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9426B1 -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9426B1
KR100779426B1 KR1020060047474A KR20060047474A KR100779426B1 KR 100779426 B1 KR100779426 B1 KR 100779426B1 KR 1020060047474 A KR1020060047474 A KR 1020060047474A KR 20060047474 A KR20060047474 A KR 20060047474A KR 100779426 B1 KR100779426 B1 KR 100779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net
broadcasting
module
broadcast
internet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대윤
Original Assignee
(주)제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노 filed Critical (주)제노
Priority to KR1020060047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94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1Billing for the use of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9Arrangements for monitoring broadcast services or broadcast-related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내장된 미디어 장치나 전용 연결 케이블을 통하여 입력되는 미디어 소스를 인터넷 방송을 위한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딩 모듈,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가공 및 편집하여 방송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영상 편집 모듈,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방송용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인터넷 방송으로 송출되도록 스케줄을 설정하는 라이브 스케줄 모듈, 특정 저장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방송용 컨텐츠를 소정의 시간에 방송되도록 설정하는 파일 스케줄 모듈, 라이브 스케줄 모듈 또는 파일 스케줄 모듈에 따라서,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방송용 컨텐츠를 IDC(Internet Data Center)의 할당된 계정으로 업로딩하는 업로딩 모듈, 인터넷 방송 전용 웹 페이지를 운영하는 웹 서버, 인터넷 방송 전용 웹 페이지에 상응하여 인터넷 방송 전용 팝업 화면(Window)을 생성하는 웹 페이지 생성기-여기서, 인터넷 방송 전용 팝업 화면(Window)은 웹 서버에 의하여 인터넷 방송 전용 웹 페이지에 연동됨- 및 웹 서버에 결합하며, 업로딩된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방송용 컨텐츠를 인터넷 방송 전용 팝업 화면(Window)을 통하여 송출하는 미디어 서버를 포함한다.
인터넷, 방송, 장치

Description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Mobile internet broadcast station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메모리 시스템 및 중앙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모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모듈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서비스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 전용 팝업 화면(Window) 생성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은 엄청난 속도로 발전 및 확산되어 현대인의 생활의 깊숙한 곳까지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한 방송은 인터넷 사업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터넷 방송과 기존의 방송을 비교해 봄으로써 인터넷 방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기존의 모든 방송 시스템은 단방향 정보 전달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즉, 기본적으로 방송을 수신하는 방송국과 이를 중계하는 매개체 및 이를 받아들이는 수신기로 구성된다. 기존 방송과 인터넷 방송은 매개체가 각각 전파 및 인터넷이라는 것과 수신기가 텔레비전 및 인터넷 접속기기(예를 들어, PC, 이동 단말 등)라는데 차이가 있을 뿐,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또한 기존의 방송 시스템과 같이 인터넷 방송은 영상과 음성 전달에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방송과 인터넷 방송은 많은 차이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기본적 으로 단방향에서 출발한 매체와 양방향으로 출발한 매체이기에 발생하는 차이이다.
즉, 기존의 방송 시스템에서는 시청자에게 1:다수로 방송하기 때문에 결정적인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방송 시스템은 많은 사람들에게 같은 내용을 보내주는 시스템을 위주로 하다 보니 개개인에 대한 배려는 채널수를 늘려 전문화하는 정도 이외에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시청자가 만일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이나 정보를 지속적으로 알려면 계속 방송을 시청하고 있다가 원하는 프로그램이 방영되는 시간대를 일부러 찾아야 하거나 비디오 등의 다른 매체를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인터넷 방송은 일정한 방송 시간뿐만 아니라 내용에 있어서도 시청자가 스스로 재구성할 수 있으며 자신이 원하는 내용으로 구성된 자신만의 채널을 시간, 공간의 제약 없이 수신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텔레비전처럼 이미 출현한 지 오래된 하드웨어와 기술이 아닌 컴퓨터와 결합된 멀티미디어 기술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영상과 음성이라는 제약을 넘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심지어는 가상현실 공간마저도 자유롭게 방송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 방송이 기존 방송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지만, 적용 과정에서 아래에서 나열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1) 미디어 서버를 이용하기 위해 고정적으로 IDC(Internet Data Center)를 임대해서 사용해야함.
(2) 소형 인터넷 방송국 운영자가 장비 설치, 서비스 이용 및 IDC 임대 등에 있어서의 부담이 큼.
(3) 일회성 이벤트(인터넷 영상 중계)를 위해 고가의 장비 및 IDC의 미디어서버 임대는 불가능한 실정.
(4) 인터넷 방송국들의 분산된 미디어 서버(Media Server)의 이용으로 잉여 대역폭이 존재하여 비효율적임.
(5) 시스템 판매의 일회성 수익으로 지속적인 수익 모델이 될 수 없음.
(6) 복잡하고 고정형인 인터넷 방송장비의 특성상 이동이 어려워 일정한 장소에서만 방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공간적인 한계가 있음.
(7) 인터넷 방송을 위해서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하고 인터넷 방송을 위한 기본 지식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은 전문 업체의 도움 없이는 인터넷 방송국 운영이 거의 불가능한 실정임.
(8) 인코딩 서버(Encoding Server), 미디어 서버(Media Server) 및 웹 서버(Web Server)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음.
(9) 소규모 방송국 운영을 위해서 별도의 미디어 서버를 구성해야 하고, 인터넷 방송용 웹페이지를 방송할 URL의 웹서버에 매번 새롭게 제작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따름.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공급부터 서비스 운영 및 제작된 영상 컨텐츠의 저작권 관리까지 턴키(Turnkey) 방식으로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모바 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별도의 계약 없이 기존의 웹 서버를 활용하여 VOD 및 라이브 스트리밍(Live Streaming) 인터넷 방송을 원하는 위치(URL)에서 실현할 수 있는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코딩 서버, 미디어 서버 및 웹 서버의 기능을 통합(Conversion)한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 및 휴대가 가능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 방송을 실현할 수 있는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가 몇 차례의 조작만으로도 인터넷 방송을 실현할 수 있는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전문가급 인터넷 방송을 실현할 수 있는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장된 미디어 장치나 전용 연결 케이블을 통하여 입력되는 미디어 소스를 인터넷 방송을 위한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딩 모듈,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가공 및 편집하여 방송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영상 편집 모듈,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상기 방송용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인터넷 방송으로 송출되도록 스케줄을 설정하는 라이브 스케줄 모듈, 특정 저장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상기 방송용 컨텐츠를 소정의 시간에 방송되도록 설정하는 파일 스케줄 모듈, 상기 라이브 스케줄 모듈 또는 상기 파일 스케줄 모듈에 따라서,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상기 방송용 컨텐츠를 IDC(Internet Data Center)의 할당된 계정으로 업로딩하는 업로딩 모듈, 인터넷 방송 전용 웹 페이지를 운영하는 웹 서버, 상기 인터넷 방송 전용 웹 페이지에 상응하여 인터넷 방송 전용 팝업 화면(Window)을 생성하는 웹 페이지 생성기-여기서, 상기 인터넷 방송 전용 팝업 화면(Window)은 상기 웹 서버에 의하여 상기 인터넷 방송 전용 웹 페이지에 연동됨- 및 상기 웹 서버에 결합하며, 상기 업로딩된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방송용 컨텐츠를 상기 인터넷 방송 전용 팝업 화면(Window)을 통하여 송출하는 미디어 서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인터넷 방송을 위한 상기 미디어 서버의 이용료를 사용자에게 부과하는 전자 결제 과금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상기 전자 결제 과금 시스템에 결합하며, 인터넷 방송되는 상기 미디어 소스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DRM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관리하는 관리자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코딩 모듈은 대역폭에 맞게 상기 미디어 소스를 멀티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미디어 소스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미디어 소스를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를 사용자의 조작을 바탕으로 가공 및 편집하여 방송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상기 방송용 컨텐츠를 IDC(Internet Data Center)의 할당된 계정으로 업로딩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터넷 방송을 위한 URL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URL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에 연동하여 인터넷 방송 전용 화면(Window)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방송 전용 화면(Window)을 통하여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상기 방송용 컨텐츠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위한 URL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소정의 접속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URL 및 상기 접속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웹 페이지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바탕으로 인터넷 방송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에 상응하는 코드(code)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코드를 상기 특정 웹 페이지에 삽입하여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위한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삽입된 코드에 의하여 인터넷 방송용 화면(Window)이 출력됨-를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용 웹 페이지 생성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101)는 미디어 소스(103)를 입력받는다. 미디어 소스(103)는 영상 및/또는 음향을 포함하며 비디오테이프, 카세트테이프, 공중파 방송, DVD, VCD, Divix, 실시간 카메라 영상, 실시간 음향, 화면 캡처 영상, CCTV, DVR, 다양한 포맷의 멀티 미디어, 그 밖의 모든 아날로그 영상, 음향이 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소스(103)는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101)의 전용 연결 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101)는 입력된 미디어 소스(103)를 인터넷 방송을 위한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디지털화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101)는 대역폭에 맞게 상기 미디어 소스(103)를 멀티 인코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101)의 관리자 모듈을 통하여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를 라이브로 방송될 컨텐츠인지 혹은 VOD로 방송될 컨텐츠인지로 나누어 정리할 뿐만 아니라, 인코딩되어 디지털화된 미디어 컨텐츠를 카테고리별로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101)의 영상 편집 모듈을 이용하여 인코딩된 미디어 컨텐츠를 가공 및 편집하며, 라이브 스케줄 모듈 또는 파일 스케줄 모듈에 맞추어 편집된 미디어 콘텐츠를 미디어 서버로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101)의 업로딩 모듈을 이용하여 업로딩한다. 인터넷 방송 시청자는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101)의 웹 서버에 의하여 운영되는 인터넷 방송용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가 송출하는 편집된 미디어 컨텐츠를 청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방송 시청자는 웹 사용자, 모바일 사용자 및 IP TV 사용자를 포함하며, 각각 PC(105), 이동 전화(105) 및 IP TV(105)를 통하여 상기 인터넷 방송용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101)의 전자 결제 과금 시스템을 통하여 인터넷 방송을 위한 IDC(Internet Data Center)의 미디어 서버의 이용료를 방송을 하고자하는 사용자에게 부과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메모리 시스템 및 중앙 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메모리 시스템(201)과, 여기에 연결되어 고속 동작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203), 인코딩 서버(205), 미디어 서버(207), 웹 서버(209), 듀얼 디스플레이(211), 미디어 입력 장치(213), 원격 관리 네트워크 모듈(215) 등을 포함한다.
중앙 처리 장치(203)는 계산을 수행하기 위한 ALU(Arithmetic Logic Unit: 305)와, 데이터 및 명령어의 일시적인 저장을 위한 레지스터(307) 및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309)를 포함한다. 중앙 처리 장치(203)는 디지털(Digital) 사의 알파(Alpha), MIPS 테크놀로지, NEC, IDT, 지멘스(Siemens) 등의 MIPS, 인텔(Intel)과 사이릭스(Cyrix), AMD 및 넥스젠(Nexgen)을 포함하는 회사의 x86 및 IBM과 모토롤라(Motorola)의 파워PC(PowerPC)와 같이 다양 한 아키텍쳐(Architecture)를 갖는 프로세서일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201)은 일반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 과 ROM(Read Only Memory) 같은 저장 매체 형태인 고속의 메인 메모리(301)와,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테이프, CD-ROM, 플래시 메모리 등의 장기(long-term) 저장 매체 형태의 보조 메모리(303) 및 전기, 자기, 광학이나 그 밖의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메모리(301)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코딩 서버(205)는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전용 연결 케이블을 통하여 입력되는 미디어 소스를 인터넷 방송을 위한 포맷으로 인코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코딩 서버(205)는 입력된 미디어 소스를 대역폭(예를 들어, 128K, 256K, 512K 등)에 맞게 멀티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서버(207)는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편집된 미디어 소스를 송출하여 인터넷 방송을 수행한다. 상기 웹 서버(209)는 인터넷 방송 시청자가 접하여 인터넷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운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듀얼 디스플레이(211)는 인코딩 전의 미디어 소스 및 인코딩 서버(205)에 의하여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를 출력하며, 인터넷 방송되는 미디어 컨텐츠를 직접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미디어 입력 장치(213)는 다양한 미디어 소스를 제공하는 비디오테이프, 카세트테이프, DVD, VCD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원격 관리 네트워크 모듈(215)은 사용자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조작할 수 있는 환경 및 기능을 제공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모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모듈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미디어 소스를 실시간으로 인터넷 방송을 할 수 있도록 미리 날짜별 요일별 및 시간별 스케줄을 설정하는 라이브 스케줄 모듈(403),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특정 저장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 미디어 소스를 파일별로 일정 시간에 인터넷 방송되도록 설정하는 파일 스케줄 모듈(405),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가공하고 편집(예를 들어, Lay-Out 설정, 화면 구성, 로고 입력, 자막 처리 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동영상 편집기(407), 사용자가 원격으로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 관리 모듈(409), 인터넷 방송을 위한 IDC의 미디어 서버 이용료를 방송을 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부과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과금 시스템(411), 라이브로 방송될 컨텐츠와 VOD로 방송될 컨텐츠를 나누어 관리하는 VOD 및 라이브 방송 빌더(413), 사용자의 로그를 분석하는 사용자 로그 분석기(415), 방송되는 컨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모듈로서 기간별, 복사 횟수별,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 권한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DRM 인증 모듈(417), 사용자가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조작하도록 하는 관리자 모듈(4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다양한 OS(Operating System)를 시스템의 OS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OS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410)에 하이 레벨 명령어를 제공하여 각 응용 모듈(440)의 동작을 제어한다.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API(410)로부터 제공되는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대응하는 각 응용 모듈(440)을 식별하고, 하이 레벨 명령어를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곳으로 제공하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420)를 포함한다. 응용 모듈 제어부(430)는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420)로부터 제공된 명령어에 따라 응용 모듈(4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하이 레벨 명령어 처리부(420)는 API(410)를 통하여 제공된 하이 레벨 명령어에 따라 여기에 대응하는 응용 모듈(440)이 존재하는지를 식별하고, 대응되는 응용 모듈(440)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응용 모듈(440)에서 인식할 수 있는 명령어로 디코딩하여 해당하는 매핑부에 전송하거나 메시지 전송을 제어한다. 따라서, 응용 모듈 제어부(430)는 각 응용 모듈(440)에 대한 모듈 매핑부(450)와 모듈 인터페이스부(460)를 각각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응용 모듈(440)은 상기 라이브 스케줄 모듈(403), 상기 파일 스케줄 모듈(405), 상기 동영상 편집기(407), 상기 원격 관리 모듈(409), 상기 과금 시스템(411), 상기 VOD 및 라이브 방송 빌더(413), 상기 사용자 로그 분석기(415), 상기 DRM 인증 모듈(417), 상기 관리자 모듈(4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면 부호 501은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환경(UI)을 나타내며, 도면 부호 503은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본체 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05는 미디어 소스 입력 단자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07은 인코딩 및 네트워크 상황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09는 사용자가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통합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조정 장치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11은 인코딩 전의 미디어 소스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13은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를 인터넷 방송으로 송출한 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15는 미디어 서버의 접속자 현황 및 서비스 현황에 대한 그래프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17은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의 파일 스케줄 컨트롤러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19는 라이브 스케줄 컨트롤러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21은 유무선 네트워크 연결 장치(모뎀 및 LAN)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23은 내장된 미디어 장치(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비디오 플레이어, 카세트 데크 등)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25는 인코딩 전후의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장치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27은 충격 흡수형 하드 케이스(손가방 타입)를 나타내며, 도면 부호 529는 외부 장치 입출력 단자(마우스, 키보드, 프로젝터, 프린터, 스캐너 등)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서비스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서비스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미디어 소스인 방송 소스(601)를 입력받는다. 방송 소스(601)는 영상 및/또는 음향을 포함하며 비디 오테이프, 카세트테이프, 공중파 방송, DVD, VCD, Divix, 실시간 카메라 영상, 실시간 음향, 화면 캡처 영상, CCTV, DVR, 다양한 포맷의 멀티 미디어, 그 밖의 모든 아날로그 영상, 음향이 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소스(601)는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전용 연결 케이블(미도시)을 통하여 입력되거나, 내장된 미디어 장치(523, 도 5 참조)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인코딩 모듈(603)은 입력된 방송 소스(601)를 인터넷 방송을 위한 포맷으로 인코딩하여 디지털화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인코딩 모듈(603)은 대역폭(예를 들어, 128K, 256K, 512K 등)에 맞게 상기 방송 소스(601)를 멀티 인코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테고리를 관리하는 관리자 모듈(605)을 통하여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를 라이브로 방송될 컨텐츠인지 혹은 VOD로 방송될 컨텐츠인지로 나누어 정리할 뿐만 아니라, 인코딩되어 디지털화된 미디어 컨텐츠를 카테고리별로 전반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영상 편집 모듈(609)을 이용하여 인코딩된 미디어 컨텐츠를 가공 및 편집(예를 들어, Lay-Out 설정, 화면 구성, 로고 입력, 자막 처리 등)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라이브 스케줄 모듈(611)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방송 소스(601)를 실시간으로 인터넷 방송을 할 수 있도록 미리 날짜별, 요일별, 시간별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파일 스케줄 모듈(613)을 이용하여 특정 저장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 소스(601)를 파일별로 일정 시간에 방송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그 후,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라이브 스케줄 모듈(611) 또는 파일 스케줄 모듈(613)을 바탕으로, 편집된 방송 소스(601)인 방송 컨텐츠를 업로딩 모듈(607)을 이용하여 IDC의 할당된 계정으로 업로딩한다.
웹 페이지 생성기(619)는 원하는 웹 페이지에 인터넷 방송 전용 팝업 화면(Window)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이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지정된 URL에서 인터넷 방송을 위하여 새로 생성되는 화면(Window)에 인터넷 방송이 출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웹 서버(617)는 인터넷 방송의 시청자가 접하는 인터넷 방송 전용 웹 페이지를 운영하며, 방송 컨텐츠가 출력되는 상기 화면(Window)을 연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미디어 서버(615)는 상기 웹 서버(617)와 결합하여, 실제 업로딩된 방송 컨텐츠를 인터넷 방송을 위하여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넷 방송 시청자는 인터넷(627)을 통하여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웹 서버(617)에 의하여 운영되는 인터넷 방송용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상기 미디어 서버(615)가 송출하는 방송 컨텐츠를 청취할 수 있다. 상기 인터넷 방송 시청자는 웹 사용자, 모바일 사용자 및 IP TV 사용자를 포함하며, 각각 PC(629), 이동 전화(629) 및 IP TV(629)를 통하여 상기 인터넷 방송용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전자 결제 과금 시스템(621)을 통하여 인터넷 방송을 위한 IDC(Internet Data Center)의 미디어 서버의 이용료를 방송을 하고자하는 사용자에게 부과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 결제 과금 시스템(621)은 방송 시간별 과금, 동시 접속자 수에 따른 과금, 월정액 과금, 대역폭별 과금 등으로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신용카드, 선불카드, 전자쿠폰 등의 다양한 결재 방식을 채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인 저작권자가 원할 경우에 컨텐츠별로 시청료를 상기 인터넷 방송 시청자에게 부과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DRM 서버(623)는 방송되는 모든 컨텐츠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데, 구체적으로 기간별, 복사 횟수별, 사용 횟수별, 기타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 권한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DRM 서버(623)는 상기 전자 결제 과금 시스템(621)에 부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모듈(625)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과금 시스템(621), DRM 서버(623), 미디어 서버(615), 웹 서버(617) 등을 관리할 수 있는 환경 및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이용한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방송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를 구입하여 사용자 등록을 함으로써 사용을 개시한다(단계 701, 단계 703). 사용자 등록에 의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단계 705)이 수행되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유효하면 사용자 확인 및 기기 사용인증(단계 709)이 수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인증서버에서 사용자 인증(단계 707)이 수행된다. 단계 707에서 인증 서버에서 사용자에 대한 재인증이 수행되며, 그 후 단계 709가 수행된다. 단계 709에서 사용자 확인 및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에 대한 사용 이 인증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영상 및 음향을 포함하는 미디어(방송) 소스가 입력되면(단계 711),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인코딩 모듈에 의하여 상기 미디어 소스가 인코딩된다(단계 713). 인코딩 과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 후, 사용자는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영상 편집 모듈을 이용하여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를 편집할 수 있다(단계 715). 그 후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개시하는 지에 대하여 판단(단계 717)하며,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개시하지 않으면 단계 719를 수행하고,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개시하면 단계 723을 수행한다. 단계 719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저장 장치(하드 디스크, CD롬, DVD 등)에 인코딩되어 디지털화된 컨텐츠를 저장한 후, 과정을 종료한다(단계 721).
단계 717에서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개시하면, 단계 723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인터넷 방송용으로 설정하며 컨텐츠를 지정한다. 그 후,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인터넷 방송 URL을 지정하며(단계 725), 지정된 위치에 인터넷 방송 전용화면(Window)을 생성한다(단계 727). 그 후,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미디어 서버의 사용 인증이 유효한지 여부를 판단하며(단계 729), 유효하면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위한 과정을 수행하며(단계 733), 유효하지 않으면 전자 결제 과금(빌링) 서버를 통하여 사용료를 전자 결재를 수행한다(단계 731).
단계 735에서,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인터넷 방송 서비스 형태를 선택한다.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인터넷 방송 서비스의 형태가 VOD 서비스이면 VOD스트리밍컨트롤러에서 미디어서버 VOD D/B로 컨텐츠를 전송하고 사용자 요청에 의한 VOD방송(단계 737 내지 단계 743)을 수행하여 VOD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인터넷 방송 서비스의 형태가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이면 라이브스트리밍 컨트롤러에서 미디어서버로 라이브 D/B 컨텐츠를 전송(단계 745 내지 단계 749)을 수행하여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방송 전용 팝업 화면(Window) 생성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의 웹 페이지 생성기(619, 도 6 참조)는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하여 실행되면(단계 801),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위한 URL을 입력하도록 사용자에게 요청한다(단계 803). 상기 요청에 의하여 사용자가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위한 URL을 입력하면(단계 805), 상기 웹 페이지 생성기는 입력된 URL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에 상응하여 인터넷 방송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소정의 접속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807).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URL에 상응하는 대표 웹 페이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그 후, 사용자가 상기 접속 정보의 요청에 호응하여 접속 정보(예를 들어, FTP 주소, 식별자 및 패스워드, 대표 웹 페이지)를 입력하면(단계 809), 상기 웹 페이지 생성기는 상기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대표 웹 페이지를 호출한다(단계 811). 단계 811에서 상기 웹 페이지 생성기는 소정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웹 페이지 생성기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인터넷 방송 정보가 설정되면(단계 813), 상기 설정된 인터넷 방송 정보에 상응하는 코드(code)를 생성한 후, 상기 대표 웹 페이지에 삽입(단계 815)함으로써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위한 웹 페이지를 생성한다(단계 817).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는 예를 들어, 인터넷 방송 설정 정보, 화면 크기 및 Lay Out 설정 정보, VOD 리스트 구조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웹 페이지에 의하여 생성된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위한 웹 페이지를 통하여 VOD 서비스, 라이브 서비스 등의 인터넷 방송이 서비스된다(단계 819).
도 8을 참조한 인터넷 방송 전용 팝업 화면(Window) 생성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는 인터넷 방송 기능이 없는 웹 페이지에도 일정한 접속 정보 및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등의 몇 번의 클릭만으로도 인터넷 방송 정보에 해당하는 코드가 자동으로 상기 웹 페이지에 삽입됨으로써, 용이하게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을 통하여, (1) 복잡한 인터넷 방송 장비를 하나의 장비에서 모두 구현하며, (2) 휴대성과 이동성이 강화되어 방송 소스의 다양화가 가능하며, (3) 한 번의 조작으로 인터넷 방송을 실현할 수 있으며, (4) 사용자 친화적 UI를 제공할 수 있으며, (5) 인터넷 방송의 저변화를 실현하며, (6) 1인 미디어 시대의 최적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을 통하여 인터넷 방송국 운영자의 측면에 있어서, (1) 저렴한 이용료로 자신만의 전세계 기반의 방송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으며, (2) 방송 횟수가 불규칙한 인터넷 방송국에 최적의 과금이 적용될 수 있으며, (3) 손쉬운 미디어 서버의 용량 증설이 가능하며, (4) 실시간 시청자 및 청취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5) 활성화된 인터넷 방송국의 경우 컨텐츠 판매 및 광고 수익 등이 발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내장된 미디어 장치나 전용 연결 케이블을 통하여 입력되는 미디어 소스를 인터넷 방송을 위한 포맷으로 인코딩하는 인코딩 모듈;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가공 및 편집하여 방송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영상 편집 모듈;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상기 방송용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인터넷 방송으로 송출되도록 스케줄을 설정하는 라이브 스케줄 모듈;
    특정 저장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상기 방송용 컨텐츠를 소정의 시간에 방송되도록 설정하는 파일 스케줄 모듈;
    상기 라이브 스케줄 모듈 또는 상기 파일 스케줄 모듈에 따라서,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상기 방송용 컨텐츠를 IDC(Internet Data Center)의 할당된 계정으로 업로딩하는 업로딩 모듈;
    인터넷 방송 전용 웹 페이지를 운영하는 웹 서버;
    상기 인터넷 방송 전용 웹 페이지에 상응하여 인터넷 방송 전용 팝업 화면(Window)을 생성하는 웹 페이지 생성기-여기서, 상기 인터넷 방송 전용 팝업 화면(Window)은 상기 웹 서버에 의하여 상기 인터넷 방송 전용 웹 페이지에 연동됨-; 및
    상기 웹 서버에 결합하며, 상기 업로딩된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방송용 컨텐츠를 상기 인터넷 방송 전용 팝업 화면(Window)을 통하여 송출하는 미디어 서 버를 포함하는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인터넷 방송을 위한 상기 미디어 서버의 이용료를 사용자에게 부과하는 전자 결제 과금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결제 과금 시스템에 결합하며, 인터넷 방송되는 상기 미디어 소스의 저작권을 관리하는 DRM 서버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상기 전자결제 과금 시스템, 미디어 서버, 웹 서버, DRM 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 모듈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모듈은 대역폭에 맞게 상기 미디어 소스를 멀티 인코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6. 미디어 소스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미디어 소스를 인코딩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를 사용자의 조작을 바탕으로 가공 및 편집하여 방송용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상기 방송용 컨텐츠를 IDC(Internet Data Center)의 할당된 계정으로 업로딩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인터넷 방송을 위한 URL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URL에 상응하는 웹 페이지에 연동하여 인터넷 방송 전용 화면(Window)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터넷 방송 전용 화면(Window)을 통하여 상기 인코딩된 미디어 소스 또는 상기 방송용 컨텐츠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7. 사용자로부터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위한 URL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FTP 주소, 식별자 및 패스워드, 대표 웹페이지를 포함하는 소정의 접속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URL 및 상기 접속 정보를 바탕으로 특정 웹 페이지를 호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조작을 바탕으로 인터넷 방송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방송 정보에 상응하는 코드(code)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코드를 상기 특정 웹 페이지에 삽입하여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위한 웹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삽입된 코드에 의하여 인터넷 방송용 화면(Window)이 출력됨-를 포함하는 인터넷 방송용 웹 페이지 생성 방법.
KR1020060047474A 2006-05-26 2006-05-26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 KR100779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474A KR100779426B1 (ko) 2006-05-26 2006-05-26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474A KR100779426B1 (ko) 2006-05-26 2006-05-26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426B1 true KR100779426B1 (ko) 2007-11-26

Family

ID=3908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474A KR100779426B1 (ko) 2006-05-26 2006-05-26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9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408A (ko) 2017-05-08 2018-11-16 아바드(주) 개인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단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586A (ko) * 2001-10-11 2003-04-18 박연일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586A (ko) * 2001-10-11 2003-04-18 박연일 디지털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3408A (ko) 2017-05-08 2018-11-16 아바드(주) 개인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7266B2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安全な転送およびプレイバック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TWI441520B (zh) 由媒體流產生長度可變之片段之系統及方法
JP2006245807A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2015126465A (ja) 放送受信装置
JP6412164B2 (ja) 視聴システム、放送受信装置、携帯端末、番組録画および視聴方法、および録画番組の視聴方法
US20150135208A1 (en) Content distribution control program, content distribution control device, content distribution device and content distribution system
JP5059616B2 (ja) マルチ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安全な転送およびプレイバック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WO2002091191A1 (fr) Recepteur
US20130163965A1 (en)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8147759A (ja) 配信システムとそのレコーダ装置、端末装置及び番組録画・配信方法
KR100779426B1 (ko) 모바일 인터넷 방송 장치 및 방법
JP7065218B2 (ja) 放送受信装置
JP7071561B2 (ja) 放送受信装置
JP6744439B2 (ja) 放送受信装置
KR20120060986A (ko) 방송 컨텐츠 운용방법 및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아이피티비
KR100655498B1 (ko) 인터넷 상의 개인 텔레비전 시스템 구축방법
KR101054577B1 (ko) 사용자 단말에 방송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36398A (ko) 유무선망을 통한 방송 서비스 제공 서버, 방법 및 기록 매체
TWI653884B (zh) 數位看板系統
JP2017183820A (ja) 放送受信装置
JP2017183831A (ja) 放送受信装置
JP2015118713A (ja) 管理サーバー、番組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30075865A (ko) 휴대 단말의 위치와 연계한 방송 콘텐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34097A (ko) 클라우드 환경에서 녹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21010180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