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9538B1 -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 Google Patents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9538B1
KR100739538B1 KR1020050074901A KR20050074901A KR100739538B1 KR 100739538 B1 KR100739538 B1 KR 100739538B1 KR 1020050074901 A KR1020050074901 A KR 1020050074901A KR 20050074901 A KR20050074901 A KR 20050074901A KR 100739538 B1 KR100739538 B1 KR 100739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acceleration
type
random number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0707A (ko
Inventor
서영석
Original Assignee
서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석 filed Critical 서영석
Priority to KR1020050074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9538B1/ko
Priority to PCT/KR2006/003191 priority patent/WO2007021118A1/en
Priority to US11/997,949 priority patent/US20080193903A1/en
Publication of KR20070020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cessing data by operating upon the order or content of the data handled
    • G06F7/3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 G06F7/48Methods or arrangements for performing computations using exclusively denominational number representation, e.g. using binary, ternary, decimal representation using non-contact-making devices, e.g. tube, solid state device; using unspecified devices
    • G06F7/50Adding; Subtrac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들의 기초적인 덧셈과 뺄셈능력 즉 가감산 능력을 높이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감산 문제를 랜덤하게 만들어서 디스플레이패널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대답을 입력하면 정답여부를 판별하고 다음 가감산 문제를 출제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장치이며, 사용자 문제풀이의 정답과 수행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가감산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계를 가지고 있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는 가감산연습을 위한 문제에 사용되는 난수를 발생시키는 난수 발생수단, 가감산연습을 위한 문제를 표시하고 상기 숫자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숫자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연결하기 위한 전원단자, 가감산연습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연습종류선택수단, 가감산연습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기, 시계모드나 타이머모드나 정답확인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선택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난수 발생수단은 순환적으로 주소숫자나 숫자를 카운트하는 카운터와, 인터럽트신호에 의해 상기 카운터의 현재 값을 출력하는 카운터출력부와, 상기 인터럽트신호를 발생시키는 인터럽트신호발생기를 이용하여 난수를 발생시킨다. 상기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는 가감산 연습에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기능과 시계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정답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는 가감산 문제를 예측할 수 없도록 난수를 반복적으로 발생시켜 발생한 가감산 문제를 제공하고 사용자들이 답을 입력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와 시계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어린이들의 가감산 능력배양을 효과적으로 도와준다.
연습기, 가감산 연습기, 휴대형, 시계, 타이머, 어린이

Description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Hand-held addition and subtraction trainer}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예시적인 전면 외관형상을 도시하는 평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인덱스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부분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예시적인 후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시계모드 동작을 표시하는 예시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난수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내부구성에 대한 일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난수 발생수단을 포함하는 내부구성에 대한 다른 일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다른 난수 발생수단의 예시적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인터럽트 신호 발생기에 대한 예시적인 타이밍도.
도 9는 본 발명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어드레스 카운터 출력부 및 링카 운터 출력부의 주요기능에 대한 실시예를 위한 회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예시적인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도.
기존의 어린이를 위한 휴대용 학습 도구로서, 학습을 위한 책, 영어 단어를 암기하게 하는 영어학습기나, 영어회화 학습기나, 구구단을 차례로 음성 및 문자로 재생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구구단을 단순 암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습기가 개발되어 있다.
덧셈과 뺄셈은 수학 학습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능력이며 가감산 능력을 배양하기위해서는, 집중력을 높여서 주어진 시간에 정확하게 빨리 문제를 푸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시간을 측정해야 하며, 정답유무를 즉각 알 수 있어서 빠르게 대응할 수 있게 해야 하고, 어린이가 책이나 노트처럼 쉽게 휴대할 수 있고 사용하기에 편해야 하며 학습을 위한 효과적인 동기를 유발 할 수 있어야 하며, 다양한 종류의 가감산 문제를 빨리 계산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출제되는 문제는 랜덤하게 출제되어야 한다. 어휘나 구구단을 외우는 것과 같은 문제와 달리, 가감산 문제는 같은 문제가 순서대로 계속 반복되어 나오면 학습효과가 없음은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어린이에게 예측이 불가능한 문제가 반복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인쇄된 책자를 이용한 가감산연습은 어린이의 특성상 집중력이 높지 않아서 계산 도중에 쉬거나 시간을 많이 소비하는 경향이 있으며, 필기구를 사용하여 지면에 답을 적어버리면, 다음 연습을 위해 효과적으로 재사용하기가 곤란하다. 구구단 암기장치와 같은 단순 암기보조도구는 장치를 반복적으로 사용할 때, 문제를 랜덤하게 출제하지 못하여 지루하게 하고 집중력을 저하시키며, 문제풀이 능력 측정을 위한 시계를 별도로 준비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어린이들이 사용하기 쉬운 작은 전자장치로 구현하고, 발생된 문제에 대해 집중력을 가지고 빠르게 해결하는 정도를 측정하기위한 타이머와 시계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연습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소형 휴대장치에서 랜덤한 가감산 문제를 만들기 위해 랜덤한 숫자를 발생시키는 간단하고 효과적인 난수 발생수단을 장착하고, 계산능력 측정과 같은 집중력과 동기 부여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시켜 가감산 연산능력을 효과적으로 배양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는 가감산연습을 위한 문제에 사용되는 난수를 발생시키는 난수 발생수단; 숫자를 입력하기위한 숫자입력수단; 상기 가감산연습 동작을 시작시키기 위한 시작수단; 상기 가감산연습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수단; 상기 가감산연습을 위한 문제를 표시하고, 상기 숫자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숫자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가감산연습을 위해 발생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숫자를 저장하기위한 제1 메모리;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연결하기 위한 전원단자; 상기 가감산연습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연습종류 선택수단; 상기 가감산연습에 사용되는 숫자들을 계산하고 비교하기 위한 산술 논리 연산부; 시계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시계 구동회로; 및 상기 숫자 입력수단, 상기 제1 메모리, 상기 난수 발생수단, 상기 산술논리연산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감산연습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난수발생수단은 가감산 문제용 난수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형태인 난수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난수메모리는 랜덤한 주소를 발생시키는 주소발생기로부터 주소값을 받아서 난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용 가감산 연습기의 예시적인 외관형상을 도시하는 평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가감산 연습기는 다양한 형태로서 기본적인 외관구성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판상체로 하거나, 유아들이 선호하는 각종의 동물이나 만화캐릭터를 외주연부에 장식한 판상체 등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예시적으로 구성된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는 도 1과 같이 전면부에 각종 기능조작과 숫자입력을 위한 조작수단(9)들이 배치되어있고, 스피커(19) 및 정보를 표시하기위한 디스플레이부(7)를 가지고 있다.
상기 조작수단(9)의 구성요소는 여러 가지가 될 수 있으며 일례로 모드선택수단(11), 연습종류선택수단(12), 속성설정수단(13), 숫자입력수단(14), 입력확인수단(15), 시작수단(16), 정지수단(19), 방향이동수단(17), 전원스위치(18) 등이 있으며, 이들 조작수단들을 물리적으로 구현 하는 방법은 러버돔형 키나 푸쉬스위치등 여러 가지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조작수단들을 간편하게 만들 수 있는 바람직한 물리적인 형태는 러버돔 형태의 키이고 키의 표면이나 근처에 키의 기능에 대한 표시가 인쇄, 음각, 또는 양각가공으로서 표시될 수 있을 것이다.
숫자 입력수단(14)은 일례로 숫자 입력키로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휴대용 가감산 연습기(1)에 따라 수행되는 여러 가지 동작과정에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방향 이동수단(17)은 일례로 방향 이동키로 할 수 있으며, 사용상 편의를 위해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쉽게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입력 확인수단(15)은 일례로 입력 확인키로 할 수 있으며,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1)에 숫자를 입력하거나 다른 조작수단들로 키를 조작한 후 그 영향이 내부 회로에 전달되도록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한다.
모드 선택수단(11)은 휴대용 가감산 연습기(1)의 다양한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례인 모드 선택키는 예를 들면, 가감산연습모드, 정답확인모드, 시계모드, 타이머모드 등 다양한 기능 중 일부 기능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모드 선택수단(11)은 연속해서 누를 때 가감산 연습모드, 정답 확인모드, 시계 모드, 타이머 모드를 반복적으로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각각의 모드에 대한 서로 다른 키를 별도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가감산 연습모드는 본 발명의 주요기능인 가감산 연습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정답 확인모드는 연습이 끝난 후 틀린 문제를 확인하는 모드이며, 이 모드에서 사용자가 직접 숫자 입력수단(14)으로 가감산 문제를 입력하고 가감산 연습기로부터 답을 얻을 수 있다. 시계모드가 선택되면 기존의 디지털 탁상 시계기능을 수행하고 타이머 모드가 선택되면 기존의 전자식 타이머 기능을 수행한다.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1)는 숫자를 계산하는 기능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므로, 가감산 연습기능을 수행하는 회로에 약간의 부가적인 회로를 추가해서 기존의 시계기능과 타이머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
도 5의 시계구동회로(141)는 시계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로서, 시, 분, 초를 카운트하고 처리하는 회로로 구성된다. 시계구동회로(141)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1)에서 주어진 시간에 얼마나 빨리 계산을 수행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타이머 기능을 가지고 있고, 계산연습을 하지 않을 때 시계나 타이머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타이머구동회로(142)는 타이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회로이며, 시각의 시작과 정지와 걸린 시간을 카운트하고 처리하는 회로로 구성된다. 이를 활용하면 어린이들이 책상위에 올려두는 시계로 사용할 수 있고 제한시간에 다른 공부를 하기위한 타이머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시계모드로 동작하고 있는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선택된 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일례를 도 2에 상세히 나타내었으며, 도 2는 도 1의 상부 부분을 더욱 상세히 확대해서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2에서 모드인덱스(2)부분은 모드 지시자(51)와 모드상태 표시부(61)로 구성되며, 모드 지시자(51) 는 모드상태 표시부(61)에 표시되는 정보가 모드의 일종임을 지시하는 지시자이다. 일례로, 모드상태 표시부(61)에 "DRILL"이라고 표시되면 가감산 연습모드로 동작하고, "CLOCK"이라고 표시되면 시계모드로 동작하고, "TIMER"이라고 표시되면 타이머모드로 동작하고, "CAL"라고 표시되어 있으며 정답확인모드로 동작함을 의미한다.
조작수단(9)은 모드가 달라지면 그 모드에 부합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면, 가감산연습모드에서 가감산연습을 시작하는 기능을 하는 시작키(16)는 타이머모드로 동작할 때, 시간측정의 시작을 유발하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가감산연습모드에서 숫자입력으로 사용하는 숫자입력키(14)는 시계모드에서 시각을 설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연습종류선택수단(12)은 일례로 연습종류 선택키로 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의 가감산 계산연습종류 중 일부를 선택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가감산 연습종류로는 덧셈연습, 뺄셈연습, 10의 보수연습, 한자리 수 덧셈연습, 두 자리 수 덧셈연습, 숫자가 주어지면 그 숫자와 더해서 100을 만드는 숫자를 찾는 100의 보수연습 등 다양한 종류의 가감산연습을 포함하며 상기 제시한 연습의 종류는 일례이며 부가적인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가감산 연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선택된 가감산연습종류의 표시는 도 2에서처럼 연습종류 인덱스(3)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연습종류인덱스(3)의 제1 연습종류 지시자(52)는 제1 연습종류 표시부(62)에 표시되는 정보가 연습종류의 일종임을 지시하는 지시자이다. 일례로, 제1 연습종류 표시부(62)에 "add"라고 표시되어 있으면 덧셈연습이 선택되었음을 의미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장치의 다양한 정보를 표시함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프레임에 인쇄된 마크와 디스플레이패널(5)에 나타내지는 지시자를 연계시켜 이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 연습종류 인덱스(3)를 통해 표시하는 기능을 대신해서 도 1에서처럼 디스플레이프레임(6)상에 마크를 새긴 제2 연습종류 표시부(69)와 디스플레이패널(5)상의 삼각형 형태의 제2 연습종류 지시자(59)를 이용해서 구현할 수 있으며, 특정한 연습종류가 선택되면 제2 연습종류 지시자(59)가 디스플레이프레임(6)위의 특정 마크를 지시해서 연습종류를 표시하도록 구현한다.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1)는 가감산연습의 수행방법과 수행조건, 수행과정 및 결과의 표시방법 등에 대한 여러 가지 속성을 설정하고 표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가감산연습에 대한 속성의 종류의 일예로, 연습문항 출제의 최대 문항수, 연습이 종료되는 제한시간, 연습시작으로부터 걸린 수행시간, 현재 출제되고 있는 문항의 번호, 오답이 발생하면 정답을 입력할 때까지 같은 문제를 계속 제출할 지에 대한 여부에 해당하는 오답정정속성, 점수의 표시 방법, 등 여러 가지 속성이 포함될 수 있다.
속성 설정수단(13)은 일례로 속성 설정키로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되는 가감산 연습과정에 대한 상기 속성에 대한 상태를 설정하기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다양한 속성을 디스플레이패널(5)상에 표시하는 부분이 속성인덱스(4)부분이며 이를 더욱 상세히 묘사한 것이 도 2이다.
속성 인덱스(4)는 가감산연습이 강제 종료되는 제한시간표시를 위해 제한시간 지시자(53)및 제한시간 표시부(63), 제출되는 최대문항수를 표시하기 위해 최대문항수 지시자(54)및 최대문항수 표시부(64), 연습수행에 걸린 시간을 표시하기 위한 수행시간 지시자(55)및 수행시간 표시부(65), 현재 제출되는 문제가 몇 번째 문제인지를 표시하기위한 현재문항번호 지시자(56)및 현재문항번호 표시부(66), 문제가 제출 되었을 때 사용자가 정답을 입력한 문항의 개수를 표시하기 위한 정답수 지시자(57)및 정답수 표시부(67), 사용자의 실력을 표시하기 위한 능력등급 지시자(58)및 능력등급표시부(68)를 포함하고 있다.
속성 설정수단(13)을 이용한 속성설정의 일례로 연습제한시간을 "20분00초"로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속성 설정수단(13)을 누르면 연습제한시간을 의미하는 속성 인덱스(4) 부분의 제한시간 지시자(53) 아래의 제한시간 표시부(63)의 숫자가 수정 가능한 상태로 되어 깜박거리고, 숫자 입력키(14)를 사용해서 2, 0, 0, 0을 차례로 누른 후 입력 확인키(15)를 누르면 제한시간이 "20분00초"로 설정되고 다음 속성종류를 설정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다음속성종류로 연습문항 출제의 최대회수를 설정할 수 있고 이를 의미하는 최대문항수 지시자(54) 아래의 최대문항수 표시부(64)의 숫자가 설정 가능한 상태로 깜박거리게 되며 전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최대문항수를 설정할 수 있다.
시작수단(16)은 어떤 동작을 시작하는데 사용되며, 일례로 가감산 연습모드에서 시작수단(16)은 가감산 연습동작을 시작하는데 사용되고, 타이머 모드에서 시작수단(16)은 시각을 시작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정지수단(19)은 현재 수행 중인 과정이나 동작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가감산 연습모드에서 현재 수행중인 연습을 정지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5)은 정보를 표시하는 장치이며 바람직하게는 LCD 패널을 사용한다(도 1). LCD 패널은 내부의 픽셀을 표시하는 방법에 따라 그래픽을 자유롭게 표시할 수 있는 그래픽형 패널, 문자를 자유롭게 표시할 수 있는 케릭터형 패널, 사용자의 주문에 따라 패널에 특정한 패턴이 미리 새겨져서 커스텀화된 세그먼트형 패널 등이 있으며, 한 개의 패널이 여러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고 각 부분이 세그먼트형, 케릭터형, 그래픽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세그먼트형 패널은 주어진 패널에 특정한 패턴을 표시할 수 있는 도전성 재료가 유리와 같은 투명한 기판위에 미리 새겨져 있고, 그래픽형 패널이나 케릭터형 패널에 비해 정보표시를 위한 메모리의 용량을 줄일 수 있어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장치에 낮은 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낮은 가격의 효율적인 정보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5)의 바람직한 구성형태는 각종 지시자들(51 내지 59)과 가감산표시 가로줄(70), 가감산연습 문제 표시를 위한 문제표시 부분(21), 속성상태 표시부(63 내지 68)의 숫자들은 세그먼트형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케릭터형이나 그래픽형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5 의 RAM(136)의 일부 블록은 디스플레이 패널(5)에 정보를 표시하기위한 디스플레이용 메모리공간으로 사용된다.
실제 계산 문제표시의 일예로서 디스플레이패널(5)에 세그먼트형 숫자로 문제가 표시된 일례를 나타내었으며, 이 문제는 두 숫자의 덧셈을 묻는 문제이며 32+100의 값을 요구하는 문제의 한 형태이다.
디스플레이 프레임(6)은 휴대용 가감산 연습기(1)의 디스플레이 패널(5)을 물리적으로 감싸고 있으며, 바디(8)부분과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고 특정한 마크가 인쇄될 수 있는 부분이며, 이 마크는 디스플레이 패널(5) 내부에 표시되는 특정한 신호화 결합시켜 효과적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현재 디스플레이 프레임(6)에 제2 연습종류 표시부(69)를 인쇄하고 디스플레이패널(5)상의 삼각형 형태의 제2 연습종류 지시자(59)를 배치하고 제2 연습종류 지시자(59)가 연습종류를 지시하도록 하여 선택된 연습종류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연습종류 지시자(59)가 디스플레이 프레임(6)상의 "add"를 지시하고 있으며, 덧셈연습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후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도면으로서 가감산 연습기가 오류상태에 빠졌을 때 모든 기능을 원상 복구시키는 리셋 스위치(81)와, 베터리를 효과적으로 장착하기 위한 전원단자(83)을 가지는 전원홀더(82)와, 전원 홀더와 결합되는 전원커버(8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시계모드나 타이머모드로 동작시키고 책상 위와 같은 곳에 세워두고 탁상시계나 타이머로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가감산 연습기의 바디(8)의 일 측에 부착되어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1)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지지대(85)를 구비하거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1)를 넣어둘 수 있는 지지함(86)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대(85)나 지지함(86)을 이용하면 평평한 곳에 세워둘 수 있다.
키 입력회로(131)는 다수의 조작수단들(11 내지 19)이 가지는 고유의 역할 수행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키 입력회로(131)의 다른 역할은 모든 조작수단들의 동작경과를 인식하여 이에 대한 신호를 인터럽트 신호발생기(101a, 101b)에 제공하는 기능을 가진다.
디스플레이구동회로(134)는 디스플레이패널(5)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이다. 스피커(2)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1)가 동작할 때 여러 가지 효과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스피커 구동회로(135)는 스피커(2)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이고, 클럭 발생기(137)는 클럭이 필요한 회로에 클럭 신호를 제공하기위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시계구동회로(141)와 타이머구동회로(142)는 가감산 연습 수행에 필요한 시간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탁상시계로 사용되는 시계와 타이머를 위한 회로이다. 시계와 타이머를 구동하기 위해 클럭 펄스가 필요하며 어드레스 카운터(102)나 링카운터(112)를 분주하여 이용하거나 클럭 발생기(137)를 직접 이용할 수도 있다.
산술논리연산부(127)는 가감산연습에 필요한 덧셈계산, 뺄셈계산 및 비교과정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사용자가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를 사용할 때, 출제되는 가감산 문제가 예측불가능하게 랜덤하게 출제되어야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감산 연습기는 랜덤한 숫자를 발생시키는 난수 발생수단을 내장하고 있다.
도5및 도6의 난수 발생수단(100)은 계산연습의 문제에 필요한 랜덤숫자를 발생시키고, 가감산문제용 난수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형태인 난수메모리(104)를 가지며, 난수메모리(104)는 랜덤한 주소를 발생시키는 주소발생기 (106)로부터 주소값을 받아서 난수를 발생시킨다.
난수메모리(104)는 어드레스가 지정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출력으로 내보낸다. 난수메모리에 랜덤 어드레스가 입력되며 랜덤 어드레스는 주소발생기(106)로부터 제공된다. 주소발생기(106)의 출력으로 발생한 랜덤 주소숫자는 난수메모리(104)의 주소숫자를 지정하게 된다. 난수메모리(104)는 가감산 연습기를 제작할 때 미리 문제용 숫자들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이며, ROM(104)의 일부 블록들을 사용한다.
난수메모리(104)에 저장되는 숫자는 발생확률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0에서 9까지의 숫자가 같은 확률로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저장 공간의 개수가 열개이면 0에서9까지 각각 한 개의 숫자가 저장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저장 공간의 개수가 30이면 각각 3개씩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소발생기(106)는 클럭 발생기(137)에 동기 되어 순환적으로 어드레스 숫자를 카운트하는 어드레스 카운터(102)와, 랜덤한 인터럽트신호를 발생시키는 인터럽트신호 발생기(101a)의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어드레스 카운터(102)의 현재값을 주소발생기(106)의 주소로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카운터 출력부(103)를 포함한다.
도 9는 어드레스 카운터 출력부(103)를 구현한 일례를 나타내었으며 주요부분을 논리곱 게이트로 구현한 것이다.
도 9에 의하면 1번 포트(154a)에 들어오는 정보는, 3번 포트(154c)에 인터럽트 신호가 들어올 때, 2번 포트(154b)로 그대로 샘플링되어 전달된다. 1번 포트(154a)는 어드레스 카운터(102)에 연결되고, 2번 포트는 난수메모리(104)에 연결되 고, 3번 포트는 인터럽트신호가 가해지는 포트이다.
어드레스 카운터(102)의 일례로, 도 6과 같이 a1부터 a10까지 10개의 어드레스 숫자를 반복적으로 카운트 하는 어드레스 카운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인터럽트 신호가 어드레스 카운터 출력부(103)에 가해지면 어드레스 카운터(102)의 현재 어드레스 숫자, 즉 10개의 어드레스 숫자 중 하나가 어드레스 카운터 출력부(103)에서 출력되어 난수 메모리(104)로 전달된다.
인터럽트 신호 발생기(101a)는, 가감산 연습기의 외부에 부착된 조작수단(9)의 동작변화를 감지하여 도 8과 같은 랜덤한 인터럽트신호(153a,153b)를 발생시킨다.
일례로 사용자가 손으로 외부에 장착된 조작수단의 어떤 키를 누르더라도, 키를 누르는 순간에 인터럽트 신호 발생기(101a)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현한다. 한 번의 키 동작이 두 개의 랜덤 주소 숫자를 발생시키도록 두 개의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서처럼 키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눌러진 상태로 변화하는 시각인 상승 에지 시각(151)과, 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눌러지지 않은 상태로 변화하는 시각인 하강 에지 시각(152)을 인식하여 인터럽트 신호발생기(101a)가 인터럽트 신호(153a, 153b)를 두번 출력시키고 이를 어드레스 카운터 출력부(103)의 인터럽트 신호로 사용하면 된다.
10개 이상의 공간을 가지는 난수메모리(104)를 활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카운터는 100개의 주소를 순환적으로 지정하도록 하는 카운터이고, 난수메모리(104)가 100개의 주소를 가지고 있고, 100개의 저장 공간에 각각 두개의 한 자리 숫자, 예를 들면 (0,0) 부터 시작해서 (0,1) ... (9,9)까지 저장해둔 경우를 생각한다. 이때, 한 번의 인터럽트신호가 가해지 면 한 개의 난수특성을 지닌 어드레스가 발생하고, 이 어드레스가 난수메모리(104)를 지정함으로써 두개의 자연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저장 공간의 개수를 변화시키거나 순환적 어드레스카운터의 상태의 개수를 변화 시키면 다양한 종류의 문제용 숫자를 발생시킬 수 있고, 자주 사용하는 문제에 대해서는 그 답도 같이 저장해서 정답 확인에 활용할 수 있다.
도5및 도6의 난수 발생수단(100)은 난수 메모리로부터 발생된 난수를 쌓아두는 제2 메모리(10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으로 발생한 문제용 숫자는, 문제 숫자 저장용 버퍼인 제2 메모리(105a)에 계속 충분히 쌓아 두어서 문제용 숫자가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의 개수를 가져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산연습 문제를 발생시킬 때, 제2 메모리의 숫자중 제일 먼저 저장된 숫자부터 하나씩 가져가서 사용한다.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위해 제2 메모리는, 메모리가 모두 차면 먼저 들어온 숫자는 자동적으로 없어지고, 가져간 숫자는 자동적으로 삭제되는 선입선출형 메모리(FIFO)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다른 한 가지 난수 발생수단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나타낸 난수 발생수단(100)을 대치하여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1)로 사용될 수 있다.
도7의 난수 발생수단(110)은 순환적으로 숫자를 카운트하는 링카운터(112)와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링카운터의 현재값을 출력하는 링카운터 출력부(113)를 포함하는 숫자 발생기(116)와,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터럽트 신호 발생기(101b)를 포함하며, 링카운터(112)의 출력값을 문제 제시용 난수로 발생시킨다.
카운터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예측할 수 없는 숫자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설명한다.
예를 들면 링카운터(112)는 클럭 발생기(137)와 같은 속도로 0에서 9까지의 10개의 숫자를 순환적으로 카운트 하며, 인터럽트 신호 발생기(101b)로부터 인터럽트 신호가 가해지면 링카운터(112)의 현재값을 샘플링해서 출력하는 링카운터 출력부(113)를 가지고 있어서, 인터럽트 신호가 가해지면 현재 카운트된 0~9사이의 숫자중 하나를 출력한다.
일례로, 링카운터에 가해지는 인터럽트 신호는 외부에 장착된 조작수단(9)의 동작시마다 발생되게 하는 인터럽트 신호 발생기(101b)로부터 나오는 신호를 사용하면 된다. 사용자가 손으로 외부에 장착된 키를 누르는 순간, 인터럽트신호발생기(101b)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며, 링카운터 출력값은 0~9사이의 숫자가 되며, 출력된 숫자들은 동일한 발생확률을 가지게 되며, 사용자는 출력되는 숫자를 쉽게 예측할 수 없게 되고, 이 숫자를 문제용 난수로 사용한다.
한번의 키 동작으로 두 개의 랜덤 숫자가 발생되게 하려면, 도 8에서처럼 키가 동작하여, 키가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눌러진 상태로 변화하는 시각인 상승 에지 시각(151)과, 키가 눌러진 상태에서 눌러지지 않은 상태로 변화하는 시각인 하강 에지 시각(152)에, 각각 인터럽트 신호 발생기(101b)가 인터럽트 신호(153a, 153b)를 출력시키고, 두 개의 인터럽트 신호(153a, 153b)를 링카운터 출력부(113)의 인터럽트 신호로 사용하면 된다.
도7의 난수 발생수단(110)을 이용한 방법으로 발생한 문제용 난수는, 문제 숫자 저장용 버퍼인 제2 메모리(105b)에 계속 쌓아 두어서 문제용 숫자가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의 개수를 가져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산연습 문제를 발생시킬 때, 제2 메모리(105b)의 숫자중 제일 먼저 저장된 숫자부터 하나씩 가져가서 사용하며,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위해 제2 메모리(105b)는 가져간 숫자는 자동적으로 삭제되며, 메모리가 모두 차면 먼저 들어온 숫자는 자동적으로 없어지는 선입선출형 메모리(FIFO)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개 이상의 상태를 가지는 링카운터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링카운터는 100개의 숫자를 순환적으로 지정하도록 하는 카운터이고, 100개의 숫자가 0부터 99까지인 경우를 생각한다. 0을 (0,0)에 대응시키면, 한 번의 인터럽트신호가 가해지면, 두개의 한자리 자연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36이 출력되면, 3과 6이라는 랜덤 자연수를 얻게 된다.
링카운터의 상태의 개수를 변화 시키거나 각 상태에 할당된 숫자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 다양한 종류의 문제용 숫자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프로그램 제어 유니트는 가감산 연습기의 다양한 기능에 대한 수행프로그램 즉 순차적인 제어명령어가 기록된 프로그램 저장용 비휘발성 메모리인 프로그램 ROM(126)와 산술 논리 연산부(127)와 연결되어 수행프로그램을 처리하여 가감산 연습기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한다. 프로그램 제어 유니트는 프로그램ROM(126)에 기록된 명령어를 하나씩 수행하며, 명령어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를 외부 키동작에 따라 원활하게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이다.
순차 논리회로(120)는 숫자 입력수단, 제1 메모리, 난수 발생수단과 연결되어 가감산 연습의 과정을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순차 논리회로(120)는 설계시 반영된 기능만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회로이며, 순차 논리회로의 출력이 현재 상태만의 함수로 표시되는 무어머쉰(More machine)과 순차 논리회로의 출력이 현재 상태와 입력의 함수로 표시되는 밀리머쉰(Mealy machine)이 있다. 순차 논리회로(120)는 휴대용 가감산 연습기의 다양한 모드와 기능이 수행되도록 특화된 회로로 구현된다.
이러한 순차 논리회로를 구현한 일실시예가 도 5에 나타내져 있다. 순차논리회로(120)는 외부 키동작에 따라 휴대용 가감산 연습기의 다양한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제1 메모리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1)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하며, 가감산 문제가 사용자에게 주어질 때 사용자의 응답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으로,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는 제1 메모리의 숫자와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가 직접 계산한 정답과 비교하여 정답여부를 판단한다.
쓰기 가능한 메모리인 RAM(136, 도 5)의 일부는 디스플레이패널에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저장 공간으로 사용되며, 일부분은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1)에 필요한 여러 가지 메모리 공간을 위해 할당될 수 있다.
난수저장 메모리(104)나 프로그램ROM(126)은 ROM이나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쓰기 가능한 메모리로 구현되어야 하는 제1 메모리와 제 2 메모리(105a,105b) 및 RAM(136)은 플래시 메모리나 DRAM과 같은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휴대용 가감산 연습기의 작동의 일례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휴대용 가감산 연습기(1)가 꺼진 상태에서 전원스위치(18)를 눌러서 전원을 인가시키고, 모드 선택키(11)를 눌러서 가감산 연습모드로 선택한다. 이때 외부 키가 동작할 때마다 내부의 도5및 도6의 난수 발생수단(100)에서 랜덤 숫자가 발생하고 제2메모리(105a)에 차례로 저장이 된다.
이로부터 가감산 연습시작 단계가 수행된다.
도 10에 의거하여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연습종류 선택 단계(201)에서는 연습 종류 선택키(12)를 눌러서 연습종류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임의의 두 숫자의 덧셈을 계산하는 연습과정이 선택되면 도 1과 같이, 제1 연습종류 표시부(62)에 덧셈 계산수행을 의미하는 "add" 표시가 나타나게 된다.
연습 속성 설정 단계(202)에서는 속성 설정키(13)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속성을 설정한다.
연습시작 시각 저장 단계(203)에서는 시작키(16)를 누르면 계산연습이 시작된다. 이때 가감산 연습기(1)는 연습시작 시간을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해서 나중에 연습에 걸린 시간을 표시할 때 사용한다.
가감산 문제 생성 단계(210)에서는 제2 메모리(105)로부터 필요한 숫자를 가지고와서 연습문제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6개의 숫자를 가지고 왔고 각각 0, 3, 2, 1, 0, 0 이면 "32+100=?" 문제를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정답 구함 단계(211)에서는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을 얻고 이를 답숫자 저장용 제1 메모리에 저장한다.
문제 출력 및 현재문항 번호 증가 단계(212)에서는 가감산 문제 생성 단계(210)에서 형성된 문제를 도 1의 문제 표시부분(2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패널(5) 상에 표시하고 현재 문항번호를 한개 증가해서 현재 문항 번호표시부(66)에 표시한다.
정지요구 물음 단계(220)에서는 정지키(19) 동작 유무를 확인하여 정지요구가 있으면 속성 구하기 단계(230)를 수행하고, 정지요구가 없으면 답 입력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221)를 수행한다.
답 입력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221)에서는 사용자가 답을 입력하고 나면 사용자의 답을 응답숫자저장 제1 메모리에 저장한다.
대답과 정답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222)에서는 사용자의 답과 휴대용 가감산 연습기(1)가 계산한 정답과 비교하여 사용자의 답이 정답과 동일하면 정답수 증가 단계(227)를 수행하고, 다르면 오답 저장용 메모리에 문제와 사용자의 답을 기록하는 단계(223)를 수행한다.
오답 저장용 메모리에 문제와 사용자의 답을 기록하는 단계(223)에서는 오답 저장용 메모리에 문제와 사용자의 오답을 기록한다. 오답저장용 메모리 구현의 일례는 RAM(136)의 일부 블록을 사용해서 구현할 수 있다.
오답정정 속성 물음 단계(225)에서는 계산연습을 수행하기 전에 오답정정 속성이 선택되어 있으면 오류를 소리나 출력으로 표시하는 단계(226)를 수행하고 오답정정속성이 선택되어 있지 않으면 출제문항수가 최대문항수보다 작은지 또는 무한 반복 속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228)를 수행한다.
오류를 소리나 출력으로 표시하는 단계(226)에서는 오답임을 스피커나 디스플레이 패널(5)을 통해 표시하고 정지요구 물음 단계(220)를 다시 수행한다.
정답수 증가 단계(227)에서는 사용자의 대답이 정답과 동일하면 정답수를 증가 시키고 출제문항수가 최대문항수보다 작은지 또는 무한 반복 속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228)를 수행한다.
출제문항수가 최대문항수보다 작은지 또는 무한 반복 속성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228)에서는 현재까지의 출제문항이 사전에 설정한 출제 최대문항수에 도달하지 못했거나 무한반복속성이 선택되어 있으면 가감산 문제 생성 단계(210)부터 다시 수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속성 구하기 단계(230)를 수행한다.
속성 구하기 단계(230)에서는 연습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속성값들을 구한다. 일예로 연습소요시간을 계산하거나 정답률을 계산하거나 능력등급을 계산한다.
속성 구하기 단계(230) 후에는 연습결과의 속성값을 표시하는 단계(231)를 수행한다. 연습결과의 속성값을 표시하는 단계(231)에서는 여러 가지의 속성값들을 디스플레이 패널(5) 상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능력등급과 같은 정보를 능력등급표시부(68)에 표시한다.
종료단계(232)에서는 가감산 연습과정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용 가감산 연습기는 랜덤 숫자발생기를 가지고 있어서 연습도중의 키 동작을 인식하여 랜덤한 숫자를 계속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가감산 문제가 랜덤하게 출제되어 사용자의 가감산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가감산 연습기는 계산 응답 시간을 측정하여 위한 타이머기능을 갖춘 시계를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주어진 시간에 집중해서 가감산 계산을 빠르고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는 연습종류선택수단을 가지고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덧셈과 뺄셈 문제종류를 선택할 수 있으며, 가감산 능력등급 표시부를 가지고 있어서 지속적으로 반복 훈련할 수 있는 목표를 부여할 수 있다.

Claims (18)

  1.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에 있어서,
    가감산 연습을 위한 문제에 사용되는 난수를 발생시키는 난수 발생수단;
    숫자를 입력하기위한 숫자 입력수단;
    상기 가감산 연습 동작을 시작시키기 위한 시작수단;
    상기 가감산 연습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수단;
    상기 가감산 연습을 위한 문제를 표시하고, 상기 숫자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숫자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가감산 연습을 위해 발생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숫자를 저장하기위한 제1 메모리;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연결하기 위한 전원단자;
    상기 가감산연습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연습종류 선택수단;
    상기 가감산연습에 사용되는 숫자들을 계산하고 비교하기 위한 산술논리 연산부;
    시계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시계 구동회로; 및
    상기 숫자입력수단, 상기 제1 메모리, 상기 난수 발생수단, 상기 산술논리연산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감산연습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난수발생수단은 가감산문제용 난수들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형태인 난수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난수메모리는 랜덤한 주소를 발생시키는 주소발생기로부터 주소값을 받아서 난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는
    타이머 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타이머구동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는
    숫자 입력수단으로 입력되는 가감산문제를 처리하여 답을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 정답확인 모드를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모드 선택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소발생기는
    클럭발생기에 동기되어 순환적으로 상태가 변화하면서 어드레스 숫자를 출력시키는 어드레스 카운터; 및
    상기 어드레스 카운터의 현재값을 랜덤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터럽트 신호 발생기의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주소로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카운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 발생기는
    상기 가감산 연습기의 외부에 부착된 조작수단의 동작변화를 감지하여 랜덤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수 발생수단은
    상기 난수 메모리로부터 발생된 난수를 쌓아두는 제2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9.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에 있어서,
    가감산 연습을 위한 문제에 사용되는 난수를 발생시키는 난수 발생수단;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입력수단;
    상기 가감산 연습 동작을 시작시키기 위한 시작수단;
    상기 가감산 연습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지수단;
    상기 가감산 연습을 위한 문제를 표시하고, 상기 숫자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숫자를 나타내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가감산 연습을 위해 발생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숫자를 저장하기위한 제1 메모리;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연결하기 위한 전원단자;
    상기 가감산 연습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연습종류 선택수단;
    상기 가감산 연습에 사용되는 숫자들을 계산하고 비교하기 위한 산술논리 연산부;
    시계모드로 동작하기 위한 시계 구동회로; 및
    상기 숫자입력수단, 상기 제1 메모리, 상기 난수 발생수단, 상기 산술논리연산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감산 연습의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난수 발생수단은, 클럭 발생기에 동기 되어 순환적으로 상태가 변화하는 링카운터; 및 상기 링카운터의 현재값을 랜덤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인터럽트 신호 발생기의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난수로 발생시키는 링카운터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럽트 신호 발생기는
    상기 가감산 연습기의 외부에 부착된 조작수단의 동작변화를 감지하여 랜덤 한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난수 발생수단은
    발생된 난수를 쌓아두는 제2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감산 연습과정의 속성의 종류를 지시하기 위한 속성 지시자, 상기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모드 종류를 지시하기 위한 모드 지시자 및 가감산 연습의 종류를 지시하기 위한 연습종류 지시자를 표시하는 형상이 유리기판 위에 전도성 물질로 새겨진 세그먼트형 커스텀 LCD형 디스플레이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가감산 연습과정의 속성의 종류를 표시하기 위한 속성 표시부;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모드종류를 표시하기위한 모드 표시부;
    가감산연습의 종류를 표시하기위한 연습종류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순차 논리회로를 이용한 순차 논리회로형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논리회로는
    상기 순차 논리회로의 출력이 상기 순차 논리회로의 현재 상태와 입력의 함수로 표시되는 밀리머신(Mealy Machine)형 순차 논리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가감산 연습의 과정에 대한 수행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 메모리인 프로그램ROM과 연결되어, 상기 프로그램ROM에 기록된 제어명령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 제어 유니트를 가지는 프로그램 제어 유니트형 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습종류 선택수단은
    덧셈연습, 뺄셈연습, 10의 보수연습, 및 100의 보수연습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는
    상기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의 바디의 한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휴대형 가감 산 연습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대 또는 상기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를 넣어둘 수 있는 지지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KR1020050074901A 2005-08-16 2005-08-16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KR100739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901A KR100739538B1 (ko) 2005-08-16 2005-08-16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PCT/KR2006/003191 WO2007021118A1 (en) 2005-08-16 2006-08-16 Handheld addition and subtraction trainer
US11/997,949 US20080193903A1 (en) 2005-08-16 2006-08-16 Handheld Addition and Substraction Tr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901A KR100739538B1 (ko) 2005-08-16 2005-08-16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707A KR20070020707A (ko) 2007-02-22
KR100739538B1 true KR100739538B1 (ko) 2007-07-19

Family

ID=3775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901A KR100739538B1 (ko) 2005-08-16 2005-08-16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93903A1 (ko)
KR (1) KR100739538B1 (ko)
WO (1) WO2007021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8703B2 (en) * 2005-08-15 2014-04-29 Matthew Earl Fluster Method and apparatus for teaching mathematics
US9294751B2 (en) 2009-09-09 2016-03-22 Mattel, Inc. Method and system for disparity adjustment during stereoscopic zoom
US10559224B2 (en) 2016-04-21 2020-02-11 Chris Steven Ternoey Digit card calculator
US10191886B2 (en) 2016-04-21 2019-01-29 Chris Steven Ternoey Gesture controlled calcula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9071A (ja) * 1993-11-02 1995-05-19 Sharp Corp 携帯式電子計算機
JPH0883246A (ja) * 1994-09-13 1996-03-26 Sharp Corp 電子式卓上計算機
JP2003002266A (ja) * 2001-06-20 2003-01-08 Nissan Motor Co Ltd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の組み付け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1087A (en) * 1973-10-11 1976-09-21 Sachs Thomas D Teaching machine
JPS5459857A (en) * 1977-10-20 1979-05-14 Sharp Corp Eletronic calculation training machine
US4527798A (en) * 1981-02-23 1985-07-09 Video Turf Incorporated Random number generating techniques and gaming equipment employing such techniques
CA1240058A (en) * 1985-03-12 1988-08-02 Alex P. Moosz Electronic apparatus for generating sets of numerical values for playing lottery games
US5042004A (en) * 1986-03-06 1991-08-20 Advanced Micro Devices, Inc. Programmable logic device with subroutine stack and random access memory
US4819818A (en) * 1987-05-08 1989-04-11 John J. Simkus Random number generator
US5139423A (en) * 1990-07-31 1992-08-1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lectronic teaching device
US5674075A (en) * 1996-10-07 1997-10-07 Sherman; Betty E. Math teaching unit
KR100304883B1 (ko) * 1998-10-26 2001-09-24 구자홍 티브이의 사칙연산 학습장치와 그 학습방법
US6687720B1 (en) * 2000-09-05 2004-02-03 David L. Simmons Percentage and average calculator with expanded display
US20030180699A1 (en) * 2002-02-26 2003-09-25 Resor Charles P. Electronic learning aid for teaching arithmetic skills
US20040008589A1 (en) * 2002-06-24 2004-01-15 Mcmillan Erik A. Apparatus and method for timing events
JP4030942B2 (ja) * 2003-09-16 2008-01-09 吉見出版株式会社 携帯型暗算練習機
WO2005079351A2 (en) * 2004-02-12 2005-09-01 Marjorie Blumberg Electronic memory pa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9071A (ja) * 1993-11-02 1995-05-19 Sharp Corp 携帯式電子計算機
JPH0883246A (ja) * 1994-09-13 1996-03-26 Sharp Corp 電子式卓上計算機
JP2003002266A (ja) * 2001-06-20 2003-01-08 Nissan Motor Co Ltd フロントエンドモジュールの組み付け方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특허공개공보 제7-129071호
일본특허공개공보 평8-83246호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3-2266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93903A1 (en) 2008-08-14
KR20070020707A (ko) 2007-02-22
WO2007021118A1 (en) 200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8563B1 (en) Electronic circuit driven, inter-active, plural sensory stimuli apparatus and comprehensive method to teach, with no instructor present, beginners as young as two years old to play a piano/keyboard type musical instrument and to read and correctly respond to standard music notation for said instruments
CN102365666B (zh) 用于提供与传感器区域占用相关联的输出信号的输入装置和方法
JP2002518707A (ja) 数学学習用ゲーム器及び方法
CN110033669A (zh) 学习辅助系统
KR20120124413A (ko) 교육용 현악기의 터치 스크린 시뮬레이션
US20020197589A1 (en) Interactive educational apparatus with number array
KR100739538B1 (ko) 휴대형 가감산 연습기
CN110021282B (zh) 操作状态检测装置、操作状态检测用片以及电子乐器
CN107126697B (zh) 一种非接触式的音乐玩具
US6155838A (en) Question and answer amusement device
US10181235B2 (en) Typing-game machine and database system
CN202067421U (zh) 儿童心算早教机
KR20120024357A (ko) 곱셈 원리 이해를 위한 전자 학습 장치
CN100374079C (zh) 人体综合反应时测试装置及方法
KR101137267B1 (ko) 수 연산 자동 암기 학습장치 및 방법
US4114294A (en) Arithmetic teaching device
CN104050467A (zh) 利用指纹识别实现指法练习的方法及其装置
JP2006317785A (ja) 携帯端末装置
JP2010175755A (ja) 書字訓練支援装置
KR20110082718A (ko) 구구단 학습장치 및 방법
CN201638410U (zh) 一种钢琴练习装置
CN110517557A (zh) 钢琴弹奏学习方法、系统及装置
KR200291765Y1 (ko) 구구단 학습장치
JP3903961B2 (ja) 記号選択装置及び方法
KR101135932B1 (ko) 셈판 및 셈판을 이용한 학습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