 (fr) * 1993-12-03 1996-01-19 Kaysersberg Sa Article d'hygiène féminine muni de capteurs du flux menstruel.
MX9701686A (es) * 1994-09-09 1998-04-30 Kimberly Clark Co Medios de transporte liquido en la direccion-z.
JP3012475B2 (ja) * 1995-01-26 2000-02-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用の透液性複合不織布
JP3791967B2 (ja) 1996-06-04 2006-06-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H09322909A (ja) 1996-06-06 1997-12-16 Toa Kiko Kk サニタリー製品の多列式製造設備
JP3169341B2 (ja) * 1996-12-28 2001-05-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吸収性物品
US5752945A (en) * 1997-04-25 1998-05-19 Fibertech Group, Inc. Absorbent article with liquid transfer layer
SE516777C2 (sv) * 1997-12-03 2002-02-26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med skikt av kontinuerliga fibrer
SE514391C2 (sv) * 1997-12-03 2001-02-19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lster
US6488670B1 (en) * 2000-10-27 2002-12-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rrugated absorbent system for hygienic produc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53323A1 (en) * 1998-05-02 1999-1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mproved top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62368B2 (ja) 2008-10-08
CA2355514C (en) 2006-01-17
US6762340B2 (en) 2004-07-13
CA2355514A1 (en) 2002-03-01
DE60130948T2 (de) 2008-07-24
DE60130948D1 (de) 2007-11-29
JP2002065739A (ja) 2002-03-05
EP1184019A2 (en) 2002-03-06
US20020029025A1 (en) 2002-03-07
MY128828A (en) 2007-02-28
TW500609B (en) 2002-09-01
EP1184019B1 (en) 2007-10-17
ES2292542T3 (es) 2008-03-16
EP1184019A3 (en) 2004-09-08
KR20020018596A (ko) 2002-03-08
ATE375775T1 (de) 2007-11-15
BR0103834B1 (pt) 2008-11-18
CN1342446A (zh) 2002-04-03
CN1181798C (zh) 2004-12-29
BR0103834A (pt) 2002-06-04
SG99951A1 (en) 2003-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518B1 (ko) 연속 필라멘트의 표면 구조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KR100796225B1 (ko) 연속 필라멘트의 표면재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JP4520475B2 (ja) 連続フィラメントの表面構造体を用いた吸収性物品
US7067711B2 (en) Elongated absorbent article
JP4198978B2 (ja) 縦長の吸収性物品
JP6005019B2 (ja) 吸収性物品
EP1208828B1 (en) Absorbent article
JP4255440B2 (ja) 立体シート
JP4514630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5924897B2 (ja) 吸収性物品
JP4323787B2 (ja) 液獲得層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4535934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4368297B2 (ja) 立体シート
JP2008289659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3998626B2 (ja) 吸収性物品
AU782499B2 (en)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