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8056B1 - 모자의자수층성형방법 - Google Patents

모자의자수층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8056B1
KR100278056B1 KR1019980028103A KR19980028103A KR100278056B1 KR 100278056 B1 KR100278056 B1 KR 100278056B1 KR 1019980028103 A KR1019980028103 A KR 1019980028103A KR 19980028103 A KR19980028103 A KR 19980028103A KR 100278056 B1 KR100278056 B1 KR 100278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mbroidery
fabric
hat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335A (ko
Inventor
조병우
Original Assignee
조병우
유풍실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우, 유풍실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병우
Priority to KR1019980028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8056B1/ko
Publication of KR2000000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8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1/00Manufacturing hats
    • A42C1/08Hat-finishing, e.g. polishing, ironing, smoothing, brushing, impregnating, stiffening, decorat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c Embroidering For 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자에 장식겸 상표 등을 나타내기 위해 문자, 숫자 또는 도형으로 이루어진 단일의장물(one point design mark)을 성형하되, 이중 구조를 갖도록 하여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모자에 문자, 숫자 또는 도형으로 이루어진 장식 또는 상표 자수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직물원단에 제 1의장물을 겹친 후, 제봉수단으로 1차 입체작업하여 직물원단상에 제 1의장물이 매립된 제 1자수층을 형성하고, 이를 모자의 소정 위치에 밀착하되, 그 사이에 제 2의장물을 위치시킨 후, 재봉수단으로 2차 입체작업을 하여 소정 모양을 갖는 제 2자수층을 형성시킴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단층, 2층, 3층 및 다층형태의 자수층을 성형할 수 있어 뛰어난 입체감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모자의 자수층 성형방법 및 그 모자
본 발명은 챙 모자의 자수무늬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자에 장식겸 상표 등을 나타내기 위해 문자, 숫자 또는 도형으로 이루어진 단일의장물(one point design mark)을 성형하되, 이중 구조를 갖도록 하여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챙을 갖는 모자(포제섬유 제품)에는 가장 눈에 잘 뜨이는 부분에 장식겸 상표 등을 나타내기 위해 문자, 숫자 또는 도형으로 이루어진 단일의장물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단일의장물을 형성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자수무늬를 형성시키거나 전사 날염을 행하거나 또는 일정한 무늬 형상으로 재단한 단일의장물을 접착제로 접착시키는 방법이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는 자수무늬를 천에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단일층으로 거의 입체감을 느낄 수 없었으므로 여러층이 겹쳐지도록 자수를 행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자수층이 3층을 초과하게 되면 먼저 자수된 부분이 딱딱해져서 자수층이 딱딱한 3층의 자수층에 닿게 되면 자수사가 그 충격을 받아 쉽게 끊어지거나 변형되어 작업을 계속할 수 없게 되어 입체감이 뛰어나게 눈에 띄지 않게 되어 상품가치가 떨어지고 많은 작업시간과 인력이 소요되어 제조원가가 상승케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이미 제안된바 있는 특허 제 92220 호(이하, 선행특허라 함)의 선행특허에 따른 입체감이 뛰어난 자수무늬가 형성된 포제섬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질 또는 중질의 판재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 두께와 형상과 모양을 갖는 문자, 숫자 또는 도형으로 이루어진 단일의장물(B)을 만들고 이 단일의장물(B)을 천에 접착제로 접착시킨 다음 그 위에 선염된 자수사(6)로 단일층의 자수층을 형성시키고 이 천(3)을 재단한 것을 봉제시키는 방법과 이 방법에 의해 입체감을 갖는 자수무늬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선행특허에서는 단일의장물과 자수사에 의해 입체감을 갖는 단일층의 자수층을 형성시켜 뛰어난 입체감을 얻을 수는 있었으나, 자수층이 단일층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입체감을 느낄 수는 있으나 그 정도가 빈약하여 보다더 확연하면서도 외관의 미려함에 대한 욕구는 충족시킬 수 없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선행특허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수층을 복층으로 형성하여 입체감을 높임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챙 모자의 자수무늬 성형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자에 문자, 숫자 또는 도형으로 이루어진 장식 또는 상표 자수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직물원단에 제 1의장물을 겹친 후, 제봉수단으로 1차 입체작업하여 직물원단상에 제 1의장물이 매립된 제 1자수층을 형성하고, 이를 모자의 소정 위치에 밀착하되, 그 사이에 제 2의장물을 위치시킨 후, 재봉수단으로 2차 입체작업을 하여 소정 모양을 갖는 제 2자수층을 형성시킨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선행특허에 따른 입체감이 뛰어난 자수무늬가 형성된 모자의 측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 A'선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자의 자수무늬 성형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a)와 (b)는 제 1자수층을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c)는 제 2자수층을 성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d)는 제 1, 2자수층을 갖는 복층형태의 자수층이 성형된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층형태의 자수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수층 성형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자수층 성형방법에 의해 성형된 자수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모자, 2:직물원단,
4:제 1의장물, 6:자수사,
10:제 1자수층, 12:제 2의장물,
20:제 2자수층, 22:제 3의장물.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와 도 3(b)는 제 1자수층의 형성과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직물원단(2)에 제 1의장물(4)이 겹쳐지고, 재봉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1차 입체작업으로 자수사(6)를 재봉하여 내부에 제 1의장물(4)이 매립된 소정 모양의 제 1자수층(10)을 성형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c)는 제 2자수층의 성형과정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제 2의장물(12)을 모자(1)의 소정 위치에 접착제로 부착한 후, 그 위에 도 3(a), (b)에서와 같이하여 제 1자수층(10)이 형성된 직물원단(2)을 밀착시킨 후, 재봉수단을 이용해 자수사(6)를 2차 입체작업하여 제 2자수층(20)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d)는 제 1, 2자수층을 갖는 복층형태의 자수층이 성형된 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3(a)∼(c)에 의해 모자(1)에 복층형태의 제 1, 2자수층(10, 20)이 성형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2층형태의 자수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모자(1)의 표면에 자수사(6)에 의해 제 2의장물(12)이 매립된 상태로 일정한 높이를 갖는 제 2자수층(20)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자수층(20)상에 제 1자수층(10)이 단차를 가지며 형성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수층 성형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자수층 성형방법에 의해 성형된 자수층을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직물원단(2)에 제 1의장물(4)을 겹친 후, 제봉수단으로 1차 입체작업하여 직물원단(2)상에 제 1의장물(4)이 매립된 제 1자수층(10)을 형성하고, 이의 배면에 제 2의장물(12)을 겹친 후, 재봉수단으로 2차 입체작업을 하여 소정 모양을 갖는 제 2자수층(20)을 형성시켜 2층형태의 자수층을 갖도록 한 다음, 이를 모자의 소정위치에 재봉하되, 그 사이에 또 다른 제 3의장물(22)을 위치시켜 3층형태의 자수층을 갖도록 하는 것을 나타내며, 또한, 상기 제 1자수층(10)을 형성한 다음, 제 2의장물(12)을 이용하여 제 2자수층(20)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여러번 반복하여 다층형태의 자수층을 갖도록 한 것을 나타낸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는 1'는 모자의 챙을 나타내며, 14는 접착부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1)에 전면 중앙부위 즉, 외부로 부터 눈에 잘 띠는 소정 위치에 소정의 형상과 모양을 갖는 장식 및 상표를 입체적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원단(2)과 제 1의장물(4)을 이용하여 소정 모양의 제 1자수층(10)을 형성한 후, 이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1)와 제 1자수층(10)이 형성된 직물원단(2) 사이에 제 2의장물(12)을 위치시킨 후, 제봉수단으로 재봉하여 복층형태의 제 1, 2자수층(10, 20)을 형성한다.
이때, 직물원단(2)과 제 1의장물(4) 및 제 2의장물(12)과 모자(1) 사이에는 자수사(6)의 재봉시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얇은 종이로 이루어진 접착부재(14)가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것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물원단(2)상에 제 1의장물(4)이 매립된 제 1자수층(10)을 형성하고, 이의 배면에 제 2의장물(12)을 겹쳐 재봉하여 2층형태의 자수층을 갖도록 한 다음, 이를 모자의 소정위치에 재봉하되, 그 사이에 또 다른 제 3의장물(22)을 위치시켜 3층형태의 자수층을 갖도록 하거나 또는, 도 3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자수층(10)을 형성한 다음, 제 2의장물(12)을 이용하여 제 2자수층(20)을 형성시키는 과정을 여러번 반복하여 제 3, 4,.... 등의 다층을 갖는 자수층을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모자에 장식 및 상표로 사용되는 자수층을 단층, 2층, 3층 및 다층형태로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모자의 소정위치에 장식 및 상표로 성형되는 자수층을 단층, 2층, 3층 및 다층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보다더 뛰어난 입체감을 충족시킴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문자, 숫자, 도형 등으로 이루어진 장식 또는 상표 자수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직물원단(2)에 제 1의장물(4)을 겹친 후, 제봉수단으로 자수사(6)를 재봉하여 직물원단(2)상에 제 1의장물(4)이 매립된 제 1자수층(10)이 형성되도록 한 모자의 자수층 성형방법.
    모자(1)의 일측에 제2의 장물(12)을 부착시킨 후, 그 표면에 직물원단(2)을 밀착시켜 재봉수단에 의해 2차 입체작업으로 자수사(6)를 재봉하여 제2자수층(20)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2자수층(20) 외측의 불필요한 직물원단(2)과 제2의장물(12)을 떼어내는 단계로 이루어진 복층의 자수층을 갖도록 하는 모자의 자수층 성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 2자수층(20)을 제2의장물(20)을 제2의장물(12)상에 성형한다음, 제2장물(12)과 모자(1)의 사이에 또 다른 제 3의장물(22)을 위치시켜 재봉수단에 의해 3차 입체 작업으로 자수사(6)를 재봉하여 복층의 자수층을 갖도록 하는 모자의 자수층 성형방법.
KR1019980028103A 1998-07-13 1998-07-13 모자의자수층성형방법 KR10027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103A KR100278056B1 (ko) 1998-07-13 1998-07-13 모자의자수층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103A KR100278056B1 (ko) 1998-07-13 1998-07-13 모자의자수층성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35A KR20000008335A (ko) 2000-02-07
KR100278056B1 true KR100278056B1 (ko) 2001-02-01

Family

ID=19543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103A KR100278056B1 (ko) 1998-07-13 1998-07-13 모자의자수층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80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120A (ko) * 2000-02-23 2001-09-06 차재성 섬유질로된 입체형 문양부재
KR101032226B1 (ko) 2008-07-17 2011-05-02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승화전사 자수물이 부착된 모자와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867B1 (ko) * 2020-07-24 2022-02-07 정남수 장식구가 구비된 모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9388A (en) * 1988-10-21 1992-09-22 Ted Stahl Pre-sewn letter and method
KR19980066163U (ko) * 1997-05-12 1998-12-05 최우진 입체장식이 구비된 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9388A (en) * 1988-10-21 1992-09-22 Ted Stahl Pre-sewn letter and method
KR19980066163U (ko) * 1997-05-12 1998-12-05 최우진 입체장식이 구비된 모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120A (ko) * 2000-02-23 2001-09-06 차재성 섬유질로된 입체형 문양부재
KR101032226B1 (ko) 2008-07-17 2011-05-02 주식회사 다다씨앤씨 승화전사 자수물이 부착된 모자와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335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5257B2 (en) Heat activated applique with upper stretch fabric layer
EP0891252B1 (en) Costumes with semi-rigid fabric components and method for manufacture of same
US6322866B1 (en) Appliques for garments and methods of making appliques
KR100278056B1 (ko) 모자의자수층성형방법
JP2017170854A (ja) 加飾品の製造方法
CN206510509U (zh) 具2d图样的布料
KR100897035B1 (ko) 다중겹무늬 원단 및 그의 형성방법
JP2003225104A (ja) 刺繍ストラップ
KR100292855B1 (ko) 입체자수모양 및 입체자수방법
KR100187531B1 (ko) 입체자수방법
KR950009253B1 (ko) 입체감이 뛰어난 자수무늬가 형성된 포제섬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03694A (ko) 다색상 표현이 가능한 메탈 및 홀로그램 엠블렘의 제조방법
CN216474210U (zh) 一种仿自然风格的人造革
KR200192731Y1 (ko) 섬유질로된 입체형 문양부재
CN109924598A (zh) 具有整个帽顶连续完整规则印花或提花的帽子及制作方法
JP7401884B2 (ja) 刺繍付き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ランドセル
KR200242740Y1 (ko) 장식물이 내재된 자수원단
CA1067284A (en) Method of making fancyworks us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rticles made by the method
TW201825738A (zh) 網布布料之製法及網布布料
KR20010084120A (ko) 섬유질로된 입체형 문양부재
KR20030046803A (ko) 입체 카드 제조 방법
KR200346104Y1 (ko) 의류용 단추
KR200276108Y1 (ko) 조립식 렌티큘러 액세서리
CN2424012Y (zh) 刺绣相册
JPS62184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