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8504B1 -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8504B1
KR100548504B1 KR1020020073629A KR20020073629A KR100548504B1 KR 100548504 B1 KR100548504 B1 KR 100548504B1 KR 1020020073629 A KR1020020073629 A KR 1020020073629A KR 20020073629 A KR20020073629 A KR 20020073629A KR 100548504 B1 KR100548504 B1 KR 100548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garment
double
cut
ed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5772A (ko
Inventor
이수은
Original Assignee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filed Critical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Priority to KR1020020073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504B1/ko
Publication of KR2004004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5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9/00Devices or methods for trimming, levelling or straightening the hems of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터운 이중지가 원단으로 사용되는 더플코트와 같은 의류의 봉제선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은 더플코트와 같이 이중지를 사용한 의복의 제단된 원단과 원단을 연결하는 부분 또는 의복의 앞단과 같이 접히는 부분을 제봉함에 있어서, 제단된 원단의 접어서 제봉할 부분의 안쪽에서 소정의 폭으로 그 두께를 절개하여 제거한 후 제단된 원단의 절개된 가장자리와 가장자리을 맞대거나 절개된 원단을 접어 봉제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Sewing Method of Double Fabrics}
도 1 및 도 2 는 종래의 방법으로 봉제된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일부분 절단부 단면도
도 3 의 (a) 및 도 3 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원단과 원단을 연결하기 위한 제단된 원단의 사시도
도 4 의 (a) 및 도 4 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여 의복의 앞단을 형성하기 위한 제단된 원단의 사시도이다.
***주요부호의 설명***
10, 10', 20 : 이중지 원단
11, 11' : 이중지 원단의 절개된 가장자리
L1 : 제1 제봉선 L2 : 제2 제봉선
본 발명은 두터운 이중지가 원단으로 사용되는 더플코트와 같은 의류의 봉제선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플코트란 후드(모자)가 달린 싱글형의 코트로 뚜껑이 달린 커다란 박스포켓과 토글 단추(원뿔형의 목제 고리 장식-일명 떡볶이 단추)를 끈으로 여미는 것이 특징이 있고, 더플이라는 말은 벨기에의 어부들의 옷에서 유래된말로 두껍고 거친 모직으로 만들어져서 방한성이 강한탓에 2차 대전 당시 영국 해군의 근무복으로 쓰이다가 종전후엔 스포츠 코트에 사용되어 인기를 모아 널리 퍼지게 되면서 지금의 모양처럼 다듬어진 더플 코트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이중지로 만들어지는 더플코트는 캐주얼한 의상이지만 전통적인 이미지가 강해서 겨울용 의상으로 고전적이고 클래식한 매력과 쉽게 싫증나지 않는 스타일 때문에 남녀노소 구분이 없이 착용하는 의상이다. 즉 전통적인 디자인으로 한벌 구입해 놓으면 유행에 상관없이 무난하게 평생을 입을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더플코트의 원단은 이중(二重)으로 된 직물지이다. 더플코트를 제조함에 있어서 이중지의 두께 때문에 천과 천을 잇거나 의복의 가장자리등 봉제선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텁게 된다.
이같이 종래의 터플코트와 같이 이중지 원단으로 제작된 의복에 있어서 봉제 된 부분이 두터워 의복을 착용할 때 둔한 느낌을 주고 특히 착용자의 옷테 즉 실루엣이 표현되지 않아 여성들의 경우 이중원단으로 된 의복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방법은 봉제선을 형성하는 제단된 원단의 가장자리를 얇게 한 후 봉제선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의복의 봉제된 부분을 얇게 하여 착용자의 옷테 즉 실루엣이 표현되도록 하고, 착용감이 둔하지 않는 의복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 형성방법은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쪽 이중지 원단(10, 이하 한쪽 원단이라 함)의 가장자리를 소정의 폭만큼 두께를 절반으로 한 절개된 가장자리(11)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 이중지 원단(10', 이하 다른 한쪽 원단이라 함)의 가장자리는 소정의 폭으로 두께를 절반으로 절개하여 절개된 가장자리(11')형성한다.
한쪽 원단(10)과 다른 한쪽 원단(10')을 연결하고자 하면 도 3 (b)와 같이 한쪽 원단(10)의 절개되어 절개된 가장자리(11)와 다른 한쪽 원단(10')의 가장자리(11')를 맞대는데 한쪽 원단(10)의 절개된 가장자리(11)가 다른 한쪽 원단(10')의 절개된 가장자리(11') 보다 안쪽의 절개되지 않는 부분에 맞대어 봉제하여 제1봉제선(L1)을 형성하도록 하고, 다른 한쪽 원단(10')의 절개된 가장자리(11')는 한쪽 원단(10)의 절개된 가장자리(11)의 안쪽에 맞대어 봉제하여 제2봉제선(L2)를 형성하도록 하되 다른 한쪽 원단(10') 절개된 가장자리(11')의 끝단은 안쪽으로 접은 상태로 봉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중지의 한쪽 원단(10)과 다른 한쪽 원단(10')을 연결하는 제1봉제선(L1)과 제2봉제선(L2)이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종래의 것에 비하여 현저히 얇게 형성된다.
의복에 있어서 앞단을 이루는 부분은 제단된 원단의 끝단을 안쪽으로 접어 봉제하게 되는데, 도 4 (a)는 본발명에 따라 제단된 이중지 원단으로 의복의 앞단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단된 이중지 원단(20)의 가장자리의 일부 안쪽을 소정의 폭으로 절개하여 두께를 절개된 가장자리(21)가 표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렇게 두께를 얇게 한 제단된 원단을 접어 안쪽으로 저며 제봉하여 의복의 앞단을 형성하는 거동을 도 4 (b)에 도시하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은 제단된 원단이 접히는 부분이나 제단된 원단과 원단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 즉 봉제되는 부분을 형성함에 있어서 제단된 원단의 봉제될 부분의 끝단 안쪽을 소정의 폭만큼 잘라내어 그 두께를 얇게 한 후 접어 봉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은 비록 두께가 두꺼워도 원단이 접혀져 봉제된 봉제선부분이 상대적으로 두껍지 않기에 의복을 착복한 사람이 의복이 둔하다는 느낌이 들지 않을 뿐아니라 특히 착복자의 인체라인이 나타나 실루엣이 표현되므로 여성의류에 적용하면 효과가 크다.
또한 부가적으로 이중지의 원단을 그대로 사용하여 봉제할 경우 그 두께가 매우 두터워 봉제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우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할 경우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 봉제선을 형성함에 있어 그다지 까다롭지 않다.

Claims (1)

  1. 더플코트와 같이 이중지를 사용한 의복의 제단 된 한쪽 원단과 다른 한쪽 원단을 연결하는 부분 또는 의복의 앞 단과 같이 접히는 부분을 제봉함에 있어서, 제단된 원단의 접어서 제봉할 부분의 안쪽을 접어지는 폭만큼 그 두께를 절개하고 절개된 원단의 안쪽면을 제거하여 원단의 가장자리 두께를 얇게 하여 절개된 가장자리를 형성한 후,
    한쪽 원단(10)의 절개된 가장자리(11)와 연결하고자하는 다른 한쪽 원단(10')의 절개된 가장자리(11')를 맞대어 접어서 봉제하거나 또는 원단(20)의 절개된 가장자리(21)를 접어서 봉제하는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
KR1020020073629A 2002-11-25 2002-11-25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48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629A KR100548504B1 (ko) 2002-11-25 2002-11-25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3629A KR100548504B1 (ko) 2002-11-25 2002-11-25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772A KR20040045772A (ko) 2004-06-02
KR100548504B1 true KR100548504B1 (ko) 2006-02-01

Family

ID=3734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36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48504B1 (ko) 2002-11-25 2002-11-25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5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240B1 (ko) 2006-03-30 2006-10-09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둥근마루이음 봉재방법
KR100739589B1 (ko) 2007-01-22 2007-07-18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
KR100768544B1 (ko) 2007-01-22 2007-10-19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가죽의 봉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035B1 (ko) * 2008-02-21 2009-05-14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다중겹무늬 원단 및 그의 형성방법
KR101909809B1 (ko) * 2017-02-22 2018-10-18 태광섭 원단의 연결부에 돌출부를 형성하는 재봉틀
KR102077650B1 (ko) * 2019-10-14 2020-02-14 박태현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9607A (ja) * 1987-03-06 1988-09-13 伊藤 満 ニツト生地の縫い合わせ部の伸び止め構造
JPH0214323U (ko) * 1988-07-08 1990-01-29
US5371904A (en) * 1993-01-28 1994-12-13 Sara Lee Corporation Collar construction
EP0682884A1 (en) * 1994-05-17 1995-11-22 Tal Apparel Ltd. Pucker free garment sea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9990032301A (ko) * 1997-10-17 1999-05-15 염성환 의류 홑겹 박음질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19607A (ja) * 1987-03-06 1988-09-13 伊藤 満 ニツト生地の縫い合わせ部の伸び止め構造
JPH0214323U (ko) * 1988-07-08 1990-01-29
US5371904A (en) * 1993-01-28 1994-12-13 Sara Lee Corporation Collar construction
EP0682884A1 (en) * 1994-05-17 1995-11-22 Tal Apparel Ltd. Pucker free garment sea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9990032301A (ko) * 1997-10-17 1999-05-15 염성환 의류 홑겹 박음질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2240B1 (ko) 2006-03-30 2006-10-09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둥근마루이음 봉재방법
KR100739589B1 (ko) 2007-01-22 2007-07-18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둥근마루 무늬가 형성된 직물 및 이의 형성방법
KR100768544B1 (ko) 2007-01-22 2007-10-19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가죽의 봉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772A (ko) 2004-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4566B2 (en) Reconfigurable mittens hand coverings
US3474465A (en) Shirt with underarm shield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632240B1 (ko) 둥근마루이음 봉재방법
US2718640A (en) Garment appendages
KR100586374B1 (ko) 바지
CN109862800A (zh) 服装口袋
KR100548504B1 (ko)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
US1537119A (en) Travel robe and method of making same
EP3461355A1 (en) Tailored jack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5150660A (en) Fabric material and clothing apparel and apparel accessories made therefrom
US1426892A (en) Seam
US2821719A (en) Garment protectors
KR20170142775A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모피의류 및 그 제조방법
US3624664A (en) Shirt colla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236218A (en) Fly structure for trousers
US3396407A (en) Coat collar construction
US3409912A (en) Watch pocket construction
CN112690514A (zh) 一种经典三开身女西服及裁剪方法
JPS6122051B2 (ko)
CN222443204U (zh) 提花剪纸镂空开衫
KR820002319Y1 (ko) 피 복
US2225125A (en) Reversible coat
US3224010A (en) Collar including garments
KR101890728B1 (ko) 피케셔츠
KR200257730Y1 (ko) 양면 착용이 가능한 한복 치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