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543B1 -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543B1
KR100768543B1 KR1020070016496A KR20070016496A KR100768543B1 KR 100768543 B1 KR100768543 B1 KR 100768543B1 KR 1020070016496 A KR1020070016496 A KR 1020070016496A KR 20070016496 A KR20070016496 A KR 20070016496A KR 100768543 B1 KR100768543 B1 KR 100768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groove
dimensional
conca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은
Original Assignee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filed Critical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Priority to KR1020070016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5/00Woven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원단에 요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요입부에 쿠션재를 충진하고, 상기 쿠션재와 직물원단의 상단에 쿠션원단을 구비하여 봉제시킴에 따라, 두 원단의 이음부위에 형성되어 고급스러운 효과를 내는 입체 무늬를 직물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입체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입체 무늬를 직물에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일측면에 환형으로 요입된 형태의 요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요입홈에는 타측면과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요입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요입부재의 일측면에 직물원단을 위치시키고, 상기 요입부재의 요입홈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서 통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요입홈 상단에 위치한 직물원단이 요입홈에 밀착되도록 하여 직물원단에 입체홈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입체홈의 요입된 공간에 탄성을 구비하는 쿠션재를 압입하고, 상기 쿠션재와 직물원단의 상단에 쿠션재와 직물원단을 감싸도록 커버원단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원단과 직물원단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며, 이음부위에 형성되었던 둥근마루이음과 같은 입체적인 무늬를 직물지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서 간단한 공정에 의해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시간과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원단을 절개하거나 안감을 덧대지 않아, 의복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형상으로 입체 무늬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늬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서도 봉제 부위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의복제작시 용이하게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고, 무늬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서도 의류의 고급스러움을 한층 더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직물원단, 입체무늬

Description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fabric with three-dimensional pattern and mak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공정도면으로서,
도 1a는 요입부재에 직물원단을 적층한 준비공정을 보이기 위한 단면도,
도 1b는 흡기공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c는 공기의 흡입으로 인하여 요입부재에 적층된 직물원단에 입체홈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d는 입체홈에 쿠션재를 충진하는 충진공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1e는 입체홈에 쿠션재를 충진한 후에 커버원단을 구비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f는 봉제공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입체무늬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직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요입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요입부재의 평면도,
도 3c는 도 3b의 A-A'선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을 이용한 의류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제작방법의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체무늬 20 : 의류
100 : 요입부재 110 : 요입홈
120 : 통공 200 : 직물원단
210 : 입체홈 300 : 쿠션재
400 : 커버원단 500 : 봉제선
600 : 접착층 S10 : 준비공정
S20 : 흡기공정 S30 : 충진공정
S40 : 봉제공정
본 발명은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직물원단에 요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요입부에 탄성을 구비하는 쿠션재를 충진하고, 상기 쿠션재와 직물원단의 상단에 쿠션원단을 구비하여 봉제시킴에 따라, 두 원단의 이음부위에 형성되어 고급스러운 효과를 내는 입체 무늬를 직물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입체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입체 무늬를 직물에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복을 제작함에 있어서는 다수개의 직물지가 사용되었고, 상기 직물지와 직물지를 연결하는 봉제방법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특히 두꺼운 직물지 또는 이중지를 복수개 사용하여 의복을 제조하는 경우 그 연결부위는 다양한 봉제방법으로 이음되고 있으며, 종래에는 고급스러운 느낌을 연출하기 위해 수작업을 통해 스티치하는 이음방법을 선호하는 추세이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봉제된 복지의 이음선 부분은 상하면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와 입체적인 현상을 취하며 본 출원인은 연결하고자 하는 두 개의 직물지와 보조천의 모서리를 맞추어 적층하고, 상기 보조천과 직물지를 재봉하여 재봉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두 개의 직물지 중 하측에 위치한 직물지를 상기 재봉선을 중심선으로 반대로 넘겨 상기 두 개의 직물지를 펴는 단계, 상기 보조천의 자유단부가 상기 재봉선에 위치되도록 접어주는 단계, 상기 접혀져 형성된 보조천의 겹쳐진 단부를 상기 재봉선을 기준선으로 반대로 넘겨 상기 두 개의 직물지 및 보조천의 고정단부를 덮는 단계, 및 상기 보조천의 겹쳐진 단부와 상기 하측에 위치한 직물지를 스티칭하여 스티칭재봉선을 형성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둥근마루이음 봉제방법을 출원하여 특허등록 제0632240호에 등록된 바 있다.
상기 둥근마루이음의 경우에는 그 이음부가 입체적임에 따라 그 봉제 방법이 수작업에 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어, 고급의류라는 의식을 갖도록 하였고, 단순히 기계작업에 의한 이음은 그 이음부위가 입체적이지 아니하고 평면을 이루고 있어 둥근마루이음에 비하여 미적인 요소가 감소되고, 고급스러움이 전혀 느껴지지 않으며 이음부가 견고하지 않기 때문에 쉽게 뜯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의복을 제작할 경우에는 둥근마루이음과 같이 입체적으로 형성하는 무늬를 직물원단에 형성하여 의류의 미적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상기 입체무늬가 형성된 의류가 고급의류라는 인식을 심어 주도록 하기 위해 직물원단의 이음부위가 아니더라도 직물지 자체에 둥근마루이음과 같은 입체무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둥근마루이음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직물지를 연결하는데 사용되어 단순히 상기와 같이 입체적인 무늬를 직물지에 형성하고자 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스티치이라는 수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공정이 번거로웠고, 이에 따라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었으며, 스티치을 시행하여 입체적인 무늬을 구현하더라도 이음부분이 쉽게 뜯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종래에는 입체적인 무늬를 형성하기 위하여 무늬를 형성하기 위해 형성하고자 하는 무늬결대로 원단을 절개하여 이음부위를 두텁게 함으로써 입체 무늬를 형성하거나 의복 내측에 안감을 데어 봉제부위를 두텁게 하여 입체 무늬의 효과를 낸 것이었지만, 상기와 같은 기존의 입체 무늬의 제작방법은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 무늬 자체가 고급스러움을 표현하기에는 부족함에 있어 의류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미적 심미감을 충족시키는데에는 많은 부족함에 있었다.
따라서, 직물지에 둥근마루이음과 같은 입체적인 무늬를 간단한 공정에 의해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시간과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원단을 절개하거나 안감을 덧대지 않아, 의복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형상으로 입체 무늬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늬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서도 봉제 부위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입체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의 제공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으로, 직물지의 이음부위에 형성되었던 둥근마루이음과 같은 입체적인 무늬를 직물지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서 간단한 공정에 의해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시간과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원단을 절개하거나 안감을 덧대지 않아, 의복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형상으로 입체 무늬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늬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서도 봉제 부위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입체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을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면에 환형으로 요입된 형태의 요입홈을 구비하고 상기 요입홈에는 타측면과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는 요입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요입부재의 일측면에 직물원단을 위치시키고, 상기 요입부재의 요입홈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서 통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요입홈 상단에 위치한 직물원단이 요입홈에 밀착되도록 하여 직물원단에 입체홈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입체홈의 요입된 공간에 쿠션재를 압입하고, 상기 쿠션재와 직물원단의 상단에 쿠션재와 직물원단을 감싸도록 커버원단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원단과 직물원단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입체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입체 무늬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 입체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준비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b는 흡기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c는 직물원단에 입체홈이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d는 충진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e는 커버원단을 구비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f는 봉제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2a는 본 발명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입체무늬가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직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는 요입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요입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3c는 도 3b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을 이용한 의류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제작방법의 순서도 이다.
본 발명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은 일측면에 환형으로 요입된 형태의 요입홈(110)을 구비하고 상기 요입홈(110)에는 타측면과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120)을 형성하는 요입부재(100)를 구비하여 상기 요입부재(100)의 일측면에 직물원단(200)을 위치시키고, 상기 요입부재(100)의 요입홈(110)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서 통공(12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요입홈(110) 상단에 위치한 직물원단(200)이 요입홈(110)에 밀착되도록 하여 직물원단(200)에 입체홈(210)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입체홈(210)의 요입된 공간에 쿠션재(300)를 압입하고, 상기 쿠션재(300)와 직물원단(200)의 상단에 쿠션재(300)와 직물원단(200)을 감싸도록 커버원단(400)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원단(400)과 직물원단(200)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50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은 직물원단(200)의 일 측에 환형으로 오목하게 요입되어 이루어지는 입체홈(210)과, 상기 입체홈(210)의 내부에 압입되어 요입된 공간을 채우며 입체홈(210)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쿠션재(300)와 상기 쿠션재(300)가 입체홈(210)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입체홈(210)과 직물원단(200)의 상단에 구비되어 봉제하여 결합하는 커버원단(400)을 구비하여, 외관상 직물원단(200)을 수작업으로 이음한 효과를 내도록 입체무늬(10)를 형성하는 것을 그 구조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원단(200)은 의복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원단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 하고, 의복의 종류에 따라 두께와 색상 및 종류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한 겹 또는 두 겹의 직물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 입체 무늬가 형성된 직물에서는 원단을 다양한 재질로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직물원단(200)에 입체홈(210)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요입부재(100)는 본 발명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을 구성하기 위해 자체 제작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면에 요입홈(110)을 구비하는 길이재의 압출형재를 구비하여 상기 요입홈(110)에 다수개의 통공(120)을 압출 방향과 수직이 되도록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요입홈(110)은 직물원단(200)에 입체홈(210)을 형성하기 위해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통공(120)은 요입부재(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직물원단(200)에 입체홈(210)을 형성하기 위하여 흡기를 시행할 때, 공기의 입출이 가능 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요입부재(100)에 직물원단(200)을 위치하고 요입홈(110)에 형성된 통공(120)을 통해 흡기를 시행하여 상기 흡기의 작용으로 요입홈(110)의 외면에 직물원단(200)이 밀착되도록 직물원단(200)이 밀착됨에 따라 직물원단(200)을 요입홈(110)의 형상대로 절곡되어 입체홈(210)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입체홈(210)에는 탄성을 구비하는 쿠션재(300)를 압입하여 입체홈(210)의 형상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쿠션재(300)는 입체홈(210)에 충진되어 입체홈(210)의 형상을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신축적이고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원단(200)에 형성된 입체홈(210)은 직물원단(200)의 재질 특성상 그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므로, 쿠션재(300)가 내부를 채워 형상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쿠션재(300)는 입체홈(210)의 무늬결을 따라 연속적으로 채워지는 것이며, 따라서 부드러운 재질의 털실 또는 섬유조각 및 다양한 탄성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재(300)가 충진되어진 직물원단(200)은 쿠션재(300)를 입체홈(2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쿠션재(300)와 직물원단(200)의 상단에 커버원단(400)을 구비하여 상기 커버원단(400)과 직물원단(200)을 봉제하여 봉제선(500)을 형성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봉제선(500)은 입체홈(210)을 기준으로 하여 입체홈(210)의 양측에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커버원단(400)이 직물원단(200)과 더욱 견고히 결합하여 쿠션재(300)를 입체홈(210)에 고정하기 위해 커버원단(400)이 직물원단(200)과 접하는 면에 접착층(600)을 구비하여 직물원단(200)과 접착되도록 한 후,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500)을 형성함에 따라 직물원단(200), 커버원단(400) 및 쿠션재(300)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입체무늬(10)는 의복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무늬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입체무늬(10)의 형성으로 여성의 몸매 라인을 강조하거나, 포켓부위의 장식, 직물의 테두리 마감부위, 두 원단의 봉제부위 등에 형성되며, 의복에 입체무늬(10)가 형성되게 되면, 보는 이로 하여금 의복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는 인식을 심어줄 뿐 아니라, 고급스러움을 한층더 배가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의 제작방법은 일측면에 환형으로 요입된 형태의 요입홈(110)을 구비하고 상기 요입홈(110)에는 타측면과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120)을 형성하는 요입부재(100)를 구비하여 상기 요입부재(100)의 일측면에 직물원단(200)을 위치시키는 준비공정(S10)과, 상기 요입부재(100)의 요입홈(110)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서 통공(12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요입홈(110) 상단에 위치한 직물원단(200)이 요입홈(110)에 밀착되도록 하여 직물원단(200)에 입체홈(210)을 형성하도록 하는 흡기공정(S20)과, 상기 입체홈(210)의 요입된 공간에 쿠션재(300)를 압입하는 충진공정(S30)과, 상기 쿠션재(300)와 직물원단(200)의 상단에 쿠션재(300)와 직물원단(200)을 감싸도록 커버원단(400)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원단(400)과 직물원단(200)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500)을 형성하는 봉제공정(S40)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준비공정(S10)은 일측면에 환형으로 요입된 형태의 요입홈(110)을 구비하고 상기 요입홈(110)에는 타측면과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120)을 형성하는 요입부재(100)를 구비하여 상기 요입부재(100)의 일측면에 직물원단(200)을 위치시키는 공정이다.
요입부재(100)는 본 발명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을 구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일측면에 요입홈(110)을 구비하는 길이재의 압출형재를 구비하여 상기 요입홈(110)에 다수개의 통공(1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요입홈(110)은 직물원단(200)에 입체홈(210)을 형성하기 위해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통공(120)은 요입부재(100)의 상단에 구비되는 직물원단(200)에 입체홈(210)을 형성하기 위하여 흡기를 시행할 때, 공기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직물원단(200)은 의복에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원단을 의미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의복의 종류에 따라 두께와 색상 및 종류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한 겹 또는 두 겹의 직물지를 모두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 입체 무늬가 형성된 직물에서는 원단을 다양한 재질로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흡기공정(S20)은 상기 요입부재(100)의 요입홈(110)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서 통공(12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요입홈(110) 상단에 위치한 직물원단(200)이 요입홈(110)에 밀착되도록 하여 직물원단(200)에 입체홈(210)을 형성하도록 하는 공정이다.
이때, 사용하는 흡기장치는 외부의 공기를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밸브를 통해 흡입할 수 있도록 상하왕복운동하는 공기흡입피스톤과, 사기 공기흡입피스톤의 일측단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공기흡입피스톤의 상하왕복운동에 따라 회전구동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일측에 연결되면서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의 일측단부에 연결되면서 상기 랙기어의 상하방향으로의 직선운동에 따라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흡입된 공기를 배기시키도록 직선왕복운동하는 배기피스톤으로 구성되는 공기 흡입장치를 비롯하여, 직물원단(200)을 요입홈(110)에 밀착하여 입체홈(21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된 다양한 흡입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충진공정(S30)은 상기 입체홈(210)의 요입된 공간에 탄성을 구비하는 쿠션재(300)를 압입하는 공정으로, 상기 쿠션재(300)는 입체홈(210)에 충진되어 입체홈(210)의 형상을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신축적이고 탄력성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물원단(200)에 형성된 입체홈(210)은 직물원단(200)의 재질 특성상 그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원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므로, 쿠션재(300)가 내부를 채워 형상을 유지시키는 것이다. 쿠션재(300)는 입체홈(210)의 무늬결을 따라 연속적으로 채워지는 것이며, 따라서 부드러운 재질의 털실 또는 섬유조각 및 다양한 탄성체와 같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쿠션재(300)가 탄성을 구비함에 따라, 입체무늬(10)가 직물원단(200)에 교차되도록 형성될 때에도, 입체무늬(10)가 교차된 부분의 두께가 쿠션재(300)의 탄성력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실제 쿠션재(30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입체무늬(10)의 마무리 부분이 부드럽게 마감처리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봉제공정(S40)은 상기 쿠션재(300)와 직물원단(200)의 상단에 쿠션재(300)와 직물원단(200)을 감싸도록 커버원단(400)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원단(400)과 직물원단(200)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500)을 형성하는 공정으로, 상기 봉제선(500)은 입체홈(210)을 기준으로 하여 입체홈(210)의 양측에 밀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커버원단(400)이 직물원단(200)과 더욱 견고히 결합하여 쿠션재(300)를 입체홈(210)에 고정하기 위해 커버원단(400)이 직물원단(200)과 접하는 면에 접착층(600)을 구비하여 직물원단(200)과 접착되도록 한 후,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500)을 형성함에 따라 직물원단(200), 커버원단(400) 및 쿠션재(300)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체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은 직물지의 이음부위에 형성되었던 둥근마루이음과 같은 입체적인 무늬를 직물지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간단한 공정에 의해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 제작시간과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원단을 절개하거나 안감을 덧대지 않아, 의복의 원하는 부위에 다양한 형상으로 입체 무늬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무늬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서도 봉제 부위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의복제작시 용이하게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고, 무늬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으면서도 의류의 고급스러움을 한층 더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일측면에 환형으로 요입된 형태의 요입홈(110)을 구비하고 상기 요입홈(110)에는 타측면과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120)을 형성하는 요입부재(100)를 구비하여 상기 요입부재(100)의 일측면에 직물원단(200)을 위치시키고, 상기 요입부재(100)의 요입홈(110)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서 통공(12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요입홈(110) 상단에 위치한 직물원단(200)이 요입홈(110)에 밀착되도록 하여 직물원단(200)에 입체홈(210)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입체홈(210)의 요입된 공간에 탄성을 구비하는 쿠션재(300)를 압입하고, 상기 쿠션재(300)와 직물원단(200)의 상단에 쿠션재(300)와 직물원단(200)을 감싸도록 커버원단(400)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원단(400)과 직물원단(200)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50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원단(400)과 직물원단(200) 사이에는 접착층(600)을 구비하여 커버원단(400)과 직물원단(200)이 더욱 견고히 접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선(500)은 입체홈(210)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4. 일측면에 환형으로 요입된 형태의 요입홈(110)을 구비하고 상기 요입홈(110)에는 타측면과 관통되는 다수의 통공(120)을 형성하는 요입부재(100)를 구비하여 상기 요입부재의 일측면에 직물원단(200)을 위치시키는 준비공정(S10);
    상기 요입부재(100)의 요입홈(110)이 형성되지 않은 타측에서 통공(12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요입홈(110) 상단에 위치한 직물원단(200)이 요입홈(110)에 밀착되도록 하여 직물원단(200)에 입체홈(210)을 형성하도록 하는 흡기공정(S20);
    상기 입체홈(210)의 요입된 공간에 탄성을 구비하는 쿠션재(300)를 압입하는 충진공정(S30);
    상기 쿠션재(300)와 직물원단(200)의 상단에 쿠션재(300)와 직물원단(200)을 감싸도록 커버원단(400)을 구비하고, 상기 커버원단(400)과 직물원단(200)에 봉제를 시행하여 봉제선(500)을 형성하는 봉제공정(S4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의 제작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봉제공정(S40)은 상기 커버원단(400)과 직물원단(200) 사이에 접착층(600)을 구비하여 커버원단(400)과 직물원단(200)이 더욱 견고히 접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의 제작방법.
KR1020070016496A 2007-02-16 2007-02-16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 KR100768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496A KR100768543B1 (ko) 2007-02-16 2007-02-16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6496A KR100768543B1 (ko) 2007-02-16 2007-02-16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543B1 true KR100768543B1 (ko) 2007-10-19

Family

ID=38815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6496A KR100768543B1 (ko) 2007-02-16 2007-02-16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5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72B1 (ko) * 2007-12-26 2008-11-05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KR101071673B1 (ko) * 2007-12-26 2011-10-11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원단에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식무늬가 형성된원단
KR101078870B1 (ko) 2008-01-14 2011-11-01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CN108589091A (zh) * 2018-03-26 2018-09-28 上海及示服装设计有限公司 一种使双面织物产生立体图案的内绣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353A (ko) * 2003-11-25 2005-05-31 주식회사 예인 입체 무늬를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353A (ko) * 2003-11-25 2005-05-31 주식회사 예인 입체 무늬를 갖는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972B1 (ko) * 2007-12-26 2008-11-05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KR101071673B1 (ko) * 2007-12-26 2011-10-11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원단에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식무늬가 형성된원단
KR101078870B1 (ko) 2008-01-14 2011-11-01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CN108589091A (zh) * 2018-03-26 2018-09-28 上海及示服装设计有限公司 一种使双面织物产生立体图案的内绣工艺
CN108589091B (zh) * 2018-03-26 2020-07-28 上海及示服装设计有限公司 一种使双面织物产生立体图案的内绣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014B1 (ko) 직물 재료를 합쳐서 일체 구조물로 접합하는 방법 및 무봉 퀼트
KR100768543B1 (ko) 입체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제작방법
US6796876B2 (en) Breast cup for a bra with visual enhancement
CN106163867A (zh) 用于制造具有罩的元件的方法、以及这种元件
JP2011194932A (ja) 車両用内装品
KR101071673B1 (ko) 원단에 장식무늬를 형성하는 방법 및 장식무늬가 형성된원단
KR100676373B1 (ko) 직물지 봉제방법
US20050000622A1 (en) Method of producing garment blanks having seamless trim
KR100739589B1 (ko)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
KR100897035B1 (ko) 다중겹무늬 원단 및 그의 형성방법
KR101945197B1 (ko) 줌치 한지 제조 방법
KR101078870B1 (ko) 원단의 봉제부 및 봉제방법
JP6217547B2 (ja) ステッチ加飾付き内装部品及びその成形型
CN112406648B (zh) 汽车座椅无缝头枕腔护面结构及其制作方法
JP4224812B2 (ja) 玉縁材縫製用ミシンの被縫製物押さえ装置
KR100278056B1 (ko) 모자의자수층성형방법
KR100980445B1 (ko) 브래지어컵의 제조방법
KR200395696Y1 (ko) 합성피혁 복합끈
JP2010036839A (ja) 加飾パネル、収納ボックス、及び加飾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618392B1 (ko) 원단의 연결부위에 재봉되는 이음밴드
CN211471786U (zh) 镶绳缉合压脚及压脚套件
CN113882091B (zh) 一种缝料固定夹具及制作方法
KR102338651B1 (ko) 조각보 형상을 갖는 누비이불
KR200260974Y1 (ko) 입체 성형 모자
KR200348063Y1 (ko) 입체자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