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589B1 -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589B1
KR100739589B1 KR1020070006648A KR20070006648A KR100739589B1 KR 100739589 B1 KR100739589 B1 KR 100739589B1 KR 1020070006648 A KR1020070006648 A KR 1020070006648A KR 20070006648 A KR20070006648 A KR 20070006648A KR 100739589 B1 KR100739589 B1 KR 100739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round ridge
groove
roun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은
Original Assignee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filed Critical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Priority to KR1020070006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9/00Finishing or dressing, of textile fabric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원단의 이음부위에 형성되어 고급스러운 효과를 내는 둥근마루 무늬를 직물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은 원단의 일 측에 환형으로 오목하게 요입되어, 다양한 무늬로 이루어지는 둥근마루홈과; 상기 둥근마루홈의 내부에 내장되어 요입된 공간을 채우며, 둥근마루홈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가 둥근마루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둥근마루홈을 덮어 원단에 부착되는 커버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의 형성방법은 환형으로 요입된 요입홈이 형성된 테이블의 상부에 원단을 위치시키는 준비단계와; 상기 요입홈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원단이 상기 요입홈의 형상대로 오목하게 둥근마루홈을 형성하는 흡기단계와; 상기 둥근마루홈의 요입된 공간을 채우도록 삽입부재를 삽설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둥근마루홈을 덮도록 원단의 상부에 커버천을 부착하여 다림질하는 마무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둥근마루, 무늬, 직물, 원단

Description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fabric with round ridge pattern and mak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형성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준비단계의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흡기단계의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삽입단계의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마무리단계의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둥근마루홈 20 : 삽입부재
30 : 커버천 40 : 접착제
50 : 봉제선 60 : 테이블
61 : 요입홈 62 : 판부재
63 : 흡입공 90 : 원단
100 : 둥근마루무늬
본 발명은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 원단의 이음부위에 형성되어 고급스러운 효과를 내는 둥근마루 무늬를 직물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둥근마루 무늬를 직물에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더플코트에 사용되는 이중원단이나 두꺼운 직물을 원단으로 하는 의복을 제작함에 있어, 두 원단이 서로 이어져 봉제 되는 부위 또는 의복의 가장자리는 두 원단을 서로 교차하여 봉제선을 형성하는 것이었으며, 이에 따라 이음 부위는 불가피하게 두텁게 형성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두텁게 형성된 부위를 이하 둥근마루라 명칭하여 용어의 통일성을 이룬다.
상기 두 원단의 봉제선은 통상 수작업을 통해 스티치(stitch)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의복의 이음부위가 둥근마루로 이루어지면 수제(handmade)품이라는 것이 드러나게 되어 고급스러운 효과를 내며, 미싱작업과 같은 기계작업에서는 절대 모방할 수 없는 미려함을 갖기 때문에, 의복에 형성된 둥근마루만으로도 상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상기 둥근마루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은 두 원단의 이음 부위에만 형 성시킬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고, 수작업을 통해 제작되기 때문에 대량생산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두 원단의 이음부위가 아닌 평평한 직물지 원단에 상기 둥근마루 무늬를 형성한 제품이 생산되었으며, 무늬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하고자 하는 무늬결대로 원단을 절개하여 이음부위를 두텁게 함으로써 둥근마루 무늬를 형성하거나 의복 내측에 안감을 데어 봉제부위를 두텁게 하여 둥근마루 무늬의 효과를 낸 것이었다.
하지만 기존의 둥근마루 무늬의 형성방법은 공정의 수가 지나치게 많아져 이에 요구되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고, 보조천의 사용으로 인한 원단소모와 절개부위에 원단 낭비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형상이 복잡한 디자인이나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난해하여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공정의 수를 대폭 감소하여 제작시간과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원단을 절개하거나 안감을 덧대지 않아, 의복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형상으로 둥근마루 무늬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늬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서도 봉제 부위가 뜯어질 염려가 없어 튼튼한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원단의 일 측에 환형으 로 오목하게 요입되어, 다양한 무늬로 이루어지는 둥근마루홈과; 상기 둥근마루홈의 내부에 내장되어 요입된 공간을 채우며, 둥근마루홈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가 둥근마루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둥근마루홈을 덮어 원단에 부착되는 커버천;을 구비하여, 외관상 원단의 둥근마루이음한 효과를 내도록 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천은 원단과 접하는 면에 접착제를 발라 원단과 부착시키고, 다림질하여 원단에 견고히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커버천은 원단과 둥근마루홈의 양측에서 봉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둥근마루홈은 원단에 두 가닥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환형으로 요입된 요입홈이 형성된 테이블의 상부에 원단을 위치시키는 준비단계와; 상기 요입홈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원단이 상기 요입홈의 형상대로 오목하게 둥근마루홈을 형성하는 흡기단계와; 상기 둥근마루홈의 요입된 공간을 채우도록 삽입부재를 삽설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둥근마루홈을 덮도록 원단의 상부에 커버천을 부착하여 다림질하는 마무리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은 원단의 일 측을 오목한 형상으로 요입되게 둥근마루홈을 형성하고, 상기 둥근마루홈의 공간에 부드럽고 신축성을 갖는 재질의 삽입부재를 삽입하며, 커버천으로 둥근마루홈을 덮어 구성한 것으로서, 이와 같이 형성된 원단으로 의복을 제작하여, 의복을 착용하였을 때 외측에 환형의 마루 형상으로 돌출된 무늬를 갖게 되어, 의복이 수제품의 효과를 내며 고급스럽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의 형성방법은 요입홈이 형성된 테이블의 상부에 원단을 놓고, 테이블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요입홈의 형상대로 원단을 오목하게 요입시킨 후, 요입된 공간에 삽입부재를 삽설하며, 상부에 커버천을 덮어 부착시키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형성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준비단계의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흡기단계의 설명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삽입단계의 설명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마무리단계의 설명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은 원단(90)의 일 측에 환형으로 오목하게 요입되어, 다양한 무늬로 이루어지는 둥근마루홈(10)과; 상기 둥근마루홈(10)의 내부에 내장되어 요입된 공간을 채우며, 둥근마루홈(1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삽입부재(20)와; 상기 삽입부재(20)가 둥근마루홈(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둥근마루홈(10)을 덮어 원단(90)에 부착되는 커버천(30);을 구비하여, 외관상 원단(90)의 둥근마루이음한 효과를 내도록 무늬를 형성하는 것을 그 구조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단(90)은 의복에 사용되는 천 계열의 직물지로서, 의복의 종류에 따라 두께와 색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한 겹 또는 두 겹의 직물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에서는 원단(90)을 다양한 재질로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둥근마루홈(10)은 상기 원단(90)의 일 측에 오목하게 요입되어 형성된다. 도 1은 본 발명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해 구성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둥근마루홈(10)이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 1에서 하부 방향측은 의복의 외측을 향하고 상부 방향측은 의복의 내측을 향한다. 따라서 의복을 착용하였을 시, 상기 둥근마루홈(10)이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된 형상을 취하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마루무늬(10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둥근마루무늬(100)는 여성의류의 가슴 라인을 강조하거나, 포켓부위의 라인 강조, 직물의 테두리 마감부위, 두 원단의 봉제부위 등에 형성되며, 의복에 둥근마루무늬(100)가 형성되게 되면, 의복이 실제 수제품으로 이루어졌다는 증거가 될 뿐 아니라, 수제품처럼 보이게 하여 고급스러움을 한층더 배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둥근마루홈(10)은 마치 도랑과 같이 결을 이루도록 홈을 형성한 것으로서, 의복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무늬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9에서는 본 발명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둥근마루무늬(100)가 원단(90)에 다양한 무늬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둥근마루무늬(100)는 지그재그의 형상, 곡선형, 직선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단(90)의 테두리 마감부위에도 형성시킬 수 있고, 종래의 두 원단의 이음부위에만 형성시킬 수 있던 한계를 뛰어넘어, 원단(90)의 원하는 적소에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의 두드러진 장점이다.
상기 삽입부재(20)는 둥근마루홈(10)의 요입된 공간을 채우는 것으로서, 신축적이고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재(20)는 둥근마루홈(10)에 내장되어 둥근마루홈(10)의 형상을 유지시킨다. 원단(90)에 형성된 둥근마루홈(10)은 원단(90)의 재질 특성상 그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므로, 삽입부재(20)가 내부를 채워 형상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삽입부재(20)는 둥근마루홈(10)의 무늬결을 따라 연속적으로 채워지는 것이며, 따라서 부드러운 재질의 실과 같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부재(20)가 둥근마루홈(10)을 완전히 매우지 못하거나 도중에 끊기게 되면, 그 부분이 함몰되거 나 형상이 일그러져 무늬가 미려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커버천(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마루홈(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 원단(90)에 부착되며, 상기 삽입부재(2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커버천(30)은 천 계열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단(90)에 다양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천(30)은 원단(90)과 접하는 면에 접착제(40)를 도포하여 원단(90)과 부착시키고, 고열압착하여 원단(90)에 견고히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천(30)을 원단(90)이 부착되는 면에 접착제(40)를 도포하여 원단(90)과 부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커버천(30)과 원단(9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커버천(30)을 원단(90)에 접착제로 부착시킨 후, 상부에서 다림질(ironing)하여 고열압착시킴으로써, 커버천(30)과 원단(90)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커버천(30)은 원단(90)과 둥근마루홈(10)의 양측에서 봉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천(30)과 원단(90)을 둥근마루홈(10)의 양측에서 봉제하여 봉제선(50)을 형성함으로써, 커버천(30)과 원단(90)의 결속력을 더욱 증대시키며, 둥근마루홈(10)의 형상이 일그러지지 않도록 하여 무늬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봉제방법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한바늘뜨기 방식인 스티치(stitch)를 이용하여 접착력을 보강하는 동시에 장식의 효과를 살리는 방법이 적절하다.
상기에서 봉제방법을 스티치로 하여 의복 내측에서 봉제가 이루어지고 의복 외측에서는 봉제부분이 드러나지 않게 되어 더욱 깔끔하게 둥근마루무늬(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둥근마루홈(10)은 원단(90)에 두 가닥 이상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마루무늬(100)를 두 가닥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하고자 할 때, 둥근마루홈(10)을 도 8과 같이 두 가닥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한 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각 둥근마루홈(10)에 삽입부재(20)를 내장하고 커버천(30)을 덮어 용이하게 둥근마루무늬(100)를 다수 가닥으로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둥근마루무늬(100)를 두 가닥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가능하여, 디자인의 선택폭을 넓혀 다양한 무늬를 제공할 수 있고, 디자인을 더욱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환형으로 요입된 요입홈(61)이 형성된 테이블(60)의 상부에 원단(90)을 위치시키는 준비단계(S1)와; 상기 요입홈(61)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원단(90)이 상기 요입홈(61)의 형상대로 오목하게 둥근마루홈(10)을 형성하는 흡기단계(S2)와; 상기 둥근마루홈(10)의 요입된 공간을 채우도록 삽입부재(20)를 삽설하는 삽입단계(S3)와; 상기 둥근마루홈(10)을 덮도록 원단(90)의 상부에 커버천(30)을 부착하여 다림질하는 마무리단계(S4);로 이루어지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의 형성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의 형성방법은 테이블(60)의 상부에 원단(90)을 올리는 준비단계(S1)와, 테이블(60)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둥근마루홈(10)을 형성하는 흡기단계(S2)와, 삽입부재(20)를 삽설하는 삽입단계(S3)와, 커버천을 부착하는 마무리단계(S4)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의 형성방법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준비단계(S1)는 요입홈(61)이 형성된 테이블(60)의 상부에 원단(90)을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테이블(60)은 상부에 요입홈(61)이 형성된 판부재(62)를 미세 간극을 두고 일렬로 배열시켜, 상기 요입홈(61)이 일종의 수로와 같이 도랑을 만들도록 형성시킨다. 상기 판부재(62)의 하부에는 도 4와 같이 흡입공(63)을 구성하며, 흡입공(63) 하부에 흡입(suction)장치를 마련하여 공기를 흡입하게 한다. 상기 흡입공(63)을 통해 테이블(60)의 상부에 놓인 원단(90)이 흡착될 수 있도록 준비된다.
상기 판부재(62)를 일렬로 배열시켜 요입홈(61)이 연속적으로 레일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요입홈(61)의 레일에 원단(90)이 흡착되어 둥근마루홈(10)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원단(90)이 원활히 흡착되기 위해서는 상기 판부재(62)들이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늬의 형상에 따라 판 부재(62)의 배열을 직선, 곡선 등과 같이 자유로이 변형시켜 다양한 디자인의 둥근마루무늬(100)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기단계(S2)에서는 상기 준비단계(S1)에서 테이블(60) 상부에 놓인 원단(90)을 테이블(60)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테이블(60)에 설치된 판부재(62)의 요입홈(61)의 형상대로 원단(90)이 흡착되게 되며, 상기 요입홈(61)에 의해 둥근마루홈(10)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단계(S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기단계(S2)에서 흡기에 의해 형성된 둥근마루홈(10)을 유지시키도록 지속적인 흡기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신축적이고 탄성이 좋은 삽입부재(20)를 상기 둥근마루홈(10)의 요입 공간에 채워 넣는 단계이다.
삽입단계(S3)에서 삽입되는 삽입부재(20)는 복원력이 우수하여 둥근마루홈(10)의 형상을 일그러짐 없이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며, 둥근마루홈(10)의 요입 공간을 빈틈없이 채우도록 구성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무리단계(S4)는 상기 삽입단계(S3)에서 삽설된 삽입부재(20)가 둥근마루홈(1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원단(90)의 상부에 커버천(30)을 부착시키는 단계이다. 커버천(30)과 원단(90)을 견고히 고정되게 하기 위해 커버천(30)과 원단(90)의 접촉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다림질로 고열압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무리단계(S4)에서 커버천(30)과 원단(90)을 부착 후에, 상기 둥근마루홈(10)의 양측에서 커버천(30)과 원단(90)을 봉제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성 시킬 수 있다. 커버천(30)과 원단(90)을 봉제하는 방법은 의복 내측에서 스티치하여 봉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의복 외측에서 봉제선이 드러나지 않고 깔끔하게 봉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봉제단계를 추가로 구성하게 되면, 커버천(30)과 원단(90)의 결속력이 한층더 증대되어 커버천(30)과 원단(90)이 튼튼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준비단계(S1), 흡기단계(S2), 삽입단계(S3), 마무리단계(S4)의 일련의 공정을 순서대로 거쳐, 의복의 재료가 되는 직물지인 원단(90)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둥근마루무늬(100)를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준비단계(S1)에서 테이블(60)의 요입홈(61)의 곡면반경을 다르게 조절하여 둥근마루무늬(100)의 직경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고, 요입홈(61)들의 배열에 의해 형성되는 무늬를 다양하게 배치하여 둥근마루무늬(100)를 다양하게 형성가능하며, 공정이 간단하여 대량생산에 적합하게 된다.
상기 구성과 작동상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 예의 범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은 공정의 수를 대폭 감소하여 제작시간과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원단을 절개하거나 안감을 덧대지 않고 의복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형상으로 둥 근마루 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의복제작시 용이하게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으며, 무늬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서도 봉제 부위가 뜯어질 염려가 없어 튼튼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삭제
  2. 원단(90)의 일 측에 환형으로 오목하게 요입되어, 다양한 무늬로 이루어지는 둥근마루홈(10)과;
    상기 둥근마루홈(10)의 내부에 내장되어 요입된 공간을 채우며, 둥근마루홈(1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삽입부재(20)와;
    상기 삽입부재(20)가 둥근마루홈(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둥근마루홈(10)을 덮어 원단(90)에 부착되는 커버천(30);을 구비하여, 외관상 원단(90)의 돌출 무늬 효과를 내는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에 있어서,
    상기 커버천(30)은 원단(90)과 접하는 면에 접착제(40)를 도포하여 원단(90)과 부착시키고, 고열압착하여 원단(90)에 견고히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3. 삭제
  4. 삭제
  5. 환형으로 요입된 요입홈(61)이 형성된 테이블(60)의 상부에 원단(90)을 위치시키는 준비단계(S1)와;
    상기 요입홈(61)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원단(90)이 상기 요입홈(61)의 형상대로 오목하게 둥근마루홈(10)을 형성하는 흡기단계(S2)와;
    상기 둥근마루홈(10)의 요입된 공간을 채우도록 삽입부재(20)를 삽설하는 삽입단계(S3)와;
    상기 둥근마루홈(10)을 덮도록 원단(90)의 상부에 커버천(30)을 부착하여 고열압착하는 마무리단계(S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의 형성방법.
KR1020070006648A 2007-01-22 2007-01-22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 KR100739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648A KR100739589B1 (ko) 2007-01-22 2007-01-22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6648A KR100739589B1 (ko) 2007-01-22 2007-01-22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9589B1 true KR100739589B1 (ko) 2007-07-18

Family

ID=3849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6648A KR100739589B1 (ko) 2007-01-22 2007-01-22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95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72B1 (ko) 2007-12-26 2008-11-05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KR20150069101A (ko) * 2013-12-13 2015-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 시트 스티칭 장치
KR20220015841A (ko)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용산 원단의 연결부위에 재봉되는 이음밴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2221A (en) 1986-04-29 1989-10-10 Stone Iii Eugene E Reenforced pant structure
JP2005200778A (ja) 2004-01-14 2005-07-28 Izawa Kogyo Kk 水作業用作業衣における縫製部の結合構造およびその結合方法
KR100548504B1 (ko) 2002-11-25 2006-02-01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
US7014662B1 (en) 2003-01-02 2006-03-21 David Mei Vintage fading method for jeans
KR100632240B1 (ko) 2006-03-30 2006-10-09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둥근마루이음 봉재방법
KR100676373B1 (ko) 2006-10-20 2007-02-02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직물지 봉제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2221A (en) 1986-04-29 1989-10-10 Stone Iii Eugene E Reenforced pant structure
KR100548504B1 (ko) 2002-11-25 2006-02-01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
US7014662B1 (en) 2003-01-02 2006-03-21 David Mei Vintage fading method for jeans
JP2005200778A (ja) 2004-01-14 2005-07-28 Izawa Kogyo Kk 水作業用作業衣における縫製部の結合構造およびその結合方法
KR100632240B1 (ko) 2006-03-30 2006-10-09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둥근마루이음 봉재방법
KR100676373B1 (ko) 2006-10-20 2007-02-02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직물지 봉제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72B1 (ko) 2007-12-26 2008-11-05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KR20150069101A (ko) * 2013-12-13 2015-06-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 시트 스티칭 장치
KR101956390B1 (ko) * 2013-12-13 2019-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내장재 시트 스티칭 장치
KR20220015841A (ko) * 2020-07-31 2022-02-08 주식회사 용산 원단의 연결부위에 재봉되는 이음밴드
KR102618392B1 (ko) * 2020-07-31 2023-12-28 주식회사 용산 원단의 연결부위에 재봉되는 이음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962A (en) Ornamental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2604133B1 (en) A method for joining two fabric portions, a multilayer structure and an article of clothing
TWM527445U (zh) 複層布面編織結構
CN102653388A (zh) 衬垫分区方法和使用该方法划分的衬垫
KR100739589B1 (ko)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
JP3113252U (ja) スムースな縫い目構造を有する女性用下着のブラカップ
JP2002371421A (ja) 衣服および衣服構成パーツ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CN101433376A (zh) 防寒服的制作方法
KR20090069867A (ko) 원단에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식무늬가 형성된원단
CN108588998B (zh) 一种编织形成耳片结构的织物及其编织方法
KR100798638B1 (ko) 입체감을 갖는 아플리케 자수감의 제조방법
CN101125470A (zh) 多层复合面料
US20050014450A1 (en) Breast cup construction
US6692812B1 (en) Multilayer sheet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0768543B1 (ko)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
CN2899489Y (zh) 改良式胸罩
JP3152523U (ja) 立体的なワッペン
KR100897035B1 (ko) 다중겹무늬 원단 및 그의 형성방법
CN207544457U (zh) 一种飞织与绳绣的连接结构及鞋面
US7748057B2 (en) Three-dimensional neck ties
CN107811352B (zh) 一种飞织与绳绣的连接结构及鞋面
KR100938494B1 (ko) 원단의 연결무늬 및 이의 형성방법
CN200959855Y (zh) 多层复合面料
JP6601699B1 (ja) アップリケの製造方法及びアップリケ
KR102338651B1 (ko) 조각보 형상을 갖는 누비이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