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650B1 -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 - Google Patents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650B1
KR102077650B1 KR1020190127229A KR20190127229A KR102077650B1 KR 102077650 B1 KR102077650 B1 KR 102077650B1 KR 1020190127229 A KR1020190127229 A KR 1020190127229A KR 20190127229 A KR20190127229 A KR 20190127229A KR 102077650 B1 KR102077650 B1 KR 102077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k fabric
folded portion
silk
exterio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현
Original Assignee
박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현 filed Critical 박태현
Priority to KR1020190127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03D3/08Arched, corrugated, or lik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5/0038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3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protein-based, e.g. wool or silk
    • D03D15/235Cashmere or sil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6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F21V3/04Globes; Bowls; Cover glass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에 관한 것으로 실크원단의 경사올 방향상에 정확하게 실의 골방향으로 절단하고, 실크원단 색상별로 이어 붙이는 과정에서 서로 정확하게 골을 맞추어서 유등커버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염색 처리된 실크사(10)를 위사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하여 실크원단을 제직하는 제1단계(S1-1); 상기 제직된 실크원단의 일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1접힘부(15)를 형성하는 제2단계(S2); 상기 제1접힘부(15)가 형성된 실크원단의 타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2접힘부(17)를 형성하는 제3단계(S3); 상기 유등커버의 기초 프레임의 외곽으로 상기 실크원단을 둘러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가 맞대어지게 한 다음, 시접처리하여 유등커버를 완성하는 제4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Manufacturing method of silk fabric oiled cover and silk fabric oiled cover thereof}
본 발명은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크원단의 경사올 방향상에 정확하게 실의 골방향으로 절단하고, 실크원단 색상별로 이어 붙이는 과정에서 서로 정확하게 골을 맞추어서 유등커버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에 관한 것이다.
유등은 건물이나 동물 또는 사람 등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모형의 내부에 전등을 넣어서 불을 밝히는 것을 말한다. 유등은 동양문화에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1592년 10월 김시민 장군이 2만의 왜군을 맞아 싸울 때 성 밖의 진원군과 군사신호로 풍등을 올리며 횃불과 함께 남강에 등불을 띄운데서 비롯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근래에는 이러한 유등을 축제의 도구로 많이 활용하고 있다. 다양한 동물이나 사람 또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캐릭터 인형은 물론, 대형 건축물의 모형을 만들어 축제장을 장식하는 것은 물론, 오로지 유등을 테마로 한 축제도 있다.
유등은 철골 프레임으로 대략적인 모형을 만든 후에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전등을 넣고 외측에는 한지를 붙여서 마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하여 특히 밤에 내부 전등을 밝히면 형형색색의 다양한 모습을 연출하게 된다.
그런데 유등의 커버를 한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탄력성과 내구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대규모 유등이나 세밀한 표현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대형 유등이나 세밀한 유등을 만들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한지를 팽팽하게 당겨서 부착해야 하는데, 풀이나 본드를 먹인 한지를 팽팽하게 당기면 쉽게 찢어지게 된다. 그리고 풀이나 본드를 먹인 한지는 무겁고 눅눅하기 때문에 작은 외력만 가해져도 쉽게 찢어지기 때문에 그 자체의 특성만으로도 대형 유등을 제작하는데 사용하기는 어렵다. 또한, 유등 내부의 철골 프레임을 촘촘하게 하고 한지를 여러 장으로 나누어서 부착하면 대형 유등이나 세밀한 표현이 어느 정도 가능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한지를 누더기처럼 덕지덕지 붙여야 하기 때문에 외관이 깔끔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내부의 불빛이 균일하게 방사되지도 못하여 유등의 품질을 현저히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한지 대신 합성섬유원단을 사용하여 그 원단을 잘라서 각 색상별로 이어 붙여서 유등커버를 제작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실크 원단은 우아한 광택, 매끄러운 촉감, 견명효과, 천연감 등의 장점으로 최고의 원단으로 각광받고 있으며 주로 한복이나 블라우스 등 고급 의류제작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실크 원단은 한복용 소재로 활용됨으로서 우리민족의 정체성과 전통성이 녹아 있는 대한민국 대표 전통원단 소재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유등커버를 전통적이고 고급스러운 실크원단으로 제조하기 위해 사용할 경우, 상기한 합성섬유원단의 방식대로 제단을 하고 디자인을 한다면 유등커버가 형상을 잡지 못할 뿐 아니라, 형태가 완성되더라도 원단의 특성상 틀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859743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실크원단의 경사올 방향상에 정확하게 실의 골방향으로 절단하고, 실크원단 색상별로 이어 붙이는 과정에서 서로 정확하게 골을 맞추어서 유등커버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염색 처리된 실크사(10)를 위사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하여 실크원단을 제직하는 제1단계(S1-1); 상기 제직된 실크원단의 일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1접힘부(15)를 형성하는 제2단계(S2); 상기 제1접힘부(15)가 형성된 실크원단의 타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2접힘부(17)를 형성하는 제3단계(S3); 상기 유등커버의 기초 프레임의 외곽으로 상기 실크원단을 둘러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가 맞대어지게 한 다음, 시접처리하여 유등커버를 완성하는 제4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외측에서 65∼73℃의 온도로 30∼45초 동안 다림질하여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꺽임상태가 확고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접힘부(15)는 7∼10㎜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2접힘부(17)는 10∼15㎜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2접힘부(17)의 테두리단부가 제1접힘부(15)의 테두리단부를 감싼 상태에서 시접처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실크원단의 외측면에 발수액 및 방오액으로 발수가공 및 방오가공 처리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염색 처리된 실크사(10)를 경사방향으로 하고, 폴르에스테르(PET)사(20)를 위사방향으로 하여 실크원단을 제직하는 제1단계(S1-2); 상기 제직된 실크원단의 일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1접힘부(15)를 형성하는 제2단계(S2); 상기 제1접힘부(15)가 형성된 실크원단의 타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2접힘부(17)를 형성하는 제3단계(S3); 상기 유등커버의 기초 프레임의 외곽으로 상기 실크원단을 둘러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가 맞대어지게 한 다음, 시접처리하여 유등커버를 완성하는 제4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또 다른 본 발명은,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염색 처리된 실크사(10)를 위사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하여 제직되는 실크원단; 상기 제직된 실크원단의 일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1접힘부(15); 상기 제1접힘부(15)가 형성된 실크원단의 타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2접힘부(17);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외측에서 65∼73℃의 온도로 30∼45초 동안 다림질하여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꺽임상태가 확고해지게 하고, 상기 유등커버의 기초 프레임의 외곽으로 상기 실크원단을 둘러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가 맞대어지게 한 다음, 시접처리하여 유등커버가 완성되어지되, 상기 제1접힘부(15)는 7∼10㎜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2접힘부(17)는 10∼15㎜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2접힘부(17)의 테두리단부가 제1접힘부(15)의 테두리단부를 감싼 상태에서 시접처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염색 처리된 실크사(10)를 경사방향으로 하고, 폴르에스테르(PET)사(20)를 위사방향으로 하여 제직되는 실크원단; 상기 제직된 실크원단의 일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1접힘부(15); 상기 제1접힘부(15)가 형성된 실크원단의 타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2접힘부(17);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외측에서 65∼73℃의 온도로 30∼45초 동안 다림질하여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꺽임상태가 확고해지게 하고, 상기 유등커버의 기초 프레임의 외곽으로 상기 실크원단을 둘러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가 맞대어지게 한 다음, 시접처리하여 유등커버가 완성되어지되, 상기 제1접힘부(15)는 7∼10㎜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2접힘부(17)는 10∼15㎜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2접힘부(17)의 테두리단부가 제1접힘부(15)의 테두리단부를 감싼 상태에서 시접처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크원단의 경사올 방향상에 정확하게 실의 골방향으로 절단하고, 실크원단 색상별로 이어 붙이는 과정에서 서로 정확하게 골을 맞추어서 유등커버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크사의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실크원단의 제직물 구성 예시도
도 3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의 실시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의 실시 순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실크원단의 경사올 방향상에 정확하게 실의 골방향으로 절단하고, 실크원단 색상별로 이어 붙이는 과정에서 서로 정확하게 골을 맞추어서 유등커버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7을 참고하여 보면 하기와 같은 제1단계∼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의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일실시예로서 도 2의 (a) 및 도 6에서와 같이 염색 처리된 실크사(10)를 위사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하여 실크원단을 제직하는 제1단계(S1-1)와, 상기 제직된 실크원단의 일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1접힘부(15)를 형성하는 제2단계(S2)와, 상기 제1접힘부(15)가 형성된 실크원단의 타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2접힘부(17)를 형성하는 제3단계(S3)와, 상기 유등커버의 기초 프레임의 외곽으로 상기 실크원단을 둘러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가 맞대어지게 한 다음, 시접처리하여 유등커버를 완성하는 제4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구현에 사용되는 실크사(10)는 도 1에서와 같이 피브로인(12) 및 세리신(1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실크사(10)는 천연물로서 누에에서 토사한 필라멘트 장섬유(filament yarn) 구조로 인한 기타 섬유 대비 제조난위도가 높은 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실크사(10)는 후가공과 연계되도록 하기 위해 탄력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습윤제직 공정을 실시하게 된다. 실크 단백질은 결정 영역과 비결정 영역으로 구분되어, 체적변화로 비결정 영역의 팽윤으로 인하여 길이 방향의 변화는 없지만, 직각 방향으로 체적이 증가한다. 이때 팽윤된 원사가 제직 후 건조되면, 수용성 세리신이 상호 가교되어 서로를 부착하는 효과가 있고, 동시에 비결정이 결정성으로 변화되어 팽윤 용해성이 감소되어 습윤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2단계 및 제3단계에서 형성되는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는 우선적으로 수작업으로 접은 다음 눌러서 형성되게 하는데,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꺽임(접힘)상태를 확고하게 하기 위해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외측에서 다림질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외측에서 65∼73℃의 온도로 30∼45초 동안 다림질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단계(S4)에서 실시되는 시접처리의 실시예로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 박음질(19) 처리 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시접처리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1접힘부(15)는 7∼10㎜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2접힘부(17)는 10∼15㎜로 형성되게 하여, 즉 상기 제1접힘부(15) 보다 제2접힘부(17)를 더 길게 형성하여 상기 제2접힘부(17)의 테두리단부가 제1접힘부(15)의 테두리단부를 감싼 상태에서 시접처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크원단은 수분과 햇빛에 견디어야 함으로 실크원단의 외측면에 발수액 및 방오액으로 발수가공 및 방오가공 처리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수가공 및 방오가공을 하는 경우 최대한의 조제와 열을 투과시켜서 외부코팅처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수가공 및 방오가공은 우레탄(PU)과 테프론(PTFE) 등을 사용하여 본딩 방식을 통해 기능 구현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방수 및 방오 기능 뿐만 아니라 일광견뢰도, 형태 안정성, 강도증진 등의 효과가 발생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유등커버를 제조하기 위해 실크사(10) 만으로 경사, 위사로 제직하여 제조 가능하나, 다른 실시예로서 실크사(10)의 고급스러움을 유지하면서도 원가를 저감함과 아울러 필요에 따른 요구성능을 확보, 개선토록 하기 위해 도 2의 (b) 및 도 7에서와 같이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염색 처리된 실크사(10)를 경사방향으로 하고, 폴르에스테르(PET)사(20)를 위사방향으로 하여 실크원단을 제직하는 제1단계(S1-2)와, 상기 제직된 실크원단의 일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1접힘부(15)를 형성하는 제2단계(S2)와, 상기 제1접힘부(15)가 형성된 실크원단의 타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2접힘부(17)를 형성하는 제3단계(S3)와, 상기 유등커버의 기초 프레임의 외곽으로 상기 실크원단을 둘러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가 맞대어지게 한 다음, 시접처리하여 유등커버를 완성하는 제4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폴르에스테르(PET)사(20)는 폴리에스테르 융착사를 사용토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융착사는 고융점을 갖는 폴리에스테르로 형성된 코어를 두고 코어사의 둘레에 저융점을 갖는 폴리머 폴리에스테르로 융착시켜 저온융착성을 갖는 합성섬유사로 형성된 것으로 실크와 비슷한 촉감 및 광택 등을 갖고 있다.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경사방향의 실크사(10)와 위사방향의 삼베를 제직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삼베는 견고성과 내구성이 뛰어나며, 속이 비어있는 긴파이프가 거미줄처럼 수 없이 얽혀 있는 구조를 가진 것으로 수분을 조절하고 열을 조정하는 특성을 갖추고 있음은 물론 면 보다 20배 정도 빠른 수분 흡수력과 배출력 그리고 방음성 등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자외선을 차단하며 곰팡이를 억제하는 항균성과 항독성이 있다. 이러한 삼베로 경사를 사용하며, 그 제직방법은 상술된 폴르에스테르(PET)사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이를 생략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실크원단 유등커버는 일실시예로서 염색 처리된 실크사(10)를 위사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하여 제직되는 실크원단; 상기 제직된 실크원단의 일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1접힘부(15); 상기 제1접힘부(15)가 형성된 실크원단의 타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2접힘부(17);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외측에서 65∼73℃의 온도로 30∼45초 동안 다림질하여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꺽임상태가 확고해지게 하고, 상기 유등커버의 기초 프레임의 외곽으로 상기 실크원단을 둘러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가 맞대어지게 한 다음, 시접처리하여 유등커버가 완성되어지되, 상기 제1접힘부(15)는 7∼10㎜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2접힘부(17)는 10∼15㎜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2접힘부(17)의 테두리단부가 제1접힘부(15)의 테두리단부를 감싼 상태에서 시접처리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염색 처리된 실크사(10)를 경사방향으로 하고, 폴르에스테르(PET)사(20)를 위사방향으로 하여 제직되는 실크원단; 상기 제직된 실크원단의 일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1접힘부(15); 상기 제1접힘부(15)가 형성된 실크원단의 타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2접힘부(17);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외측에서 65∼73℃의 온도로 30∼45초 동안 다림질하여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꺽임상태가 확고해지게 하고, 상기 유등커버의 기초 프레임의 외곽으로 상기 실크원단을 둘러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가 맞대어지게 한 다음, 시접처리하여 유등커버가 완성되어지되, 상기 제1접힘부(15)는 7∼10㎜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2접힘부(17)는 10∼15㎜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2접힘부(17)의 테두리단부가 제1접힘부(15)의 테두리단부를 감싼 상태에서 시접처리되도록 구성한다.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에 의하면, 실크원단의 경사올 방향상에 정확하게 실의 골방향으로 절단하고, 실크원단 색상별로 이어 붙이는 과정에서 서로 정확하게 골을 맞추어서 유등커버의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실크사 12 : 피브로인
13 : 세리신 15 : 제1접힘부
17 : 제2접힘부 20 : 폴르에스테르(PET)사

Claims (10)

  1.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염색 처리된 실크사(10)를 위사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하여 실크원단을 제직하는 제1단계(S1-1);
    상기 제직된 실크원단의 일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1접힘부(15)를 형성하는 제2단계(S2);
    상기 제1접힘부(15)가 형성된 실크원단의 타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2접힘부(17)를 형성하는 제3단계(S3);
    상기 유등커버의 기초 프레임의 외곽으로 상기 실크원단을 둘러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가 맞대어지게 한 다음, 시접처리하여 유등커버를 완성하는 제4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외측에서 65∼73℃의 온도로 30∼45초 동안 다림질하여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꺽임상태가 확고해지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힘부(15)는 7∼10㎜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2접힘부(17)는 10∼15㎜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2접힘부(17)의 테두리단부가 제1접힘부(15)의 테두리단부를 감싼 상태에서 시접처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크원단의 외측면에 발수액 및 방오액으로 발수가공 및 방오가공 처리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5.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을 구성함에 있어서,
    염색 처리된 실크사(10)를 경사방향으로 하고, 폴르에스테르(PET)사(20)를 위사방향으로 하여 실크원단을 제직하는 제1단계(S1-2);
    상기 제직된 실크원단의 일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1접힘부(15)를 형성하는 제2단계(S2);
    상기 제1접힘부(15)가 형성된 실크원단의 타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제2접힘부(17)를 형성하는 제3단계(S3);
    상기 유등커버의 기초 프레임의 외곽으로 상기 실크원단을 둘러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가 맞대어지게 한 다음, 시접처리하여 유등커버를 완성하는 제4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염색 처리된 실크사(10)를 위사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하여 제직되는 실크원단;
    상기 제직된 실크원단의 일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1접힘부(15);
    상기 제1접힘부(15)가 형성된 실크원단의 타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2접힘부(17);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외측에서 65∼73℃의 온도로 30∼45초 동안 다림질하여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꺽임상태가 확고해지게 하고,
    상기 유등커버의 기초 프레임의 외곽으로 상기 실크원단을 둘러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가 맞대어지게 한 다음, 시접처리하여 유등커버가 완성되어지되, 상기 제1접힘부(15)는 7∼10㎜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2접힘부(17)는 10∼15㎜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2접힘부(17)의 테두리단부가 제1접힘부(15)의 테두리단부를 감싼 상태에서 시접처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10.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를 구성함에 있어서,
    염색 처리된 실크사(10)를 경사방향으로 하고, 폴르에스테르(PET)사(20)를 위사방향으로 하여 제직되는 실크원단;
    상기 제직된 실크원단의 일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1접힘부(15);
    상기 제1접힘부(15)가 형성된 실크원단의 타측단 테두리부에 경사방향 원단 골을 형성하는 라인을 기준하여 내측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는 제2접힘부(17);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외측에서 65∼73℃의 온도로 30∼45초 동안 다림질하여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의 꺽임상태가 확고해지게 하고,
    상기 유등커버의 기초 프레임의 외곽으로 상기 실크원단을 둘러 상기 제1접힘부(15) 및 제2접힘부(17)가 맞대어지게 한 다음, 시접처리하여 유등커버가 완성되어지되, 상기 제1접힘부(15)는 7∼10㎜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제2접힘부(17)는 10∼15㎜로 형성되게 하여, 상기 제2접힘부(17)의 테두리단부가 제1접힘부(15)의 테두리단부를 감싼 상태에서 시접처리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KR1020190127229A 2019-10-14 2019-10-14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 KR10207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229A KR102077650B1 (ko) 2019-10-14 2019-10-14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229A KR102077650B1 (ko) 2019-10-14 2019-10-14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7650B1 true KR102077650B1 (ko) 2020-02-14

Family

ID=6951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229A KR102077650B1 (ko) 2019-10-14 2019-10-14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466B1 (ko) * 2020-11-12 2021-01-07 박태현 접힘 구조를 갖는 접이형 유등커버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909Y1 (ko) * 1992-07-10 1995-02-15 송태룡 제등
KR200187748Y1 (ko) * 2000-02-14 2000-07-15 이상규 종이열기구
KR20040045772A (ko) * 2002-11-25 2004-06-02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
KR20070113529A (ko) * 2006-05-25 2007-11-29 박동호 형광과 야광에 의한 발광수단을 갖는 비닐지로 이루어진연등
KR20090085244A (ko) * 2008-02-04 2009-08-07 윤항선 물세탁 가능한 실크 제조 방법
JP4380959B2 (ja) * 1999-12-16 2009-12-09 テクスティルマ・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少なくとも2つの折返可能の筒状のベルト帯の製造装置
KR20110008363A (ko) * 2009-07-20 2011-01-27 조기덕 법당 장엄용 led 조명등
KR20130005292U (ko) * 2012-02-29 2013-09-06 박기석 조립식 사각 연등 구조
KR20160070685A (ko) * 2014-12-10 2016-06-20 김광우 무광택 및 경량의 한복안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7638A (ko) * 2015-12-28 2017-07-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KR101859743B1 (ko) 2017-09-13 2018-05-18 주식회사 뒤에 있다 유등 및 유등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909Y1 (ko) * 1992-07-10 1995-02-15 송태룡 제등
JP4380959B2 (ja) * 1999-12-16 2009-12-09 テクスティルマ・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少なくとも2つの折返可能の筒状のベルト帯の製造装置
KR200187748Y1 (ko) * 2000-02-14 2000-07-15 이상규 종이열기구
KR20040045772A (ko) * 2002-11-25 2004-06-02 (주)티 에스 에이 콜렉션 이중지 원단을 사용한 의복의 봉제선형성방법
KR20070113529A (ko) * 2006-05-25 2007-11-29 박동호 형광과 야광에 의한 발광수단을 갖는 비닐지로 이루어진연등
KR20090085244A (ko) * 2008-02-04 2009-08-07 윤항선 물세탁 가능한 실크 제조 방법
KR20110008363A (ko) * 2009-07-20 2011-01-27 조기덕 법당 장엄용 led 조명등
KR20130005292U (ko) * 2012-02-29 2013-09-06 박기석 조립식 사각 연등 구조
KR20160070685A (ko) * 2014-12-10 2016-06-20 김광우 무광택 및 경량의 한복안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7638A (ko) * 2015-12-28 2017-07-0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 쿠션 및 그 제조방법
KR101859743B1 (ko) 2017-09-13 2018-05-18 주식회사 뒤에 있다 유등 및 유등의 제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0466B1 (ko) * 2020-11-12 2021-01-07 박태현 접힘 구조를 갖는 접이형 유등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3695B1 (ko) 인조속눈썹 및 그 제조방법
KR101524417B1 (ko)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롤 상태의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방법
KR102077650B1 (ko) 외부 노출 대응형 익스테리어로 활용 가능한 실크원단 유등커버 제조방법 및 그 실크원단 유등커버
CN103382759B (zh) 无缝刺绣墙布及其制作方法
CN109130397B (zh) 一种防水透气涂层纺织品及其制备方法
KR101082549B1 (ko) 한지 전등갓 제조방법
CN204780392U (zh) 拼接双面呢
KR101933173B1 (ko) 라미 원사를 소재로 활용한 친환경 블라인드용 직물지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블라인드용 직물지
CN101263953A (zh) 环保购物袋及其制备方法
CN205409737U (zh) 一种玩具衣服
CN202101143U (zh) 一种灯罩
CN108687901B (zh) 适用于标准化生产的墙面编织装饰的建材及其制造方法
CN111358097B (zh) 一种橡筋腰头缝纫方法
RU52771U1 (ru) Художественно-декоративное изделие
CN208087836U (zh) 麂皮绒
CN210881203U (zh) 一种防水面料
CN213947649U (zh) 一种褶皱绚丽抗菌遮阳帽面料
CN208197700U (zh) 一种折叠式罗马帘
KR102364394B1 (ko) 머리카락 이용한 난초 장식물의 제조방법
CN209101099U (zh) 一种立体马尾绣多层次切换发光夜灯
CN216088933U (zh) 一种无夹西服
KR101184737B1 (ko) 직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직물
CN212242435U (zh) 一种绚丽挺括复合型运动服面料
CN108660518A (zh) 一种立体3d毛皮丝绸
KR100923583B1 (ko) 조명기구의 개폐형 램프쉐이드용 한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