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643B1 -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 - Google Patents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643B1
KR102360643B1 KR1020200025661A KR20200025661A KR102360643B1 KR 102360643 B1 KR102360643 B1 KR 102360643B1 KR 1020200025661 A KR1020200025661 A KR 1020200025661A KR 20200025661 A KR20200025661 A KR 20200025661A KR 102360643 B1 KR102360643 B1 KR 102360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ryeong
hour hand
seam
longitudinal direction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488A (ko
Inventor
박순자
Original Assignee
박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자 filed Critical 박순자
Priority to KR1020200025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643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0Sleeves; Armho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18Cloth colla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령한복을 구성하기 위하여 제작된 단령깃에 관한 것으로서, 일면(1020)과, 절첩선(1030)에서 후방으로 절첩되어 상기 일면과 밀착되는 타면(1010)과, 상기 일면과 타면의 연결부위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단부가 양측에 노출되는 면실(1002)과, 상기 일면과 타면의 하단측에서 각각 내측으로 접혀 형성되는 시접부(1011)와, 상기 면실에 인접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시침부(1210)와, 전후측의 시접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시침부(1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DANRYUNG COLLAR MANUFACTURED BY TEMPORARY SEWING}
본 발명은 의류 제조와 관련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령한복을 구성하기 위하여 제작된 단령깃에 관한 것이다.
단령은 관리의 예복중 상복이며 처음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통일신라시대의 관리복으로 제 28대 진덕여왕 2년(648년)에 김춘추가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받아 온 것이 처음이며, 깃이 둥글게 만들어진데서 연유된 이름으로 단령은 길고 둥글게 만든 옷깃으로 목을 둥글게 감싼 후 매듭단추로 오른쪽 어깨에서 여미어 입는 것이다.
이러한 단령은 새로운 형태의 의복이었기 때문에 남성은 물론 여성들도 입어 크게 유행이 되기도 하였다.
관복은 옷단에 덧단을 댄 것과 대지 않은 것이 있으며, 가로로 덧댄 단을 란이라고도 하며, 소매통이 비교적 넓고 풍성한 것이 특징이었다. 단령은 허리에 대(帶)를 두르고 대 위에 옷을 빼내어 착용하는데 마치 상하가 나뉘어진 것처럼 보이게 입었다.
상기 단령은 시대별로 다른 형태와 양식을 따르기도 하는데, 발해의 단령의 경우 길이가 매우 길어 발등을 충분히 덮을 뿐 아니라 지면에 거의 닿을 정도로 길었다. 또 양옆의 트임은 허벅지까지 트여 안에 입은 바지 등의 옷 색을 볼 수 있다. 아랫단에 덧댄 단장식인 란은 없고 통일 신라와는 다른 형태의 단령이라고 하겠다. 소매는 매우 길어서 손을 덮고도 남으며 소매통도 매우풍성하다.
고려의 경우 상복을 주로 입었는데 고려 우왕13년(1387)년 6월에 명의 관복 제도를 따라 다시 정하여 1~9품까지 사모단령이고 대(帶)로 품계의 상하를 구별 하였다. 단령과 사모의 모양은 중국과 같았다.
조선시대의 단령은 초기의 형태는 고려 단령과 같았으나 조선 중 후기가 되면서 단령의 깃을 많이 파고 소매가 넓어지며 옆에 있던 무를 뒷길에 붙이고 옷고름을 달고 흉배도 작아졌다. 1884년(고종21년)에는 상복과 시복을 흑단령 하나로 간소화했다. 1895년(고종32)8월 10일에 문관복장식을 반포 하여 대례복 소례복이 생겼으며, 흑단령의 소매 넓이로 대례복 소례복으로 구별하였다. 1900년(광무4년)에 단령을 양복으로 대치한 이후 단령은 지금까지 신랑의 혼례복으로 남게 되었다
시대별로 시복과 상복의 분류를 해보자면 아래와 같다.
15C 전기 15C 후기 16C 17C 이후
태조~
세종28년
세종28년~성종말 성종말~광해군2년 광해군2년 이후
용도 공용
(의례, 집무)
의례용 집무용 의례용 집무용 의례용 집무용
색상 잡색
옥색, 회색, 토홍색, 심남색, 흑색, 홍색 등
흑색
(아청색)
흑색외의 잡색
암두?, 홍색, 감다갈, 초록, 토홍색 등
흑색
아청색
홍색
(담홍색,
심홍색)
흑색
아청색
홍색
(담홍색)
명칭 시복 = 상복 시복 = 상복 시복 상복 상복 시복
기록
참고
세종28년(1446)
상참,조참용 “흑엽조의” 시작
『오례의』,『국조오례의』
사복(=시복) 기록
단종2년(1452) 흉배 제정
『경국대전(1485)』
흑의. 상복
『악학궤범(1493)』 협률량, 시복(흑단령) 추정 착용.
중종13년(1518)
“시복: ”아청색“
광해군2년(1610)
예조판서 이정구가
『오례의』의 상복을 “흑단령”으로 규정함에 따라 홍단령은 시복’이 됨
이러한 단령을 구현함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이 단령깃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2443호는 여성용 단령한복을 만드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여성용 단령한복에 대해 공개하고 있으며, 도 1은 이에 의한 단령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여기서 단령깃을 만드는 방법을 인용하여보면 '상기 단령(701)의 외부로 노출되는 심(721)으로 단령의 둥근모양을 형성하고, 또 단령의 둥근 모양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고, 단령외부에 노출된 심(721)이 겉섭으로 가려져 외부에서는 심(721)이 보이지 않아 외관의 미를 향상하도록하였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처럼 단령깃의 경우 곡선을 가지되 곡률이 변화하는 한편 곡선의 형태는 아름답게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매우 까다롭다.
단령을 현대에서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하여서는 단령깃을 제대로 제작하여야 하는바 이에 대한 요청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곡선부위를 정확하게 형태를 잡고 단령을 제조할때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조된 단령깃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면(1020)과, 절첩선(1030)에서 후방으로 절첩되어 상기 일면과 밀착되는 타면(1010)과, 상기 일면과 타면의 연결부위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단부가 양측에 노출되는 면실(1002)과, 상기 일면과 타면의 하단측에서 각각 내측으로 접혀 형성되는 시접부(1011)와, 상기 면실에 인접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시침부(1210)와, 상기 시접부가 형성된 일면과 타면을 중첩된 상태로 상호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시침부(1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면실은 양단부측에서 당겨지면서 내주측의 곡선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제2시침부는 시접부가 형성되는 측의 외곽 곡선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일면과 타면의 늘어남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절취되는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조상의 훌륭한 옷을 현대적인 방식으로 재현하고 전통을 승계할 수 있으며, 단령의 라운드를 매끄럽고 유연하게 재현할 수 있으면서도 면실과 시접 부위의 배치와 형상의 정확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단령 깃의 제도방법에 의한 단령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단령깃 형태를 다듬기 위하여 시침이 적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령깃이 적용된 단령한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령깃 제조를 위하여 원단으로부터 재단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령깃 제조 과정에서 면실과 시접을 형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의 단령깃을 제조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재현하고 현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바,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된다면 크기나 비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현대적인 다양한 소재들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단령깃 형태를 다듬기 위하여 시침이 적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깃원단부(1000)는 일면(1020)과 이에 반대되는 타면이 절첩선에서 반으로 접힌 형태를 갖고 있으며, 면실(1002)이 일면과 타면의 연결부위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제조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면실(1002)에 인접된 부위에 제1시침부(1210)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시접이 형성되는 반대 부위에서 일면(1020)과 타면을 함께 엮는 방식으로 제2시침부(1220)가 형성된다.
이렇게 제1시침부(1210)와 제2시침부(1220)가 형성되어 직선을 형태를 가지면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형태가 형성된다. 이때, 내주측의 곡선은 면실(1002)에 의하여 형태를 갖출 수 있고, 외주측의 곡선은 제2시침부(1220)에 의하여 형태를 갖출 수 있게 된다.
상기 면실(1002)의 양단은 깃원단부(1000)의 양단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면실(1002)의 양단측을 당겨주면서 전체적으로 'U자 형태를 형성하는데 이 과정은 면실(1002)이 배치되는 모서리 중심으로의 가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내주측의 곡선을 중심으로 모양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라운드 부위의 곡률이 작은, 면실(1002)이 배치된 측을 내주방향으로, 큰 측을 외주방향으로 정의하도록 한다.
이렇게 어느 정도 내주측의 곡선이 완료되면, 시접부가 형성되는 외곽의 곡선이 형성되며, 주름을 매만지면서 모양이 완성된다. 이때, 소정의 수분을 흡수하고 가공하는 과정과 다림질 과정에 의하여 단령깃이 완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렇게 다림질 및 건조가 완료되면 소정의 단령틀에 대비하여 형태를 바로잡고 시침을 제거하여 단령깃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령깃은 의복 원단 및 재단된 재료와 결합하여 단령을 구성한다.
도 3에서는 이렇게 완성된 단령깃이 의복을 구성하여 완성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단령깃의 전후면에서 시접이 형성된 부위는 의복의 못 부위와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라운드 형태를 완성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시침을 응용하여 완성된 단령깃을 제작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원단으로부터 재단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태의 원단(1001)을 재단하여 깃원단부(1000)를 분리하고 이를 가공하여 단령깃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바 마름질과 시침 내지는 봉제하는 등의 방식은 공지의 원단을 가공하는 공지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원단(1001)는 전체적으로 정사각 형태의 부재를 사용하며, 대각 방향으로 긴 6각 형태의 깃원단부(1000)를 재단하게 된다. 이러한 깃원단부(1000)는 도 4의 (a)에 나타나 있다.
상기 깃원단부(1000)의 좁은 폭(a)는 12cm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따를 때 단령깃은 6cm에서 시접(예를 들어 1cm)을 제외한 폭을 가지게 될 것이다. 상기된 규격을 고려하면 원단(1001)은 가로와 세로가 112cm인 정사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길이와 폭은 선택에 따라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깃원단부(1000)가 재단되면, 도 4의 (b)에서와 같이 절첩선(1030)을 마련하여 일면(1020)과 타면이 상호 마주보도록 절첩할 수 있는 준비를 하게 된다. 상기 일면(1020)과 타면(1010)의 만나는 모서리 부위 내측에는 면실이 삽입되어 소정의 가이드 기능을 하게 되며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깃원단부(1000)의 일면(1020)과 타면(1010)이 절첩되기 전에 좌우 등간격으로 상하 방향의 수직홈질부(111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가공 과정에서 일면(1020)과 타면(1010)이 만나는 위치를 일정하기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직홈질부(1110) 사이의 폭(W)은 바람직하게는 10cm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령깃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면실과 시접을 형성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절첩선(1030)을 통하여 상하로 절반을 절첩하면 일면(1020)과 타면(1010)이 만나는 모서리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면실(1002)이 배치된다. 상기 면실(1002)의 양단은 깃원단부(1000)의 양측으로 소정 길이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모습은 도 5의 (c)에 나타난다.
이러한 면실(1002)에 인접하여 제1시침부(1210)가 형성되고 가공 과정에서 면실(1002)의 위치를 고정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시침부(1210)는 최대한 절첩선(1030)에 인접하여 일면(1020)과 타면(1010)을 결합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제1시침부(1210)와 절첩선(1030)의 사이 공간에 면실(1002)이 배치되는 것이다.
도 5의 (d)에서는 시접을 형성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상기 도 5의 (c)를 참고하면 시접을 형성하기 전에 일면(1020)과 타면(1010)이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시접이 되는 완성선을 그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성선을 따라 내측으로 시접을 접게 되며 이에 따라 시접부(1011)가 형성된다. 상기 시접부(1011)는 1cm의 폭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시접부(1011)가 접혀지고 일면(1020)과 타면(1010)이 중첩된 상태에서 제2시침부(1220)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제2시침부(1220)는 곡선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장력을 제공하고 해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관련된 설명은 후술한다.
다만, 상기 시접의 정확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도 5의 (c)에서 (d)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전후측의 시접에 각각 홈질(미도시)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시접부(1011)와 하단의 사이에 제2시침부(1220)가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도 5의 (d) 이후에 분무를 통하여 물을 흡수시키는 과정을 선행시키는 것이 섬유의 유연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우선 면실(1002)의 양단측을 당겨주면서 전체적으로 'U자 형태를 형성하는데 이 과정은 면실(1002)이 배치되는 모서리 중심으로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이렇게 어느 정도 내주측의 곡선이 완료되면, 시접부(1011)가 형성되는 외곽의 곡선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외곽에서는 더 늘어나는 경향을 보여야 주름이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다.
제2시침부(1220)에서 소정 간격마다 시침실을 절단하여 늘어남을 허용함으로써 외곽 곡선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구성한다. 상기 시침실의 절단 간격은 선택적이나, 2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2시침부(1220)의 절단 과정에서 손으로 중심부위(화살표가 표시된 하단)으로부터 매만져 부드러운 형태를 만든다.
상기 깃원단부는 전체적으로 물을 머금은 상태이기 때문에 유연성을 가지고 다림질을 수행하여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리미의 온도는 마를 다릴 때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화살표가 표시된 중심 부위로부터 단부측으로 가면서 늘려가며 주름을 제거하면서 다림질을 수행한다. 다만, 고대 부분은 늘리지 않음에 유의하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에 의하여 단령의 라운드가 매끄럽고 유연하게 구현될 수 있으면서도 면실과 시접 부위의 배치와 형상의 정확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1000...깃원단부 1001...원단
1002...면실 1010...타면
1011...시접부 1020...일면
1030...절첩선 1110...수직홈질부
1210...제1시침부 1220...제2시침부

Claims (1)

  1. 일면(1020)과,
    절첩선(1030)에서 후방으로 절첩되어 상기 일면과 밀착되는 타면(1010)과,
    상기 일면과 타면의 연결부위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단부가 양측에 노출되는 면실(1002)과,
    상기 일면과 타면의 하단측에서 각각 내측으로 접혀 형성되는 시접부(1011)와,
    상기 면실에 인접되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시침부(1210)와,
    상기 시접부가 형성된 일면과 타면을 중첩된 상태로 상호 연결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시침부(1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면실은,
    양단부측에서 당겨지면서 내주측의 곡선을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제2시침부는,
    시접부가 형성되는 측의 외곽 곡선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일면과 타면의 늘어남이 가능하도록 설정된 간격으로 절취되는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
KR1020200025661A 2020-02-29 2020-02-29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 KR102360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661A KR102360643B1 (ko) 2020-02-29 2020-02-29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661A KR102360643B1 (ko) 2020-02-29 2020-02-29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488A KR20210110488A (ko) 2021-09-08
KR102360643B1 true KR102360643B1 (ko) 2022-02-08

Family

ID=7778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661A KR102360643B1 (ko) 2020-02-29 2020-02-29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8530B1 (ko) * 2022-07-25 2022-10-24 김명희 한복 깃의 제도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443B1 (ko) 2017-01-20 2017-12-27 이남예 여성용 단령한복을 만드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여성용 단령한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3492U (ja) * 2016-01-22 2016-03-31 株式会社 エデン 立体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443B1 (ko) 2017-01-20 2017-12-27 이남예 여성용 단령한복을 만드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한 여성용 단령한복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s://www.youtube.com/watch?v=fbE-jqs2wKs&t=616s (2019.09.21.)
JP03203492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488A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1617B2 (en) Green means 4 kids attire
KR102360643B1 (ko) 시침을 응용하여 제작된 단령깃
RU2757188C2 (ru) Изделие с вязаной структурой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1701410B1 (ko) 한복용 직물
KR102360640B1 (ko) 단령깃의 제조방법
CN111938218A (zh) 一种可机洗西装的制作方法
KR100637903B1 (ko) 누비넥타이의 제조방법
US3449765A (en) Garment construction
CN213719950U (zh) 一种带有弧形褶皱的立体衣服
CN208639645U (zh) 一种短袖polo衫
Talbot The Complete Book of Sewing-Dressmaking and Sewing for the Home Made Easy
CN208624666U (zh) 一种立领短袖polo衫
KR20120005688A (ko) 청바지
JP3049066U (ja) 前後及び表裏兼用に着用可能な衣服
KR100866972B1 (ko) 모피원단 및 모피원단의 제조방법
CN100453000C (zh) 一种牛仔服装
KR101371283B1 (ko) 라운드 깃을 갖는 양복의 제조방법 및 그 양복
US3009161A (en) Unitary insert structure for shirts and the like
KR102360647B1 (ko) 원삼깃의 제조방법
KR101993932B1 (ko) 양면 청바지 제조 방법
CN219660971U (zh) 一种具有立体精雕绗缝结构的服装
CN220236087U (zh) 一种夹棉居家服上衣
CN216088934U (zh) 一种无缝西服
CN210652187U (zh) 一种舒适有型且不易变形的针织运动服
US3224010A (en) Collar including gar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