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005B1 -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005B1
KR100740005B1 KR1020050125482A KR20050125482A KR100740005B1 KR 100740005 B1 KR100740005 B1 KR 100740005B1 KR 1020050125482 A KR1020050125482 A KR 1020050125482A KR 20050125482 A KR20050125482 A KR 20050125482A KR 100740005 B1 KR100740005 B1 KR 100740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broadcast
viewer
broadcasting
imag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4895A (ko
Inventor
권혁훈
조일원
주영호
김진홍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0005B1/ko
Publication of KR20070064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5Content authoring for generating interactive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2Wireless systems of terrestri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1Wireless systems
    • H04H20/74Wireless systems of satellit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90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04H60/91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무선 인터넷 방송 또는 상기 방송망을 통해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받고, 방송 프로그램에 기초한 방송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방송 이벤트를 요청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벤트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단말기의 시청자가 설정한 시청자 영상과 방송영상을 합성하는 영상 이미지 가공과, 이미지 가공에 의해 생성된 기념 영상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재전송하기 위한 방송영상 가공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청자가 시청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기념으로 할 만한 소정의 방송영상을 시청자가 원하는 가상 연출로 영상 가공한 기념 영상을 제공받음으로써, 방송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패널과 시청자의 기념촬영을 가상 연출할 수 있으며, 방송 현장에 시청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방송 현장에서 발생하는 방송 이벤트에 참여한 것처럼 가상 연출한 기념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한다.
방송, 영상, DMB

Description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PROCESSING A BROADCASTING IMAGE AND A METHOD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송영상 가공서버에 의해 합성 영상이 생성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공 시스템에 의해 방송영상을 가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통신 단말기 200 : 방송망
300 : 방송 서버 400 : 방송영상 가공서버
500 : 이동통신망 A : 정지영상
B : 시청자 사진 C : 기념 영상
본 발명은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청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시청한 방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해당 방송 이벤트에 가상 참여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한 영상을 시청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송 서버는 위성 DMB 서비스, 지상파 DMB 서비스, 위성 TV 방송 등을 이용한 방송망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출한다. 이러한 DMB 서비스는 가입자들이 옥외에서 또는 이동 중에도 무지향성 수신안테나를 장착한 개인 휴대용 또는 차량용 수신 단말기를 통해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방송을 다채널로 시청하거나 청취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상기 서비스는 종전의 아날로그 방송 형태를 디지털화 함으로써, 고품질 CD 수준의 음질,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 양 방향성, 우수한 이동수신 품질 등을 제공하게 되고, 기존의 보고 듣는 방송 개념을 보고 듣고 참여하는 방송으로 확장시켰으며, 데이터 방송을 통해 음악방송 외에도 뉴스, 교통정보, 기상정보, 지리위치정보, 동영상 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문자와 그래픽으로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전의 방송 서비스는 시청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설정한 채널 상으로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수동적으로 시청하는 것에 불과하였다. 또한, 디지털화된 방송 서비스로 인해 다양한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나, 이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문자 서비스를 이용한다든지, 방송 화면상에 복수화면을 띄우는 것과 같이 방송 프로그램을 부수적으로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종전의 방송 서비스는 시청자가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방송 현장에서 진행되는 방송 이벤트에 간접적이나마 참여하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청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에 기초한 방송영상과 시청자가 설정한 시청자 영상을 영상 가공하고, 영상 가공하여 생성한 기념 영상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재전송하기 위한 방송영상 가공서버를 구비함으로써, 시청자에게 차별화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무선 인터넷 방송 또는 방송망을 통해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기초한 방송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방송 이벤트를 요청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벤트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단말기의 시청자가 설정한 시청자 영상과 상기 방송영상을 합성하는 영상 이미지 가공과, 상기 이미지 가공에 의해 생성된 기념 영상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재전송하기 위한 방송영상 가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망의 무선랜 인프라를 통하거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s Data Network)을 포함하는 표준 통신망 기반 의 코어 네트워크와 연계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방송영상 가공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송영상 가공서버는 상기 방송영상 및 상기 시청자 영상을 이루는 각 이미지 구성객체에 대한 3차원 위치정보를 소정의 영상 시뮬레이션에 의해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시청자에 의해 설정되는 영상 가공설정 안내 프로세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방송영상 가공 방법은 (a)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망을 통해 다수 채널로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자 단말기에 영상 녹화하는 단계, (b)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 중, 시청자가 기념하기 원하는 소정의 방송영상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방송영상을 토대로 시청자는 단말기로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에 접속하여 시청자의 가상 연출로 인한 기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방송 이벤트를 요청하는 단계, (d) 시청자가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가상 연출을 위해 요구되는 영상소스인 시청자 영상을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에 의해 상기 방송영상에 상기 시청자 영상을 합성하는 영상 이미지 가공을 실행하는 단계 및 (f) 영상 이미지 가공에 의해 생성된 기념 영상을 상기 시청자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a) 단계는 시청자가 시청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영상 녹화하거나, 상기 시청자 단말기의 예약설정 기능에 의해 예약 녹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청자 단말기는 상기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거나, 인터넷망을 통해 유선 통신하는 유선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는 가공 변환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방송영상 및 상기 시청자 영상을 이루는 각 이미지 구성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e-2)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구현된 영상 가공설정 안내에 의해 시청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영상에 대응하는 상기 시청자 영상의 배치, 크기를 포함한 영상 가공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e-3) 상기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는 상기 영상 가공조건에 매칭하여 상기 방송영상과 상기 시청자 영상을 합성하는 영상 이미지 가공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은 시청자가 방송 서버(300)로부터 소정의 채널에 따른 방송망(200)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받아 시청 및 녹화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시청자가 선택한 방송영상을 시청자에게 기념이 될 만한 영상물로 가공 처리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시청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통해 시청한 방송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패널과 가상의 기념사진을 촬영할 수 있으며, 방송 국에 직접 가지 않아도 방송 현장에서 발생하는 방송 이벤트에 출연한 것으로 개인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기록됨에 따라, 시청자가 차별화된 방송을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은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송 서버(300), 방송 프로그램을 각 지역으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인프라인 방송망(200)을 통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 및 녹화하고, 방송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시청자에 의해 특정된 방송영상에 소정의 시청자 영상을 부가하는 기념 이벤트를 요청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 및 상기 이벤트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방송영상에 상기 기념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시청자가 원하는 기념 영상을 생성하여 시청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재전송하기 위한 방송영상 가공서버(400)를 포함한다.
또한, 방송망(200)은 지상파 DMB 서비스, 위성 DMB 서비스, 위성 TV 방송 등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송 서버(30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방송 위성이나 각 지역에 설치된 중계국을 통해 시청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통신망이다.
더 나아가, 방송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은 인터넷망을 통해서도 제공되므로, 시청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망(500)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방송에 의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도 있다.
상기 방송망(200)을 통해 다수 채널로 송출되는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DMB 수신모듈을 내장하여야 하고, 본 발명에 서 제공하는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를 실행하면서 송수신하는 데이터가 주파수 대역폭이 큰 동영상을 포함하므로, 이에 따른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이하 'MMS'라 함)를 통해 무선 통신하는 기능이 있는 기종이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수신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자에게 제공하며, 시청자의 방송 녹화설정에 의해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다. 시청자는 이러한 녹화 기능을 바탕으로 녹화된 영상 중에서 기념으로 하기 원하는 소정의 방송영상을 추출하여 상기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를 이용한다.
아울러, 방송 프로그램은 상기 방송망(200)을 통해 실시간으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제공되는바,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시청자가 시청하기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예약 녹화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시청자는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시청하지 않아도 추후에 시청할 수 있고, 어느 때나 녹화된 부분 중에서 기념으로 하기 원하는 방송영상을 추출하여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는 시청자가 상기 방송영상의 방송 현장에 직접 가지않아도 현장에서 방생하는 방송 이벤트에 참여한 기분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방송영상을 가공하거나, 시청자가 상기 방송영상을 어느 정도 재편집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이다. 따라서, 시청자가 상기 방송 이벤트에 참여한 것으로 가상 연출하기 위해서는 시청자에 대한 영상소스가 있어야 하며, 상기 방송영상을 시청자가 재편집하기 위해서 상기 방송영상과 관련된 스킵영상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시청자가 방송에 가상 참여한 것을 연출하기 위한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의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벤트 요청하면서 상기 시청자에 대한 영상소스도 함께 방송영상 가공서버(400)로 전송한다. 상기 영상소스는 시청자의 사진, 동영상 등이 포함된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영상소스를 직접 촬영하여 보관하거나, USB 포트 등을 통해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시청자에 의해 상기 방송영상을 재편집하기 위한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의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요청에 응답하는 방송영상 가공서버(400)가 방송 서버(300)와 접속하여 시청자에게 상기 방송영상과 관련된 스킵영상을 제공하고, 시청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스킵영상을 검색하며, 소정의 스킵영상을 선택한다.
방송영상 가공서버(4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이벤트 요청과 함께 상기 방송영상을 인가받고, 상기 방송영상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시청자의 사진, 동영상을 포함하는 영상소스를 합성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기념영상을 생성하며, 생성한 기념 영상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재전송한다. 또한, 상기 방송영상 가공서버(400)는 방송 서버(300)와 연동하여 시청자가 선택한 스킵영상과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인가된 방송영상을 합성, 변조 및 대체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또다른 형태의 기념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한 기념 영상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재전송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시청자가 원하는 이미지로 기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방송영상 가공서버(400)는 영상소스 또는 스킵영상을 포함하는 시청자 영상과 방송영상의 각 이미지 구성객체에 대한 3차원 위치정보를 파악한다. 상기 3차원 위 치정보를 기반으로 시청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바탕으로 하는 상기 시청자 영상의 위치, 크기, 등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방송영상 가공서버(400)가 방송영상과 시청자 영상을 가공 처리하여 기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기본 정보를 습득한다. 또한, 상기 방송영상 가공서버(4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방송영상을 배경으로 하는 시청자 영상을 영상 제어할 뿐만 아니라, 방송영상을 이루는 각 이미지 구성객체의 위치변경, 삭제, 추가 등을 하여 방송영상 자체에 대한 영상 제어를 하는 것도 바람직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방송영상은 정지된 영상 또는 동영상이며, 상기 시청자 영상도 마찬가지로, 시청자 사진 또는 동영상이다. 이에 따라, 방송영상 가공서버(400)는 정지영상과 시청자 사진을 영상 가공처리하거나, 동영상으로 구비되는 방송영상과 시청자 동영상을 영상 가공하여 기념 영상을 생성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송영상 가공서버(400)에 의해 기념 영상(C)을 생성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영상 가공서버(400)는 시청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녹화된 뉴스화면을 추출한 정지영상(A)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시청자 사진(B)를 인가받고, 상기 정지영상(A)와 상기 시청자 사진(B)의 각 이미지 구성객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파악한다. 방송영상 가공서버(400)는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시청자 사진(B)을 정지영상(A)에 자연스럽게 삽입하여 기념 영상(C)을 생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의 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공 시스템에 의해 방송영상을 가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시청자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수신모듈이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지상파 DMB 또는 위성 DMB 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방송망(200)을 통해 다수 채널로 제공되는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 중에서 선택한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받아 시청한다(S100).
시청자는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 및 녹화할 수 있으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전 부분을 녹화하거나 일정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녹화할 수 있다(S102). 또한,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수동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만이 아니라,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가상으로 참여한 것을 연출함으로써, 색다른 즐거움을 느끼기 위한 시청자는 녹화된 부분 중에서 기념으로 하기 원하는 부분인 이벤트용 방송영상을 추출한다(S104).
시청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s Data Network) 등과 같은 표준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망(500) 또는 무선 인터넷을 위한 인프라를 통해 방송영상 가공서버(400)에 접속하여 방송 이벤트를 요청한다(S106). 상기 요청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방송영상 가공서버(400) 간에 방송 이벤트 실행과정에 돌입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방송영상이 방송영상 가공서버(400)로 업 로드된다(S108). 또한, 방송영상 가공서버(400) 는 업 로드된 방송영상을 바탕으로 시청자에게 기념이 될 만한 영상을 생성하기 위하여 시청자가 설정하는 시청자 영상을 제공받는다(S110). 상기 시청자 영상은 시청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되는 시청자 사진(B) 또는 동영상이거나, 상기 방송영상 가공서버(400)가 방송서버와 연동하여 시청자가 시청한 방송 프로그램과 연관된 스킵영상을 검색하고, 소정의 스킵영상을 추출한 것이다.
아울러, 방송영상 가공서버(400)는 시청자의 영상 가공설정에 따라 방송영상에 시청자 영상을 자연스럽게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방송영상과 상기 시청자 영상의 각 이미지 구성객체에 대한 위치정보를 파악한다(S112). 상기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시청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방송영상에 시청자 영상을 원하는 크기, 위치, 등으로 조절하여 기본 가공세팅을 실행한다(S114). 시청자에 의한 기본 가공세팅에 의해 방송영상 가공서버(400)는 방송영상과 시청자 영상을 3차원 합성하여 시청자가 원하는 이미지로 기념 영상(C)을 생성한다(S116). 또한, 방송영상 가공서버(400)는 이렇게 생성한 기념 영상(C)을 시청자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재전송하게 된다(S118).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시청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된 방송 프로그램에 기초한 방송영상과 시청자가 설정한 시청자 영상을 영상 가공하고, 영상 가공하여 생성한 기념 영상을 이동통신 단말기로 재전송하기 위한 방송영상 가공서버를 구비함으로써, 시청자가 수동적으로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이 아니라, 방송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패널들과 기념 촬영한 연출이 가능하고, 방송 현장에 시청자가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현장에서 발생하는 방송 이벤트에 시청자가 참여한 것처럼 가상 연출된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인해 시청자에게 차별화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방송망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방송 서버를 포함하는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통한 무선 인터넷 방송 또는 상기 방송망을 통해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에 기초한 방송영상을 기반으로 하여 방송 이벤트를 요청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상기 이벤트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단말기의 시청자가 설정한 시청자 영상과 상기 방송영상을 합성하는 영상 이미지 가공과, 상기 이미지 가공에 의해 생성된 기념 영상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재전송하기 위한 방송영상 가공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시청자 영상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된 시청자 사진 또는 동영상이거나, 상기 방송영상 가공서버와 연동하는 상기 방송 서버로부터 상기 방송영상에 관련된 스킵영상을 제공받아 시청자에 의해 특정된 소정의 스킵영상인,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망의 무선랜 인프라를 통하거나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ISDN(Integrated Services Data Network)을 포함하는 표준 통신망 기반의 코어 네트워크와 연계된 기지국을 통해 상기 방송영상 가공서버와 무선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영상 가공서버는
    상기 방송영상 및 상기 시청자 영상을 이루는 각 이미지 구성객체에 대한 3차원 위치정보를 소정의 영상 시뮬레이션에 의해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시청자에 의해 설정되는 영상 가공설정 안내 프로세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는
    시청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상기 방송영상 가공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방송영상을 바탕으로 상기 시청자 영상의 배치, 크기를 포함하는 영상 가공조건을 설정하고, 상기 가공조건으로 상기 방송영상 가공서버에 의해 상기 기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기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영상은
    소정의 방송 프로그램상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망은
    지상파 DMB 서비스, 위성 DMB 서비스 및 위성 TV 방송 서비스를 기반으로 상기 방송 서버에서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8. (a) 방송 서버로부터 방송망을 통해 다수 채널로 송출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자 단말기에 영상 녹화하는 단계;
    (b) 녹화된 방송 프로그램 중, 시청자가 기념하기 원하는 소정의 방송영상을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방송영상을 토대로 시청자는 단말기로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에 접속하여 시청자의 가상 연출로 인한 기념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방송 이벤트를 요청하는 단계;
    (d) 시청자가 상기 방송영상에 대한 가상 연출을 위해 요구되는 영상소스인 시청자 영상을 설정하는 단계;
    (e) 상기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에 의해 상기 방송영상에 상기 시청자 영상을 합성하는 영상 이미지 가공을 실행하는 단계; 및
    (f) 영상 이미지 가공에 의해 생성된 기념 영상을 상기 시청자 단말기로 재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시청자가 시청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영상 녹화하거나, 상기 시청자 단말기의 예약설정 기능에 의해 예약 녹화하는, 방송영상 가공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청자 단말기는
    상기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에 접속하기 위하여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이거나, 인터넷망을 통해 유선 통신하는 유선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영상 가공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시청자가 방송현장에서 발생하는 방송 이벤트에 가상 참여한 것으로 연출하기 위해 상기 시청자 영상을 시청자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영상 가공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방송영상을 시청자 의도에 의해 가상 재편집하기 위하여 시청자가 상기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를 통해 상기 방송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방송영상과 관련된 스킵영상 중에서 시청자에 의해 특정된 스킵영상을 상기 시청자 영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영상 가공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는 가공 변환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방송영상 및 상기 시청자 영상을 이루는 각 이미지 구성객체의 3차원 위치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e-2) 상기 위치정보를 토대로 구현된 영상 가공설정 안내에 의해 시청자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영상에 대응하는 상기 시청자 영상의 배치, 크기를 포함한 영상 가공조건을 설정하는 단계; 및
    (e-3) 상기 방송영상 가공 서비스는 상기 영상 가공조건에 매칭하여 상기 방송영상과 상기 시청자 영상을 합성하는 영상 이미지 가공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영상 가공 방법.
KR1020050125482A 2005-12-19 2005-12-19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40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482A KR100740005B1 (ko) 2005-12-19 2005-12-19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482A KR100740005B1 (ko) 2005-12-19 2005-12-19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895A KR20070064895A (ko) 2007-06-22
KR100740005B1 true KR100740005B1 (ko) 2007-07-16

Family

ID=38364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482A KR100740005B1 (ko) 2005-12-19 2005-12-19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0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004B1 (ko) * 2007-09-19 2008-11-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청자 참여를 위한 양방향성 iptv 방송 서비스 방법및 그 시스템
KR101932487B1 (ko) * 2015-07-08 2018-12-26 주식회사 케이티 방송 영상과 카메라로부터 수신한 객체의 영상을 합성하는 방법, 셋톱 박스 및 시스템
KR102212588B1 (ko) * 2016-01-04 2021-02-05 주식회사 케이티 셋톱 박스에서 수행되는 영상 처리 방법, 셋톱 박스 및 영상 처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919A (ko) * 2001-07-02 2003-01-09 에이알비전 (주) 방송 영상에서의 실시간 이미지 삽입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2919A (ko) * 2001-07-02 2003-01-09 에이알비전 (주) 방송 영상에서의 실시간 이미지 삽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895A (ko) 200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2181B2 (ja) 端末機の画像合成装置及び画像合成方法
US7966636B2 (en) Multi-video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80288990A1 (en) Interactive Broadcasting System
US20070079343A1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05704399A (zh) 多画面电视节目的播出方法和系统
JPH0955925A (ja) 画像システム
JP4352196B2 (ja) Cm送受信システム及びこれを用いたcm送受信方法
KR100740005B1 (ko)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
US7609287B2 (en) Two-way broadcasting system allowing a viewer to produce and send a program
JP2007251887A (ja) 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104679A (ja) Dmbサービス中におけるdmbデータの再生のためのdmb端末機及び方法
JP2006086717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再生装置及びレイアウト制御装置
CN1197379C (zh) 创建和发送带有相关信息的视频段的系统和方法
US20080039135A1 (en) Broadcast communication system for mobile phone
TW586012B (en) Real time positioning and audio/video formation supply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5021629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cquiring rights to content for transmission at an event
JP5173269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おける映像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US20070169160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reservation recording method thereof
CN113163219A (zh) 基于主要对象分布的直播画面调整平台及方法
JP5429473B2 (ja) 携帯放送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コミュニティ選択方法
KR101288878B1 (ko) 다중 영상 방송 시스템, 방법, 단말기 방송 서버, 방송 중계 방법, 방송 수신기, 다중 방송 수신 방법 및 저장 매체
JP5013043B2 (ja) 番組配信システム
JP4423173B2 (ja) テレビ受信機、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20391A (ko) 사용자의 능동적 이용이 가능한 방송 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779426B1 (ko)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