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588B1 - 셋톱 박스에서 수행되는 영상 처리 방법, 셋톱 박스 및 영상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셋톱 박스에서 수행되는 영상 처리 방법, 셋톱 박스 및 영상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588B1
KR102212588B1 KR1020160000306A KR20160000306A KR102212588B1 KR 102212588 B1 KR102212588 B1 KR 102212588B1 KR 1020160000306 A KR1020160000306 A KR 1020160000306A KR 20160000306 A KR20160000306 A KR 20160000306A KR 102212588 B1 KR102212588 B1 KR 102212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viding server
user input
top box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361A (ko
Inventor
정영환
이주철
김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60000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5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5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client and server
    • H04N21/658Transmission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04N2005/2726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for simulating a person's appearance, e.g. hair style, glasses,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영상 처리 방법은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이미지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웹뷰 브라우져를 상기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셋톱 박스에서 수행되는 영상 처리 방법, 셋톱 박스 및 영상 처리 시스템{VIDEO PROCESSING METHOD, SEP-TOP BOX AND VIDEO PROCESSING SYSTEM}
본 발명은 셋톱 박스에서 수행되는 영상 처리 방법, 셋톱 박스 및 영상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을 의미 있게 해석하기 위하여 객체 별로 분류하거나 관심 있는 영역으로 나누는 작업을 영상 분류라고 한다. 영상 분류 방법에는 프레임간 비교를 통하여 화소 단위로 Mixture of Gaussian 모델을 생성하여 배경을 분리하는 방법, Bayesian decision 모델, Kernel density 모델 및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객체의 깊이값을 통해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방송 영상과 임의의 영상을 합성하여 셋톱 박스를 통해 송출하기 위한 시도가 있다. 이를 위해 방송 플랫폼에서 방송 영상과 합성 대상 영상을 합성한 후에 합성된 영상을 셋톱 박스로 송출하는 방법이 있으나, 실시간 채널을 합성 대상 영상과 실시간으로 합성하여야 하므로 고사양의 방송 플랫폼이 요구되며, 합성에 소요되는 시간만큼 딜레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셋톱 박스에서 방송 영상과 합성 대상 영상을 실시간으로 합성하는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현재 상용화된 셋톱 박스의 성능으로는 합성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4-0022493호는 레이저를 이용한 영상 출력 장치용 그래픽 유저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A/V 신호 및 그래픽 인터페이스 정보에 따른 이미지를 합성하여 합성된 A/V 신호를 영상 출력부로 출력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영상 및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시키고, 웹뷰 브라우져를 상기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키는 영상 처리 방법, 셋톱 박스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셋톱 박스에서 수행되는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이미지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웹뷰 브라우져를 상기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이미지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웹뷰 브라우져를 상기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하는 이미지 출력부를 포함하는 셋톱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이미지 제공 서버 및 셋톱 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 및 알파 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이미지 및 알파 값에 기초하여 제 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셋톱 박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셋톱 박스는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2 이미지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웹뷰 브라우져를 상기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미디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영상 및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미지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시키고, 웹뷰 브라우져를 상기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키는 영상 처리 방법, 셋톱 박스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셋톱 박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영상 믹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영상과 합성 대상 영상을 합성한 후에 합성된 영상을 셋톱 박스로 송출하기 위하여 고사양의 방송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가 없다.
또한, 컨텐츠 영상 및 이미지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시키고, 웹뷰 브라우져를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킴으로써 실시간으로 합성된 영상을 현재 상용화된 저사양의 셋톱 박스를 통해서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추출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각 이미지의 알파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뷰 브라우져를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이미지 제공 서버(110) 및 셋톱 박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영상 처리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영상 처리 시스템(1)은 이미지 제공 서버(110) 및 셋톱 박스(12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0)은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의 알파 값(Alpha)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알파 값에 기초하여 제 1 이미지의 객체 및 배경을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 및 알파 값을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0)은 기설정된 FPS(frame per sec)으로 제 1 이미지 및 알파 값을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 및 알파 값을 수신할 수 있다. 이미지 제공 서버(110)는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 및 알파 값에 기초하여 제 2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이미지는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포맷일 수 있다. 또한, 제 2 이미지는 배경 이미지가 투명하게 조절된 이미지일 수 있다.
이미지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제 1 이미지의 수신 시각과 매칭하여 제 2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이미지는 이미지 제공 서버(110)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수신 시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제공 서버(110)는 생성된 제 2 이미지를 셋톱 박스(120)로 전송할 수 있다.
셋톱 박스(120)는 미디어 서버(미도시)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는 실시간 채널, VOD(Video On Demand) 등의 모든 IPTV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셋톱 박스(120)는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부터 제 2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셋톱 박스(120)는 수신 시각 정보가 이미지 요청 시각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셋톱 박스(120)의 요청 주기가 제 2 이미지의 다운로드 속도보다 빠른 경우 해당 제 2 이미지가 없을 수 있기 때문에 다음 프레임으로 넘어가기까지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셋톱 박스(120)의 요청 주기가 제 2 이미지의 다운로드 속도보다 느린 경우 실제 실시간 영상 속도보다 재생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셋톱 박스(120)는 제 2 이미지를 수신함에 있어서, 초기 레이턴시(Latency)를 측정하고, 이미지를 요청하는 현재 시각에서 초기 레이턴시를 반영하여 이미지 요청 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셋톱 박스(120)는 “현재 시간+최초 레이턴스 시간”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을 통해 셋톱 박스(120)의 제 2 이미지의 요청 주기가 다운로드 속도와 달라도 현재의 영상과 재생 속도를 맞출 수 있다.
셋톱 박스(120)는 수신한 제 2 이미지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시키고, 웹뷰 브라우져를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킬 수 있다.
셋톱 박스(120)는 제 2 이미지가 컨텐츠 영상에 투영되도록 웹뷰 브라우져의 투명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셋톱 박스(120)는 웹뷰 브라우져를 투명하게 제어할 수 있다.
웹뷰 브라우져를 투명하게 제어함으로써 웹뷰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된 제 2 이미지만이 플레이어에 투영될 수 있다.
웹뷰 브라우져를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키고 제 2 이미지를 일정한 주기로 리프레쉬(Refresh)하면 영상을 직접 합성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두 영상이 믹스(Mix)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배경이 투명한 제 2 이미지를 이용함으로써 배경이 제거된 객체만이 컨텐츠 영상에 합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셋톱 박스(120)는 제 2 이미지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셋톱 박스(120)와 연결된 리모토 콘트롤러(미도시)는 제 2 이미지를 제어하도록 제 1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능키는 제 2 이미지의 출력 위치를 제어하는 방향키 및 제 2 이미지의 크기를 제어하는 업/다운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여 컨텐츠 영상과 믹스를 시도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 1 기능키를 통해 컨텐츠 영상에 투영되는 자신의 모습의 위치 또는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셋톱 박스(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제 2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또는 제 2 이미지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셋톱 박스(120)는 제 2 이미지의 웹뷰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셋톱 박스(120)는 제 2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셋톱 박스(120)와 연결된 리모트 콘트롤러(미도시)는 사용자가 컨텐츠 영상에 투영된 자신의 모습 또는 컨텐츠 영상과 자신의 모습이 믹스된 화면을 캡쳐할 수 있도록 제 2 기능키 및 제 3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능키는 컨텐츠 영상에 투영된 자신의 모습만을 캡쳐하는 기능키이고, 제 3 기능키는 컨텐츠 영상과 자신의 모습이 믹스된 화면을 캡쳐하는 기능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 2 기능키 및 제 3 기능키를 통해 컨텐츠 영상에 투영된 자신의 모습 또는 컨텐츠 영상과 자신의 모습이 믹스된 화면을 캡쳐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컨텐츠 영상에 출력된 자신의 모습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스포츠 채널에 출연한 프로 선수의 자세와 나의 자세를 정밀하게 비교할 수도 있다.
셋톱 박스(120)는 제 2 기능키 또는 제 3 기능키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의 전송을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 요청할 수 있다.
이미지 제공 서버(110)는 셋톱 박스(120)로부터 이미지 요청 시각을 포함하는 제 2 이미지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 시각 정보가 이미지 요청 시각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를 셋톱 박스(120)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제공 서버(110)는 셋톱 박스(120)로부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의 전송 요청을 수신한 경우, 수신 시각 정보가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 2 이미지를 셋톱 박스(120)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셋톱 박스(120)는 제 3 기능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영상의 프레임 중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셋톱 박스(120)가 제 3 기능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이미지 제공 서버(110)는 셋톱 박스(120)로부터 컨텐츠 영상의 프레임 중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신한 프레임 및 수신 시각 정보가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를 합성하여 제 3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 3 이미지는 컨텐츠 영상과 자신의 모습이 믹스된 화면이 캡쳐된 이미지일 수 있다.
이미지 제공 서버(110)는 합성된 제 3 이미지를 셋톱 박스(120) 또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일예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13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120)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LTE(Long Term Evolution), 5G,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Gig(Wireless Gigabit)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 박스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셋톱 박스(120)는 컨텐츠 수신부(200), 이미지 수신부(210), 이미지 출력부(220), 사용자 입력 수신부(230) 및 이미지 제공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2의 셋톱 박스(12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2를 통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 수신부(200)는 미디어 서버(미도시)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텐츠는 실시간 채널, VOD(Video On Demand) 등의 모든 IPTV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수신부(210)는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부터 이미지(제 2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수신부(210)는 이미지 요청 시각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 요청할 수 있다. 이미지는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부터 기설정된 FPS(frame per sec)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미지는 예를 들면, 이미지 제공 서버(110)에 의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알파(Alpha) 맵에 기초하여 객체 및 배경이 분리되고, 배경이 투명하게 처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이미지 제공 서버(110)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제 1 이미지의 수신 시각에 매칭되어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는 이미지 제공 서버(110)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의 제 1 이미지의 수신 시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이미지 수신부(210)의 요청 주기가 이미지의 다운로드 속도보다 빠른 경우 해당 이미지가 없을 수 있기 때문에 다음 프레임으로 넘어가기까지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수신부(210)의 요청 주기가 이미지의 다운로드 속도보다 느린 경우 실제 실시간 영상 속도보다 실시간 영상 속도보다 재생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지 수신부(210)는 이미지를 수신함에 있어서, 초기 레이턴시(Latency)를 측정하고, 이미지를 요청하는 현재 시각에서 초기 레이턴시를 반영하여 이미지 요청 시각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수신부(210)는 “현재 시간+최초 레이턴스 시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을 통해 이미지 수신부(210)의 이미지의 요청 주기가 다운로드 속도와 달라도 현재의 영상과 재생 속도를 맞출 수 있다.
이미지 출력부(220)는 수신한 이미지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시키고, 웹뷰 브라우져를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킬 수 있다.
이미지 출력부(220)는 이미지가 컨텐츠 영상에 투영되도록 웹뷰 브라우져의 투명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출력부(220)는 웹뷰 브라우져를 투명하게 제어할 수 있다.
웹뷰 브라우져를 투명하게 제어함으로써 웹뷰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만이 플레이어에 투영될 수 있다.
웹뷰 브라우져를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키고 이미지를 일정한 주기적으로 리프레쉬(Refresh)하면 영상을 직접 합성하지 않고도 자연스럽게 두 영상이 믹스(Mix)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배경이 투명한 이미지를 이용함으로써 배경이 제거된 객체만이 컨텐츠 영상에 합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230)는 이미지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리모트 콘트롤러(미도시)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트 콘트롤러(미도시)는 제 2 이미지를 제어하도록 하는 제 1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능키는 제 2 이미지의 출력 위치를 제어하는 방향키 및 제 2 이미지의 크기를 제어하는 업/다운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촬영하여 컨텐츠 영상과 믹스를 시도하는 경우, 사용자는 제 1 기능키를 통해 컨텐츠 영상에 투영되는 자신의 모습의 위치 또는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23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또는 이미지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미지 출력부(22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또는 이미지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출력부(220)는 이미지의 웹뷰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되는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230)는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리모트 콘트롤러(미도시)는 사용자가 컨텐츠 영상에 투영된 자신의 모습 또는 컨텐츠 영상과 자신의 모습이 믹스된 화면을 캡쳐할 수 있도록 하는 제 2 기능키 및 제 3 기능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기능키는 컨텐츠 영상에 투영된 자신의 모습만을 캡쳐하는 기능키이고, 제 3 기능키는 컨텐츠 영상과 자신의 모습이 믹스된 화면을 캡쳐하는 기능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 2 기능키 및 제 3 기능키를 통해 컨텐츠 영상에 투영된 자신의 모습 또는 컨텐츠 영상과 자신의 모습이 믹스된 화면을 캡쳐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컨텐츠 영상에 출력된 자신의 모습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스포츠 채널에 출연한 프로 선수의 자세와 나의 자세를 정밀하게 비교할 수도 있다.
이미지 제공부(240)는 제 2 기능키 또는 제 3 기능키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전송을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제공부(240)는 제 3 기능키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영상의 프레임 중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미지 제공부(240)는 제 3 기능키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의 프레임과 제 3 기능키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합성 이미지의 전송을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 요청할 수 있다.
이미지 제공부(240)는 제 2 기능키 또는 제 3 기능키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이미지 또는 합성 이미지를 수신하고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는 컨텐츠 영상에 투영된 자신의 모습에 해당하는 이미지이고, 합성 이미지는 컨텐츠 영상과 자신의 모습이 믹스된 화면이 캡쳐된 이미지일 수 있다.
이미지 또는 합성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또는 합성 이미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셋톱 박스(120)를 통해 출력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추출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각 이미지의 알파 값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100)은 어느 한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300)의 알파 값(Alpha)(310)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파 값(310)은 알파 맵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알파 값(310)을 추출함으로써 이미지(300)의 객체와 배경을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알파 값(310) 및 원본 이미지(320)를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웹뷰 브라우져를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영상에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이 함께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스포츠 채널에 출연한 프로 선수의 자세를 따라 하는 자신의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자신의 모습도 스포츠 채널에 함께 출력시킴으로써 프로 선수의 자세와 사용자 자신의 자세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호하는 애니메이션 채널 또는 드라마 채널에 자신의 모습을 함께 출력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스포츠 채널에 사용자 자신의 모습을 함께 출력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미지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알파 값(310) 및 원본 이미지(320)에 기초하여 새로운 이미지(400, 제 2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이미지(400)는 PNG(Portable Network Graphics) 포맷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제공 서버(110)는 알파 값(310) 및 원본 이미지(320)에 기초하여 배경 이미지(410)는 투명하게 조절하고, 객체(420)의 투명도는 유지시킬 수 있다.
셋톱 박스(120)는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부터 생성된 이미지(400)를 수신하고, 수신한 이미지(400)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430)에 디스플레이시키고, 웹뷰 브라우져(430)를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킬 수 있다.
셋톱 박스(120)는 이미지(400)가 컨텐츠 영상에 투영되도록 웹뷰 브라우져(430)의 투명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셋톱 박스(120)는 웹뷰 브라우져(430)를 투명하게 제어할 수 있다.
웹뷰 브라우져(430)를 투명하게 제어함으로써 웹뷰 브라우져(430)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400)만이 플레이어에 투영될 수 있다. 또한, 배경이 투명한 이미지(400)를 이용함으로써 배경이 제거된 객체(420)만이 컨텐츠 영상에 합성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웹뷰 브라우져(430)를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키고 이미지(400)를 일정한 주기로 리프레쉬(Refresh)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촬영된 영상(400) 중 객체의 영상(450)만을 컨텐츠 영상에 믹스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셋톱 박스(120)와 연결된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제공하는 제 1 기능키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에 믹스된 객체의 영상(450)의 출력 위치 및 크기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촬영 거리 및 각도에 따라 컨텐츠 영상에 믹스되는 객체의 영상(450)의 출력 위치 및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 1 기능키를 이용하여 스포츠 채널에 믹스된 자신의 객체 영상(450)의 크기를 스포츠 채널에 출연한 프로 선수의 크기와 동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프로 선수의 자세를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자신의 객체 영상(450)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셋톱 박스(120)와 연결된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제공하는 제 2 기능키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에 투영된 객체의 영상(450)만을 캡쳐할 수 있다. 또한, 셋톱 박스(120)와 연결된 리모트 콘트롤러에서 제공하는 제 3 기능키를 이용하여 컨텐츠 영상과 객체의 영상(450)이 믹스된 화면을 캡쳐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제 2 기능키 및 제 3 기능키를 통해 스포츠 채널에 투영된 자신의 객체 영상(450)을 캡쳐하거나 스포츠 채널과 자신의 객체 영상(450)이 믹스된 화면을 캡쳐함으로써 사용자 자신이 컨텐츠 영상에 출력된 자신의 모습을 획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처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 수행되는 영상 처리 방법에도 적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0에서 셋톱 박스(120)는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셋톱 박스(120)는 사용자 단말(100)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 서버(1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셋톱 박스(120)는 수신한 이미지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시킬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셋톱 박스(120)는 웹뷰 브라우져를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킬 수 있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영상 처리 방법은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
110: 이미지 제공 서버
120: 셋톱 박스

Claims (19)

  1. 셋톱 박스에서 수행되는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이미지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 및
    상기 웹뷰 브라우져를 상기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되,
    상기 수신한 이미지를 웹뷰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컨텐츠 영상에 투영되도록 상기 웹뷰 브라우져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처리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알파(Alpha) 맵에 기초하여 객체 및 배경이 분리되고,
    상기 이미지의 배경은 투명하게 처리되는 것인, 영상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초기 레이턴시(Latency)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를 요청하는 현재 시각에서 상기 초기 레이턴시를 반영하여 이미지 요청 시각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요청 시각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영상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의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수신 시각에 매칭되어 저장되는 것인, 영상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또는 이미지의 크기를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영상 처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전송을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영상 처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의 프레임의 전송을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영상 처리 방법.
  9. 셋톱 박스에 있어서,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이미지 수신부; 및
    상기 수신한 이미지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웹뷰 브라우져를 상기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하는 이미지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이되,
    상기 이미지 출력부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컨텐츠 영상에 투영되도록 상기 웹뷰 브라우져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것인, 셋톱 박스.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수신부는
    초기 레이턴시(Latency)를 측정하고,
    상기 이미지를 요청하는 현재 시각에서 상기 초기 레이턴시를 반영하여 이미지 요청 시각을 산출하고,
    상기 이미지 요청 시각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것인, 셋톱 박스.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를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출력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되는 위치 또는 이미지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인, 셋톱 박스.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이미지의 전송을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이미지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셋톱 박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부는
    상기 컨텐츠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컨텐츠 영상의 프레임의 전송을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것인, 셋톱 박스.
  15. 영상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이미지 제공 서버; 및
    셋톱 박스
    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 및 알파 값을 수신하고,
    상기 제 1 이미지 및 알파 값에 기초하여 제 2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 2 이미지를 상기 셋톱 박스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셋톱 박스는
    미디어 서버로부터 컨텐츠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 2 이미지를 웹뷰(web view) 브라우져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웹뷰 브라우져를 상기 컨텐츠 영상이 재생되는 플레이어에 오버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되,
    상기 셋톱 박스는 상기 이미지가 상기 컨텐츠 영상에 투영되도록 상기 웹뷰 브라우져의 투명도를 제어하는 것인,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제 1 이미지의 알파(Alpha) 값을 추출하고,
    상기 알파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의 객체 및 배경을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는 상기 알파 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이미지의 배경을 투명하게 처리하여 상기 제 2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 박스는
    상기 제 2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이미지 전송 요청을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제 2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 박스는
    상기 이미지의 전송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컨텐츠 영상의 프레임 중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프레임을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이미지 전송 요청을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는
    상기 셋톱 박스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입력의 수신 시각에 대응하는 프레임 및 제 2 이미지를 합성하고,
    상기 합성된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시스템.
KR1020160000306A 2016-01-04 2016-01-04 셋톱 박스에서 수행되는 영상 처리 방법, 셋톱 박스 및 영상 처리 시스템 KR102212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306A KR102212588B1 (ko) 2016-01-04 2016-01-04 셋톱 박스에서 수행되는 영상 처리 방법, 셋톱 박스 및 영상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306A KR102212588B1 (ko) 2016-01-04 2016-01-04 셋톱 박스에서 수행되는 영상 처리 방법, 셋톱 박스 및 영상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361A KR20170081361A (ko) 2017-07-12
KR102212588B1 true KR102212588B1 (ko) 2021-02-05

Family

ID=59352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306A KR102212588B1 (ko) 2016-01-04 2016-01-04 셋톱 박스에서 수행되는 영상 처리 방법, 셋톱 박스 및 영상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1747B2 (en) 2019-03-20 2021-10-19 Kt Corporation Creating video augmented reality using set-top box
KR102384182B1 (ko) * 2020-05-18 2022-04-07 라이브하이브 주식회사 시청자 참여형 양방향 인터랙션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7921A (ja) * 2009-12-28 2011-07-14 Kyocera Mita Corp 画面切替方法、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面切替制御システム
KR101176649B1 (ko) * 2004-08-09 2012-08-23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동적 프로그래밍에 의한 경계선 매팅
JP2013183209A (ja) * 2012-02-29 2013-09-12 Nagoya Univ 多視点映像ストリーム視聴システム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005B1 (ko) * 2005-12-19 2007-07-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방송영상 가공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649B1 (ko) * 2004-08-09 2012-08-23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동적 프로그래밍에 의한 경계선 매팅
JP2011137921A (ja) * 2009-12-28 2011-07-14 Kyocera Mita Corp 画面切替方法、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面切替制御システム
JP2013183209A (ja) * 2012-02-29 2013-09-12 Nagoya Univ 多視点映像ストリーム視聴システム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361A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71274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ynchronously playing multiple-cameras video
CN106792092B (zh) 直播视频流分镜显示控制方法及其相应的装置
US201502081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User Control of Live Video Stream(s)
US9723123B2 (en) Multi-screen control method and device supporting multiple window applications
US105749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verting live action alpha-numeric text to re-rendered and embedded pixel information for video overlay
US88302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to device
CN105580013A (zh) 通过搜索多个用户评论并将其覆盖到内容中来浏览视频
JP6178705B2 (ja) 映像配信システム、映像配信装置及び映像配信プログラム
KR20150014722A (ko) 스크린 샷을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그리고 방법
JP6940125B2 (ja) 放送サービス再送信システムおよび視聴用携帯端末
CN103888840B (zh) 一种视频移动终端实时拖动与缩放的方法及装置
JP2013255210A (ja) 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プログラム
US20200213631A1 (en) Transmission system for multi-channel imag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multi-channel image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KR20180038256A (ko) Vr 스트림의 지연을 보상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7592549A (zh) 基于双向通信的全景视频播放拍照系统
KR102212588B1 (ko) 셋톱 박스에서 수행되는 영상 처리 방법, 셋톱 박스 및 영상 처리 시스템
CN113315927B (zh) 视频处理方法和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852757A (zh) 视频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150011652A (ko) 클립 동영상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미리보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
KR101295002B1 (ko) Sns 정보를 이용한 파노라마 영상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13944B1 (ko) 복수의 단말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셋톱박스 및 방법
KR100701019B1 (ko) 휴대폰 카메라를 이용한 통합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200820B1 (ko) 알파맵(Alpha Map) 분석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셋톱 박스 및 방법
Seo et al. Immersive panorama TV service system
KR102465403B1 (ko) 2d영상 및 360도 영상이 조합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