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6972B1 -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6972B1
KR100866972B1 KR1020070137668A KR20070137668A KR100866972B1 KR 100866972 B1 KR100866972 B1 KR 100866972B1 KR 1020070137668 A KR1020070137668 A KR 1020070137668A KR 20070137668 A KR20070137668 A KR 20070137668A KR 100866972 B1 KR100866972 B1 KR 100866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
fabric
leather
hair
se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은
Original Assignee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filed Critical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Priority to KR1020070137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69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5/00Mechanical treatment of furs
    • C14B15/12Finishing, e.g. pointing furs; Producing designs or patter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5/00Mechanical treatment of furs
    • C14B15/08Application of reinforcing or stiffening layers to fur sk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5/00Mechanical treatment of furs
    • C14B15/10Cutting furs; Making fur plate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피의 상단에 원단을 봉제하거나 모피를 띠의 형태로 구비하고 원단과 번갈아가며 봉제하여 모피원단을 제작함에 따라 상기 모피원단을 옷감과 옷감 사이의 공간에 봉제하여 연결부위를 고급스럽고 매끄럽게 표현하도록 하고, 의류의 주머니 부분이나 옷깃 및 의복에 입체적인 미려함을 부여하기 위하여 의복에 봉제하여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피원단을 사용하여 의복을 제작할 경우 불필요한 부재료들의 비사용으로 가볍고 신축성을 제공하며, 또한 모피원단을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모피의류를 제조하도록 함에 따라 제작단가가 현저히 감소되어 소비자가 모피의류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경제적인 부담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털과 가죽으로 구비되는 모피, 띠 형상으로 상기 모피의 털 상단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구비되는 원단, 상기 털 상단에 구비된 원단과 가죽의 겹쳐진 부위에 봉제를 시행하여 형성되는 봉제선으로 이루어지는 모피원단과, 털과 가죽으로 구비되는 모피를 용도에 맞도록 색상과 질감을 선별하는 공정, 상기 선별이 완료된 모피의 털 상단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띄 형상의 원단을 구비하는 공정, 상기 털 상단에 구비된 원단과 가죽의 겹쳐진 부위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모피, 원단, 쿠션재, 직물지, 가죽, 봉제

Description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fur cloth material and manufacture method trereof}
본 발명은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피의 상단에 원단을 봉제하거나 모피를 띠의 형태로 구비하고 원단과 번갈아가며 봉제하여 모피원단을 제작함에 따라 상기 모피원단을 옷감과 옷감 사이의 공간에 봉제하여 연결부위를 고급스럽고 매끄럽게 표현하도록 하고, 의류의 주머니 부분이나 옷깃 및 의복에 입체적인 미려함을 부여하기 위하여 의복에 봉제하여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피원단을 사용하여 의복을 제작할 경우 불필요한 부재료들의 비사용으로 가볍고 신축성을 부여하며, 또한 모피원단을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모피의류를 제조하도록 함에 따라 제작단가가 현저히 감소되어 소비자가 모피의류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경제적인 부담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는 방한용 의류들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방한용 의류 등을 살펴보면 토끼털, 여우털, 밍크털 등의 각종 모피를 이용한 것이 많다. 그 이유는 모피는 외관상으로 부드럽고 풍성한 느낌을 주며 그 기질상 추위 를 견디는 방한효과가 매우 뛰어나기 때문이다.
모피는 털이 붙은 채로 벗긴 짐승의 가죽을 의미하는 것으로, 원래 케라틴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피조직과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하는 결체조직으로 구성되는 포유동물의 피부를 벗긴 그대로의 것을 가리키나, 일반적으로는 털이 붙어 있는 채로 무두질하여 의복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모피라고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각종모피로 모피의류를 만들고자 할 때에는 토끼나 여우 그리고 밍크 등과 같은 짐승의 털가죽을 벗겨내어 이를 사용하게 되는데, 일반적으로 벗겨낸 털가죽을 몸체부와 그 주변의 머리부, 꼬리부 및 다리부를 재단하여 원단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모피는 의복 전체를 모피로 제작하지 않더라도, 고가의 의복을 제작할 경우에는 고급스러움의 상징인 모피장식을 원단에 형성하여 상기 모피장식이 형성된 의류의 미적 심미감이 매우 뛰어나고 고급의류라는 인식을 심어 주도록 하기 위해 의류원단의 이음부 및 주머니와 같은 부분에 입체적인 모피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으며, 상기와 같이 모피원단을 옷감과 옷감 사이의 공간에 구비하여 연결부위를 고급스럽고 매끄럽게 표현하도록 하고, 의류의 주머니 부분이나 옷깃 및 의복에 입체적인 미려함을 부여하기 위한 모피원단의 제공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은 옷감과 옷감 사이의 공간에 모피원단을 봉제하여 연결부위를 고급스럽고 매끄럽게 표현하도록 하고, 의류의 주머니 부분이나 옷깃 및 의복에 입체적인 미려함을 부여하기 위하여 의복에 봉제하여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피원단을 사용하여 의복을 제작할 경우 불필요한 부재료들의 비사용으로 가볍고 신축성을 갖게 한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모피원단을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모피의류를 제조하도록 함에 따라 제작단가가 현저히 감소되어 소비자가 모피의류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경제적인 부담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모피원단 및 그 제조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피원단은 털과 가죽으로 구비되는 모피, 띠 형상으로 상기 모피의 털 상단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구비되는 원단과 상기 털 상단에 구비된 원단과 가죽의 겹쳐진 부위에 봉제를 시행함으로써 형성된 봉제선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피를 띠 형상으로 재단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모피부재, 상기 모피부재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띠 형상의 원단과 상기 원단과 모피부재를 봉제하여 형성되는 봉제선으로 이루어지는 모피원단을 제공한다.
또한, 털과 가죽으로 구비되는 모피를 용도에 맞도록 색상과 질감을 선별하는 공정, 상기 선별이 완료된 모피의 털 상단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띠 형상의 원단을 구비하는 공정, 상기 털 상단에 구비된 원단과 가죽의 겹쳐진 부위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모피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털과 가죽으로 구비되는 모피를 용도에 맞도록 색상과 질감을 선별하는 공정, 상기 선별이 완료된 모피를 띠 형상으로 재단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모피부재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모피부재에 접하도록 띠 형상의 원단을 구비하는 공정, 상기 원단과 모피부재를 봉제하여 봉제선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모피원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은 의류를 제작하기 위해 옷감의 연결부위에 모피원단을 봉제하여 연결부위를 고급스럽고 매끄럽게 표현하도록 하고, 의류의 주머니 부분이나 옷깃 및 의복에 입체적인 미려함을 부여하기 위하여 의복에 봉제하여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모피원단을 사용하여 의복을 제작할 경우 불필요한 부재료들의 비사용으로 가볍고 신축성을 갖게 한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모피원단을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모피의류를 제조하도록 함에 따라 제작단가가 현저히 감소되어 소비자가 모피의류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경제적인 부담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 모피원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피원단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a는 부분적으로 털이 제거된 모피의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모피원단의 다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피원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모피부재로 이루어진 모피원단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모피부재로 이루어진 모피원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모피원단(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털(110)과 가죽(120)으로 구비되는 모피(100);
띠 형상으로 상기 모피(100)의 털(110) 상단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구비되는 원단(200);과
상기 털(110) 상단에 구비된 원단(200)과 가죽(120)의 겹쳐진 부위에 봉제를 시행하여 형성되는 봉제선(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피(100)는 일반적으로 가죽(120)에 털(110)이 붙어 있는 채로 무두질하여 의복 등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사용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색상과 질감을 선별하게 된다.
상기 원단(200)은 띠 형상으로 상기 모피(100)의 털(110) 상단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구비되는 것으로, 의류를 구성하는 다양한 옷감 재료를 통칭하며, 직물지를 비롯하여 가죽 및 모피 또는 다양한 천연 및 인조원단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의복의 종류에 따라 두께와 색상 및 종류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한 겹 또는 두 겹의 직물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재질로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어느 한가지 소재에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단(200)은 밋밋한 모피(100)에 장식의 효과를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원단(200)의 구성으로 모피(100)는 구성이 견고해질 뿐 아니라 미적 심미감이 향상되어 상기 원단(200)이 형성된 모피원단(10)을 의류의 장식재로 사용하거나 자체만을 이용하여 의류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봉제선(300)은 상기 털(110) 상단에 구비된 원단(200)과 가죽(120)의 겹쳐진 부위에 봉제를 시행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모피(100) 상단에 구비된 원단(200)과 모피(100)가 상호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봉제선(300)은 손바느질로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재봉틀을 이용하여 봉제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봉제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고, 봉제선(300)은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원단(200)이 모피(100)에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 1에서의 모피원단(10)은, 모피(100)의 상부에 위치된 원단(200)이 모피(100)의 가죽(120)과 함께 봉제될 때 원단(200) 하단에 압착된 털(110)을 원단(200)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단부로 빼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모피(100)는 가죽(120)과 털(110)로 구성되어 상기 원단(200)과 가죽(120)부분이 봉제 될 경우 가죽(120)과 원단(200)사이에는 모피(100)의 털(110) 부분이 원단(200)과 가죽(120)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털(110)이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원단(200)과 가죽(120)의 이음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미려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송곳과 같이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죽(120)과 원단(200)의 봉제 부위에 눌려진 털(110)을 원단(200)의 길이방향으로의 양단부 외부로 빼내는 작업을 시행하여 가죽(120)과 원단(200)의 이음부가 털(110)에 의해 가려지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미려함을 갖출 수 있도록 하고 모피(100)가 더욱 풍성해 보이도록 모피원단(10)을 형성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도 1 및 도 2에서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르면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피(100)에 있어, 원단(200)이 봉제되는 부위마다 그의 털(110)을 제거한 다음, 상기 모피(100) 가죽(120)상단에 원단(200)을 봉제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피(100)는 가죽(120)과 털(110)로 구성되어 있어, 털(110)이 존재한 상태에서 상기 원단(200)과 가죽(120)부분이 봉제 될 경우 가죽(120)과 원단(200)사이에는 모피(100)의 털(110) 부분이 원단(200)과 가죽(120)에 의해 압착되어 있어 봉제가 어렵거나 봉제선(300)에 의해 눌려진 털(110)이 외관상 미려함을 해칠 수 있는데 반해, 원단(200)과 함께 봉제 될 부위의 털(110)을 가죽(120)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원단(200)을 가죽(120)에 보다 용이하게 봉제할 수 있도록 하고, 외관상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모피(100)의 털(110)을 제거하는 방법은 번아웃가공을 통해 시행될 수 있고, 털(110)을 뽑아내거나 칼 또는 면도기 따위의 도구를 이용하여 절단함에 따라 가죽(120)으로부터 털(110)을 제거할 수 있으며, 그 방법은 어느 일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피(100)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원단(200)을 끈의 형상으로 탄성을 구비하는 쿠션재(210)를 속에 내장하여 쿠션재(210)를 감싸도록 형성하고, 상기 원단(200)의 길이방향으로의 양측단부를 가죽(120)과 함께 봉제하여 봉제선(300)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쿠션재(210)는 털(110)이 존재하거나 또는 털(110)이 제거된 가죽(120)의 상단에 구비되어 그를 내장하고 있는 원단(200)이 보다 입체적인 형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신축적이고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단(200)은 쿠션재(210)의 구성으로 그 형상이 입체적으로 유지되는 것이며, 쿠션재(210)의 형상에 따라 원단(200)의 무늬결이 형성되므로 부드러운 재질의 털실 또는 섬유조각 및 다양한 탄성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쿠션재(210)는 직물지를 말아서 구비될 수 있으며, 통상의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의 외측에 탄성체를 감싸는 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두는 바이고, 다수개 구비되어 다양한 두께를 형성하여 다양한 형상의 원단(200)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봉제선(300)은 쿠션재(210)와 원단(200)이 가죽(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다양한 봉제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봉제선(300)에 더하여 쿠션재(210)의 양측을 밀착되도록 추가봉제할 경우 원단(200)이 모피(100)의 가죽(120)에 보다 견고히 부착되고 쿠션재(210)의 입체감이 극대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 모피원단(10)은 또한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모피(100)를 띠 형상으로 재단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모피부재(130);
상기 모피부재(130)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띠 형상의 원단(200); 과
상기 원단(200)과 모피부재(130)를 봉제하여 형성되는 봉제선(300); 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모피부재(130)는 모피(100)를 띠 형상으로 재단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는 것으로, 선별이나 손질이 완료되어 옷감으로서 이용가능한 모피(100)를 소정의 폭으로 재단하여 형성한 것이다.
원단(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피부재(130)와 함께 부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모피원단(10)에서의 봉제선(300)은 상기 모피부재(130)와 원단(200)이 서로 접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접하여진 부위를 봉제함으로써 형성되며, 모피부재(130)와 원단(200)은 서로 일직선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모피부재(130)가 원단(200)의 상단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이와 반대로 모피부재(130)가 원단(200)의 하단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봉제선(300)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손바느질로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재봉틀을 이용하여 봉제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봉제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고, 봉제선(300)은 하나 또는 둘 이상 형성되어 상기 원단(200)이 모피(100)에 견고히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단(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의 원단부재(230)를 그 아래 배치하고, 상기 원단부재(230)의 상부, 즉 그의 내면에 끈의 형상으로 탄성을 구비하고 있는 쿠션재(210)를 내장하여 상기 쿠션재(210)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원단부재(230)는 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원단(200)과 마찬가지로 직물지를 비롯하여 가죽및 모피 또는 다양한 천연 및 인조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쿠션재(210)가 그 위에 구비되는 원단부재(230)는, 쿠션재(210)를 원단부재(23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해 쿠션재(210)를 에워 싸도록 상부에 구비되는 원단(200)과 같은 재질 또는 같은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또 전혀 다른 재질과 색상으로 구비되어 모피원단(10)에 미려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또한, 도 6의 경우 봉제선(300)은 앞서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쿠션재(210)를 내장하고 있는 원단(200)과 원단부재(230), 그리고 모피부재(130)를 한번에 함께 봉제할 수 있지만, 상기 원단부재(230)의 상부에 쿠션재(210)와 이 쿠션재(210)를 덮는 원단(200)을 위치하고 1차적으로 상기 원단부재(230)와 원단(200)을 봉제하여 봉제선(300')을 형성한 다음, 함께 봉제된 원단(200)과 원단부재(230)를 재차 모피(100)와 봉제하여 봉제선(3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봉제선(300) 및 봉제선(300')은 다양한 봉제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봉제선(300')은 상기 쿠션재(210)의 양측에 밀착하여 구비되도록 하여 커버원단(220)이 원단부재(230)에 견고히 부착되어 쿠션재(210)의 입체감이 극대화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도 1에 도시된 모피원단(10)은 털(110)과 가죽(120)으로 구비되는 모피(100)를 용도에 맞도록 색상과 질감을 선별하는 공정;
상기 선별이 완료된 모피(100)의 털(110) 상단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띠 형상의 원단(200)을 구비하는 공정; 과
상기 털(110) 상단에 구비된 원단(200)과 가죽(120)의 겹쳐진 부위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300)을 형성하는 공정; 순으로 진행함으로써 제조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정에 더하여, 상기 모피(100) 위에 원단(200)이 봉제될 경우 원단(200) 하단에 압착된 모피(100)의 털(110)을 원단(200)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로 인출시키는 공정이 추가 적용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원단(200)이 봉제되는 부위의, 상기 모피(100)의 털(110)을 제거하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여 털(110)이 제거된 가죽(120) 상단에 원단(200)을 봉제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단(200)을 가죽(120)에 보다 용이하게 봉제할 수 있고, 외관상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도 5에 도시된 모피원단(10)은 또한 털(110)과 가죽(120)으로 구비되는 모피(100)를 용도에 맞도록 색상과 질감을 선별하는 공정;
상기 선별이 완료된 모피(100)를 띠 형상으로 재단하여 길이 방향으로 길게 모피부재(130)를 형성하는 공정;
상기 모피부재(130)에 접하도록 띠 형상의 원단(200)을 구비하는 공정; 과
상기 원단(200)과 모피부재(130)를 봉제하여 봉제선(300)을 형성하는 공정; 으로 처리됨으로써 제조된다.
삭제
삭제
상기 봉제선(300)은 상기 도 5를 통해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피부재(130)와 원단(200)이 서로 접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접하여진 부위에 봉제를 시행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모피부재(130)와 원단(200)이 서로 일직선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모피부재(130)가 원단(20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모피부재(130)가 원단(200)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 모피원단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모피원단의 단면도,
도 3a는 부분적으로 털이 제거된 모피의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 모피원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모피원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모피부재로 이루어진 모피원단의 단면도,
도 6은 모피원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피원단
100 : 모피
110 : 털
120 : 가죽
130 : 모피부재
200 : 원단
210 : 쿠션재
220 : 커버원단
230 : 원단부재
300,300' : 봉제선, 봉제선'

Claims (12)

  1. 털(110)과 가죽(120)으로 구비되는 모피(100);
    띠 형상으로 상기 모피(100)의 털(110) 상단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구비되는 원단(200); 과
    상기 털(110) 상단에 구비된 원단(200)과 가죽(120)의 겹쳐진 부위에 봉제를 시행하여 형성되는 봉제선(30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원단.
  2. 털(110)과 가죽(120)으로 구비되는 모피(100);
    상기 모피(100)에서 원단(200)이 봉제되는 부위마다 털(110)이 제거된 가죽(120) 상단에 구비되는 띠 형상의 원단(200); 과
    상기 털(110)이 제거된 가죽(120) 상단에 구비된 원단(200)과 가죽(120)의 겹쳐진 부위를 봉제하여 형성된 봉제선(30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원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피(100)의 털(110) 상단에 원단(200)이 봉제됨에 따라 원단(200) 하단에 압착된 상기 모피(100)의 털(110)은, 원단(200)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로 빼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원단.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선(300)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원단(200) 아래에 끈의 형상으로 탄성을 구비하는 쿠션재(210)가 더 내장되며;
    상기 쿠션재(210)가 내장된 채 상기 원단(200)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를 가죽(120)과 함께 봉제하여 상기 봉제선(3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원단.
  5. 삭제
  6. 삭제
  7. 털(110)과 가죽(120)으로 구비되는 모피(100)를 용도에 맞도록 색상과 질감을 선별하는 공정;
    상기 선별이 완료된 모피(100)의 털(110) 상단에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고 띠 형상의 원단(200)을 구비하는 공정; 과
    상기 털(110) 상단에 구비된 원단(200)과 가죽(120)의 겹쳐진 부위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300)을 형성하는 공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8. 털(110)과 가죽(120)으로 구비되는 모피(100)를 용도에 맞도록 색상과 질감을 선별하는 공정;
    상기 모피(100)는 원단(200)이 봉제되는 부위에 털(110)을 제거하여, 털(110)이 제거된 가죽(120) 상단에 원단(200)을 구비하는 공정; 과
    상기 털(110)이 제거된 가죽(120)과 원단(200)의 겹쳐진 부위를 봉제하여 봉제선(30)을 형성하는 공정;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모피(100)의 털(110) 상단에 원단(200)이 봉제됨에 따라 원단(200) 하단에 압착된 상기 모피(100)의 털(110)을 원단(200)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로 인출시키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10. 제 7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선(300)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원단(200) 아래에 끈의 형상으로 탄성을 구비하는 쿠션재(210)가 추가 내장되며;
    상기 쿠션재(210)가 내장된 채, 상기 원단(200)의 길이방향의 양측단부를 상기 가죽(120)과 함께 봉제함으로써 상기 봉제선(3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070137668A 2007-12-26 2007-12-26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KR100866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668A KR100866972B1 (ko) 2007-12-26 2007-12-26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668A KR100866972B1 (ko) 2007-12-26 2007-12-26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6972B1 true KR100866972B1 (ko) 2008-11-05

Family

ID=4028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668A KR100866972B1 (ko) 2007-12-26 2007-12-26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6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52B1 (ko) * 2010-02-24 2012-10-15 신봉섭 모피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1615725B1 (ko) 2014-12-16 2016-04-26 주식회사 314호넷 테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816A (ko) * 1989-08-17 1991-03-29 김성준 양면 사용이 가능한 모피
JPH06169834A (ja) * 1992-12-08 1994-06-21 Takeshi Yoneyama 掛け布団
KR950030423U (ko) * 1994-04-21 1995-11-20 이인철 테이프 부분이 접속된 인조모피 트리밍
KR100739589B1 (ko) 2007-01-22 2007-07-18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
KR100768543B1 (ko) * 2007-02-16 2007-10-19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816A (ko) * 1989-08-17 1991-03-29 김성준 양면 사용이 가능한 모피
JPH06169834A (ja) * 1992-12-08 1994-06-21 Takeshi Yoneyama 掛け布団
KR950030423U (ko) * 1994-04-21 1995-11-20 이인철 테이프 부분이 접속된 인조모피 트리밍
KR100739589B1 (ko) 2007-01-22 2007-07-18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
KR100768543B1 (ko) * 2007-02-16 2007-10-19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352B1 (ko) * 2010-02-24 2012-10-15 신봉섭 모피 장식물의 제조방법
KR101615725B1 (ko) 2014-12-16 2016-04-26 주식회사 314호넷 테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92780B (zh) 带l型口袋的下装
KR100866972B1 (ko)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KR101071673B1 (ko) 원단에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식무늬가 형성된원단
JP4486124B2 (ja) 天然毛皮製の毛皮及び毛皮レース、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1078870B1 (ko)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KR20170142775A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모피의류 및 그 제조방법
CN100998454B (zh) 无接缝帽子制造方法
KR100840108B1 (ko) 모피 의류 및 그 제조방법
KR102360643B1 (ko)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
CN105919179B (zh) 皮衣缝制工艺
CN109645611B (zh) 一种基于纸模的成衣压褶造型方法
KR200281095Y1 (ko) 모피 원피를 소폭으로 재단하고 봉합 연장하여 형성한 띠형상의 결합 모피소재
KR20090007446U (ko) 누비지갑
KR102360640B1 (ko) 단령깃의 제조방법
KR200361623Y1 (ko) 의류용 밍크원단
KR102048503B1 (ko) 양말과 양털 원단을 이용한 보온 덧신의 제조 방법
KR100938494B1 (ko) 원단의 연결무늬 및 이의 형성방법
WO2001079602A1 (en) A sewing method
KR101403792B1 (ko) 직물 장신구의 제작 방법 및 그 직물 장신구
JP3197944U (ja) 女袴
CN209931535U (zh) 一种冬装内胆及具有内胆的冬装
KR101237692B1 (ko) 이중편직물을 이용한 봉제장갑
KR200375173Y1 (ko) 인조 또는 천연모피로 이루어진 모피 레이스와 모피 제품
KR101530710B1 (ko) 전통관례용 여성 앞치마
KR102008010B1 (ko) 신축성 원단을 이용한 긴 양말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